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C풀강연]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유현준

전 인류가 궁금해하는 본질적인 질문, BIG QUESTION을 세계적인 석학과 국내의 지성인들이 함께 질문하고 토론하는아시아 최대 생각축제입니다.
✔️그랜드마스터클래스 참여하기 👉🏻 www.grandmasterclass.com
[마이크임팩트 - 강연지식채널OPEN]
✔️그랜드마스터클래스 구독하기👉🏻bit.ly/2LBFtz7
✔️마이크임팩트 구독하기 👉🏻hoy.kr/egx6N
─────────────────────────────
공동제작 및 PPL 문의: 미디어팀 (video@micimpact.com)
The World Changing Story
세상을 바꾸는 이야기 마이크임팩트
마이크임팩트 홈페이지 bit.ly/2JAhWA1
마이크임팩트 페이스북 bit.ly/2LxvHgb
마이크임팩트 소식 받기 bit.ly/2yrAFHk
Copyrightⓒ2020 By MICIMPACT. All right reserved.

Пікірлер: 344

  • @kongkongee
    @kongkongee3 жыл бұрын

    어른들은 아이들에게 양계장에서 12년 키운 뒤에 갑자기 독수리가 되라고 한다.

  • @MinJot

    @MinJot

    2 жыл бұрын

    날개짓 안하면 사회의 쓰레기로 버려진다 ㅋㅋ

  • @Youtubepremiumgagyeoknatchura

    @Youtubepremiumgagyeoknatchura

    Жыл бұрын

    그렇게 유현준은 독수리(연세대)가 되엇다

  • @user-xc9cc5qo4i
    @user-xc9cc5qo4i3 жыл бұрын

    하고싶은 말을 꾹꾹 눌러담아 압축했음에도 말이 빠르고 오디오가 빌 새가 없다. 오랫동안 외워둔 문장을 말하듯 거침없이 논리가 전개된다. 그렇기에 그가 이 문제를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오랫동안 고찰했는지 느껴졌다. 재치있는 말솜씨에 홀려 그의 여러 스피치를 들었다. 도시건축을 누구보다 심각하게 생각하고 자연과 공간의 연결을 정말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분이다. 알쓸신잡에서 그의 카톡 프로필 사진은 아톰이라고 했다. 젊고 소년스럽다. 그가 보물처럼 소중하게 여기는 소년성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어른이 되어서 현재를 살아가는 소년에게로 간다. 유현준 교수님. 강연 너무 잘 들었습니다. 밤이 늦었으니 복음전도는 내일부터 바로 실시하겠습니다. 제 마음 속 소년도 그러라고 하네요.

  • @user-zq8py7em5w

    @user-zq8py7em5w

    3 жыл бұрын

    글을 참 찰지게 쓰시네요ㅎㅎ

  • @user-xc9cc5qo4i

    @user-xc9cc5qo4i

    3 жыл бұрын

    @@user-zq8py7em5w 감사합니다. 저도 빵형 좋아해요ㅎㅎ

  • @martha3521
    @martha35213 жыл бұрын

    스피치 하시는 논리가 정말 두뇌가 좋으신분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철학을 짓는 분

  • @KPR-dg8oe
    @KPR-dg8oe3 жыл бұрын

    왜 시간을 정해놔서 우리 교수님 급하게 말하게 해...ㅠㅠ

  • @user-qd1qj2cd3j
    @user-qd1qj2cd3j2 жыл бұрын

    통찰 대단하시네요.. 90년대생인데 관심 없는 과목을 8시간씩 엉덩이 붙이고 억지로 들어야 한다는게 정말 고역이였습니다. 막상 그 안에 있으면 뭐가 잘못된건지 몰라요. 왜 모든 아이들이 똑같은 과목을 듣고 그놈의 대학에 집착하는 것인가? 12년동안 회사의 개가 되라고 가르치는 한국 교육 시스템. 그러면서 왜 우리는 미국같은 혁명적인 기업을 만들어낼 인재가 없는것인가? 건축과 관련이 있다는것에 굉장히 놀랍고 흥미로운 주제였습니다. 교수님 덕에 건축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 @soultree5013
    @soultree50133 жыл бұрын

    학교 환경이 달러져야 합니다..공감합니다..창살없는 교도소 라는 말씀 맞습니다..이미 모두가 공감하고 있죠..

