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 가서 1,2등급 받는 아이들 특징

1. 초등 수학 심화의 엑기스만 모아 놓은 문제집
중등 연계성 측면에서 초등시기 꼭 알아야할 심화 유형들만 모아 놓은
심화 에센스 " 열려라 심화 초등 수학"
(1) 초3-1
www.yes24.com/Product/Goods/11...
(2) 초3-2
www.yes24.com/Product/Goods/11...
(3) 초4-1
www.yes24.com/Product/Goods/11...
(4) 초4-2
www.yes24.com/Product/Goods/11...
(5) 초5-1
www.yes24.com/Product/Goods/11...
(6) 초5-2
www.yes24.com/Product/Goods/11...
(7) 초6-1
www.yes24.com/Product/Goods/11...
(8) 초6-2
www.yes24.com/Product/Goods/11...
2. 초등학생들이 읽는 수학 사고력 동화
동화를 읽으며 자연스럽게 수학을 접하고 좋아하게 만들어주는 책
"수상한 수학 감옥 아이들
www.yes24.com/Product/Goods/11...
3. 청소년이 직접 읽고 실천하는 수학 공부의 바이블
"진짜 수학 공부법"
www.yes24.com/Product/Goods/11...
4. "수학 잘하는 아이는 이렇게 공부합니다"의 실전편
구체적인 수학 공부법과 엄마표 심화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제시
"초등수학 심화 공부법"
www.yes24.com/Product/Goods/10...
5. 수학 공부의 전반적인 로드맵을 다룬 책
2022 예스24 '올해의 책' 선정
"수학 잘하는 아이는 이렇게 공부합니다."
www.yes24.com/Product/Goods/97...
6. 중등 수학에 꼭 필요한 초등 개념을 정리한 문제집
"한 권으로 초등 수학 끝"
www.yes24.com/Product/Goods/10...
7. 비대면 수업 홈페이지
soojal.com/default/

Пікірлер: 139

  • @user-wy9ci1ht4x
    @user-wy9ci1ht4x7 ай бұрын

    초등부터 부모가 관리해야 한다는 같은 말을 듣고도, 누군가는 초등부터 학원 빡세게 돌리라고 알아듣는 부모도 있겠지요..학원 보내면 다 됐다고 생각들 하던데..학원만 돌리는 것도 방치라고 생각합니다.ㅠㅠ 학원은 수단이고 관리 안 하는 듯 관리하는, 자율을 주는 듯 자율을 통제하는 관찰관리가 필요함ㅠㅠ

  • @choi585

    @choi585

    4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학원 빡세게 돌린다고 공부 잘 하면 다 1등급 받게요~학원 방치ㅠ

  • @Tree-qc4ep
    @Tree-qc4ep7 ай бұрын

    대딩맘인데요. 선생님 말씀 100퍼 맞는말씀입니다. 초등부터 관리해야 되요. 근데 이게 너무 어려운일이라서 문제에요. 아이와 좋은관계 유지하면서 폰관리.학습관리 해내기가 고난도에요. 남편까지 감당해야 되요. 이걸 해낼수 있는 어머님들이 10프로 정도 되고 그분 자녀들이 10프로 안에 드는것 같아요.

  • @user-yc4um9jn4u
    @user-yc4um9jn4u7 ай бұрын

    현직 영어강사로서 백프로 공감하는 내용입니다. 특히 학부형님들이 착각하는 게 뭐냐 하면 고등학교 때 성적 안 나오는 부분을 학교 쌤 또는 학원 쌤 탓 이라고 믿는 경우인데요. 고등부 때의 성적은 학생의 몫이 80 퍼센트 이상입니다. 해당 영상의 선생님께서도 얘기하셨지만 안되는 건 안되는 겁니다. 아무리 잘하고 싶어도 초등학생 때 부터 공부습관이 안 잡혀있기 때문에 고등부 때 시간투자 대비 성적이 안 나옵니다. 중3 때 까지 아이가 어떤 식으로 공부를 하는지 관찰해 보면 고등부 때 성적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학교 쌤들 학원 쌤들은 신이 아닙니다. 성적이 안 나오는건 아이가 멍청해서도 아닙니다. 결국에는 공부습관이 초등학생 때 부터 안 잡혀서 학습량이 쌓이지 않은 결과가 고등학교 때 나오게 되는 것이지요. 학원 또는 1타 강사를 믿을 게 아니라 올바른 공부 방향으로의 학습량을 믿는 것이 진리입니다. 나 지금 뭐하는 거지? 교재연구하러 갈게요. 꺅

  • @user-kw3asca

    @user-kw3asca

    6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학원만 믿고 보내면 안된다는거 아직 어린아들이지만 동의합니다 또다른 얘기지만, 초등부터 공부습관안된 대안학교(교장선생님 마인드가 대학가지 말라는 말씀을 하신다함) 나온 학생분이 @@채널서 본인이 재수1년겪은후 서울대 들어간 자신의 이야기를 재미나게 지인과 대화인터뷰로 푸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초등때 꾸준히 하고안하고 까지는 깊게 오픈하진않았는데, 이게 가르치는 선생님들 관점과 실제 자신이 혼공과학원을 믹스했든, 혼공만했든.. 설연고 들간 분들의 중고등 공부에 관해 푸는 얘기들의 관점이 일치하는것도 있지만, 사뭇 다른 관점도 많더라구요~~

  • @user-yb3op6js2f

    @user-yb3op6js2f

    4 ай бұрын

    ㅈ.ㅈㄴㄱㅈ

  • @wisdom87
    @wisdom876 ай бұрын

    제가 선생님이 말씀하시는 적당히 공부하는 3등급짜리 고등학생이었습니다. 수능치고서는 왜 쟤가 1등급이고 나는 3등급인지 납득이 되지않아 화만 났습니다. 그러다 대학가서 장학금 놓치지 않았고 취업준비 2년반 하면서 공기업 입사 성공 후 알게됐습니다. ‘나는 남들 1년만에 취업할때 2년 반은 공부해야지만 합격할수 있었던 거구나.’ 인생의 공부 총량은 정해져 있다더니, 그 뒤로 자신감 얻어 대학원도 다니고 회사에선 동기들 보다 빨리 팀장 달고 현재 13년차 입니다. 승진 공부할때 깨달았습니다. “나 이제 공부하는 법 알겠다.” 학습량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는 말씀 너무나 공감됩니다.

