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생대 연대기 - 캄브리아기 대폭발부터 페름기 대멸종까지!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과학드림은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성장합니다.
멤버십 가입!▶ bitly.kr/ZDqKr1WUG
과학드림의 식구가 되어 주세요! :)
다른 후원 방법!▶toon.at/donate/sciencegive
=============================================
지구 역사 46억 년을 수 놓은 지질시대 중
가장 매력적인 시기를 꼽으라면
많은 이들이,
공룡이 지구를 누비던 중생대를 꼽을 겁니다.
그런데 어쩌면,
지구 역사에 가장 스펙터클했던 시절은
바로 고생대일지도 모릅니다.
#고생대 #캄브리아기 #페름기
=============================================
[참고 자료]
- 『생명이란 무엇인가?』, 뉴턴 하이라이트
- Gregory J. Retallack et al., (1987). "Trace Fossil Evidence for Late Ordovician Animals on Land."
- John R. Paterson et al., (2011). "Acute vision in the giant Cambrian predator
Anomalocaris and the origin of compound eyes."
[사진 및 영상]
- 셔터스톡 외
[음악]
(1)American travel - envato
(2)Country hiphop - envato
(3)For Rock Country - envato
(4)Music: [Celebration] by Alexander Nakarada (www.serpentsoundstudios.com)
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BY Attribution 4.0 License
creativecommons.org/licenses/b...
(5)Down in the city of sins by evert-z
(6)Howling at the moon by D fine Us

Пікірлер: 1 300

  • @ScienceDream
    @ScienceDream3 жыл бұрын

    영상이 많이 늦어졌습니다ㅠ 기다려 주셔서 감사해요. 생물종 학명 발음이 어려워서 틀린 게 몇개 있을 것 같습니다 ㅎㅎ 다음 영상은 오랜만에 ㄱㄹ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날씨가 많이 추워졌는데, 감기 조심하세요 :)

  • @saengmulgongweon

    @saengmulgongweon

    3 жыл бұрын

    1빠

  • @klimt8252

    @klimt8252

    3 жыл бұрын

    ㄱㄹ? 고래??

  • @ornata1293

    @ornata1293

    3 жыл бұрын

    공룡?

  • @_seemore2618

    @_seemore2618

    3 жыл бұрын

    오랜만에 공룡!

  • @sori-jong

    @sori-jong

    3 жыл бұрын

    확실히 고생대 생물 이름 어려워요 ㅋㅋㅋㅋ

  • @oho2741
    @oho27413 жыл бұрын

    이런 생물의 대한 이야기가 난 왜이렇게 재밌는걸까 본적도없는데

  • @ikjucha389

    @ikjucha389

    3 жыл бұрын

    본 적이 없기때문 아닐까요

  • @oho2741

    @oho2741

    3 жыл бұрын

    @@ikjucha389 그른가

  • @user-tv2oh2qy5i

    @user-tv2oh2qy5i

    3 жыл бұрын

    재밌는거 하면서 사세요 제일 부러운 인생

  • @drgm_db

    @drgm_db

    3 жыл бұрын

    니가 해본적 없으면서 야동보는것과 같음

  • @user-hv2vb5pm9d

    @user-hv2vb5pm9d

    3 жыл бұрын

    @@drgm_db ㅋㅋㅋㅋ

  • @user-dr1bz2ye3p
    @user-dr1bz2ye3p3 жыл бұрын

    이걸 어떻게 알아냈을까.. 사람들 졸라 똑똑하네

  • @Steveahh

    @Steveahh

    3 жыл бұрын

    인정 진짜 나도 그생각함

  • @alvinpark2157

    @alvinpark2157

    3 жыл бұрын

    99퍼 사실

  • @73comin

    @73comin

    3 жыл бұрын

    제가 다녀와봤어요

  • @seansuh2726

    @seansuh2726

    2 жыл бұрын

    그게 너였구나

  • @user-hjlpqu

    @user-hjlpqu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둘다미쳣네

  • @nuguseyong9980
    @nuguseyong99803 жыл бұрын

    9:10 참고로 페름기 대멸종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단궁류는 리스토사우르스로 만일 얘까지 멸종했다면 인간은 지구상에 없었을 겁니다

  • @Sims00149

    @Sims00149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 @leafsheep287

    @leafsheep287

    3 жыл бұрын

    우와...

  • @ab0034

    @ab0034

    3 жыл бұрын

    희귀꽃이 아까울정도로 쓸모없는줄알았지..

  • @user-qz5pm4rv5y

    @user-qz5pm4rv5y

    3 жыл бұрын

    리스트로사우루스만 산건 아님 다른 소형 단궁류들도 어느정도 살아남음

  • @user-tb3cy7yh8g

    @user-tb3cy7yh8g

    3 жыл бұрын

    얘까지 멸종 했어도 인간은 지구상에 있었을거임

  • @auclerations
    @auclerations3 жыл бұрын

    저런 엄청난 대 멸종에도 불구하고 데본기 때부터 살아남은 실러켄스는 진짜 대단하다....

