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로 독립 당한 다민족 국가 싱가포르의 성공신화(feat.아테네 이후 가장 놀라운 도시국가)

강제로 독립 당한 다민족 국가 싱가포르의 성공신화(feat.아테네 이후 가장 놀라운 도시국가) 편입니다. 싱가포르를 두고 흔히 3無의 나라라고 합니다. 겨울, 폭력, 놀이기구가 3무입니다. 그러나 싱가포르는 세계적인 물류 및 금융 비지니스의 중심지로 '아테네 이후 가장 놀라운 도시국가'로 불릴 만큼 대단한 성공을 이룬 나라이기도 합니다. 왜 그런지 하나씩 살펴 볼까요?
1. 다민족 국가의 시작
싱가포르의 공식 마스코트는 마리나 베이에 가면 볼 수 있는 머라이언입니다. 사자 머리를 한 석상인데 그래서 싱가포르를 사자의 도시라 부릅니다. 레플스에 의해 개척된 싱가포르는 고무, 주석의 수출항구로 급부상했고, 관제슬 부가하지 않는 자유 무역항을 운영했습니다. 때문에 주석 광산 노동자, 항만 노역자, 고무 농장 노동자 등 다양한 인종의 이주민이 증가하게 되었고, 이 때문에 다민족 국가가 되었습니다.
2. 쫓겨난 싱가포르
싱가포르는 2차 세계 대전 때 일본군에 의해 점령당했다고 일본 패망 후 영연방내 자치령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이후 1963년 말레이이사 연방과 합병했지만 연방과 싱가포르주의 갈등을 갈수록 심화되었고 결국 1964년 일어난 말레이계의 싱가포르 폭동으로 강제로 독립 당해야 했습니다. 사실 독립이라기 포다는 쫓겨났다고 하는 것이 맞는 말일 겁니다.
3. 언빌리버블 성공신화
싱가포르의 초대 총리 리콴유는 2007년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시작했을 때 우리에게는 국가의 가장 기본적 요소라고 할 수 있을 만한 것이 아무것도 없없다. 동질의 인구, 공용어, 공통의 문화와 정체성 등 어느 것도 없었다" 여기에 더해 물도 부족한 나라였습니다. 이런 싱가포르를 리콴유는 사회통합을 통해 성공신화를 써내려가기 시작했습니다.
리콴유가 어떤 성공신화를 써내려갔기에 지금의 싱가포르를 두고 아테네 이후 가장 놀라운 도시국가라고 칭송하는 걸까요? 배은숙의 호락호락한 세계사 제50편. 강제로 독립 당한 다민족 국가 싱가포르의 성공신화(feat.아테네 이후 가장 놀라운 도시국가) 편에서 확인해 보시고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다는 도시국가 싱가포르로 여행 한 번 다녀오세요^^
_ 일상의 인문학( @kbcthink )
[Chapters]
00:00 하이라이트
00:44 Introduction
03:50 1. 다민족 국가의 시작
08:09 2, 쫓겨난 싱가포르
13:22 3. 언빌리버블 성공신화
#싱가포르 #리콴유 #마리나베이 #머라이언 #성공신화 #도시국가 #레플스 #배은숙세계사 #싱가포르역사 #다민족국가 #벌금의도시싱가포르 #일상의인문학 #역사강의 #인문학특강 #헨리키신저
*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kbcthink
* 배은숙 강사님 강연 몰아보기 : bit.ly/3PKC7Kp
* 일상의 인문학 강연 몰아보기 : bit.ly/3k1qWSL
*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bit.ly/3Os6lQQ
* 돋보이는 댓글을 달고 싶으시면 영상 오른쪽 하단에 Thanks를 활용해 보세요^^
* 채널구독하기 : bit.ly/3AEmJL1
* 제작지원 : KBC인재경영연구소 : www.kbcts.com
* 한국지식텔러협회 : band.us/band/371977
* 네이버 블로그 : blog.naver.com/kbcthink
* 강연 및 코칭 문의 : 053-746-7056 / korandobc@naver.com
* 찾아오시는 길 : naver.me/GMRer9oh

Пікірлер: 236

  • @drewa0405
    @drewa04053 ай бұрын

    "가장 위대한 성장은 함께 성장하는 것이다"라는 교수님 말씀, 깊이 공감합니다. 우리 현실, 아니 전세계에도 적용되는 말입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kbcthink

    @kbcthink

    3 ай бұрын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kk3gk7le7n
    @user-kk3gk7le7n5 ай бұрын

    배교수님 장르마다. 현지국민들보다. 역사 종교 인물. 년도.등을 새밀하게 자료수집하여 우리에게 명강의 당대의. 최고이십니다 잘듣고. 우리는~~~~ 감사합니다

  • @songsukjin99
    @songsukjin99 Жыл бұрын

    싱가폴에 15년째 살고있지만 강연을 들으니 새롭네요~ 유익한 강연잘들었습니다.

  • @miki0703

    @miki0703

    Жыл бұрын

    이광요도 천재적인 정치인이지만 그 아들 이쎈룽도 괜찮은 정치인이죠? 다만 이쎈룽도 고희가 넘었으니 차기지도자가 이씨부자만큼 잘하기는 좀 불가능이 아닐까요? 작은 도시국가라 발전도 빠르지만 주저앉기도 아차순간일꺼라는 생각이듭니다. 동남아유럽으로 불리던 필리핀을 보면.

