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졸업후 25년이 지나 깨달은 것들...

Ойын-сауық

#고려대학교 #졸업 #깨달음

Пікірлер: 161

  • @ypj5275
    @ypj52752 жыл бұрын

    고대 졸업한지 10년이 넘었습니다. 사회 생활하다 보니 고대는 확실히 문과 강세 학교 더군요. 제가 졸업한 이공계는 고대 선후배들 간의 끈끈함? 그런거 없었습니다. 이공계 졸업생들은 한결 같이 우리 선후배들은 죄다 어디 있는지 모르겠다는 반응입니다.

  • @user-gc5rc9jz3b

    @user-gc5rc9jz3b

    2 жыл бұрын

    이공계는 정치논리가 먹히지 않는 곳이니까요. 그런데 이공계는 정치질 할 힘도 없어요. 맨날 현장에서 나사조이고 볼트 체결하고 하는데요. 게다가 지방에 있어서 다들 이직 생각밖에 안함

  • @august7566

    @august7566

    2 жыл бұрын

    연이 안닿았군요. 많습니다.여기저기 잘하고 있어요. 드러내고 아는척하세요

  • @alpha-oe5gi

    @alpha-oe5gi

    Жыл бұрын

    @@user-gc5rc9jz3b 저는 성균관대 기계공학과를 복수전공하고 있고, 지방 현장에서 나사조이고 볼트 체결하는 일을 하고 싶습니다. 어떤 직업을 가지면 되나요??

  • @user-gc5rc9jz3b

    @user-gc5rc9jz3b

    Жыл бұрын

    @@alpha-oe5gi 볼트 조이고 하시는게 좋으시면 현기차 생산직이 최고 입니다. 연봉이면 연봉 복지면 복지 노조면 노조 전부 최고에요.

  • @alpha-oe5gi

    @alpha-oe5gi

    Жыл бұрын

    @@user-gc5rc9jz3b 특성화계가 아닌 인문계 공대 전공으로서 할만한 일은요?

  • @102blessed_sean9
    @102blessed_sean93 жыл бұрын

    고대생이라는 정체성이 제 삶의 큰 부분임은 영원할듯 해요.. 우라 교우님들 항상 건강하시고 언제나 화이팅입니다 ~~

  • @icarus4656
    @icarus46562 жыл бұрын

    졸업한지 40년... 열정이 넘치던 그 때가 그립습니다. 교우님들 건강하세요... 정문 건너 골목길 총각집에 내 학생증 아직도 있을려나?

  • @user-qc5br7td5w
    @user-qc5br7td5w2 жыл бұрын

    21년도 입학생입니다! 정말 보면서 30여년 뒤의 내가 나에게 가르침을 준다면 이런 느낌일까 싶은 영상이었습니다...! 선배님들께서 쌓아오신 것들을 발판삼아 더 나아가도록 하겠습니다!

  • @user-gw6rm1ip5x
    @user-gw6rm1ip5x2 жыл бұрын

    많이 생각하게 되는...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50에 들어서니.. 인생에 대해서, 나와 타인에 대해서.. 성찰이 되더라고요. 저도 대학을 한번 찾아가 볼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저도 인생 2막. 새로운 삶을 시작해보려고요! 이제막 성인이 된, 사회에 나선 자녀들의 삶에, 좀 더 따뜻한 세상을 만들어주고 싶습니다...

  • @user-fs4xf3dh4b
    @user-fs4xf3dh4b2 жыл бұрын

    아름다운 추억은 큰 정신적 자산이기도 합니다 아름다웠던 순간의 기억들 오래오래 간직하세요 응원합니다

  • @jang-jun805
    @jang-jun805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항상 노력하고 겸손함을 유지하는 삶을 살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user-nb5dl5lb4g
    @user-nb5dl5lb4g2 жыл бұрын

    깨달음을 얻어가는 느낌이네요.

