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심한 고령화와 노인 혐오로 "안락사"가 합법화 되면 벌어지는 충격적인 일

Фильм және анимация

안녕하세요^^
채널 어바웃타임 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영화는 플랜75입니다.
비즈니스 문의: serendipityabout1@gmail.com
🔥소름끼치는 몰입감으로 1시간 삭제시켜 버리는 핵꿀잼 스릴러 드라마
👉 • 단 한순간도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
🔥피 한방울로 5천억 투자받아낸 IQ180 천재 소시오패스 사기꾼
👉 • 이 여자는 진짜 미쳤습니다.. 당신의 1...
🔥당신의 3시간을 삭제시켜줄 핵꿀잼 띵작 SF드라마
👉 • 총 제작비 3000억, 당신의 3시간을 ...
#플랜75 #영화 #드라마 #개봉

Пікірлер: 544

  • @FAP1999
    @FAP19993 ай бұрын

    극단적으로 나이로 대상을 정해서 그렇지, 회복이 불가능한 사지마비 환자등. 사는게 더 고통스러운 지옥을 사는 사람들에게 충분히 정리하는 시간을 갖고 원하는 날을 정해 편안하게 죽을 수 있는 안락사제도는 꼭 필요하다고 봅니다. 무조건 살아있어야한다며 목숨줄만 붙여두고 아무도 돌보지도 않으면서 지옥의 방에 갇혀 언제끝날지 모르는 고통을 계속 받는건 고문과도 같습니다.

  • @hx2k546

    @hx2k546

    2 ай бұрын

    아마 건강보험만 없애도 인구 조절이 자동으로 될 것 입니다 만..... 인간의 삶이란 것이 그리 간단한 것이 아니라서....

  • @user-bg4fh3ro4w

    @user-bg4fh3ro4w

    Ай бұрын

    ,😅

  • @jungminkim6982
    @jungminkim69823 ай бұрын

    확실한 것은. 이런 생각과 현상에 대해 내가 대상이 아닐땐 열렬한 갈채를 보내다가도, 내 차례가 되면 정색을 할 사람들이 대다수라는게..

  • @appletkxkd
    @appletkxkd2 ай бұрын

    그거 생각난다. 안락사 합법화 반대의 이유. 죽을 수 있는 권리가 죽어야 할 의무로 바뀔까봐.

  • @Noble.6
    @Noble.62 ай бұрын

    저런것도 일종의 약육강식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는데 많은 사람들이 그런 약육강식의 시대가 되면 자기가 강자에 위치에 있을거라고 착각함. 하지만 실상은 자기가 상위 0.1% 안에 들어가지 못하면 모두 약자에 속한다는 걸 모르지. 약육강식의 자연 생태계에서도 포식 동물은 언제나 0.1% 비율이었음. 99.9%는 먹이고.

  • @user-xe3bi7nu8u
    @user-xe3bi7nu8u3 ай бұрын

    최소한의 품의를 지키고 죽고싶다...난 안락사가 생긴다면 동의에 1표

  • @hi-1337
    @hi-13373 ай бұрын

    이런 상상속 영화가 이제는 곧 다큐가 될거같은 고령화 현실공포.

  • @user-wz9rw9ov3c

    @user-wz9rw9ov3c

    2 ай бұрын

    방귀가 잦으면 변을 본다고 상상은 현실이 될듯~~^^

  • @user-sq5ml7qj1s
    @user-sq5ml7qj1s3 ай бұрын

    실제로 일본 네티즌들 사이에서 안락사 관련 논쟁이 있었는데 이중 의사라는 사람이 '안락사는 반대하지 않지만 그것이 인권이나 개인에 대한 존중이 힘든 일본에서 실행되면 안된다.', 라고 했고 어떤 네티즌들은 '태평양 전쟁때처럼 죽는 걸 강요하는 사회가 될 수 있다.', '안락사가 권리에서 의무로 바뀔 것 같다'란 견해를 내놓았습니다. 일본에서는 극단적으로 공동체를 강조해서 아무리 착한 행동이나 죄없는 사람이라도 공동체에서 '눈치가 없다', '거슬린다'는 생각이 들면 메이와쿠(민폐)로 받아들이기에 영화처럼 '플랜75'가 발동되면 노인분들에 대한 차별과 혐오가 더 심해질 거 같고 그들의 인품과 관계없이 '너무 늙으면 죽는게 미덕'이란 미친 사상도 굴러다닐까봐 걱정도 되네요...

  • @nohtaegyeong4310

    @nohtaegyeong4310

    2 ай бұрын

    너무 늙으면 죽는게 미덕은 아니지만. 늙엇는데 돈은 없고 아프면 죽는게 사회나 자식들을 위해서 그리고 근본적으로 본인한테 있어서 조금더 나은 선택지가 아닐까?

  • @bee-nq8lx

    @bee-nq8lx

    2 ай бұрын

    윗사람아 그렇게 치면 젊은 나이에도 아무 것도 못하는 사람도 결국 무쓸모아닌감 사회에 있어서? 집안에 틀어박혀서 히키코모리 20년째 유지하면서 가족 고혈 빨아먹고 인터넷으로 악플이나 달고 다니는 그런 40대 이런 사람들이 열심히 생활하려 노력하는 늙은이들보다 더 쓸모있다고 볼 수 있는감? 아프고 가난하고 늙었다 하더라도 만일 본인이 살고 싶어한다면 살게 해줘야하지 않겠는감

  • @ahnchris762

    @ahnchris762

    2 ай бұрын

    자발적인 안락사도 있겠지만, 민폐가 될 것이라는 이름하에 가족들에 의해 타의로 안락사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생기겠죠.

  • @user-cx3jq2xz7e

    @user-cx3jq2xz7e

    2 ай бұрын

    ​@@nohtaegyeong4310 안 죽어지는것도 병인것 같아요

  • @user-cx3jq2xz7e

    @user-cx3jq2xz7e

    2 ай бұрын

    ​@@user-jh8yo1li6n 그런시대 왔으면 좋겠어요. 늙은이들 너무 많아요. 60입이다 안 죽어 지면 곡기 끊을 생각 입니다. 건강나이 까지 살고 싶어요

  • @johnkim9642
    @johnkim96423 ай бұрын

    유럽에서 본인 결정에 따른 안락사 이미 진행되고 있는데, OECD 노인 빈곤율 1위가 한국이다보니 남일 같지 않네요.

