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면, '이것만' 할 겁니다. 뇌과학자가 말하는 인류 최고의 공부법 (박문호 박사 4부)

Тәжірибелік нұсқаулар және стиль

👇지식인사이드 네이버 카페 가입하기
cafe.naver.com/knowledgeins
👇지식인사이드에 출연을 원하신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forms.gle/u4LxVcwFdhvkLH8m6
오늘은 박문호 박사님을 모시고
집합론적 사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영상이 유익 했다면 구독!! 영상이 재밌으셨다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박문호 #지식인사이드 #뇌과학 #공부법
00:00 인트로
00:16 사고력 3배 올리기 위해 ‘숫자’부터 똑바로 알아라
06:32 4가지 법칙만 이해하면 사고력이 올라간다 -1
08:26 4가지 법칙만 이해하면 사고력이 올라간다 -2
10:56 4가지 법칙만 이해하면 사고력이 올라간다 -3
12:59 4가지 법칙만 이해하면 사고력이 올라간다 -4
18:31 집합론적 사고 가장 쉽게 하는 법 찾았다
27:11 집합론적 사고로 감정을 지배하라
32:44 집합론적 사고를 꼭 해야하는 이유
제작 : 어썸엔터테인먼트 (주)
awesomeentad.com/

Пікірлер: 684

  • @user-gk9gl3xu5x
    @user-gk9gl3xu5x10 ай бұрын

    이해한 내용 세줄요약 1.지식에는 위상이 있다. 상위 위상은 관계이고 하위 위상은 개별 지식이다. 2.상위 위상인 관계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3.공부는 상위 위상인 관계를 장악하는 단순화 과정후 하위 위상인 개별 지식을 정리하는 복합화 과정의 연속이다.

  • @user-vp9rb6fo9k

    @user-vp9rb6fo9k

    10 ай бұрын

    국어 최소 1등급

  • @user-oc4ss9lg8n

    @user-oc4ss9lg8n

    8 ай бұрын

    장악하는 단순화 과정이라는 말이 좋네요 감탄했습니다

  • @user-re7hp5sl5s

    @user-re7hp5sl5s

    8 ай бұрын

    와♡ 고마워요!!!

  • @user-vh5up2qj4u

    @user-vh5up2qj4u

    5 ай бұрын

    오~!!!!

  • @user-xp8kj3iz5i

    @user-xp8kj3iz5i

    4 ай бұрын

    좋네요

  • @araimizan
    @araimizan10 ай бұрын

    효과적인 공부의 핵심은 한 가지에 집중하는 것이다. 연산보다는 관계가 우선이라는 연설자의 주장에 따르면, 실제와 가상 세계 사이의 구분은 불필요하다. 존재하는 것은 모두 관계이며, 관계 자체가 우주다. 문맥을 분리하는 능력은 인간에게 일반적인 지능과 창의력을 제공한다. 연설자는 30년 동안 훈련 세트 이론적 사고를 통해 어떤 책이든 한 두 개의 다이어그램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정보를 재구성함으로써 그것을 어떤 공부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다. - 가장 중요한 것은 관계를 공부하는 것입니다. 사물과 계산보다 관계가 먼저옵니다. - 관계는 실제 세계와 가상 세계 사이의 구분보다 더 근본적입니다. - 관계의 집합은 물질과 입자를 통합하여 계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물체 간의 관계는 시간이 지나면서 드러날 수 있습니다. - 현상의 형성과 해체는 조건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과정을 이해하면 변화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세부 사항 대신 집합으로 공부하면 복잡한 개념을 더 명확하고 조직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집합적 사고를 훈련함으로써 우리는 지식을 새로운 방식으로 재구성하고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집합적 사고를 통해 우리는 우리의 시각이 제한되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 감정은 논리적 단계와 반복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기술적 문제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가 무엇을 모르는지 인식해야 합니다.

  • @user-lo4xv7oq8y
    @user-lo4xv7oq8y9 ай бұрын

    공부 좀 안해본사람은 못 알아듣겠네요. 완전 고급편이네요. 평생 공부만 해온 사람. 학자라는 말이 잘 어울리는 분이네요.