  • @user-or2dq8pe5q
    @user-or2dq8pe5q2 жыл бұрын

    이웃학교 연대생.. 잘 보고 갑니다

  • @kyurr_transfer
    @kyurr_transfer Жыл бұрын

    뭔가 뭉클해지는 영상이네요 편집도 안에 담긴 메시지도 너무 감동적입니다 선배님

  • @ryanyu3529
    @ryanyu35292 жыл бұрын

    정체성이나 프라이드 자긍심 등이 강할수록 그런 인식이 색안경이되어 사고가 경직되고 감수성이 무뎌지며 융통성이 저하된다. 세상은 우리가 아는 것보다 훨씬 넒고 다양하며 스케일이 다양한 곳이다. 자신이 아는 것을 재해석하려하지 않고 이를 이전과 같은 인식의 틀로 확신하고 집착할수록 알지 못하는 더 많은 것들에 눈을 감게되고 진정한 배움과 학습은 중단되며 결국 도태된다. 주위의 감탄이나 존경에 자신이 대견해보인다면, 그들의 인식의 틀에 종속된 꼭두각시가되어 진정한 자신의 가능성을 발현하기 어려워진다. 그래서 겸손한 자의 모습이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되는 것이다.

  • @shinjaekang5840
    @shinjaekang58402 жыл бұрын

    선배님들이 계시기에 저희 후배들이 나아갈 수 있습니다!!

  • @user-bz2nx6en4p
    @user-bz2nx6en4p3 жыл бұрын

    고대 24학번으로 들어가고싶습니다...

  • @user-dr1vy9cv4p
    @user-dr1vy9cv4p2 жыл бұрын

    서울대 고대..다부질없더군요...송파구에 사는데...나이드니 결국 돈" 많이 가진놈이 일단 50점따고 가더군요! 100억대 고졸사장이 고대 연대출신 직원채용하며 운영하는모습이 현실이죠..

  • @user-ut2zv9bj7l

    @user-ut2zv9bj7l

    2 жыл бұрын

    울 사장님 시골서 1등만 쭉 하다가 전문직 직업갖고, 조그만 빌딩하나 전부임.초등 동창중 한명은 그당시 맨날 코 찔찔 흘리고 다니고 대학도 못간 친구는 엄청난 사업가로 돈 많이 벌음.지금 60대후반.

  • @user-fy1md4oo9v

    @user-fy1md4oo9v

    2 жыл бұрын

    비단 돈 문제로만 국한되는게 아닙니다^^

  • @bpm8769

    @bpm8769

    2 жыл бұрын

    부질없지는 않지요 말하는게딱 대학못가서 아쉬운 고졸이신거 같은데 돈많이 가진놈이 당연히 좋겠죠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많다고 안좋을건 없으니까 그런데 연세대 고려대 를 나왔다는건 돈으로도 이런 학교 학력 위조못합니다 100억이있든 500억이있든 그리고 그만한 자부심과 자신감과도 직결된다고 생각하고요 살아가는데 있어서 인생관도 좋게 형성될 "확률"도 높다고 생각들고요 돈좋죠 근데 언급한 고졸사장도 있겠죠 하지만 극소수라고 생각듭니다 우리나라에 대기업이나 알만한 플랫폼을 만든 개발자들 그리고 임원들은 대부분 90%가 명문대 출신입니다 다부질없진않아요.. 오히려 인생을 살아가면서 플러스효과가 생길수는있죠.

  • @user-fy1md4oo9v

    @user-fy1md4oo9v

    2 жыл бұрын

    @@bpm8769 정답.

  • @sunnyahn6354

    @sunnyahn6354

    2 жыл бұрын

    @@bpm8769 격하게 공감합니다

  • @lo500
    @lo5003 жыл бұрын

    고대를 졸업한지 30년이 넘었습니다. 일전에 가봤는데 캠퍼스가 놀랄만큼 많이 변했더군요. 영상이 세련되고 멋집니다.