  • @namuweb
    @namuweb2 жыл бұрын

    화가 나네요 전 도시서 학교를 안보내기로 결정하고 10년전에 제주도 시골학교로 이사왔어요. 천연잔디가 있는 한적한 시골학교에서 아이들이 얼마나 행복하게 자랐는지 몰라요. 이사올때 수입이 3배는 줄었어요. 맹모삼천지교. 손해도 각오해야죠. 그래야 변화가 있죠. 10년 뒤 자리잡고 행복도는 30배쯤 늘었어요. 사회가 불만인것을 백날 한탄한다고 내삶은 바뀌지 않아요. 옛생각이나서 몆자 적어봅니다.

  • @user-ik6vi5nt7j
    @user-ik6vi5nt7j4 жыл бұрын

    진정한 소통한 지식인이세요 통찰하여 도시를 보시는 시각이 넘나 존경스럽습니다.

  • @mozm-tv
    @mozm-tv3 жыл бұрын

    이런 마스터 클래스 있어서 좋다 ㅎㅎ 이제 건축가 출신 문화 장관 하나 나왔으면 한다

  • @user-kn6te5um6w
    @user-kn6te5um6w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말씀 들을때마다 미래를 상상하게 됩니다. . 사람들 가슴에 바람을 불어넣는 사람.. 너무 멋져여ㅡㅡ

  • @user-pg8mn5hy6f

    @user-pg8mn5hy6f

    3 жыл бұрын

    저는 자식을 다 키운 세대지만 교수님 강의에 지식과 지혜를 배우고 감탄과 감사를 느낍니다. 계속 좋은 강의 부탁 드립니다~~

  • @user-yf2rt7nu3s
    @user-yf2rt7nu3s4 жыл бұрын

    ㅎㅎㅎ 나도 학교 다닐때 닭장에서 산다고 생각했는데 성인이 되어서도 닭장에 살고 있음... 이분 강의 들으면 예쁜 단독주택 지어서 살아야겠단 생각 절실히 들어요. ㅋㅋ

  • @user-lv7kw1yj6j
    @user-lv7kw1yj6j3 жыл бұрын

    교도소같은 학교 속히 바뀌길 바라면서 널리널리 퍼트리겠어요.

  • @ppeuny1222
    @ppeuny12224 жыл бұрын

    제가 다녔던 학교나 30년이상이 흐른 지금의 아이가 다니는 학교나 크게 바뀐게 없어요 교육은 국가미래인데 말이죠...안타까워요 공간과 환경이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일인인데 이런 교수분이 계시다는거에 감사하고 앞으로 좋은 변화가 일어나길 바래봅니다

  • @user-rp5sr7tq4z

    @user-rp5sr7tq4z

    3 жыл бұрын

    정말 인상적인 강의였습니다. 교수님의 꿈이 꼭 이루어지시길 바랍니다

  • @newlnew5464
    @newlnew54643 жыл бұрын

    유현준 교수님은 목소리도 꿀😆

  • @carpoo3985
    @carpoo39854 жыл бұрын

    *감시받는 공간 = 안전한 공간* *더 무거운 건축물 = 강한 권력* *고인돌,콜로세움,고인돌,담배,술,명품백 = 생존을 위한 과시* 교육부는 아이들을 감시,통제,교주의 대상으로 본다 전체주의 양식을 주입한다

  • @user-xq5xw2eg7b
    @user-xq5xw2eg7b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좋은 강의를 공짜로 듣게 해준 GMC 감사합니다. 유현준 교수님 정말 애들 학교 바꿔주러 광화문 나가고싶습니다.

  • @user-zr1ex8hq6c
    @user-zr1ex8hq6c4 жыл бұрын

    4인가족시대는 다양한 사람을 만나지만 독방 SNS에선 비슷한 사람만 만나게 된다.

