국방부장관이 명령한 불가능한 임무/낙동강 서부, 채병덕의 최후, 한국전쟁11

* 낙동강서부전선
* 채병덕장군의 최후
#한국전쟁 #미군 #국군 #낙동강전선 #퍄퍄킴
참고문헌
6.25한국전쟁사 4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한국전쟁사 5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국가기록원_낙동강 방어작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_영덕지구전투
중앙일보_채병덕 장군 의문의 전사
BGM (Artlist License)
1. night of heroes - francesco dandrea
2. sinister - ck martin
3. the journey - martin puehringer
4. battle cry - rhythm scott
5. Rhythm Scott - Battle Dance
6. night of heroes - francesco dandrea
7. the front line - rhythm scott
질문이나 각종 문의는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퍄퍄킴 이메일 : pyapyakim@sandboxnetwork.net
퍄퍄킴 인스타그램 : / pyapyakim_history
퍄퍄킴 멤버십 : / @퍄퍄킴

Пікірлер: 611

  • @퍄퍄킴
    @퍄퍄킴11 ай бұрын

    🛑영상 속 사건과 관련 없는 내용, 정치적 내용, 욕설이나 비하 댓글은 경고 없이 삭제 또는 차단될 수 있습니다.🛑

  • @user-wm2ot5gc7h

    @user-wm2ot5gc7h

    11 ай бұрын

    😊😊😊😊😊😊😊

  • @user-ux9uy3nc4i

    @user-ux9uy3nc4i

    11 ай бұрын

    그렇네요

  • @user-ge4yg5do4j

    @user-ge4yg5do4j

    10 ай бұрын

    ㅣㅣㅣㅐㅣㅣㅣ4ㆍㄱ2ᆢ케ㅐ거더ㆍ기ㅣㅣㅏ4ᆢ2ㅖㄱ4캬2ㅓㆍㄱᆢㄱㆍㄱ4ㄱㆍ22ㆍ4ㄱㆍ2개ㅣㅋ4ㄱㆍ2ㅕ기ㅐㅣ버ㆍㄱ4ㅋᆢ2ㄱㆍ게비깁ㄱ4ㅋ4ㄱㆍㄱㆍ2ㄱ1ㅣ1ㄲ4ㄲ4ㄱᆢㄱㆍ2ㆍㄱㆍ캐기ㅣㅣ444ㄱᆢㅣ1ㆍ14ㄲ444ㆍㄱᆢ17ㄱㆍㄱ44ㅋㆍㅌㆍㄷㆍ기ㅣㅂ4ㄲ4ᆢㄱ2ㆍㄱㆍㄱ24ㅋㆍ2664ㄱㆍ2ㄷ6ㆍㄱ4ㄲㆍㄱㅋㆍㄱ44ㄱ4ㆍㄱᆢ2ㅌ66ㆍㄱㆍㄱㆍㄲ4ㆍㄱㆍㄱㆍ2ㆍ거ㆍ기배비ㅣㅋㆍㆍㄱ4ㆍ2ᆢㄱㆍ겁4ㅋㆍㄱㆍㄲㆍㄱㆍㄲ4ㆍ2ㆍ겨ㅔㅓㄷㄱᆢ4ㄱㄸᆢㅋㄷ22태ㅐㅣ디ㅐㅣㅌ6ㄱㆍㅋ4ㆍ2ㆍㄱ1ㅣㅣ디ㅣ대디디44ㄲㆍㄷㆍ뎌1ㅋㆍㄱㆍㅋᆢㄱㆍㅋ4ㄱ4ㅋᆢㅌㆍㄱㆍ가1ㅣㅣㄱ빅4빅ㆍㄱᆢㄸ6ㄷㄱㆍ기겍ㆍ긲비4빜ㆍㄱㄷᆢㄷㆍㄷㆍㅌㆍㄸㆍㄷㄱㆍㄱ빅4ㄱ44ㆍㄱᆢㄷㆍㄸㄱ444ᆢㅌㆍㄱ44ㅋㆍㅋㆍㄱㆍㅋᆢㄱㆍㄱ2ㄷㆍㄷㆍㄱㆍㅋᆢㅋㆍㄲㆍㄱㆍㄱㆍㅋᆢㄱ2데ᆢㄱㆍㄱᆢㄱㆍㄱ4ㄱ42ㄱ빈4ㆍ비비빅밷ㅂㄱ바바터ᆢㄸ뱹ㅋ빅딕ㄷㄱ박2ㆍㄲㆍㄱㆍㅋᆢ2ㆍ2ᆢㄱㆍㄱㆍ가😢ㄱㆍ2ㄱᆢㅋㆍㅋ2ㄴᆢㄷㆍㄷ2ㅌㆍㄱㆍㅌᆢㄷㆍㅌㄴㆍㆍㄱ2

  • @user-py3ie9sb4j

    @user-py3ie9sb4j

    10 ай бұрын

    표현의 자유 억압 ^오^

  • @cucucu

    @cucucu

    8 ай бұрын

    ​@@user-py3ie9sb4j똥글도 표현의 자유라고 하는거 보니 "그 벌레" 커뮤하나보구만 허허

  • @BJ_Umai
    @BJ_Umai11 ай бұрын

    전혀 알지도 못하는 나라와 한 번도 만난 적 없는 그 나라의 국민을 지키라는 부름에 응한 아들과 딸들에 경의를 표합니다

  • @user-ft1fg6nu3g

    @user-ft1fg6nu3g

    11 ай бұрын

    한미동맹!

  • @SKCCP

    @SKCCP

    11 ай бұрын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말하는 맞는말 입니다. 더욱 부실한 명분에 내몰린 억울한 사람들도 많습니다. 월남 해방/독립 전쟁 당시 월남에 파병되었던 프랑스군, 지들 식민지 지킬려고 갔으니까 억울할것 없을것 같지만 식민지 운영 단물 개이득은 구경도 못했거나 다른 식민지 출신들이 많았습니다. 2차대전 당시 세계지도에 점으로 표시된 조그만 섬에서 싸운 사람들. 극소수에 🐕🐖들 (히틀러, 무솔리니, 스탈린, 도조 + 추종자들) 때문에 괜히 생고생 하거나, 부상 당하거나 죽은사람들 부지기수 입니다. 한국전쟁은 그나마 명분이라도 있었고, 한국에 발전 + 자유세계에 주는 기여를 감안하면 그들에 희생은 헛되지 안았습니다. 앞으로 그들에 희생을 보상하려면 현재 한국에서 기생하는 좌빨들을 축출하고 북한을 흡수통일한후 (공산)독재 중공과 러시아에게 껄끄러운 존재가 되어야 합니다.