  • @user-tb2sp5ly9e
    @user-tb2sp5ly9e6 ай бұрын

    학습습관,학습량 중요하지만 빡센 스케쥴로 학습량만 단순히 늘려야된다고 착각하시면 안됩니다! 선생님도 그런 의도로 영상을 찍으신게 절대 아닌듯해요. 아이에게 공부에 대한 동기부여를 많이많이 확실히 해주세요!! 그게 부모의 첫번째 역할이라 생각해요. 아이가 힘들어하는게 보이는데 문제집 들이밀고 그러지마세요 제발ㅠㅠ 공부를 왜 해야하는지 모르는 아이들 천지에요. 그런 아이들에게 문제집만 주니 사이가 나빠지는겁니다. 그리고 머리좋은애들이 자기주도로 공부하면 아무도 따라갈수가 없어요. 그런애들 학원뺑뺑이 문제집 돌리기 의미없는 반복학습 하게하지말고 승부욕을 건드려주세요. 이해도가 느린 아이는 반복학습과 부모의 밀착케어가 중요해요. 학원을 보내더라도 너무 많이 보내지말고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이 많이 필요합니다. 차분히 읽고 스스로 두뇌가동해서 이해를 해야하거든요. 너무 많은 학원에 시간 뺏기지말고요. 그리고 초등 저학년 부모님들 유명 대형학원 탑반에 목숨걸고 보내려고 단기과외같은거 제발 하지 마세요.... 휴..

  • @sophiam1522
    @sophiam15227 ай бұрын

    믿을건, 정직한 학습량 뿐이다.❤ 쉽게 도파민이 발생하는 행위는 멀게하라.❤ 명심하겠습니다!

  • @user-vy6uy7rz8t
    @user-vy6uy7rz8t7 ай бұрын

    아무리 해도 4등급 받는 고3아이 엄마로써 백퍼 맞는 말씀입니다. 지혜롭게 아이 공부시키는 부모도 능력인겁니다. 방치시키고 아이탓 하는 모순을 겪고 나서 깨달은 겁니다. 결론은 아이 나무랄거 없다는겁니다.

  • @naolee4457
    @naolee44577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초등때부터 공부하는 습관을 만들어줘야 중학교,고등학교가서도 꾸준히 합니다 놀던애들이 갑자기 중학교,고등학교간다고 공부가 되는게 아니더라구여.

  • @jayn1442
    @jayn14427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초등학교땐 놀아야지~그게 공부야 ~ 하던애들. 중학교 간다고 공부 바로 딱 되지 않습니다. 절대로요. 공부도 습관이 있어야 하고 머리를 쓰는 연습이 되어 있는게 중요합니다.

  • @user-hc7dn8ky6h
    @user-hc7dn8ky6h7 ай бұрын

    정말 공감합니다. 정말 하고 싶어도 습관이 되지 않으면 어렵다고 생각해요. 바뀌는 친구도 있겠죠. 없지 않지만 극히 드물고 대부분 아이들은 좌절감만 느끼죠.. 늦게 공부해서 성공한 친구들은 동기가 명확하더라구요. 그래서 공부도 습관이라 생각합니다.

  • @user-fv8zw6lc7i
    @user-fv8zw6lc7i7 ай бұрын

    와 진짜 최근 본 교육 유툽중에서 최고 공감하면서 박수치며 봤네요~현실 조언 감사드립니다~~

  • @heldin7680
    @heldin76807 ай бұрын

    항상 보고있어요 진중하고 진심되게 말씀주시는것같아서요

  • @user-xo1nx7iw5f
    @user-xo1nx7iw5f7 ай бұрын

    정말 고등부모로서 너무 공감되는 말씀 감사합니다. 너무 몰랐고 착각이었어요. 선생님 늘 큰 도움 받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ur5no8fm3u
    @user-ur5no8fm3u7 ай бұрын

    달콤한 말 보다 진심을 담은 현실 적인 조언 너무 감사드려요.🙇‍♀️

  • @user-yy7wl3gb7u
    @user-yy7wl3gb7u7 ай бұрын

    선생님,너무 좋은 현실 얘기 고맙습니다.초등 두아이 학습 습관 만들기위해 매일 애쓰는 엄마입니다.때로는 이러는게 아이를 힘들게하는 건 아닌가. 해외여행에 학교,학원 빠지는 친구들 틈에 학기 중엔 그런거 없어. 여행은 방학 때만 학기중엔 열심히 학교 공부.매일 예습,복습. 그런 저보고 너무 한다는 주위 시선 있지만.선생님 말씀 듣고 오늘도 실천합니다.