  • @user-di4hh7ne7i

    @user-di4hh7ne7i

    Жыл бұрын

    중국어 잘함? 영어만 씀?

  • @user-um5lz4ze6f
    @user-um5lz4ze6f Жыл бұрын

    한 지도자의 정책이 놀라운 결실을 맺었네요. 온전히 따라 준 국민도 훌륭하고요...

  • @Fjei38yrhe
    @Fjei38yrhe Жыл бұрын

    싱가폴은 답답하고 재미없다고느끼는 사람들은 있을지 몰라도, 그정도로 사회의 질서와 안전이 우수해서 진정 열심히 일하고 공부하고 사업하고 싶은 사람에게는, 안전, 위험,부패공무원, 뇌물따위에 잡다한 신경쓰고 염려할 필요없이, 일에만 전념하고 열심히하는대로 성장할수 있게 해 주는 좋은 나라입니다. 비뚤어진 인간에게는 최악의 나라 제대로 된 인간에게는 최고의 나라입니다. 이런나라는 지구상에 싱가포르밖에 없습니다.

  • @yangmyeonglee2273

    @yangmyeonglee2273

    6 ай бұрын

    어떻게 그게 최고의 나라인가요 공산주의, 군부독재 나라가도 이것보다 안답답해요

  • @user-ck1wr7gt7f
    @user-ck1wr7gt7f Жыл бұрын

    강의가 탁월하십니다. 감사합니다.

  • @dongkeunkwak
    @dongkeunkwak Жыл бұрын

    싱가포르의 성공신화.. 강의 잘 들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latethirtieslife1815
    @latethirtieslife1815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덕분에 이렇 역사 공부를 하네요. 너무 감사드립니다. 방송 하나하나 빠짐없이 너무 좋아요😊

  • @user-tg7dj5or1s

    @user-tg7dj5or1s

    Жыл бұрын

    😂\(^_^) 😊 ㅡ조

  • @user-sl1gx5zs2u
    @user-sl1gx5zs2u11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매우 잘 들었습니다 폭력없는 나라 사회통합 집걱정 없는 나라 리콴유총통의 리더쉽이 돋보입니다 이 나라가 계속 발전하기를 바랍니다

  • @user-km4qu6ps3o
    @user-km4qu6ps3o Жыл бұрын

    배은숙선생님덕분에 오늘도 자투리 시간을 유용한 지식으로 채웁니다. 감사합니다.

  • @user-lv4kf9qc1c
    @user-lv4kf9qc1c5 ай бұрын

    너무나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인문학에 대한 폭 넓은 식견을 갖게 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user-ym6cd4gj4p
    @user-ym6cd4gj4p9 ай бұрын

    덕분에 역사를 먼저 알고 싱가포르 여행을 다녀왔습니다. 넘 아름답고 깨끗하고 매력적인 나라였습니다.다민족의 문화체험을 제대로 했어요.감사합니다^^

  • @Young-kf1jw

    @Young-kf1jw

    Ай бұрын

    35년전에 발리에 골프투어로 한다라 골프장에서 라운딩 하고 다음날 싱가폴을 갔는데 너무나 깨끗하고 아름다운 도시라 비가 내리는데도 돌아다니다 금은방에서 에메랄드 반지를 $3,500 주고 삳는데 미국에 오니 $10,000 더 되네요. 늘 생각나는 싱가폴을 배 교수님의 유려하고 박식한 강의로 들으니 너무나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Osca_J
    @Osca_J Жыл бұрын

    싱가포르 역사.종교.인구. 인종구성.인물 상세히 말씀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역시 현미경(사람 시각으로 볼수 없는 세포를 볼수있는)같으세요😄. 배은숙 선생님과 선생님들. 일상의 인문학님 바이타민(비타민도 잘챙겨드시고 고생많으셨어요🙇‍♂️☕️

  • @kay203
    @kay203 Жыл бұрын

    딴건 몰라도 술먹거나 폭행했을때 태형하는것 만큼은 꼭 국내도입 했음 좋겠다 ㅠㅠ 또라이들 너무 많아

  • @user-pj5cq9sf2b
    @user-pj5cq9sf2b Жыл бұрын

    강연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sc4cg6bz8t
    @user-sc4cg6bz8t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덕분에 늘 많이 배웁니다 고맙습니다

  • @ianhwang1406
    @ianhwang1406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 강의와 메시지 감사드립니다.

  • @latethirtieslife1815
    @latethirtieslife1815 Жыл бұрын

    싱가폴 박물관가서 리콴유님 인터뷰 하는거 보고 그때 그 심정이 어땟는지 생생히 느껴질 정도로 참...가슴 무너지는 인터뷰 였죠. 그때 인터뷰는 잊을수가 없네요.

  • @forestlim6000
    @forestlim6000 Жыл бұрын

    간만에 좋은 강연이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user-ur5nt8hh7s
    @user-ur5nt8hh7s Жыл бұрын

    술.담배.키스등 옛날 처럼 엄격하지는 않는 것 같고 태형에 대하여 싱가포르인에게 직접들었는데 맞다가 죽을 수 있기에 만약 10대이면 5대 정도 때리고 치료 후 다시 맞는다고 합니다. 그 고통을 얼기에 치료기간 동안 넋이 나간다고 하더라구요.

  • @seongsooryu9331
    @seongsooryu9331 Жыл бұрын

    아주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국민들이 행복하고 남들에게 불편 안주고 질서 유지하면서 잘 사는 나라인것 같습니다.

