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에 알파벳이 도입되기 까지

#알파벳 #고대그리스 #철기
우리는 문자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문자가 없는 삶을 감히 상상하기 힘들죠. 초연결 사회에서 당장 인터넷만 끊겨도 발을 동동 구르며 어쩔 줄 몰라하는 우리에게 문자가 없다면 어떨까요? 아마 문명이 붕괴되는 건 시간의 문제일 것입니다. 과연 문자가 뭐길래 우리의 문명을 지탱하고 있는 걸까요? 그림 문자인 표의 문자에서 소리 문자인 표음 문자로 이동 과정을 살펴봅니다. 그 중 우리에게 익숙한 음소 문자 알파벳은 미케네 멸망과 암흑 시대를 거친 후 철기와 함께 고대 그리스가 새롭게 시작하는 최대 밑거름이 되는데요. 알파벳 시스템과 그것이 고대 그리스에 가져온 의의까지 알아보겠습니다.

Пікірлер: 36

  • @dbswo654
    @dbswo6542 жыл бұрын

    구독자 수가 믿기지 않을 정도로 높은 퀄리티 입니다 ㅎㅎ

  • @user-kp5zs1jq8g

    @user-kp5zs1jq8g

    Жыл бұрын

    열번 동의합니다.

  • @Stock--cs4mq

    @Stock--cs4mq

    Жыл бұрын

    금방 늘 것 같아요

  • @user-gh1dw4py1c

    @user-gh1dw4py1c

    Жыл бұрын

    동감이요 ~~~

  • @jinhbk4490
    @jinhbk44902 жыл бұрын

    항상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표음문자와 표의문자등의 설명을 알기쉽게 잘 해주셨네요. 화이팅입니다~~^^

  • @f-3229
    @f-32292 ай бұрын

    참고서적도 같이 올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user-wc9bq1co2q
    @user-wc9bq1co2q Жыл бұрын

    재미있네요. 노예로부터 시작한게 알파뱃이고 하층민으로부터 시작한것이 오늘날의 영어가 되었습니다

  • @ryujd0533
    @ryujd0533 Жыл бұрын

    100번째! 인류에게 불과 문자가 지금의 인류로 만들어준 도구라 봅니다. 오늘도 잘 보았습니다. ^^

  • @goansekd
    @goansekd10 ай бұрын

    문자에 대한 기원 잘 봤습니다. 한글이 새삼 대단해 보이네요.

  • @yeongsukim488
    @yeongsukim488 Жыл бұрын

    훌륭한 영상입니다

  • @user-iv1tj4wi7x
    @user-iv1tj4wi7x Жыл бұрын

    아니 영상 끝나면 다음영상 제목이 너무 궁금해서 계속 보게됨 ㅠㅠ

  • @jjun2294
    @jjun2294 Жыл бұрын

    너무나도 유익한 영상

  • @skc33219
    @skc3321910 ай бұрын

    많은 걸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Ply5nNv3Q
    @Ply5nNv3Q4 ай бұрын

    내용도 좋지만 목소리도 너무 좋네요

  • @user-on7pr3xd5l
    @user-on7pr3xd5l Жыл бұрын

    훨씬 이른시기에 메소포타미아의 쇄기문자가 일반인들의 통용어로서 사용되게된 것에 대한 이야기를 다뤄주셨으면 합니다.

  • @user-qx9ks8rm8m
    @user-qx9ks8rm8m4 ай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

  • @elem0212
    @elem0212 Жыл бұрын

    페니키아 문자는 현 유럽과 중동에서 사용하는 거의 대부분의 문자의 원전입니다. 영상에서 나오다시피 그리스 문자가 페니키아 문자에서 따왔으며, 에트루리아 문자와 결합해 라틴 문자를 만들었습니다. 또한 키릴 형제가 만든 글라골 문자와 그리스 문자, 그리고 히브리 문자 등으로 키릴 문자가 탄생합니다. 히브리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를 네모나게 만들었다고 보면 될 정도로 유사한데, 알파벳의 이름을 페니키아 문자와 동일하게 사용합니다. 또한 히브리 방언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와 거의 유사한 수준이었습니다. 아랍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를 빠르게 쓰기 위해 많이 추상화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아랍 문자는 지렁이 문자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 @user-og3rz2ud1f

    @user-og3rz2ud1f

    Жыл бұрын

    알파벳의 마지막에 와 있는 문자가 영어인데요 영어는 잉글랜드에 너무 많은 민족들이 들고 나는 바람에 들어오는 민족들이 문자에 영향을 주는 바람에 잡탕이 되어 혼란을 주고 있다고 합니다 너무많은 영향은 좋은 것이 아닌가 봅니다

  • @hunize

    @hunize

    Жыл бұрын

    뭔가 지식브런치님 음성이 지원되는 댓글이다 ..

  • @Sunday-24316

    @Sunday-24316

    Жыл бұрын

    페니키아=가나안

  • @Hyuchan1002

    @Hyuchan1002

    Жыл бұрын

    아랍문자는 몽고문자에 영향을 주고 몽고문자에 영향을 받아 만주족 문자가 만들어지죠 ㅋ

  • @volframvincent471
    @volframvincent471 Жыл бұрын

    6:16 에 음절문자를 해독하면 he le ne 가 아닌 ke re ne 가 나오는데 이건 뭐죠? 오류인가요? 아니면 당시 그리스어를 저렇게 표기했던 건가요?

  • @djfhsju5828
    @djfhsju58289 ай бұрын

    지려버렸다ㅋ ㅋ

  • @djfhsju5828
    @djfhsju58289 ай бұрын

    진짜알아야되는 중요한.ㅈ.ㅈ.중고교생들은 꼭알아야,.

  • @wj8671
    @wj8671 Жыл бұрын

    여담으로 엄밀히 말해서 한자 역시 소리를 이용하여 표기한 형성자(形聲字)가 대부분이라 표음적 성격이 강하므로 표어문자라 부르는 편입니다.

  • @user-rv1dj8zf4y
    @user-rv1dj8zf4y Жыл бұрын

    설명중에 bc가 필요해!ㅠㅠbc!!!

  • @user-he1hk7gm6x
    @user-he1hk7gm6x Жыл бұрын

    우리도 한글 덕에 한국어가 쉬어젔어

  • @djfhsju5828
    @djfhsju58289 ай бұрын

    학원갈필요없다

  • @user-mt7cs1ub7v
    @user-mt7cs1ub7v Жыл бұрын

    조회수가 너무 적어 속상하네요.

  • @kkchnh
    @kkchnh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이지만 마이크음질이 너무 나빠서 인문학에 관심이없는사람들은 잘 보지않을거같습니다 개선이 좀 필요해요

  • @kkchnh

    @kkchnh

    Жыл бұрын

    아 최근영상에서는 탈바꿈을하셨네요 ㅎㅎ..

  • @jsy1851
    @jsy1851 Жыл бұрын

    아랍어 모음표시안하고 표기하는거보고 이거 뭔 개병신문자인가 생각하게되던데..편의상 배울때 모음표시나는건 문제없는데 실사용아랍어에 모음표기없으면 진짜 암기해야만 알수있는문자가되버림.터키가 왜 알파벳도입한건지 이해가됨.모음없는 개병신문자..

  • @kaifengking

    @kaifengking

    Жыл бұрын

    모음을 사용해 개병신이라는 글따위나 싸지르는 너를 보니 오히려 테러어가 더 나아보인다.

  • @wj8671

    @wj8671

    Жыл бұрын

    해당 언어의 화자에게는 크게 필요치 않으니 그런 것 아닌가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