  • @user-ve8dg7gm8n

    @user-ve8dg7gm8n

    3 ай бұрын

    그래서 한국의 자살율이 1등이라는거죠.....2위와 월등한 차이가 있는.... 그런데 한국 자살율 1등의 일등 공신이 한국 노인자살율이죠..... 어떻게 남의 일이겠습니까......

  • @user-vq1ei5yk7z

    @user-vq1ei5yk7z

    3 ай бұрын

    불치병에 걸려서 연명치료 및 만 80세 이상 거동이 불편하고 심한 고통에 시달리는 사람 대상으로 안락사 허용이 되야 합니다. 인권은 인간의 마지막 순간만큼은 존엄한 최후를 맞이하게 해줘야지....

  • @mybelovedkorea

    @mybelovedkorea

    3 ай бұрын

    근데 유럽에서 살인의 도구로, 배우자 기만으로 변질된 안락사에 대한 부정적인 사례는 하나도 보도 안 하더라고요. 마치 저출산이니 인구절벽이니 징징대면서 임신율이 높은 실태는 보도 안 하는 것 처럼이요. 그리고 동성애합법화 나라에서 짐승매매촌 합법인 실태는 보도 안 하는 것 처럼이요. 성소수자의 범주에 아동을 선호하는 부류도 포함된다는 것을 숨기는 것 처럼이요.

  • @user-ll5nn4nm6p

    @user-ll5nn4nm6p

    3 ай бұрын

    저희 나라도 생명연장 거부 신청권이 생겼죠....

  • @wuf8i2bndoqkqnd

    @wuf8i2bndoqkqnd

    3 ай бұрын

    멀쩡한 노인 안락사하는 나라는 단한곳도없습니다.

  • @user-ch1so4ll5e
    @user-ch1so4ll5e3 ай бұрын

    나도. 고령화시대가 걱정이된다 엄마가85세이고 난61세가 되니 아픈엄마를 보면서 내가 나자신이 걱정이된다 진정으로. 나도 걸어다니지 못 하면은 죽었으면은 한다 살아잇는게 고통이라고 생각든다😢

  • @user-cx3jq2xz7e

    @user-cx3jq2xz7e

    2 ай бұрын

    정신만 말짱하면 곡기 끊으면 되는데... 문제는 머리가 먼저 죽으니 대부분 아무 생각 없이 살아가죠... 60입니다 안 죽어지면 곡기 끊을 생각으로 살고 있어요.

  • @prjiki

    @prjiki

    Ай бұрын

    ​@@user-cx3jq2xz7e 곡기를 끊을 수 있을까요? 그 전에 친구나 가족이나 타인이 살려내면 어쩌죠? 어디 숨어서 곡기를 끊나요.. .

  • @fireeggkimpaul4758

    @fireeggkimpaul4758

    12 күн бұрын

    남 얘기 같지가 않네요~!😢 저는 50이고 어머니는 80, 아버지께선 85세이신데...다행히 계약직 물류센터에서 월 290받지만..매일 매일 걱정하면서 살고 있답니다~!~!

  • @user-cx3jq2xz7e

    @user-cx3jq2xz7e

    12 күн бұрын

    @@prjiki 건강하게 살다가 늙어지면 해야죠. 가족들에게도 그만 살고 싶다고 말하고 인사는 하고 .. 사전의향서 필수입니다..

  • @jj_oldcar
    @jj_oldcar3 ай бұрын

    일본의 고령화를 19년 지켜본 나로써 너무 무섭다. 돈없음 노후 때 개고생이다.

  • @user-fz5me9uh7d
    @user-fz5me9uh7d3 ай бұрын

    100세 시대는 저주다. 모든지 적당히해야한다.

  • @eliot9622
    @eliot96222 ай бұрын

    죽기싫은 사람을 억지로 죽이는건 문제지만 죽고싶어하는 사람을 대책도 없이 억지로 살려놓는 것도 잔인한 행위가 아닐까 생각해요.

  • @user-cx3jq2xz7e

    @user-cx3jq2xz7e

    2 ай бұрын

    잔인해요.. 의사들... 현대 의학이 다 좋은건 아닌것 같아요

  • @user-oy4ii8hi5z

    @user-oy4ii8hi5z

    2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진짜 고문을 죽을때까지 받는 거랑 같죠

  • @user-xk3st3uh3d

    @user-xk3st3uh3d

    2 ай бұрын

    정론

  • @user-xp4ih8qv5g
    @user-xp4ih8qv5g3 ай бұрын

    한국의 현재 평균 수명이 86세. 10년 후 90세 넘어 100세 시대로 갈듯. 그때까지 건강하게 살다 마지막은 안락사 선택할 수 있는 세상이 되었으면 합니다.

  • @wuf8i2bndoqkqnd

    @wuf8i2bndoqkqnd

    3 ай бұрын

    아닙니다. 지금 나이2030세대 수명나이 줄어들고 있지요.

  • @GaleRianes

    @GaleRianes

    3 ай бұрын

    지금 젊은 세대들 수명짧아지고 있죠. 인구 폭발은 4차 산업시대에 재앙이라 그들이 약처리해버림. 그래서 수명이 짧아지고 있어요.

  • @user-ci7vt8nn7n

    @user-ci7vt8nn7n

    2 ай бұрын

    왜 수명이 계속 늘어나기만 할거라고 생각하죠?

  • @user-xp4ih8qv5g

    @user-xp4ih8qv5g

    2 ай бұрын

    @@user-ci7vt8nn7n 시대의 흐름상 그렇단 것입니다. 무식했던 과거와 달리 건강에 대한 지식 정보가 늘어난 것도 있지만, 장차 노화를 어느 정도 정복할 날이 올 수 있다는 변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 @user-qo4fm8un7k

    @user-qo4fm8un7k

    2 ай бұрын

    그 평균수명의 함정 요양병원에서 죽고싶어도 죽지못하는 80대 천지

  • @user-rp1gi5bi5p
    @user-rp1gi5bi5p2 ай бұрын

    독거외로움 빈곤 중병으로 고생하는거 보단 선택권을 주는게 좋은 방향 같음 노령인구는 급증하고 자식들도 부모 모시기는거 힘들어하는 사회이고 독거노인들도 많으니 본인 자유로운 의사로 선택하는 걸 존중해야 됨

  • @user-yg3jy7os3j
    @user-yg3jy7os3j3 ай бұрын

    아!생각이 많아지는 영화네요 그렇게 오래 살고싶지는 않지만 막상 내일 죽는다고하면 너무나도 간절히 오래 살고 싶을듯...

