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성비 '갑' K-방산 대표 무기 비궁, 완제품 최초 미국 수출 코앞 | 한국일보

2017년 전력화 된 국산 로켓 '비궁'의 미국 진출이 머지 않았다.
70mm 지대함 유도로켓탄 '비궁'은 지난해 미 국방부 해외성능시험(FCT)을 모두 통과했고, 올해 두 번의 시험 발사 테스트를 추가로 통과하면 수출 계약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Пікірлер: 420

  • @user-yt9nl9bl9m
    @user-yt9nl9bl9m2 ай бұрын

    요즘 우크랑 러시아 전쟁보면 성능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만 무엇보다 그 무기를 계속해서 안정적으로 공급할수있게 적당한 가격으로 제작하는것도 매우 중요하다는걸 느낌

  • @theskymag-ch

    @theskymag-ch

    2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가성비가 중요하죠. 독일이나 일본이 고전하는 이유가 방산뿐 아니라 모든 것이 고비용 사회구조이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 @hanbyeongyeob

    @hanbyeongyeob

    2 ай бұрын

    러시아는 무기 생산의 주안점이 가성비입니다. 러우전에서 독일 레오파드, 폴란드 크라프, 프랑스 세자르 등을 요격한 주요 무기가 란셋 드론인데 버전1은 1천만원 2는 3천만원 3은 5천만원 대로 한달 1만2천대를 생산합니다. 탑재용 차량도 일반 화물 승용차에 정찰용 1대에 자폭용 5대를 탑재합니다. 차량 1대 파괴되어도 손실이 미비합니다. 작금에 한손으로 들고 다니는 초소형 드론은 1백만원 2백만원 대로 수백억원 장갑차, 군수지원차량, 전차까지 잡아 내고 있습니다

  • @user-fd8jx3hc2l

    @user-fd8jx3hc2l

    2 ай бұрын

    미국은빼고....우크라이나, 러시아는 지금치르는 전쟁의 특성상 전면전이지만, 총력전은 아니기도 하고 국력차이가 나기도하니까....나라특성에따라 다름 지금 가동중인 국방력도 중요하지만 당장겉으로 보이는거랑 다른경우가 많음 대표적으로 전범국가들....

  • @user-fd8jx3hc2l

    @user-fd8jx3hc2l

    2 ай бұрын

    본진치고 들어가면 장난감 같은거로 장난치고 그런거 쓰잘데기없는짓임. 게릴라전이라든가. 한계가 명확한 방어전에서 얘기...

  • @user-de6sr1tj3m

    @user-de6sr1tj3m

    2 ай бұрын

    서방무기는 온갖 첨단기능 다 쑤셔 넣어서 비싸긴함... 글타고 승무원 방호기능같은걸 뺄수도 없고 .. 동구권장비는 그런거 잘 고려안하는거 같더만

  • @hyunsukkim5773
    @hyunsukkim57732 ай бұрын

    유도 기능이 있는데 4000만원이면 개싼건데...

  • @uzer.daiee6547

    @uzer.daiee6547

    2 ай бұрын

    미사일 아니고 로켓

  • @user-rr8sn5dv2c

    @user-rr8sn5dv2c

    2 ай бұрын

    가격에 비해 70mm 로켓 화력이 너무 약한 게 문제예요. 헬파이어 탄두 무게 9kg, 비궁 탄두 무게 4kg이어서 얼핏 보면 2배 밖에 차이가 나지 않을 거지만, 실제로는 4배 이상으로 차이가 나요. 물론 400발 소량 생산하다보니 발당 4000만원까지 올라갔지 대량 양산하면 훨씬 가격이 저렴해 질 가능성이 높아요.

  • @hanbyeongyeob

    @hanbyeongyeob

    2 ай бұрын

    원래 미국이 철석같이 약속했던 겁니다. 개발만 하면 무조건 도입하겠다고, 막상 개발 딱 끝내니 예산이 없다고 도입 불허한 결과 울며 겨자 먹기로 우리 해군, 육군이 도입한 겁니다. 미국 말 믿고 무기 개발하면 개털릴 수 있습니다

  • @keyverest

    @keyverest

    2 ай бұрын

    @@user-rr8sn5dv2c 헬파이어는 지름 180mm에 길이 1.6m라 비궁에 비해 훨씬 더 거대합니다. 탄두가 당연히 더 무거울 수 밖에 없어요. 영상이 헬파이어랑 비교해서 그렇긴한데(유도기능이 있는 그나마 비슷한 체급의 무기) 원래라면 히드라 로켓하고 비교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 @ssssss7112

    @ssssss7112

    2 ай бұрын

    ​@@user-rr8sn5dv2c ​ 군집 공격해 오는 드론보트 저지용으로는 충분한 폭약량입니다. 러시아도 이번에 기관총으로 드론보트 상대하다 구축함을 많이 잃었자나요.

  • @jjyu9917
    @jjyu99172 ай бұрын

    개발 엔지니어분들게 큰 박수를 보냅니다^^

  • @user-zw9tw5gj2v

    @user-zw9tw5gj2v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pilee2544

    @pilee2544

    2 ай бұрын

    과찬이십니다 ^^

  • @joehenry8165
    @joehenry81652 ай бұрын

    이해하기 쉽게 정리 잘했네요.