  • @user-sy1wh9mf9g
    @user-sy1wh9mf9g2 жыл бұрын

    학부형이나 학생과함께 투표합시다. 탁상공론하는 사람이투표하지말고 실질적으로쓸사람들이투표하자

  • @user-zg5jc8lx4n
    @user-zg5jc8lx4n4 жыл бұрын

    학교공간과 교도소와 연결하다니! 생각도 못했는데 들을수록 공감이 됩니다! 좋은강연 감사드립니다~^^

  • @user-si4ll6ps1s

    @user-si4ll6ps1s

    3 жыл бұрын

    제가 그래서 학교 다닐 때 감옥 같다 느꼈었나봅니다 시꺼먼 교복도 나를 가둔 듯이 느껴졌었구요

  • @Alejandro_2415

    @Alejandro_2415

    2 жыл бұрын

    실제로 학교건물 양식이 군대를 다녀오신 분들이라면 알겠지만 굉장히 흡사하죠. 디자인, 배치도 그렇구요. 군대도 질서정연, 내부 통제, 보안이 중요하다보니 교도소와도 비슷하죠. 학교다닐 때 저희가 학교 청소하고 교사의 통제에 따르는 걸 보면 학생 = 병사죠. 반장은 분대장, 생활반장이구요. 담임 선생님은 소대장, 학년부장 선생님은 중대장. 저는 학교 = 군대와 굉장히 흡사하다고 봅니다. 요즘은 물론 분위기가 많이 변했지만요.

  • @user-jt5wb5qj1f
    @user-jt5wb5qj1f3 жыл бұрын

    유현준교수 강연은 다 재밌다

  • @Bong9_Wife
    @Bong9_Wife3 жыл бұрын

    무개성, 평준화, 전체주의, 창의성의 상실, 자연과의 단절. . . . 평소 저도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그게 건축과 연결된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공간의 디자인을 바꾸는 것으로 이런 문제들이 다소나마 해결될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Rose-ey8ye
    @Rose-ey8ye3 жыл бұрын

    유교수님 강의는 들을때마다 감탄합니다. 냉철한 현실진단과 촌철살인의 말빨. 정말 멋진 지식전도사. 이과문과 이론실무를 어루르는 전인적 지식인이라고 생각합니다. 공무원교육원 가셔서 급수별로 강의해 주셨으면 좋겠네요. 제발 위부터 뜯어고치라고. 학교만 닭장이 아니죠. 공무원 생활 하다보면 다르다가 틀리다는 것부터 먼저배우고 닭장안의 닭으로 스스로를 맞추게 되니까요. 그리고 이렇게 강의 올려주신건 감사한데요 온라인으로 보는 사람들을 위해 교수님이 말씀하실때 비쥬얼에이드도 같이 보여줬으면 하는 아쉬움이 많이 남습니다.

  • @user-ht8fx4ho9z
    @user-ht8fx4ho9z3 жыл бұрын

    1프로의 소금같은 천재적인 사람위 생각과 노력이 우리 모두를 삶을 바꿀수 있다고 봅니다~ 사이다 강의 감사합니다~

  • @149cm6
    @149cm63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연 잘 봤습니다🙏 일본 시골에 거주하는데요 가끔 도시에 나가면 큰 쇼핑몰이나 전시회장 건물이 자연과 멋지게 어우러진 모습이 인상깊더라구요. 그리고 많은 가족들이 마당이 있는 그림같은 주택 혹은 공동주택에 살아서 부럽다는 생각도 가끔 했어요. (한국같은 오래된 주택도 물론 많아요) 물론 나라의 면적이 일본이 더 넓고, 전쟁으로 부를 축적한 것이 큰 이유이긴 하겠지만 한국도 도회지에 예쁜 주택들도 많이 늘어나면 좋겠습니다.