  • @oceanview7864
    @oceanview78647 ай бұрын

    현실적인 영상 감사드립니다❤

  • @user-oo4rc7pb6h
    @user-oo4rc7pb6h7 ай бұрын

    현실적인 조언 맞습니다..!! 초등때부터 선행이 아니더라도 꾸준히 매일매일 책상에 앉아 공부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중학교 고등학교 가서 1등 하는애들 보면 다른 누구보다도 시간 쪼개가면서 열심히 해요.. 원래 초등때부터 선행 + 현행 공부 많이해서 유리한 스타트를 한상태인데 그 누구보다 열심히 노력하니 다른애들이 따라올수가 없죠… 아는 지인부부(서울대 캠퍼스 커플)가 공부는 본인이 해보니 스스로 해야한다고 생각해서 초등때까지 선행이나 공부에 매진 시키지 않았더니 (그래도 어느정도는 시킴. 손 놓은건 아니였음)중학교 가서는 도저히 선두 그룹을 따라갈 수 없다고 그러더군요..

  • @Elsa0709
    @Elsa07097 ай бұрын

    듣고싶은 이야기가 아니라 현실을 말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놀기 공부하기 둘다 가질순 없지요

  • @user-nd8mx5eo3y
    @user-nd8mx5eo3y7 ай бұрын

    공감가는 말씀입니다. 저희아이 초4때 코로나 시작으로 집에 있으면서 학습량 늘리고, 독서도 많이했는데 중등가서 상위권 유지하네요. 사춘기 오면서 거의 공부 안하는데... 고등가면 3-4등급 나오겠네요..ㅎㅎㅜㅜ특히 독서는 너무 중요합니다. 독서 많이한 아이는 일단 교과서 이해가 쉽기 때문에 학교 공부 부담없이 잘하는 것 같아요.

  • @user-bm4zj5sj6m
    @user-bm4zj5sj6m7 ай бұрын

    정말 현실적인 조언입니다 ~ 영상 보며 많은 도움 받고있습니다^^

  • @user-ss1sn7kb7d
    @user-ss1sn7kb7d7 ай бұрын

    사이다. 존경합니다. 팩트 감사해요. 다 맞는 말씀이에요

  • @user-yc5qb3vn7i
    @user-yc5qb3vn7i7 ай бұрын

    고등학교 1.00 받는 자녀 둔 엄마로서 이분이 하시는 말씀이 100퍼임.

  • @user-be8dc8ig4o
    @user-be8dc8ig4o7 ай бұрын

    완전 공감해요ㅜ 천재가 아닌 이상 학습량이 다인 것 같아요 힘낼밖에요...

  • @estherp.2549
    @estherp.25497 ай бұрын

    진짜 현실적인 얘기들~!!! 사이다에요!!!

  • @user-ox9nu5ec8k
    @user-ox9nu5ec8k7 ай бұрын

    공부량이 중요하군요..감사합니다

  • @user-pk4xs1xz6v
    @user-pk4xs1xz6v7 ай бұрын

    진짜 제생각이랑 딱맞는 말씀 하시네요 저는 초등부터 고등학생까지 가르치면서 어릴때부터 아이들을 보는데 진짜 이분하시는 말씀 딱 맞아요 특별한경우를 제외하고는 아이들 고등학교성적은 초등고학년 중등저학년때 거의 결정나더라구요

  • @yujinlim2064
    @yujinlim20647 ай бұрын

    영상들 보다가 오랜만에 댓글 달아봅니다... 선생님 말씀이 매우 공감됩니다. 구구절절 옳은 말씀이세요.. 마음 속 깊이 새기고 갑니다.

  • @bestr6058
    @bestr60587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내용이네요 😊

  • @user-pc1dn8bv9e
    @user-pc1dn8bv9e7 ай бұрын

    정신이 번쩍드는 영상입니다.감사합니다^^

  • @user-bu1sn1vx6j
    @user-bu1sn1vx6j7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 @user-em5dp2by7k
    @user-em5dp2by7k7 ай бұрын

    정말 깊이 공감되는 공부 방법입니다..!

  • @tv-xx4hk
    @tv-xx4hk7 ай бұрын

    선생님 말씀이 맞습니다 저희 아이가 어렸을때부터 꽤 똑똑해서 서울대의대를 목표로 타이트하게 시켰습니다 말씀대로 초등부터 엄청난 학습량과 최고학원으로요 그래도 1등급 중반대로 이번 2024수능도 수학1등급등등 꽤 잘봤지만 엄청나게 좋은대학 원서는 1~2정도 밖에 못씁니다 잘해야 인서울입니다 그러니까 아이를 좋은대학에 보내고 싶으신 어머니들 초등때 진~~~~~짜 많이 시커놔야 합니다 사춘기 이성문제 잘넘겨서 고3때까지 달려와도 엄마 성에는 안차는 대학들만 쓰게됩니다 3~4등급이면 진짜 쓸대학없어요 수도권계신분들은 더하실꺼에요 태어나서 처음들어본 학교가 본인 자녀가 가야될 대학입니다 뉴스에 나오는 건국대 한양대 서울시립대 등등 보통이라고 생각했던 대학들이요 정말 힘들고 대단히 공부 열심히하고 똑똑한 학생들이 가는 대학입니다 선생님말씀 참고하시고 화이팅입니다

  • @user-qx7jq1dh4c

    @user-qx7jq1dh4c

    5 ай бұрын

    얼마나시켜야하나요ㅠㅠㅠ

  • @neojaejung8772
    @neojaejung87724 ай бұрын

    중1 맘인데요..초등부터 관리하고는 있지만 매순간 나와의 싸움이예요. 아이와 서로 관계가 망가지지않게 유지하면서 같이 계획하고 설득하고 지키도록 격려하고..... 엄마의 역할이 너무 많습니다. 이렇게 말하면 누군가는 자발적으로 하는 아이만 공부시키지 엄마 치맛바람 아니냐고 하시는데..본인이 해보고 이야기하라고 하고싶네요. 사춘기 아들 설득하느라 말빨만 세지고 있는 엄마입니다.