  • @user-nu2pw1xl3p

    @user-nu2pw1xl3p

    Жыл бұрын

    🔴후배 고대 교우님 여러분! 재학생이나 선배나 후배나 항상 교우애를 가져주셔 감사합니다, 나는 야 1960년 입학하여 군복무를 마치고 졸업한지가 60년이 다 되어가는 83세의 고령이지만 지금까지 도 고려대 교우애가 돈독합니다, 우리가 4.19혁명을 일으켰던 주역이었습니다 불의를 보고는 참지못하는 정의의 사나 이였건만 이제는 죽울날만 기다려보는 오락가락 하는 인생이지만 죽을때까진 어느누구 보다는 교우애가 돈독한 60 학번 사학과 조 X X 교우이옵나이다

  • @user-mo7vg6vv1h
    @user-mo7vg6vv1h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사는것에 급급한 요즘 ~~살아가면서 겸손을 깨달은 당신이 최고네요~~^^ 잘봤습니다

  • @user-zx3bp1ru8h
    @user-zx3bp1ru8h2 жыл бұрын

    참 귀한 가르침 감사합니다. 50은 넘어야 남자들은 겸손해지고 인간 존중을 제대로 합니다.

  • @CozyMucis
    @CozyMucis2 жыл бұрын

    고대 입학도 못한 학생입니다 고대 들어가고 싶네요 감사합니다

  • @woodtea6450
    @woodtea6450 Жыл бұрын

    나도 졸업한지 20년 가까이… 아직도 응원가 배우고 FM연습했던 설레던 그날이 생각나네. 그래도 그때가 즐거웠다. 나그네파전은 아직도 있으려나?

  • @rusiva9580

    @rusiva9580

    Жыл бұрын

    네! 아직 있습니다

  • @jaeyeon4249
    @jaeyeon42493 жыл бұрын

    20대 초반, 고대에 가기위해 청춘을 포기해가며 마음서린날은 소주를 원샷을 하고서도 책상에 돌아와 앉아 공부를 했고, 20대 중반 고대는 저에게 세상이란 고민을해보라 큰 숙제로 안겨주었고, 그렇게 20대 후반이 되어서야 저는 고대를 졸업을 합니다. 그런 고대는 제 첫 꿈이자 첫사랑이자 제 첫 도전이자 첫 세상이자 세계이자 열정이자 자랑이자 자부심이자 저를 대표하는 상징이었습니다. 이제 저는 고대생에서 자랑스러운 고려대학교 교우회의 일원이 되고자 합니다. 자랑스러운 교우회 선배님의 영상을 보며 어떤 선배가 되어야 하는가를 잠시동안 고민해봤습니다. 자랑스럽고 잘나가는 선배될 위인은 아닌지라 사회에 부끄럽지 않는 선배가 되는것이 제 소망입니다. (모 선배님들과는 다르게 말이죠.)선배님들께서 끌어주시고 살펴주셨던것처럼 후배사랑을 계승하는 그런 지역 교우회의 선배로 남고싶습니다. 졸업생이 다 되어가는 지금도 ‘고대’라는 말이 들리면 가슴이 떨리고 학교 마크만 얼핏 지나가다 봐도무언가 마음속에 크게 차오릅니다. 이것은 남들은 절대 모를 이유이자 우리 자랑스러운 고대 가족만이 느낄수있는 감정이겠지요. “아들아 세상에 대학은 많지만, 너의 심장을 요동칠 대학은 단하나, 우리 고대 뿐이란다” 시간이 흐른뒤 이제 아버지께 답할 시간이 온것같습니다. “정말이었습니다. 아버지. “

  • @cs7691

    @cs7691

    2 жыл бұрын

    와 ㅅㅂ 고뽕보소..... 치사량급이시네여.. 지나가던 고컴17..

  • @sangheonmun2588

    @sangheonmun2588

    2 жыл бұрын

    인생에 찌들어 잠자고 있던 가슴이 뜨거워집니다. 감사합니다.

  • @user-mh3dl8jd2f

    @user-mh3dl8jd2f

    2 жыл бұрын

    와 이분은 찐이다.. 지나가던 경영22..