  • @user-sus7pe3uusju
    @user-sus7pe3uusju3 ай бұрын

    와.... 진짜 그럴법한 내용..........혐오가 만연하고 고령화도 심화되고 있는 지금 단순한 작품으로 안느껴지네용...

  • @user-kd4wb4bu5r
    @user-kd4wb4bu5r2 ай бұрын

    중환자실이나 요양병원에 죽은 것처럼 누워있으며 고통받는 이들 중 원하는 사람에게 선택권을 주는 건 필요하다. 죽음보다 살아있는 고통이 클 땐 죽을 수 있는 자유를 줘야한다.

  • @user-cx3jq2xz7e

    @user-cx3jq2xz7e

    2 ай бұрын

    그 사람들 대부분 살고 싶어서 살꺼예요. 살기 싫으면 퇴원 해서 곡기 끊으면 되겠죠

  • @user-kd4wb4bu5r

    @user-kd4wb4bu5r

    2 ай бұрын

    @@user-cx3jq2xz7e 퇴원 하기가 쉽지 않더라구요.

  • @user-oy4ii8hi5z

    @user-oy4ii8hi5z

    2 ай бұрын

    @@user-cx3jq2xz7e 왜 그렇게 생각이 없어요 ? 곡기 끊는게 그리쉬운줄 알아요 죽을만큼 굶을 시간동안 아무고통없이 지낼수 있어요 ? 그게 무서워서 못죽는거지 그런경우 살고 싶은 사람 극소수 일겁니다

  • @user-sc3xp2ti5n

    @user-sc3xp2ti5n

    Ай бұрын

    안락사 제도 윈합니다. 저도노인이라

  • @user-ci7vt8nn7n

    @user-ci7vt8nn7n

    2 сағат бұрын

    약 안먹는 노인 있나요? 약 끊으면 죽어요.

  • @bgshin2879
    @bgshin28793 ай бұрын

    참 답이 없는 문제 입니다. 오래 살지만 그렇다고 싦의 질을 높이는데는 한계가 분명하고…. 100실을 살아도 거동할 수 있는 한계는 70대…. 20년은 어떻게 살아야 할지.. 20살에 일을 시작해서 65세에 정년 퇴직을 한다해도 45년 돈을 벌고, 지식 키우고 빠듯한 노후 준비로 100세 까지 35년을 살아야 하는데.. 즉, 노후 생활비로 세 후 수입의 30-40%를 저축 해야 한다는 건데…. 뭐 리버스 모기지니 하면서 연굼 이야기 하는 사람들도 있을 건데.. 그럼 중산층 이하는 상속분도 없어저서 진짜 가난의 굴레를 벗어날수 없게 됩니다…. 정말 어려운 문제….

  • @ryun40206
    @ryun402063 ай бұрын

    결국 가난하고 외로운사람들의 문제(이야기) 같아서 슬프네요

  • @jay-ot4uc

    @jay-ot4uc

    3 ай бұрын

    시간과 죽음은 인간에게 유이한 평등입니다 가난하든 부자든 죽음이 가까워진 순간에 느끼는 감정은 돈으로 좌지우지 되는게 아닙니다

  • @user-ve8dg7gm8n

    @user-ve8dg7gm8n

    3 ай бұрын

    돈많고 가족이 많아도 누구나 직면해야하는 과정 아닐까요?.... 결국 자신이 죽음을 받아들이는 문제.....언젠가는... 누구도 피할 수없는....

  • @ilyever7

    @ilyever7

    3 ай бұрын

    사회가 75세 이상 노인에 대한 지원을 끈으면서 더이상 75세 이상 노인은 사람 취급을 받지 못하게 되겠죠. 부자인 노인도 누군가에게 타살 되더라도... 아마 살인이 아니라 살인미수로 판결 난다던지... 아니면 대중들이 관심조차 주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어짜피 죽어야할 사람이라고 생각하는게 당연시 된다면요.

  • @user-je7vz1dh6e

    @user-je7vz1dh6e

    3 ай бұрын

    모두의 문제같은데요..

  • @36sjgxr9uvksv1

    @36sjgxr9uvksv1

    2 ай бұрын

    돈 많은 슈퍼부자는 과학의 발달로 젊은 사람 몸을 이식받을듯.....

  • @gingin7676
    @gingin76763 ай бұрын

    늙어서 살기 힘들다고 안락사 시켜주는거 아닙니다. 자살 아닙니다. 생명이 유지될 가능성이 낮고 고통이 심할 때만 안락사 허용 되는겁니다.

  • @user-hhf6t82be5j3

    @user-hhf6t82be5j3

    3 ай бұрын

    사는것 자체가 고통인 사람들도 있음

  • @hjow7

    @hjow7

    2 ай бұрын

    지금 님이 쓴 댓글들 보면 다 명확히 정의될 수 없는 것들 아닌가요? 기준을 제대로 잡을 수 없는 모호한 개념들이잖아요. 이런 게 제도로 받아들여지면 지옥이 펼쳐집니다. 어떻게든 제도의 취약점을 악용해서 유산상속을 받기 위해 몰래 저런 걸 본인 의사도 없이 서류위조 등으로 신청한다든가 말이죠.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이 법 악용하는 걸 잘합니다.

  • @eacho116
    @eacho1162 ай бұрын

    고령화로 묶어서 남 일 같지만. 본질은 세금내는 것보다 정부지원 받는게 더큰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임. 저소득층, 장애인, 노인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는 얘기임

  • @user-ug4es8uq1v
    @user-ug4es8uq1v3 ай бұрын

    현실적이라 확 와닿네요 😢

  • @user-hg1ib4in3r
    @user-hg1ib4in3r3 ай бұрын

    진짜 너무 슬픈영화에 머지않아 다가올 현실같아서 뭔가 울컥하네요

  • @user-dg4jw5if7y
    @user-dg4jw5if7y3 ай бұрын

    식탁에서 죽음을 맞이한 그 뒷모습이 너무 충격적이고, 가슴이 아프네요.....ㅜㅜ

  • @user-oy6mh7sb6w
    @user-oy6mh7sb6w3 ай бұрын

    나이먹으면서 한번쯤 정리가 필요한 내용이네요. 악다구니없는 점잖은 전개가 인상적이네요.