  • @nancykim6264
    @nancykim62643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도 학교가 아이들의 오전 8시에서 오후3시 까지 교도소란 이야기를 홈스쿨링 세미나에서 들어본적이 있어요. 큰아이 6학년 작은애 4학년때 1년만 시범으로 홈스쿨링 시작했었거든요. 일단 아이들 늘어지게자게해주고 공부는 아이들이 원하는 공간에서 했어요. 침대, 소파, 동네 책방, 도서관, 공원, 바닷가, 실외수영장 어디가됐던 하루에 2-3시간만 집중해서 공부하고 물론 중간에 휴식있고요... 그래서 그런지 지금 아들은 미국나이 20살 사회 생활 시작했고 딸은 17살 대학교 3학년인데 다른아이들에 비해 자연을 즐기는거같아요. 새볔엔 해변가에 해뜨는거 밤엔 썬셋 보러가거나 하면서 본인들이 집중하고 즐길수있는 공간을 잘알고 거기가서 공부하고 일하더라구요. 결국엔 1년만 해본다는 홈스쿨링이 저히가족에겐 자유를 얻은거같아 끝까지하게돼었는데요. 학교 교도소 맡습니다. 할머니 할아버지댁에 방문하면 우리아이들은 다음날 아님 몇일 지내다 오지만 조카들은 다음날 학교라 저녘식사 끝나면 바로 가곤했어요. 부모로서 저희 아이들한테 잘해준거있다면 학교라는 감옥에서 해방시켜준거라고 아이들도 공감합니다.

  • @mickelimbo
    @mickelimbo3 жыл бұрын

    정말 진하고 농도 짙고 알찬 강의네요. 버리는 시간이 조금도 없어요 😮

  • @todayscoffee2550
    @todayscoffee25504 жыл бұрын

    유교수님 강의는 볼 때마다 감탄합니다.

  • @clarelove6499
    @clarelove64993 жыл бұрын

    교육학 책에도 나옵니다 미숼 푸코는 감시와 처벌이란 책에서 학교건물이 교도소와 같은 감시와 통제의 건물을 만들었다고 했습니다 감시와 통제를 통해 문제를 안만들게 하려는 편의주의죠 문제가 생기면 본인들이 골치아퍼 진다는것이죠 교육부에는 학교에 근무해보지 않은 행정직들이 많습니다

  • @suncatcher4929

    @suncatcher4929

    2 жыл бұрын

    어짜피 3년만 거쳐가면 물건을 훔치던 살인을 하던 관심도 없고 흥미도 없는 애들이니 능력 안되는 것들은 적당히 시간 때우면서 문제 일으키지 말고 순응하다며 나가고, 능력되는 녀석들은 네 미래를 위해서라도 좋은 대학을 가서 내 실적이 되어다오. 이게 현 시대의 학교의 모습.

  • @user-tm2ln6sz6k
    @user-tm2ln6sz6k3 жыл бұрын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이런 좋은 강연을 듣는 게 새삼 먼 옛날처럼 느껴지네.. 몹쓸 코로나ㅠ

  • @user-ep7tk4tw4e

    @user-ep7tk4tw4e

    3 жыл бұрын

    어서 빨리 코로나가 종식되어 다시 모일 수 있기를 바랍니다ㅠㅠ

  • @user-ku2ot3rx9s
    @user-ku2ot3rx9s3 жыл бұрын

    멋집폭발. 이시대에 꼭 필요한분. 존경합니다.

  • @rokafawinners
    @rokafawinners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국민청원 해 주세요. 좋은 생각입니다.

  • @user-kt1td6pb8y
    @user-kt1td6pb8y4 жыл бұрын

    진짜 너무 재밌고 혜안이 넘치시네요. 우리나라 거리가 상가로 통일된 덕분에 대기업 유통만 살아남게 되었다니 생각도 못했어요. 감사하게 잘 들었습니다.

  • @minniebartlett2405
    @minniebartlett24053 жыл бұрын

    저는 알라스카에 서부에 사는데 매일 학교를 갈때마다 생각하는데 학교 위치가 산 위쪽에 있어서 앞 뒤에 경치 산과 바다 View 는 볼때마다 감탄이 절로 나온답니다 소 중 고 아이들이 행복 할거라 생각을 합니다

  • @user-ix7sj1zm5n
    @user-ix7sj1zm5n3 жыл бұрын

    현재 학교를 요양원으로 만들고 학교를 다시 건축해서 아이들도 좋고 주민들도 활용할수 있도록 최고 강의 공부잘했습니다. 하루 빨리 학교건축이 달라졌으면 좋겠습니다.

