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미숙 특강] 우리는 왜 성공을 위해 달려가는가? 공부하거나 존재하지 않거나! 호모쿵푸스 | 읽고 쓴다는 | 교사 | 글쓰기 | 명리학 | 방송통신대학교 | 방송대 | 방통대

출연 및 제작문의
knoutube@gmail.com⠀⠀⠀⠀⠀⠀
호모쿵푸스-공부하거나 존재하지 않거나
출연자 : 고미숙
#고미숙 #특강 #호모쿵푸스
[다른강의보기]
ucampus.knou.ac.kr

Пікірлер: 57

  • @user-me1zm8vb8i
    @user-me1zm8vb8i4 жыл бұрын

    자기소질을 개발하여 끈기와인내로 한가지를 열심히하면 경지에 이르러 전문가가되고 성공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가지 일에 오랜 시간 선택과 집중으로 몰입했던 숙련된 기술에서 경지에 오른 것이겠지요. 인내하면서 지혜의 힘을 얻은 것도 이유일 것입니다. 한가지만 선택하고 꾸준하게 집중했다는 것. 그 자체만으로도 대단한 것 같습니다. 무슨 일을 하던지 최선을 다하다보면 모든게 잘하게 되겠지요. 함께 노력하여 행복해 집시다.

  • @user-me1zm8vb8i
    @user-me1zm8vb8i4 жыл бұрын

    오늘 하루만은 직장에서 건강하게 일하고 있는 것을 행복하게 생각해야지. 참호 속이나 병원의 수술대기실에 있지 않은 것이 참으로 다행한 일이라고 생각해야지. 건강한 날 되세요.

  • @user-me1zm8vb8i
    @user-me1zm8vb8i4 жыл бұрын

    우리는 모두 지구 안에서 얽히고설키며 이어져 살아가는 존재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자연에서 에너지를 얻고 마음의 쉼터가되고, 자양분도 얻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자연의 일부인 제게 어떻게 해야 자연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을지 고민해봐야 겠습니다. 주위에 있는 나무 한그루 풀한포기가 어느것 하나 필요하지 않는것은 아무것도 없다는것을 께닫는 시간으로 본인 자신을 뒤돌아 봐야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wl4te3vx9m
    @user-wl4te3vx9m3 ай бұрын

    박사님 너무 재밋습니다 저는76세 할머니 이며 이렇게 정직하고 재밋는 말씀은 내 생에처음들어 봅니다 이렇게 해박 하시고 자유로운 엉혼이 계시다는게 너무 반갑고 기쁘요

  • @mindsglee3320
    @mindsglee33204 жыл бұрын

    공부란 내 존재를 충만하게 할 수 있는 기운을 받는 것 ᆢ 내밖의 타자들과 접속하는 능력이 커지는 것 ᆢ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ᆢ 귀한 강의 감사합니다^^

  • @방송대지식

    @방송대지식

    4 жыл бұрын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구독도 부탁드려요

  • @user-nb9du6hy9o
    @user-nb9du6hy9o4 жыл бұрын

    TV본방에서 고정프로 강의해주시면 대한민국 청소년을 비롯.. 온국민은 맑고 밝고 정신이 풍요한 사회가 발돋움으로 향할듯 .. 다수가 고전평론가님 훌륭한 강의을 놓치시는분들께 아쉬움이자~~ 나는 행운입니다 고미숙평론가님무한감사드립니다🙆‍♀️

  • @방송대지식

    @방송대지식

    4 жыл бұрын

    덧글 감사합니다.^^고미숙님의 의견을 교양제작팀에 전달하겠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 @gina933
    @gina9333 жыл бұрын

    삶과 공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해주신 강의 감사합니다. 전율로 소름이 돋아요

  • @user-rk5tn7kn1i
    @user-rk5tn7kn1i3 жыл бұрын

    고미숙 선생님 제 인생의 멘토입니다.힘들때마다 들으며 마음을 다잡습니다. 강의 최근것 거의 듣고, 예전 들은 강의 다시 찾아 듣는데, 삶을 어떻게 살아야하는지 갈켜주셔서 늘 고맙습니다

  • @방송대지식

    @방송대지식

    3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의견에 대해 다음 콘텐츠 제작시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십시오.

