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Ойын-сауық

편집자는 덕질 중! 본격 편집자 덕업일치 자랑하는 영상 모음집🎬 #어쩌다어른
▶티빙에서 스트리밍 : tving.onelink.me/xHqC/30a78d6f
*회차정보: 72,73회
we’re :DIGGLE family

Пікірлер: 949

  • @user-ld2vz9dg7g
    @user-ld2vz9dg7g Жыл бұрын

    최고의 강의다. 듣는 내내 내가 힘든 게 내 탓이 아니구나. 나만 못나서 그런게 아니구나 하고...눈물나네. 이제껏 함들었던 내 삶이, 실패자라고 자책한 나를 위로한다.

  • @31246Lk

    @31246Lk

    Жыл бұрын

    화이팅

  • @user-jy1pg6qo8r

    @user-jy1pg6qo8r

    Жыл бұрын

    같이 힘내요,우리!

  • @layoungkim4606

    @layoungkim4606

    10 ай бұрын

    이민갑시다

  • @user-nl1vq6qt7p

    @user-nl1vq6qt7p

    7 ай бұрын

    호주 추천

  • @soojalee

    @soojalee

    4 күн бұрын

    호스트가 한국사회가 행동하는약행을 거열하니 동감한다고 제미로 받아들이고 남의 일 처럼 웃는다... 호스트는 비판만 하고 사회기 점점 나빠지는걸 어떻게 구체적으로 고칠가를 강조 못 한다 직장에서 팀장들의 행동들이 술판 1차, 2 3..서민층에서부터 한국사회약행을 키운다. 가정마다 주부들이 고3 엄마들 이 주위 에 유행을 무조건 따르고도 실패한다 50년전네 없던 학교 입학 재수, 2 3 차가 유행하니 건설적인 국가 국민들이 병들었다 . .

  • @odinban2146
    @odinban2146 Жыл бұрын

    저도 무조건적인 공감과 무지성의 분노는 싫어하지만 교수님의 말씀은 너무 와닿네요. 특히 큰아버지라고 생각한다는 개념.. 그건 우리가 강요한게 아니고 사회와 나라에서 예전부터 그렇게 시켜놓고 막상 믿고 가면 "우린 남이잖아" 이런 개념이라..

  • @user-jt6fo1dw3b

    @user-jt6fo1dw3b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이 이해하기 좋게 한국인이 생각 못하는 점을 뚫어줌. 한국의 "공감, 강요, 불신" 정서와 딱 맞는 말투로 그것을 비판중. 이 교수분이 제일 지능적이게 한국을 비판 잘하시는거 같음.

  • @debbyoh4220
    @debbyoh4220 Жыл бұрын

    진즉 이렇게 말하는 석학들이 나왔어야 했고, 우리 젊은이들에게 부담 주지 않으며 자기만의 길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 주었어야 했습니다. 그방향이 아니다!!! 담대하게 말 해 줄 수 있는 어른들이 아쉽네요. 현실을 직시-정부에서도 아이들의 진로를 쉽게 열어 줄 수 있는 길을 찾아 줘야 합니다.

  • @khlee7922

    @khlee7922

    4 ай бұрын

    이렇게 말하는 사람이 없어서가 아닙니다. 이렇게 말하면 세상물정 모른다고 외면 당했죠. 대학은 꼭 가야한다고.. 이제야 대중이 감을 잡기 시작한거죠.

  • @yg3272
    @yg3272 Жыл бұрын

    이분 농담스럽게 말하면서 핵심을 꿰뚫고 있으시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제 자신도 뒤돌아보며 명상을 같이하니까 중간에 펑펑 울었습니다

  • @user-ky8zu9ts7w
    @user-ky8zu9ts7w Жыл бұрын

    요즘취직하기 힘든 세상에 쎄빠지게공부하고 쎄빠지게 돈벌어서 학원비 교육비 투자해서 자식들 대학에보넬 필요가없다고 생각한다 그돈으로 장사를시키던지 기술을배운것이 현실적인 이익 이라고생각한다 잘살지도 못하면서 그잘난 체면때문에 더이상 부모나 자식이 고생할 필요없다 !

  • @hanny2110

    @hanny2110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공부 관심없는 자식 사교육 한번도 안시키고 대신 나중에 자립할때 도움줄려고 예금을 했어요 하지만 현실적으로 학원 하나 안보내는 부모를 방치하는 부모로 보는 이 사회도 문제있다고 생각합니다

  • @bhhoneybee2254

    @bhhoneybee2254

    Жыл бұрын

    @후사경 오히려 부모이기에 자식의 미래를 현실적으로 고민해야 한다 생각합니다

  • @user-ok4qu7mi9m

    @user-ok4qu7mi9m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애들이 대학가고 싶어해요. 기술배우면 돈을 훨씬 잘벌수 있는데 공부도 안하면서 싫다고 하더라구요. 공부는 하기 싫고 친구들 대학 가니 지도 가고싶고 부모들은 공부포기한 자식이 기술배우면 좋겠는데 이름도 들어본적 없는 대학을 간다하니 등록금이 아깝고ㅠ 요즘은 그렇습니다. 방정식 하나 못푸는 아이들도 기술배우기 싫고 대학간다는 세상입니다.

