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구조와 작용으로 이해하는 발성(1)

Музыка

맑은 고음과 소리를 내기위한 발성훈련입니다. 성악레슨, 벨칸토창법, 자연스러운 호흡, 마스께라 사용방법에 대한 강의입니다.

Пікірлер: 80

  • @user-ry7zr9up4n
    @user-ry7zr9up4n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교수님 ❤ 주님이 저에게 찬양 하길 원하시는데 부족한 내 소리를 교정 하도록 인도하셨네요~~ 너무너무 고마워요 😄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Ай бұрын

    도움되셨다니 감사한 일입니다! 2편도 봐보세요..더 쉽게 이해하실겁니다! 더욱 기쁘게 찬양하시길 바랍니다! 교수는 아닙니다~

  • @user-gr7ev6sb3v
    @user-gr7ev6sb3vАй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건강도 잘 챙기셔서 오랫동안 영상으로부터 배우고싶습니다 하나님께서 아름다운 선물 주셔서 감사 🙏합니다 🙏🙏🙏💕💕✍️✍️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Ай бұрын

    선물로 받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aa-dy4sk
    @aa-dy4sk5 ай бұрын

    정말 잘 가르치신다.. 정말 정말 정말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5 ай бұрын

    정말 정말 정말요? ㅎㅎ 잘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xt7kw1yu4w
    @user-xt7kw1yu4w5 ай бұрын

    2024년에는 더 자주자주 뵈요. ♡ 탁월한 레슨 덕분에 학습자분 실력이 쑥쑥 ♡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5 ай бұрын

    새해 늘 평안하시길 바랍니다! 기분 좋은 응원 감사합니다!!

  • @osaka_mama_caron
    @osaka_mama_caron5 ай бұрын

    자음 정확히 발음하기!! 감사합니다. ❤❤❤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5 ай бұрын

    요점정리100점!

  • @user-ow9id4qv5x
    @user-ow9id4qv5x29 күн бұрын

    소리반, 공기반이 언어에서 이미 완성되어있다! 와아아아! 도대체 이런 설명은 다른 쌤들은 왜 안해주는걸까요?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28 күн бұрын

    언어학을 공부해야만 알수 있으니까요!

  • @jeefamilyjourney2303
    @jeefamilyjourney23035 ай бұрын

    선생님 영상보고 있으면 자꾸 노래를 부르고 싶어져요. 감사합니다♥️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5 ай бұрын

    응원합니다! !

  • @vocal_dreamer
    @vocal_dreamer28 күн бұрын

    자음이 정확하다는 얘기는 오랜 친구랑 편하게 만나서 이야기하는 기분으로 발음하게 된다는 뜻이다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28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말하듯 노래하라는 말이 있죠!

  • @user-qw2hb9kw9s
    @user-qw2hb9kw9s5 ай бұрын

    지도해주시는 선생님 감사합니다 주변정리가 되는데로 뵈러 가겠습니다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5 ай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 @user-pj5qv2xq5t
    @user-pj5qv2xq5t5 ай бұрын

    선생님 저는 찬양을 하는 것 넘넘좋아합니다. 그런데 목을 잡고 한 마디도 못 하는 제가 선생님의 동영상 하나하나가 제 마음에 오롯이 스며들어 할 수 있겠다는 의욕이 생기고 실지로 목소리가 나와서 넘넘 행복합니다.저에게는 구세주이십니다 설명을 어쩜 이렇게 잘 하실까요? 귀에쏙쏙들어옵니다 특별히 이번 레슨이 제게 주신 레슨입니다. 행복합니다.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5 ай бұрын

    잘 들어주시고 도움도 되셨다니 감사됩니다! 기쁨으로 찬양하시길 바랍니다~

  • @suejinlee9387
    @suejinlee93873 ай бұрын

    작은 시골교회 성가대원입니다. 연세드신 분들이 대부분이라 자의반,타의반 성가대에 서게 되었는데 최대한 보탬이되는 소리를 내고 싶어서 검색하다가 선생님 교육 영상을 보게 되었는데 많이 도움이 되고 있어요^^ 복식호흡에 대해 부담이 많았어요.. 배가 부풀게 호흡을 들이마시라고 해서 그렇게 하면 오히려 숨이 턱 막히더라구요.. ㅜ 제가 배힘이 없어서 그런가 싶어 윗몸일으키기까지 했는데 편안한 호흡으로 노래하니 더 잘되는거 같습니다♡ 부활절 칸타타 준비중인데 열심히 해볼께요^^ 감사합니다❤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3 ай бұрын