  • @Jay-kk6lk

    @Jay-kk6lk

    2 жыл бұрын

    할아버지께서 말씀하셨죠 그래도 역시 연대가 더 낫더라고

  • @user-wk9uf7jh4x

    @user-wk9uf7jh4x

    2 жыл бұрын

    @@Jay-kk6lk ㅋㅋㅋㅋㅋ

  • @molangdraft7806
    @molangdraft78063 жыл бұрын

    랜덤으로 찾게 되었는데 교우이자 선배님이시네요

  • @rgst617
    @rgst6172 жыл бұрын

    진짜 가고싶다 고대

  • @user-xo4ur1uy6n
    @user-xo4ur1uy6n Жыл бұрын

    사람은 대부분 서로 비슷한 삶의 궤적과 수준을 가지고 있어야 지속적인 유대 관계가 가능하기에 고등학교 친구가 평생 간다는 말은...아주 옛날 고졸이 평균 이상의 고학력이었던 시절에 해당되는 이야기라고 봅니다 언젠가부터 고졸자보다는 대졸자들이 더 많은 시절이 되었고... 졸업 후 너무나 다양한 삶의 방향으로 나뉘어지는 고등학교 친구들보다는 그나마 졸업 후 시작점은 어느정도 비슷한 방향으로 가는 대학 친구들이 더 오래 가게되고 취업난 시대에 접어들면서 대학 친구보다는 입사 동기들이나 회사 동료들과 더 유대가 깊어지게 되는 거 같습니다.

  • @user-eb3yn4fl8w
    @user-eb3yn4fl8w2 жыл бұрын

    1997년 2월 졸업생입니다. 학교는 마음의 고향이지요. 대학이야... 고등학교까지 조금 열심히한 결과물이고 , 그이상도 그이하도 아니지요.. 솔직히 고대가 나에게 해준것도 없구요.물론 그런걸 바라는것도 우습지만요. 최소한 어디출신 맞아? 라는 말은 안듣고 살려고 노력한것 같네요. 그리고 거기에 조금은 겸손한 태도만 가진다면 무난한 사회생활을 할수있었다고 봅니다.

  • @goodrichproject
    @goodrichproject Жыл бұрын

    명문대 나오셨네요~!!! 우연히 알고리즘 떠서 보구 갑니다 ^^

  • @user-yi3ri8ey9s
    @user-yi3ri8ey9s Жыл бұрын

    50 넘으면 대부분 사람들 학벌은 의미없고 (아주 극소수만 학벌 필요) 냉정하게 바라보건데, 돈과 건강으로 판가름 남.

  • @jongwooks8100

    @jongwooks8100

    Жыл бұрын

    학벌은 평생갑니다.

  • @Leclerc110

    @Leclerc110

    Жыл бұрын

    자기가 사업을 한다고 서울대급 인맥이 필요하거나 투자를 한다고 금융권인맥 등이 아니라면 의미없지 ㅋㅋ 40대라도 설대 공대 인맥이든 고위공무원 인맥이든 사적인 법 문제, 부동산 등등 빼고는 의미없지. 50대때 학벌 하나로 어디 앉혀주거나 하지 않거든 ㅋㅋ 본인이 수능을 다시쳐서 전문직을 하거나 하지 않는 이상 그 동안 쌓아왔던 경력으로 먹고 살아야할 나이지. 즉, 학벌에서 유일하게 길게 남는건 인맥. 우리가 5~60대 은퇴준비하는 사람들 학벌 좋아봤자 아무도 안궁금해하지

  • @user-il5xr7yq1j

    @user-il5xr7yq1j

    Жыл бұрын

    @@Leclerc110 정답

  • @jjjlee8709

    @jjjlee8709

    Жыл бұрын

    @@jongwooks8100 ㅋㅋㅋㅋ 아님

  • @user-bz7pz5tu1s

    @user-bz7pz5tu1s

    Жыл бұрын

    @@Leclerc110 자녀나 친척 조카들이 우러러 봄. 괜히 질문도 그쪽으로 하게 되고

  • @HH-fd6dg
    @HH-fd6dg Жыл бұрын

    경제86학번 .30년 지나 내가 깨달은것은 정퇴하니 사람들이 다 똑같더라 누가 알아봐주는것도 아니고 그냥 동네 퇴직한 아저씨.... 고대 얘기 나와도 좀 시큰둥..

  • @chaltomato7522
    @chaltomato7522 Жыл бұрын

    세월이 그냥 지나가는 시간이 아니더라구요.....!!....