  • @kether1
    @kether12 ай бұрын

    지금 후티를 바다에서 막으려면 비궁이 가장 가성비 쩌는 최적의 무기지, 그 거지같은 고속정에게 한방씩 쪼아주면 .. .상황종결. 비궁을 업그레이드해서 전차 장갑도 뚫을 수 있게 하면 진짜 가성비 쩌는 대박 무기인데.. LAH에 가벼운 비궁을 여러개 장착할 수 있고

  • @user-xh5tj8rr9x

    @user-xh5tj8rr9x

    2 ай бұрын

    무인 자폭선박 퇴치

  • @I_Hate_HandIe

    @I_Hate_HandIe

    2 ай бұрын

    걍 대잠로켓발사기를 달아 바보들아 러우전쟁 보니 자폭해상드론은 기관총비를 쏟아부어도 안죽더라

  • @user-ep2tj3eq4o

    @user-ep2tj3eq4o

    2 ай бұрын

    전차 공격에는 약해요 비궁은 그야말로 고속정 이랑 공기부양정같은 약한 장갑가진 것에 쓰려고 만든거임

  • @visitor1908

    @visitor1908

    2 ай бұрын

    함대함이 아니라 지대함인뎅..

  • @user-ih1pm6hm1y

    @user-ih1pm6hm1y

    2 ай бұрын

    장갑이 비교적 약한 애들 싸게 잡으려고 만들은 무기체계를 ㅋㅋㅋㅋㅋ

  • @kjd2338
    @kjd23382 ай бұрын

    가격이 싼건 선택이유 중 하나에 불과합니다. 실전 검증이 된 것도 크고... 제일 중요한건 저 무기체계 중 생산능력이 살아있어서 주문하면 오래 기다리지 않고 받을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서방제 무기라 그렇습니다. ㅋㅋ

  • @ganekim
    @ganekim2 ай бұрын

    LIG넥스원 대박나시길 빌겠습니다~!

  • @user-xe1py2bx2q
    @user-xe1py2bx2q2 ай бұрын

    기자가 기사를 제대로 만들었네요. 추천

  • @kochchemiekor
    @kochchemiekor2 ай бұрын

    설명이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 @yhangmincang642
    @yhangmincang6422 ай бұрын

    높은 가성비, 적당한 성능, 안정적으로 계속 공급할 수 있는 능력 이 세 가지는 언제나 전쟁을 지배했다.

  • @user-bc5pq6sj2i
    @user-bc5pq6sj2i2 ай бұрын

    쭈욱봤는대 미국은 우리나라가 계속 분단이었으면 좋겠다라고 생각하는게 1. 북한은 중국과 충돌의 완충지대 라고 생각하는것 같음 2. 대한민국은 그 완충지대를 지킬 파수꾼 같은존재 3. 분단국가이니 방산이 계속 발전하게됨 4. 우리나라는 어찌보면 방산의 하나의 거대한 연구소가 아닐까 싶음...

  • @robertokim1397
    @robertokim13972 ай бұрын

    우와~ 그래픽 쉽게 알아보게, 흥미롭게 잘 했당^^ 디자이너 누군지 궁금하네효~

  • @k-9-mi1yo
    @k-9-mi1yo2 ай бұрын

    요약 가성비가 좋아서 그리고 기사에서 빠진 부분 압도적인 생산력

  • @user-md2hr2ms7r
    @user-md2hr2ms7r2 ай бұрын

    굿

  • @hwanholee529
    @hwanholee5292 ай бұрын

    와 격세지감 미국에 무기를 판다니

  • @user-on5pd6th8w
    @user-on5pd6th8w2 ай бұрын

    미국공학이 세계탑인데 굳이 완제품을 수입할 이유가 없었지만 미군무기체계가 더 하이엔드로 올라감에따라 그 로우엔드에 슬슬 자리가 나는거지

  • @ssssss7112

    @ssssss7112

    2 ай бұрын

    이번에 러우전에서 군집드론보트 공격에 대형함을 줄줄히 잃는거 보고 아뿔싸하며 급하게 사가느라 개발할 시간이 없는거죠. 개발 배치하려면 5년이상 걸릴겁니다.

  • @user-si8lw1yb4s

    @user-si8lw1yb4s

    2 ай бұрын

    단순히 미군께 무조건 좋다보기는 어렵습니다 비궁 개발당시 미국과 최초 같이 개발진행하다 갈라져 한국이 독자 개발한게 비궁인데 미군또한 독자 개발로 유도로켓을 개발했지만 우리보다 2배이상 비싸고 동시 다목적 교전이 불가능한 레이저 유도 방식이라 엄밀히보면 동시대 개발이진행 되었지만 한국산이 가성비 성능 모두 월등한 상황이 되었습니다

  • @jiinree6934
    @jiinree69342 ай бұрын

    드디어 나왔군요. 이거 처음 개발 소식 들으면서 마크로스에서 발키리가 뿜어내던 소형 유도미사일이 현실에서 구현되는 거라 생각했는데 비궁을 좀 더 개량해서 전투기에 탑재하면 진짜 그렇게 될 거 같습니다.

  • @user-sz7yl4hk2t

    @user-sz7yl4hk2t

    2 ай бұрын

    그러기에는 사거리가 짧아서.😊

  • @jiinree6934

    @jiinree6934

    2 ай бұрын

    @@user-sz7yl4hk2t 뭐 개량 되겠죠. 이제 시작이니까요.