  • @JS-tu3lu
    @JS-tu3lu Жыл бұрын

    경제의 대부분을 왕족들이 움직이는 가족경제 국가, 가진 자의 시스템을 완벽하게 지키기 위한 강한 법체계

  • @user-rs7rs3pz5t
    @user-rs7rs3pz5t Жыл бұрын

    이런 강의 좋아요♡

  • @user-ek4ju1zd8e
    @user-ek4ju1zd8e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남한도 싱가폴처럼 질서를 넘어선 자유가 없는 법이 있음 바래봅니다. 잘듣고갑니다.❤

  • @user-fs3xl8vy1d
    @user-fs3xl8vy1d Жыл бұрын

    배선생님!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배울게 많으네요.

  • @audaciouspony
    @audaciouspony11 ай бұрын

    중국계와 인도계 말레이계의 통합을 위한 리콴유의 솔루션이 흥미롭습니다. 개개인의 통합 노력도 필요하지만 정책적인 방향에서 통합은 중요하고 싱가폴의 경우 다수인 중국계를 통제함으로써 통합을 가능하게 했군요.

  • @-tv3724
    @-tv3724 Жыл бұрын

    국제환경운동가 세계최강 맨발의사나이 조승환이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user-fn4rr8hi7r
    @user-fn4rr8hi7r Жыл бұрын

    배은숙님은 대구의 자랑입니다. .😊😊😊

  • @byungtaelee921
    @byungtaelee92110 ай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kbcthink

    @kbcthink

    10 ай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hgys6666
    @hgys6666 Жыл бұрын

    선생님은 강의도 잘하지만 이쁘고 끌려가네요.

  • @korsection
    @korsection Жыл бұрын

    머리에 쏙 들어오네요

  • @3105jeong
    @3105jeong Жыл бұрын

    한마디로 리더쉽을 생각합니다.

  • @martnmartbin6137
    @martnmartbin6137 Жыл бұрын

    멋지셔요

  • @ssh640929
    @ssh640929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gb6mn7gt4g
    @user-gb6mn7gt4g Жыл бұрын

    현명하게 질서를 잡았네

  • @user-ir3is5ct4s
    @user-ir3is5ct4s Жыл бұрын

    싱가포르 성공신화 보다 더 잘나갔던 나라가 대한민국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도 자부심을 가질만 한데 국내에서만 평가절하 되는것 같습니다.

  • @happyoppaya

    @happyoppaya

    10 ай бұрын

    싱가폴의 독재자는 칭송 받지만, 한국의 독재자는 비난 받습니다. 싱가폴 출신 화교 친구한테서 들은 얘기로는... 리콴유는 박정희 못지 않은 독재자였다고 합니다.

  • @user-ee9cm6wh2b
    @user-ee9cm6wh2b Жыл бұрын

    말레이시아 조호르에서 살아봐서 잘 압니다,,싱가폴과 말레이시아와 차이나는 것 처음눈에 띄는건 거리모습입니다...지저분한 조호르와 깨끗한 싱가폴... 벌금액이 무지막지하니...그럴수 밖에.. 이광요가 한 첫번째가 바닥에 침 뱉으면 벌금 물린거라는 일설도 있지요

  • @user-it7gf4fs7j
    @user-it7gf4fs7j Жыл бұрын

    6월에 싱가폴여행가는데 그나라의 역사를 조금은 듣고가는거같아서 좋네요

  • @user-dq8pb7tb4n
    @user-dq8pb7tb4n Жыл бұрын

    훌륭한 싱가포르 성공 신화 잘 들었습니다. 가장 위대한 성공은 함께 성고0하는 것이다.

  • @kagerani
    @kagerani3 ай бұрын

    싱가포르에서 일하면서 '숙제' 처럼 싱가포르에 대해서 여러각도로 보고자 하고 있습니다. 지금 본 강의가 지금까지 보아왔던 많은 영상들 중에서 가장 다양한 각도로 알려주신 강의 였습니다. 얼마나 많은 자료들을 찾아보셨을까요.. 감사합니다!

  • @Eastsea2
    @Eastsea22 ай бұрын

    남들은 독립하려고 피흘리는데…. 이 땅 갖고 썩 꺼져! 라니…

  • @user-vq2iz4sl5r
    @user-vq2iz4sl5r3 ай бұрын

    가장 위대한 성공은 함께 성장하는 것인데 한국의 의새들은 지네만 잘 살겠다고 의대 정원 확대를 반대하고 있으니?

  • @user-rr9gy4ey7f
    @user-rr9gy4ey7f Жыл бұрын

    강의를 듣고도 해석이 다른 인간이 있다는 것 ~허허 역사는 교훈을 준다.~

  • @ngu312
    @ngu3129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에도 필요한 법이 많군요

  • @user-iq7wu2lq2d
    @user-iq7wu2lq2d Жыл бұрын

    명강의 잘 듣고 배웁니다. 공짜로 배우니 죄송하네요^^

  • @user-ed3pb8il3m
    @user-ed3pb8il3m Жыл бұрын

    배 선생님 언어의 마술사이며 언어구사 능려이 휼륭하십니다 다음 강의는 미국해군 7함대소속 로널드 레이건 핵추진 항공모함에 대한 강의 부탁드립니다 건강하십시요