  • @user-od8px1yd2v
    @user-od8px1yd2v2 жыл бұрын

    🐯22학번 아기호랑이 홧팅🐯 민 족 고 대 사랑합니다♥

  • @bomenbun
    @bomenbun2 жыл бұрын

    자신이 얼마나 무능 한가를 깨닫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는 이유가 업무 적인 성취 때문입니다. 그게 없다면 훨씬 빨리 알게 될텐데 너무 시야도 좁고 머리 회전도 느린 동료들을 보면서 내가 우월한 것으로 혼동하기 쉽지만 사실 그들의 눈에 나 역시 시야 좁고 머리 회전이 느린 사람이었을 겁니다. 자신의 주제 파악을 빨리 하는 것은 미래를 위해 상당히 도움이 되는 일인데 제가 늦게 나마 이해한 조기에 판단할 수 있는 척도는, 자신의 생각을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플래닝 할 수 있는 가 입니다. 막상 프로젝트를 시작 했을때 변수를 너무 많이 맞으면 사실은 무능한데 용감한 것이죠. 돈은 용감한 사람들이 변수를 하나씩 대응하며 구체적으로 이해를 하며 성공을 시키는 것인데 이는 엄밀히 능력이 아니라 능력을 만들어 가는 과정입니다. 내가 너무 무능한 것을 철저히 깨우치고 나서 비로소 알게 된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자세히 플래닝 할 수 있는가가 능력입니다. 저는 그런 능력 없고요.

  • @user-is2wj9fd4h
    @user-is2wj9fd4h3 ай бұрын

    확실히 고대는 나이가 들면 들수록 멋이 짙어지는 것 같습니다 선배님

  • @yangmalone3369
    @yangmalone3369 Жыл бұрын

    아아 민족고대 다음생엔 인연이 닿기를....

  • @Roscarch
    @Roscarch Жыл бұрын

    젊었을 때는 많이 배배 꼬여 있었다고 영상에 쓰셨는데 댓글 보니 정말 그런 시절을 사는 사람이 많은 것 같네요 ㅋㅋ 중년이 되셔서 20대를 보낸 대학을 오랜만에 찾아가 사진도 찍고 졸업하는 학생들 보니 평소에는 잘 하지도 않는 대학시절 생각 떠오르는 건 당연한 거 아닌가 뭐 엄청 agressive한 말을 한것도 아니고 살면서 느낀 점 조금 써놓은 거 가지고 아직도 고뽕이 안빠졌네 뭐네 ㅋㅋㅋㅋㅋ 왜 이렇게들 배배 꼬였음? 저 나이 중년들은 무슨 일이 있어도 본인들 대학 시절 얘기 입에 담아서도 안 되는 거임? 진짜 웃기네

  • @user-nv3ku5cs3d
    @user-nv3ku5cs3d6 ай бұрын

    24학번화이팅

  • @user-jk1by6uj5q
    @user-jk1by6uj5q Жыл бұрын

    사람이 쉽게 변하나. 그냥 죽을때 다되면 변할지도 안변해 .

  • @ttela8735
    @ttela87353 жыл бұрын

    남탓한다는것을 언제 깨달았나요

  • @user-sk8xe1sf2j
    @user-sk8xe1sf2j Жыл бұрын

    고대 23학번이 되고싶구나

  • @oneba_master
    @oneba_master2 жыл бұрын

    그놈의 학벌주의는 아마 그쪽 세대까지일지도... 지금은 직업이 더 중요한 시대

  • @user-nw6ku5bz2j

    @user-nw6ku5bz2j

    2 жыл бұрын

    전 지금 재수를 하고 있어서 그런지 몰라도 아직까지는 있는거 같더라구요 특히 자산이나 지위 쪽에서 상위계층이라면 오히려 더 심화된 느낌까지 들고요

  • @user-vc5zy2rs4j

    @user-vc5zy2rs4j

    2 жыл бұрын

    학벌주의는 옅어질순 있어도 사라지진 않는다. 그것은 결국 노력의 결과니까

  • @yoonghonoh9959

    @yoonghonoh9959

    Жыл бұрын

    다 중요합니다. 편견을 버리셔요

  • @user-hy5ov6gt6u
    @user-hy5ov6gt6u2 жыл бұрын

    서울대 고대 연대 그 똑똑하신분들이 대한민국 여기저기 기득권들로 포진되었을텐데 현실의 대한민국 살기좋은가요 그들만의 세상에서 그들만 살기좋은나라인가요? 글읽는 모둔분들 이들을 부하로부리는 꿈을가지시세요. 이학교에가는것보다. 이들을 부리는 꿈을이루기위해 들어가는것도 좋지만 꼭 이들을 직원으로 두기위한 꿈을 목표를 세우시고 즐거운 인생들 사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모두 즐거운 삶, 행복한 삶, 건강한 삶 되세요.