  • @user-yl2xn9hx7v
    @user-yl2xn9hx7v10 ай бұрын

    1.관계 이해 2.변화 이해 3.삶의 균형 4.패턴 찾기

  • @dongsK
    @dongsK10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 @user-fd6lj2jp7c
    @user-fd6lj2jp7c10 ай бұрын

    이런 귀한 강의에 감사드립니다 박사님..!❤

  • @moonlightsilvery6680
    @moonlightsilvery668010 ай бұрын

    변화율을 이렇게 다양하게 활용하는 법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최고의 인사이트를 주시네요

  • @zenis3456
    @zenis345610 ай бұрын

    교수님! 지식최계의 이해를 도움주셔서 감사드리고, 관계연상을 더 배워보겠습니다,자주 뵙기를 바랍니다,회이팅!

  • @Jo-pb8ee
    @Jo-pb8ee10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MusRelax-it8nu
    @MusRelax-it8nu8 ай бұрын

    주제: 관계가 먼저다 단어와 단어가 있을때 단어의 해석이 먼저가 아니라 단어와 단어사이의 관계가 먼저다 예를 들면 사과와 딸기를 예를 들면 둘다 과일이고, 빨간색이다. 거기서 파생되는 다양한 부분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밑으로는 안읽으셔도 됩니다.읽고 싶은 사람만!) 생각의 연결고리가 다른 생각을 만들죠 예를들어 길을걸어가다 나무를 보았다 나무를 자세히보니 열매가 있었다 그 열매는 생전처음보는 열매다 그 열매를 관찰했더니 세모네모동그라미가 합쳐진 모양이다 맛을보았더니 새콥달콥짭잘이다 그 과일을 분석해보았더니 어떤 원소기호로 이루어져있더라 라는것 까지 가게 됩니다 인류의 발전을 보면 물리적 현상을 통해 발견을 하게되고 그 발견을 통해 새로운 관계를 발견합니다 그 관계를 보니 새로운 개념이 도입되고 새로운 판도라가 열립니다 공부는 매한가지입니다 우리가 오감과 뇌의 상호작용을 통해 물체를 인지하고 이해하고 나에게는 좋은 것이다 나쁜것이다 라는 관계까지 만들어갑니다 결국은 학습은 인류가 발전한 모습대로 학습하면 된다는 논리입니다 무작위 암기가 아니라 결국은 이해인데 이해는 단어의 개념이 두루뭉실한상황에서도 관계를 이해하면 그 단어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게 된다는 거죠 우리 뇌는 관계를 통해 이해하게 프로그래밍 되어있기때문이죠 생물학적으로 들어가면, 관계를 보다보면 도파민이 형성됩니다 암기는 도파민보다 스트레스를 만들지요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 ! 우리 뇌의 구조를 활성화 하는겁니다 그게 공부방식의 핵심인듯합니다 ㅎ

  • @user-ou2vl2rl5y

    @user-ou2vl2rl5y

    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저장해놓고 다시 보고싶네요

  • @user-yq5st2ee2n

    @user-yq5st2ee2n

    Ай бұрын

    와...설명 너무 감사해요

  • @jinnykim88
    @jinnykim8810 ай бұрын

    매번 박문호 박사님 강의를 들을때마다 경외심을 느낌니다!!

  • @user-fc9wd4ie6h
    @user-fc9wd4ie6h10 ай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인사이트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bitcoin5957
    @bitcoin595710 ай бұрын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뭔가 배우고 싶다는 내면의 꿈틀거림이 느껴지네요

  • @Maria-fi7ux
    @Maria-fi7ux10 ай бұрын

    박사님. 너무나 많은것을 깨닳아 놀라울뿐입니다. 위대한발견을 이렇게 공부했으니 너무감사합니다

  • @xiuyan1234
    @xiuyan123410 ай бұрын

    볼때마다 감탄합니다. 그동안 따로 알고 있던 지식들이 집합과 관계, 패턴이라는 큰 덩어리 속에서 취합되고 각자의 자리를 찾아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물론 아직 많이 미숙하지만 큰 깨달음을 얻고 갑니다.감사합니다.