  • @il4033

    @il4033

    3 жыл бұрын

    실러캔스와 우리 모두가 다섯번의 대멸종을 이겨내고 끝까지 살아남은 동물들의 자손입니다

  • @user-rh5tu2mr1m

    @user-rh5tu2mr1m

    3 жыл бұрын

    저 시베리아 화산폭발이란게 말이 화산이지 시베리아의 3분의2정도 되는 지역이 전부 마그마로덮인거라던데 어찌살았을까

  • @user-zi5in9yu2f

    @user-zi5in9yu2f

    3 жыл бұрын

    단 한 발자국만 벗어났어도 계속 바다에서 살았을 수도 있고, 인간(영장류)은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죠..ㅠ 진짜 우연의 우연의 우연의 우연이 겹쳐서 생긴 신비

  • @user-pc5cn7jn3d

    @user-pc5cn7jn3d

    3 жыл бұрын

    지금 생각해보니까 실러캔스는 조용하게 심해에서 존버만 하다가 용케도 살아남았넹

  • @rackja

    @rackja

    3 жыл бұрын

    @@user-zi5in9yu2f 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ㅔㅐ

  • @user-ip8zm3qg5e
    @user-ip8zm3qg5e3 жыл бұрын

    그 와중에 실러캔스 아직까지 살아있는거 실화냐...

  • @sans-Pan

    @sans-Pan

    3 жыл бұрын

    심해로 내려간게 신의 한수였조

  • @user-zw3cn1yt7s

    @user-zw3cn1yt7s

    3 жыл бұрын

    @아에몬 누가 보면 먹어본줄 ㅋㅋㅋㅋㅋ

  • @user-pn7ly7rj4v

    @user-pn7ly7rj4v

    3 жыл бұрын

    @@user-zw3cn1yt7s 먹은사람이 있다는게 정설의 학계

  • @fkingdirtybaldhead2792

    @fkingdirtybaldhead2792

    3 жыл бұрын

    @@user-pn7ly7rj4v 실제로 먹어본사람있다네요

  • @xniper2724

    @xniper2724

    3 жыл бұрын

    @@user-pn7ly7rj4v 정설의 학계ㅋㅋㅋ 기출변형 개웃기네

  • @MrAlaadin22
    @MrAlaadin223 жыл бұрын

    이런걸 알아낸 사람들 다 대단하다!

  • @feline-logic
    @feline-logic3 жыл бұрын

    듣도 보도 못한 동물이 많이 나왔는데 넘 재밌어서 시간 순삭했어요! 감사합니다 😊

  • @sunae9702
    @sunae97023 жыл бұрын

    모든 진화는 다 신비롭지만 듣고보니 최초로 눈이 생긴 건 진짜 신기하네

  • @saengmulgongweon
    @saengmulgongweon3 жыл бұрын

    2:46 이게 인간을 비롯한 척추동물들의 조상이라니?! 신기하네요.

  • @user-mk3wh9nw4i
    @user-mk3wh9nw4i3 жыл бұрын

    으앙 너무 재밌엉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전 종도 흥미롭지만 산소의 위용에 집중하며 봤네요 ㅎㅎ 완전 잘 보고 갑니다~!! ㅋㅋ

  • @EOWLDOI0620
    @EOWLDOI06203 жыл бұрын

    5:31이거 모동숲 실러캔스 아니냐곸ㅋㅋ

  • @user-iz1sw1em6b
    @user-iz1sw1em6b2 жыл бұрын

    고생대 험난한 시기를 이겨내고 살아남은 생명, 투구게&상어들&앵무조개. 백년뒤에도 우리 후손들이 볼 수 있기를.

  • @user-do1sr1bl8d
    @user-do1sr1bl8d3 жыл бұрын

    아 이런거 너무 재밌어ㅜㅜ 드림형이 알려줬던 대부분의 설명들이 집약되어 있는 편 같아서 너무 좋다.