  • @user-td1on2ke2k

    @user-td1on2ke2k

    Жыл бұрын

    ?

  • @user-rv1pp7jm4w

    @user-rv1pp7jm4w

    Жыл бұрын

    ㅎㅎ

  • @user-zd2pm5zj9o
    @user-zd2pm5zj9o Жыл бұрын

    서울대갈껄~

  • @user-sw8sf7st1u
    @user-sw8sf7st1u2 жыл бұрын

    고대 졸업후 25년이 지나 깨달은것 아 지방약대 갈껄

  • @user-br8cj9qm1u

    @user-br8cj9qm1u

    2 жыл бұрын

    저땐 고대 나왔으면 지방의대는 그냥 갔고 서울에 있는 의대도 왠만한곳 갔단다

  • @oneba_master

    @oneba_master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lz4ob2yt8s

    @user-lz4ob2yt8s

    2 жыл бұрын

    지방 의대갈껄...

  • @oneba_master

    @oneba_master

    2 жыл бұрын

    @@user-br8cj9qm1u 저땐 고대가 높았다기 보단 지방의가 낮았건거지 저때는 지방의대 간 사람들은 인생을 저점매수해서 ㅈㄴ 성공한거임

  • @user-qe8vy7co4s

    @user-qe8vy7co4s

    2 жыл бұрын

    @@user-br8cj9qm1u 고대도 과나름이지. 문과는 못 감

  • @user-ne9ih2xu5r
    @user-ne9ih2xu5r6 ай бұрын

    인생사 세옹지마

  • @user-hc9cp3kq9t
    @user-hc9cp3kq9t3 жыл бұрын

    제 지인중 서울대학교 졸업한 70대 계시는데 나이 드니깐 평범한 어르신에 불과하답니다. 의미없답니다..

  • @TV-gw8wh

    @TV-gw8wh

    2 жыл бұрын

    70넘으면 원래 돈 말고 다 무의미 아닌가요..? 와꾸도 무의미하고, 학벌도 무의미하고..

  • @scs2697

    @scs2697

    2 жыл бұрын

    그건 70대가 되니까 그런거죠. 님 말처럼 인생이 태어나고 죽는 path function 이 아니고 state fuction이라면 모든 인생이 뭔 의미입니까??

  • @user-gq8kz2xw3n

    @user-gq8kz2xw3n

    2 жыл бұрын

    그럼 왜 삼 ㅋㅋ

  • @ws.s3549

    @ws.s3549

    2 жыл бұрын

    ㅎㅎㅎ 그래서 서울대 가는거 의미없다고 합리화중이신듯?ㅎㅎㅎㅎ

  • @leeyh3197

    @leeyh3197

    2 жыл бұрын

    시어머니설대졸업.집도없이매일자식들에손벌리다 돌아가셨씀.친정엄마 건물주. 자식마다살림도와주심. 국졸.

  • @leeyh3197
    @leeyh31972 жыл бұрын

    딸넷사위들 설대박사 고대석사 서강대 고졸.고졸사위가젤존아파트살고. 고대사위 집도팔아먹어서 부모님처가 다가구3층으로 더부살이.

  • @user-mo9lv6oc5d

    @user-mo9lv6oc5d

    Жыл бұрын

    너무극단적인뎈

  • @leeyh3197

    @leeyh3197

    Жыл бұрын

    @@user-mo9lv6oc5d 고급전문직아니라면 학벌과 50대이후 인생성공은상관없는듯.

  • @cik-dr8bc
    @cik-dr8bc2 жыл бұрын

    노래 제목 뭔가요?