  • @hitssy90
    @hitssy908 ай бұрын

    와우~ 집걱정 안해도 되는 신혼부부들 정책 너무나 부럽네요👍

  • @user-bf7xd8ix8s
    @user-bf7xd8ix8s Жыл бұрын

    와 이렇게 강의를 잘 할수 있을까

  • @yangmyeonglee2273
    @yangmyeonglee22736 ай бұрын

    싱가포르는 ‘영어’를 공용엃 챠택 했기때문에 흥했다고 봅니다. 이 사람들이 선량하거나 성실하거나 정이 많지 않습니다. 계산적이며 실리적입니다. 국립학교 초등과정에 매일 아침 국기에 대한 경래를 하지만 그렇다고 똑똑하거나 애국심이 뚸어난것도 아닙니다. 단지 엄격한 규율과 법 그리고 기업이나 부자에게 좋은 정책으로 부자들 및 고학력자들을 적극 수용하고 기업을 유치해서 그들은 성공을 이룬것입니다. 한국 사람의 근면 성실함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이뤄낸 성공과는 결이 다르고 비교도 할수없습니다. 싱가포르 일반 시민들의 삶을 보면 아마 눈물 날겁니다.

  • @user-jk8kj5wx5z
    @user-jk8kj5wx5z11 ай бұрын

    1인당 gdp가 우리나라 두배라서 두배 잘사는게 아니라 중계무역이라 거기 거친 물류가 잡혀서 그래요

  • @user-uc5bf2wx1f
    @user-uc5bf2wx1f Жыл бұрын

    배선생님!멋진대한민국대표맹열여성!강의항상감명깊습니다.존경합니다.7학년2반김구현드림

  • @user-zc2my3pm2t
    @user-zc2my3pm2t Жыл бұрын

    어떻케 해서 잘살게 되어는지는 설명이 없어시네요 무슨 사업을 하고 어떤 나라들이 중요한 교역국인지 궁금하네요

  • @user-yf6qj6cx7p
    @user-yf6qj6cx7p Жыл бұрын

    질서를 넘어선 자유는없다 멋지네 우리나라는 대부분 자유를 넘어선방종인데 앞으로가걱정이네 지는해니. 떨어질일만남았는데 겁나잘사는줄아는철부지들이 많은세상

  • @user-ek4gl4nu1r

    @user-ek4gl4nu1r

    Жыл бұрын

    국가란 뭐냐 묻는것이다 응답하라 여기는 부패지수 얼마나 되나요

  • @kwanghaegun
    @kwanghaegun Жыл бұрын

    싱가폴은 사회주의인가요? 자본주의인가요? 나라의 성공기준은 무엇인지요? 싱가폴은 잘사는 북한일까요? 하는 의문도 듭니다. 나라의 권력을 3대 새습째죠. 독재국가로 언론의 자유가 없고, 사회주의적 성격이 강한데, 의료보험은 없는 나라죠.

  •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Жыл бұрын

    구미식민주체제로도 안되는데 동북아식독재체제갖고 되는게 뭐가 있겠어요?

  • @uwho9615

    @uwho9615

    7 ай бұрын

    준법정신을 가진 민주주의다 리콴유 말 그대로다 지금의 더불어공산당 개들은 법도 안지키고 빨갱이들에게 빌붙어 먹으니 이건 개차반 공산도배 국가가 되는거다 이해되지?

  • @user-kc6eu6zb7r
    @user-kc6eu6zb7r11 ай бұрын

    싱가포르,대단하고 가보고 싶군요.

  • @byungkim1043
    @byungkim1043 Жыл бұрын

    나라든 회사든 집단이든 지도자가 현명하고 지혜가 많아야 문제를 헤쳐 나간다 편양 돼지 않는 정책을 또 법을 중시 여러 문제를 발생할것을 예측하고 ... 😊😮

  • @user-tf2ws9bx3u
    @user-tf2ws9bx3uАй бұрын

    홍콩처럼 국방비 지출이 없거나 있어도 아주적기에 생활이 풍족하겠네요

  • @leeheechang6656
    @leeheechang6656 Жыл бұрын

    배은숙님이 싱가폴이 영국의 식민지였으며, 말라카 해협에 있는 것을 간과했습니다. 이 말은 전세계 검은 돈이 영국의 옛 식민지를 통해서 '런던 시티'로 모이고 영국이 금융업으로 먹고 사는데 일조하면서 싱가폴이 그 '콩 고물'을 먹고 있다는 것과 동북아-동남아의 수 많은 배가 말라카 해협을 통과하는 것을 활용해서 정유산업, 조선산업 등이 싱가폴의 기간산업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지구온난화의 진전과 함께 북극항로가 개발되었을 때 지금까지 '잘 사는 북한'이었던 싱가폴의 밥그릇이 어떻게 될 것인지 궁금해지기도 합니다.

  • @user-gf8bd8wy8y
    @user-gf8bd8wy8y Жыл бұрын

    여자 사람 친구가 싱가포르 갔는데 그 동네 남자들이 자기 키랑 비슷한게 참 신기했다고.😅

  • @Fjei38yrhe
    @Fjei38yrhe Жыл бұрын

    리콴유는 영어 네이티브 스피커이고 부모님도 가정에서 영어를 썼습니다. 그에게 중국어는 연습을 게을리 하지않는 다는 말을 할정도로 모국어가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영어를 제1언어로 정했으나 영어는 그도 인정할 정도로 생활어로 제대로 정착되지 못했습니다.

  • @sooh6447
    @sooh6447 Жыл бұрын

    댓글을 보니 싱가포르를 저평가하는 댓글들이 보이네요. 오랫동안 싱가포르에 살고 있는데 비전, 장기적인 계획과 강력하지만 합리적인 리더쉽으로 일관되게 계획대로 실행에 옮겨가는 싱가포르는 저력있는 나라입니다.

