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주의와 사회주의 이 둘의 차이점은 뭘까?

안녕하세요! 이다지입니다.
❤️여러분들의 구독과 좋아요는 영상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 영상 제작 및 비지니스 문의 : daon-edutainment@naver.com
✨사진, 영상 출처✨
✨노래 출처✨
✨다지 쌤 인스타그램 : / lovelydda

Пікірлер: 2 100

  • @2dajido
    @2dajido2 ай бұрын

    자꾸 개념을 혼동하여 다시는 분들이 있어 보충 설명을 해드립니다. 사회주의 =사유재산 인정, 생산수단의 사적소유 불인정입니다. 북한 중국 다 국유화했는데? 하시는 분들 -> 생산수단을 국유화한 것.

  • @joonchung368

    @joonchung368

    2 ай бұрын

    Communism: Philosophy: Based on the idea of economic equality, where resources are shared collectively. The motto is “From each according to his ability, to each according to his needs.” Political System: In theory, it’s stateless, classless, and governed directly by the people. However, in practice, it tends to be totalitarian, with a central party in control. Key Elements: Centralized government Planned economy Common ownership of production tools Equality between genders and people International focus Private Property: Abolished Economic Coordination: Planning based on physical units, not money1. Fascism: Philosophy: Rooted in nationalism, supremacy, and dictatorship. It opposes freedom and overthrows cries for oppressed people. Political System: Ruled by an all-powerful dictator. Often characterized by extreme nationalism, militarism, and racism. Key Elements: Actual idealism Centralized government Social Darwinism Anti-democratic Meritocracy Traditional gender roles Private Property: Nominally permitted, contingent upon service or usefulness to the State. Economic Coordination: Dictated by the State, planning based on projected labor output1. Democracy: Philosophy: Emphasizes individual rights, freedom, and participation. Citizens have a say in decision-making. Political System: Rule by the people, either directly (direct democracy) or through elected representatives (representative democracy). Key Elements: Free elections Protection of individual rights Separation of powers Rule of law Private Property: Permitted; citizens can own property. Economic Coordination: Market-driven, with private ownership and competition. In summary: Communism seeks economic equality and collective ownership. Fascism is nationalistic, dictatorial, and suppresses freedom. Democracy emphasizes individual rights and participation in governance234. 🌟 Socialism: Philosophy: Advocates for collective ownership of the means of production, aiming for economic equality and social welfare. Political System: Can coexist with various political systems, including democracies. It emphasizes social programs, public services, and wealth redistribution. Key Elements: Public ownership of key industries Wealth distribution Social safety nets Workers’ rights Private Property: Limited private property, with essential services often publicly owned. Economic Coordination: Mix of market and planned economy[2]. Totalitarianism: Philosophy: Seeks absolute control over all aspects of life, suppressing dissent and individual freedoms. Political System: Ruled by a single party or leader, often through propaganda, censorship, and surveillance. Key Elements: Centralized power Repression of opposition Propaganda machinery Limited civil liberties Private Property: Varies; often restricted or controlled by the State. Economic Coordination: Dictated by the State, with little regard for individual rights or market forces[4]. In summary: Communism aims for collective ownership and equality. Fascism is nationalistic, dictatorial, and suppresses freedom. Socialism combines public ownership with social welfare. Democracy emphasizes individual rights and participation. Totalitarianism seeks absolute control over all aspects of life[2] [4]. 🌟

  • @user-kp1yj5xp5k

    @user-kp1yj5xp5k

    2 ай бұрын

    역사적 명분은 저게 맞는데 결국은 말장난임

  • @user-er8zg8eq1e

    @user-er8zg8eq1e

    2 ай бұрын

    다지쌤께서 댓글 쓰셨음에도 이해를 못한 분들이 계시네요. 여기서 다지쌤이 적으신 사적소유 앞에 '생산수단의'가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기존의 자본가 계급만이 갖고 있던 토지와 공장설비 등의 생산을 위한 수단을 누군가 사적으로 소유하지 못하게 한 것입니다. 이념적인 사회주의는 이렇게 국유화한 생산수단을 일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쓰게 해주고, 그 일에 대한 대가, 즉 사유재산은 인정해주는 개념입니다. 이걸 지금 무늬만 사회주의인 국가들을 보고 계시니 이해하기 어려우실수도 있지만, 이념적으론 저렇다는겁니다. 실현가능성과는 별개로요.

  • @user_rnaxim

    @user_rnaxim

    2 ай бұрын

    @@user-ug2vo8fs2w 잘못된 개념 입니다. 마르크스 본인이 공산당선언에서 부터 밝히길, 사유재산에 대한 불인정이 아닌, 생산수단에 대한 사적소유를 금지한것 입니다. 마르크스 경제학에서 교환가치는 곧 노동생산시간 만을 인정하며, 자본가의 재화투자, 감가상각, 투자처 확보 등은 일체 노동으로 인정하지 않았던 것을 기본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특히 공산당선언에서 밝힌 3대 생산수단인 은행, 토지, 기업의 국유화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만큼, 노동자가 자기가 일한만큼 벌어서 얻은 재화에 대해서는 일체 간섭하지 않으나, 그 재화를 통해 주식, 토지, 기업을 사고 만드는 것을 일체 금지하고 부르주아적 봉건계급으로 치부하는 것이 마르크스 경제학 이론 입니다. 공산당보다 앞서 언급된 사회주의의 개념을 그 시초인 오언주의로 보면, 이 역시 생산수단의 사적소유와 관련 없습니다. 오언은 노동자간의 유대와 연합으로 협동조합을 만들어 노동자들의 생산수단을 구축하고 정당한 노동권을 쟁취하는 것을 우선으로 했으며, 여기서는 사적소유와 생산수단에 대한 언급이 구체화되지는 않습니다.

  • @controlmind-wn2ft

    @controlmind-wn2ft

    2 ай бұрын

    @@user-er8zg8eq1e 애초에 회사란것은 콘크리트 건물이 아닙니다 기업, 회사, 공장의 본질은 그 기업이 생산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 가능하게 해주는 지식과 기술입니다 회사의 본질은 콘크리트 건물이나 로봇장치가 아니라 지식과 기술이라는것을 이해하지못하면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합니다 현재의 삼성이라는 회사가 존재할수있는 근본핵심은 건물이나 장비나 노동자가 아닙니다 ''반도체 기술'' 입니다 이걸 이해하지 못하면 절대 아무것도 이해못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기술과 지식은 오직 뛰어난 개인이 치열한 노력으로 자신의 지식과 사고를 확장할때에만 가능한것 즉 회사의 본질은 오직 개인의 역량에서 나오는것 자동차공장에서 자동차를 조립하는 단순노동자들은 사실상 자동차 공장이 존재하게 해주는 핵심이 절대 아닙니다 자동차회사가 존재하게 해주는 핵심은 자동차 설계 기술입니다 단순 노동자들은 또한 그러한 기술과 자본에 의해 만들어진 기계가 없으면 아무것도 하지못하는 존재들입니다 모든 단순노동자들의 노동생산성은 그 자신에게서 나오는것이 아니라 기술과 장비에 극도로 의존하고 있는것입니다 결국 회사의 진정한 주인은 그 회사가 생산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할 지능과 지식과 의지가 있는 소수의 사람들 애초에 그 회사를 창업한 개인들에게 있는것입니다 이걸 이해하지못하면 언제든 공산주의자들에게 세뇌될수있습니다

  • @autobahn79
    @autobahn79Ай бұрын

    인간사회의 구성원들의 욕망이 존재하고 사회를 유지하게되려면 계급은 생긴다 그래서 이상적인 사회는 생길 수없다고 난 봅니다

  • @rtune-taikjeon8631

    @rtune-taikjeon8631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인간의 욕심! 그것을 인정하고 독려하고 자극하는게 자본주의고, 인류발전의 원동력이었습니다~! 쉽게 말해서, 티브이 냉장고 세탁기 스맛폰...등등등 모두가 그런 맥락에서 발달하고, 사회가 발전한거~ 대한민국 좌파들은 지금 당장 집안에 있는 모든 가전제품들... 밖으로 내놓고, 공산주의 사회주의 국가들... 중공 북한 러시아나 또는 체코 폴란드에서 생산한 가전을 사용해야 됩니다! 나쁜 좌빠리들~😡👺👹🥶

  • @huracanevo6321

    @huracanevo6321

    Ай бұрын

    계급해방

  • @mountaingrandpa
    @mountaingrandpaАй бұрын

    북한은 사회주의도 공산주의도 아니다. 하나의 종교집단이다.

  • @raon7625

    @raon7625

    Ай бұрын

    맞음 북한은 공산주의 배급제인데 공산주의의 실패를 쳐맞고 그냥 망한국가

  • @user-oc4jl6kf8o

    @user-oc4jl6kf8o

    Ай бұрын

    사이비 광 종교

  • @user-jinsu80

    @user-jinsu80

    Ай бұрын

    북한은 총칼로 무장된 공산국가이다.

  • @user-nz2nn9xr7e

    @user-nz2nn9xr7e

    Ай бұрын

    김씨세습 국가도아님니다

  • @user-uz9zc8es2z

    @user-uz9zc8es2z

    Ай бұрын

    고정 댓글 참조

  • @vinsblack2
    @vinsblack2Ай бұрын

    대부분의 사람들은 저 두가지 사상의 허와실에 대해서 잘 모릅니다,뭐든지 세상엔 공짜가 없다고 생각한다면 국가의 미래는 밝고 최소한 아르헨티나정도는 안되겠지요

  • @czh9528

    @czh9528

    Ай бұрын

    북유럽 국가는 어찌보면 사회주의임.