  • @artics4785

    @artics4785

    2 жыл бұрын

    pray - duce williams

  • @user-xr7pi9wd5t
    @user-xr7pi9wd5t2 жыл бұрын

    희운이 맟지??

  • @user-cs1fb9cy8r

    @user-cs1fb9cy8r

    2 жыл бұрын

    오랜만입니다.

  • @wender_maker

    @wender_maker

    2 жыл бұрын

    우와

  • @user-wj4hc4zc3g
    @user-wj4hc4zc3g Жыл бұрын

    스카 이 성한서 2022 행시 서울대 60 고려대 52 ..... 연세대 35 성균관 24 한양대 14 서강대 8명 현실 자각 타임 2022 CPA 고려대 175 성균관 116 연세대 106 서울대 99 명 최근 5년간 임용된 법관 배출한 출신 학교 서울대 188명 고려대 102명 연세대 57명

  • @Dream-md4wi
    @Dream-md4wi Жыл бұрын

    조려대

  • @thepunisher2988
    @thepunisher2988 Жыл бұрын

    제가 깨달은 것은 이 대학이 사람들이 주는 명성만큼 가치가 없다는 것입니다. 졸업생 중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명성만큼 높은 성취를 이루었습니까? 이 대학에서부터 얼마나 많은 획기적인 연구가 있었습니까? 대학 또는 졸업생이 얼마나 많은 독특하거나 창의적인 업적을 이뤘습니까? 얼마나 많은 교수들이 실제로 학생들이 새로운 발견을 함으로써 그들이 틀렸다는 것을 증명하도록 격려합니까? 사실 고려대학교의 가치는 (한국의 상위권 대학교도 마찬가지지만) 전적으로 선발 과정에서 나옵니다. 대학에 입학하고 졸업한 사람들은 '똑똑하다'고 여겨지며, 그만큼 한국 사회에서 더 나은 미래 전망을 갖게 됩니다. 그외에 고려대학은 교육기관이나 연구기관으로서 다른 가치가 별로 없습니다. 예를들어 같은 과목을 전공하는 경우, 배우는 내용은 다른 대학과 거의 동일합니다. 그저 급이 다른 학생들과 둘러싸여 급이 다른 교육진들 이 가르치기에 더 나은 인맥을 형성할수 있는것입니다. 수만 명의 졸업생 중 주목할만한 성과를 거둔 사람은 거의 없지만, 한국 사회는 일반적으로 비판적 사고가 부족하기 때문에 고려대학을 높이 평가합니다. 고등교육기관의 중요한 임무는 비판적 사상가를 배출하는 것이지만, 고려대학은 지금까지 수만 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고등교육기관에도 불구하고 이 나라에서 비판적 사상가가 심각하게 부족한 것은 그 가치 또는 부족함을 반증하는 것입니다. 고려대학나왔다고 목에 힘주고 다니는 것은 한반도 우물안에서만 가능합니다. 한번 밖에 나가서 여러 사람과 여러 상황에 부딭혀 보세요. 고려대학교를 졸업했다구요? 한반도 밖에서는 그 '업적' 가지고 멀리 못갈 것입니다.

  • @user-hs2yo8jy5q
    @user-hs2yo8jy5q2 жыл бұрын

    죽임을당한 38년들아 고려대로 와라

  • @39zid2xpa6
    @39zid2xpa62 жыл бұрын

    사회생활 하다 보면 유독 고대가 학벌 티내기 뭉치기 잘해서 눈쌀 찌푸려짐 다른 학교는 그런거 안보이는데 마치 무슨 중국사람들 중화사상 가진 거랑 똘똘 뭉치는 그 비슷한 느낌이라 거부감 듬 Feat 열등감이니 뭐니 하지 마시고... 저 의사라

