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팡이 핀 돼지고기가 세계 4대 진미? 초원에서 야생 도토리 먹고 자란 자연 방목 흑돼지로 만든 최고급 햄의 놀라운 맛과 가격|스페인 이베리코 하몽 공장|세계테마기행|

※ 이 영상은 2020년 10월 13일에 방송된 <세계테마기행 - 유럽의 골목길 2부. 맛있는 땅, 이베리아>의 일부입니다.
개구리에 이어 살라망카의 또 다른 명물, 이베리코(Ibérico) 돼지를 찾아 드넓은 초원이 펼쳐진 에스트레마두라(Estremadura)로 향한다. 무려 여의도 면적의 10배가 넘는 초지에서 도토리를 먹으며 살아가는 행복한 이베리코 돼지! 그 뒷다리로 만든 하몽은 세계 4대 진미로 손꼽힌다고 하는데, 과연 그 맛은 어떨까?
✔ 프로그램명 : 세계테마기행 - 유럽의 골목길 2부. 맛있는 땅, 이베리아
✔ 방송 일자 : 2020.10.13
#골라듄다큐 #세계테마기행 #스페인 #하몽 #햄 #돼지 #고기 #음식 #여행

Пікірлер: 28

  • @user-os1kw2cg9w
    @user-os1kw2cg9w Жыл бұрын

    이베리코 진짜 맛있음 일딴 집에서 구워도 누린 냄새가 안납니다 돼지라고 생각하고 굽는게 아니라 소고기라고 생각하고 조리하면됩니다 육질도 지방도 돼지가 아닙니다

  • @user-lr8nc9tu9p
    @user-lr8nc9tu9p Жыл бұрын

    대체 우리나라에서 하루에 수백톤 사용되는 이베리코 돼지는 어디서 오는겨..

  • @qwer-1557
    @qwer-1557 Жыл бұрын

    맛있겠다

  • @user-nw5uc7ll3q
    @user-nw5uc7ll3q Жыл бұрын

    아 하몽 먹고프다

  • @jdhkej5223
    @jdhkej5223 Жыл бұрын

    일본과 우리나라에서만 부르는 세계 3대니 4대니 하는 진미

  • @user-jn1ls4dk9h
    @user-jn1ls4dk9h Жыл бұрын

    이베리코가 맛잇긴한데. 한돈에 익숙한 한국인들은 좀 안맞을수도잇어요~! 저도 처음엔 별로였었는데.. 먹다보니 맛잇네요 ㅎㅎ

  • @user-go8dt2hm2h

    @user-go8dt2hm2h

    Жыл бұрын

    저쪽은 품종자체를 햄만들기 좋은 품종을 키우고 우리나라는 삼겹살이 많이 나오는 품종을 사육해서 그런듯

  • @user-hz4jj4no1m
    @user-hz4jj4no1m Жыл бұрын

    0:50 린저씨는 알고 있다

  • @khlee2636

    @khlee2636

    6 ай бұрын

    ㅋㅋ 리니지 음악을 여기에 쓰네

  • @user-dt5eo9sx7p
    @user-dt5eo9sx7p Жыл бұрын

    4대 는 아니고 한 십대나 될까말까 ㅎㅎㅎ 😅

  • @pjhpppop
    @pjhpppop Жыл бұрын

    수입산 삼겹살은 구워먹으면 텁텁한데 한돈은 고소함..

  • @kamikaje

    @kamikaje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키우는 돼지가 고소하다고?혀가 썩었나?한국은 6개월 키워서 출하를 하고 수입육은 8개월을 키워 출하 하는데 한국산이 고소하다?ㅋㅋ 외국산은 질감이 조금있으나 고소한 맛이 강하고 한국산은 부드럽지만 고소한 맛이 더 적다 아가야 ㅋㅋ 으이구 ㅉㅉ

  • @jasonshin4220
    @jasonshin42209 ай бұрын

    하몽의 하짜라도 꺼내지 마라. 그냥 쌩으로 먹었더니 미친듯이 짜다. 돈 날렸다. 차라리 스팸을 얇게 썰은 후 바짝 구워서 먹는 게 더 삿다. 하몽 ㄴㄴ 되도않는 게 개비쌈.