  • @ROMO-bf3ek
    @ROMO-bf3ek10 ай бұрын

    어려운 것을 접했을 때 머리가 터져나가는 것 같지만.....그러고 나서 깨닫는 것들이 분명히 있더라고요. 어려운 것을 이해하려는 노력에서 깨달음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박문호 교수님은.....항상 느끼지만,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 @user-xx5iw3wd9p
    @user-xx5iw3wd9p10 ай бұрын

    우~와 대박!!!! 이렇게 귀한강의를 내가 직접듣게 되다니~~~ 너무도 감사드립니다~~~~~^^

  • @kyungsun1009
    @kyungsun100910 ай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유튜부를 있게한 수 많은 사람들 그들의 재능, 수고, 모든 조건들에 감사합니다

  • @Jin-so4pb
    @Jin-so4pb7 ай бұрын

    최근 박문호 박사님의 강의를 몇개 보게 되었는데, 놀랍습니다. 모든 걸 연결하신 지식과 철학이 경의롭습니다.

  • @hr4836
    @hr483610 ай бұрын

    와우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 후반강의에서 감정 부분의 알아차림과 패턴. 이건 심리학 이론과 기법 중의 하나인데.. 이 강의 내용과 연결되는게. 신기합니다!!

  • @kilee2861
    @kilee286110 ай бұрын

    이영상에 우주의 비밀이 담겨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박사님!

  • @user-xg3qw5cq8h
    @user-xg3qw5cq8h9 ай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이 계시고 유튜브가 있어서 이런 훌륭한 얘기를 집에서 누워서 듣다니! 이 시대가 고맙다! 박사님! 감사합니다!

  • @dh9888
    @dh98889 ай бұрын

    아 !!! 수준 높은 최고의 강의를 듣다니 너무 감사드립니다

  • @qwqwqwqwqw458
    @qwqwqwqwqw45810 ай бұрын

    여러모로 중요한 마인드맵이나 교과서 목차읽기도 결국 이 관계성이라는 같은 맥락일수 있지만 선생님이 알려주신 방법은 그걸 구체적 기호로 표기 하므로서 우리뇌가 더 쉽게 인식하고고 기억할 수 있겠내요. 마인드맵은 관계성을 따지지 않고 뇌의 연상작용을 활용하는 건데 선생님이 말씀하신 이것과 결합시키면 훨씬 효율적일 거 같아요

  • @leonardogene
    @leonardogene8 ай бұрын

    많은 공부가 됐습니다.. 매우 흥미로운 정보였습니다. ^^ 박 박사님의 통찰력에 경의를 표합니다.

  • @user-hu5yz7dc8i
    @user-hu5yz7dc8i10 ай бұрын

    굉장한 인사이트가 있는 가르침입니다... 이건 진짜 가르침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vj7xf7ik7v
    @user-vj7xf7ik7v10 ай бұрын

    와.. 와.. 소름이 끼치네요. 얼마나 공부를 하면 이런 통찰력과 인사이트를 갖게 될까요..

  • @user-dt3ji3le8p
    @user-dt3ji3le8p9 ай бұрын

    감정과 학문을 집합론적 관계로 접근하라. 결국 동어반복일 뿐이니 시간의 경제성이 확보된다. 명쾌하고 쉽게 설명해주셨네요. 무슨 말씀이신지 마음으로 확 와닿습니다. 감사합니다. ^^

  • @gyk3193
    @gyk319310 ай бұрын

    유레카~~~~대단합니다. 이렇게 지식을 나눠줘서 정말 감사합니다....

  • @sellandbuyedu
    @sellandbuyedu10 ай бұрын

    예시가 많아 이해하기 쉬웠습니다. 결국 균형을 잡고,이면을 보고, 본질을 찾고 패턴화, 관계성을 찾으라는거군요.

  • @user-losbdhhm
    @user-losbdhhm10 ай бұрын

    박사님 건강하시길 빕니다 감사합니다~~^^

  • @hedda.gabler
    @hedda.gabler9 ай бұрын

    평생을 연구해오신 내용에 대해 압축적이고도 명쾌한 강의 들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집합론적 관점에서 패턴과 구조를 파악한 뒤 세부로 들어가는 학습 과정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금 새기게 되었습니다.

  • @user-cn2ml9xf9k
    @user-cn2ml9xf9k10 ай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최고입니다~

  • @user-kl4wz5hn4t
    @user-kl4wz5hn4t10 ай бұрын

    명괘해서 좋습니다. 앞으로 공부의 방향성을 얻은 기분입니다.

  • @user-ek6mp4wy3g
    @user-ek6mp4wy3g10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dm2je7dh4o
    @user-dm2je7dh4o10 ай бұрын

    와 너무 재밌어요 교수님말씀 계속 듣고싶습니다!!