  • @jaeyeon4249

    @jaeyeon4249

    2 жыл бұрын

    그건 아마 당신이 평생모를 이유일겁니다

  • @yoonghonoh9959

    @yoonghonoh9959

    2 жыл бұрын

    안그런 분도 많고 사회에 좋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좋은 대학입니다

  • @cineelli6707

    @cineelli6707

    2 жыл бұрын

    그냥 열등감같은데 ㅋㅋㅋㅋㅋ

  • @39zid2xpa6

    @39zid2xpa6

    2 жыл бұрын

    @@cineelli6707 죄송합니다 열등감에 못난 댓글을 달았슴니다

  • @AtomicSky9875

    @AtomicSky9875

    2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동문회 비슷한거 금기시 되는 모대기업 다녔는데, 고대 출신 끼리는 몰래 몰래 사적인 모임 갖더군요. 서울대,연대를 비롯한 다른 대학 출신들은 별로 그런 모습 못 봤습니다. 왜케 티를 내나 그런 생각이 들긴 했습니다. ㅋㅋ

  • @user-iz6bu9jy6c
    @user-iz6bu9jy6c2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 올리는 자체가 학벌 지 자랑하려는 ...

  • @yoonghonoh9959

    @yoonghonoh9959

    6 ай бұрын

    꼬였네요

  • @__-fl8ue
    @__-fl8ue2 жыл бұрын

    고대주제에보란듯이잘난척하누ㅋㅋㅋ

  • @redsan3742

    @redsan3742

    6 ай бұрын

    닉부터 븅신같이 사네 힘내라 알람꺼놔서 반박할거면 쉐도우 복싱하고 ㅋ

  • @giryongchung7886
    @giryongchung7886 Жыл бұрын

    1. 윤 - 썩은 - 연체 - 몰골 - 고도 비만 - 군 면제 - 돈 - 보석 - 옷 자랑 - 2. 재벌 - C J - 추 경호 - 폐 결핵 - 군 면제 -

  • @manunited9910

    @manunited9910

    Жыл бұрын

    저도 윤석열 싫지만 관련없는 영상에서 이러지맙시다..

  • @Dream-md4wi

    @Dream-md4wi

    Жыл бұрын

    찢 - 죄명 - 군 면제 - 연쇄살인 - 데트폭력 - 인권변호 - 음주운전 - 전과4범 - 입벌구 - 성남총각 - 폐경궁 - 법카유용 - 고대아들 - 입시비리 - 병역특례 - 성 매매 - 불법도박 - 대장동 - 백현동- 위례동 - 쌍방울 - 변호대납 - 용도변경 - 성남FC - 의혹수사 - 숨진채로 - 그만죽여

  • @kik7445

    @kik7445

    Жыл бұрын

    갑자기?

  • @user-mf7lk5ld3o
    @user-mf7lk5ld3o6 ай бұрын

    그때는 학교가 아름다운지 몰랐다 내 흔적이 있으려나 나만의 조그만 자부심 고려대학교 ^^

  • @ClarkKim1
    @ClarkKim14 ай бұрын

    고대라는 학벌 크리 타고 사회적 지위나 돈이 올라갔을때 고대학벌 부심 부릴 상황이나 자격이 생깁니다.. 아직 어리신 분들이 많아 고졸 1000억 부자보다 고대 거지가 낫다고 착각들 하시는데.. 고대건 그 이하 대학이건 비슷한 회사에 비슷한 직급 올라가서 40대 후반 되면 큰 차이 안생겨요.. 물론 추억하고 동문 으쌔으샤하는 거가 있겠지만 큰 도움 안되어요.. 고대가 30대 넘어가면 밥 안먹여 줍니다.. 꿈에서 깨어들 나세여..

  • @dongjinlee2049
    @dongjinlee2049 Жыл бұрын

    75년생즈음되시겠군요..요즘은 ..

  • @yoonghonoh9959
    @yoonghonoh99592 жыл бұрын

    KU 88학번 입니다 마이너 전공이였기에 더 절실하게 준비하였고 사회에서 중역과 중책을 수행중인 동기들이 많습니다. 세상은 오묘해서 부족함이 있으면 또 절실함도 생기는듯 합니다 학교 학과가 인생의 전부는 아니지만 고대는 특유의 고대정신 시대정신이 있습니다 잘못해석하고 오바하는 동문들이 욕을 먹이는 경우도 있지만요. 간단하게 자유 정의 진리 고대에서 배운대로 하겠습니다 이렇게 남기고 싶네요 고대는 대학이 아니라 늘 시대정신 입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