  • @AaAa-bv6zh

    @AaAa-bv6zh

    20 күн бұрын

    야 ㆍ사회주의가 뭔데 그따위 누굴교육시키나 사회주의 꺼네지도 마라ᆢ좌파 문죄인과 김정은 등은 좋아하겟다 유트부 잡아치워라 자유민주주의가 답이다

  • @user-ox3qv1vf9k
    @user-ox3qv1vf9k24 күн бұрын

    공산주의국가가 대중의 눈속임용으로 사회주의국가라고 외침

  • @user-hu2kl2zn6d

    @user-hu2kl2zn6d

    5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조민 아빠 좋국도 애매하게 자본주의에 사회주의를 추구한다고 하잖아요^^ 자유라는 말은 빼고 ㅎ

  • @user-sh8ye8qb8k

    @user-sh8ye8qb8k

    5 күн бұрын

    @@user-hu2kl2zn6d 조국이도 민주주의를 외침 인민민주주의 ㅋㅋㅋㅋ

  • @smillinggom

    @smillinggom

    4 күн бұрын

    영상 보고 댓글단거임? 댓글 보면 공산주의 개념 자체를 이해 못했는데ㅋㅋㅋ 걍 공산주의란 단어만 보고 거품물며 헛소리 독백 중ㅋㅋ

  • @user-ci7lb9un7y

    @user-ci7lb9un7y

    Күн бұрын

    북유럽 거의 다 민주사회주의 국가인데 뭔 소리하냐

  • @user-if7bv3bb3j
    @user-if7bv3bb3j2 ай бұрын

    책으로 공산주의를 배우면 공산주의자가 되고, 몸으로 공산주의를 배우면 반공주의자가 된다. - 스탈린 딸~

  • @2dajido

    @2dajido

    2 ай бұрын

    명언이십니다❤

  • @Nameless-ho3fe

    @Nameless-ho3fe

    2 ай бұрын

    전자는 민주당 후자는 탈북자겠네요 ^^

  • @user-gq5ls8vd6q

    @user-gq5ls8vd6q

    2 ай бұрын

    ​@@Nameless-ho3fe 민주당은 공산주의자가 아니라 수정자본주의자 입니다. 비유를 똑바로하셔야지. 국힘당이 초기자본주의, 그러니까 신자유주의 사상을 지닌 사람들이구요

  • @10830jcm

    @10830jcm

    2 ай бұрын

    ​@@user-gq5ls8vd6q 그럼 김대중이는 부루주아네? 신자유주의를 대한민국에 최초로 들여온 사람인데....그전까진 즉 김영삼때 까진 대한민국이 수정자본주의로 경제 성장하고 있었음....

  • @user-wv7fb9eb8h

    @user-wv7fb9eb8h

    2 ай бұрын

    @@user-gq5ls8vd6q 수정같은 개소리 하지마시길ㅋ 범죄자들이 모여있는 쓰레기통에서 무슨 수정 자본주의 ㅋ부자들거 빼앗아 가난한자들에게 나눠주겠다는 그야말로 나라를 붕괴시키겠다는 소리가 수정자본주의라고 말하는건가!! 웃기는군!!전국민 25만원씩 나눠주고 전부 거지로 만들겠다는 소리가 수정자본주의인가!!!ㅋ

  • @user-tb7wf2wd5e
    @user-tb7wf2wd5eАй бұрын

    자본주의도 실패했고 사회주의도 실패했죠 그래서 각각 변화했고 자본주의는 사회주의를 일부 받아드렸고 사회주의도 자본주의를 받아드렸죠...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를 몇%씩 섞을 것인가를 각 국가별로 정해서 현재 운영되고 있다고 생각하면 지금의 세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sanghoonjoo3976

    @sanghoonjoo3976

    Ай бұрын

    말장난하네.... 동급으로 평가하는거 자체가 어이가 없다.

  • @user-et6or7xh2r

    @user-et6or7xh2r

    15 күн бұрын

    맞는 말임

  • @user-xm5wk9ii7s

    @user-xm5wk9ii7s

    3 күн бұрын

    민주당 사상이시네요 제일 위험한 사상적 발상이란것도 아시겟네요 ㅡ 사회주의ㆍ공산주의 혁명 주최자들이 제일 싫어해서 숙청하는 *회색분자* 라는 분류신것 같습니다

  • @user-vw5oo7wg5b

    @user-vw5oo7wg5b

    3 күн бұрын

    짝짝맞는말슴

  • @user-et6or7xh2r

    @user-et6or7xh2r

    3 күн бұрын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복지는 확대 해야된다 북유럽 사회주의로 가는 길이 우리나라가 혼란 없이. 잘 살아가는 길이다 윤석열 처럼. 무엇을 해준다고 거짓말만 하면. 태극기 노인들만 믿지. 누가 믿겠노? 민생 토론. 예산 벌써 1000조가 넘었다 정신 차려야 된다 냉전. 시대는 지났다 6070 시대로 역행하면 안된다

  • @user-pi7if9qq3c
    @user-pi7if9qq3c26 күн бұрын

    독재를 위해서 사회주의 사상을 이용하는 것 같네요

  • @user-bn4kh2zk8q

    @user-bn4kh2zk8q

    3 күн бұрын

    조국이 법무장관청문회에서 사회주의자라고 말했다

  • @user-ci7lb9un7y

    @user-ci7lb9un7y

    Күн бұрын

    @@user-bn4kh2zk8q 실제 우리나라 실존 독재자들은 다 보수입니다.

  • @user-zw6on2ct6k
    @user-zw6on2ct6kАй бұрын

    60대후반입니다 우리공부할때선생님들 뭘가르쳤는지모르겠고 먹고살기힘들어서 책과너무멀었다 선생님 너무쉽게잘가르친다 요즘선생님들 정말많이알고있는것같다 요즘유튜브로공부할수있는기회가너무많아지금도배우고있다 여러분 공부해서 지혜로운사람되세요 저녁에 술판벌리지마시고

  • @user-vf8dq4te4k

    @user-vf8dq4te4k

    23 күн бұрын

    저도 60대 후반인데 이다지 쌤이 명쾌하게 설명해 주셔서 다시 공부하고 있습니다. 참 좋은 세상입니다.

  • @user-ii6xx7tr9h

    @user-ii6xx7tr9h

    16 күн бұрын

    옛날에 자본가가 얼마나 존재했겠나요? 자본가와 노동자의 싸움에서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가 나왔다기보담. 봉건사회에서 문명사회로 발전하면서 사람의 평등한 가치추구가 이론적으로 정립.

  • @user-pz7yf1mb5c

    @user-pz7yf1mb5c

    4 күн бұрын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 했다던 이승복 어린이가 판을 치던 세상에서 무슨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나 되었겠는가? ㅋ

  • @user-ex9fc2ju9z
    @user-ex9fc2ju9z2 ай бұрын

    사회주의자 라고 당당하게 말하는 사람. 얼핏 보면 가난한자를 돕고 평등한 세상을 구현하겠다는 뜻 같지만. 그런 사회 만들려면 인간의 자유와 욕구를 강제로 눌러야 가능함. 결국 독재로 갈수밖에 없고 부정 부패가 될수밖에 없죠. 인간은 남들보다 더 많이 가지고 싶고 더 예쁘고 싶고 더 잘나 보이고 싶은것은 당연한 것임. 그것을 통제하는 것보다는 스스로 조절하게 만드는 것이 선진화된 사회이고 우리가 바라는 이념이여야 함

  • @ignisilluminati

    @ignisilluminati

    2 ай бұрын

    난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사회주의라면 고민해볼 것 같음. 인간이 지배하는 사회주의는 님이 말한 이유로 절대 성공할 수 없다고 보고..

  • @user-ez6ij2iw6n

    @user-ez6ij2iw6n

    2 ай бұрын

    @@ignisilluminati 터미네이터 보세요~ ㅎㅎㅎ 왜 싸우는지

  • @_chobi3248

    @_chobi3248

    Ай бұрын

    @@user-ez6ij2iw6n 영화와 현실을 구분 못하나? 인공지능이 권력욕을 갖는다는 영화적 설정이니 그렇지. [[[공상]]]과학. --> 상상에서나 가능한 과학 설정. 위 영상에도 나오잖아.

  • @user-ez6ij2iw6n

    @user-ez6ij2iw6n

    Ай бұрын

    @@_chobi3248 인공지능이 권력욕이 아니라 전체 역사를 쭉 봐오면서 통계를 내고 하면서 자신들이 인간을 통제하는게 맞다고 하는거에 자유를 가진 인간이 싸우는거야~ 사회주의 그만 좀 싸고돌아 ~ 그냥 지금 이현 상황에 쎼쎼나하고~

  • @user-qf3ru9gt5u

    @user-qf3ru9gt5u

    Ай бұрын

    @@_chobi3248 터미네이터 안보셨구나 인공지능이 권력욕을 가지는 스토리가 아닙니다. 그냥 스카이넷이 인류가 지구에 대한 위협이라고 판단한거지 설정이 다릅니다

  • @BigDipper3881
    @BigDipper38812 ай бұрын

    프롤레타리아 혁명은 이 세상에 존재할 수 없는 이론이다 왜냐하면 혁명이 성공한다고 해도 또 그 성공한 집단에 계급이 생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부림을 받는 者와 부리는 者의 공생은 영원하다 가르치는 者 가르침을 받는 者도.

  • @user-it2yx7eh7j

    @user-it2yx7eh7j

    Ай бұрын

    이걸잘보여준것이 오웰의 동물농장이지요

  • @BigDipper3881

    @BigDipper3881

    Ай бұрын

    @@user-it2yx7eh7j 👍

  • @choicoin1112

    @choicoin1112

    Ай бұрын

    그래서 마르크스는 역사발전단계에서 자본주의와 공산주의로 나가는 그 사이에 과도기(권력층이 존재하는 공산주의)가 존재한다고 설명하긴했죠.

  • @user-ly3bj4ou2b

    @user-ly3bj4ou2b

    Ай бұрын

    ​@@choicoin1112과도기론은 공산주의 이론의 불합리성을 합리화하기위한 변명

  • @user-tr2hb6dw2j

    @user-tr2hb6dw2j

    Ай бұрын

    모든 동물의 한계 ... 쯧쯧 불편한 진실

  • @user-dddd618
    @user-dddd618Ай бұрын

    세계대부분 주의 교리등등 비슷한점 많죠. 변화하고 발전하면서 대중들에게 안정감을 주는 국가가 중요하죠.

  • @simoncrom
    @simoncromАй бұрын

    사회주의 = 제도, 공산주의 = 이상향 / 고로 사회주의는 있었어도 이 세상 어디에도 공산주의를 실현한 나라는 없음

  • @user-vb8rf7bt6h
    @user-vb8rf7bt6h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잘 봤습니다. 좋은 점들만 잘 뽑아서 섞어서 사용하면 되죠. 북유럽 국가들처럼 ... 이분법처럼 이거면 다른 건 안돼가 아니라~~ 나라 생각하는 사람들 이렇게 많은데 왜 좋은 것만 융화해서 사용할 방법은 안 찾고 내 생각과 다르면 욕할 생각만 하는 사람들이 이렇게 많은지 ㅜㅜ

  • @user-rs6vg9yn4i
    @user-rs6vg9yn4i2 ай бұрын

    북한이 무슨 사회주의. 왕정국가지. 김씨 조선.