  • @user-fh5ng6rv8l

    @user-fh5ng6rv8l

    8 ай бұрын

    잘 살고 발전할수밖에 없네요.잘들었습니다! 푸틴동혜

  • @user-bd5hn3gt2b
    @user-bd5hn3gt2b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싱가폴에 대해선 통계에 함정에 빠지면 안됩니다. 국민소득이 7만불인건 맞지만 이나라도 다른 동남아 국가와 마찬가지로 소수가 부의 90퍼선트를 장악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싱가폴 사람들이 사는곳 주변 보시면 깜짝 놀라실거고요. 한가지 더 선진국은 돈이 많다고 선진국이 아닙니다. 정치 경제 문화 모든게 선진국이 되야 하는데, 정치문화는 말할것도 없고, 경제도 최근 상당히 취약해져 있어요. 싱가폴 관련 자료 대부분 싱정부에서 계획적으로 발표하는것들이고 현지에 사는 사람은 대부분 믿지 않습니다. 현실과 너무도 괴리가 있어서요😂

  • @user-jj8rs1du8i

    @user-jj8rs1du8i

    Жыл бұрын

    엄격한 법때문에 국민들이 휴일되면 말레이지아로가서스트레스풀고온다고 지인한테 들은적이있읍니다

  • @user-bd5hn3gt2b

    @user-bd5hn3gt2b

    Жыл бұрын

    @@user-jj8rs1du8i 예 맞습니다. 싱가폴 사는지 10년차가 넙습니다 다음주에도 말레이시아 갑니다 ㅎㅎ 참고로 IT 환경아 한국 보다 높은 전세계 1등으로 나와 있지만 지하철은 물론 구간에 따라 인터넷 연결도 안됩니다

  • @user-ur5nt8hh7s

    @user-ur5nt8hh7s

    Жыл бұрын

    저도 백번 동감합니다. 도시국가라서 유리한 점도 많지만 한계가 있고 국방력도 그러합니다. 지금 시스템 아래에서 잘 유지되지만 외부의 큰 충격이나 변수가 생겼을때 어떻게 될지 모릅니다.

  • @user-ur5nt8hh7s

    @user-ur5nt8hh7s

    Жыл бұрын

    ​@@user-jj8rs1du8i 제가 89년 처음 싱가포르 갔을때 이나라 국민들 주말되면 조호바루가서 생필품.유류도 유흥도 즐겼죠..

  • @user-jj8rs1du8i

    @user-jj8rs1du8i

    Жыл бұрын

    @@user-ur5nt8hh7s 옛날중국진시황의진나라가 상앙 의변법으로 나라가부강하고엄격한법으로길거리에 돈이떨어져있어도 줍는사람이 없었다는데 그후 상앙은자신이만든법 때문에죽고 시황제사후 천년만년갈듯한진나라도 15년만에망하고말았는데엄격한법은위로부터공정하게잘집행되면문제없으나 그렇치못할시 모래성과 같은것같읍니다

  • @user-th5ys1nu1s
    @user-th5ys1nu1s Жыл бұрын

    강의 너무 잘 하시네요.

  • @nabull7826
    @nabull7826 Жыл бұрын

    라면에 카레 섞어 먹으면 맛 끝네 줍니다. ㅎ 일부 제도는 한국도 시급히 시행하면 좋겠다.

  • @user-qf1nb2tw7w
    @user-qf1nb2tw7w Жыл бұрын

    싱가포르는 생산 국가가 아니고 금융과 페이퍼 컴퍼니의 천국 아이가... 돈놀이 하는 나라 아이가...

  • @icylakepaxphile

    @icylakepaxphile

    Жыл бұрын

    싱가포르는 제조업 강국임 전체 국민소득의 22프로가 제조업임... 한국/대만 보단 낮지만 다른 선진국보다는 훨씬 높은 편,, 독일과 비슷한 수준,.,.. 제약, 반도체, 첨단 기자재 중심의 제조업 환경, 금융, 제조업, 서비스업 모든 면에서 고도로 발전된 나라임... 홍콩과 근본적으로 다른 점.. 홍콩은 그나마 있던 소수 제조업도 중국 광동성으로 다 빨려 들어가서 부동산과 금융 서비스밖에 없는 환경.

  • @xinchao-alwaysontheroad
    @xinchao-alwaysontheroad Жыл бұрын

    혹자들은 싱가포르를 “잘사는 북한”이라고 표현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 @Grandbase167

    @Grandbase167

    Жыл бұрын

    중국보단 낫습니다

  • @Fjei38yrhe

    @Fjei38yrhe

    Жыл бұрын

    남한보다 낫습니다.

  • @xinchao-alwaysontheroad

    @xinchao-alwaysontheroad

    Жыл бұрын

    @@Fjei38yrhe 싱가포르 6년 살았었는데 우리나라와 비교할 정도로 우리보다 나은게 별로 없는 나라가 싱가포르…

  • @user-ij5xr8zv7h
    @user-ij5xr8zv7h Жыл бұрын

    교수님 ~ 넘넘 좋은 강의내용 애청자 입니다. 한가지 건의 드려도 될까요? % 발음하실떼 프로 보다 퍼센트 로 불러 주실 수 있으신가요? 제가 알기론 일본인들이 퍼센트 를 못해서 그렇게 부른걸로 앎니다. 미국인 은 프로를 모르더군요. 죄송 합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꾸벅 ~

  • @miki0703

    @miki0703

    Жыл бұрын

    일본인들이 파~센토 라고 함.