  • @Tupandactyl
    @Tupandactyl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국내 유튜브에서 오르도비스기 생물다양성 대폭발 언급이 나올 거라고는 생각도 못 했는데, 마이너한 주제임에도 신경을 많이 쓰신 티가 보여 즐겁게 감상했습니다. 다만 보다 최근의 연구로 판도가 바뀌거나 손쉬운 전달을 위해 내용을 단순화시키신 점은 있는 듯 하여, 비전문가의 소소한 사족 남기고자 합니다. 3:33 '카메로케라스'는 1847년 기재된 이후로 오르도비스기의 큰 두족류 껍질을 일컫는 이름으로 무분별하게 사용되어 왔던 '쓰레기통 분류군'으로써, 본 영상에서 언급하신 6m 표본은 최근 연구(Klug et al.2015)에 따르면 엔도케라스 Endoceras의 것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4:10 '동물이 처음으로 육지에 발을 디딘 시기'는 적어도 캄브리아기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캐나다 위스콘신의 절지동물 모시네이아 Mosineia나 믹토메루스 Mictomerus 등은 이미 육지를 걷는 데 문제가 없는 신체를 가지고 있었으며, 같은 지층에서 이들의 것으로 추정되는 육지 출신의 발자국이 여럿 발굴되었습니다.(Collette&Hagadorn.2010) 비록 후대의 친척 화석들을 토대로 보면 완전육생은 아니고 반수생 동물이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육지에 발을 디딘'의 정의에는 여전히 부합합니다. 5:28 현대 상어 계통은 쥐라기에나 등장했습니다. 생긴 것 때문에 죄다 '상어'로 뭉뚱그리는 것이 유구한 전통이기는 하지만, 스테타칸투스를 '상어'로 지칭하는 것은 티라노사우루스를 '새'로 지칭하는 것과 전혀 다르지 않습니다. 5:31 '실러캔스 Coelacanth'는 실러캔스목 Coelacanthiformes 물고기들과 , 본 영상에 들어간 현대의 유일한 실러캔스 속 라티메리아 Latimeria를 함께 지칭하는 혼란스러운 명칭입니다. 라티메리아는 유전자 연구 결과 신생대에야 기원했던 것으로 보이며(Sutardo et al. 2010) 실러캔스목의 경우 데본기 중국의 스틸로익티스 Styloichthys 정도가 발견된 바 있지만...이 정도로 오래 된 실러캔스들은 현대 라티메리아와 너무 다르게 생겼기에 라티메리아가 이들을 대표하기는 어렵습니다. 6:07 화석 기록에서 현재 보고된 가장 오래 된 날개 달린 곤충은 석탄기 초기 독일의 델릿즈칼라 Delitzchala입니다. 곤충의 초기 화석 기록은 매우 빈약하여 정확히 어느 시점에 날개 달린 곤충이 기원했는지는 아직도 불확실하며, 데본기의 제대로 된 곤충 화석도 충분치 않은 실정입니다. 7:10 지나가듯 언급하셨듯, 석탄기는 '곤충의 거대화'라기보다는 '절지동물의 거대화' 측면으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그저 큰 녀석들만 유명할 뿐 이 시기에도 지금과 같은 작은 곤충들은 몹시 많았고, 거대화 자체도 산소뿐만 아니라 활발하게 돌아다니며 곤충을 잡아먹는 포식자의 부재에 많은 빛을 진 현상이 아니었을까 생각됩니다.

  • @ScienceDream

    @ScienceDream

    3 жыл бұрын

    와~~!! 이런 정성 어린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사실 저도 고생물학 전공은 아닌지라, 이렇게 변화된 사실이나 구체적 내용들은 잘몰랐거든요ㅠ 깊이 있는 조언 감사드리고, 다음에 영상 만들 때는 더 성실히 조사하도록 하겠습니다😆

  • @8620sl

    @8620sl

    2 жыл бұрын

    ㄷㄷㄷ 이건 고정감이다

  • @user-yw4wb3gk2g

    @user-yw4wb3gk2g

    7 ай бұрын

    훌륭한 영상에 훌륭한 댓글 정말 좋습니다😊👍🏻 과학은 이래서 좋은 것 같아요. 비판에 비난으로 맞서지 않고, 겸허하고 유연하게 수용하며 날로 발전해나가는 학문이라 매력적인 것 같습니다. 과드님이나 준석님같은 똑똑한 분들 덕택에 저같은 일반인도 과학과 문명의 혜택을 향유할 수 있어 늘 감사드릴 따름입니다~💕

  • @sori-jong
    @sori-jong3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짜 고생대 생물들은 기괴하게 생긴게 많음 볼때마다 신기

  • @il4033

    @il4033

    3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2m가 넘는곤충들 지금 봤으면 개극혐이었을듯

  • @sori-jong

    @sori-jong

    3 жыл бұрын

    @@il4033 크기도 그렇지만 아래턱이 전기톱처럼 되어있는 상어나 무슨 우주침공 외계인처럼 생긴 생물들도 짱많아요

  • @user-zz1lv8ef3z

    @user-zz1lv8ef3z

    3 жыл бұрын

    @@sori-jong 맞아요 ㅋㅋㅋ 볼 때마다 신선합니다 ㅋㅋ 어렸을 때 아노말로카리스 보고 엄청 무서웠었어요

  • @notasuperiordrag

    @notasuperiordrag

    3 жыл бұрын

    몇억년뒤 문명이 또 생기게 된다면 인간보고 기괴하다 생각하겠지....

  • @user-we5fu6xt1i

    @user-we5fu6xt1i

    2 жыл бұрын

    기괴하다는 것도 인간의 기준일 뿐이라서.. 우리도 다른 생물들 기준으로는 ㅈㄴ 기괴한 생물임.

  • @Americandongmu1972
    @Americandongmu19723 жыл бұрын

    제가 백악기 출신이라 고생대서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지 못했는데 이렇게 알게되니 유익하네요. 다음엔 제친구들이 나오는 중생대 연대기 기대하겠습니다^^

  • @notasuperiordrag

    @notasuperiordrag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주민등록번호 앞자리가 뭐죠?