  • @Haozz-rj9jd

    @Haozz-rj9jd

    11 ай бұрын

    자유민주주의 자본주의라는 가치를 세계지도상 더 잃지않고 지키겠다는 것. 같은가치를 중시하는 세력들로서 싸운 결과 우리가 이렇게 살고있습니다. 앞으로도 같은 위협이 또 다가오는만큼 예전처럼 또한번 지켜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user-yj2yv9lp4b

    @user-yj2yv9lp4b

    11 ай бұрын

    자국 이익에 관련됐으니 개입했을뿐 정의감에 참전했겠음? 우리나라가 공산화되면 지네한테도 안 좋으니 다만 윗놈들 정치질 때문에 우리나라와서 희생한 당시 미군들에 대한 감사함은 당연한거고

  • @user-iu9xk9sw7b

    @user-iu9xk9sw7b

    11 ай бұрын

    @@user-yj2yv9lp4b 나라는 그럴수도 있지. 근데 개인은 그게 옳은 일이라는 믿음이 없으면 싸울수가 없음. 이게 우리나라에 어느정도 이득이 된다는 생각만으로 목숨을 거는 놈은 어디에도 없음.

  • @trezeguetdavid3205
    @trezeguetdavid320511 ай бұрын

    저희 할아버지께서 참전하셧습니다 할아버지께서는 화랑 무공 훈장을 받으셧습니다 이 영상 덕분에 할아버지와 참전 유공자분들의 노고에 더 감사함을 느낄수 잇는 시간이었습니다

  • @user-gg123

    @user-gg123

    11 ай бұрын

    존경합니다

  • @TheLesleygore

    @TheLesleygore

    11 ай бұрын

    명문가 가문이네요. 풍전등화의 나라를 지켜주셔서 감사합니다.

  • @younghuh3642

    @younghuh3642

    11 ай бұрын

    내 아버지 께서도 저당시 17세 나이에 학도병 으로 낙동강 전투 에 참여 하시고 다음해 에 이등중사? 로 현역 이 되셔서 전쟁 끝날때 까지 공산군과 전투 를 하셨다 합니다.하도 장교가 많이 죽어 19살 에 벼락 소위 가 되셨고 55년도 에 중위 로 제대 하셨지요.

  • @b.w1503

    @b.w1503

    10 ай бұрын

    울 할배는 인민무공훈장 받았는디~

  • @Metalhead560

    @Metalhead560

    10 ай бұрын

    ​@@b.w1503?????????????????????????????????????????????????????????????????????????????????????????????????????????????????

  • @Patrick_Ju
    @Patrick_Ju11 ай бұрын

    진짜 북한의 대공세로부터 나라를 지켜주신 한미연합 혈맹 영웅분들께 감사할 뿐입니다. 그분들이 아니 계셨으면 지금의 우리는 없다고 봐도 됩니다.

  • @user-uj1xg8fo6z

    @user-uj1xg8fo6z

    Ай бұрын

    그렇게 지켜온 나라인데 현재 대한민국은 ㅠ

  • @user-ou9oz4wk7y
    @user-ou9oz4wk7y11 ай бұрын

    6.25인 오늘, 절대 북괴가 한 짓을 잊지 않겠습니다. 산화하시고 지켜주신 장병, 지금도 지키고 있는 모든 장병에게 감사드립니다.

  • @jsy5485
    @jsy548511 ай бұрын

    친조부께서 6.25참전용사이시고 지금은 부산의 작은 요양병원에 계십니다 하반신 마비로 3년전부터 요양병원에 계시며 이제 돌아가시기까지 벗어나실 수 없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목숨걸고 기꺼이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할아버지와 참전용사분들 덕분에 우리나라가 이렇게 살아남았고 제가 이 자리에 있을 수 있다고 믿습니다 모든 대한민국을 위해 희생하신 참전용사님께 감사드립니다 필승!

  • @user-gg123

    @user-gg123

    11 ай бұрын

    존경합니다

  • @Dkdjeksnd

    @Dkdjeksnd

    11 ай бұрын

    조부님의 헌신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 @AppleJimed

    @AppleJimed

    11 ай бұрын

    참전용사분들 비판하는 놈들의 수법이 갈수록 진화해서 지금은 "누구누구는 민간인 학살 의혹이 있으니 추모하면 안되고" "누구누구는 전과가 미흡하니 추모할 가치도 없다" 같은 식으로 갈라치기 하는놈들이 많더군요 이런놈들은 언제나 항상 경계해야합니다

  • @caitlyn2501

    @caitlyn2501

    11 ай бұрын

    ​@@AppleJimed그거 대깨문들 전문임ㅋ

  • @mc_shinyuna

    @mc_shinyuna

    11 ай бұрын

    ​@@AppleJimed오로라의 공상?

  • @user-kh4jd2qo7u
    @user-kh4jd2qo7u11 ай бұрын

    저희 할아버지 국군1사단으로 가장 먼저 평양을 밟으시고 백마고지에서 복숭아뼈 아래 총탄에 피격당하시어 평생 총탄을 제거 하지 못하시고 별세하셨습니다. 마지막 가시는 길을 지켜드리진 못했지만 돌아가시기 전날 할아버지가 의식이 없으시던 와중 깨어나셔서 저에게 날려주셨던 엄지의 힘으로 현생을 살아나가고 있는 중입니다. 존경하고 사랑합니다. 할부지~❤

  • @user-io5tb8sy4o

    @user-io5tb8sy4o

    11 ай бұрын

    직업군인이가????

  • @user-ek8yf2py9l

    @user-ek8yf2py9l

    11 ай бұрын

    @@user-kt3zk9ly6p 없다 조선족놈아

  • @user-ek8yf2py9l

    @user-ek8yf2py9l

    11 ай бұрын

    @@user-kt3zk9ly6p 파로호에서 종공놈들 더 죽였어야 했는데

  • @bojakyemji

    @bojakyemji

    11 ай бұрын

    ​@@user-kt3zk9ly6p조선족?