  • @user-gn5mc3gs6g

    @user-gn5mc3gs6g

    2 ай бұрын

    우린 윤 검새 조선

  • @soojeonghang

    @soojeonghang

    2 ай бұрын

    조선일보 삼성 현대 세습하는거 보면 한국도 만만치 않음

  • @controlmind-wn2ft

    @controlmind-wn2ft

    2 ай бұрын

    @@soojeonghang 사기업을 왕조시절 왕권으로 착각하는 허황되기짝이없는 망상을 버려야할것 사기업은 말그대로 개인소유임 국가나 국민소유가 아님

  • @user-kr9um4wy8m

    @user-kr9um4wy8m

    Ай бұрын

    @@user-gn5mc3gs6g 대가리가 굳은 인간이네

  • @user-se9ow4wb1q

    @user-se9ow4wb1q

    Ай бұрын

    ​@@user-gn5mc3gs6g정신차려라

  • @user-bm5wi5es8r
    @user-bm5wi5es8rАй бұрын

    나는 자유가 좋다! 교도소도 아니고 배급이니 분배니 넘 싫타! 사회주의나 공산주의는 열등감 많은 인간들이 만들어낸 허상.

  • @sojeokhwa

    @sojeokhwa

    Ай бұрын

    그 자유라는게 지금 윤석열이 외치는 겁니다. 현 대한민국에 자유가 있어요???

  • @goodi8823

    @goodi8823

    Ай бұрын

    @@sojeokhwa 너는 매일 밤새도록 놀고도 자유가 없다고 하니?? 그럼 김정은이가 자유를 주겠네? 어이가 없다...!

  • @kskim740

    @kskim740

    Ай бұрын

    자본주의도 망했었죠

  • @user-ic3yb5jr4v

    @user-ic3yb5jr4v

    Ай бұрын

    @@sojeokhwa 이글 쓴 자체가 자유다

  • @hakunamatata7940

    @hakunamatata7940

    Ай бұрын

    ​@@sojeokhwa 당신이 말하는 자유가 뭐지? 일반국민을 대신하여, 지능범들 수사하여 기소하는 검찰이라는 국가시스템중의 하나를 없애버려서, 당신이 좋아하는 비리정치인을 대통령 만드는것이 자유냐?? 법은 누구에게나 엄격하고 공평해야한다. 수사는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재판은 신속하게 결정되어야한다. 후진국일 수록 재판이 지연된다 그리해야, 죄를 지어려는 자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워준다 이러한 시스템으로 치안과 법치가 이루어진다. 니들이 하는 짓거리는, 멕시코 같은 범죄지옥을 만드려는 것이다. 더 이상 국가시스템 자체를 흔들려하지 마라. 잘못이 있는자는 처벌하고, 잘못된 시스템은 차차 개선시켜가면된다. 대체 시스템도 만들지 않고, 국가시스템 중의 하나를 없애버리려 하다니, 그건 오로지, 내 주위에는 수사도 죄도 묻지 말라는 뜻 이 아니냐?? 도대체, 니늠들에게 누가 그리 거대한 권한을 주었느냐???

  • @ksy9173
    @ksy91732 ай бұрын

    경제학과 학생인데도 그 차이에 대해서 별 생각이 없었는데 마침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간만에 전에 사놓은 정치경제학 책을 개시해봐야겠어요.

  • @yun12112

    @yun12112

    2 ай бұрын

    저 정도도 모르면 경제학과 학생이 아닌것 같은데...고등학교에서도 배우는건데..ㅋㅋㅋㅋㅋㅋㅋㅋ

  • @ksy9173

    @ksy9173

    2 ай бұрын

    @@yun12112 어.... 저는 선택과목이 경제였구요. 경제에서는 저런거 안가르쳤습니다. 모의고사 수능에선 만점, 못봐도 2등급이었구요, 학교에선 경제경시대회 1등도 해봤습니다. 다른과목에서 나온걸 본적은 없네요... 수능 경제에서 경제체제 내용은 나와봐야 혼합경제체제 시장경제 계획경제가 끝이었어요. 제가 배울땐 09교육과정이었으니 어쩌면 수능경제로 접한 내용이 다르셨을 수도 있겠네요.

  • @user-lr2jk2su4m

    @user-lr2jk2su4m

    2 ай бұрын

    아무튼......철저한 민주주의자가 되길 바랍니다. 민주주의 반대는...독재인거 아시죠? 항상....주인된 자세료.....독재자를 경계하셔야 합니다......걔들이 나라 망쳐요....요즘 젓도 모르는 검찰이 독재세력이죠?

  • @yun12112

    @yun12112

    2 ай бұрын

    @@ksy9173 학교 공부가 기초적인 내용을 탄탄하게 가르치는게 아니라 수능위주로 가르치기 때문일수도 있겠네요. 아니면 들었어도 수능에 나올 문제가 아니니 가볍게 넘어갔을수도 있고.

  • @info_biz828

    @info_biz828

    2 ай бұрын

    @@ksy9173 자본론과 경제학원론을 같이 읽고, 프리드먼과 하이에크를 읽을 때 스티글리츠와 피케티도 같이 읽어라..라가 제가 항상 하는 말이죠

  • @0227jps
    @0227jps2 ай бұрын

    유익한 내용 잘들었습니다.사회주의와 비슷한 사회국가의 원리에 대해서도 알려주세요.

  • @user-hk6uq9tr7b

    @user-hk6uq9tr7b

    2 ай бұрын

    프랑스,독일 사회주의 등장으로 이해를 하시면 될거 같은 데요 이 영향을 받은 지금도 프랑스,독일 정당들이 있는 걸로 압니다 민주적 사회주의 표현을 많이 하는 것 같습니다

  • @user-cp6jh5ox3v
    @user-cp6jh5ox3v2 ай бұрын

    인간 의식 자체가 자본주의, 공산주의는 그냥 다단계 사기라 보면 됨. 공산주의(다단계 사기)가 어떤건지 백년넘게 소련,북한,쿠바가 보여줬는데 뭘 더 볼게 있나?

  • @Snow_Party

    @Snow_Party

    2 ай бұрын

    ㄹㅇ

  • @user-jg6kz6pp2q

    @user-jg6kz6pp2q

    2 ай бұрын

    먼 지랄 같은 소리임..

  • @user-leeonpower

    @user-leeonpower

    2 ай бұрын

    별로공감이 안되는데 ㅋ

  • @user-zx1xq5lo3p

    @user-zx1xq5lo3p

    2 ай бұрын

    ​@@user-jg6kz6pp2q북한 주민인가 ㅋㅋㅋ

  • @user-zx1xq5lo3p

    @user-zx1xq5lo3p

    2 ай бұрын

    ​@@user-leeonpower북한 쿠바에 가서 살아보든가ㅋㅋ 그들 나라 나아가 공산국가들의 실상은 유튜브에 검색하면 다 나올텐데

  • @user-nl6ej2yp7z
    @user-nl6ej2yp7z2 ай бұрын

    어제의 범죄를 벌하지 않는것은 내일의 범죄에게 희망을 주는것이다. 공산 독재주의가 주는 어제의 범죄를 보았는데 단죄할 수 없다면 각성이라도 해야! 선거 범죄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junggyuchoi8
    @junggyuchoi8Ай бұрын

    사회적협동조합이나 사회적기업을 추구하는 경제활동은 수정자본주의의 일종이라는 내용으로 이해해도 될까요??

  • @johnyoo3300

    @johnyoo3300

    Ай бұрын

    사회자를 넣은것은 사회주의 움직임이며, 사회적 협동조합등은 대부분 부조리하고, 부패한 비리가 있습니다. 수정 자본주의는 소유권을 온전히 보장하던 자유주의 국가에서 민주주의에서 사회주의 정당 선전 활동의 혼란으로 인해 소유권을 비율적으로 줄여 재산세를 늘리거나 상속세를 늘려 개인재산을 약탈하고, 분배 복지를 대폭늘리는 것을 ' 수정자본주의' 라고 표현한게 아닌가 싶네요. 오늘날 민주 전라 경기당, 경상도당 모두 사회주의 정당의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상 부정적인 민주주의 타락모습이지만 정상적인 범주의 수정자본주의 로는 수입관세 인상, 법인세, 장애인, 저소득층 가정을 국가가 연금을주고, 최저임금제, 박정희 정부가 도입한 국가가 국민 건강을 일률적으로 책임지는 건강보험 으로 볼 수 있는데... 건강보험 한푼을 안내는 사람이 이를 이용하고 환자 본인 무책임이 강회되고, 공짜로 이용하고 당연한 줄 아는 것, 의료 서비스가 의사들이 불친절해지고 대충 보고, 의사들이 건강보험 빼낼 려고 과잉진료를 해 국고를 낭비하는 악영향등이 있음. 가장 좋은 제도는 선별적 복지를 하며.. '보편 감세'를 바탕으로 자유와 책임제, 고단하게 일하면서 성과에 따라 재산 축적을 하는 자유 책임제 가 아닌지...... 가난하지만 의지와 능력있는 자가 부를 축적할 기회를 많이 주는 보편 감세제도로 가야 합니다! 그러면 미국처럼 레스토랑에서 접시 닦는 이민자가 훗날 부자가 되고, 중간 부자와 중산층이 두터워짐. 정상적인 수정자본주의는 미국의 보수주의중에 의료보험, 장애인 극빈층 생활을 돕는 트럼프가 아닌지.. 게으르고 재산 축적할 의지가 하나도 없이 쉽게 사는 사람은 가난하고 비록 가난하지만 개인의 부지런한 노력 의지를 통해 부자가 될 수 있는 사회가 가장 정의로운 사회입니다. 법치가 확립된 자유 평민사회... 정의와 평등으로 국민을 바라보는 정치가를 배출하며, 자유( 소유권 )와 책임 의식을 지닌 국민을 많이 배출할 것입니다. 노력이 부의 성공이 되면, 애국자가 많이 나와 국가는 강성해질 것입니다.

  • @ppjw1979
    @ppjw1979Ай бұрын

    북한은 사회주의도 아니구 공산주의도 아님. 그냥 전제 봉건주의 김씨 국가임 😅😅😅

  • @user-vn7kv4db4b

    @user-vn7kv4db4b

    Ай бұрын

    국가가 아니라니깐

  • @mrkims86
    @mrkims862 ай бұрын

    이다지샘 차이점 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pj9fj3xo4m
    @user-pj9fj3xo4m22 күн бұрын

    이런 유익한 영상의 알고리즘이 이제야 떠서 영상 다 보고 구독, 좋아요, 알림까지 꾸우욱 ~~~~❤

  • @user-vf8dq4te4k
    @user-vf8dq4te4k23 күн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 @user-ke8fu8vp3u
    @user-ke8fu8vp3u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dw3ds4qk3j
    @user-dw3ds4qk3jАй бұрын

    명쾌한 설명 쏙쏙 들어옵니다, 감사해요!

  • @Gabalus_elio
    @Gabalus_elio5 күн бұрын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 @user-hm2jh6my3h
    @user-hm2jh6my3hАй бұрын

    자본주의 ㅡ사회주의ㅡ공산주의 이렇게 가는거다! 시장주의가 답이다!