  • @De_art700
    @De_art7008 ай бұрын

    정말 대단한 강의입니다 공학도인 저로서 역사와 감정에 그것을 적용하시니 놀라울 따름입니다

  • @Choco-jn1dl
    @Choco-jn1dl9 ай бұрын

    저도 다 연결돼었다는 것을 가슴으로만 느끼고 있었지만 구두로 세밀하게 설명해주시니 아주 프랙티컬 합니다 :-) ❤

  • @watching1577
    @watching157710 ай бұрын

    감동입니다 존경합니다 고맙습니다

  • @SwanChristianity
    @SwanChristianity7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좋은 통찰을 얻습니다.

  • @user-rp8oz5rm5v
    @user-rp8oz5rm5v5 ай бұрын

    정말정말 대단한 강의 첨으로 감동입니다 홀릭 항상건강하세요

  • @slowstacker1353
    @slowstacker1353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박사님. 내용이 길고 복잡하면 다 보기 어려워하는데 1부 부터 설명 들을수록 감탄하게 되서 4부까지 빠져들었네요. 이제 내 것으로 만들어야 남는건데 그렇게 됐으면 좋겠습니다.

  • @RoYMiK
    @RoYMiK7 ай бұрын

    엄청나네요~! 지금까지 본 유튭 영상 중 탑 3에 들만큼 흥미진진 신나게 보았습니다~!

  • @user-zw6hx8dh3v
    @user-zw6hx8dh3v10 ай бұрын

    박문호박사님! 를 각성하는 귀중한 공부시간입니다! 놀라습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 @rinaj9478
    @rinaj94789 ай бұрын

    귀한 지식을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jkr4382
    @jkr43826 ай бұрын

    저에게 정말 큰 개념을 깨닫게 하는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bj3vv7bt2i
    @user-bj3vv7bt2i16 күн бұрын

    정말 잘 들었습니다 저도 집합론적사고로 접근하는 연습부터 해보겠습니다

  • @user-hx1vb2ln7o
    @user-hx1vb2ln7oКүн бұрын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 @user-oh5ye5mf8w
    @user-oh5ye5mf8w10 ай бұрын

    ❤항상 훌륭한 강의 감사합니다 ❤

  • @Nick-os8ws
    @Nick-os8ws10 ай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 @kilsansa
    @kilsansa9 ай бұрын

    박사님 천재 아니신가요? 감동적입니다 !!

  • @user-bs6qu8rv5e
    @user-bs6qu8rv5e8 ай бұрын

    명강의 들으러 왔습니다 진짜 순수한 박사님 존경합니다

  • @user-ro2hw7xj7j
    @user-ro2hw7xj7j10 ай бұрын

    버릴말이 하나도 없는 개념적설명으로 꽉찬 말씀이네요 박사님의 모든말을 더 깊이 이해하고 그대로 기억하고 싶어 글로 써서 읽어보고 있어요 ㅎㅎ

  • @user-ge3jy6cm9f
    @user-ge3jy6cm9f8 ай бұрын

    wow.., 지금것 존재하는 모든 동영상 강의중에 최고의 영상입니다. 백번은 반복해서 봐야 할 것 같내요..오늘 첫 번째입니다. 그동안 해오신 말씀들이 종합적으로 정리해주시내요. 감사합니다.

  • @user-ye4ux7eu4c
    @user-ye4ux7eu4c9 ай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강의 내용이 인사이트를 주고 충격을 주는 내용입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 @sehaoh2833
    @sehaoh28338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습니다. 구독했습니다

  • @jincyber1626
    @jincyber162610 ай бұрын

    너무 길어서 12분정도만 봤는데도 공감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GinaQueen
    @GinaQueen8 ай бұрын

    발견이죠 모든것이🙏 고맙습니다

  • @ilwonlee9103
    @ilwonlee91039 ай бұрын

    캬. 뭔가 어렴풋하게 느끼고 있던 것들을 명확하게 정리해 주시네요.230826.

  • @user-tm5km3nm2q
    @user-tm5km3nm2q10 ай бұрын

    집합을 만드는 것과 집합을 분해하는 방법으로도 활용할 수 있겠군요 감사드립니다.