  • @kimsooin

    @kimsooin

    11 ай бұрын

    @@user-kt3zk9ly6p별 ㅅㅂ

  • @Super-richB
    @Super-richB11 ай бұрын

    학교 국사책에 한 줄로 표현되는 낙동강 방어전을 위해 산강바다에서 싸워준 모든 이들에게 감사드립니다

  • @user-py3ql1qq8i
    @user-py3ql1qq8i11 ай бұрын

    전쟁초기 미군의 피해도 만만치 않았었네요 이걸 보고 있자니 최근 뉴스에서 6.25참전유공자분이 반찬값이 없어서 절도한 사건이 뉴스에 나왔는데 씁쓸하네요

  • @Demacia365

    @Demacia365

    11 ай бұрын

    근데 그건 미국도 마찬가지였음 일단 승전보도 아닌 휴전하고 온게 이유중 하나였고 이를 기점으로 반전 여론이 커졌음 참전군인들 중 국가로부터 제대로 보상도 못받은 군인도 많이 있고 사람들에겐 북한도 못 이기고 돌아왔다고 욕먹고 사람 죽이는 악마 취급도 받았음

  • @user-rm1uo5wk2w

    @user-rm1uo5wk2w

    11 ай бұрын

    @@Demacia365 님 의견이 조금 이상한게 한국전쟁은 UN이 공식적으로 처음 참전한 정당한 전쟁이었고, 북한의 전쟁 개시 자체가 국제법 위반이었죠. 중국이 오히려 불법 참전해서 인적물적 피해도 컸고, 외교적으로 고립되었었죠. 반대로 베트남전은 UN군이 참전이 아닌데다가 미국이 반대 여론에도 참전 강행한 데다가 전쟁이 보도 되서 반전 여론이 컸던거 아닌가요? 한국전쟁은 미국 입장에서도 참전 명분이 충분한 전쟁이었습니다. 다만, 2차대전이 끝난지 얼마 안된 상황에서 반전여론이 있었을 뿐이었고요.

  • @user-yd5cn8cu4s

    @user-yd5cn8cu4s

    11 ай бұрын

    20년 군 복무 후 3개월 전 상사로 퇴역했습니다. 목숨걸고 전투에 참여한 분들 대우가... 반찬값이 없고 너무 배고프고 힘들어 훔치는데... 과연, 전쟁이 나면 의무복무로 끌려온 병사들이 싸울까요? 저런 대우 받고.. 지금도 심각한 대우 받는 간부들이 싸울까요? 전쟁 나면 동시에 여러분을 지켜줄 군인은 없다 봐도 됩니다. 20년간 사람들 가기 싫어하는 곳에서 싫어하는 일 하면서 받은 보상... 연금108만원... 20년 했는데 퇴직금은 3천입니다. 10년 근무하면 5천쫌 안되죠. 128만원 수령에 종합소득세15%, 지방세 1.5%떼면 108만원... 원래 퇴직금=연금이었다가 13년 2MB때 바껴서 돈으로 받고 연금수령액 1/3쯤 삭감됐습니다. 군인연금적자는 그전에 퇴역한 사람과 장교출신 퇴역군인 때문에 생기는 거에요.

  • @Preston-Garvey

    @Preston-Garvey

    11 ай бұрын

    ​@@Demacia365그건 베트남 전쟁에서 가장 심하지 않았나 참전용사들 말 들어보면 한국이 어딘지도 모르는데 돌아와도 관심도 없었다 하던데

  • @user-ju6yt7jc2y

    @user-ju6yt7jc2y

    11 ай бұрын

    ​@@Demacia365그분들이있어 니가 이런글올릴수있는거다

  • @TileJun
    @TileJun11 ай бұрын

    결론은 미국 아니었으면 진작에 끝날 전쟁이었네. 참전 미국용사분들에게 무한한 감사와 존경을 표합니다.

  • @user-jj8rs1du8i

    @user-jj8rs1du8i

    11 ай бұрын

    미군과유엔군의참전으로겨우나라를지킬수있었읍니다한반도가 적화되면 일본적화는불보듯뻔한일 다음은 태평양이 미국의안보와바로직결되기에미국이한국전에참전한걸로알고 있읍니다 유럽쪽은연합국들은당시 크로키상태 독일이 적화되면 유럽전체가 적화될게 뻔하기에 2차대전후 미국은서독과서유럽에막대한원조를한것으로알고있읍니다 한마디로 전후에 미국이 세계의적화를혼자다막은셈입니다

  • @user-wy1me4ft6z

    @user-wy1me4ft6z

    11 ай бұрын

    미국이 가장 힘이되어주었지만 터키 영국 호주군 등등도 몇만명 전사자나왔음..

  • @intellj3

    @intellj3

    11 ай бұрын

    미군철수를 외치는 시민단체들

  • @ikmyungkim6618

    @ikmyungkim6618

    11 ай бұрын

    미군 없엇으면진짜 인천상륙작전이건뭐건 아예 시도조차못하고 발렷음 유엔군오기전에 섭종

  • @shinbiapt.8627

    @shinbiapt.8627

    11 ай бұрын

    애초에 전력차가 너무나 많이 나서 미군 없으면 이미 적화통일됐음. 지금쯤 우리는 김정은 찬양하고 있을테고

  • @dolezhangdole8114
    @dolezhangdole811411 ай бұрын

    채병덕은 당시 많은 군부인물들이 북한의 간첩이 분명하다고 확신했을만큼 극도로 무능함을 넘어서 이해할수 없는 행적으로 국군 전력의 대부분 (3/4이상)을 무력하고 신속하게 소진시킨 인물로 딱히 동정할 필요도 나름 국가에 헌신하고 희생했다고 평가할 필요도 별로 없는 인물이기는 합니다

  • @bluethe8793

    @bluethe8793

    5 ай бұрын

    그래도 채병덕장군은 행정 병과쪽 능력은 상당했다고 들었음. 그저 전투경험이 없는사람이라 위치에 안맞는 사람이었을뿐. 그리고 자신의 실패를 만회할려고 열심히 노력했던걸로보임 능력이 안됐을뿐.. 개인적으론 채병덕장군보단 신성모장군이 더 국군에 마이너스아니었나싶음.. 일요일이면 연락도안되고 전쟁발발 후 아침이 되서야 그 사실을 알았고.. 사실상 채병덕을 얼굴마담시킨 사람임. 그냥 전형적으로 정치로 장군된사람.