  • @user-uw3ix8bn5x

    @user-uw3ix8bn5x

    2 ай бұрын

    전투기용으로는 작약 공간도 적고 안됨. 헬리콥터용으로는 좋을듯

  • @bayl1169

    @bayl1169

    2 ай бұрын

    개량이 되어도 원체 스펙이 낮아서 전투기 탑재용으론 턱없이 불가능합니다..

  • @perseus3362
    @perseus33622 ай бұрын

    미군 눈독 들인 비궁. 헬기 탑재 추진 go

  • @user-iu4qd2sk3g

    @user-iu4qd2sk3g

    2 ай бұрын

    헬기에 달면 전차를 못잡자나유

  • @fly3390

    @fly3390

    2 ай бұрын

    ​@@user-iu4qd2sk3g왜 못잡아요??

  • @user-vp2up1sm7g

    @user-vp2up1sm7g

    2 ай бұрын

    ​@@fly3390 관통력이 약해서 전차는 못 잡아요. 헬파이어 미사일이 전차 파괴용.

  • @phDJANG-jm6dv

    @phDJANG-jm6dv

    Ай бұрын

    애초에 개발목적도 약간의 데미지만 입히면 끝나는 소형 보트용이라서요

  • @rgbr3854
    @rgbr38542 ай бұрын

    와 미국이 한국무기를 사간다는게 기사만으로도 진짜 대단한거다. 미국이 구매시작하면 미친듯이 팔리기시작한다

  • @user-rz2wo6jg1w
    @user-rz2wo6jg1w2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크게 웅비하게 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bangmo7
    @bangmo72 ай бұрын

    0:54. "비궁은 지대함 유도로켓" 아닙니. 비궁은 지대함..함대함 모두 됩니다

  • @koreazio8255

    @koreazio8255

    2 ай бұрын

    한국은 지대함으로 개발되어서ㅎㅎ 나중에 함대함으로 꼽았긴 함

  • @starfoxjee1925

    @starfoxjee1925

    2 ай бұрын

    @@koreazio8255 아니요 .UAE, 사우디에서 비궁을 함대함으로 벌써 사갔어요.

  • @user-br4kp6sg2d
    @user-br4kp6sg2d2 ай бұрын

    수고요...하고 방을 나가셧습니다....개킹받네

  • @user-gp7dg6cl2f
    @user-gp7dg6cl2f2 ай бұрын

    비궁쏘면 북한의 공기부양정이나 고속정 때려잡는데 잘 쓰이겠네요

  • @prebis1312

    @prebis1312

    2 ай бұрын

    원래 그러려고 만든거니까요. 제대로된 대함미사일을 갈기자니 너무 비싸고 대포나 기관포로 요격을 하자니 사거리가 너무 짧거나 맞추는게 넌센스인 수준이고 절충안이 저거임

  • @user-ut7kg9if5e

    @user-ut7kg9if5e

    Ай бұрын

    그거 하려고 만든거임

  • @user-iw1ex3nl5v
    @user-iw1ex3nl5v2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의 군사 장비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거네요. 축하합니다 공부🎉🎉🎉🎉

  • @kylim2506
    @kylim25062 ай бұрын

    미군 제식명 받아서 미국에서 생산하게 될수도 있겠다 싶네. 물론 그들입장에서 한국에서 직도입이 낫다면 직도입하겠지만 미군이 파병된 저강도 분쟁지역에서의 쓸모가 상당히 많다면 직접 생산을 검토하게 될지도.

  • @user-fm6uz9uq6k
    @user-fm6uz9uq6k2 ай бұрын

    대랑 생산하면 3000만원 볼수있겠다

  • @user-ms8kg8ge4f
    @user-ms8kg8ge4f2 ай бұрын

    한국은 똑똑한 인재들이 많어

  • @user-lq6dp1xj9p
    @user-lq6dp1xj9p2 ай бұрын

    역시 가성비 갑 한국

  • @kkang2828
    @kkang28282 ай бұрын

    소형보트 해상드론 개떼러쉬 전술 막는데는 비궁이 가성비 갑이긴 하죠.

  • @tkstkdtks123
    @tkstkdtks1232 ай бұрын

    양산하면서 더 싸진다면.. 로켓 난사ㄷㄷ쌉가능이것네

  • @youcantata
    @youcantata2 ай бұрын

    원래 70밀리 로켓 발사기는 범용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니 헬기든 함정이든 장갑차 든 쉽게 장착해 사용가능함. 이제는 무기도 가성비를 따져야 하는 시대임.