  • @user-gh1rj5tm3j
    @user-gh1rj5tm3j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정말 귀하고 소중한 영상 ~~~~

  • @sunsu_haja
    @sunsu_haja10 ай бұрын

    헉 봐야지❤

  • @user-yy2jl7nc1p
    @user-yy2jl7nc1p9 ай бұрын

    교수님 정말 깨달음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을 처음 달아보네요 충격-받은 내용이라 감동적입니다

  • @user-rw2zc5rt5d
    @user-rw2zc5rt5d9 ай бұрын

    운명적 문과의 입장에서 중간 중간 굉장히 이해가 어려운 부분이 있었는데 이 강의를 집합론적 사고로 바라보면 집합론적사고의 조망- 관계 -기술적 접근- 역설 - 모순 - 균형 대략 이렇게 기억으로 남습니다.

  • @user-zz2ji2gp5v
    @user-zz2ji2gp5v10 ай бұрын

    잘들었습니다 😂😂

  • @user-bz5sm8iv8s
    @user-bz5sm8iv8s10 ай бұрын

    와 이영상 35분짜리였네 댓글보고 알아차렸어요 확 끌려오는 명강의 감사합니다

  • @user-dt6vx3cv3n
    @user-dt6vx3cv3n7 ай бұрын

    와…머리에서 막 번개가 치는게.. 여태 무의식적으로 행하던 사고방식이 정의가 되는 느낌도 들고, 사고의 그릇이 더 넓어지는 느낌도 드는게.. 정말 감사합니다..

  • @user-bp6os5ne7o
    @user-bp6os5ne7o10 ай бұрын

    박문호박사님 명쾌히게 하늘이준 분별력을 기르처주어셔서 감사하고 존경합니다 더욱건강하시고 바른 인간의 생각의길 을 이끌어 하늘끝까지 과학으로 기는 길을 찾을 것이라고믿읍니다

  • @EV-ej3yc
    @EV-ej3yc10 ай бұрын

    이분이 지식과 그에 대한 이해도는 국내 최고인듯.

  • @gbk9224
    @gbk922410 ай бұрын

    명쾌한 설명을 들으니 이해가 잘 됐는데 뭐가 뭔진 모르겠는걸 보면 유익한 시간이었던 것 같다.

  • @user-wk3ns2jt1s
    @user-wk3ns2jt1s9 ай бұрын

    제 인생최고의 멘토십니다. 정말 존경합니다

  • @darkness-star1111
    @darkness-star11119 ай бұрын

    사각형이 핵심이구나... 오케이. 감사합니다. 사고방식의 중대한 방향을 얻었습니다.

  • @mjcho9396
    @mjcho939610 ай бұрын

    엄청난 영화 한 편을 본 듯한 느낌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yl2xn9hx7v
    @user-yl2xn9hx7v10 ай бұрын

    와 이 박사님 정말 똑똑하시다.. 중간중간 이해가 잘안되지만 핵심은 모든 학문이 집합적인 관계로 되어잇으니 관계를 파악하는데에 집중해라는 말.... 휴우 진짜 대단하심와우 영상보는내내 놀라움

  • @user-jw7iz1ic5t
    @user-jw7iz1ic5t8 ай бұрын

    와아! 진짜 멋지십니다.

  • @user-jl4ne3zd4t
    @user-jl4ne3zd4t5 ай бұрын

    너무 명강의네요~

  • @ggwqedsa9621
    @ggwqedsa962110 ай бұрын

    인티제고 예체능이라 수학은 안했었는데 드럽게 흥미롭고 재밌네요

  • @HY-le9bz
    @HY-le9bz9 ай бұрын

    몰라도 재밌네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user-pb8tb2op7l
    @user-pb8tb2op7l10 ай бұрын

    영상길어서 배속올려서 보고싶었는데 자막 감사합니다.

  • @hyesu6785
    @hyesu678510 ай бұрын

    분과되어있는 학문을 통섭해야 하는 이유와 그 방법론으로 집합론적 사고, 궁극의 지점인 관계, 모순, 현상적인 것과 물리적인 것의 구분 으로 이해를 했습니다. 알면 알수록 대단하신 분. 오늘 강의에서 말하는 사고법을 연습해 가면서 조금이나마 닮아가고 싶습니다🙏

  • @user-re7hp5sl5s

    @user-re7hp5sl5s

    8 ай бұрын

    정말 근사한 분들입니다 부러워요 ㅎ

  • @user-jo6lr1qp7y
    @user-jo6lr1qp7y10 ай бұрын

    수학을 전공으로 오랫동안 공부해왔고, 철학과 인간관계, 그리고 가르치는 방법론에 대해 오랜 고민을 해왔던 제게 가장 깊은 깨달음을 준 강의입니다. 정말 감사하다는 말씀 드리고 싶네요.