  • @muh_ea_tsy
    @muh_ea_tsy3 ай бұрын

    다른 곳과 다르게 보는내내 광고도 한번 안나와서 영상에 매우 몰입해서 봤고.. 마지막 전화를 받는 모습에서 어느순간 눈물을 줄줄 흘리고 있는 저를 발견했네요... 많은 생각이 들게 하는 영화였고 소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잘 봤어요 :)

  • @prjiki
    @prjiki2 ай бұрын

    죽음은 고통도 허무도 아니고 인생의 마지막 절차일뿐. 힘들게 태어났듯이 힘들어지면 떠나는것. 저런 플랜이 있으면 나는 환영이다. 돈도 떨어져가고, 걸어다니기힘들고,병에 시달리며 오래 사는건 고통일뿐이지. 적당히 살고 편히 갈수있다면 축복이라본다.

  • @user-ud8ro9zw9d
    @user-ud8ro9zw9d3 ай бұрын

    ’인간은 죽기 위해 산다‘ 자연사 하면 더할나위가 없겠지만 사람마음처럼 되는게 아니니 아파서 요양원에 들어가 비참하게 죽어나가니 차라리 저런선택도 좋을듯

  • @user-ve8dg7gm8n

    @user-ve8dg7gm8n

    3 ай бұрын

    언제..어디서.. 어떻게 맞이할줄 모르는 것이 죽음이라 했는데....선택할 수 있다면....좋을 것도 싶네요.................

  • @sanglee7877

    @sanglee7877

    3 ай бұрын

    그건 아직 본인이 젊어서 하는 생각이고 진짜 늙거나 병들어 죽음이 앞에 다가오면 엄청나게 살고 싶을겁니다

  • @user-li1cw2id4s

    @user-li1cw2id4s

    3 ай бұрын

    동감입니다

  • @user-ie6xc4ij1l

    @user-ie6xc4ij1l

    2 ай бұрын

    ​@@sanglee7877 병들고 아프면 살기 싫지

  • @user-cx3jq2xz7e

    @user-cx3jq2xz7e

    2 ай бұрын

    ​@@user-ie6xc4ij1l 그러게요

  • @user-ge3xc5yb4w
    @user-ge3xc5yb4w3 ай бұрын

    와 마지막에 울었네요 영화 너무너무 감사해요

  • @user-nj8es9vy8m
    @user-nj8es9vy8m3 ай бұрын

    죽음도 자신이 선택할수 있으면 얼마나 아름다운 이별인가

  • @user-vl6sw3py6n

    @user-vl6sw3py6n

    3 ай бұрын

    앞으로 20~30년 후에는 죽음은 선택이 아니라 강요일겁니다

  • @Mandu3-3

    @Mandu3-3

    3 ай бұрын

    저게 선택으로 보이세요? 저건 말만 선택이지 사회적 강요와 압박입니다..

  • @user-uj5ye3hr3x

    @user-uj5ye3hr3x

    3 ай бұрын

    @@Mandu3-3 근데 저건 본인이 아무것도 안 했기 때문에 선책입니다. 저런 사회가 안 되게 막았어야죠.

  • @user-qw5ty1pi88

    @user-qw5ty1pi88

    3 ай бұрын

    자신은 더살고싶은데 정부에서 죽으라고 강요하면?? 그게 아름다운 이별이냐

  • @user-rh5mx4qc2k

    @user-rh5mx4qc2k

    2 ай бұрын

    ​@@user-uj5ye3hr3x 사회문제를 두고 하는 정상적인 문제지적을 개인책임으로 만들고 떠미는것도 망한 사회 만드는걸 열심히 돕는짓이란거

  • @user-zl7ph3tb2g
    @user-zl7ph3tb2g3 ай бұрын

    좋은영화같아요 꼭 봐봐야겠어요

  • @About_time

    @About_time

    2 ай бұрын

    풀영상이 훨씬 재밌으실 거에요🤗 재밌게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bf3zc6ik6d
    @user-bf3zc6ik6d3 ай бұрын

    고생하셨어요 잘봤습니다

  • @About_time

    @About_time

    2 ай бұрын

    소중한 응원과 시청 감사합니다~🤗

  • @Concrete_onsil
    @Concrete_onsil3 ай бұрын

    아프고 비참한 모습으로 죽음을 기다리는 것보다 좋은 죽을을 위해 준비하고 작별하고 선택하고 싶습니다.

  • @user-ve8dg7gm8n

    @user-ve8dg7gm8n

    3 ай бұрын

    아프고 비참한 죽음과 좋은 죽음의 차이가 뭘까요?...

  • @Concrete_onsil

    @Concrete_onsil

    Ай бұрын

    @@user-ve8dg7gm8n 병마와 싸우다 고통 속에 몸부림 치다 죽거나 치매로 나 자신을 잃은 채로 죽는 것이 비참한 죽음일테고, 그렇게 최악의 상태가 되기 전에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나의 육성과 몸짓으로 사랑을 표현하고 자기결정에 의해 죽을 날을 앞당겨 깔끔하고 깨끗하게 죽는 것이 좋은 죽음이지 않을까요?

  • @Rosemary-hh5nr
    @Rosemary-hh5nr3 ай бұрын

    안락사 ᆢ합법화 했으면 좋겠어요 대찬성 살고 싶지 않을때 주사 한 방으로 떠날수 있는 권리 ᆢ간절히 바람

  • @venusk7767
    @venusk77673 ай бұрын

    영화를 좋아하는 저에게 항상 여러 영화를 진솔하게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 채널 대박나세요!