  • @user-jx3ey6hg8q
    @user-jx3ey6hg8q2 ай бұрын

    해경도 비궁 가지고 있으면 좋겠는데? 딱 소형배 맞추기 좋게 생겼음 ㅋㅋ

  • @two-five-one

    @two-five-one

    2 ай бұрын

    그러면 좋긴한데, 해군과 해경을 가르는 수단 중 하나가 “공격용 유도무기 탑재”여부입니다. 무기 자체의 문제라기 보다는 수사와 치안목적이 강한 집단에 유도무기가 웬 말이냐… 라는 논리죠. 실제로 미국 해안경비대, 노르웨이 해안경비대 같은 곳은 유도무기 취급합니다. 대신 얘네들은 법무부산하 경찰조직이 아니라 준군사조직이예요. 미국 해안경비대는 평시 국토안보부, 전시에는 국방부 소속으로 전환하고, 엄연히 미군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그래서 미국 해안경비대원이 서훈받는 훈장은 “무공훈장”입니다.) 반면 치안목적의 해경을 운용하는 국가들은 전부라고 해도 좋을 만큼 무유도 무장을 하고있고, 자위용 단거리 함대공 미사일 정도만 보유하는게 일반적이예요. 한국, 일본, 중국, 영국, 독일 등등… 의외로 한중일 해경의 무장이 강력한 겁니다. 해경 선박에 함포 다는 경우가 사실상 없어요.

  • @younkibom
    @younkibom2 ай бұрын

    함정에 있는건가?

  • @kilikiki8976
    @kilikiki89762 ай бұрын

    이야 개발한지 꽤 오래됐는데 이제 빛을 보나?

  • @01youngil
    @01youngil2 ай бұрын

    이스라엘에도 팔 수 있을 듯한데요.

  • @un_Tactical
    @un_Tactical2 ай бұрын

    APKWS2는 영상만 나오고 내용에는 빠졌네요

  • @ho458
    @ho4582 ай бұрын

    바다 끼고 있는.나라들은 다 필요한 무기가 저거임 그래서 사우디 uae가 먼저 도입했고 미국 다음에 유럽 동남아 남미 아프리카까지 히트 상품이 될꺼임

  • @warriet29
    @warriet292 ай бұрын

    정말 궁금해서 묻는 건데.. 70mm로 소형함정 격파가 가능한가요? 전 아무리 봐도 타격은 주겠지만 침몰까진 힘들지 않을까 싶네요.

  • @user-ov5zm5rz3v

    @user-ov5zm5rz3v

    2 ай бұрын

    격파는 필요 없습니다. 격파는 고속 자폭정이나 하면 되고 소형함 즉, 경비함이나 코르벳은 레이더나 통신기기만 날려 먹어도 성능의 반은 주저앉힐 수 있습니다. 긜고 우리는 위력 보조를 위한 130mm도 가지고 잇지요.

  • @hansy7865

    @hansy7865

    2 ай бұрын

    공기부양정,무인수상정 정도의 작은 '정' 정도에 대응하는 무기지 '함'을 상대할 수 있는 무기는 아님...본래 헬기용으로 개발된거라 사거리도 위력도 고자임..적함을 상대할 무기는 아님..

  • @big_2440

    @big_2440

    2 ай бұрын

    일단 맞춰서 무력화 하는게 목표인

  • @user-zs4rc3ii9y

    @user-zs4rc3ii9y

    2 ай бұрын

    애초에 대함미사일은 함정격침을 상정하는게 아닙니다. 실제 전쟁에서 대험미사일 맞고 침몰한 사례는 여러발을 맞거나 데미지컨트롤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해서 예인하다 침몰한 경우입니다. 격침을 상정하는 대함무기는 어뢰죠. 70mm유도로켓의 위력이 제대로된 대함미사일에 비할바가 아니지만 그만큼 표적도 작기때문에 타격이 큽니다. 실사테스트에서 실제 탄두가 없었지만 무인표적함의 연료계통에 명중해서 화재를 일으켜 완전히 파괴된 사례도 있습니다. 우리가 비궁으로 잡으려는 주 목표는 특수부대원들을 태운 공방급 공기부양정인데 일단 맞으면 기본적으로 내부의 병력들이 죽거나 다칩니다. 우크라전쟁으로 두각을 보안 무인자폭보트같은건 내부의 폭약같은데 명중해 유폭하면 가루가 될 것이고 동력계통이나 조종계통에 맞으면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죠.

  • @TheGreatSarastro

    @TheGreatSarastro

    2 ай бұрын

    침몰까지는 아니더라도 파편탄으로 경장갑 고속정안에 승무원을 다 조져놓거나 주요부품을 다 고장내는건 가능합니다. 사실상 격파로 봐야하죠.

  • @user-yk4rn7qm1s
    @user-yk4rn7qm1s2 ай бұрын

    꼭 수출 되길 바랍니다 수고하세요

  • @Seoul_Korea_
    @Seoul_Korea_2 ай бұрын

    이거 한국특기인 1 + 1 들어가면 가격 3000만원대로 떨어져서 미국것 가격 1/4 될 듯 ㅋㅋㅋ

  • @user-vr2wn2sn2e
    @user-vr2wn2sn2eАй бұрын

    유럽을찍고 미국에 방산수출이라니.. ㄹㅇ 가슴이 웅장해진다

  • @user-tl8ll1il8c
    @user-tl8ll1il8c2 ай бұрын

    저기에 대체 얼마나 많은 야근이 담겨있을까 ㄷㄷ

  • @user-eb5ow8bd4l
    @user-eb5ow8bd4l5 күн бұрын

    비궁이름짱

  • @baur1238
    @baur12382 ай бұрын

    미국은 이미 비궁과 비슷한 70mm 반능동레이저 유도로켓 APKWS가 있는데 비궁에 관심을 가지나요? 심지어 APKWS가 더 싼데

  • @user-pe1cf3dx7w

    @user-pe1cf3dx7w

    2 ай бұрын

    apkws는 레이저유도 방식인뎀...