  • @hawk8873

    @hawk8873

    2 ай бұрын

    채병덕만의 잘못은 아닙니다. 당시 육본의 전투 지휘는 채병덕 독단으로 이루어진것이 아닙니다. 축차 투입 역시 시간을 벌기 위해 어쩔 수 없었던 고육지책이였지요. 그는 약체 한국군을 조직화 하고 훈련과 투입을 반복하는 것에 있어서 만큼은 가장 큰 책임을 지고 있었고 적어도 그 점에서는 그의 공로는 확실합니다.

  • @user-db5dx8xl4r
    @user-db5dx8xl4r11 ай бұрын

    2018년에 소천하신 큰아버님께서도 6.25참전용사셨죠~ 중장에서 예편하셨는데 전쟁 당시엔 대위-소령이셨습니다. 전쟁 당시 6사단으로서 춘천-홍천 전투와 동락리 전투 등지에서 인민군과 교전하셨었구요 호국참전용사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user-gg123

    @user-gg123

    11 ай бұрын

    존경합니다

  • @user-rr6oz9qi1m

    @user-rr6oz9qi1m

    9 ай бұрын

    조국을 구한 푸른별 장교셨군요. 저는 6사단 출신은 아니지만 역사 공부하면서 전쟁초반 6사단의 혈투가 없었다면 우리나라는 정말 위험했을 것이라라는거슬 배웠습니다. 큰아버님에대해서 충분히 자랑스러워하셔도 됩니다. 고맙습니다 저희를 위해 싸워주셔서

  • @cjcity5352

    @cjcity5352

    6 ай бұрын

    최고의 활약을 펼친 청성부대!

  • @DGK-ko5nb
    @DGK-ko5nb10 ай бұрын

    미군이 진짜 고생이 많았겟습니다 남의 나라였는데도 피를 흘려가며 지켜줬네요 잊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낙동강 대구전선 이야기만 들었지 서부전선 이야기는 처음 들었는데 엄청 치열했네요

  • @bestREALestateJANGSANstation
    @bestREALestateJANGSANstation11 ай бұрын

    우리할매가 6.25때 남지철교 인근에 살았다. 어릴쩍에 할매가 미군이 너무 마이 죽었다고 말해주며 슬퍼했다. 미군이 전부 할매 눈에는 애들이었다했다. 갓20살도 안된 미군들이 천리타향 강가에서 그리 많이 죽었단다. 북한군이 와서 아주마이 배고프오.배고프오 했단다. 그애들도 애들이었단다.

  • @user-uc5pv6uj3c

    @user-uc5pv6uj3c

    10 күн бұрын

    할매 돌아가셔 슬프겠다

  • @user-ii3xb7du6b
    @user-ii3xb7du6b11 ай бұрын

    낙동강 방어선에 주전력이 투입되어 혈전을 치루는동안 포항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많은 학도 의용군들이 목숨을 걸고 북한군과 싸웠었죠...

  • @garangbii
    @garangbii11 ай бұрын

    이제보니까 미군이랑 유엔군 없었으면 낙동강 방어선 형성도 못하고 그대로 밀렸겠네요... 미군의 역할이 이정도로 큰지 몰랐습니다!

  •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7 ай бұрын

    에당초 남침에 대비도 못했고.. 전력 차이도 심각해서 대충 시간만 끌면서 낙동강 방어선 구축할때까지 시간 번거

  •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7 ай бұрын

    일단 거기서는 버틸수있으니까... 미7함대가 부산에 도착했거든.. 전투기 작전반경에 들어가기 때문에 공중 지원 가능....

  • @user-pd9ct3jh7n
    @user-pd9ct3jh7n11 ай бұрын

    정말 많은 희생.. 덕분에 지금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 @user-rg8ce7kn6w

    @user-rg8ce7kn6w

    11 ай бұрын

    민족끼리 총질하니 잘한짓이냐. 살인자

  • @user-cm1xh4qm7f
    @user-cm1xh4qm7f11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방역 작업에 노력해주신 국군, 유엔군에 경례

  • @Jjeol_King
    @Jjeol_King11 ай бұрын

    애초에 인사 대참사였음 채병덕은 참모총장감이 아니었음 작전,전투가 아닌 병참보급주특기인 장교였는데 그런 사람을 참모총장에 앉혀놨으니 뭐가 제대로 돌아갈리가 없죠 그런 사람을 뽑아놓고는 이제와서 책임지고 죽으라고 내몬꼴임 ㅇㅇ

  • @Akihi3
    @Akihi3Ай бұрын

    11:13 미군들이 이겼을때 뛰는거랑 전차도 같이 뛰는것도 너무 귀엽네요 /\ _ /\

  • @tontonjeong6135
    @tontonjeong613511 ай бұрын

    내일이 625 73주년이네요. 공산군의 침략에 맞서 나라를 지켜주신 호국영령분들 정말 감사합니다.

  • @kindkim2263
    @kindkim226311 ай бұрын

    6.25전쟁에서 목숨을 바쳐 북한국을 막은 미군, 국군, 모든 동맹군분들에게 감사하고 경의를 표합니다.

  • @user-sk2tg3qq4p
    @user-sk2tg3qq4p11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를 위해 싸워주신 모든 분들 정말 감사드립니다

  • @user-jx2cf3hz8i
    @user-jx2cf3hz8i11 ай бұрын

    6~8월 낙동강 방어선 전역 각 도시에서 일어난 치열한 전투에 대해 처음으로 자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하고 국군과 미군 참전용사께 경의를 표합니다.