  • @myong7835
    @myong78357 ай бұрын

    정신이 번뜩드네요. 초1인데 귀찮아서 유튜브 보여주고 책도 대충읽히고했는데. 습관을 잘 들여줘야겠어요. 감사합니다

  • @inanglee5534
    @inanglee55347 ай бұрын

    와 오늘 너무 좋아요

  • @jenniferl1957
    @jenniferl19577 ай бұрын

    정말 현실적인 조언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받고 갑니다.

  • @user-zx3in9pv8j
    @user-zx3in9pv8j7 ай бұрын

    하면 된다는 자극적이고 무책임한 말보다는 이런 말씀이 정말 도움이 됩니다.

  • @mohanungoya
    @mohanungoya7 ай бұрын

    쭉지켜봐오신 경험에서 나온 조언 감사합니다

  • @user-vv6vn2yh9w
    @user-vv6vn2yh9w7 ай бұрын

    현실을 기만히지 않는 진실한 말씀 감사합니다😢

  • @user-vz9ng9ux1x
    @user-vz9ng9ux1x7 ай бұрын

    정말정말 현실적인 말씀만 해주시네요. 초등부터 열심히 했는데 사춘기 겪으며 게임.유튜브 때문에 1~4등급까지 골고루 섞여 나오는 등급을 받고 있네요...ㅠ 다시 되돌아간다면 공부 습관을 잘 들여 놓는게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 @user-sv8oe2ro5p
    @user-sv8oe2ro5p7 ай бұрын

    현실적인 조언 너무 감사합니다

  • @sks7489
    @sks74897 ай бұрын

    자녀교육에 100% 찐 교육을 말씀해주시어 감사합니다.

  • @lululala-zj8qg
    @lululala-zj8qg7 ай бұрын

    진짜 뼈때리는 현실조언~ 그래서 선생님 말씀이 더 신뢰가 가요! 감사합니다.

  • @user-cr8qx4xx3o
    @user-cr8qx4xx3o7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현재 고등 전교권인데.. 꾸준히 배움을 달려왔구요.. 고딩때는 스스로 더 달리긴합니다. 성실하고 욕심이 있는거같은데 그렇다고 죽자고 덤비지는 않네요

  • @user1wb6jm1e26
    @user1wb6jm1e267 ай бұрын

    폰과 게임만 멀리하게 해줘도 초등 아이 관리 절반이상은 한겁니다. 공부고 나발이고 폰에 절여진 생활은 어른도 되돌리기 힘들어요.

  • @user-qi4ol6yj7y
    @user-qi4ol6yj7y7 ай бұрын

    댓글 보다가 좀 의아한 점. 이 분께서 그렇다고 초딩을 수험생처럼 공부시키라는 말은 아니지 않을까요? 잘 놀고, 잘 먹고, 대화하고, 독서하는 이런 기본 바탕에 학교 진도 꼭꼭 씹어가며 놓치지 않게 해야죠. 뭣이 중헌지 부모님들 고민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user-uu4ew9ii2b
    @user-uu4ew9ii2b5 ай бұрын

    제가 듣고싶었던 말씀이네요.속이 시원하네요🎉

  • @user-hx1hl9ht2y
    @user-hx1hl9ht2y7 ай бұрын

    많은 경험을 이렇게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ter-zz3pq
    @ter-zz3pq7 ай бұрын

    출퇴근하는길에 2번 듣고 퇴근해서 저녘 먹으면 가족과모두 앉아 또한번 같이 들었어요.본인 지금 잘하고 있는거네?하고 묻네요 ㅋㅋ저희가족에게 이런 귀한 말씀 전해 주셔서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복받으실꺼고 더더 번창하실꺼에요!분명합니다!!😅

  • @user-ed8bl8ny5e
    @user-ed8bl8ny5e7 ай бұрын

    맞아요. 어릴때 선행이라기보다 공부든 뭐든 뇌발달이 된 애들의 공부근육이 결국 바탕이 되는겁니다

  • @user-resting2023
    @user-resting20236 ай бұрын

    이영상은 저장해두고 마음 약해질때마다 꺼내봐야하는 영상이네요

  • @user-zg5lt8vr4k
    @user-zg5lt8vr4k4 ай бұрын

    말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 @user-nu2iw4zp4f
    @user-nu2iw4zp4f7 ай бұрын

    그러니깐요 정말 공감되는 말씀입니다.우리 아들 좀 더 일찍 시켰어야 했는데..머리 좋은 애를 기본만 시켰더니 학원도 거의 6학년 2학기부터 다니고. 고등학교 때 공부 열심히 했는데 워낙 양이 많아서 원 점수 90점 넘어도 2등급 받더라고요. 일반고도 상위권 1등급 받기 상당히 어렵습니다. 미리 공부해서 여유있개 ? 공부하는 애들 그 애들이 노는 게 아니니깐요. 좀 더 전략적으로 미리 공부양 쌓아두지 않으면 힘든 게 고등학교 입니다.