  • @kjmrainbow
    @kjmrainbow18 сағат бұрын

    1:50 소형함에 하푼을 쓸 수 없는 이유는 가격적인 문제보단 수면에서의 비행고도 최저치가 소형함정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아프간에서는 사람에게 1억원이 넘는 헬파이어를 쏘는걸 보면 공격만 가능했다면 하푼을 운용했을겁니다. 미군의 CIWS에 IR조준이 가능해진 팰렁스 1B의 도입년도가 1999년이었으니 2000년에 정박중인 함정에 대한 공격에서는 팰렁스의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상황이라 대응이 불가능했을겁니다. 비궁에 비하려면 헬파이어와 비교할 것이 아니라 동일목적으로 개발한 2만2천달러인 AGR-20 APKWS II와 비교해야 할 텐데 아마 국산 무기의 경쟁력을 부각시키기 위해 언급하진 않은 것 같습니다.

  • @kether1
    @kether12 ай бұрын

    데요데요데요데요 좀 조금만 하자 .. 듣다보면 노이로제 옴

  • @dzemann2
    @dzemann22 ай бұрын

    미국에 팔 때에는 미국식으로 팔면 안 될까요 ? 가령 나사 하나에 천 만 원 씩 받는다든지...

  • @hanbyeongyeob

    @hanbyeongyeob

    2 ай бұрын

    우리 정부 간댕이가 벼룩 만해서 그리 못합니다. 우리 국방장관, 육해공군 장성들이 퇴임 후 하는 짓이 김앤장등 대형 로펌에 취업하여 국산 무기 개발 반대 여론 조성과 미국 무기 수입 로비스트 역할을 한다는 점입니다. 언론계 조선 유용원, 세계 박수찬, sbs 김태훈이 국산 무기 체계 반대하며 까대기 하는 것도 이들 역시 미국 무기 도입 로비스트입니다. 이들이 혈맹국, 동맹국 이름 팔아 더 저렴한 가격으로 수출하게 여론 조성하고 로비들어 갑니다

  • @user-iv9kh6du3z

    @user-iv9kh6du3z

    2 ай бұрын

    미국에 비싸게 파는게 중요한게 아니죠..미국이 구매한 무기는 그 자체로 검증된거라, 세계로 수출판로가 한방에 열리는겁니다..

  • @kbkim6497

    @kbkim6497

    2 ай бұрын

    그건 유럽식이고 미국FMS는 가격 나쁘지않음. 알고깝시다 좀...

  • @joehenry8165

    @joehenry8165

    2 ай бұрын

    기술력이 대단한게 아니라 가성비 때문에 사가는건데 비싸게 팔면 팔리겠냐

  • @user-eg6lw6tt2q

    @user-eg6lw6tt2q

    2 ай бұрын

    나사하나에 천만원이면 그냥 자국 헬파이어 쓰겠지? 제발 생각좀 해주세연,., 미국은 우리무기가 싸서 사가는거에연

  • @vkdnjqpdltm
    @vkdnjqpdltm2 ай бұрын

    한발에 4천만원을 보고 "우왕 싸다 싸!"할 수 있다니...역시 천조국의 위엄은 남다르구만ㅋㅋ 비궁 개발에 매달리신 모든 분들 그간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 앞으로도 더 많은 좋은 소식 기대하겠습니다ㅎ

  • @user-bv3wv3tz4p
    @user-bv3wv3tz4p2 ай бұрын

    사거리를 늘린다던지 탄두를 크게한다던지 파생형이 많이 나오면 좋겠군요

  • @sfk1031
    @sfk10312 ай бұрын

    미국무기는 너무 비싼게 문제지. 전쟁중에 무기양산이 쉬운게 아니니

  • @Aristion-vl4sz

    @Aristion-vl4sz

    2 ай бұрын

    그건 미국이 그정도 낼정도로 국방비를 많이 쓰는것도 있지만, 해외에 무기수출하거나 가격 공표를할때 훨씬 높게 가격붙이기 때문에 그런거임

  • @Aden9905
    @Aden99052 ай бұрын

    지금은 파는거보다 비축해야할듯

  • @big-gamehunter6285
    @big-gamehunter62852 ай бұрын

    지대함이면 함대함용은 따로 개발해야 하는건가? 배에 돌격해오는 무인 자폭함 같은거 맞추려면 함대함용으로 바꿔할텐데 추가 개발비는 마니 들려나?

  • @yungisub

    @yungisub

    2 ай бұрын

    지대함 함대함 배치 가능함.

  • @BABSHAP2
    @BABSHAP22 ай бұрын

    추가 개량이 되었겠지만 공격헬기에 장착되는 히드라로켓 과 구경이 동일함

  • @user-kf1ov1ms9t
    @user-kf1ov1ms9t2 ай бұрын

    미국은 저거 하면서 진짜 성공할지 몰랐거든요. ㅎㅎ

  • @holy763
    @holy7632 ай бұрын

    생산량 많아지면 더 싸질수도 있는건가

  • @Iyolin
    @Iyolin2 ай бұрын

    소형 무인기를 방어할 수단이 중요해지면서 이쪽 시장이 커질텐데, 미국의 방산업체들이 시장을 내줄려고 할까요...? 미국 수출 가능성은 희박할 거 같은데

  • @winwin9151
    @winwin9151Ай бұрын

    세종대왕급에도 비궁 2기 설치해야하는거 아닌가

  • @notumo1
    @notumo12 ай бұрын

    ...지대함용이 아니라 함정에 설치하려는 거야... ㅉ. 울 항만경비정 YUB에도 비궁 6연장은 달아줘야돼.