  • @user-ku1bu4vx1q

    @user-ku1bu4vx1q

    10 ай бұрын

    어떤 깨달음을 얻으셨나요?

  • @user-re7hp5sl5s

    @user-re7hp5sl5s

    8 ай бұрын

    근래 보이지않는 세계늘 구체화시켜서 알수있게 느끼게 해주려 노력하시는분중 김주환샘/박문호샘 두분을 알게된게 고맙뎌라구요 멋진분들입니다

  • @user-lg7dn9mq5l

    @user-lg7dn9mq5l

    7 ай бұрын

    저도 수학과 나왔고, 원리원칙 중요하다고 들은 사람중 한명입니다. 인간관계에도 규칙이 있지않나 혼자 25년동안 고민하다가 부딪히며, 직장생활 깨지고 머릿속에서 지우고 살았는데요ㅜ 이렇게 통쾌하게 수학적으로 접근해주니 너무 후련하고 시원합니다!!!

  • @Mmm-pq1yg

    @Mmm-pq1yg

    6 ай бұрын

    뭔가 물리가 터지신 느낌이네요. 저도 더 공부해서 그 수준으로 따라가고 싶습니다. 부럽습니다. ^^

  • @sujeongpark4371

    @sujeongpark4371

    6 ай бұрын

    멋지네요. 대상보다 관계가 먼저라는거.

  • @user-ip6dw1mr5t
    @user-ip6dw1mr5t9 ай бұрын

    수의 발견 ᆢ놀랍지만 이치적이네요. 감사합니다🎉

  • @ckck3482
    @ckck348210 ай бұрын

    감정에서 알아차림이 제일 우선이다 그러나 모순인게 알아차린 순간 이미 늦은거라는거다.그 감정이 일어났기때문에 알아차린거라 예측한다는것은 모순.. 그래서 예측하려면 이전기억으로 변화율을 따져봐야한다. 미리 이전기억으로 감정이 일어나기 전에 예측 진짜 무릎을 딱 치는 명강의입니다

  • @user-wj1im2um3r

    @user-wj1im2um3r

    10 ай бұрын

    변화율이라.... 뜬금없지만 경마쟁이들이 참고해야 할 댓글입니다. 내 닉을 아는 경마쟁이들 지금도 늦지 않다. 어짜피 못 끊을 경마라면 이기는 돈을 따는 베팅을 해야하지 않겠나.

  • @candleproducer3106

    @candleproducer3106

    10 ай бұрын

    주식투자자들도 명심해야 할 명강의입니다.

  • @user-eq8tt1li5c

    @user-eq8tt1li5c

    7 ай бұрын

    이거 육아하는 입장에서 너무 공감했던게, 아이들한테 욱하기 직전에, 평소보다 내가 너무 욱하고 있다는 감정을 알아차린 후에 혼자 죄책감만 많이 갖고 있다가, 호르몬 변화에 의해 그런 시기들이 생겨난다는 걸 깨닫고는 그런 시기가 다가올 때는 '이전기억'으로 욱, 올라오던 것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었어요. 감정을 기술로 새롭게 접근해서 조절해야한다는 말, 너무너무 와닿았어요. 사람이 약을 먹는 것도 그런 거에 속하겠죠? 진짜 무릎 딱 치는 명강의.......

  • @orter4829
    @orter482910 ай бұрын

    현재까지 등장한 패턴화중에 가장 상위개념이네요. 대단하십니다. 분류된 여러 항목에서 상위의 통합개념을 찾는 작업은 필시 다수의 표본이 필요한데, 학습이라는 카테고리의 다양한 표본을 학습하는 과정부터 넘사벽인데 거기서 패턴을 발견하신건 엄청난 통찰력이십니다. 저도 꼭 익히고싶습니다!