  • @user-hk5mj2kd3f
    @user-hk5mj2kd3f7 ай бұрын

    와~~ 너무 맞는말씀 같아요

  • @ParkDdongkko
    @ParkDdongkko7 ай бұрын

    정연 😢눈물 나게 공감합니다. 초등때 자유롭게했더니 열심히해도 3~4등급뿐입니다

  • @moca-123
    @moca-1237 ай бұрын

    와.....진심 현실이네요~~~초등때 뛰어놀게해라ㅡ이얘기 말도안된다 싶었는데.....진심감사합니다~~

  • @user-ve3mw9no5g
    @user-ve3mw9no5g6 ай бұрын

    오늘 말씀 너무 좋아요. 저도 아이 많이 놀렸는데.. 나름 애가 똘똘해서 지금까진 문제가 없어요. 공부량 쌓는 게 관건인 거 같네요. 어쩌죠 공부를 싫어하는데 ㅋㅋㅋ

  • @user-it5cs9ei3l
    @user-it5cs9ei3l7 ай бұрын

    저는 고1때 미치도록 공부한 거 같아요 쉬는 시간 10분마다 영어 독해집 풀고 2-3일에 한 권씩 독해를 풀어대니 국어와 영어가 점수가 함께 오르고 고3 때는 반에서 탑을 거의 놓치지 않았어요 미치도록 공부하는 경험도 정말 중요한 거 같아요 물론 초등 때도 계속 매일 공부 했었고 중1때 잠시 방황했지만 초등 때 해둔 게 있어서 금방 따라 잡더라고요

  • @user-gv8pw5hv5t

    @user-gv8pw5hv5t

    5 ай бұрын

    박수!!

  • @user-qf7dr1qz1l
    @user-qf7dr1qz1l18 күн бұрын

    진심어린 조언 감사합니다

  • @snowy7461
    @snowy74617 ай бұрын

    100퍼 맞는 말씀입니다

  • @jhh145
    @jhh1457 ай бұрын

    선생님 말씀에 백퍼센트 동감이에요. 초등 때 놀리라는 육아서, 유튜버 다 원망스럽네요. ㅎ 그런데서 위안을 찾았던 제가 더 문제지만요. 둘째는 학습 시키려고 노력 중입니다.

  • @youngranlim6124
    @youngranlim61247 ай бұрын

    맞는 말씀..100퍼 인정 초딩때부터 이런걸 왜 몰랐는지

  • @user-wl5xz8rq5x
    @user-wl5xz8rq5x5 ай бұрын

    정말 말씀도움되었습니다

  • @user-mn7cd3tu5m
    @user-mn7cd3tu5m6 ай бұрын

    우와 초등 5 초3 학부모인데요 공부좀해본 남편이 큰아이 지금부터 박쎄게 공부시켜야한다고 해서 영어 대형학원 보내고 수학은 조금씩 선행시작했는데 저는 아이가 공부한다고 고생스러워보이더라구요 12시까지 가끔 숙제하고..초등이 이렇게까지 해야하나 싶었는데 선생님 말씀에 정신차리고 갑니다 (애는 잘 따라가는데 엄마가 문제였네요)

  • @user-qw8pw9gu6b
    @user-qw8pw9gu6b5 ай бұрын

    정말 맞는 말씀입니다 😂😂😂😂😂

  • @user-fk8gr5rd2g
    @user-fk8gr5rd2g7 ай бұрын

    선생님 너무 현실적인 말씀 감사합니다 초등학생인데 좀 놀리라고 하는,, 철없는 남편한테 영상 공유하겠습니다

  • @user-bw6xy1hf3w
    @user-bw6xy1hf3w7 ай бұрын

    학습량이 가득 차야 되는것!

  • @yokim7037
    @yokim70376 ай бұрын

    초등부터 공부습관 꾸준한 공부 본인의 노력이 있어야 상위권 대학이 가능 한거 같네요. 예비고3 아이인데 초등까지 하다가 중등때 사춘기와 코로나로 쭉 쉬다가 중3 겨울방학부터 공부 시작한 케이스인데 최상위권은 힘이드네요..중등때 공백이 굉장히 아쉽습니다..

  • @user-rf7ne4sd1r
    @user-rf7ne4sd1r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yk2ly6sx5x
    @user-yk2ly6sx5x7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 @user-ch1bh6xt6g
    @user-ch1bh6xt6g4 ай бұрын

    저도 공감합니다 초등때 공부습관 안잡고 갑자기 중ㆍ고등때 빵 터지는 경우는 극히 드문것 같습니다. 선생님 말씀데로 중학교부터 미친듯이 하지 않고서야 일단 엉덩이 붙이는 습관이 안되어 있으면 오랜시간 앉아 있는거 자체가 불가능하다 봅니다 그리고 문해력이 딸려서 이해하기까지 시간도 더 걸리구요 다시 한번 마음 굳게 다잡아 봅니다

  • @user-ul3np3ig2k
    @user-ul3np3ig2k4 ай бұрын

    초등 남아애들 시키는게 너무 힘이 드는데;; 안되는건 안되는겁니다! 라는 말에 다시 마음을 다 잡게 되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ytl8186
    @ytl81867 ай бұрын

    부모님도 1,2등급이었다는거 공부는 유전자다 - 손주은

  • @jinimons8597
    @jinimons85977 ай бұрын

    꾸준히 매일매일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공부머리는 공부를 많이 하면 된다는 말씀..정말 공감합니다.

  • @user-ft3qg6nq6u
    @user-ft3qg6nq6u7 ай бұрын

    저도 학원밥 20년찬데.. 이번영상 극 공감합니다.

  • @user-bw6xy1hf3w
    @user-bw6xy1hf3w7 ай бұрын

    맞아요 공부안했지만 독서를 했죠^^초6부터 수잘공 하고있어요^^😊

  • @yeunyi2014
    @yeunyi20147 ай бұрын

    쉽게 도파민이 나오는 것들을 멀리하고 오래 있어야 도파민이 나오는 것에 아이가 습관되게 하라늠 말씀 새기고 갑니다.