  • @UrimalGyeoktugi

    @UrimalGyeoktugi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panddownQ

    @UpanddownQ

    3 жыл бұрын

    너 중생대도 잘 모르잖아 (티라노사우루스-스테고사우루스 시간간극 > 인간-티라노사우루스 시간간극)

  • @Americandongmu1972

    @Americandongmu1972

    3 жыл бұрын

    @@UpanddownQ 팩트 말넘심ㅠㅠ

  • @hwang4017
    @hwang4017 Жыл бұрын

    오르도비스기 생물다양성 대폭발 언급이 나올 거라고는 생각도 못 했는데, 마이너한 주제임에도 신경을 많이 쓰신 티가 보여 즐겁게 감상했습니다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는 주제를 이야기처럼 풀어서 설명해주시니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 @shiruwa4617
    @shiruwa46173 жыл бұрын

    0:16~1:08 캄브리아기 대폭발 1:09~1:51 산소와 칼슘의 증가 1:52~2:36 눈의 등장(빛 스위치 이론) 2:37~2:47 척삭동물의 등장 2:48~3:00 캄브리아기의 끝 3:01~3:41 오르도비스기 생물다양성 폭발 3:42~4:05 식물의 육상진출 4:06~4:18 절지동물의 육상진출(최초의 육상동물) 4:19~4:47 오르도비스기 말(1차 대멸종) 4:48~5:23 실루리아기 5:24~5:40 데본기, 턱을 가진 어류(판피류) 최상위포식자 5:41~6:00 식물과 균류로 이루어진 숲 형성 6:00~6:08 날개달린 곤충의 등장 6:09~6:31 육기어류 육상 진출 → 최초의 네발 육상 척추동물 6:32~6:48 데본기 대멸종(2차 대멸종) 6:49~7:20 석탄기 진입 / 산소농도 증가 → 곤충의 거대화 7:21~7:42 양막류의 등장(육지에서 번식 가능한 동물들의 등장) 7:43~8:02 석탄기 열대우림 붕괴 8:02~8:47 페름기 진입 / 이궁류, 단궁류 분화 8:48~9:15 페름기 대멸종(3차 대멸종)

  • @tlwl0121_

    @tlwl0121_

    2 жыл бұрын

    기록자

  • @Gimakhwang9_smono

    @Gimakhwang9_smono

    2 жыл бұрын

    ㄱㅅㅎㄴㄷ

  • @kjw580
    @kjw5802 жыл бұрын

    영상 진짜 너무 재밌어요 ㅎㅎ 이런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tb9hp3ql2p
    @user-tb9hp3ql2p3 жыл бұрын

    10분 순삭이다 진짜 딱딱할 수 있는 내용 재미있게 설명하시는거 매번 느낌

  • @user-gb7eh8bq9b
    @user-gb7eh8bq9b3 жыл бұрын

    정리해줘서 감사합니다! 어릴때 이런저런 정보도 찾고 고생대를 좋아해서 아노말로카리스랑 오파비니아 삼엽충을 그리곤했죠..생각보다 아노가 작아서 놀랐네요ㅋㅋ

  • @Coodie_1
    @Coodie_13 жыл бұрын

    진짜 영상하나에 엄청난 정성이 느껴지네요..👍🏻 넘 유익해요 ㅎㅎ 다음영상도 기다리고 있겠습니당 !

  • @user-fi1sq8hy7r
    @user-fi1sq8hy7r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짜 정리 잘 하시고 설명을 재밌게 잘 해주시는거 같아요!

  • @user-yf6wq3bx2l
    @user-yf6wq3bx2l3 жыл бұрын

    와 근데 과학상식 개재밌게 영상도 이해쉽게척척만들어주시는거 능력자시네요 진심 에지는듯 과학시간이 이런 강사가 수업을했다면 난 이과를가는건데 진짜 이미지도적절하고 목소리도 딱 좋고 발음도 그렇고 걍 모든게 완벽해서 저같은 과학지식0인 사람도 시간가는줄모르고보게됨요ㅠ 감사해요

  • @user-kt8uu8wr5o
    @user-kt8uu8wr5o3 жыл бұрын

    본격 거의 모든 생명의 시작시대. 그리고 처참한 끝(페름기 대멸종)이라도 결국은 또 하나의 재시작(중생대에서 지금의 신생대까지)이란 희망찬 교훈을 주는 시대.

  • @watchman895

    @watchman895

    2 жыл бұрын

    공룡의 나이 과연 6500만년일까 아니면 단지 1,2만년 정도일까 방사성탄소 연대측정과 공룡의 나이 kzread.info/dash/bejne/gqJ118utmMyopKw.html

  • @hutnya
    @hutnya3 жыл бұрын

    진짜 너무 좋다 영상

  • @user-vk6fr9wu6n
    @user-vk6fr9wu6n3 жыл бұрын

    정말좋은영상이네요 따봉달고갑니다.

  • @saengmulgongweon
    @saengmulgongweon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leechanghyun
    @leechanghyun3 жыл бұрын

    와와와 하와와 기다렸는데 왔군요 ㅎㅎㅎㅎ 대멸종은 너무 재밌잖아 형 ㅠㅠㅠ 앞으로도 자주 보자 ㅠ

  • @yunhye8661
    @yunhye86613 жыл бұрын

    흥미로운게 너무 많고 속도도 빨라서 좋고 깔끔하고 재미있아요 🥺♥️ 세상 감사합니다

  • @blackk._.1415
    @blackk._.1415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시대가 시작하고 끝나는 걸 보고 있으면 우리도 언젠가 멸종을 맞고 우리의 시대가 끝날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는 그저 본인 할 일에만 집중하면 되겠죠..?