  • @hazenthley499
    @hazenthley4992 ай бұрын

    직접적인 경쟁자는 "이미 실전배치된" APKWS 계열이라고 생각함. 70mm 히드라 로켓이 유도키트를 부착한다는 점에서 완전히 동일하나 비궁은 키트화된 차량화/지상 플렛폼으로써 활용될수 있지만 전용 발사대를 사용한다는 점이고 APKWS 는 공중발사형 뿐이지만 기존 무유도 로켓용 런쳐를 활용한다는점이 강점이라고 봄. 아무튼 비궁은 갑자기 APKWS 지상발사형이 튀어나온다거나 하면 조금 입지가 애매해짐

  • @user-fu1uv7mf1r

    @user-fu1uv7mf1r

    2 ай бұрын

    성격이 좀 달라서 괜찮지 않을까요. 비궁 시커로는 지상 표적까지는 무리고 수상표적만 가능한데, 동시 다목표 대응이 쉽고 apkws는 레이저 유도라 일일히 조사해야되서 지상발사형 나와도 경쟁력 있을듯. 그리고 지대공으로 이미 apkws 개발완료한걸로 알고있어요

  • @minsikbuff
    @minsikbuff2 ай бұрын

    돈 좀 더 주세요ㅠㅠ😢

  • @user-um9bk3rz2o
    @user-um9bk3rz2o2 ай бұрын

    하라 하라 ㅋㅋ

  • @ogre5184
    @ogre51842 ай бұрын

    저 작은걸로 배를 공격해요;;? 지대항이고 오타인줄 알았는데

  • @user-gy3hk5lb6c
    @user-gy3hk5lb6c2 ай бұрын

    수출을 할게 아니라 국내에 배치를헤서 실용할수있게 해야지;;

  • @likegup
    @likegup2 ай бұрын

    미국이 무기 수입하는 경우는 워낙 드물어서 손에 꼽을정도 인거로 알고있습니다. 성사되면 자부심 느낄만한 상황 이겠네요

  • @user-tk5ev3fn3c
    @user-tk5ev3fn3c2 ай бұрын

    미군의 타군의 무기 시험에 합격한 비궁....

  • @user-vj9fe9cv4h
    @user-vj9fe9cv4h2 ай бұрын

    1:57 ㅋㅋㅋㅋ 깨알 추억

  • @user-il6tc5dn8l
    @user-il6tc5dn8l2 ай бұрын

    헬파이어 미사일

  • @user-uw3ix8bn5x
    @user-uw3ix8bn5x2 ай бұрын

    2천만원대로 알았는데 4천이군요. 그래도 나이스잡!

  • @user-uu5he9pi9l
    @user-uu5he9pi9lАй бұрын

    싸고, 양산 체계 잘 되어 있고, 거기에 성능 좋으면 장땡. 가끔은 물량공세가 짱일때도 있음

  • @bright_energy
    @bright_energy2 ай бұрын

    비궁을 드론격추용.경기갑(지프차.트럭.방공호.기총화기)격멸용.헬기장착용으로 발전시키면 좋겠다.100발이 한꺼번에 발사되면 무적이군.

  • @user-rp3my8oq2o
    @user-rp3my8oq2o2 ай бұрын

    아직도 못 팔았남?

  • @hamiltonruise4503
    @hamiltonruise45032 ай бұрын

    레이저무기 발당 가격이 1만원대인데 우리도 얼른 레이저무기 개발하자

  • @user-cv5kn4fe8b
    @user-cv5kn4fe8b2 ай бұрын

    말소리 잘 들립니까? 백 뮤직인가 뭔가때문에 잘 안들립니다.

  • @user-en1sj5jn5n
    @user-en1sj5jn5n2 ай бұрын

    대량구매한다고 후려칠까 겁난다

  • @Ulsanman3

    @Ulsanman3

    2 ай бұрын

    그것이 애플 방식임

  • @2jaemyungE

    @2jaemyungE

    2 ай бұрын

    ? 싫으면 안팔면 그만이지. 애초 한국방산이 수출을 염두해 시작한 것도 아니고

  • @user-en1sj5jn5n

    @user-en1sj5jn5n

    2 ай бұрын

    @@2jaemyungE 싫어서 안팔면 그만이야~ 시전하다 목에 칼들어오면 우째?

  • @jasonkim6015

    @jasonkim6015

    2 ай бұрын

    미국에 판매실적만 있어도 다음 고객들이 줄을 설텐데. 길게 봐야지.

  • @uzer.daiee6547

    @uzer.daiee6547

    2 ай бұрын

    미함정에 꼽히는순간.. 전세계 무료광고다 ㅋㅋ

  • @winwin9151
    @winwin91512 ай бұрын

    4000이면 현궁이 아니라 비궁 좀 개량해서 대전차 용도로도 써야할듯하네

  • @user-eg6lw6tt2q

    @user-eg6lw6tt2q

    2 ай бұрын

    비궁이 개량해서 대전차용 된다면.. 흠.. 얼마짜리가 되려나?;; 관통력을 높여야 할것 같은디

  • @user-hx3lv1ix1o
    @user-hx3lv1ix1o2 ай бұрын

    지대함 미사일인데 발당 4천이면 싸지...