  • @user-lw6nr8wl2v
    @user-lw6nr8wl2v5 жыл бұрын

    아~ 이런 귀한 강의를 듣게 되다니~~!!! 감사합니다^^

  • @방송대지식

    @방송대지식

    4 жыл бұрын

    성경미님 안녕하세요. 좋게 보셨다니 감사합니다. 구독과 좋아요를 클릭하시면 좀더 다양한 콘텐츠를 보실수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cv7zo1bo8d
    @user-cv7zo1bo8d5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ㅡ작업하면서 뒤늦게 많은 지식을 얻게됩니다ㅡ

  • @user-rd3ms3jx7u

    @user-rd3ms3jx7u

    5 жыл бұрын

    ,, ㅣㄱ

  • @user-ts2rl3to3m
    @user-ts2rl3to3m4 жыл бұрын

    공부는 내 존재가 근본적으로 충만하게 하는 기운을 받는거 라는 거 정말 공감합니다

  • @user-dm7ou9yj9j
    @user-dm7ou9yj9j4 жыл бұрын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마음에 와닿는말씀에 많은공감도 하면서 애쓰셨습니다 따뜻한 겨울되세요~..

  • @방송대지식

    @방송대지식

    4 жыл бұрын

    정복자님 댓글 감사합니다. 더 좋은 강의를 만들수 있독록 노력하겠습니다. 구독을 안하셨다면 구독도 부탁드립니다.행복한 하루되세요

  • @user-gb3vo8eb9v
    @user-gb3vo8eb9v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정알 오래전모습이네요 풋풋한모습 너무 보기 좋아요 유튜브정말 좋네요 이렇게 지난 강의를 또 볼수있다니 너무 감사한일이네요 늘 건강하세요~^^

  • @meesuk1004
    @meesuk10045 жыл бұрын

    고미숙선생님의 인문학 강의 듣고 고전으로 발길을 돌리게되는 강력한 끌림.선생님 뵙고십습니다.감사합니다

  • @user-zk4nm1lt1x
    @user-zk4nm1lt1x3 жыл бұрын

    방통대 졸업 했습니다 지금에 와서 생각해 보니 방통대 공부할 때가 가장 행복했던 이유를 이 강의를 듣고 알게 됐습니다 바로 그 시간이 나를 만나는 시간이었고 내 몸과 영혼이 자유롭고 풍요로웠던 시간들이었네요 고미숙선생님의 통찰력은 우리 시대 대안이네요

  • @방송대지식

    @방송대지식

    3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sy3kr7lb3p
    @user-sy3kr7lb3p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a880208ify
    @a880208ify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ts2rl3to3m
    @user-ts2rl3to3m4 жыл бұрын

    방통대 졸업생입니다ㆍ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fk9eh7qj3r
    @user-fk9eh7qj3r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jahsoolee4619
    @jahsoolee4619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감사합니다 강의 올려주신 방통대 여러분 감사합니다

  • @방송대지식

    @방송대지식

    3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좋은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 @user-er8fc8fp8s
    @user-er8fc8fp8s4 жыл бұрын

    "지식의 문제" 너무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방송대지식

    @방송대지식

    4 жыл бұрын

    댓글감사합니다.구독도 부탁드려요

  • @yulrichung5854

    @yulrichung5854

    3 жыл бұрын

    Kmi

  • @user-yn5iu3kc2v
    @user-yn5iu3kc2v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공부에대한 새로운 감각을 일깨워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 @방송대지식

    @방송대지식

    3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sb1wy1qg4u
    @user-sb1wy1qg4u3 жыл бұрын

    7년지난 지금도 통찰력 소오름 변화가 없네요 ㅠ 기술은 발전헀지만 인간의 철학적부재는 진행형인듯해요

  • @방송대지식

    @방송대지식

    3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user-ni7vm3ko8q
    @user-ni7vm3ko8q4 жыл бұрын

    그래요 그렀습니다^^

  • @rye8078
    @rye8078 Жыл бұрын

    9년전.너무 풋풋하시네요

  • @user-um6dl5lb8n
    @user-um6dl5lb8n Жыл бұрын

    공부는 손해가없다

  • @user-me1zm8vb8i
    @user-me1zm8vb8i4 жыл бұрын

    2 월에 하얗게 내리는 눈이 모처럼 외출길에 장애가 되네요 여기는 눈 구경하기가 힘들지만 윗쪽 지방은 대다수 눈이 내리네요 춘설은 풍년을 가져다 준다니까 반가이 맞아야 하겠지요 눈 맞으며 걷는 거리가 추우면서도 포근함이 감도는 날입니다