  • @user-xt9mk9cr4g
    @user-xt9mk9cr4g10 ай бұрын

    미군이 정말 크나큰 역활을해주었네요 후대까지 이 은혜를 결코 잊어서는 안될거같아요 정말 감사드립니다

  • @user-lh9sr6zx4f

    @user-lh9sr6zx4f

    9 ай бұрын

    역할

  • @user-rh4qy8kn8c

    @user-rh4qy8kn8c

    Күн бұрын

    ​@@user-lh9sr6zx4f편안

  • @user-ih3mq6ek3e
    @user-ih3mq6ek3e11 ай бұрын

    무장도 약하고 열세임에도 목숨을 던져 북한군을 막은 국군 미군 다른 모든 군인분들께 감사를

  • @likephoenix659
    @likephoenix65911 ай бұрын

    결국 내려오면서 조금씩 지연전을 펼치며 중요 숙련병이었던 조선족 병사들을 갉아먹고 장비와 보급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게 저런 승리로 이어진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함.

  • @waltertom8921

    @waltertom8921

    11 ай бұрын

    전쟁 극초기에 왠 조선족...?

  • @user-fj2wm6ii6h

    @user-fj2wm6ii6h

    11 ай бұрын

    @@waltertom8921 6.25 전쟁때 북한군에 팔로군 출신으로서 실전 경험을 갖춘 조선인 병사들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들었습니다.

  • @user-bx5vs4lc2p

    @user-bx5vs4lc2p

    11 ай бұрын

    그것도 있지만 이승만이 집권하자마자 빨치산들 조져놔서 전쟁이 오래 끌린 공은 있음. 대신 친일을 확실히 끊지 못하긴 했다는 양면성이 있쥬?

  • @user-iu4qd2sk3g

    @user-iu4qd2sk3g

    11 ай бұрын

    친일은 북한이 더 많았음. 글고 상식적으로 봐도 일본이 40년을 지배했는데 일본에 직간접적으로 다들 협력할수밖에 없었음. 1910년에 태어난 사람은 40살까지 일본제국을 자기 나라로 알았을테니

  • @brcluster7590

    @brcluster7590

    8 ай бұрын

    @@waltertom8921 중국군이 한국 지리를 모르기도하고 한국어도 모르니 조선족 앞잡이들 전방에 새워서 내려옴 ㅇㅇ 조선팔도가 그렇게 호락호락한 지형이 아니라서

  • @yufazioli8368
    @yufazioli836811 ай бұрын

    정말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 @ACSR_OC
    @ACSR_OC4 ай бұрын

    북한 김정은에 대한 압박과 양안갈등에 의한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국제 정서 상황 속에서 아무 것도 없는 대한민국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는 미군에 대해 다시 한번 감사함을 느낍니다. 정치적 이념을 떠나서 교과서에서도 일제시대 말고도 미군에 대한 고마움을 자세히 수록해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 @seokjoo220
    @seokjoo22011 ай бұрын

    올만에 업로드하신거? 무지 반갑네욤👍

  • @user-rl7zx6qh7f
    @user-rl7zx6qh7f11 ай бұрын

    정말 저렇게 까지 벼랑끝 까지 몰렸다가 반격으로 통일 직전까지 갔던게 기적이다. 세계사를 통털어 이런 기사회생이 또 있을까? 중공군...이 ㅅㅂㄴ들의 개입만 없었다먼 북한주민들은 저렇게 굶어죽고 있지 않았을것이다.

  • @user-gd5hy5xb6c
    @user-gd5hy5xb6c17 күн бұрын

    전쟁 첫 해 남쪽 전황을 아주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꾸욱~

  • @user-cn8oh2fp6q
    @user-cn8oh2fp6q11 ай бұрын

    만약에 저때 북한이 이겨서 적화통일이 되거나 수복이 조금만 늦어졌다면 아마 전 태어나지 못했을 겁니다.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당시 인민재판을 앞두고 있었는데 그 재판이 있기 하루인가 이틀전에 국군이 해당지역을 수복했거듬요...참 역사란게 어떤면에선 개개인의 앞날도 결정할수 있다는게...

  • @cksdn04
    @cksdn047 ай бұрын

    이렇게 어려운 상황에서도 오로지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친 참전용사 선배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user-od4bc2xl4y
    @user-od4bc2xl4y11 ай бұрын

    6.25 불법침략국 북한은 한국인 살해사건에 대해 사과해야 합니다.

  • @kdwni03

    @kdwni03

    11 ай бұрын

    같은민족한테 어떻게.......😢😢😢

  • @thatuselessdudes

    @thatuselessdudes

    7 ай бұрын

    ​@@kdwni03개찐따임?

  • @hanjunan

    @hanjunan

    4 ай бұрын

    ​​@@kdwni03 어째 나라가 둘로 나뉘어 전쟁하는것이 민간인 학살 사례가 더 많네요

  • @user-vx2ky2ky4t
    @user-vx2ky2ky4t11 ай бұрын

    함포와 공군 지원이 한몫 단단히 했네요. 워커장군❤

  • @twiwi2
    @twiwi210 ай бұрын

    내용 정리, 전개, 영상 퀄 너무 고퀄인데 왜 떡상안하는지

  • @nanoman1657
    @nanoman16579 ай бұрын

    그래픽 참 이쁘게 잘그리시네👍

  • @user-tx5xd8mt4d
    @user-tx5xd8mt4d11 ай бұрын

    낙동강 방어중 혁혁한 공을 새워 명예훈장을 수훈하신 어니스트 R. 코우마 상사 이야기도 한번 다뤄보심이 어떨지요?

  • @iililli6886
    @iililli688611 ай бұрын

    채병덕이 한 일에 비해서 저 죽음조차 과분하게 명예로웠음

  • @user-tp3eh8vf9w
    @user-tp3eh8vf9w11 ай бұрын

    UN군 및 국군영웅님들의 희생으로 이런 자유를 누림에 항상 감사합니다.이 은혜 잊지않겠습니다.

  • @user-ts2fb6qo6l
    @user-ts2fb6qo6l11 ай бұрын

    워싱턴에서 보았던 미군 용사들이 떠오르네요. 타지에서 목숨을 걸고 싸우신 분들..

  • @user-vn7bk3nv1z
    @user-vn7bk3nv1z11 ай бұрын

    정말 우리나라가 자랑스럽습니다 좋은 정보 얻어가요~~

  • @2345pok
    @2345pok11 ай бұрын

    내일 6/25입니다 유엔군 미군 순국영령들 국군장병들의 넋을 위로합니다

  • @user-em6tp2bf2l
    @user-em6tp2bf2l11 ай бұрын

    채병덕은 김명원하고 비슷하지 원균은 신성모야

  • @user-soosookkang
    @user-soosookkang11 ай бұрын

    치열했을 거라고 짐작은 했었는데 정말 아찔하네요.