  • @jkcoco6965

    @jkcoco6965

    Жыл бұрын

    국어1등급 훈장선생님.

  • @user-ij5xr8zv7h

    @user-ij5xr8zv7h

    Жыл бұрын

    @@jkcoco6965 그럼 "프로" 라고 하는발음은 어느나라 언어인가요?? 미국인도 이말을 못알아 듣더군요 ? 한수 배우겠습니다.

  • @sooh6447

    @sooh6447

    Жыл бұрын

    그러네요.. "카레"도 마찬가지 인것 같습니다. 카레는 일본카레를 지칭하고 인도커리는 "커리"로 사용하시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 @amoregang7280

    @amoregang7280

    Жыл бұрын

    pro는 percentage를 의미하는 네덜란드 용어라고 아는데에... 굳이 다른 말은 아니다. 그리고 일인들은 빠센또라고 하던데에 ~

  • @user-zf4ri5cu5b
    @user-zf4ri5cu5b Жыл бұрын

    이광요 총통을 존경해서 20년 전에 싱가포르 관련 책을 읽고 굉장히 충격 받았던 기억이 있어요. 책을 읽기전 나름 싱가포르는 이런 나라일것이라 상상했는데 그속에 그려진 모습은 북한이었어요. 충격을 받았지만 정말 대단한 나라라고 생각합니다. 이광요 총통이 존경한 분이 박정희 대통령입니다. 이제 두분 모두 고인이 되셨지만 위대함은 오랫동안 사람들 맘에 남으리라 봅니다.

  • @kairos521

    @kairos521

    Жыл бұрын

    박정희 어휴...

  • @user-em6jl7mr9z
    @user-em6jl7mr9z Жыл бұрын

    이광효는 세계 제일독재자인데 나라를 발전시키고 국민의 질을 향상시켜서 성공적인 지도자로 남습니다 박정희는 역시 한국적 민주주의로 나라를 발전시키고 국민의 질을 향상 시켰지만 빛이 가려저있습니다 두분은 다 훌륭하신 지도자이십니다

  • @hiouggdj517

    @hiouggdj517

    Жыл бұрын

    박정희 민주주의? 무식한놈이 신념을가지면 공포스럽다

  • @user-bh4vx9dq5f

    @user-bh4vx9dq5f

    Жыл бұрын

    친일매국 빨갱이독재자는 제외합니다.다까키오마사오 박정희!!!!

  • @martinlee76
    @martinlee7611 ай бұрын

    강대국이 아니고,강소국

  • @topgogo718
    @topgogo7186 ай бұрын

    너무 미화만 하네요,.. 이콴유의 독재라든지 언론의 자유가 없는 것에 대해서도 언급하는게 좋지 않을까요? 북한처럼 권력 세습도 하고 있고 언론통제도 하고 있는데 말이죠

  • @user-cd5px8kz9u
    @user-cd5px8kz9u Жыл бұрын

    태형제도를우리나라가도입해서 질서확립 범죄없는나라 를만들면어떨가하고잠시상상해봅니다...

  • @samsunmun4980
    @samsunmun498011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싱가포르의 정책을 택 하여야 한다. 20년 전 관광갔을 때 현지 가이드 한태 들었던 내용하고 전부 똑 같네. 아시아의 훌륭한 지도자--- 한국의 박정희 ,싱가포르의 리콴유 중국의 등소평이라네.

  • @user-ri1ic8nv8l
    @user-ri1ic8nv8l9 ай бұрын

    우리 나라도 태형 수입하자.

  • @user-yj6nl7vb7d
    @user-yj6nl7vb7dАй бұрын

    저런 규제가 통한다면 신선한데 ...얼마나 먹고 살기 편한 나라면 저런규제가 와 벌금이 먹히겟어....... 이너무 나라는 너무 일하기 힘들어 도로에 담배꽁초 버리고 침뱉어도 그닥