  • @orter4829

    @orter4829

    9 ай бұрын

    @@user-wz8kz9gx4e 많은 사람들에게 인정받는 학문이 하루아침에 뚝딱 만들어지는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자신만의 관점과 철학을 바탕으로 오랜 시간을 들여 이루어낸 성과를 비하하시려는 의도는 아닌가 생각이 드네요. 이번에 등장한 상온 초전도체 LK-99 역시 기존의 이론과 다른 방식으로 제조되었고, 이에 대해 학계도 기존의 이론에 들어맞지 않는다는 점에 대한 반발을 가진 그룹과 새로운 시각이라는 점에 대한 참신성에 높은 점수를 주는 그룹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한 사람의 인생을 쏟아 만들어진 결과물이니만큼 긍정적인 면을 보려고 하는 편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 @parkjeonggyu6401

    @parkjeonggyu6401

    9 ай бұрын

    @@user-wz8kz9gx4e 그럼 님이 나와서 설명해주세요..

  • @user-cu5oy9ph1f

    @user-cu5oy9ph1f

    8 ай бұрын

    ​@@user-wz8kz9gx4e어색한 한국어 표현으로 보였던 게 혹시 뭐가 있을까요?

  • @seongmin_choi1123

    @seongmin_choi1123

    7 ай бұрын

    @@parkjeonggyu6401 틀린말은 없는데 과하게 반응하시네요

  • @alumina_0001
    @alumina_000110 ай бұрын

    최고입니다 👍

  • @gunko3953
    @gunko395310 ай бұрын

    와,, 엄청난 내용이네요... 엄청나게 도움되었습니다.

  • @user-hi4fw4et3m
    @user-hi4fw4et3m10 ай бұрын

    초반부를 들으며 양자역학의 "관측은 전자들의 상호작용이다"를 더 깊게 이해하게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 @hahahohoaaha

    @hahahohoaaha

    10 ай бұрын

    정말 공감되는 부분입니다 소름 돋는게 감정이 기술적 문제라는 설명과 불에 비유하는 부분에서 더더욱 양자역학이 떠올랐습니다..

  • @sanghahwang
    @sanghahwang10 ай бұрын

    먼저 숲을 보고 나무를 보라는게 핵심이네요ㅎㅎ 즉, 이치를 깨닫고 그 속에 들은 작은 요소를 깨닫는것이 중요하다라는 말이 되는 것 같습니다ㅎㅎ

  • @user-id8nu7wj3b
    @user-id8nu7wj3b9 ай бұрын

    진짜 박사다 이 사람은

  • @user-of9ey7jg2k
    @user-of9ey7jg2k6 ай бұрын

    박사님께 많이 배웁니다.

  • @user-gx3du6jg7f
    @user-gx3du6jg7f9 ай бұрын

    수학 발견이란 말씀에 찬성 입니다

  • @mcgurrenj1612
    @mcgurrenj161210 ай бұрын

    같은 대상이라도 항상 대상이 아닌 상황으로서 이해하려고 해왔고 이러한 관점이 큰 도움이 됐다고 생각했는데 그 이유를 조금 알 수 있게 됐네요

  • @housewifebeginner1518
    @housewifebeginner15185 ай бұрын

    언젠가는 이해하고 싶습니다

  • @kaiserwilliams6569
    @kaiserwilliams656910 ай бұрын

    모든 지식을 패턴화 해서 기억하라는 말씀같네요

  • @user-pt4il9qi3b
    @user-pt4il9qi3b10 ай бұрын

    명강의입니다

  • @byho4991
    @byho499110 ай бұрын

    모든 현상(일어나는 일)에는 관계에 의한 패턴이 있고, 배움에 있어서 이 패턴을 시각화(도형화) 하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라고 겨우 겨우 이해했네요. 박사님 의도에 맞게 이해했는지는 의문이지만요.

  • @hadonlee4668
    @hadonlee46689 ай бұрын

    앞에서 무슨소리를 하는지 몰랐는데 23:14 와 이해가 여기서 확되네요 저도 이런식으로 했던거 같아요 엄청 유익한 영상이되었습니다.

  • @lim5081
    @lim508110 ай бұрын

    진찐 박문호 박사님 존경합니다~~ 학문의 이해가 신비롭다는 생각까지 들 정도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mt4vf8do1v
    @user-mt4vf8do1v10 ай бұрын

    우주와 사물을 꿰뚫는 자신만의 패턴을 찾으신 거 같습니다. 해당 전공 지식이 없으면 한 문장을 이해하는 것조차 어려워 보이네요 언젠가 저도 박문호 박사님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며 통찰을 나눌수 있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 @w-13
    @w-138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지식이라서 제가 따라갈 수 없을 것 같습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