  • @user-nf7ej2sh9q

    @user-nf7ej2sh9q

    5 ай бұрын

    애초에 누린내나서 양념육밖에 못해먹는 뒷다리를 올려치는것부터

  • @grapehc
    @grapehc Жыл бұрын

    3대 어쩌구 특) 어느샌가 4대 되어있음

  • @user-hh9bc5kp8o

    @user-hh9bc5kp8o

    Жыл бұрын

    3대까진 거의 고정되어있지만 4대진미는 어느순간 나도 모르는 음식으로 바껴있음 ㅋㅋ

  • @CheriYoon5871
    @CheriYoon5871 Жыл бұрын

    사료로 사육하는 짐승보다 초원이나 방목지에서 키운 짐승들은 육질이 햄버거 🍔 용이죠.스테이크는 부드러운 육질이 좋아요

  • @GreenTeaZero

    @GreenTeaZero

    Жыл бұрын

    반대입니다. 미국이나 유럽에선 초지에서 방목한 소와 돼지의 고기가 더 비싸게 팔리고 있습니다

  • @user-um6gr2uq1j

    @user-um6gr2uq1j

    Жыл бұрын

    @@GreenTeaZero 그건 그나라 시장이 그런걸 수 있는데 우리나라 입장에서 보면 방목해서 키운건 잡내가 날수 있어서 잘 안먹습니다. 내장부위쪽인 안창살같은 부위는 실제로 잡내 이야기 하시는 분들도 많고요. 이베리코 블랙라벨 삼겹살 드셔보시고 우리나라 삼겹살 드셔보시면 차이를 아실듯 합니다.

  • @Sibal_KimJeunEun

    @Sibal_KimJeunEun

    Жыл бұрын

    방목한 돼지들이 사육장 돼지보다 더 질깁니다. 근육의 양 때문이죠

  • @CheriYoon5871
    @CheriYoon5871 Жыл бұрын

    에스파냐 이죠,스페인은 과거의 명칭이죠

  • @redwood99918

    @redwood99918

    Жыл бұрын

    공식영어명칭이 스페인인데요?

  • @user-hh9bc5kp8o

    @user-hh9bc5kp8o

    Жыл бұрын

    @@redwood99918 스페인어로 스페인 부를땐 에스파냐 라고 하고 영어 명칭은 스페인 맞음 과거 명칭은 아님 ㅋㅋ

  • @user-nf7ej2sh9q
    @user-nf7ej2sh9q5 ай бұрын

    폐암걸릴듯

  • @user-kt7sr8kb6w
    @user-kt7sr8kb6w Жыл бұрын

    불쌍한 돼지는 왜 괴롭혀.

  • @dinneroutsir8339
    @dinneroutsir8339 Жыл бұрын

    딱히 맛있지는....ㅋㅋ

  • @choiedward7433
    @choiedward7433 Жыл бұрын

    맜있기는 합니다만, 전 그저 술안주 정도? 중국엔 역사가 더 오래된 "하몽" 이 있고 맛도 제입맛이 서민적이라 그런지,, 뭐 값이야 특상품의 경우엔 스페인산이 훨 비싸지요. 개인의 식성 차이겠지만 Buz 연관해 나름 여러곳에서 정식을 먹었는데 중국 다련에서 20여년전 먹었던 해산물 요리가 단연 압권이었고 이후론 일부러 일 만들어 먹으러 가는데 도시가 상당기간 일본영향을 받아 중국 전통요리법과 함께 일찍히 퓨전화 됐는지 몰라도,, 그리고 회/회뭇침 은 당연히 한국 이구여,, ㅋ

  • @user-mt8so1ku7o
    @user-mt8so1ku7o6 ай бұрын

    하몽이 4대진미는 맞겠지만 나머지는 국산 삽겹살이 존나 압승임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