  • @user-in1je1mx8w

    @user-in1je1mx8w

    3 жыл бұрын

    요양원에서 사는 환자 분들은 감옥에서 살아도 된다는 뜻처럼 보이네요 요양원도 자연 가까이에 있어서 운동도 하고 하면 더 좋지요

  • @user-ku1ns9pd1t
    @user-ku1ns9pd1t3 жыл бұрын

    복음을 전파하도록 하겠습니다😁😁😁

  • @STARINA_HerbHealer
    @STARINA_HerbHealer2 жыл бұрын

    정말 공감가는 강의! 인재양성해야 할 곳이 돈에 따라가서 실력없는 자들이 전문가 행세를 하니 답답합니다.

  • @gunny5040
    @gunny50402 жыл бұрын

    내 자식은 절대 한국에서 교육시키고 싶지 않았는데 나도 모르고 있던 이유들을 정확히 짚어주시는군요

  • @joohwanan790
    @joohwanan7903 жыл бұрын

    저도 중햑교때 쉬는 시간만 되면 제 친구랑 운동장을 미친듯이 뛰어다녔습니다. 이제야 그 이유를 알겠습니다.

  • @soultree5013
    @soultree50133 жыл бұрын

    문제점을 발견하고 현재의 상황을 평가하고 대안까지 제시하는 방향의 강의들,,그 강사님들을 응원합니다..세바시 응원합니다.

  • @user-ep7tk4tw4e

    @user-ep7tk4tw4e

    3 жыл бұрын

    세바시...도 너무 응원하지만 그랜드마스터클래스도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 @user-zl4rr5ox1n
    @user-zl4rr5ox1n3 жыл бұрын

    두 번째 강의를 들으면서도 왜 유현준 교수님인지 또 실감합니다. 교수님께서 선구자 되시길 희망합니다

  • @s.5710
    @s.57103 жыл бұрын

    정말 중요한 걸 놓치고 살았네요. 사명감에 불타서 하시는 말씀이라 더 큰 울림이 있네요. 저도 꼭 전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ic1tq5my1l
    @user-ic1tq5my1l2 жыл бұрын

    뉴욕과 켈리포니아의 지질학 비교가 생각 못한 사실들을 들으며 오호 그렇구나!!! 감동 감탄 흐믓합니다.

  • @user-tw7kt1nk8l
    @user-tw7kt1nk8l3 жыл бұрын

    와~~대한민국에 이런분이 있으셨군요~~

  • @user-mk4bi7yn8f
    @user-mk4bi7yn8f3 жыл бұрын

    정말 말씀이 빠르시네요. 말씀중에 천정이 높아야 한다는 것, 그리고 하늘을 볼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 제일 와 닿네요. 우리가 흔히들 지나칠수 있는 생각들을 조리있게 공감할수 있는 강연 정말 좋네요. 앞으로도 더 좋은 강연을 들을수 있게 되기를 기대되고 바라게 되네요..

  • @user-uk7ox7jg5j
    @user-uk7ox7jg5j4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는 강연이었습니다 듣고 무릎을 탁 쳤어요

  • @user-ui8ix4jd7u
    @user-ui8ix4jd7u3 жыл бұрын

    교도소.. 학교.. 닭장... 일맥상통 평소에 저도 생각했었던건데 ㅎㅎ 닭장에사는 우리가족 그래도.. 그 속에서 다름을 찾고 행복을 찾으려는 애씀에 감사하며 좋은 강연 감사드립니다.^^

  • @healena
    @healena3 жыл бұрын

    최고

  • @user-et8ym8ip9u
    @user-et8ym8ip9u2 жыл бұрын

    정말 존경합니다~~아멘^^ 국회로 가셔야할 듯합니다.

  • @heeyalee3546
    @heeyalee35463 жыл бұрын

    오늘의 시대에 너무나 너무나 필요한강의입니다.. 모든 부모와 공직자들의 사고가 변화되어야 할텐데요..

  • @ascasc4400
    @ascasc44004 жыл бұрын

    유현준 교수님 명강의 감사합니다♡ 교수님 의견에 만퍼 동의합니다! 고등학생인 저희 아이들도 항상 얘기해요. 교육부 공무원들 도대체 누굴 위해 있는거냐고... 촛불 집회 대찬성입니다~!!!