    발성교육이 사실에 기반한 원리교육이 바르게 되어야하고, 그다음에 감각적인 부분이 더해지면 좋은데, 감각교육에 치우치다보니 사실적인 면에서 상당부분 오류가 많습니다.. 태어날때부터 우리는 호흡을 해왔기때문에 그대로 자연스럽게 하시면 됩니다^^ 정성스런글 감사합니다^^

  • @user-te8cg2lo3e
    @user-te8cg2lo3e5 ай бұрын

    단 하나뿐인 최고의 선생님!! 사랑하고 존경합니다.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5 ай бұрын

    단 하나뿐인! 너무 감동입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vocal_dreamer
    @vocal_dreamer28 күн бұрын

    자음은 소리의 모양, 모음은 호흡의 모양이다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28 күн бұрын

    네!ㅎㅎ

  • @ramixxcho9907
    @ramixxcho99075 ай бұрын

    소리에 대한 근본을 정확히 알려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어려운 소리에 대한 부분을 너무 잘 가르쳐주셔서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5 ай бұрын

    정성이 느껴지는글,..그리고 정직한 마음이 느껴지는글., 감사합니다! 저음 가수라면 누구나 이 영상을 보고 한번쯤 고민하게 되는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악기소리에 대해 생각해보면., , 세상의 모든악기는 악기 고유의 소리를 냅니다. 음정에 관계없이 피아노는 피아노소리를 내고 바이올린은 바이올린 소리를 냅니다..모든 악기는 본연의 소리를 내지요.. 음정이 낮아진다고 해서 바이올린이 첼로소리를 내지는 않지요... 성악은...발성에 한해서 말을한다면 나만의 고유한 음성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즉 말하는 소리로 노래도 해야한다는 것이지요.., 우리는 누구나 유아기때 노래를 듣고 따라 했을뿐입니다.. 발성법을 배우지 않고 단지 듣고 따라했을뿐이지요... 나만의 목소리로 동요나 가요를 자연스럽게 불러오다가 클래식성악에 입문하면서 우리는 우리의 소리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소리를 내는 방법을 배우게 되면서 내소리를 잃어버리게 됩니다.. 저음 가수가 특히 목소리의 개성을 잃어버리기가 쉽지요.. 무게감 있는 소리를 내야한다는 일종의 강박이 있기도 하고요., 그러나 훈련이 잘된 저음가수들은 분명이 성대를 누르는 무게감이 아닌 본인만의 소리에 공명강을 잘 이용하여 무게감 있으면서도 피치가 살아있는 생동감있는 소리로 노래합니다., 마티아스 괴르네나 토마스바우어, 크리스티안 게르하허...이분들은 저음가수 이긴 하나 정확한 피치에 가깝게 노래하는 분들이지요.., 나만의 목소리를 찾는것이 우선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 @ramixxcho9907

    @ramixxcho9907

    5 ай бұрын

    @@user-cj5px4kg5s 선생님께서는 발성에 대한 이해가 굉장히 깊으시고 정확하신거 같아요. 너무 이해가 잘 되는 비유여서 한방에 이해했습니다. 선생님 강의를 들으면서 제가 성대 스테미너가 왜이렇게 짧았는지에 대해 이해했습니다. 저는 성대를 눌러서 과도한 스트레스를 주는 발성을 했었습니다. 진심어린 조언과 가르침 정말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영상으로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5 ай бұрын

    잘 받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ug5wp6yv3m
    @user-ug5wp6yv3m4 ай бұрын

    이해가 됩니다 넘 기뻐요

  • @user-gs7zh8qg4j
    @user-gs7zh8qg4j3 ай бұрын

    키큰 자음 납작한자음... 경구개앞니 뒤쪽 호흡으로 때릴려고 연습해봐야겠어요 잡지말고 내보내보겠습니다, 에너지를 입으로 끌고와라 이따가가 연습하면 어떻게 소리가 나올지 너무 궁금하네용 감사합니당❤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3 ай бұрын

    납작하고 가볍고 고운 소리가 날겁니다! ㅎㅎ

  • @tv.8851
    @tv.88514 ай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 👍 👍 👍.

  • @user-rz7lr5po1e
    @user-rz7lr5po1e2 ай бұрын

    선생님 가르침 감사합니다. 그럼 노래를 부를때는 몸이 충분히 힘들도록 해야한다는 것이지요. 사실 몸이 편하게 노래해야한다는 관념에 사로잡혀서 부드럽고 우아하게만 부르려고 하는 버릇이 있었거든요. 그러니 뭔가 소리에 힘이 없고 약하다는 평을 많이 받아요.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2 ай бұрын

    힘들도록 해야 한다는건 아니구요...소리를 제대로 냈을때 그만큼 에너지가 소비되지요..멀리있는 사람부를때 소리를 크게 내면 몸에도 힘이 들어오게 됩니다.. 성악가의 소리는 흐름이 우아할뿐 굉장 쎈소리입니다..