  • @amoregang7280
    @amoregang7280 Жыл бұрын

    이 혼돈의 시대에 간혹 떠오르는 인물이 바로 이광요죠 ㅎ 과거 94년도 미국의 foreign affair 지에서 당시 한국의 야당대표인 김대중과 아시아적 가치를 놓고서 설전 을 벌렸던 인물! 일단 저 섬나라에 대해서 알기 쉽게 설명을 잘해줘서 고맙고요,,, 이광요가 만든 개인 정원이다라는 말도 있는 작은 섬이죠. 이 혼돈의 시대에 어떠한 국가의 정체성과 어떠한 기틀을 다져놓은 인물.. 그 덕택에 전 동남아에서 현재 1인당 국민소득 1위죠. 이웃 인구 1억1000만의 삐리삔과도 토탈 GDP 마저도 비슷한 수준인걸로 알아요 ㅋ 좋은 점도 많고 나쁜 점도 많은거 같은데... 한국에 도입하면 좋을것도 있고 안좋을것도 있네요. 1. 독재냐 민주화냐가 중요한거 아닙니다! 1987이후 민주 Zombie가 하도 양산되서 민주화면 무조건 OK다라는 식인데,,, 독립 이후 저런 극도의 혼란기를 안정되게 만드는 건 어떠한 국가적 영웅(!)이 있어야지만 가능한 것이고 또한 그렇게 국가의 안정화를 만들기 위해선 어떠한 정책적인 일관성과 시간이 필요하죠. 이점에서 어설프게 민주화 노선 걷다 갈수록 더더더 망해버린 중남미와는 다른 길임. 2. 마약 범죄라든지 혹은 조직 폭력배 같은 그런류 범죄를 뿌리 뽑기 위해선 강력 엄벌뿐입니다. 싱가폴의 형벌이 한국사회에 어느 정도 필요하다라는 느낌도 들군요 3. 성공적인 주택 정책도 부럽네요. 무조건 양만 늘리면 된다라는 후진국식 주택 정책이 아닌 선진화된 주택 정책이 필요합니다! 반지하라든지 쪽방, 고시원같은 불합리한 주거 수단은 과감하게 폐쇄 명령 시켜버리는 그런 강력 정책이 필요합니다. Need가 꼭 있는 곳에 초고층의 아파트 단지 개발이 절실합니다. 4. 이광요 의 장점이라면 장점이 ... 어떠한 민족적 균형을 갖췄다는 것이죠. 자신의 중국계 민족에게만 편파적이지 않게끔. 그점이 편가르기, 파벌조성, 국민 갈라치기에 길들여진 기성의 한국 정치와는 너무 다릅니다. 한국사회는 기존의 어떠한 카르텔 문화를 없애야 합니다. 피곤한 향우회, 전우회, 동창회 등등 5. 고급 관료를 어릴때부터 양성해오는 시스템이 훌륭하네요. 정말 한국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일본도 "숙"인가 하는 제도가 있다고 들었는데에... 국가 발전과 선진화에 real 필요한 고급 관료 육성이 필요합니다. 지금 말 많고 탈 많은 비트코인 투기질이나 하는 82년생 국회의원 따윈 필요 없어요 6. 마지막 발언은.... 조금 그러니까 지금의 사회적 분위기라고도 할수 있는 Multiculturalism을 마치 옹호하는 듯한 발언이네요. 보듯이 싱가폴 섬과 우리는 역사 인구 면적이 너무 상이해서 함부러 다문화를 지향하면 큰일납니다! 향후 Time Bomb가 될수도 있어요. 특히 이슬람은! 한국이 다문화화를 굳이 이룰 필요도 당위성도 의무도 없어요. 차라리 그럴려면 미국의 52번째 주편입하면 됩니다 ㅋ 한국은 강.한.민.족.주.의.는 필수입니다 !!!

  • @hyungjinsung
    @hyungjinsung Жыл бұрын

    성공신화 아니고 성공 신화.

  • @user-fo3bp6xk8d
    @user-fo3bp6xk8d8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정치인들은 밥그릇 싸움만 하지 국가를 위해 뭘 해야 되는지 생각조차 없다. 지금의 시스템은 독제 보다 못하다.

  • @kleiopark7007
    @kleiopark7007 Жыл бұрын

    15':00 에 나온 신문의 울고있는 사람 이콴유가 아닙니다...

  • @user-mz6bp5vs8s
    @user-mz6bp5vs8s Жыл бұрын

    우리는 잘 알지 못하는 최악의 독재국가중 하나지요

  • @connielm2849

    @connielm2849

    Жыл бұрын

    북한과 똑같은 세습정치 잘 사니까 모든 게 덮혀지지요 ㅜ

  • @97leeno

    @97leeno

    Жыл бұрын

    개쓰려리 처럼 사기 조작 날조는 안질른다

  • @user-ju7ze1zd1f

    @user-ju7ze1zd1f

    Жыл бұрын

    아시아 최고의 선진국인 독재..좌빨 만주팔이보다 백번 낫다

  • @ruoguu
    @ruoguu Жыл бұрын

    싱가폴이 잘사는 이유는 중국인들의 상업정신 때문이고 그들은 돈벌이 천재들이다. 코 웃음을 치는 분들도 계실 테지만 동남아에서의 중국계들을 보면 놀라운 수준이다.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에서 중국계 비율은 고작 4% 하지만 그나라 500대 기업가운데 300여개가 중국계기업. 말레이시아에서 중국계의 비율은 약 1/4 , 하지만 그나라 70%의 경제권을 쥐고 있음. 다음은 태국: 약 800만의 중국계가 그나라 상권의 40%를 쥐고 있음. 그러면 중국본토는 왜 그꼴이냐?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지 않으면 수십년 안에 전 아시아를 넘어 세계를 호령할 민족이 중국 한족들임. 미국인들도 그걸 간파하고 중국을 죽어라고 견제하는 겁니다.

  • @yong637360

    @yong637360

    Жыл бұрын

    중국계가 아니고 한국계 일본계 가 동남아에 오래 살았다면 중국계 보다 더 부의 집중이 되어있겠지 무구한 역사 복잡한 정치체계 가진 동아시아 인들은 동남아시아 인들과 인종 자체가 다름 지금의 GDP 보면 일본 39 한국35 중국11

  • @amoregang7280

    @amoregang7280

    Жыл бұрын

    @@yong637360 환율 하락으로 일본 지금 3.5 정도로 1인당 국민소득 떨어졌고 한국도 작년 여름부터 환율 하락으로 3.5 안됨. 그리고 중국은 1.3 부근이다 ㅋ 그리고 한족의 동남아 이민 역사는 이미 1000년이 넘기 때문에... 남송시대부터 ~ 말이 그렇지 거의 상당수가 현지화 Local이 되었다! 한족은 전통적으로 지독하게 "돈" 좋아하고 ㅋ 빨간색도 좋아하지 ㅋ

  • @riofeliz-7567
    @riofeliz-7567 Жыл бұрын

    싱가폴에서 2년 살아보고 느낀 것은 작은 국토(서울 특별시 만한)에 300 여 만명의 도시에 다수의 중국계 말레이계, 인도 등등등 .. 결국은 중국이나 말레지아, 인도, 태국, 베트남의 손에 넘어갈 도시 일 뿐입니다 우리나라 자주포 2 문이면 2시간내 초토화 시킬수 있는 도시 입니다요.