  • @fireball890

    @fireball890

    3 жыл бұрын

    지금 과학기술로 극복할 수 없을 정도로 한 방에 가는 사건이 일어나면 갈 수도 있죠. 얼른 우주로 나가야겠네요. 우주로 나가는데 성공하면 수 천억 년은 족히 번성할 수 있을 듯 합니다.

  • @user-wt2nm9fr2x

    @user-wt2nm9fr2x

    3 жыл бұрын

    번성하거나 말거나 사실 나랑 상관 없는 일이죠.

  • @user-bm5cf1un4q

    @user-bm5cf1un4q

    3 жыл бұрын

    우주로 완전히 정착하면 새로운 지질시대구분이 일어나지않을까해요 ㅋㅋㅋ

  • @user-us6vp3yh3c

    @user-us6vp3yh3c

    3 жыл бұрын

    멸종 주기가 엄청 나게 긴 간격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아 과학기술로 해결할 수 있을거같습니다

  • @notasuperiordrag

    @notasuperiordrag

    3 жыл бұрын

    뭐.. 멸종은 지구 맘이죠... 인간이 멸종해도 뒤를 잇는 생명체들이 있을 듯 하니......

  • @abcdefghi__li
    @abcdefghi__li3 жыл бұрын

    페름기 대멸종 이후에 어떻게 다시 생물이 번성했는지도 궁금해지네요!! 영상 존버

  • @ashfordstainer1924
    @ashfordstainer19243 жыл бұрын

    기말고사 족보만큼이나 정리를 잘해주셨어요 ㅎ 멋집니다 얼마나 고생하셨을지 ㅎㅎ

  • @user-BBAJong
    @user-BBAJong3 жыл бұрын

    매번 잘 보고 있습니다. 다음번엔 실러캔스같은 것도 다뤄주세요~

  • @avis0403
    @avis04033 жыл бұрын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는 주제를 이야기처럼 풀어서 설명해주시니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ㅎㅎ 원래도 관심있던 과학에 더 큰 흥미를 느껴서 구독 누르고 가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winternap993
    @winternap9933 жыл бұрын

    학교에서 배울 때는 그렇게 머리에 안 들어오던 것들이 이 영상을 보니까 머리에 잘 들어오네요.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3 жыл бұрын

    7:30 양막류는 태어나서 처음 들어보네요!

  • @gtrfhyt5ty788kjgt
    @gtrfhyt5ty788kjgt3 жыл бұрын

    영상 진짜 너무 좋아요.

  • @jnjn704
    @jnjn7043 жыл бұрын

    늘 재밌게 잘 보고 있어요 감사해요 :)

  • @user-md6ls8eu5t
    @user-md6ls8eu5t3 жыл бұрын

    역시 과학은 미워할 수가 없네요 신기한 것들이 끝없이 나오는 것 같아요

  • @jongkon2372

    @jongkon2372

    3 жыл бұрын

    근데 학교과학은 미워해야함

  • @user-xd1yi2jn6y

    @user-xd1yi2jn6y

    3 жыл бұрын

    @@jongkon2372 고건맞지

  • @user-gu8ro6bb9k
    @user-gu8ro6bb9k3 жыл бұрын

    실러캔스:운 좋은 놈. 둔클래오스태우스:무서운 놈. 삼엽충:잘 나갔던 놈. 공룡:이 영상과 관련 없는 놈. 바다전갈:별난 놈

  • @gun6143
    @gun61433 жыл бұрын

    항상 재밋게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py7bb5vf3l
    @user-py7bb5vf3l2 жыл бұрын

    고생대에 대하여 정말 짧지만 잘 정리되어있네요. 굿!!

  • @user-hf8ef8wj5h
    @user-hf8ef8wj5h3 жыл бұрын

    저런게 존재했다는게 너무 신기함 .. 지금 내가 누워있는 곳에서 옛날엔 공룡도 다니고 저런 애들도 다녔을거란 말이잖어

  • @JGHan-eu6rr

    @JGHan-eu6rr

    2 жыл бұрын

    45억년 전에는 지금 누워있는 곳도 없었다는게 제일 신기함... ㅎㅎ

  • @user-zg6ge4ly6k
    @user-zg6ge4ly6k3 жыл бұрын

    아, 고생대! 이건 못참지!!

  • @user-rb2di7te1j
    @user-rb2di7te1j3 жыл бұрын

    기다렸어요!!!