  • @user-op6wp9ls7t
    @user-op6wp9ls7t7 ай бұрын

    다음편 언제 올라오나요..

  • @big_2440
    @big_244011 ай бұрын

    빨리 다음편,,

  • @user-ri4hf8nw9z
    @user-ri4hf8nw9z11 ай бұрын

    국제적으론 동아시아 공산화을 막기위해 다들참전햇지만 참전한 모든군인들은 대한민국의 자유을위하여 목숨을걸고 그자유을 지킬려고 싸우며 낯선땅의 이름모를 나라 대한민국을 자유을위해 수많은 목숨을 받쳐가며 지켜준 자유을위해 싸워준 모든군인들 덕에 지금의 대한민국이있습니다. 이사실은 국제정치적으로 움직엿다고는 하지만 자유을주기위해 기꺼이 자신의목숨을걸고 싸워주신 그마음은 항상 감사하며 숭고하게생각하면서 잊지않도록 항상 기록하고 기억하며 베풀어야겟죠. 그게 우리나라 자유을위해 목숨걸며 싸우고 지킨 책임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유에는 항상 책임이 따른다 라고 합니다. 그책임은 우릴위해 지켜주며 싸워준 모든 국제 군인들을 잊지않고 기억하고 감사하면서 사는게 책임지는일이 아닌가생각합니다.

  • @luxstrepitus1598
    @luxstrepitus159811 ай бұрын

    Our nation honors her sons and daughtes who answered the call to defend a country they never knew and a people they never met.

  • @user-iu7dx4hh6v
    @user-iu7dx4hh6v11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퍄퍄킴님 저 잠시 혼자 생각하다가 정말 정말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전쟁시기 온가족이 죽게 되면 또는 다른나라 또는 행방불명등의 이유로 그 집문서와 땅문서는 어덯게 되었나요? 6.25전쟁시기 말이죠 제가 할아버지 할머니에게 듣기론 그당시는 워낙많이 죽어서 그냥 깃발꽂으면 다 자기 땅이다 라는 식으로만 설명해줬는데 자세히 알고 싶고 또 그당시는 50년대니까 그렇게 되었다고 해도 현대에선 전산화가 다 이루어져 있어서 과거보단 훨씬 문제가 많이 발생할거 같습니다.

  • @Enfant1346
    @Enfant134611 ай бұрын

    이거 보는 낙으로 삽니다.

  • @user-jf9kw9th8w
    @user-jf9kw9th8w11 ай бұрын

    다음.. 다음 영상이 필요하다...!!!

  • @NangNangEE
    @NangNangEE11 ай бұрын

    오늘 6.25에 경건한 마음으로 이 영상을 봅니다.

  • @user-uy1bz6jc8q
    @user-uy1bz6jc8q11 ай бұрын

    백천간두에서있던대한민국 피로써지켜낸유엔군,미군, 국군장병분들께 머리숙여 감사드리며 뼈에새겨두겠읍니다

  • @user-xo6wq8wr3x
    @user-xo6wq8wr3x8 ай бұрын

    잘봤어요 너무 좋습니다 낙동강 서부를 미군과 한국군이 방어를 해내어서 그 뒤에 있는 인천상륙작전이 시행될 수 있었네요

  • @the_end_of_the_GungYeah
    @the_end_of_the_GungYeah11 ай бұрын

    고양이로 묘사해서 그렇지 피비린내 넘치는 전투가 있었네요 ㄷㄷㄷ

  • @user-vf4pr7lo3x
    @user-vf4pr7lo3x10 ай бұрын

    참전용사분들 감사합니다

  • @woojm620
    @woojm62011 ай бұрын

    뜯어보면 결국 미군이 겁나 빡세게 열일해줬네.. 그게 아니었으면 우리도 김정은한테.. 와 생각만해도 끔찍하다 ㅠㅠ

  • @cucucu
    @cucucu8 ай бұрын

    다음편 있나요? 3부작인것 같은데 안보이네...

  • @user-mm5cs7li7c
    @user-mm5cs7li7c11 ай бұрын

    이모든게 김일성의 야욕땜에 벌어진 비극....지옥에서 행복하게 살고 있나? 김일성?

  •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

    11 ай бұрын

    박헌영의 야욕도 추가

  • @user-cn8zc2eu6p

    @user-cn8zc2eu6p

    26 күн бұрын

    ​@@user-kt8yp5ho2y 박헌영.김원봉 김일성에게 숙청당해서 개좋음

  • @hsbluejean
    @hsbluejean11 ай бұрын

    워커장군님 존경합니다

  • @user-lv8en3jj5x
    @user-lv8en3jj5x9 ай бұрын

    우리 할아버지 참전용사였다는걸 돌아가시고 훈장 수여되어서 알았음 자랑스러움

  • @hide1624
    @hide162411 ай бұрын

    당장 내일이 6.25 네요. 늘 감사하며 살고 있습니다.

  • @shk5786
    @shk57867 ай бұрын

    다음편 주시오...

  • @brickbrickbrick3206
    @brickbrickbrick320611 ай бұрын

    이래서 주한미군 철수에 목숨을 거는 거였구나.

  • @knowledgemeerkat
    @knowledgemeerkat11 ай бұрын

    멸공!

  • @user-sv9kg1zf4s
    @user-sv9kg1zf4s7 ай бұрын

    퍄퍄님 캐릭터 고양이 맞죠?? 언제봐도 귀엽네요ㅋㅋ

  • @deohoonkang6068
    @deohoonkang606811 ай бұрын

    전쟁에서 가장 치트키인 공군소한 마법. 그리고 미군은 사기캐인 만렙 마법사였다..

  • @Demacia365

    @Demacia365

    11 ай бұрын

    전시 초엔 미국이 북한이면 독일보단 쉽겠지 라고 생각해서 초반에 공군도 투입 안시킨게 최대의 오판이었죠

  •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7 ай бұрын

    공군 자체가 없는대 뭔 개소리냐??? 낙동강 전선을 구축한 이유도 항모에서 전투기 작전방경 고려해서 한거라고 임마..