  • @About_time

    @About_time

    2 ай бұрын

    재밌게 시청해 주시고 소중한 후원 응원 너무 너무 감사합니다~🙏✨️ 힘내서 더 좋은 리뷰로 인사드리겠습니다~👍👍👍

  • @w.f3831
    @w.f38313 ай бұрын

    너무 현실적이라서 소름끼치네요

  • @cs7441
    @cs74413 ай бұрын

    좋은 영화 고맙습니다

  • @About_time

    @About_time

    3 ай бұрын

    좋은 댓글과 시청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user-iq2dw3vl8o
    @user-iq2dw3vl8o3 ай бұрын

    침대에서 산송장으로 사는 것보다는 고통없이 죽음을 선택하고 싶다.

  • @tiong3
    @tiong32 ай бұрын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는 영화네요

  • @user-ds6eq4wi1q
    @user-ds6eq4wi1q3 ай бұрын

    치매걸리면 안락사 시켜야한다 온가족이 불행하고 본인도좋고 사회도 좋다😮

  • @seohyun7862
    @seohyun78623 ай бұрын

    아~ 먹먹해지네요ㅠ

  • @user-uz4xm3jd2s
    @user-uz4xm3jd2s3 ай бұрын

    잔인하게만 해석하자면 정말 부품처럼 쓰여지고 폐기된다....슬프다...너무... 저런거 해결해달라고 평생을 세금이라는 걸 냈더니 '미안 어쩔 수 없었어 이게 최선이야' 라는 답으로 돌아오는...하 ...

  • @user-uz4xm3jd2s

    @user-uz4xm3jd2s

    2 ай бұрын

    @@abc123b ㅋㅋㅋ 세금으로 공공복지를 하는거지 보험을 드는겁니까? 에휴 잘 생각해보고 답글 다쇼

  • @sinkim4245

    @sinkim4245

    2 ай бұрын

    @@abc123b 우와. 대단하네.

  • @user-pw3wj5tp4h

    @user-pw3wj5tp4h

    2 ай бұрын

    ​@@user-uz4xm3jd2s좀 과하지만 틀린말도 아니죠. 이번에 최저생계비 지원탈락으로 복지사각지대로 내몰린 사람 많습니다. 세금내는 세대가 노인부양 다 못한다는거 아시잖아요.

  • @user-pr7hu8lo4k

    @user-pr7hu8lo4k

    2 ай бұрын

    @@user-uz4xm3jd2s 대한민국 서민들은 내는 세금에 비해 이미 과한 복지를 받고 있음 ㅋㅋ 그런데 저런 거 해결해달라고 평생 세금 냈다 말하니까 같잖아서 지적하는 거잖음 ㅋㅋ 대한민국은 연봉 4천 밑으로 사실상 세금 없다시피 한 수준임

  • @user-cx3jq2xz7e

    @user-cx3jq2xz7e

    2 ай бұрын

    저 분.... 200년 이상 살고 싶나봐요.. 오래오래 사세요​@@sinkim4245

  • @user-hi9uj2wd7s
    @user-hi9uj2wd7s3 ай бұрын

    막연히 마음속에서 맴돌던 생각들이 영화화 되어 나오니 코끝이 시큰 하네요 지금 65세.. 잘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 @jjaryno77
    @jjaryno773 ай бұрын

    정말 현실화 될수 있어서 너무 슬프고 맘적으로 힘들다... 지금 저출산이 큰문제인데 왜 이나라는 해결할 의지가 없을까

  • @user-xt4xt4dt1h
    @user-xt4xt4dt1h2 ай бұрын

    내가 업무적인 스트레스가 심하구나 이영화보면서 느낀게... 저 상담원 업무 스트레스 겁나 심하겠다 만 생각하고 봤네요 죽음이란,, 고령화등 남문제가 아닌데...

  • @user-xp9nt7kf9c
    @user-xp9nt7kf9c3 ай бұрын

    머지않아 한국도 저렇게 될듯한데 현실은 영화에서보다 더 끔찍하고 지옥같겠네요..... 더구나 인성교육이 안된 이기적인 사람들만 남아있을 미래사회에 어떤한 끔직한 일이 도사리고있을지 상상도 안되요

  • @LUMINOX.
    @LUMINOX.3 ай бұрын

    리뷰 마지막 장면에... 😊...이런 센스쟁이

  • @user-nq3vd3mm7z
    @user-nq3vd3mm7z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About_time

    @About_time

    3 ай бұрын

    연휴에도 어바웃타임 찾아 주시고 👍 후원 까지 🥺 더 좋은 리뷰로 인사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Psycho-Aangel
    @Psycho-Aangel3 ай бұрын

    흠..너무 좋은데? 미혼가구가 점점 많아지고..나는 아프고 외롭게 견디기 싫다..깔끔하게 안락사로 떠나고 싶다 혼자 집에 쓰러져서 죽어있기 싫음..재산 다 처분하고 최고의 플랜 코스로 마무리하곱다

  • @wschahng1117
    @wschahng11173 ай бұрын

    마지막 장면 편집 멋져요!😊

  • @user-ou1jq5re3d
    @user-ou1jq5re3d2 ай бұрын

    죽음은 슬픔이 아니다 고난의 종착역 삶은 고난의 연속 아닌가요? 어차피 맞이해야 하는것 삶이 불행하고 희망없는데 끝내주면 고맙지

  • @user-jj5rb9fk6b
    @user-jj5rb9fk6b3 ай бұрын

    저출생 고령화를 반영한 드라마네요...남일 같지 않은...여러가지 복잡한 마음이네요

  • @user-mr9ed7nb7p
    @user-mr9ed7nb7p3 ай бұрын

    오 영화 한편 다봤네 ㄳㄳ

  • @user-bh5dc4bj2t
    @user-bh5dc4bj2t3 ай бұрын

    그냥 슬프네요

  • @user-eg1us4ul1w
    @user-eg1us4ul1w3 ай бұрын

    신체건강한 사람도 죽고싶으면 편안하게 죽을수 있도록 선택할수 있어야 합니다 정신적 금전적 때로는 자신이 처한 상황등

  • @KoreanAjumma_inGermany
    @KoreanAjumma_inGermany3 ай бұрын

    어떤 나라는 고령자가 많아서 문제고 어떤 나라는 폭동이 끊이지 않아서 언제 총 맞아 죽을 지 모르고... 별의별 나라가 다 있는 세상! 진지한 영화 잘 봤습니다.