  • @user-qt2ig6sq9v
    @user-qt2ig6sq9v4 ай бұрын

    정직한 학습량만 믿어야한다는 말씀 와닫네요

  • @user-fx2sj6wh6y
    @user-fx2sj6wh6y5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백번 맞는 말씀입니다 저는 초등엄마지만 헷갈려요 대다수의 교육 유투버들이 초등때는 놀아야 건강하다 너무 애들 공부 시키면 번아웃온다 놀려라 그러는게…. 글쎄요 전 그게 맞나 싶어요 이랗게 놀다가 중학때 공부하면 갑자기ㅡ안하단 애가 한다(?) 그런게 선생님 종결해두시네요 저의 궁금증을요

  • @OneGerm
    @OneGerm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휴대폰 게임 만 안해도 다행입니다

  • @user-qz4uq8sx6u
    @user-qz4uq8sx6u5 ай бұрын

    아직 중2라고등때는 어찌될지모르지만..초등때는 놀고싶은거다놀고 너가배우고싶은거다배워 ..놀고싶은거 다놀아 ..대신 공부다하고~~해서 게임이며 태권도.피아노 자기가배우고싶은거다배우러다녔어요.. 처음에는 제가 문제집설명해주고 틀린거는설명해주고~~십분이 삼십분되고 삼십분이한시간되고 복습으로시작해 예습복습~~ 일갔다와서 다귀찮고피곤해도 채점하고설명해주고.. 그래도다행인게 이제는 어느순간부터 제설명이아닌 인강으로공부하게되고~~틀린거설명해주던것도 본인이 찾아보고 ~~ 현재는 고등수학이며 고등물리 인강듣고하는데... 제가설명할수없는영역이라..모르는거찾아보고 공부해요.. 근데 억지로시키는게아니고 하나를알면 다른게풀리는게 너무 신기하고재밌데요~~ 지금도댄스학원.피아노농구 태권도 뭐 자기하고싶은거 다 하구요~~ 집공부하다 학원은 6학년말에 수학영어보내달래서보내줬어요 공부를 잘해라~~하는학습말고 일단 진짜 습관이 중요한것같아요.. 아..그리고 진짜좋아하는거 못하고 죽어라공부하기싫으면 학교.학원에서 수업시간에는 무조건 딴짓말고 잘들으라고 꼭꼭 이야기해줬고..선생님말씀 반만 머리속에저장됐다면 너하고싶은거할수있는시간이 늘어나는거다~~라고 농담반진담반으로 매일이야기했거든요~~ 항상 선생님들께 수업태도 너무좋다고 칭찬받고있네요;; ㅎㅎ지금도 게임하고싶으면 이거이거공부했는데 게임해도돼요?라고물어보고해요... 아..그리고 방학때는 그냥 그동안고생했다 놀아라~~하고 놀기만했는데 지금은 그건좀 아닌것같다 ...싶어 세시간씩 공부합니다..많은건지 적은건지 모르겠지만 아이와 협의해서 정했어요 ㅎㅎ 공부때문에 큰소리낸적은 딱히없고 그냥 조금씩 하는거에만족하지만..내신대비해야하니 공부 좀 완전열심히해야되는거아니냐했더니 지금은 때가아니라고...때가되면하겠다고하는데... 그때가 기다려집니다... 아..그리고 주위에서 지금 달리때다 예체능 다 끊고 공부올인시켜라...라고하는데.. 하고싶은거못하게하면서 공부에만 매달리게하기싫은데...그래도 때가있다고 지금 공부올인해서시켜야하는지...요새이게제일걱정거리입니다... 어떻게해야할까요?

  • @YunseonJeong
    @YunseonJeong7 ай бұрын

    한마디한마디 공감해요 초등때는 내 애가 중.고등가서 3.4등급될거란 생각을 못하시는것같아요.

  • @user-nl2pk3oq8d
    @user-nl2pk3oq8d4 ай бұрын

    초등 고학년쯤 되니 공부 할 머리라는게 보여서 수학 선행 시작했어요. 집에서 ebs로 5학년부터 시작해서 6학년 겨울방학에 중등과정 끝내고 예비 중 2인 지금 고2과정 풀고 있어요. 처음엔 버거워하더니 지금은 너무 좋다고 엄마한테 고마워 해요. 초등 고학년이 선행달리기 제일 좋은 시기 같아요. 공부에 뜻을 있다면요.. 공부습관이 잡혀있어서 중 1때 전교 1등 하더라고요. 선생님 말씀에 공감해요.

  • @binisean
    @binisean7 ай бұрын

    즉각적인 도파민이 나오는 행동을 멀리하라. 귀한 조언 감사합니다.

  • @user-mb9je9xr9q
    @user-mb9je9xr9q7 ай бұрын

    현실적인 이야기에 공감 하고 갑니다. 선생님 마지막 말씀에 한가지 궁금한게있어요. 지금 초5아이 심화 수학 공부를 제가 봐주고 있는데 옆에서 하는거 보면 처음엔 본인이 생각하다가 몰라서 낑낑대는데 그때 제가 옆에서 알려줄때가 있거든요. 그렇게 바로 알려주지말란 말씀이신가요? 끝까지 어찌되었든 풀어보게 해야할까요? 기다리다보면 시간이 15분이 지나서요..

  • @user-gv8pw5hv5t

    @user-gv8pw5hv5t

    5 ай бұрын

    15분이면 그래도 잘 하는거 아닌가요? 심화서인데 ~

  • @ss633
    @ss6337 ай бұрын

    원장님~ 저학년때부터 꾸준히 앉아서 숙제하게끔 시켜 왔는데 속도가 너무 느려요. 어떤 과목이든 수학도 쉽던 어렵던.. 이런 아이는 어떻게 개선 시킬 수 있을까요?