  • @chucky4258
    @chucky42583 жыл бұрын

    너무 멋지고 재밋는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gw3fo1nb3p
    @user-gw3fo1nb3p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본 고생대역사 이야기중 최고입니다!중생대 신생대 만들어서 하나로 엮어주셔도 좋을것같아요

  • @user-bf3ze7sl8l
    @user-bf3ze7sl8l3 жыл бұрын

    근 몇 년간 지구, 판피류, 육지 진출, 눈의 발달, 인류까지 본 모든 영상이 녹은 종합 선물 세트네요. 가장 인상 깊은 시대는 개인적으로는 석탄기입니다. 얼마나 쌓여서 석유가 되고 석탄이 되고 세일 오일이 되었으면 몇 십 년을 써도 남을 양이 생긴 건지 신기함. 석유 종말이라면서 새로운 석유층이 발견됨. 신기한 세상

  • @tuiop390

    @tuiop390

    3 жыл бұрын

    진짜 여태 봤던 영상들 하나하나 다 떠오름 ㅋㅋㅋㅋ

  • @user-qm4fq9sw8o

    @user-qm4fq9sw8o

    3 жыл бұрын

    우리 뒤질때까지는 석유는 계속 쓰일거임 과거에 30년안에 동난다고 했던거는 그때 기술기준이고 지금 예상매장량도 나중에 기술 발전하면 또 늘어날듯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3 жыл бұрын

    나무가 먼저 생기고 나무의 리그닌 이란 분자를 분해하는 박테리아는 몇백 몇천만년 후에 생겨서 그기간동안 죽은 나무들이 분해되지 않고 쌓여서 퇴적되어 생긴게 석탄이라고 하더군요.

  • @gailcha6466

    @gailcha6466

    3 жыл бұрын

    @@milchholstein884 진짜 신기방기해 그게 산업혁명 이후 인류의 폭발적인 성장 및 환경오염이나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니

  • @green_dollar_sign

    @green_dollar_sign

    3 жыл бұрын

    @@gailcha6466 지구 입장에선 지금 여태 쌓아뒀던 석유나 석탄이 한번에 불탄다고 보면 될걸요ㅋㅋㅋㅋ 거의 시베리아 화산폭발 급이 아닐까 싶네요

  • @SillonT
    @SillonT2 жыл бұрын

    옛날에 봐놔서 수업중에 발표 잘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johnhkshin
    @johnhkshin3 жыл бұрын

    항상 대박입니다. 감사합니다.

  • @OO-zm4qm
    @OO-zm4qm3 жыл бұрын

    바퀴벌레 : 옛날 내 친구들 ㅠㅠ

  • @UpanddownQ

    @UpanddownQ

    3 жыл бұрын

    근데 정작 그 고대 바퀴벌레는 사실 모습만 비슷하지 지금의 잠자리의 친척이고 현생 바퀴벌레랑은 다른 동물이라고 밝혀짐

  • @Steveahh

    @Steveahh

    3 жыл бұрын

    ????:라떼는 말이야~

  • @phoebe1554

    @phoebe1554

    3 жыл бұрын

    @@UpanddownQ 오

  • @yrkim3018

    @yrkim3018

    3 жыл бұрын

    @@UpanddownQ 잠자리가 아니라 사마귀랑 흰개미임. 3억년전 원생바퀴가 분화된거.

  • @UpanddownQ

    @UpanddownQ

    3 жыл бұрын

    @@yrkim3018 물론 그 망시상목의 원형인 바퀴벌레,흰개미,사마귀의 공통조상도 있긴한데 우리가 흔히 알던 “3억 5천만년전 데본기의 바퀴화석”이라고 알려진 화석의 주인공들은 현생바퀴와 똑같이 생겼지만 실은 고시하강에 속하는 잠자리와 하루살이에 더 가까운 곤충의 화석이었다는 이야기임.

  • @user-wf8nm7tu8b
    @user-wf8nm7tu8b3 жыл бұрын

    형님 유튜브 영상중 가장 유익하십니더.

  • @user-nq7tp1bs7c
    @user-nq7tp1bs7c2 жыл бұрын

    재밌게보고있심더 흥미로운 영상 감사해유

  • @-_-8334
    @-_-83343 жыл бұрын

    많이 기다렸어요 ㅠㅠ

  • @gihyukcho5495
    @gihyukcho54953 жыл бұрын

    진화 이야기가 제일 재밌네요~

  • @watchman895

    @watchman895

    2 жыл бұрын

    공룡의 나이 과연 6500만년일까 아니면 단지 1,2만년 정도일까 방사성탄소 연대측정과 공룡의 나이 kzread.info/dash/bejne/gqJ118utmMyopKw.html

  • @awaytosurvive
    @awaytosurvive3 жыл бұрын

    ㄹㅇ내 수면제... 과학드림 영상 없으면 잠이 안옴...