  • @user-lw5tx6qm9g
    @user-lw5tx6qm9g3 ай бұрын

    죽는날까지건강하고행복하길.. 정년되었다고죽을날기다리며사는일은없었으면좋겠습니다. 건강하게단련하고일할수있을때일하고타인에게폐끼치지않고.. 한번뿐인인생인데..

  • @user-ve8dg7gm8n

    @user-ve8dg7gm8n

    3 ай бұрын

    죽는날까지건강하고행복하길.. 바라신다면.... 죽기 전에 그 만한 복덕을 쌓아놓아야 하겠지요....

  • @user-ti5fx4ez2b
    @user-ti5fx4ez2b3 ай бұрын

    명작이다

  • @user-qh7gv5yr6y
    @user-qh7gv5yr6y3 ай бұрын

    나는 안락사 해주길 누워서 오지도 않는 자식들 기다리면서 서서히 죽느니 어짜피 낫지 못하고 고통 뿐이라면

  • @keun1001
    @keun10013 ай бұрын

    과거엔 오래사는사람이 적어서 오래사는게 축복같은 일이었지만 현재는 의료기술의 발달로 너도나도 오래살다보니 아이러니하게도 장수라는게 축복받지 못한 상황이 되버린 상황이네요 아마 저도 저정도 나이쯤 되면 영화마냥 축복받지 못할것 같은데 지금도 오래사는게 싫다고 느끼지만 막상 내가 죽는다고 하면 선뜻 동조할지는 지금으로선 모르겠습니다

  • @sehoyanolja19
    @sehoyanolja193 ай бұрын

    헛되고 헛되도다 인간의삶이...ㅜ

  • @user-pr4fw6bl2r
    @user-pr4fw6bl2r3 ай бұрын

    후에 또다른 평가를 받을 영화네요

  • @user-ic6zx1ly4s
    @user-ic6zx1ly4s3 ай бұрын

    캐나다는 이미 적극적 안락사해서 자기가 진짜 저런 상황 벌어지던데 ㅋㅋㅋ 꾸역꾸역 불행하게 사는 것보단 편안하게 죽는게 더 낫지 않을까?

  • @user-vl6sw3py6n

    @user-vl6sw3py6n

    3 ай бұрын

    순전히 자기 선택으로 자살하는거면 상관없는데 저런 제도가 도입도면 우리나라 특성상 선택이 아니라 의무가 될수 있다는게 문제지

  • @user-ee2qi2qs5w

    @user-ee2qi2qs5w

    2 ай бұрын

    동감입니다

  • @user-cx3jq2xz7e

    @user-cx3jq2xz7e

    2 ай бұрын

    ​@@user-vl6sw3py6n 우리 나라 사람들... 알아서 못하니 저런 제도도 괜찮죠...

  • @kotory0218
    @kotory02183 ай бұрын

    난 목표수명이 85세 입니다. 남편이 백세 시대에 무슨말이냐고 타박이지만 살아보니 너무 길게 살면 안 좋은 일이 많이 생기고 주변인들에게 잊혀지더라구요. 75세는 너무 젊고 100세는 너무 기니까 85세 좋을 것 같아요. 주변에도 80이 넘으니까 급격히 안 좋아지시기도 하고... 죽기 아름다운 나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lf1tr1bx7b

    @user-lf1tr1bx7b

    3 ай бұрын

    처음으로 댓글을 달아 봄니다.....정말로 솔직히 지극히 개인적이지만은......죽기에 아름다운 나이 따위는 있지도 않고...있어서는 안된다고 생각을 함니다...

  • @36sjgxr9uvksv1

    @36sjgxr9uvksv1

    2 ай бұрын

    저도 같은 생각한적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너무 세상살이 힘들어서 65세에 떠나도 괜찮겠다는 생각했네요.

  • @Haessalmadang

    @Haessalmadang

    2 ай бұрын

    저희 부부도 85세전후가 좋겠다고 얘기한 적 있어요 시아버지 75세(암) 시어머니 90세(노환) 친정어머니 89세(뇌출혈) 아버지 91세(요양병원 계심) 80대 후반부터는 자식들이 어깨 무거워져요

  • @nohtaegyeong4310

    @nohtaegyeong4310

    2 ай бұрын

    저도 75정도 생각햇다가 너무 짧은거같라서 85로 늘렷는데

  • @user-xn1eq4jn7d

    @user-xn1eq4jn7d

    2 ай бұрын

    기저귀안차고 화장실 본인들 다리로 왔다갔다하고..주는밥 본인손으로 먹어도 괜찬아요..주는밥도 떠먹여줘야될정도면..가야죠ㅜㅜ 슬프지만ㅜ

  • @thefilm4033
    @thefilm40333 ай бұрын

    플랜75 보지 못하신 분들 ❤ 꼭 추천 해 드리고 싶은 영화 입니다. 영화 내용 배우 연기도 개인적으로 훌륭합니다 👍

  • @user-pp4zs4qd9u
    @user-pp4zs4qd9u3 ай бұрын

    죽을수 있는 자유를 달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진짜 타겟이 될텐데 깊이 생각해야하는 문제죠..

  • @rukhkhkim6546
    @rukhkhkim65462 ай бұрын

    스스로 살아갈 수 없는 빈곤과 범죄, 고통의 입증없는 신체장애와 지적장애 및 장기간 방치되어 치료가 불가능한 우울증 포함 정신질환, 노화로 인한 삶의 질 저하 등 지극히 개인적인 이유라도 스스로 고통없이 안락하게 생을 마감할 수 있는 조력존엄사 법제화 필요합니다. 누구나 죽고 싶을 때 죽을 수 있고 그 결정을 존중받을 때 진정 건강한 사회가 형성되며 이로인해 많은 사회문제가 해결될 것입니다.

  • @Zealot2049
    @Zealot20493 ай бұрын

    지금은 영화지만 곧 현실이 될거임. 국가 입장에선 세금지출을 막아 세수확보 하는데 이거보다 좋은게 없음.. 자질구레한 노인 복지에 들어가는 비용보다, 죽기 전 여행가고 좋은 추억을 쌓을 수 있는 지원금+안락사 비용만 지원하는게 더 쌀거임. 잔인한 말이지만.. 기업의 '정리해고'를 국가와 정부에서 국민상대로 실행한다고 보면 됨. 솔직히 미래가 불안한 나는 오히려 죽을때는 편하게라도 죽을 수 있겠구나 하고 긍정적인 생각이 듦. 편안하게 죽는것도 복이니까..