  • @user-gq5ls8vd6q
    @user-gq5ls8vd6q2 ай бұрын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의 차이는 국가의 존재 유무와 노동에 따른 분배를 하느냐 필요에 따른 분배를 하느냐의 차이인 거군요. 개념이 좀 어렵네요. 필요에 따른 분배는 재산을 공유화해서 필요한 만큼 가져가는것이고 노동에 따른 분배는 생산수단은 공유화하고 개인재산은 사유화했기 때분에 노동하고 급여를 균등분배해서 지급받는다로 해석하면 되나요?

  • @user-ez6ij2iw6n

    @user-ez6ij2iw6n

    2 ай бұрын

    아무 의미없음 자유를 갈망하는 인간은 강제 노동당하면 미침 말도 안되는 이념임 결말은 기득권자만 배부르고 등따시고 서민들은 강제노동을 하거나 굶어죽거나 둘중하나임 권력을 영원히 갖고 싶은 놈들이 외치는 유토피아 선동 이념임

  • @huracanevo6321

    @huracanevo6321

    Ай бұрын

    노동에 따른 분배 하자! 그래야 일 하고 행복하다

  • @user-ez6ij2iw6n

    @user-ez6ij2iw6n

    Ай бұрын

    공부할 가치도 없어요 ~ 사회주의 공산주의 유토피아같은 상상력임 독재자가 무조건 나올수밖에 없는 구조임 ~ 왕을 만들자라는 거 밖에 안됨 !

  • @huracanevo6321

    @huracanevo6321

    Ай бұрын

    사회주의 만세! 비리로 가득찬 신자유주의 그만!

  • @huracanevo6321

    @huracanevo6321

    Ай бұрын

    자본은 공유화하되 재산은 사유로! 단, 기초재와 복지는 공영

  • @user-tm1mm5mw8h
    @user-tm1mm5mw8h2 ай бұрын

    4살에 굴뚝청소를 하루에 15시간 일했다니 얼마나 고통이 심했을지 상상이 안됩니다

  • @user-xg9ww7ox6s

    @user-xg9ww7ox6s

    Ай бұрын

    네살이 무슨일하나 정신차려라 이자슥아

  • @user-lv1ch9oe7n
    @user-lv1ch9oe7n2 ай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당 ❤❤❤ 새로운 브이로그도 보고싶어요 ㅠㅠ 이전 영상들 무한반복중인데 새로운 자극 제 원합니다!!

  • @2dajido

    @2dajido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브이로그는 메가스터디로 올리려구요🩷

  • @integritasong
    @integritasong2 ай бұрын

    매우 유익했습니다. 다지샘

  • @sinabro0357
    @sinabro03572 ай бұрын

    들어도 헷갈리네 ㅠㅠ

  • @eabtv153
    @eabtv153Ай бұрын

    대한민국에 사회주의자들이 많아요 조국이도 사회주의자라고 본인이 말합니다 어느기자가 사회주의전향할맘있냐고 묻자 전향할맘 없습니다라고 말하는걸 봣어요~

  • @jackiejeong1043
    @jackiejeong1043Ай бұрын

    1당 독재체제 = 사회주의 이해가 되네요~

  • @user-ef9qz8ks1y

    @user-ef9qz8ks1y

    22 күн бұрын

    지금의 민주당이네 이재명 1당 독재체제

  • @MarshalStars
    @MarshalStarsАй бұрын

    ❤산업혁명 : 생산력의 비약적인 증가.

  • @rnjsalfl2
    @rnjsalfl2Ай бұрын

    그럼 선생님 조국의원은 사회주의사상가 라고 할 수 있나요?

  • @user-gf3wm2nv6e

    @user-gf3wm2nv6e

    Ай бұрын

    조국, 사민주의자

  • @thegreatsnowball3463

    @thegreatsnowball3463

    20 күн бұрын

    조국은 사노맹가입했던 사회주의 사상에 심취한 사회주의 추종자가 맞다고 봅니다. 스스로도 그렇다고 했고

  • @Sindu5124

    @Sindu5124

    17 күн бұрын

    사회주의 추종자는 그런곳에가서 살면되지 왜 여기서 살지 ?

  • @user-uq5vx4eq7z

    @user-uq5vx4eq7z

    5 күн бұрын

    ​@@Sindu5124사회주의는 이중성이 있는자만이 주장 할수 있습니다..내로남불 못하면 좌파 못 해먹어요...^^

  • @user-qp8hz3fi7y
    @user-qp8hz3fi7y2 ай бұрын

    40대에 공산주의 사회주의를 알았습니다 학교 다닐때는 뜻도 모르고 그냥 외우기만 했는대 정의를 내려 주시니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여 박구갑니다!!!!!!

  • @2dajido

    @2dajido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yun12112

    @yun12112

    2 ай бұрын

    이제 공산 사회주의를 알았으면..자본주의도 뭔지 모른다고 생각됨.

  • @user-co6os1qp4w

    @user-co6os1qp4w

    2 ай бұрын

  • @qqq2891

    @qqq2891

    2 ай бұрын

    ​@@yun12112 자본주의=노예주의 설명 아주 간다하구 장확하게 한것임

  • @sdafsadf2876

    @sdafsadf2876

    Ай бұрын

    ​@@qqq2891 1찍들은 이렇게 생각한다니까 ㅋㅋㅋㅋ

  • @rosetv8609
    @rosetv8609Ай бұрын

    설명 잘했습니다

  • @user-el5gm6pl4z
    @user-el5gm6pl4zАй бұрын

    깔끔합니다. 고맙읍니다.😊

  • @user-go8ur6pp3n
    @user-go8ur6pp3n2 ай бұрын

    공산주의와 사회주의의 공통점 권력을 독점하여 노동력을 착취하는 신종계급사회로 귀결된다는것이다

  • @user-nz7fn2un9p

    @user-nz7fn2un9p

    Ай бұрын

    자본주의도 그렇지 않나요? 단순히 공산주희, 사회주의, 자본주의 이데올로기 자체가 나쁜게 아니라 권력층이 그 이데올로기를 현실사회에 반영하는 과정에서 자기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악용하는게 나쁜거죠. 이 강의만 봐도 우리가 사는 사회가 온전히 자본주의로만 운영되는 사회가 아니라 사회주의적 성격도 반영하고 있자나요. 강의 자체를 제대로 보신건지 의문스럽네요.

  • @inkorearetrothex-japantrib7583

    @inkorearetrothex-japantrib7583

    Ай бұрын

    ​​​@@user-nz7fn2un9p 자본주의는 사람들이 이미 가지고있는자본을 바탕으로 경제활동을 보장하는거에요 국가는 경제활동으로 사람들이 더 나은 삶을 살수있게 여러장치를 설계하지요 부의 불평등을 인정하는 체제에요 공산주의 사회주의는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자본을 국가가 사람들에게 똑같이 배분하는게 목표입니다 부의 불평등을 인정하지않죠 그런데 독재가 바탕이 되니 견제할세력이 없고 권력이 부패하게되니 바뀐 지배층이 자본을 독점하게 됩니다 조지오웰의 동물농장 읽어 보세요

  • @controlmind-wn2ft

    @controlmind-wn2ft

    Ай бұрын

    @@user-nz7fn2un9p 공산주의 사회주의는 개인의 너무나도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욕구, 욕망을 죄악시하여 억압하고 탄압하며 개인의 잠재력 실현욕구를 철저하게 짓밟고 개인이 큰꿈을 꾸거나 큰 일을 이룰수없게 만드는 사회입니다 그것을 ''불평등'' 을 유발하는 죄악으로 치부하니까요 그런사회가 나쁜사회가 아니다?? 당신의 모든 자유를 억압하고 구속하는 사회가 나쁜사회가 아니다? 만약 어떤 사회가 당신같은 평범한사람들은 국가의 도구로 보아 아무런 개인의 권리도 보장해주지않고 오직 국가를 위해 그저 장작불속 나무토막처럼 쉽게쉽게 쓰고 버리는 사회가 있다면 그래도 사회가 나쁜게 아니고 통치자에 따라 달라진다고 하실건가요? 허황된 망상에서 벗어납시다

  • @user-jy7vs5ob1c

    @user-jy7vs5ob1c

    Ай бұрын

    그것을 풍자한 소설이 조지오웰의 '동물농장'일까요??

  • @user-nz7fn2un9p

    @user-nz7fn2un9p

    Ай бұрын

    @@user-jy7vs5ob1c 그렇다고 봅니다

  • @qu07532
    @qu07532Ай бұрын

    자유가 없고 억압하고 사람을 이유업시 족인다

  • @kkkk90213
    @kkkk90213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교육의 슬픈단면이네.. 교육과정에서 잘 다루지 않는.. 자유경졔 신자유경제 공산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 사회민주주의.. 각각의 장단점도 배우고 우리의 현실은 어떤식으로 가야 하는지 기초공부가 이루어 지지않는 우리나라 교육과정..ㅎ

  • @user-fb6po6lv4v

    @user-fb6po6lv4v

    Ай бұрын

    전교조? 오두움이죠.

  • @villagecat5539

    @villagecat5539

    Ай бұрын

    이런 댓글에 하트를 날려야 하는 데 쌩까는 학원 강사 수준.

  • @user-jinsu80

    @user-jinsu80

    Ай бұрын

    맑스 엥겔스는 과학적사회주의 또는 공산주의라고 했다. 사회주의국가 공산사회 2단계론을 주장한건 레닌이다. 그러므로 2단계론을 주장하는 사람은 맑스의 배신자며, 레닌의 추종자다.

  • @onlibertykevin8063

    @onlibertykevin8063

    Ай бұрын

    전교조는 악마집단. ....

  • @user-qj2ye3sw1p

    @user-qj2ye3sw1p

    Ай бұрын

    틀딱ㅉㅉ. 느그들 틀딱들이 만든 일제식 입시제도로 그냥 암기만 존나해서 객관식잘찍으면 되는 공부일뿐이야. 아무것도모르면서 씨부리기는. 그내용은 초등6년 중학 3년 고등1년 총 10년동안 배우고있어.

  • @user-hb9cp8cs5i
    @user-hb9cp8cs5i2 ай бұрын

    시기질투많고 남이 잘되면 불행인 국민 의식수준을 가진 사람들이 많아서 대한민국도 사회주의로 갈꺼임 감시하고 끌어내리고 정치인문제가아님 모든 정책은 국민이 만드는거임ㅁ

  • @biy4692

    @biy4692

    2 ай бұрын

    잘 아시네.

  • @user-ez6ij2iw6n

    @user-ez6ij2iw6n

    2 ай бұрын

    정치인이 그걸 이용해서 표팔이 하는 이 시작점 정치인은 때려 맞아 죽어야지

  • @user-lx2qd9oi3s

    @user-lx2qd9oi3s

    Ай бұрын

    이승만이 캐리해서 미국등에 안올라 탔으면 벌써 공산화 되었을것임. 문재인이 삶은 소대가리로 북한한테 욕들어먹어도 민주당 어느누구하나 입하나 뻥끗못함. 전통성이 있어서 빈손으로 넘어와도 만세하고 나라 통채로 넘길것들이 수두룩함. 근데 베트남 전쟁끝나고 숙청 대상1등이 남베트남 공산주의자였죠. ㅋㅋㅋ 권력 나누면 피곤해지니 바로 손절당했죠. 그만큼 공산주의 지지한다는것은 멍청하다는 뜻입니다.