  • @jmtakia

    @jmtakia

    7 ай бұрын

    저희 아이도요~ 꼼꼼한 성격이라 수학은 검산도 하는듯 한데 전체적으로 속도가 느리네요~궁금!!

  • @pianopiano5273
    @pianopiano52737 ай бұрын

    아..도파민....!!!!!!!

  • @sujioo4846
    @sujioo48467 ай бұрын

    댓글보니 저도 뇌과학 그 분 강의 봤는데 이 영상과 같이 보면 좋을거 같아요 자극적인 것은 뇌를 망가지게 하는거 같아요 게임 유투브... 학원을 돌며 자유롭게 보는 애들 보면 참 안타깝더라고요 매일 같이 어려운 문제를 고민하고 스스로 푸는 것을 초등때 하는 것 뿐만 아니라 매일 앉아서 일정 이상 학습하고 하는 것이...공부의 핵심이라 느꼈습니다. 학원 여러개 돌리며 억지로 학원 다니고 다니고 오면 그 댓가로 게임하고 숙제는 겨우겨우 해가고. 제대로 뭘 가르쳐야하는지 생각해 볼 시점같아요

  • @Wannabe2023
    @Wannabe20237 ай бұрын

    결국 자신이 할려고 해야 합니다.

  • @user-uf9ew3bw1g
    @user-uf9ew3bw1g7 ай бұрын

    공부는요 결국 내(아이)가 하는거잖아요. 저도 아이를 키우고 있지만 부모들의 잘못은 어설프게 잔소리를 해서 아이의 공부 의지를 꺽어버리는거 아닌가 싶습니다. 요즘 초등부터 공부 안시키는 부모 찾기 힘듭니다. 때 되면 아이가 원하지 않아도 모두 학원에 가더군요. 그런데 그 아이들 모두 공부 잘하나요? 공부는 오로지 내가 주도해야 성장하거든요. 잔소리를 하는대도 아이가 공부를 안하는것 같으면 차라리 잔소리를 안하는 것이 훨씬 현명한 방법입니다. 특히 초등때요. (그렇다고 방치하라는 의미는 아니고, 생활습관등을 관리하는 쪽으로 가면 더 나아요. 잠자는 시간, 씻는것, 청소,지각하지 않기, 집안일 등등) 시켜서 하는 공부는 3~4등급으로 멈추는 겁니다. 내 의지가 아니라 시켜서 하니까요. 상위권으로 올라간 애들일수록 본인이 주도해서 공부를 한다고 하잖아요. 그차이를 인지 하지 못하면 애먼 애들 초등부터 습관 만들어준다고 공부 소리만 나와도 질리게 만듭니다. 나는 공부를 하지 않았는데 잔소리를 하도 많이 들어서 헛배부른 상태로 중학교,고등학교 들어가서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지도 못하는거지요. 그러니 3~4등급 나오지요.... 나 공부 한것 같은데 성적은 이모양이야... 그런 생각이 드는겁니다.

  • @user-ds2sq5le6v
    @user-ds2sq5le6v7 ай бұрын

    [도파민에 박살난 MZ의 뇌, 유일한 회복방법(몰입 황농문 교수)] 영상을 보고 선생님 말씀을 들으니 무슨말씀이신지 이해가 되네요.

  • @user-yu5je7pt2m
    @user-yu5je7pt2m7 ай бұрын

    저희아이가 얼마전 핸드폰을 사 준 후로 수학문제푸는데 고민하고 생각하는 시간이 확연히 줄어든것이 보이더라구요. 다시 집중 관리 들어가려고요...

  • @hayoo423
    @hayoo4237 ай бұрын

    와 이거 진짜 뼈가되네요 옆집아줌마말 믿지맙시다. 그리고 실제로 공부한것보다 축소시켜서 얘기하죠 ㅋㅋㅋ

  • @user-lp6xo9kq3t
    @user-lp6xo9kq3t7 ай бұрын

    정말 이게 현실이네요

  • @user-ro9bc5vr2i
    @user-ro9bc5vr2i4 ай бұрын

    공감영상이네요. 학원 백날 학원만 보내봐야 내 아이가 문제를 어떻게 푸는지 정답률은 어떻게 되는지, 맞춘 정답은 직관으로 푼건지 논리로 푼건지 ..영어독해를 하면 몇초내에 직독직해가 그런대로 되는지..국어지문을 읽고 문제를 맞혔다면 지문단락분석 은 스스로 정확하게 할줄아는지...아이의 진짜 실력을 꼼꼼히 체크해주지않으면 아이 실력은 절대 수직상승하지 않습니다 부모들은 학원이 그걸 해주기바라며 12년을 학원에 돈을 쏟아붓지만 과연 다수를 끌고가야하는 학원에서 그게 가능할까요? 과외선생도 자기자식 봐주듯 100프로 공들여봐줄수가 없는건데... 결국은 입시공부방법을 아는 부모가 자식 학습상태를 공들여 체크하지 않으면 학원은 오히려 아이의 순공시간을 뺏어먹은 원흉이 된것인데 많은부모들이 그걸 모르죠. 그리고 초등때는 무조건 글줄로 책읽는 독서량이 되어야...국영수사과 개념서나 어려운 지문을 막히지않고 뚝딱 읽을수있게 되는거고...수능 입시의 기본은 독서와 문해력이예요. 지문이 안읽히면 아무리 부수적인 스킬 익혀봤자 적용도 할수없거니와 완벽한 실력이 안나오는거죠. 대한민국 초등생들 글줄로된 책한권 제대로 읽을줄도 모를텐데 독서습관 안된애를 논술학원 보낸다는거 자체가 넌센스인것 같아요. 스스로 어려운 글을 먼저 읽어내는 습관을 들이고, 그 다음이 논술인데 왜 초1부터 논술학원 과학학원 무슨학원다 보내서 아이의 진을 빼놓는건지...학원에 질리는 경험을 초등때부터 하면 책과 더욱 멀어질꺼예요 중1부터는 학원시간보다 순공 시간이 가장 중요하고 순공이 제대로 되려면 개념서와 문제를 스스로 이해할줄아는 문해력이 가장 중요하기때문에...초등때는 양질의 독서와 제대로 읽은 독서량이 엄청 중요한것 같아요.