  •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7 ай бұрын

    남침하자 마자 불야 불야 미7함대 모항인 오키나와로 복귀 시키고 보급하고 부산으로 왔을때는대 이미 버티는게 불가능하고 남하 지연하던 상황이였고

  •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7 ай бұрын

    낙동강은 부산에서 발진하는 전투기 작전 반경에 들어기가 떄문에 여기서 방어선을 구축하면 항공지원가능...

  • @user-sp5so5uc1f
    @user-sp5so5uc1f10 ай бұрын

    채병덕은 진짜 명암이 뚜렷한 인물이죠 ;; 병과쪽에서는 유능한 면모를 보여줬고 실제로 채병덕이 밀어붙인 부산 진해의 병기창들이 전쟁내내 탄약과 포탄을 생산했고 특히 경찰+ 향토방위대 에서도 일본군이 사용했던 99식 소총 탄약도 생산해서 빨치산이랑 교전이 가능하게 만들었죠, 다만 야전능력은 씹 그자체 라서 참

  •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

    9 ай бұрын

    채병덕이 보급 관련 업무를 맡았다면 아마 국민방위군 사태도 없었죠.

  • @rwj4625

    @rwj4625

    6 ай бұрын

    의외로 군수관련 능력은 출중했나보네요? 육참총장을 100프로 운으로 단건 아니었나보네..

  • @user-fd5yc2fz5s

    @user-fd5yc2fz5s

    6 ай бұрын

    그냥 군수만 맡았어야 할 인물..

  • @0lsc2866

    @0lsc2866

    5 ай бұрын

    ​​​​​@@rwj4625일본군관에서 병과가 보급 몸무게가 100킬로 넘음 보급을 하던 사람이 참모총장을 했고 국방부장관은 영국에서 항해사하던 사람이 했으니 전투에 문외한 사람들이 고위직에 있엇음 국방부장관 신성모의 그 당시 행태를 보면 간첩인가 할정도의 행동들이 많음 아님 국방부 장관으로써 책임감이 없었던가

  • @user-jl5ur2ni2v

    @user-jl5ur2ni2v

    8 күн бұрын

    군수만 했어야할 인물, 그당시 인물이 너무 없어서 저런 인물이 위까지 올라가는 현실. 그냥 안타까움

  • @user-ml1rt1ue2d
    @user-ml1rt1ue2d4 ай бұрын

    중간에 지도에 저희 동네가 나오네요 지나다니다 봐온 박진교 전적비... 무슨전투인지 알게해주셔서 감사해요

  • @user-dg3qr6zu6m
    @user-dg3qr6zu6m11 ай бұрын

    대한해협해전과 통영상륙작전이야기도 해주시면 고마울거같습니다

  • @user-hm9fu5mt7e
    @user-hm9fu5mt7e11 ай бұрын

    기다리고 있었어요! 퍄퍄님❤

  • @Kevin-ps9yf
    @Kevin-ps9yf11 ай бұрын

    마침 내일이 6.25전쟁이 발발한지 73년이라 더 의미 있는 영상이네요.

  • @user-rm1uo5wk2w
    @user-rm1uo5wk2w11 ай бұрын

    2차대전을 일으킨 나라도 아닌데 나라가 둘로 쪼개져서 총력전을 하다 못해 지금도 막혀 있다는게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 @user-hy1xm6zu3n

    @user-hy1xm6zu3n

    11 ай бұрын

    2차 세계 대전때 소련이 만주로 내려오고 한반도에도 진출하는 바람에..

  • @jujoo202

    @jujoo202

    11 ай бұрын

    ​@@user-hy1xm6zu3n미국이 소련에 요청하지 않았으면...

  • @user-lr8ts1st3w

    @user-lr8ts1st3w

    8 ай бұрын

    끝까지 항복을 안하려고 버틴 일본때문에라도 압박이 필요하기도 했고 미국이 한반도에 신경쓰기 어려운 틈을 타 소련은 남하 할 생각으로 뒤 늦게 일본군 소탕명분하에 참전하였으므로 소련과 협의점을 찾은게 38도선이였죠 힘없는 나라의 비극..

  • @user-iz5vz3cy3b
    @user-iz5vz3cy3b11 ай бұрын

    무능한 아군 지휘관이 가장 무서운 적

  • @anonymous-yx6kf

    @anonymous-yx6kf

    11 ай бұрын

    지휘관 : 니가 성평등 교육받고 온 남자들 데리고 싸워 봐 ㅅㅂ

  • @ypagm
    @ypagm11 ай бұрын

    다음에 카투사와 대한해협 해전 이야기도 부탁드려요. 낙동강 방어선 국군의 전투 이야기도 기대가 됩니다.

  • @kimdan-dan7930
    @kimdan-dan793011 ай бұрын

    『 윌턴워커 중장의 아들 샘워커는 한국전쟁 당시 대위(중대장)으로 참전. 낙동강전투 38방어전에 참여. 그후 1978년 육군대장으로 퇴역. 2015년 90세로 세상을 떠남. 윌턴워커 중장은 크리스마스에 얼마앞둔 겨울, 아들에게 훈장을 달아주기 위해 아들이 소속한 부대로 가던도중 교통사고로 사망 하였다고 합니다. (아버지 윌튼 워커 중장이 대장으로 사후 추서되었기 때문에 미국 육군 역사상 최초로 아버지와 아들이 나란히 대장을 단 군인으로 남게 되었다. ) 』

  • @user-byuljeonnam
    @user-byuljeonnam11 ай бұрын

    채병덕에게 그러한 명령을 내릴 자격이 신성모에게 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 @user-ty5oy9yu1h

    @user-ty5oy9yu1h

    11 ай бұрын

    이런 사람땜에 육방부 소리 듣지

  • @cannonhitter37

    @cannonhitter37

    11 ай бұрын

    신성모부터가 자격이 안되는 인간이니 할 말 없죠

  • @user-qf8fg5ht3y

    @user-qf8fg5ht3y

    11 ай бұрын

    그런 무능한 사람들을 국방부장관 육참총장에 임명한 이승만이 가장 문제입니다

  • @user-oo9lw3wl1s

    @user-oo9lw3wl1s

    10 ай бұрын

    ​@@user-qf8fg5ht3y이승만 대통령이 없었다면 미군개입은 없었을겁니다. 링컨도 남북전쟁때 굼벵이 맥으로 고생한걸 모르시나요? 전투지휘관은 다른겁니다..편중된사고는 뇌를 좀먹게합니다

  • @user-xb2yi4rq8i

    @user-xb2yi4rq8i

    7 ай бұрын

    ​​@@user-qf8fg5ht3y채병덕은 일본군인출신 중 비전투병과였기 때문에 독립군 출신들의 지지로 임명된 자 입니다. 독립군 출신들의 감정 때문에 실력있는 일본군인 출신들이 임명되지 못한 것입니다

  • @Warthog0927
    @Warthog092710 ай бұрын

    Stand or Die!