  • @evenstararwen9367

    @evenstararwen9367

    Ай бұрын

    사회주의라는 사이비 종교의 특징 - 가장 이타적이고 착한 사람들만 모여도 성공하기 힘들고 이론적으로 모든 구성원이 천사여야만 성공할 수 있는 시스템 이론인데, 정작 가장 질투심 많고 남이 잘되는 꼴 못보는 사악한 인간집단일수록 사회주의에 대한 지지도가 높다는 아이러니. 천사들만을 위한 망상 이론인데 악마들은 전부 찬성하면서 박수를 치는 웃픈 이론임. 악마들이 찬성하는 이유는 나보다 잘난 사람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 시스템이라고 믿기 때문에. 정작 그게 현실에서 실현되면 그 어떤 사회보다 통제당하고 억압당하는 계급사회임을 인류는 경험을 통해 배웠지만 그걸 모르는 무식한 인간이 언제나 투표에서는 다수를 점유함. 저도 님 말처럼 한국은 사회주의로 간다고 봅니다. 그렇게 사회주의로 가면서 가난해지고 가난해질수록 악에 받쳐서 사회주의를 지지하는 중남미 빈국 식의 악순환은 이미 정해진 한국의 오래된 미래죠.

  • @user-oq2fc4jx8t

    @user-oq2fc4jx8t

    Ай бұрын

    노비근성이 깊은 국민성이 있죠ㅋ 사실 일제시기 일본놈들이 코리아 국민성 많이 바꾸어 준것 고마워 할판입니다. 그런데 80년 지나니 또 그 노비 근성이 나오고 피해의식에 잡히는 코리아 노동자들 ㅋㆍㅋ

  • @user-tb9xl1oz8v
    @user-tb9xl1oz8v2 ай бұрын

    재밌어요 !

  • @user-ln4ed3xt9v
    @user-ln4ed3xt9vАй бұрын

    정치체제와 경제제체로 구분해서 배우면 조금더 이해가 쉽습니다

  • @user-we1uf1oe3r
    @user-we1uf1oe3r2 ай бұрын

    속이 시원하네요 자본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경제발전단계설 아! 공산주의는 이론속의 사회구나! 고맙습니다~

  • @Life-bx1eb
    @Life-bx1eb2 ай бұрын

    19:00 한줄 요약

  • @user-pf8ld4pp4i
    @user-pf8ld4pp4i2 ай бұрын

    다지샘 목소리가 너무 예쁘셔서 쏙쏙 머리에 들어옵니다. 그래서 30분이상으로 영상 만들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시간도 좋고요.

  • @2dajido

    @2dajido

    2 ай бұрын

    😊 감사합니다

  • @riadahl8544
    @riadahl8544Ай бұрын

    마르크스가 생각한 사회주의에 가장 근접한 시대는 지금일 텐데 AI가 모든 노동을 대체하게 된다면 재산이라는 의미가 아리송해지게 되니까 마르크스가 말하는 자아실현 단계라는 건 결국 노동소외와 같은 말 사회에서 인간의 의미는 그럼 뭘까? 이 질문이 올 수 밖에 없음. AI 노동의 산물을 노동하지 않는 인간과 나누어야 할 아무런 이유도 없다는 게 현실. 타인의 노동이 필요했기 때문에 사회가 만들어진 건데, 이제 인간의 노동이 필요없다면 사회는 불필요해질 것 같네요. 노동에서 소외된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명 밖으로 퇴출 진화죠. 공존할 수 없을 거예요. 모든 자원을 AI문명이 다 가져갈 것이기 때문에. 자연으로 퇴출된 사람들은 먹을 게 없을 듯. 자연계의 다른 동물들처럼 인구가 급감하면서 원시문명으로 돌아갈 거예요. 그래도 최대한 많은 개체를 유지하려면 산업문명은 바로 포기. 농업도 힘들지 싶음. 수렵 채집은 가능할지... AI 문명은 자연생태계가 필요없을 거 같은데... 의식주에서 자연과 직접적으로 닿아 있는 것은 '식'인데 결국 이것도 그냥 에너지의 문제라... 생태계 없이 유지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공산사회라는 건 결국 개인이 모두 소멸한 기계로의 진화와 같은 말이지 않을까... 네트워크로 연결된 뇌들은 더이상 개체가 아니라 하나의 조직organism이겠죠. 형이상학적 관념으로 이어져 있던 것들이 물리적인 네트워크로 대체되면 개인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봅니다. 신체의 각 신경조직들이 자아를 가지지 않는 것과 똑같은 이유죠. 그것들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니까요. 지금 상황으로 보면 그게 가장 자연스러운 전망인 것 같습니다.

  • @smillinggom

    @smillinggom

    4 күн бұрын

    이게 ㄹㅇ 맞는 말임.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른 분배'는 전제 자체가 과잉에 가까운 생산력이 전제돼야됨. 그런데 인류 역사상 그랬던 적은 현시대 미국, 잘쳐주면 일부 선진국 밖에 없음.

  • @rubyruby5538
    @rubyruby55382 ай бұрын

    강의 잘 들었습니다 ^^ 북유럽의 사회민주주의 국가들은 강의에서 나온 "사회주의"와 조금 다른 개념일까요? 여전히 헷갈리네요 ㅎㅎ

  • @info_biz828

    @info_biz828

    2 ай бұрын

    사회민주주의는 사회주의의 분파죠. 민주사회주의라고 해서 사회민주주의와 같으면서도 다른 개념도 또 있습니다. 하지만 "민주적 절차에 의해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해결하겠다."는 방향성은 같습니다.

  • @user-jh5yt6ye1b

    @user-jh5yt6ye1b

    2 ай бұрын

    사회주의는 경제체제이고, 민주주의는 정치체제를 말하는거에요. 정치사상으로 민주주의를 기반으로하고, 경제사상으로 사회주의를 기반으로하는 시스템을 갖춘게, 사회민주주의국가인거죠.

  • @user-hd4jp9ys6v

    @user-hd4jp9ys6v

    Ай бұрын

    사민주의는 원래 자본주의의 한 형태일 뿐입니다.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가장 큰 특징에 대해 알면 구분하는데 좀 도움이 될텐데, 자본주의의 가장 큰 특징은,생산수단의 사유화와 시장경제이고, 반대로 사회주의의 가장 큰 특징은, 생산수단의 공유화와 계획경제입니다. 따라서,북유럽등의 사민주의는, 근본적으로 생산수단의 사유화와 시장경제를 부정하지 않기에, 어디까지나 자본주의 안에서의 변혁을 추구할 뿐이기에, 여기 다른 분이 말씀하시듯 "사회주의의 한 분파"가 아니라,자본주의의 한 형태에 불과할 뿐이지요.

  • @huracanevo6321

    @huracanevo6321

    Ай бұрын

    사회주의 맞아요

  • @user-hd4jp9ys6v

    @user-hd4jp9ys6v

    Ай бұрын

    @@huracanevo6321 ㅎㅎ,우기는데야 장사없지요. 설명을 해 드려도 모르시면, 그렇게 알고 살아가실 수 밖에...

  • @user-qx5hw8ph8l
    @user-qx5hw8ph8lАй бұрын

    공산주의의 반대 개념으로 자본주의가 있습니다. 이것는 경제적 논리로 설명이 돼야 하며, 정치적 논리로 사회주의가 있고 그 반대 개념으로 민주주의가 있습니다. 오늘날 경제적 논리의 공산주의가 망해가는 이유는 인간의 습성때문인데 모두가 일을 하고 그 결과물인 소득을 똑같이 분배하니 굳이 내가 죽도록 일을 안해도 내몫은 분배될거라고 생각하는 겁니다. 즉 생산성이 떨어져서 소득이 갈수록 적어지는 반면에 자본주의는 사적 재산을 인정하므로 죽도록 일을 해서 소득을 올림으로서 일의 능률을 극대화 하는데서 공산주의와 차이가 있습니다.

  • @patriots4085

    @patriots4085

    Ай бұрын

    정치적 개념으로는 공화제, 군주제 이런게 있는거 아닌가요? 왕같은 군주가 권력을가지고 다스리는 군주제(사우디,카타르), 군주가없는 공화제(국민이 스스로 수장을 뽑는 민주주의가 일반적(미국,한국)). 군주는 있지만 민주주의를 받아들여 국민이 선택한 대표가 수장으로 있는 입헌군주제(영국,일본) 저도 경제적 개념으로 자본주의, 공산주의는 알았는데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는 어떤 차인지 자세히는 몰랐는데 이강의가 도움이 돼네요. 이강의 내용대로면 사회주의는 자본주의에 문제점으로부터해서 나왔으니 경제적개념으로 보는게 맞는듯. 민주주의 반대개념으로 독재가 있으니 사회주의에서 나타나는 독재성향을 말하는거라면 그렇게 볼수도 있지만 독재는 자본주의에서도 나타나는 문제이니. 과거한국처럼. 강사님말처럼 요즘은 자본주의 사회주의 서로 단점들 보완해서 받아들이고 있으니 극단적 자본주의 극단적 사회주의가 제일 문제일테고. 수정자본주의가 제일 괜찮지 않나 생각합니다.

  • @huracanevo6321

    @huracanevo6321

    Ай бұрын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는 오히려 잘 결합합니다

  • @user-qi3xm3qi3m

    @user-qi3xm3qi3m

    Ай бұрын

    무뇌임?