  • @user-ee2qi2qs5w

    @user-ee2qi2qs5w

    2 ай бұрын

    분석 정확하네요

  • @user-yh9bk4fj5y

    @user-yh9bk4fj5y

    Ай бұрын

    그런 정책 만드는 정치인들은 벽에 똥칠할 때까지 살려고 할 거 같네요

  • @Zealot2049

    @Zealot2049

    Ай бұрын

    @@user-yh9bk4fj5y 당연하죠 ㅋㅋ 민주주의에서 우리 모두는 평등하지만 몇몇 사람들은 더욱 평등하죠

  • @simsim-tu7mk
    @simsim-tu7mk3 ай бұрын

    어르신들 하는 말씀. 밥맛 없다면서 약 먹으려고 밥 먹는다고 세끼 밥 꼬박꼬박 챙겨먹고 약 챙겨먹고 병원 가심... 늙으면 죽어야지!~~ 라는 말 자주하면서 언행불일치

  • @impollu

    @impollu

    3 ай бұрын

    울시부 98세..아직도 죽을까봐 벌벌해요.. 조금만 몸에 이상있으면 응급실가자고하고.. 그러면서 하나님께 빨리데려가달라 매일 기도한다하시네요.

  • @user-sx4bi5wn1l

    @user-sx4bi5wn1l

    3 ай бұрын

    늙어 보니 ㅡ 죽지도 않으면서 병만 끌어안고 살게될까봐서 ㅡ 약챙겨 먹게되고 병원 가게 됩디다 허나 70부터 암검사 같은것은 안하고 ㅡ 오면 그냥 받아들이려고 늙어지면 이리도 마음 무거움이 기다리고 있을줄 몰랐어요 젊은 사람은 상상도 못할만큼 , 큰 압박감을 이고지고 있답니다

  • @user-yh1zu8lq4y
    @user-yh1zu8lq4y3 ай бұрын

    멀지않아 다가올 나의 미래가 되지 않을까싶어 두렵다.

  • @user-ve8dg7gm8n

    @user-ve8dg7gm8n

    3 ай бұрын

    되지 않을까가 아니라..... 누구도 피할 수없는 현실아닐까요?...

  • @sanglee7877

    @sanglee7877

    3 ай бұрын

    몇십년전만해도 지금처럼 많은 중년이 미혼으로 혼자 살게 될 줄 상상도 못했습니다 그럼 지금 상상도 못할일이 미래엔 일상이 될수도 있겠죠

  • @misookcoomes4614

    @misookcoomes4614

    2 ай бұрын

    저런일은 일어나지 않고, 관점과 생각에 따라선 더 끔찍한 일이 벌어질것임. 그것이 뭐냐면, 고혈압 전쟁인 아마겟돈 임. 그 아마겟돈전쟁은 하나님의 정의의 검임. 혈압약을 먹기때문에 하나님의 역사를 체험하지 못함. ***고혈압은 세상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님의 천기누설임. 유튭' 고혈압은 하나님의 비밀병기" 참고바람.

  • @cpark2888
    @cpark28883 ай бұрын

    고령화해결책은 뭘까? 플랜75가 어떤 형태로든 구현되지 않을까. 품격있는 죽음은 뭘까

  • @user-ve8dg7gm8n

    @user-ve8dg7gm8n

    3 ай бұрын

    품격있는 죽음?... 그 해답은.... 품격있는 삶 아닐까요?.....

  • @user-hhf6t82be5j3

    @user-hhf6t82be5j3

    3 ай бұрын

    @@user-ve8dg7gm8n 모든 이가 품격있는 삶을 살아갈 수는 없음.

  • @dongwoonseo1223
    @dongwoonseo12233 ай бұрын

    씁쓸하지만 저 제도생기면 나도찬성한다.죽기전 수십년끊은담배한대와 와인한잔하고싶네.음악은 루이암스트롱노래로...

  • @user-vl6sw3py6n

    @user-vl6sw3py6n

    3 ай бұрын

    ㅋㅋㅋ 지금이야 먼 미래 이야기같으니 이런말 하지 막상 이제 안락사 하실 차례해요 하면 도망칠것

  • @Psycho-Aangel

    @Psycho-Aangel

    3 ай бұрын

    오~저는 내가 좋아하는 꽃 잔뜩사고 숲에서 안락사 좀 시켜달라고 하고 싶네요 좀 비싸플랜으로 하면 가능할듯, 80살정도 생각하고 있어요

  • @user-wv9zb6mx9d

    @user-wv9zb6mx9d

    2 ай бұрын

    지금 하세요. 하고 싶은게 남에게 해를 가하지 않는다면 지금 해보세요. 날마다 충만하시길 기도합니다

  • @user-lv5dq9yd4c
    @user-lv5dq9yd4c2 ай бұрын

    안라사 적극 찬성합니다. 암이나 걷는게 힘든 사람들은 안락사를 본인이 신청하면 조용히 세상을 떠나는게 본인에게는 최고의 선물이 아닐까요

  • @RussChina
    @RussChina2 ай бұрын

    남일 같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좋은 영화 소개 감사합니다.

  • @honeykris5113
    @honeykris51133 ай бұрын

    영화 요약된 걸 보면서는 잘 안 우는 편인데 눈물을 흘리고 말았어요. 아마 이 영화가 머지않아 다가올 현실같이 느껴지는 것 같아서 그런 것 같아요. 본인의 선택이라고 하면서도 사실상 사회적 강요가 이루어지는 분위기를 펜데믹 기간 동안에 체감한 탓에, 머잖은 미래에 시행될 것만 같아요. 이미 캐나다는 자살 희망자의 안락사를 허락하는 법안이 만들어졌고 겉으로는 개인의 권리인 척 말하지만 인구 감소 정책을 정부가 표방한 것이지요. 항상 서구가 시작하면 결국 그 뒤를 한국 일본이 선진국 사례를 내세우며 그대로 따라가니 남 이야기 같지 않은 요즘입니다

  • @user-yn9gp7fv7y
    @user-yn9gp7fv7y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꼭 도입하자 난 가입한다 지금당장

  • @user-qw5ty1pi88

    @user-qw5ty1pi88

    3 ай бұрын

    제가 안락사 집행자 해도 되죠??? 저는 집행자 하고싶어요

  • @hoyonug1125
    @hoyonug11253 ай бұрын

    묵직하고 먹먹해지네요......