  • @user-pj5qv2xq5t
    @user-pj5qv2xq5t5 ай бұрын

    저는 교수님 동영상만 손꼽아 기다립니다.득템을 무료로 하게 되다니 꿈만 같습니다.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5 ай бұрын

    교수는 아닙니다!

  • @user-cd5dv1lt3d
    @user-cd5dv1lt3d5 ай бұрын

    도움이되는 좋은 티칭 감사합니다😊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5 ай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 @bless_aria
    @bless_aria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5 ай бұрын

    저도 감사합니다

  • @user-jj3vl8kt4w
    @user-jj3vl8kt4w5 ай бұрын

    1.소리를 목에 심지말고 2.발음을 정확히 하면 소리의작용 호흡의 작용이 언어를 통해 완성 3.고음에서의 납작한 자음 염두하고 연습합니다 고맙습니다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5 ай бұрын

    잘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Fortheglorythrsuffering
    @Fortheglorythrsuffering5 ай бұрын

    소리를 입밖으로 희수야~ 쉽게 잘 갈쳐주시네요. 질문은 고음때 키작은 발음으로 하라 하셨는데, 그러면 입을 상하아닌 가로로 벌리고 부른라는 말씀인지요?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5 ай бұрын

    네! 상하로 되면 목에 소리를 심게되지요!

  • @vocal_dreamer
    @vocal_dreamer3 ай бұрын

    숨을 쉬면서 납작한 자음을 준비해야 한다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3 ай бұрын

    네! 소리가 날렵해집니다!

  • @user-nl1eu8zr1h
    @user-nl1eu8zr1h5 ай бұрын

    선생님 안녕하세요? 성악을 배운지는 얼마 안되었는데 우연히 유튜브를 보다가 선생님 강의를 듣게 되었네요. 보통 우리가 노래를 할때 입을 아래위로 벌리라고 하는데 벨칸토 발성( 벨칸토 발성은 소리를 얼굴에다 붙히라고들 하는데 ) 으로, 그리고 선생님 강의대로 군더더기를 뺀 목소리를 내려면 입이 옆으로 벌어지는데 그건 괜찮은건가요? ~~^^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5 ай бұрын

    입이 옆으로 벌어지는게 좋습니다! 웃는표정에서 밝은소리가, 어두운 표정에서 어두운소리가 납니다!

  • @user-nl1eu8zr1h

    @user-nl1eu8zr1h

    5 ай бұрын

    @@user-cj5px4kg5s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 @vocal_dreamer
    @vocal_dreamer28 күн бұрын

    납작한 가사라 함은 이 발음과 비슷하게 희수야 하듯이 . .. 입을 너무 크게 벌리면 납작하지 않음

  • @user-pn1ys6tx3w
    @user-pn1ys6tx3w2 күн бұрын

    입으로 들어온 소리를 써라! ! 이렇게 쉬운 가르침이라니😮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12 сағат бұрын

    네! 목으로 노래하는분들이 많지요!

  • @vocal_dreamer
    @vocal_dreamer28 күн бұрын

    호흡의 의무라고 하면 이 자음을 쎄게 불어주는 것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28 күн бұрын

    이게 가장 핵심이예요!

  • @vocal_dreamer

    @vocal_dreamer

    27 күн бұрын

    @@user-cj5px4kg5s 오 감사합니다

  • @user-pn1ys6tx3w
    @user-pn1ys6tx3w2 күн бұрын

    언어에서 이미 전달력을 갖추고 있다! 유레카!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12 сағат бұрын

    말할뿐! 노래할뿐! ㅎㅎㅎ~

  • @user-qc7tz8qy5o
    @user-qc7tz8qy5o4 ай бұрын

    선생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성악 발성강의 여기저기 보다가 보게되어 조금씩 따라하고있습니다 궁금하게있습니다 저는 고음낼때 소리가 떨리게 되는데 요 아직은 힘도 약하구요 좋아질수있는 연습방법이 있을까요?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4 ай бұрын

    비브라토가 생기는 원인은 아랫배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거나, 호흡이 모자라거나, 내 성량의 한계를 초과 했거나, 과도하게 엑센트로 첫소리를 시작하면 비브라토가 생깁니다. 내 성량의 80%만 쓴다 생각하고 소리에 흐름을 주면서 연습하면 개선될 수 있습니다..

