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어때] '공정성·객관성' 기준으로 심의중인 방심위, 실제 사례로 징계 내용 뜯어보기 (노지민 & 이재석)

2024년 5월 3일 [김종배의 시선집중]
지금 보고 있는 뉴스, 그 안에 다른 뜻이 있다면?
언론의 숨은 의도까지 파헤쳐 드립니다!
| 출연 : 김종배 시사평론가 & 노지민 미디어오늘 기자 & 이재석 기자
#언론어때 #노지민 #미디어오늘 #이재석 #기자 #방심위 #속기록
#시선집중 #MBC라디오 #김종배의시선집중 #김종배시선집중 #김종배
#MBC라디오 #MBC #시사라디오 #뉴스
| 김종배의 시선집중 홈페이지 |
www.imbc.com/broad/radio/fm/look/

Пікірлер: 30

  • @user-mj2xp1gq1c
    @user-mj2xp1gq1cАй бұрын

    이재석 기자님 ~~ 팬이에요. 화이팅!!!

  • @user-mv2kx1du8m
    @user-mv2kx1du8mАй бұрын

    방심위. 후에 엄정한 법의 심판을 받을것이다

  • @user-zk6hk3yr2y
    @user-zk6hk3yr2yАй бұрын

    관심 가질께요

  • @user-uh5vr3gk7p
    @user-uh5vr3gk7pАй бұрын

    선방위 방심위 관심이 많습니딘 저들을 어떻게 해야 저들에 막나가는 못된 행위를 막을수없나요

  • @user-gm4hi4ce1f
    @user-gm4hi4ce1fАй бұрын

    윤석열 정부의 각 부처도 자기 마음대로... 방심위도 마음대로.. 전부 윤석열에게 잘 보이려고 극보수적이며 편의적으로 하는 천박하고 무식한 방식이다

  • @gu6846
    @gu6846Ай бұрын

    재석기자 반갑소😅

  • @donggi8
    @donggi8Ай бұрын

    mc님 쌓인게 많으셨군요

  • @user-xz4wz1bc2j
    @user-xz4wz1bc2jАй бұрын

    방송위 아무리 이해를 해 줄래도 말이 안되는 결정을 내렸네 이것도 언론 장악의 초석이네 방통위 다 물갈이 갑시다

  • @user-zu2ng4td9r
    @user-zu2ng4td9rАй бұрын

    살다 살다 참

  • @notaekwak8271
    @notaekwak8271Ай бұрын

    윤정권의 공정성과 객관성 논하는 자체가 코미디

  • @user-nj8yv5nx1v
    @user-nj8yv5nx1vАй бұрын

    삼류보다 못한 바보들에게 완장을 잘못 채워주면 일어날 수 있는 예를 잘 보여주는 것같다....🦴🦴🦴

  • @user-tx5yq3nt8e
    @user-tx5yq3nt8eАй бұрын

    다들 누구 닮아 무식해서 그래요. 토론이 뭔지, 공정이 뭔지. . 그런걸 몰라요

  • @user-kr7xq2ik5n
    @user-kr7xq2ik5nАй бұрын

    회의를 하기는 했나? ㅋㅋㅋㅋ 의심이 드네

  • @sang-hosong6833
    @sang-hosong6833Ай бұрын

    방심위 진짜 정권바뀌면 다 털어야된다..아니다..국정감사에서 털어보자..과방위 기대된다..

  • @seijookim
    @seijookimАй бұрын

    한국은 절대 아니고, 평행 세계의 다른 우주 어딘가에서는 이런 방송하면 방심위 의견 청취 안하고 방심위에 대한 문제를 제기 했다고 엄중 처벌 하는 곳이 있을 것 같아요. ㅋㅋㅋㅋ

  • @ymshin6096
    @ymshin6096Ай бұрын

    시민의 관심을 받으려면 기자들이 더 열심히 취재 해야 하는거 아닌가.

  • @user-janinto38
    @user-janinto38Ай бұрын

    방심위 자체가 공정하지 않고 편파적인데 뭔 공정 심의?

  • @ymshin6096
    @ymshin6096Ай бұрын

    짜쳐도 언급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기자님아.

  • @happywithfuwa
    @happywithfuwaАй бұрын

    지 맘대로 지 꼴리는 정권.

  • @joonyoungkim24
    @joonyoungkim24Ай бұрын

    종배님 진짜궁금해서 그러는데요. 무식하게 그냥 우기는 사람에게 그거에 대해 해석하고 해명을 하는게 맞는 답인가요? 그렇게 해명아닌 해명을 하면 그 무식한 사람은 계몽이 되는건가요? 아님 그냥 [악의 평범성] 인가요?