  • @jstar21kmj
    @jstar21kmj3 жыл бұрын

    천재신가요? 명강의네요.

  • @xxj714
    @xxj7142 жыл бұрын

    제 롤모델이에요 교수님! 08년생이 교도소학교 강의보고 롤모델 됬어요😊 저런분이 교육부장관이 되셨음 좋겠네요😥

  • @97junara
    @97junara3 жыл бұрын

    알쓸신잡 위치에너지..주가총액..얘기하시는거 보고 진짜 지식에 더한 상상력에 놀랐습니다 알쓸신잡 시즌2해주세요

  • @user-ln1ie4tf8r

    @user-ln1ie4tf8r

    3 жыл бұрын

    ㅋ저도 그거 보고 엄청충격이엇네요~

  • @user-wi4rj3cj7k
    @user-wi4rj3cj7k4 жыл бұрын

    처음 이 강의를 봤을땐 참으로 감사했고 2번째보면서 감사함에 표현을하고싶네요~ 아이들 환경에대해서 말씀하실때 저는 하지 못하지만 공간의배치, 경계의 무너짐, 그속의 미래의 아이들에 대한 교수님의 말씀에 ᆢ 우리가 이게 좋아 하고 만들어 놓은 과정을 원래로 돌려 놓은거 같아요~~ 자연이 아름답다 사람이 아름답다 함께 있음이 천국이어라 감사해요^^

  • @user-gn2mt7fz7b
    @user-gn2mt7fz7b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좋은 생각들이 외면 받고 있었다니 슬프고 울분이 생기네요

  • @user-me1ew4zx3x
    @user-me1ew4zx3x3 жыл бұрын

    학교공간이 문제다. 자연친환적 학교공간이 필요하다는 말씀~공감합니다

  • @jadenjaewonlee5805
    @jadenjaewonlee58053 жыл бұрын

    와.....현상을 바라보는 정말 다른 시선 감탄의 연속입니다 학교 부분 강연하실때 소름이었습니다......

  • @user-hr5dq4mx3e
    @user-hr5dq4mx3e3 жыл бұрын

    적극추천하고 공감합니다. 공간이 사람을 지배하고 무한한가능성을 무의식중에 내재시키고 가랑비에 옷젖듯이 젖어간다는것 공감합니다. 제가 비록 서울에서 아파트에 살지만 캠핑을 많이 가는 이유입니다.

  • @chywoo2000
    @chywoo20004 жыл бұрын

    말씀을 듣고 보니 우리 애가 왜 학교에 가면, 잘 하는 것을 못 한다고 생각하며 손을 놓는지 알겠습니다. 이 복음을 빨리 전합시다.~~

  • @soriso5932

    @soriso5932

    3 жыл бұрын

    😆👍

  • @user-dj4rw1tk4e
    @user-dj4rw1tk4e2 жыл бұрын

    비디오로 보는것이 더 생동감

  • @user-ol7zc1xe1l
    @user-ol7zc1xe1l4 жыл бұрын

    최근 출간된 교수님의 저서 '공간이 만든 공간'을 보면 공간과 우리의 관련성에 깊이 생각해보게 됩니다. 감사합니다~교수님~~^^

  • @Ryan-ev3qy
    @Ryan-ev3qy3 жыл бұрын

    교보에서 교수님 책을보고 유튜브에 바로 검색해 영상을 시청하였습니다. 학교와 교도소의 형태가 똑같다는 것은 참 충격적입니다. 인구감소와 함께 학교건축도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으면 하네요. 명강의 감사드립니다^^

  • @insooklee7270
    @insooklee72704 жыл бұрын

    건축에 대해 새로운 지식을 배워갑니다

  • @mingmay8111
    @mingmay81113 жыл бұрын

    감탄 또 감탄할 따름임니다.

  • @user-yh3jd5uc3j
    @user-yh3jd5uc3j3 жыл бұрын

    재미있는 분석에 강의 후반에는 명안들이 속속들이 나오네요. 국회에서 이 안건들이 채택되어 아름다운 도시들이 많이 만들어졌으면 좋겠습니다.