  • @hiouggdj517

    @hiouggdj517

    Жыл бұрын

    딱. 한국수준이네 ㅋㅋㅋ

  • @user-ur5nt8hh7s

    @user-ur5nt8hh7s

    Жыл бұрын

    @@hiouggdj517 뭔 개소리냐? 댓글 달지 말아라..

  • @user-mi8ln4pe3f
    @user-mi8ln4pe3f Жыл бұрын

    위치상, 규모상 성공하기 쉬운 입지...... 도시국가의 1인당GDP는 높은 것은 당연 지키기 어려운 땅이라서, 약탈의 시대가 되면 제일 먼저 침략을 받을 것이다

  • @chrisji6284
    @chrisji6284 Жыл бұрын

    singapore can drink after 10pm

  • @user-sk5jv5ih4o
    @user-sk5jv5ih4o Жыл бұрын

    토지국유화 + 자본주의 시장경제 체제가 가장 이상적인 사회가 아닐까요?

  • @yokim1269
    @yokim12697 ай бұрын

    싱가포르의 성공의 이유 하나는 이중 임금 정책과 내니 제도입니다. 원래 선진국이 유지되려면 다른 나라를 착취해야합니다. 그 방법 중 하나가 이중 임금제도이죠. 인구 절벽이 되어가고 있는 우리 나라도 참고해 볼만합니다.

  • @connielm2849
    @connielm2849 Жыл бұрын

    싱가폴 잘 사는 것은 인정하지만 사람들 인간미 없고 불친절하고... 2년 살았는데 본받을 나라는 아녜요 정치도 후진국

  • @MacGulliKit

    @MacGulliKit

    Жыл бұрын

    GNP가 삶의 수준은 아닙니다. 인건비가 한국보다 싼 나라가 싱가폴입니다. GNP가 높은것은 불로소득(임대소득 및 자산소득)이 높아서 그런것이지요.

  • @user-ol3nz8ch6e
    @user-ol3nz8ch6e Жыл бұрын

    잘사는 북한, 정권 교체 절대 할 수 없는 나라, 국가의 모든 부를 리콴유 아들들이 갖고 있는 나라를 만들고 싶냐?

  • @user-qu5qj2gp5b

    @user-qu5qj2gp5b

    Жыл бұрын

    잘사는 나라-북한 이라고?? 니 뭐꼬? 간첩 이가?

  • @user-qc6ig4ob3m
    @user-qc6ig4ob3m Жыл бұрын

    죄송한데 싱가포르가 성공한 나라는 아니죠. 아직까지 강이나 바닷가에서 모레 작업이나, 삼림작업 할때 정말 미개하다고 할 정도로 맨발에 윗통벗고 위험한 일을 하는데, 시골에서 헐렁한 바지에 맨발에 다니고 아주 보기가 민망할 정도의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 @user-sy6sk2fr5w
    @user-sy6sk2fr5w2 ай бұрын

    배교수를국회로

  • @user-th5ys1nu1s
    @user-th5ys1nu1s Жыл бұрын

    어쯤 저리 강의를 귀에 쏙쏙들어오게 할까?

  • @SungjinKoo-ft5pl
    @SungjinKoo-ft5pl Жыл бұрын

    강의는 명강의가 맞고요 옥의 티라면, 손을 너무 쓴다는것. 보기가 싢어서 폰을 엎어놓고 듣기만 합니다

  • @johnnykim233
    @johnnykim233 Жыл бұрын

    싱가폴이 리콴유가 가장 배우고싶어하는 분이 박정희대통령이었죠.리콴유. 박정희 아시아 성장의 영웅입니다

  • @maroo3351
    @maroo3351 Жыл бұрын

    한국도 싱가포르처럼 되었어야했다.

  •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Жыл бұрын

    중국에도 서구같이 개인정보 사생활 보호라는 개념이 있나볼필요 있을것 아니면 민주주의라고 안보이며 민본주의도 맞나 모름

  • @dzemann2
    @dzemann2 Жыл бұрын

    그 나라에 성공이란 단어를 붙일 수 있겠나요 ? 정 그렇다면 폭력 미화

  • @user-hj4vu8sj8g
    @user-hj4vu8sj8g4 күн бұрын

    폭력없는 나라다 태형이란 폭력을 사용 하네

  • @user-cw5rt5kf5l
    @user-cw5rt5kf5l Жыл бұрын

    카지노로 큰 도시(금융중심).결국 중국후광으로 큰 나라일뿐.

  • @MacGulliKit
    @MacGulliKit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공무원도 미국대통령 못지 않게 벌어갑니다. 한탕에 50억씩 벌어갑니다. 박영수, 곽상도 등등. 놈현 640만불등등 드러난 것만해도 엄청납니다.

  • @user-qn9sz3td3p
    @user-qn9sz3td3p2 ай бұрын

    다른 의견의댓글은 ㅇ7ㄹ리지가 않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