  • @user-du4bd3bk6t
    @user-du4bd3bk6t2 ай бұрын

    타의로 태어난 세상 죽음은 스스로 편하게 자의로 죽을수있으면 좋겠다

  • @user-cx3jq2xz7e

    @user-cx3jq2xz7e

    2 ай бұрын

    나는 곡기 끊으려고 해요. 살다가 안 죽어질때...^^ 60입니다. 국가 검진 안 합니다 건강 나이까지만 살려고 해요.

  • @user-ld6ib9ji9e
    @user-ld6ib9ji9e2 ай бұрын

    내가 이래서 차곡차곡 노후준비 하는거임 지금 31살인데도... 회사연금 20만원. 퇴직연금. 개인연금 10만원.에다가 추가로 미래를 위한 적금, 뭐 받을수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국민연금도 벌써 1500만원 가량 납부했고 isa비과세로 매년 600만원 맞추고있고 주택청약종합저축 매달 10만원씩 세금떼고 월 330받으면 카드값내고 월세내고 차할부값내면 별로남는건 없지만 영혼까지 끌어모으면 1억 5천정도는 모았음. 앞으로 정년 60세까지 잘준비해서 노후에 돈떄문에 힘들어 하지는 않는 노후생활 보내고 싶네요 다들 젊은때 준비 잘해서 행복하게 삽시다 돈만있으면 비참해질 일은 없음

  • @BB-nm3vi
    @BB-nm3vi3 ай бұрын

    솔직히 너무 좋은데요.. 저거 난 선택하고싶다…

  • @user-ib7ol1uy4g
    @user-ib7ol1uy4g2 ай бұрын

    꼭 이겨 주세요. 화이팅!!!!

  • @estherkim8103
    @estherkim81033 ай бұрын

    나도 나이가 들어가다 보니 많은 생각이 드네요

  • @user-it4eu1tg2w
    @user-it4eu1tg2w3 ай бұрын

    좋은 제도인것 같은데 복지정책이 미치지 못하는데 저런 정책이라도 있으면 좋지

  • @user-cx3jq2xz7e

    @user-cx3jq2xz7e

    2 ай бұрын

    공감해요

  • @ksesunkim8903
    @ksesunkim89033 ай бұрын

    실제로 적극 도입해야 하는 정책인 듯

  • @user-oc9xm4pp6d
    @user-oc9xm4pp6d3 ай бұрын

    우리가 외면하는 미래

  • @user-gw9fq2eh1f
    @user-gw9fq2eh1f3 ай бұрын

    에효 저런 시스템 생길것 같네요 정부에서는 건강보험 국민연금 아끼기 위해서라도 적극 나설듯

  • @eunsook0101
    @eunsook01012 ай бұрын

    현재일본에서어릴때부터살고 남편도일본인이지요 시어머님은장남하고86살까지사시다가노병우로2틀병원에서고인이됐지요 고질병으로12년간누워만계셨지만 큰며느리가 아주어머님을잘모셨고 저에게딸이2명맀눈데 쿤애집애는 할아버님할머님이라직도 시댁식구들과 3층집을 노인들이푠하게쓰게끔 수리했지요92살에힐아버님 94살에할머님 외출은무릅때문에못하지만건강하시고 낙은애할머남은95살인데 아직도건강하게아들식구랑살아요 약간침애끼가있지만 친절하게모신모습에 아들이없는전 솔직히 부러웠지요 그런데 우연히 이영화을지금보고너무충격입니다 여러사람에인생살아가는방법이있지만 이영화을만든사람이오버한것같아 마음아좀그런내요 노인들에게 첨잘해드리는것만봐와야가이상한지...허무합니다.

  • @user-wh1cr9sx9d
    @user-wh1cr9sx9d2 ай бұрын

    마음이 복잡해지는 영화..

  • @user-ht7cm5vo1r
    @user-ht7cm5vo1r2 ай бұрын

    현실로 이루어질것같은 영화다 너무 오래 살아서문제다.

  • @user-ww3xt2rb9m
    @user-ww3xt2rb9m3 ай бұрын

    결말이 궁금하네요😢

  • @Someone111ify
    @Someone111ify2 ай бұрын

    좋은 제도다. 도입하자.

  • @AntonNikita-vn1le
    @AntonNikita-vn1le2 ай бұрын

    저게 바로 홀로코스트.

  • @hope9170
    @hope91702 ай бұрын

    나도 안락사 하고 싶음. 나중되면 돈도 없고 몸은 여기저기 아플텐데 끝까지 살아간다는 게 무서움

  • @user-my247
    @user-my2473 ай бұрын

    오늘 부모님과 영화 “소풍”을 보고왔는데 비슷한 기분을 느껴서 많이 심난하고 씁쓸하네요…

  • @mimsoonduck
    @mimsoonduck3 ай бұрын

    눈물이 나네요 제가 75세가 되면 인구절반이 65세 이상리라는데 멀지 않은이야기 같아요

  • @META_VIEW
    @META_VIEW3 ай бұрын

    실제 일본은 반대의 상황이 되고 있지요. 70대, 80대들이 맥도날드 알바를 하고 편의점 알바를 하고 그러고 있습니다.

  • @user-hy7je9mf4l
    @user-hy7je9mf4l3 ай бұрын

    안락사진찌허용되면 바로간다 ..진짜

  • @user-fi1im5er2y
    @user-fi1im5er2y2 ай бұрын

    내가 자유롭게 죽을수있는 권리가 반드시 죽어야하는 의무로 바뀌는 플랜이네...

  • @user-cu7yz5bb8c
    @user-cu7yz5bb8c3 ай бұрын

    나도 이런 써비스 받고싶다

  • @user-vf8fy6wf3x
    @user-vf8fy6wf3x3 ай бұрын

    안락사좀 했음 좋겠다.. 침대에서 몇달간 죽음을 기다리는 일을 안했으면..ㅜㅜ

  • @user-cx3jq2xz7e

    @user-cx3jq2xz7e

    2 ай бұрын

    곡기 끊으면 됩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