  • @lillil4262
    @lillil42622 жыл бұрын

    1시간도 좋으니까 처음부터 끝까지 해주세요~ 너무 재밌음

  • @user-bz9pu4uf7f
    @user-bz9pu4uf7f3 жыл бұрын

    항상 영상만 보며 눈팅만했는데 이 영상은 너무 좋네요^^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3 жыл бұрын

    중생대에 대해 다룬 영상은 많은데 고생대에 대해 다룬 영상은 얼마 없더라고요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he6po4wn5o

    @user-he6po4wn5o

    3 жыл бұрын

    신생대도 영상이 적은 이유랑 같음 공룡은 유명하고 뽕이 차는데 그에 비교하면 고생대는 마이너한데다 너무 오랜기간이라 복잡함. 신생대는 현생동물들이랑 비슷하니까 굳이...? 메갈로돈정도뿐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3 жыл бұрын

    @@user-he6po4wn5o 그나마 신생대에는 중생대처럼 매머드나 검치호 같은 커다란 동물들이 있었는데 고생대의 캄브리아기의 최대 동물인 아노말로카리스는 끽해야 2m 정도로 사람이랑 비슷한 크기였고 무엇보다 시대가 너무 오래되어서 일부를 제외하면 그 시절 생명체랑 비슷한 형태의 생물들을 지금은 찾기 매우 어렵기도 하죠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3 жыл бұрын

    @@user-he6po4wn5o 사실 저도 어릴 때는 공룡 같은 큰 생명체들이 나오는 중생대가 제일 인상 깊었는데 점점 생물에 대한 공부를 많이 할수록 고생대가 더 매력적으로 보이더라고요

  • @user-yw4wb3gk2g
    @user-yw4wb3gk2g3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재밌어요😭ㅠㅠㅜㅜㅜ생명의 역사는 언제 봐도 흥미진진해요!! 과학드림님 오늘도 영상 잘 봤습니다~

  • @user-zs5xb5ns3i
    @user-zs5xb5ns3i3 жыл бұрын

    제가과학에관심이없었는데 이동영상이랑다른동영상보면서 과학에대한관심이쑥쑥오르고있어요^-^

  • @user-ox1dh8ck5q
    @user-ox1dh8ck5q3 жыл бұрын

    왐마 넘나 유익한것 존맛탱!

  • @user-gz8mi6mi2f
    @user-gz8mi6mi2f3 жыл бұрын

    어릴때 다큐멘터리 생명 그 영원한 신비를 보며 공룡을 기대했지만, 가장 기억에 남던 생물은 캄브리아기 생물군 특히 아노말로카리스였네요 아노말로카리스를 수중로봇으로 제작해서 헤엄과 사냥촉수, 입을 구현해보는 과정이 얼마나 멋지던지

  • @user-zz1lv8ef3z

    @user-zz1lv8ef3z

    3 жыл бұрын

    저랑 비슷한 또래같네요 ㅋㅋ 반갑습니다 저도 그 다큐 엄청 재밌게 봤는데 책으로도 출시됐습니다. 대학시절 교양 과목 교재로 사용했었어요!

  • @user-dc6qk7rh4w
    @user-dc6qk7rh4w3 жыл бұрын

    지구과학 공부하고 보니까 아는게 나올 때마다 먼가 좋네

  • @fiercehan6791

    @fiercehan6791

    2 жыл бұрын

    어디서 공부하세요??

  • @user-ju6dx7fi7g
    @user-ju6dx7fi7g3 жыл бұрын

    재미져요~~~ ㅎㅎㅎ 👍

  • @user-nv3bn3xg6v
    @user-nv3bn3xg6v2 жыл бұрын

    행운을 드려서 감사합니다😊

  • @goldenbuglab
    @goldenbuglab3 жыл бұрын

    캄브리아기 대폭발이 가장 인상적이네요!

  • @user-mw7lu2id4h
    @user-mw7lu2id4h Жыл бұрын

    지과 2단원에서 진짜 대충 겉핥기로 배우던 부분인데 이렇게 자세하게 보니까 너무 재밌어요 ㅋㅋㅋㅋㅋㅋ 캄오실데석페 트쥐백 팔네4 이렇게 외웠는데 ㅋㅋㅋ

  • @user-cv3er1qj8y
    @user-cv3er1qj8y3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미있네요~~

  • @aIwayswithme
    @aIwayswithme5 ай бұрын

    과학은 중딩때가 마지막인데 이런 주제들은 흥미롭고 재밌네요.. 너무 유익해요 신기하고

  • @Jun73a
    @Jun73a3 жыл бұрын

    고대 생물들은 참 신기한거같아여 실제로 한번 보고싶지만 볼수없죠 ㅠㅠ 과거를 가보진 못해도 들여다볼수 있는 기술이 생겼으면 좋겠어여

  • @daembie
    @daembie3 жыл бұрын

    따근 따근한 과학드림 영상은 못참지ㅋㅋ

  • @Pt53898
    @Pt53898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재밌어요!!!

  • @user-tk4ie9ue5n
    @user-tk4ie9ue5n3 жыл бұрын

    오늘부터 고생대요~~~

  • @dynamo1098
    @dynamo10983 жыл бұрын

    실러캔스가 라떼는 말이야 하면 걍 아가리 닫고 들어야 함 ㅋㅋㅋㅋ

  • @user-mw8cw1nr1m

    @user-mw8cw1nr1m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 @33.666

    @33.666

    3 жыл бұрын

    @@user-jc9ip6ek2l ㄹㅇ 말이 없었네 ㅋㅋㅋ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3 жыл бұрын

    시아노박테리아: 어린 놈의 시키가

  • @jjung9205

    @jjung9205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bi6yo4op5v

    @user-bi6yo4op5v

    3 жыл бұрын

    @@Supergolem12345 시아노박테리아(남세균)가 맞는거 같음

  • @user-lq4ee8cy1g
    @user-lq4ee8cy1g3 жыл бұрын

    과학드림 오빵~~ 영상좀 빨리 올려 주세용~~

  • @user-kd4ss2bo7m
    @user-kd4ss2bo7m26 күн бұрын

    생물학자가 꿈인데 이런거 많이 봅니다😊유용한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youmomdie_
    @youmomdie_7 ай бұрын

    100만 축하합니다!🎉

  • @saengmulgongweon
    @saengmulgongweon3 жыл бұрын

    6:43 이때 해양생물들이 거의 멸종했네요 전에 과학드림님 영상에서 봤어요.