  • @judyoh2765
    @judyoh27657 ай бұрын

    학군지에 있다보니..초등부터 달린다는 기준이 궁금해서요~ 초등 5학년이고 대부분의 친구들 학교끝나고 영수학원(논술 과학 예체능 등등)다니고 다녀와서 숙제하느라 12시넘어 잡니다. 저도 그렇게 하다가 아이가 넘 피곤해해서ㅠㅠ 수학은 류승재쌤 강의보며 책보며 혼공시키고있는데 하루기준(숙제포함)2-3시간정도면 달리는건가요? 더 해야하나요..?

  • @choimn3434

    @choimn3434

    7 ай бұрын

    댓글이 없네요 저도 궁금해요 저는 비학군지라 더 걱정이네요 ㅜ

  • @user-yc4um9jn4u

    @user-yc4um9jn4u

    7 ай бұрын

    학원에 매여있는 시간이 긴 것이 과연 효율적인 공부의 방향일 수 있는지 고민해 보셔야 할 것 같아요. 아이가 싫어하면 효율은 떨어집니다. 균형있는 학습을 시키는 것이 그래서 너무 어렵습니다. 사고력을 기르면서 여유있게 학습량을 쳐내려면 독서는 놀이처럼 필수로 해주는 게 맞다고 보구요. 독서를 하면서 한자도 틈틈이 그 뜻을 알 수 있도록 해주면 더할 나위 없습니다. 이게 비단 문과 과목에만 효과를 발휘하는 게 아니더라구요. 해당 과목에 대한 지식적인 공부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인 것을 놓치면 중학교 올라가서 아이가 힘들어 합니다 각 과목에 대한 학습의 방향을 정확히 습관으로 잡아주는 게 맞습니다.

  • @hyunwoongshin231

    @hyunwoongshin231

    6 ай бұрын

    지금 많은 양을 공부하는 거구요 오히려 쉬면서 해야 중고등때 나가 떨어지지 않아요 더 늘리는 것 보다 유지하면서 쉬는시간에 잘 놀고.충분히 쉬도록 하시는게 좋겠어요

  • @user-sb2cp5vm5h
    @user-sb2cp5vm5h7 ай бұрын

    난 공부 안하는데. . .초등학교2학년이라 좀. . .냅두고 싶은데. . .에휴. . .힘드네요. .애키우기. .머가 맞는건지. .

  • @user-bf7kr6px4e
    @user-bf7kr6px4e5 ай бұрын

    저는 딸랭이 중2올라갑니다... 모두가 맞는 말씀인거 같기도 하고 모두다 나의 이야기인가 합니다...허지만 딸랭이는 태어나는 그 순간부터 지금 겨울방학까지 쭉 놀고 있습니다...인제 겨우 방학을 맞이해 동네수학학원 보내고 있습니다...그냥 저가 알아서 잘 하것지....잘 크것지....하는 마음으로....입으로는 법관 운운하며 정의를 위해서 이나라의 일꾼이 돼야한다고 딸랭이한테 얘기하기는 하지만 한번뿐인 인생을 학교와 일류학원만 오가는 인생으로 살게 하고 싶지는 않아요....법관이 되면 좋은것이고 안되면 건강하게 즐거운 인생 살아라~~즐겁고 즐겁게....속으로 매일매일 얘기해줍니다....😢😢😢

  • @user-ox7yw3ot5t
    @user-ox7yw3ot5t4 ай бұрын

    초등학교 때 학원 쉽게 빼고 엄마와 즉흥적으로 일정 바꾸는 습관이 안 좋은 것 같습니다 .기분 내키는 대로 하다 보면 아이에게 쉽게 도파민 분비되지요. 규칙적인 공부 습관. 그리고 열심히, 많이 하는 애들은 진짜 못 쫓아가요. ㅎㅎ

  • @user-ij8zy9ln8y
    @user-ij8zy9ln8y7 ай бұрын

    초등 때는 놀아도 된다고 얘기하는데 아니었군요

  • @nostalgia4041

    @nostalgia4041

    7 ай бұрын

    놀아도 되긴해요 근데 어떻게되는지 시간지나보면 알게되죠ㅠ 물론 타고 나게 좋은 머리는 제외하고요

  • @stooii

    @stooii

    7 ай бұрын

    학습습관잡아주는게 중요한것같아요. 공부도 하면서 놀아야죠 ㅎ

  • @Dew-kz9ju

    @Dew-kz9ju

    7 ай бұрын

    기본적인 공부는 하고 놀라는거 아닐까요?

  • @user-yc4um9jn4u

    @user-yc4um9jn4u

    7 ай бұрын

    노는 걸 반대하지는 않으나 상대적인 거라서 특별히 정말 뛰어난 두뇌가 아니라면 노력의 힘을 올바른 방향으로 쏟을 수 있게 관리해 줘야 중학교 때 부터 빛을 발합니다. 단, 성적을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면 대충 해도 되구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