  • @manazashi_
    @manazashi_Ай бұрын

    듣고나서 좀 생각해봤는데, 언론사가 차별화를 가져갈 수 있는 점이라면 1) 신뢰, 2) 정보의 깊이 아닐까 싶습니다. 미국 본토 타격 같은 이상한 오보로 속된(그리고 요즘?)말로 병크를 반복해서 터뜨리지 않는 이상 유튜브에 판을 치는 왜곡되거나 편향된 채널에 밀리진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YTN처럼 썸네일과 제목을 렉카 유튜버 저리가라 할 정도로 지나친 어그로로 불쾌함을 유발하지만 않는다면요. 그럼 정보의 깊이 또는 심층 보도/취재는 요즘 언론들 어떠신 것 같나요? 33:25 저도 이재석 기자님처럼 K-POP 산업이나 문화에 대한 고찰에 대한 기사가 전혀 보이지 않았다는 점이 의아했습니다. 외신에선 툭하면 심기를 불편하게 만드는 기사를 내보내곤 하는데 말이죠. 이런걸 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요즘은 유튜브에서 특정 분야/주제만을 가지고 매우 깊이있게 얘기하는 채널도 많지 않습니까? 유튜브 어딘가에선 분명 이 주제로 많은 영상이 만들어지고 있을 겁니다. 더 넓고 깊은 취재를 할 수 있는 건 특히 방송사라면 이름값과 자본에서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좋을 텐데. 이것이야말로 차별화할 수 있는 부분 아닐까요. 사전투표함 조작의혹 때도 꽤나 실망했습니다. 언론이나 유튜브나 제목이 똑같습니다. '...'이나 '?'으로 끝나는 의구심이 들게 하는 제목. 이게 정말 문제라면 정말 심각한 것 아닙니까? 그런데 왜 다들 바로잡는 것보다 조회수가 우선입니까? 정상적인 절차라면 논란이 커지지 않도록 확신을 줘야 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이런건 솔직히 언론사들 아니면 누가 합니까. 어디 극우는 논란만 키우고 있을 것이고, 일반 시민은 언론사들이 이에 대해 정확한 보도를 하길 기다릴 겁니다. MBC는 PC수첩 같은 심층보도 프로그램이 따로 있긴 하지만 - 이건 매우 주관적입니다만 - 접근성이 떨어지는 느낌입니다. 뉴스 데스크에 흘러나오는 것도 아니고, 하나하나가 길다 보니 정말로 강한 호기심이나 의문이 있지 않은 이상 찾질 않습니다. 주요 프로그램에서도 한두마디 툭툭 던져보는 정도라도 좋으니 강한 인상을 주는 메세지를 던져보면 어떨까요. 그래서 그런지 뉴스에 전혀 관심이 없던 청소년기 때에 가끔 TV에서 본 JTBC 손석희 앵커가 기억에 남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튼. 한 단어로 요약하자면 '무게감' 아닐까 싶습니다. 최근에 이준석이 공직선거법 위반이니 뭐니 하는 말이 유튜브 댓글로 흔히 보였는데, 제 머릿속에 첫번째로 떠오른 생각이 뭔지 아십니까? "총선 끝난지가 언젠데 방송사들 단 한군데도 보도를 안하는데 뭔 헛소리임?" 모든 언론사 그리고 언론인들은 그들이 가지는 네임벨류를 잊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 @user-ms5hb2uh7q
    @user-ms5hb2uh7qАй бұрын

    속기록이 없다고? 웃기고 있네.없앤거 아니냐?

  • @chin-star-moon
    @chin-star-moonАй бұрын

    이재석씨!!! 평소 기레기들이 한 행동을 생각해 보세요. 무관심하다고 뭐라 할 시간에 자기 정화 좀 하세요. 언론이 이지경이 된데 정권만 탓할 수 있나요? 기레기도 만만하지 않을 정도로 한 몫을 했다고 생각하지 못하면 희망이 없는 겁니다. 자기정화 좀 하세요.

  • @Civilization_h
    @Civilization_hАй бұрын

    18:20 반론하러간 MBC담당자는 거기 가서 그런말을 못하냐?? 그럼 거기 방심위나 선방위는 좌우의 의견을 듣고 토론을 하고 이런 심의결과를 내신거냐고 따져 물었어야징?? 왜 굽히고 겨들어가서 머라나ㅜ조아리고 오냐??

  • @user-wr6dm5vc8y
    @user-wr6dm5vc8yАй бұрын

    없다고 뭔 개소리여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