  • @user-qc7tz8qy5o

    @user-qc7tz8qy5o

    4 ай бұрын

    답주셔서 감사합니다 연습하고 궁금한게생기면 또 글 올리겠습니다

  • @user-pn1ys6tx3w

    @user-pn1ys6tx3w

    2 күн бұрын

    와~ 비브라토 원인도 이렇게나 많은줄 몰랐어요! 선생님 답글만 봐도 공부됩니다! 내공이 대단하신 선생님! 존경합니다❤❤❤ ​@@user-cj5px4kg5s

  • @user-nz6re2vl7l
    @user-nz6re2vl7l5 ай бұрын

    1:42 이 부분은 코로도 호흡을 조금 보내라는 건가요 아니면 에너지가 많이 들어도 입으로만 보내라는 건가요? 15:14 여기선 코로 보내지 말라는 거 같은데 이해를 못했습니다 ㅠㅠ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5 ай бұрын

    코로 호흡이 들어가면 콧소리가 납니다.. 비강울림과 콧소리는 별개의 문제지요...가사를 발음할수 있는 입으로 들어와야합니다..

  • @user-nz6re2vl7l

    @user-nz6re2vl7l

    5 ай бұрын

    @@user-cj5px4kg5s 호흡이 경구개를 칠 때 비강도 같이 울리는 느낌이 드는데 이 느낌이 맞나요?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5 ай бұрын

    네 맞습니다! 비강울림은 느껴지는것 뿐입니다!

  • @user-pn1ys6tx3w

    @user-pn1ys6tx3w

    2 күн бұрын

    ​@@user-cj5px4kg5s이점이 정말 중요한것 같아요! 간접울림! 감사합니다!

  • @user-sz3nc1pz2r
    @user-sz3nc1pz2r2 ай бұрын

    선생님 레슨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2 ай бұрын

    pk1923@daum.net 연락주세요^^

  • @yonsookyoo51
    @yonsookyoo515 ай бұрын

    몸에 소리를 심지 않은려면 어떻해 해야 할까요..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5 ай бұрын

    입에들어온 소리를 써야하죠! 영상을 다시한번 봐보세요

  • @user-vh7ob5ho7m
    @user-vh7ob5ho7m5 ай бұрын

    경구개와 연구개가 만나는 지점 위로 마스깨라가 서 있는 것 같습니다 마스깨라는 인중 위, 양쪽 광대뼈 뒤 아래, 미간 뒤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 네개 마쓰깨라를 피리 같은 관이 중간에 놓이며 연결하고 있습니다 마스깨라 뒤로 호흡의 길이 따라 다니고 있습니다 인두 앞에 세로로 호흡의 기공이 있고, 그 기공 앞에 마스깨라가 놓있습니다 그리고 마스깨라 앞에 가성 길이 인중에서 미간까지 놓여있습니다 이것이 입천정 위에 있어 보이지 않을 뿐입니다 결국은 음역대를 넓히기 위해서 막힌 호흡의 길을 뚫어내고, 마스깨라를 각성시켜 악기로 만드는 노력이 필요한가 봅니다 호흡의 길을 뚫는 과정에서 제일 어려운 부분은 광대뼈 뒤로부터 미간 뒤로 놓인 호흡의 길을 뚫어내는 것입니다 이유는 호흡 길 앞에 마스깨라가 있어 마스깨라를 울리면 편안하게 소리를 낼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같이 음악은 자신속에 있는 호흡의 길을 찾아 뚫어내는 과정이고, 마스깨라를 각성시키는 과정으로 보입니다 그런 면에서 교수님의 강의는 중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5 ай бұрын

    잘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 @vocal_dreamer
    @vocal_dreamer28 күн бұрын

    받침이 있는 자음은 소리가 멈춘다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28 күн бұрын

    정확한 표현은 받침은 소리를 마친다..예요^^

  • @vocal_dreamer
    @vocal_dreamer28 күн бұрын

    이미 언어에서 공기반 소리반이다 자음, 모음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28 күн бұрын

    네! 그래서 음정맞게 가사를 충실히 발음하는것이 발전의 지름길입니다!

  • @vocal_dreamer
    @vocal_dreamer28 күн бұрын

    소리가 작은 사람들은 자음의 발음이 불분명해서 발생한 일이다. !!

  • @user-cj5px4kg5s

    @user-cj5px4kg5s

    28 күн бұрын

    성격이 외향적인 분들에게 장점이 되지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