  • @koreazio8255

    @koreazio8255

    2 ай бұрын

    미사일아니라 로켓!!!!

  • @kitsunehana5347

    @kitsunehana5347

    2 ай бұрын

    ​@@koreazio8255처음엔 로켓으로 개발되었으니 유도로켓이라 부르기도 하지만, 유도가 되는 발사체는 미사일로 불러도 무관합니다

  • @imanengineer10
    @imanengineer10Ай бұрын

    로켓에 유도장치 달리면 그게 미사일이라 그냥 미사일이라 부르면 됨 한국의 단점은 죽어도 슈퍼하이급 무기 안 만들고 보병장구류가 굉장히 빈약하다는 거지만 한국의 장점은 미디엄~하이급을 미친 듯이 싸게 대량으로 봅아낼 수 있다는 거임

  • @Ohbabytouchthesky
    @Ohbabytouchthesky2 ай бұрын

    싸고 좋은게 바로 이런거지..

  • @user-qb3sy3nl6x
    @user-qb3sy3nl6x2 ай бұрын

    완폭용이 아닌 작동능력을 50% 이하로 떨어뜨리는 화력 = 가성비 = 발목지뢰같은(살상용x 전투불능o)

  • @jyk1406
    @jyk14062 ай бұрын

    살다살다 미국에 무기를 팔아?

  • @snow_-man

    @snow_-man

    2 ай бұрын

    미국과 공동개발했던 무기였음. 한국에 기술이전후 해지한 무기임.

  • @user-ui7cj8mc5m
    @user-ui7cj8mc5m2 ай бұрын

    미군이 버린 미사일을 메챠쿠챠 조교해서 다시 팔아 먹는다라.. ㅗㅜㅑ...

  • @user-pe6uq9oy3n
    @user-pe6uq9oy3nАй бұрын

    '유도' 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무기 중에 4000만원보다 싼게 없는 것으로 아는데??

  • @user-sc3vq1sy5v
    @user-sc3vq1sy5v2 ай бұрын

    요즘 러시아가 소형 드론배에 작살 나고 있으니 대박이지

  • @user-iv9kh6du3z
    @user-iv9kh6du3z2 ай бұрын

    "미국이 구매한 무기" 이 타이틀 하나가 엄청난 의미죠...보통 신무기는 수출이 문젠데, 검증안된걸 잘 안사니까요..미국이 샀다는거 하나로 검증끝났다고 받아들여져서 수출에 지대한 영향을줄듯

  • @liiliiliilii6523
    @liiliiliilii65232 ай бұрын

    보통 유도미사일이 발당 억단위 넘어가서 고가치표적에 보통 쏘기 적합한데 비궁은 발당 4천에 멍텅구리 로켓에 유도장치를 단거라 가성비 그냥 아무표적에 쏴재껴도 타산이 맞음 일반 조매난 초소형함이나 보트 같은거에 억짜리 미사일을 쏘는거 보다 싼걸 쏴재끼는게 좋지

  • @user-mf1zt2yq7j
    @user-mf1zt2yq7j2 ай бұрын

    미국으로부터 원자력주권을 회수하라

  • @user-gw3cg8ws4y

    @user-gw3cg8ws4y

    2 ай бұрын

    현 유사보수 정권에서요? ㅋㅋㅋㅋㅋ 햄잠도 쏙 넣어 버렸는데요 민생과 국방엔 전혀 관심 없어요 미국항테 양보할것 다 했으면 가져올수 있는건 모조리 가져와야 하는데 배깔고 꼬리 흔들기 바쁜데요 뭘 사거리 제한이니 고체연료 제한 해제도 현 정권 이였으면 그런것 아무 필요없다고 손 놨을 겁니다. 어짜피 누리호기술 확보 하면 미사일 전용 가능하다며 아무의미없는 선동이자 주변국 도발 우려만 가져온다는 말도 안되는 궤변 난무 했을겆니다

  • @jhya1208

    @jhya1208

    2 ай бұрын

    이승만대통령이 도입이 시작했던 실험용 원자로 트리가 마크 2부터 미국이 원자력기술을 주었지. 처음부터 없었던 원자력주권을 어떻게 "회수"하나?

  • @duckmoney294
    @duckmoney2942 ай бұрын

    이야 한발 쏠때마다 소나타 한대 날라가네

  • @SHK_2003

    @SHK_2003

    2 ай бұрын

    미국처럼 우리나라도 구축함 테러당하면 수리하는것만해도미사일에 몇십배가 들거같은데 소형보트같은거 1개 오면 만약을 대비해서 2발 발사해도 8000만원인데 그래서 싸게먹히는거 아닌가요???