  • @user-jinsu80

    @user-jinsu80

    Ай бұрын

    공산주의 반대는 경제적으로 자본주의, 정치적으로 민주다당제, 사상적으로 자유주의. 공산주의는 경제적으로 계획경제, 정치적으로 일당독재, 사상적으로 반동처단 공산주의

  • @user-jinsu80

    @user-jinsu80

    Ай бұрын

    @@huracanevo6321 버엉시인

  • @user-ko7tu5zd8g
    @user-ko7tu5zd8g3 күн бұрын

    철학과 교육은 기본행위가 다름. 공산주의는 철학이고 지금은 없음. 중국, 북한, 러시아 ... 공산주의는 철학으로 아님 자유민주주의는 공산주의 못하게함 그게 현정치에서 어울림 중국 북한 러시아 말하는 공산주의는 철학에 없는 말 베네주얼리는 하다가 망한 나라 자유민주주의가 가만히 있지 않았다

  • @user-oi6vb1qh6y
    @user-oi6vb1qh6yАй бұрын

    아주 좋은 강의였습니다. 짝짝짝. 근데, 마지막에 민주주의를 설명하실 때 정치사상이라고 하셨는데 이러면 학생들이 조금 더 혼동할 거 같아요. 민주주의는 제도, 체제, 시스템. 사회주의, 자본주의, 공산주의 등 즉, 민주주의를 뺀 나머지는 이념, 사상, 학설이라고 구분해주시는 게 더 좋았을 거란 아쉬움이 남습니다. 민주주의의 반대는 독재주의, 혹은 봉건주의(요건 좀 학생들에게 힘들 수도) 각설하고 쉽게 잘 설명해 주셨네요. ^^

  • @evenstararwen9367
    @evenstararwen9367Ай бұрын

    사회주의는 유토피아를 저술한 토머스 모어부터 시작해서 근대의 지식인들이 '서로 공유하면서 행복하게 사는 세상'을 꿈꾸면서 붙여진 이름이죠. 거기에 '공상적 사회주의' '유토피아적 사회주의' 등과 같은 개념이 17~18세기에 유럽 지식인들 사이에 유행하구요. 그러다가 마르크스라는 사람이 나타나서, 당시 유명하던 포에르바하의 '유물론 (정신은 허구이며 물질만이 모든 것이라는 이론)'과 헤겔의 정반합 변증법을 접목하여 만든 것이 자칭 '과학적 사회주의'입니다. 칼 마르크스가 제창한 과학적 사회주의에서는 역사가 진보한다고 보고 '역사발전단계론'이라는 이론은 펴게 되는데 원시공산사회에서 시작해서 고대노예제사회를 거쳐 중세농노사회 근대시민사회 그리고 최종적으로 혁명과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거쳐 마지막에 인류가 도달할 역사발전단계로 '공산사회'라는 마지막 단계를 말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산' 혹은 communism (꼬뮤니즘)이라는 개념은 마르크스가 자신만의 '과학적' 사회주의를 논하면서 역사의 시작과 끝으로 들고 온 개념입니다. 즉 인류의 시작이 원시공산사회이며 인류 진보의 마지막 단계를 공산주의사회로 본 것이죠. 그런 면에서 사회주의라는 개념은 칼맑스의 과학적 사회주의를 비롯한, 다양한 유토피아를 망상하던 지식인들의 수많은 형태의 사회주의를 포괄한 넓은 개념이고, 공산주의라는 것은 마르크스의 자본론의 역사발전 단계의 일부이자, 그가 생각한 인류가 도달할 마지막 완성형 단계로서의 일종의 이상향인 것이죠. 좀 더 간단히 말하자면, 사회주의는 '마르크스를 포함한 망상적 지식인들이 꿈꾸던 다양한 스펙트럼의 평등사회를 포괄하는 명칭'이고 공산주의는 '마르크스가 보는 평등이념이 관철된 이상향' 같은거죠. 이렇게 이론적 배경을 설명한 후, 현실에서 그 이데올로기가 구현된 형태를 보자면 공산혁명을 통해 일어난 국가들은 공산주의라는 단어를 지양하고 사회주의로 스스로를 표현하기를 즐기며 다수가 망했거나 망해가고 있습니다. 사회주의라는 단어를 공산국가들조차 자신들의 부정적 측면을 좋게 포장하기 위한 단어로 쓰고 있는 셈이죠. 한편 위에 말했다시피 좀 더 넓은 형태의 포괄성을 갖는 단어가 사회주의라서 유럽이나 기타 자본주의 국가들도 혼합경제정책, 복지정책 등을 추진하면서 '사회주의' 이념을 차용해서 쓰는 경우가 종종 있지요. 그러나 우리가 오늘날 말하는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는 현실적으로 별로 그 본질은 구분하기 힘들며 (당장 중국 북한도 모조리 본인들을 사회주의이념이라고 포장하지 공산주의라는 단어를 안씁니다.) 실질적으로 공산당 혹은 로동당의 1당독재를 합리화하는 지배 이데올로기처럼 운영한다는 측면에서 바라봐야 할 것입니다. 자본론도 안 읽어본 인간들이 마치 사회주의는 좋은 것이고 공산주의는 나쁜 것이다 라는 식의 헛소리를 하지만 오늘날 사회주의를 국가적으로 표명하는 국가들이 말하는 그 사회주의는 전부 공산주의와 동의어로 봐도 하등 문제가 없지요. 복잡한거 거두절미하고 보자면, 추한 인간의 쌩얼이 공산주의, 화장한 얼굴이 사회주의라고 보면 됩니다. 자본주의라는 개념조차도 칼 마르크스의 자본론에서 중점적으로 나오는 것이며 좌우대립 이런 것의 진정한 기원은 칼 맑스이니만큼, 이 주제에 대해 제대로 음미하려면 자본론을 빼놓고 논할 수 없습니다. (제발 프랑스 가져오지 맙시다. 한국에서 200만명이 죽은 전쟁은 프랑스 급진vs온건파랑 아무 상관도 없고 마르크스의 계급투쟁이론 그리고 미중소의 대리전쟁 즉 마르크스에서 비롯된 학살극에서 시작되며 한국의 좌우대립도 중국북한과 뗄 수 없는 지정학적 결과물입니다.) 그의 자본론을 꼭 읽어보고 비평하는 자세가 필요하죠. 직접 읽어보시면 그가 내세운 이론이 매우 그럴싸 하지만 (리카도의 이윤율 저하의 법칙 등을 적용한 점), 반대로 지금 관점에서 보면 멍청한 부분도 매우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과학과 기술이 발전할수록 기계가 커질것이라고 예측한 점이라든지, 노동의 질은 전혀 염두에 두지 않고 노동의 시간에만 노동의 가치가 비례한다고 보는 점, 노동의 가치는 오로지 노동자의 노동에서만 나온다는 궤변 등을 늘어놓으면서 노동과 자본과 토지의 결합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는 고의적으로 누락시켰다는 점 등 경제와 산업에 대한 이해가 1차원적인 면이 있죠. 특히 그가 쓴 공산당선언문은 거의 선동이나 프로파간다라고 봐야지 제대로 된 논문이나 이론이라고 보기도 힘듭니다. 물론 저도 마르크스가 천재적이라는 점은 인정하지만, 그는 통찰의 천재였지만 인류대학살을 선동한 천재이기도 했지요. 자본론을 여러달동안 3회독 한 이후 드는 결론은, 그 인간은 차라리 안 태어나니만 못했던 인간이라고 생각하게 되더군요. 개인적으로 가장 역겨운 인간이 "난 공산주의는 싫지만 사회주의는 좋아. 넌 사회주의랑 공산주의 차이도 모르니?"라고 말하는 멍청이입니다. 본인이 말하는게 생시몽 류의 공상적 사회주의에요? 토마스 모어류의 외딴섬 공동체입니까? 아니잖아요. 한국 70~90년대 대학가를 주름잡던 사상교육하던 주사파, 좌파 추종자들이 수십년간 공들여 세뇌하고 언론사에서 퍼뜨린 바로 그 사회주의 아닙니까? 물론 저도 사회주의의 일부 장점 복지나 약자에 대한 공감 이런 것까지 부정하는 건 아니에요. 그러나 최소한 그 이념의 뿌리가 얼마나 사악한지, 그 뿌리가 어떻게 생겨먹었는지는 자본론 정도 읽고서 그 추악한 악마성과 반인간적 본성은 알고서 빨든지 말든지 해야죠. 사회주의자니까 공산당 안좋아해라는 말도 안되는 헛소리는, '난 술은 안좋아하는데 와인은 즐겨'처럼 역겨운 자기합리화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고 봅니다.

  • @user-jinsu80

    @user-jinsu80

    Ай бұрын

    사회주의는 특정 영역 안에 있는 사람들은 규칙을 세우고 서로 배려하며 살 수밖에 없다는 생각에서 출발. 정치적결정에 다수결투표를 하면 민주주의. 경제적측면을 강조하면 (중농 중상 자본 공산)주의. 맑스는 노동을 우선하는 이론을 만들었고, 경제적으로 공산을 강조함과 동시에 이념 정치 경제를 통합한 자기이론을 통칭해서 공산주의라고 불렀다. 통칭한 공산주의 이상이 실현되면, 국가는 사라지고 사회만 남는다. 결국 국가는 사라지고, 사회주의 사상으로 사람들은 살아간다. // 이렇게 이해하면 되나요?

  • @user-jinsu80

    @user-jinsu80

    Ай бұрын

    @@user-ky8cq4hh1s 누가 맑스를 찾냐? 자유국가에서 사회주의법을 도입한건 1930년 미국 대통령이 된 루즈벨트가 도입한거다.

  • @user-jinsu80

    @user-jinsu80

    Ай бұрын

    누가 맑스를 찾나? 국민을 위한 사회법 노동관련법은 1930년 미국 루즈벨트가 시작했다.

  • @user-ky8cq4hh1s

    @user-ky8cq4hh1s

    Ай бұрын

    @@user-jinsu80 유럽의 사민주의가 어떻게 시작되었는 지 모르나? 루즈벨트가 노조를 군대 동원해서 때려잡았다는 거 모르나? 미국의 자본주의가 무너지기 직전이었던 게지 ㅋㅋ 2008년 금융위기 때 맑스를 다시 읽는 흐름이 있었는데 당시 유럽의 그 많은 학자들은 다 망상에 쩔은 머저리인가 보네 ㅋㅋ

  • @user-ky8cq4hh1s

    @user-ky8cq4hh1s

    Ай бұрын

    답글이 이상하게 달려 삭제합니다

  • @hanmikyeong_band
    @hanmikyeong_bandАй бұрын

    민주주의 vs 독재 권위주의

  • @user-er8zg8eq1e
    @user-er8zg8eq1e2 ай бұрын

    제가 예전에 배웠던 기억으로는 마르크스가 말한 공산주의 이념은 말그대로 유토피아입니다. 현실에서 많은 국가들이 표방해온 공산주의는 마르크스가 주장한 공산주의와는 전혀 다른 것입니다. 다지쌤께서 설명하셨듯이 마르크스는 사회가 필연적으로 공산주의로 갈것이라고 보았는데, 이때 그가 그렇게 생각한 근거는 '정반합'의 과정을 통해 사회가 발전해왔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왕권 국가(정)는 백성 또는 귀족(반)의 혁명으로 시민 사회 또는 봉건 사회(합)로 발전했다고 본 것이죠. 정과 반의 밸런스점을 찾은 합을 통해 사회가 그 다음 단계로 나아간다고 본 것입니다. 그의 시각에서 자본주의 역시 토지나 자본, 설비 등을 갖춘 자본가 계급(정)과 노동자 계급(반)의 투쟁을 통해, 생산수단을 모두가 공유하여 일하고 싶은 사람은 그만큼 일하고 버는 사회(합), 즉 사회주의가 될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하지만 사회주의 역시 생산수단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국가와 사회(정)와 일반 시민(반)이 존재하기에 이 마지막 투쟁을 통해 국가와 사회조차 없어지고, 모두가 일을 하든, 일을 하지 않든 분배받는 사회인 공산주의가 될 것이라고 본것입니다. 다만 여기서 주의할점은, 마르크스는 이 단계에서는 사람들의 소비가 아무리 많아져도 생산이 더 많을 정도로 엄청난 기술적 발전이 있을거라고 전제한 것이고, 지금의 현실에서는 절대 공산주의는 성공할 수 없는 이념입니다. 물론 저는 앞으로도 절대 불가능할거라고 생각하구요. 기술적 발전이 아무리 된다해도, 사람의 욕심은 끝이 없기 때문입니다. 혹시 잘못된 부분 있다면 답글 달아주십시오.