  • @user-rn1nn3yp5o
    @user-rn1nn3yp5o11 ай бұрын

    이렇게 보니, 진짜 낙동강 방어선. 워커 라인이 뚫렸다면 바로 부산까지 다이렉트네요. 김일성이 상륙 첩보를 받고도 무시로 일관한 건 어찌보면 그 전에 부산 점령이 가능했으리라 생각한 도박이었을지도.... 워커 장군이 교통사고로 돌아가시지만 않았어도, 그 이후의 북진이나 1.4후퇴에 있어 양상은 많이 달라졌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듭니다.

  • @user-fw3xv2hj1b
    @user-fw3xv2hj1b10 ай бұрын

    국군6사단이 대단한건 전쟁이전 휴전선일대에 무력충돌이 잦았을때부터 북한군동향이 심상치않다고판단 춘천에서 전쟁에대비 진지를 구축 전쟁물자를 비축 훈련을 하여 전쟁에대비 전쟁전날 군비상계엄령해제에 국군대부분이 제대로된방어도 못하고 3일만에 서울을 뺐겼지만 철저한 훈련과 전쟁에대비한 6사단은 북한2군단을 4배차이나는 불리한 전투력을 기적적으로 극복하고 4일간 방어에 성공해 북한군계획에 큰차질을 줬다는게 대단합니다 개전초기부터 맹활약한 국군6사단 구국의 사단 청성부대 영원하라

  • @gsdfsdfefsfe509
    @gsdfsdfefsfe5099 ай бұрын

    다음화는 없나요??

  • @lemmy8284
    @lemmy828411 ай бұрын

    학교에서도 가르쳐주지 않은 625전쟁사를 유튜브로 배웁니다.

  • @user-ld4lh1my3u
    @user-ld4lh1my3u8 ай бұрын

    마산에서 함안가는 고개에는 승전을 기념하는 기념비가 있죠

  • @user-gp7cv9mx1i
    @user-gp7cv9mx1i11 ай бұрын

    6.25 발발당시 사진에 많이나온 뚱뚱한 채병덕 참모총장은 어떻게 됐나 한편 궁금했었는데 장군으론 이례적으로 전사했네요. 그것도 얼마전까진 참모총장 이었던 사람인데. 뭘 굉장히 밉보인듯

  • @Sam_LEE-Kr
    @Sam_LEE-Kr11 ай бұрын

    한국계 미군대령이신 고 김영옥 대령님도 한번 해주셨으면 합니다 ㅠ

  • @intellj3
    @intellj311 ай бұрын

    전쟁난지 70년 조금 넘었네 발전 속도가 미쳤긴하다

  • @user-dj5gb6sq3u
    @user-dj5gb6sq3u11 ай бұрын

    낙동강 서부전선에서 저렇게 선전을 해 주었기 때문에 지금의 대한민국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대한민국을 부정하는 무리들이 대놓고 설치고 있는 안타깝다....

  • @user-vq7rv1tt6z
    @user-vq7rv1tt6z8 ай бұрын

    당시 군이 개차반이었던게 야전경험은 개뿔도없던 병기계 뚱보소좌가 군의 총사령관 하고있고 유일하게 사단을 지휘해본 경험이 있는 중국군 중장출신은 한직에 있었다는거. 덕분에 초반3일간 지옥을맛봄

  • @user-rr6oz9qi1m
    @user-rr6oz9qi1m11 ай бұрын

    영천전투기대합니다.

  • @extrazero8
    @extrazero811 ай бұрын

    와 고증 반자동총 쓰는 한국군과 미군은 빵야빵야 쏘는데 북한군은 노리쇠 당기는거 보여주네요? ㄷㄷ

  • @LF-mz5if
    @LF-mz5if7 ай бұрын

    6.25 전쟁은 알면 알수록 배울 게 많다

  • @roxfigaro9531
    @roxfigaro953111 ай бұрын

    애니메이션이 점점 다양해 지는데

  • @matecocido0807
    @matecocido080711 ай бұрын

    저만 방금 알았는지 모르겠는데 북한군 주력무기는 모신나강을 포함한 볼트엑션 소총이 대부분이라 한발씩 쏘고 장전하는데 국군 및 미군의 주력무기는 M1 그란드나 카빈이여서 반자동으로 쏘는 모습이네요. 이런 디테일까지 챙기면서 영상 만드느라 고생 많으십니다.

  • @hyeongtaekim4323

    @hyeongtaekim4323

    9 ай бұрын

    우리 아이들은 인민군의 모신나강을 따꿍총이라 했어요. 한 발씩 따꿍! 무서운 건 따발총. ㅌ탄창이 따바리같다고 따발총.

  • @QSdhkYr5QqVy7in
    @QSdhkYr5QqVy7in11 ай бұрын

    부상병 모아서 재편한 대대로 사단을 막으라는건 아무리봐도...

  • @rescuelee9558
    @rescuelee955811 ай бұрын

    영화 보다 더 박잔감 넘치는 전사~~~~!!! 전쟁으로 희생되신 모든 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 @jjuhyung
    @jjuhyung11 ай бұрын

    의미없는 축차 투입 축차 희생만 아니었다면… 김홍일 장군이 말려도 똥고집 부렸다던데

  • @GUEKim
    @GUEKim7 ай бұрын

    그들이 미군철수를 부르짖는 이유

  • @duritom
    @duritom11 ай бұрын

    낙동강방어선은 자유민주주의 최후의 보루였고 대한민국을 유지 번영 가능하게한 희망이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