  • @imaginegenie6722
    @imaginegenie67224 жыл бұрын

    Ppt를.보여줘야할때 왜 안보여주는거예요! 카메라맨이나.편집자분 정신차려욧!!

  • @user-se8kn1sr9y

    @user-se8kn1sr9y

    3 жыл бұрын

    카감이 얼빠....

  • @KPR-dg8oe

    @KPR-dg8oe

    3 жыл бұрын

    ㄹㅇ 편집 답없음

  • @user-yz4kf2tr4h

    @user-yz4kf2tr4h

    3 жыл бұрын

    ppt 저작권 때문이다

  • @sjfi4791

    @sjfi4791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설명하는 자료를 보여줘야지, 뭔, 얼굴만 보여주는지.

  • @kkangsk1225
    @kkangsk12252 жыл бұрын

    다음 세대를 위해, 학교 건물과 환경을 새롭게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것에 적극 찬성합니다~!

  • @user-up9pu1fc1w
    @user-up9pu1fc1w3 жыл бұрын

    진짜 우리나라 건축공간이 바뀌어야함을 느낍니다

  • @Vine_V
    @Vine_V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통찰력 대박이네요...

  • @user-id6qm9yx5b
    @user-id6qm9yx5b3 жыл бұрын

    와.45분 다 볼 줄 몰랐네.멋진 강연,깨달음주는 강연이었어요.

  • @jamescallahan2985
    @jamescallahan29854 жыл бұрын

    아니 시각자료도 좀 보여주세요 보면서 이해하라고 보여주시는데 화면으로는 절대 안잡아주네

  • @gh-qh1xv
    @gh-qh1xv2 жыл бұрын

    서울에 있는 중고등학교에 가보면 정말 이런 곳에서 학생들이 공부한다고 생각하면 정말 마음이 아픔. 그런데 학부모들이 그런 학교를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고 받아들인다는 것이 더 놀라움.

  • @user-qe7dz4or1j
    @user-qe7dz4or1j3 жыл бұрын

    생각하게 해주시는 말씀. 감사합니다 ~♡

  • @user-sz7om7tc9x
    @user-sz7om7tc9x3 жыл бұрын

    학교운동장을 동네주민과 같이쓰는 방향 넘나 좋은 아이디어네요 굿입니다♥

  • @user-wm6hz2tv7g
    @user-wm6hz2tv7g4 жыл бұрын

    세상을 다른 측면에서 보게하는 통찰력 있으신 분이군요. 짝!짝!짝!

  • @user-nc7ps9cg4m
    @user-nc7ps9cg4m4 жыл бұрын

    학교 건물,공간 활용에 대해서 많은 공감이 갑니다 ..명쾌한 강의 감사합니다 교육부가 바뀌었으면 하네요..모든 것이 교육으로 부터 시작하니...

  • @user-by3bq3pi9x

    @user-by3bq3pi9x

    3 жыл бұрын

    왜 국토부의 사람들은 집이나 신도시 공간을 지을때 공간에 대한 이런 철학과 개념은 없이 마구 잡이로 지어대서 지슴 세대에게 이런 고통만 주는걸까요...ㅠㅠ 제발 이런분들께 교육좀 받고 설계좀 해줬음 좋겠어요 정말 감동스랍네요..

  • @neillcorea
    @neillcorea4 жыл бұрын

    하나 하나 사례들이 생각하지도 못했던 새로운 관점이라서 너무 재미있습니다. 제 주변 모든 문제들을 다시 생각하게 만듭니다.

  • @user-nt9qc3ne9l
    @user-nt9qc3ne9l3 жыл бұрын

    김정운교수님과 공간이라는 봤을 때 부터 멋찌신 분 계속 강의 부탁드립니다

  • @GONGRI0
    @GONGRI03 жыл бұрын

    와우 진짜 멋져요. 강의 너무 재밌고 논리적이고 빠져들어요.

  • @jyc6152
    @jyc61523 жыл бұрын

    교도소와 똑 같은 학교 건물! 수감자와 다를 것 없는 학생들.... 공감합니다! 학교 건축 꼭 바뀌어야 합니다!! 그나마 대학은 좀 달랐는데... 이제 대학도 비슷해져 가더군요.