  • @fainmalu

    @fainmalu

    2 ай бұрын

    에이 ㅋㅋ 전세집 하나 날라가는거 보다는 싸죠 ㅋㅋ

  • @user-xk4ez3gx1h
    @user-xk4ez3gx1hАй бұрын

    와 이건 미군 나토쪽에 사용되는 모든 헬기용 70mm발사관에 맞는 무기이지 그러면서 해안에 상륙하는 보트나 상륙장갑차를 조져버릴수도 있고 4천만원짜리 치곤 탄두 화약이 적다는 말이 있는데 통상 조별과제로 두놈이 한 무기를 개발하면 무조껀 중간 빤스런이나 고집 서로 존나부리다 삔또상해 실패하길 마련인데 이 정도로 양품이 나왔다는건..... 우리 위대한 고구려 삼족오 민족의 위엄이

  • @jwj2793
    @jwj27932 ай бұрын

    ???:어 그거 뭐냐 디게 좋아보이는데 전차도 잡을 수 있게 개조 좀 해봐라

  • @scrollcho
    @scrollcho2 ай бұрын

    성늘만 좋으면 시장성은 충분 하겟네..

  • @our400
    @our4002 ай бұрын

    무기는 전부 억억하니 천만원 수준은 싸다 싸로 인식한다

  • @user-lo7bg9ui9i
    @user-lo7bg9ui9i2 ай бұрын

    경장갑 목표엔 충분할거 같음

  • @Aristion-vl4sz
    @Aristion-vl4sz2 ай бұрын

    이미 미국은 2012년 부터 Advanced Precision Kill Weapon System(APKWS) 라는 히드라로켓 기반 유도 로켓 사용중인데..?

  • @Aristion-vl4sz

    @Aristion-vl4sz

    2 ай бұрын

    “2:05” 심지어 여기에 나오는 이게 그 apk로켓이고..

  • @user-go6uy4mr1b

    @user-go6uy4mr1b

    2 ай бұрын

    킹무위키 내용으론 APKWS는 레이저유도만 되어서 적외선 방식으로 새로 만들려다가 개발비 아껴보려고 우리나라에 같이해보쉴? 했다는듯??

  • @GeeHanShin
    @GeeHanShin2 ай бұрын

    간절함 하나 없이 만드는 미국산 보다 나는 절실한 한국산 무기에 신뢰가 더 간다 팩트이기도 하고 Ps 남에 나라에서만 싸워본 것들이 뭘 그렇게들 씨부리고 앉아 있냐

  • @user-yi9gv9rc3p

    @user-yi9gv9rc3p

    2 ай бұрын

    !!

  • @user-zu2zb2vk3x

    @user-zu2zb2vk3x

    2 ай бұрын

    미국이 간절함이 없다는건 무슨말임 ㅋㅋ? 개네는 '위대함'을 위해서 안감힘을 더 쓰는데. 누가보면 1등국가는 노력 1도 없이 유지하나봄. 1등국가가 1등 유지하려고 더 안간힘 쓰고 노력하는건 알고 계시죠??

  • @user-oh3mo9lf7o

    @user-oh3mo9lf7o

    2 ай бұрын

    성능과 기술력으로 평가하는거지 간절함은 무슨ㅋㅋㅋ 지나친 국뽕은 시야를 좁게만듭니다

  • @user-zu2zb2vk3x

    @user-zu2zb2vk3x

    2 ай бұрын

    지금 우리나라 방산업계가 주목받는건 기술력이 뛰어나서는 결코아님. 걍 스타크래프트로 치면 미국산 배틀크루져1대 vs 스팀마린 7마리 중에서 스팀마린7마리 사는격ㅇㅇ 보급이 쉽고 가성비가 좋으니 뛰어난무기는 잠시 보류인거지. 게임체인져 역할은 미국배틀인거고

  • @doti9222

    @doti9222

    2 ай бұрын

    ​@@user-oh3mo9lf7o반성하겠습니다...

  • @jijijiilillillllllllllllll
    @jijijiilillillllllllllllll2 ай бұрын

    일단 판매되면 이야기 합시다. 방산무기는 미국입장에서 자국기업 중심이기에

  • @cng2089
    @cng20892 ай бұрын

    기쁜 소식이지만 절대 저들의 요구데로 끌려가서는 안된다.그동안 얼마나 많은 설움 겪었는가.

  • @mgh3948
    @mgh39482 ай бұрын

    이거 미국이 사서 대만주면 딱일거 같은데요? 대형함 보다는 소형함위주 상륙작전 막을때

  • @user-xw6fx5vh3e
    @user-xw6fx5vh3e2 ай бұрын

    국산미사일 일부라도 미국어 수출성공하면 한국 미사일이곹표준이라는인식시켜 세계미사일수출청신호가됨

  • @MoMo-pm8tr
    @MoMo-pm8tr2 ай бұрын

    미국이먼 비궁가격 저정도일시 국가한개에 10미터당 미사일하나씩 떨구수있운든

  • @iamyahoho
    @iamyahoho2 ай бұрын

    러시아 군함이 우크라이나 드론함정에 피해를 입는거 보면 그런 상황에 방어적인 무기로는 정말 필요한 무기가 아닌가 싶네요. 기관총으로 쏴도 방어가 안되던데 적당한 폭발력으로 기능 고장만 시켜도 되는것이니 거기다 상대적으로 드론에 비싼 방어시스템으로 대응하는것도 한계가 있을테고. 지대함이지만 함대함으로 수정이 된다면 요즘 드론무기 방어 개념에서는 충분히 가능성 있는 무기인거 같음.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