  • @LoonPigHead-Dandodae

    @LoonPigHead-Dandodae

    2 ай бұрын

    222

  • @inkorearetrothex-japantrib7583

    @inkorearetrothex-japantrib7583

    Ай бұрын

    그래서 종국은 제정일치사회 종교와 정치가 하나가 된 사회에서 가능하죠 현재도 마찬가지 북한도 멀리서 보면 불평등한데 가까이서 보면 평등하게 부를 분배하는 시스템이죠 19:35

  • @user-jo6fy9cy1s

    @user-jo6fy9cy1s

    Ай бұрын

    오. 이놈의 정반합이 젤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젤 정확한 설명이네요

  • @user-jinsu80

    @user-jinsu80

    Ай бұрын

    맑스 엥겔스는 과학적사회주의 또는 공산주의라고 했다. 사회주의국가 공산사회 2단계론을 주장한건 레닌이다. 그러므로 2단계론을 주장하는 사람은 맑스의 배신자며, 레닌의 추종자다.

  • @user-jy1iq8do7d

    @user-jy1iq8do7d

    Ай бұрын

    저도 정 반 합 이 궁금했는데 설명 굿

  • @whpwh
    @whpwh2 ай бұрын

    조목조목 설명을 잘해주시네요 ㅎ

  • @user-mf5el5de2n
    @user-mf5el5de2n2 ай бұрын

    우왕 나학교다닐때.이렇게 귀에속속 들어오게 설명하고 수업했으면 지금쯤 나도 국회의원?...ㅋㅋ

  • @user-ct6fy2ut1j

    @user-ct6fy2ut1j

    Ай бұрын

    👍

  • @user-xg9ww7ox6s

    @user-xg9ww7ox6s

    Ай бұрын

    국회새끼해서 뭐할려고

  • @user-dx4cd5tk3v

    @user-dx4cd5tk3v

    2 күн бұрын

    앗따 멋져부러~~~굿

  • @jhpark5694
    @jhpark56942 ай бұрын

    잘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 @2dajido

    @2dajido

    2 ай бұрын

    저도 감사드립니다

  • @2dajido

    @2dajido

    2 ай бұрын

    저도 감사해요❤

  • @kwangsoolim4490
    @kwangsoolim4490Ай бұрын

    명확하고 알기쉬운 강의 감사합니다

  • @user-ij2wf9pb2v
    @user-ij2wf9pb2vАй бұрын

    열심히 일하는 자가 손해 보는것이 공산주의,사회주이 이고 열심히 일하여 부를 쟁취하는것이 자본주이,개인주의 입니다. 즉 공산주의는 모두가 가난해 지는 사상입니다.(북한)

  • @user-eu7ir3lz7j
    @user-eu7ir3lz7jАй бұрын

    명쾌한 설명 감사합니다.

  • @2jinu558
    @2jinu558Ай бұрын

    국민연금 건강보험 실업급여 노령면금 의무교육제도 육아지원정책 법정근로시간 최저임금제 학교무료급식.... 등등...지금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수많은 정책과 제도가 사회주의 사상이 현실에 반영된 모습입니다. 그래서 현대의 자본주의를 수정자본주의 또는 사회민주주의라 부릅니다,.. 이 제도의 모범이되는 국가들이 바로 북유럽국가들 입니다

  • @user-dj4ds7eg8o

    @user-dj4ds7eg8o

    Ай бұрын

    보편적 복지는 비스마르크와 처칠 내각 하의 베버리지에 의해서 만들어졌는데, 둘 다 사회주의자는 아니었습니다. === 라는 내용이 있는데, 사실인지 정확한 내용인지 잘 모르겠네요.

  • @user-ee3gk3dh1l

    @user-ee3gk3dh1l

    Ай бұрын

    인구가 적은 나라들 북유럽 국가와 인구가 엄청많은 나라는 근본적으로 사회주의 지향이 되지 않습니다

  • @user-bt9sd7gz5x

    @user-bt9sd7gz5x

    Күн бұрын

    완전한 사회주의도 완전한 자본주의도 없습니다. 그리고 완전한 세상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시대에 맞게 필요한것 정당히 융합하는 사상이 좋은것 같습니다.

  • @user-ey9ju2ld4z
    @user-ey9ju2ld4zАй бұрын

    간단요약 세금이 0%=극단적 자본 개인주의 ,국가가 없어진다 .세금100% =공산주의 이또한 국가 존재할수 없다..둘다 인류가 망할수 있다.세금은(공산주의와같은 성향) 공동 사회금으로 쓰여진다 공무원 군인 월급 사회복지 인프라 등등. 인간들의 본성을 기준으로 세금은 20%~40%가 가장 이상적 국가이다 . 부가설명은 이하생략.....세금은 잘 걷어야 하고 더 중요한 것은 그 세금을 유용하게 잘 써야한다 그러므로 여야 좌우 따지지말고 투표를 잘하자.

  • @user-lr8ms3jm9m
    @user-lr8ms3jm9mАй бұрын

    사회주의는 언제 개인재산 몰수 할지 몰라

  • @lavie_romantique
    @lavie_romantique2 ай бұрын

    궁금해요 선댓굴 후감상 ❤❤

  • @2dajido

    @2dajido

    2 ай бұрын

    접수완료!

  • @Kimdohk
    @KimdohkАй бұрын

    요즘도 칠판에 분필을 사용 하네요.분필을 사용 하면 폐병 걸리기 쉬우니 marker 을 사용 하세요.😢

  • @user-kz3bj1nb1z
    @user-kz3bj1nb1zАй бұрын

    잘 듣고 갑니다! ^^

  • @joonaqq
    @joonaqqАй бұрын

    아니 설명 왤케 잘해요

  • @ConfuseNote
    @ConfuseNoteАй бұрын

    교과적인 문제로 끝날게 아닌 국민이라면 꼭 알아야할 과거 사상과 체제의 역사 그리고 결과와 상황을 현시대와 비교해보면 이성적이고 냉정하게 배우면서 무엇이 합리적이고 미래적인 방향으로 고치면서 불합리를 수정해 나갈 수 있는지를 깨닫고 있어야 한다고 봄. 어떠한것이든 완벽한건 없다

  • @user-gi5op9zw1n
    @user-gi5op9zw1nАй бұрын

    헤~ 선생님 얼굴만 이쁜줄 알았는데,논리도 이뻐용 fighting!!

  • @levanngannou1297
    @levanngannou1297Ай бұрын

    설명 정말 잘하십니다 👏👏👏

  • @hong2215
    @hong2215Ай бұрын

    05:00 쌤은 자본인 강의를 만들수 있으니 자본가군요. 부럽네요.

  • @uk3824
    @uk3824Ай бұрын

    그냥 둘다 없어져야할 마약같은것

  • @yis0146
    @yis0146Ай бұрын

    언제 들어도 이다지 선생님의 설명은 명쾌하고 머리에 쏙쏙 들어옵니다.

  • @user-xw2th5df3u
    @user-xw2th5df3u2 ай бұрын

    멋진 강의 잘시청했습니다 최고입니다 엄지척 👍👍👍💓

  • @2dajido

    @2dajido

    2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 @user-be9wz6ho7v
    @user-be9wz6ho7vАй бұрын

    자본주의가 없다면 사회주의를 시도할수 없어요,, 즉, 사회주의는 망한다는 것이다,, 사회주의는 자본주의를 타도하는 것에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 @user-ln1oq4ie6f

    @user-ln1oq4ie6f

    27 күн бұрын

    사회주의는 자본주의로 극도로 발전된 상태의 국가가 실행하는게 제일 바람직한 방법이라 들었는데요

  • @user-be9wz6ho7v

    @user-be9wz6ho7v

    26 күн бұрын

    @@user-ln1oq4ie6f 곶감 빼먹듯이 빼먹는 것임,,

  • @user-ro2vr9nf6n
    @user-ro2vr9nf6nАй бұрын

    70대 할머니인데 이다지 강사님 강의는 알아듣기 쉬운 역사강의 늘 잘 듣고 있습니다

  • @user-tu9kr3go7c

    @user-tu9kr3go7c

    Ай бұрын

    그런 님이 훨~ 유식하구 아름다워 보이네요..늘 건강하세요

  • @mrdoctor3243

    @mrdoctor3243

    Ай бұрын

    나이를 구지 말하는 이유는? 관심받고 싶어서? 나이가 70대나 됐으면 유튭 같은 거 그만 보고, 삶을 마무리하기 위해 정신을 가다듬어야지..쓸데없이 자신이 70대니 뭐니 고딴 소리나 하고 이제와서 그런 걸 이해한들 남은 삶에 뭔 도움이 된다고 댓글을 남기나… 요새 나이들어가는 노인들 보면 젊은 치기나 나이든 노망이나 뭐가 다를까 싶다. 인생을 칠십평생 살았으면, 이제 철들만도 하니 이딴거 그만 배우고 마음을 비우고 죽음을 어떻게 맞이할지나 생각해보시길…

  • @user-wt9nr9vg1i

    @user-wt9nr9vg1i

    Ай бұрын

    @@mrdoctor3243 70대가 유튭보면 안돼냐? 뭐 삶의 마무리를 준비해? 노망? 니 부모한테나 그딴 쌉소리 지껄여

  • @user-uz5fq8hp6d

    @user-uz5fq8hp6d

    Ай бұрын

    @@mrdoctor3243 너나 나중에 나이들면 그렇게 살아라. 웬 돼먹지 않은 막말이야

  • @user-lj2gf2zy8k

    @user-lj2gf2zy8k

    Ай бұрын

    @@mrdoctor3243구지 x 굳이 o 본인 맞춤법이나 신경쓰며 살기~

  • @camelhan
    @camelhan2 ай бұрын

    공산주의는 일찌감치 망했죵😂

  • @sihyok

    @sihyok

    Ай бұрын

    공산주의는 현재진행형이죠. 맹한 대한민국이 갈망하고 있죠.