  • @user-mm1id6hg9s
    @user-mm1id6hg9s3 жыл бұрын

    과학드림 재밌게 보는데 진짜, 혁신, 위대한 등등 강조를 범벅으로 비벼놔서 처음으로 보다가 끊었네요ㅠㅠ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 @-_-._.o_o-_-._.o_o-_-._.o0o

    @-_-._.o_o-_-._.o_o-_-._.o0o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tv-rf3vu
    @tv-rf3vu2 жыл бұрын

    과학넘 좋아요 많이 올려 주세요

  • @jjc1722
    @jjc17223 жыл бұрын

    흥미롭다!!

  • @user-he6po4wn5o
    @user-he6po4wn5o3 жыл бұрын

    저에게 있어선 신생대의 플라이스토세가 제일 흥미롭네요. 거대상어들과 육식고래들 육지에선 거대악어들과 괴물새 마스토돈류가 공존했으니까요.

  • @lch374213

    @lch374213

    3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저 시대 가면 우리가 아는 종들도 대부분 이 때 출현하기도 하니 말이죠.

  • @yep9759
    @yep97593 жыл бұрын

    믿고 보는 과학드림..고생대 쪽집게 10분 명강의..

  • @user-vl4si5uf3r
    @user-vl4si5uf3r3 жыл бұрын

    지구과학 배우고나서 들으니깐 더 재밌어요 아는만큼 들리네

  • @user-tq4pm5ym6f
    @user-tq4pm5ym6f3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재밌다...너무 재밌었어요

  • @user-hd8ti8cj5l
    @user-hd8ti8cj5l3 жыл бұрын

    중생대 공룡시대를 능가하는 다양한 생물종이 살던 시대라고 할만하네요ㅋㅋ 영상 재미있게 잘봤습니다!

  • @user-he6po4wn5o
    @user-he6po4wn5o3 жыл бұрын

    사실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로 나누긴했지만 동식물이 살아온 시간의 반이상이 고생대고 나머지가 중생대+신생대니까요

  • @user-gy1lr8rk6w
    @user-gy1lr8rk6w3 жыл бұрын

    이거 왜이렇게 중독성있냐 큰일났네 공부안하고 이거나 보고

  • @user-zy4ux7db1q
    @user-zy4ux7db1q3 жыл бұрын

    오 재밌어요👍

  • @user-pc3tj3pp8z
    @user-pc3tj3pp8z3 жыл бұрын

    페름기가 제일 특이하죵

  • @yessuh12

    @yessuh12

    3 жыл бұрын

    페름기 보고 폐렴기 생각남

  • @user-tu2wz1sq7h

    @user-tu2wz1sq7h

    3 жыл бұрын

    니 프사가 제일 특이한데요

  • @mojiri_
    @mojiri_3 жыл бұрын

    늘 느끼지만 국밥같은 채널이네요. 뭔가 순한데 든든하고 안 물림..♡

  • @fiercehan6791

    @fiercehan6791

    2 жыл бұрын

    표현이 어쩜그리 재밌으세요ㅎㅎ🙆🙆🙆

  • @Dorosizzz
    @Dorosizzz2 жыл бұрын

    와..ㅊ.ㅓ음엔 흥미진진하게 보다가 어느새...자고잇음 꿀보이스세요..

  • @Kim-yl1rk
    @Kim-yl1rk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미있네요

  • @user-xk2ev6ux9d
    @user-xk2ev6ux9d3 жыл бұрын

    5대멸종중~ 3번의 대멸종이 고생대에서.....그 첫번째인 오르도비스기 대멸종 원인이 초시성 감마선 폭팔이라는 가설도 있는데 그건 영상에 없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saengmulgongweon
    @saengmulgongweon3 жыл бұрын

    5:54 높이 8M 곰팡이?!

  • @with.write.live.

    @with.write.live.

    3 жыл бұрын

    버섯도 곰팡이균류의 군체니까;;;

  • @kjh_-fk7ox

    @kjh_-fk7ox

    3 жыл бұрын

    @@with.write.live. 그니까 말만 버섯이지 곰팡이랑 똑같지

  • @daembie

    @daembie

    3 жыл бұрын

    ㅗㅜㅑ

  • @teeeeeeemo
    @teeeeeeemo3 жыл бұрын

    진짜 재밌네요

  • @zlatantanibrara979
    @zlatantanibrara9793 жыл бұрын

    와 아는게 별로 없는데도 재미있네요 ㅋㅋㅋ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