  • @user-um6dl5lb8n
    @user-um6dl5lb8n Жыл бұрын

    6학년인데 저경우도 학교에 대해 부정적이었음 당시는 학생인권도 없어서 학교 가갑 별 루배운게 없었다고 돌아보면

  • @user-me1zm8vb8i
    @user-me1zm8vb8i4 жыл бұрын

    내 작은 마음속에 무엇으로 인해 집착하고 있는지 그 한쪽 부분을 내려놓으면 행복이란 마음속에서 가볍게 날수있는 자유로움도 같이 할수 있지안흘까 생각 합니다. 모든게 자유로워지고 싶기도하고 그리고 진정한 자유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자신에게 물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자신을 조금 더 내려놓는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요 자유로워지는 것에 대한 그리움도 있겠지만 갈망도 하겠지요. 본인 중심에서 함께 간다면 가능하겠다고봅니다.

  • @youngkang3518
    @youngkang35184 жыл бұрын

    듣다 보니 통일교에서 합동 결혼식이 현실 문제를 완전히 타파한 꼴이네요..! 찍어서 결혼 시키니까..!

  • @방송대지식

    @방송대지식

    4 жыл бұрын

    댓글 감사합니다.앞으로도 더 좋은 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구독도 부탁드릴께요^^

  • @DHLee-lf4hm

    @DHLee-lf4hm

    4 жыл бұрын

    신선한 생각이네... 고 교수님 들으면 어이(의)상실이겠네

  • @user-mz7sn4jk2n
    @user-mz7sn4jk2n4 жыл бұрын

    당신을 응원합니다 ~~

  • @방송대지식

    @방송대지식

    4 жыл бұрын

    송상수님을 응원하겠습니다!!

  • @hera-33
    @hera-332 жыл бұрын

    👏👏👏👏👍🥳

  • @user-me1zm8vb8i
    @user-me1zm8vb8i4 жыл бұрын

    사랑하는 밧님들 건강하세요~ 하느님께서 너희는 서로 사랑하라 그리하면 복을 받으니 얼마나 가치있는 말인가요~ 진정성과 솔직함은 하느님한테 배운 것입니다 차별없이 사랑하고 좋아한다면. 언젠가는 알아주고 믿어줄 것입니다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인생 욕심없이 살다가 하느님께 순명에 따라 편안히 기도하며 빈곤을 풍요롭게 먼훗날 주님앞에서 떳떳이 설수 있도록 노력하며 사는게 소망입니다~^~ 조용히 자연으로 돌아가기를......

  • @user-jv8gt3ue3b
    @user-jv8gt3ue3b3 жыл бұрын

    高道士^^

  • @raynorkim7155
    @raynorkim71554 жыл бұрын

    ㅜ 이분을 6년 전에 왜 몰랐을까요 ㅜ

  • @방송대지식

    @방송대지식

    4 жыл бұрын

    고미숙님 특강이 하나 더있습니다. 검색창에 고미숙특강을 검색해 주세요^^

  • @TIOOT
    @TIOOT4 жыл бұрын

    40:46

  • @dosa533888
    @dosa5338884 жыл бұрын

    엄청난 엄마들.....사랑이라고?????.....28;00~

  • @hwania3396
    @hwania33964 жыл бұрын

    이게 언제적인거에요? 1990년대인가?

  • @DJ-qh1ds

    @DJ-qh1ds

    4 жыл бұрын

    2000년은 넘을것같아요. 호모쿵푸스란 책이 그때쯤 나온것 같아요.

  • @방송대지식

    @방송대지식

    4 жыл бұрын

    2013년 특강 자료입니다^^

  • @user-cb3gq7lk2q
    @user-cb3gq7lk2q4 жыл бұрын

    무슨 얘기를 하는건지? 자기 얘기가 자기에게 적용되는거네... 소설을 현실 기준으로 착각하고... 다 백수하면 되겠네... 정규직이 무슨 착취..? 고용체계가 없으면 된다는 얘기? 소수의 과도한 일반화.... 실망이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