  • @sunhyunyu9410
    @sunhyunyu94102 жыл бұрын

    사람은 도시를 만들고 도시는 사람을 만든다...너무 귀한 강의와 책을 접합니다. 다음 세대에게 이런 공간이 많이 열려지길 소원해봅니다..^^

  • @user-ps6ry1sv5k
    @user-ps6ry1sv5k3 жыл бұрын

    사람은 도시를 만들고 도시는 사람을 만든다! 강의가 너무 재미있고 공감이 갑니다. 저도 학생시절에 학교를 창살없는 감옥으로 생각했던 일인입니다. 학교건축이 바뀌어야 아이들 교육이 바뀐다는 복음을 널리 전파하겠습니다~^^

  • @derickpark1669
    @derickpark16693 жыл бұрын

    참으로 많이 배웁니다

  • @user-xt5wv1pf7d
    @user-xt5wv1pf7d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하시고 싶은 말씀이 엄청 많으신가봐요~ 계속 빨라지고 있어요~

  • @user-ww4rs3qi3s
    @user-ww4rs3qi3s4 жыл бұрын

    2번 듣고 갑니다

  • @user-mx2ih3is8o
    @user-mx2ih3is8o3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말씀이었습니다

  • @user-ly6pg2qb6v
    @user-ly6pg2qb6v2 жыл бұрын

    학교 들어가기전에 추억있고 졸업하고 추억있네~ 다니는동안은 좀비처럼 살았다~

  • @user-eb2xq6pz2f
    @user-eb2xq6pz2f3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았어요. 다른곳도 자주가셔서 많이 많이 이야기해주시면 좋겠읍니다.

  • @youyoungna8210
    @youyoungna82103 жыл бұрын

    전적으로 공감! 합니다! 👍👍

  • @ravinetao5458
    @ravinetao54583 жыл бұрын

    My fathers will hear about this

  • @user-vp9tc7kd4s
    @user-vp9tc7kd4s4 жыл бұрын

    굿굿굿 강의...복음 10명한테 전하겠습니다.!!! 온 국민이 다아는 그날까지!!!

  • @dalim1861
    @dalim18614 жыл бұрын

    동감합니다

  • @soona1950
    @soona19504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 @wattdr
    @wattdr4 жыл бұрын

    최고 👍🏻👍🏻👍🏻

  • @Coco-zn7wu
    @Coco-zn7wu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강의를 듣다보니 점점 빠져들고 여러모로 깨달아 집니다!!

  • @mungichoi9961
    @mungichoi9961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강의 감사합니다 너무 공감합니다

  • @johnswanson217
    @johnswanson2172 жыл бұрын

    회사도 그렇죠. 서양과 한국 공유오피스 브랜드를 비교해보면, 위워크같은 브랜드는 층고가 훨씬 높고, 굉장히 복잡한 구조로 만들어놓은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애 패스트파이브같은 곳은, 서비스 공간이나 커뮤니티 공간을 빼면, 움직이는 칸막이가 있다 뿐이지, 그냥 90년대 사무실이랑 다를바 없습니다. 한국 사장님들이 봤을때 위워크 공간은 직원 통제 안되는 산만한 공간일 뿐이니 스타트업 말고는 누가 거기 입주하겠어요. 그런데 가격은 스타트업 가격이 아니니 잘 안되는거죠.. 한국 기업은 아직도 직원들을 쓰다버리는 기계 부품으로 본다는 얘기겠죠. 엔지니어로서 정말 미운 산업 행태입니다.

  • @rose1004yu
    @rose1004yu7 ай бұрын

    공간을 볼수 있는 눈을 갖게 해주신 좋은 강의 고맙습니다. 싶고 재밌게 차분하게 이야기하듯 말씀하신 교수님의 매력에 빠졌습니다^^

  • @user-ub9vr2zr7e
    @user-ub9vr2zr7e3 жыл бұрын

    책으로 먼저 접한 교수님이신데 강연도 좋네요 굳

  • @kongkongee
    @kongkongee3 жыл бұрын

    와~~~ 작은 마을 같은 학교라니! 너무 멋지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