  • @nojainnopain4485

    @nojainnopain4485

    Ай бұрын

    북한이 망했나요?

  • @camelhan

    @camelhan

    Ай бұрын

    @@nojainnopain4485 ㅋㅋㅋ 북한이 공산주의? 2024년입니다 공부합시당😆

  • @rtune-taikjeon8631

    @rtune-taikjeon8631

    Ай бұрын

    그럼 북한은 뭐죠?

  • @user-zg8iq9gs7x

    @user-zg8iq9gs7x

    Ай бұрын

    ​@@rtune-taikjeon8631신정일치 왕정국가

  • @user-ud3qq4uj6t
    @user-ud3qq4uj6tАй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선생님!

  • @quwang18
    @quwang18Ай бұрын

    좋은내용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user-hk3cy8tr9e
    @user-hk3cy8tr9eАй бұрын

    군사정권을 끌어내린 운동권들이 지금은 기득권이됐죠 내가 부자가 되는게 중요하지 너가 잘되는건 중요하지않습니다

  • @user-wk1el7bb2y

    @user-wk1el7bb2y

    Ай бұрын

    뭔 개소리여? 뭔 기득권? 너는 사특한 친일군사쿠데타 프레임에 너 정신을 빼앗겨서 노예로 사는 너를 모르더냐? 운동권 일부가 기득권에 편승된 것은 맞지만 그들이 어찌 주세력이 되었단 말이냐? 대한민국의 기득권은 변함없이 친일군사쿠데타국정농단세력이다. 일부를 가지고 전체로 사악한 프레임을 걸고 국민을 세뇌시키는 저들의 장난에 놀아나는 너는 부끄럽지도 않느냐?

  • @jhkim6022

    @jhkim6022

    Ай бұрын

    정말, 지금의 기득권이, 군사정권을 끌어내린 운동권입니까? 현재, 우리나라 10대 재벌에, 군사정권을 끌어내린 운동권이 있습니까? 군부독재 시절엔 가장 큰 기득권이, 정치권력이었겠지만, 현 민주주의이며, 자본주의 국가인 지금, 우리나라의 기득권이면 재벌 아닙니까? 이러한 우리나라 재벌 형성의 시작은, 일제 강점기 후 해방, 그리고 불행히도 친일 매국노 역사 청산이 되지 않고서 시작된, 미 군정하, 적산불하가 그 시작이었고, 이승만 정권을 거쳐, 군사정권에는 군사독재정권과 상생 관계로 성장해, 현재는 가장 큰 권력인, 초거대 자본권력이 되어, 이제는 이 나라의 주인인, 국민 주권의 견제를 받아야 할 때이지만, 그들과 상생하려는, 정치인, 법조인, 각 분야의 고위 공무원들을 앞세워, 온 사회를 쥐고 흔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지금은 이 나라의 주인인 국민이, 아직껏 한 번도 직접 책임을 묻지 못했던, 재벌 등 자본권력이, 국민의 주권을 가장 크게 위협하고 있는 가장 큰 기득권이라고 생각합니다.

  • @jy7213

    @jy7213

    Ай бұрын

    중산층 국민들이 직선을 요구해서 군사정권이 끝난거고 운동권이 화염병 던지고 보드블록 깨서 던지고 해서 군사정권이 끝난 것 아니죠. 그리고 군사정권이 집권한것도 중산층 국민들이 직선에서 박정희 후보를 3번 연속 뽑아줘서 가능했습니다. 전두환은 직선없이 대통령 자리를 차지했다 해도 노태우는 직선으로 당선했죠.

  • @user-qs2rl1kx5j

    @user-qs2rl1kx5j

    Ай бұрын

    군사정권을 끌어내린 것이 민주화 세력이지만, 민주화 세력을 끌어내린 것이 검찰공화국이죠.

  • @user-cw3vp3cy6k

    @user-cw3vp3cy6k

    Ай бұрын

    ​@@user-qs2rl1kx5j아직 민주화세력을 끌어내린건 아님 문재인 이재명 조국이 빵가야 좌파몰락의 시작임 라임 임종석 옵티머스 이낙연 그다음 신라젠 유시민같은 인간이 빵가야 청소가 시작되는거임

  • @user-oh1fk7zh8y
    @user-oh1fk7zh8y2 ай бұрын

    인강의 노예인 저는 이 영상도 1.5배속으로..

  • @user-xz5li2qw7q
    @user-xz5li2qw7q2 ай бұрын

    선거범죄가 자행되는 나라...대한민국

  • @_chobi3248

    @_chobi3248

    Ай бұрын

    희망사항을 적냐. ㅋㅋㅋ..

  • @sdhde2537

    @sdhde2537

    Ай бұрын

    윤써글 정부니까 국힘 110석이 부정선거 결과라는 거죠 어쩐지 여론조사나 출구조사보다 많더라

  • @user-dv7hd2sy3l
    @user-dv7hd2sy3l2 ай бұрын

    재밌고 이뻤어요 ❤

  • @2dajido

    @2dajido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yi4ch3sw4e
    @user-yi4ch3sw4eАй бұрын

    공산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 자본주의, 이제 미래는 어떻게 바뀔까요 세상은 ,이제 AI의 시대가 오고있는데, 미래 사회의 모습은,

  • @yjs8126
    @yjs8126Ай бұрын

    저보다 나이는 어리시지만 제가 지식을 배우게 되었으니 선생님 입니다 지금껏 완벽히 모르고 지낸게 제가 어릴때 공부를 안한게 티나는군요

  • @user-gp3il2kg4e
    @user-gp3il2kg4e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thatsnotcool007
    @thatsnotcool007Ай бұрын

    혼돈하시는 것 같은데, 공산주의는 경제관점 개념이고 사회주의는 사회시스템 관점 개념입니다. 사회주의내에도 온건에서부터 극좌까지 스펙트럼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중 극좌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는 궁극적으로 같은 개념으로 수렴합니다.

  • @taeseongjo4506

    @taeseongjo4506

    Ай бұрын

    그게 일반화의 오류죠. 보수주의 유튜버가 잘해설한게 있는데 민주주의, 공산주의,사회주의 순입니다. 경제개념으로 분류되는게 아닙니다.

  • @jinhwanbae5074

    @jinhwanbae5074

    Ай бұрын

    자본론, 공산당선언 등을 읽어보시면 본인이 말한 오류를 찾으실 수 있을 거에요. 아니면 이다지님의 영상을 끝까지 찬찬히 보세요.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는 같은 개념이 아니고, 수렴? 이라뇨? 개념을 잘 못잡으셨어요. 걱정되는건 이런 교육을 지금 청소년들은 받고 있어요. 그들과 소통하시려면 님의 사상도 업그레이드 해야합니다. 세상 많이 변했어요.

  • @user-if4yp7rp7c

    @user-if4yp7rp7c

    Ай бұрын

    사회주의에 사회라는 글자 쓴다고 경제하고 상관 없는 거처럼 말하는 이 사람 머지? 모르고 하는 말인가? 알면서 물타기하는건가? 정치시스템과 경제체계를 공산화한 사회이념이 사회주의잖아!!!

  • @thatsnotcool007

    @thatsnotcool007

    Ай бұрын

    @@user-if4yp7rp7c 좀 어렵죠? 많이 헷갈리죠?

  • @kimsukku
    @kimsukku26 күн бұрын

    사회주의 곧 공산주의 개념인데 사회주의를 지향 하자든 사람이 국회에도 있었죠 조기국 같은 사람

  • @user-ef9qz8ks1y

    @user-ef9qz8ks1y

    22 күн бұрын

    조국입니다

  • @user-cd2om9bx8f
    @user-cd2om9bx8fАй бұрын

    쉽고 간략하게 설명 잘 하시네요

  • @blackmoth3238
    @blackmoth32382 ай бұрын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에 대해서 명확하게 차이점에 대해서 구분하자면 사회주의는 생산수단(공장, 토지, 자연자원)을 공유화 하고 나머지는 사유화를 허용하는 경제이념이지만 반면에 공산주의는 제화를 공유하거나 사유화된 재화의 평등한 재분을 추구하는 경제이념이라 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실 공산주의의 본래 정확한 명칭은 공배주의, 공분주의라고 해야 하는게 적합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 @2dajido

    @2dajido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10830jcm

    @10830jcm

    2 ай бұрын

    공산은 공동생산의 줄임말로 정확하게 똑같이 벌어서 똑같이 나눠갖자의 의미입니다...즉 공동생산 공동분배의 핵심이 공산주의의죠....

  • @blackmoth3238

    @blackmoth3238

    2 ай бұрын

    @@10830jcm 제가 쓴 댓글 일부 내용을 제대로 읽어보신건지..

  • @user_rnaxim

    @user_rnaxim

    2 ай бұрын

    사실 재화의 평등한 재분 보다는, 노동시간이 곧 교환가치라는 자본론의 사상처럼, 노동자에게 각자 유한책임을 부여하고 그에 따른 재화를 분배하는 개념이 공산주의라고 보면 됩니다. 이 말인 즉, 노동자는 자기 노동에 의해 벌어진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짊어진다는 무서운 말도 됩니다.

  • @czh9528

    @czh9528

    Ай бұрын

    어찌보면 기독교에서 말하는 천국임.헌데 기독교 천국이던 현실 인류 공산주의는 공상뿐.

  • @lucian_tv
    @lucian_tv2 ай бұрын

    재밌게 잘봤습니다 ;)

  • @2dajido

    @2dajido

    2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tb7wf2wd5e
    @user-tb7wf2wd5e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경제는 국가주의적 자본주의라고 할 수 있죠. 경제개발 5개년이란 것도 스탈린이 했던걸 모방한 것이고 건강보험등도 도입도 보수정권에서 했죠. 국가가 기업을 통제하면 성장한 국가가 대한민국이죠 이런 형태를 경제학상 자본주의라고 부르기 어렵다고 할 수 있습니다.

  • @user-oj5br6wk4r
    @user-oj5br6wk4r2 ай бұрын

    같은 말입니다. 공산주의자가 저항감을 누그러뜨리기위해 사회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 @jeheehan7234

    @jeheehan7234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사실상 같은놈이죠

  • @user-wi9pl8zj2g

    @user-wi9pl8zj2g

    Ай бұрын

    예를 들어 독일의 사회당의 미테랑 전대통령 당시 독일은 공산국가 였을까요?

  • @user-qr9xv7rb2i
    @user-qr9xv7rb2i2 ай бұрын

    응원합니다!

  • @user-ez2qo9sc5p
    @user-ez2qo9sc5pАй бұрын

    엄청 이쁘시다

  • @user-ke1kh1rc9r
    @user-ke1kh1rc9r10 сағат бұрын

    이다지 샘님 설명참잘하시네요 맘에 들어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