  • @user_fuckinghandle

    @user_fuckinghandle

    Жыл бұрын

    @@user-ok4qu7mi9m 애초에 기술배울려면 기초수학은 할줄알아야해서 공부량은 별 차이없음

  • @user-nd7zd7cq5c

    @user-nd7zd7cq5c

    Жыл бұрын

    @@elipias0 그럼 님은 공부시키셈 잘따라오게 부모가 공부만 시키는게 아니라 어떻게 잘 서포터할지도 부모도 공부해야겠지

  • @sandyour1442
    @sandyour1442 Жыл бұрын

    내가 너무 노력을 많이했나? 여기서 울컥합니다 ㅜㅜ 국민들이 이렇게 노력하는데 ㅜㅜ 가난은 대물림되는게 말이죠 ㅜㅜ

  • @SoSoCheasedoria

    @SoSoCheasedoria

    10 ай бұрын

    체계적인 절차설계를 위한 성향에 맞는 방향과 그 방향의 도착점에 의한 결과적 확신을 위해선 뚜렷한 자아정체성만이 내 인생을 남들로하여금 드러낼 수 있는 방법이고 내 인생을 남들로하여금 다양성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임 그 누군가는 이런 오래된 관념과 관습을 바꾸어야 할 때임

  • @user-gu8ne1et5j

    @user-gu8ne1et5j

    10 ай бұрын

    일찌감치 방향전환이 필요한거죠 ㅜㅜ

  • @user-ii7yj7dx6s
    @user-ii7yj7dx6s8 ай бұрын

    내용 왜이리 공감되냐.. 한국사회가 병들고 기울어져 가는 원인이 여기에 있다

  • @shaunsh33p
    @shaunsh33p Жыл бұрын

    강의 최고 효과음 무지방해

  • @user-we1eh7xi3f
    @user-we1eh7xi3f Жыл бұрын

    범죄자를 숨겨주는 일은 가족의 사랑이 아니다. 친근감가는 호칭이 좋지만 사이가 껄끄러워지거나 도움을 줘야 할 상황이 오면 금방 달라지는 우리들!

  • @user-vc1ri8no3p
    @user-vc1ri8no3p Жыл бұрын

    저도 아이들을 위해서 수업하는 한사람으로써 부모님들께 꼭 전하고있는 내용입니다. 아무리 현실적으로 말을해도 그때뿐~~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교육하고 있는 모든분들 냉정하게 평가해서 조언해줘야하는데 뭐든지 다 잘한다고하고 가능성있다고 전달합니다. 그렇지 않은 저는 욕을 먹습니다. 아이들이 행복하게 자라고 죽을때까지 행복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정말로 모든 사람이 정신차리기를 바랍니다

  • @user-fs8kf5ju8s
    @user-fs8kf5ju8s Жыл бұрын

    자꾸 부모 잘못 아니라고 하는데 부모잘못 맞다. 잘 버는 사람들의 마인드를 배우는게 현명하고 도전정신도 갖춰야 한다고 본다

  • @user-kb5gj2yo7s
    @user-kb5gj2yo7s Жыл бұрын

    최고의 명강입니다. 이분을 왜 이제서야 알게 되엇는지 너무 안타까울 정도 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user-mm5ok1eo3s

    @user-mm5ok1eo3s

    Жыл бұрын

    맛점해

  • @eunjinchoi4419
    @eunjinchoi4419 Жыл бұрын

    허태균 교수님의 강의는 최고의 강의 입니다! 자주좀 강의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

  • @16zkskek43
    @16zkskek43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사교육이 무너져야하고 대학을 더 줄여서 갈사람만 가게 하고 기술학교등을 더 우대해야함 이사였던 친구가 50초에 재계약 안되어 잘린후 나와보니 평상시 흉보던 노가다가 대단하다고 느꼈다고 그들은 체력이 문제지 연령이 상관없고 기술자는 대우받고 일하는데 외국대학 다니며 배우는데 집한채값쓴 자신은 갈데 갈대가 없다고 한탄했죠 자식한테 투자는 좋은데 방향성이 너무 한곳이라 문제내요

  • @user-op4rc3en5f

    @user-op4rc3en5f

    Жыл бұрын

    귀촌한지 10년째인데 노가다 님들이 대단하다고 느낍니다 ㅎ 70대도 건강하게 현장에서 일하시는데 경력과 노련함에 다들 대우 해줍니다 부럽습니다 ㅎ

  • @tarra9893

    @tarra9893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알 수 없는 대학들 없애고 제대로된 대학 키워주고 반값 등록금 없애야합니다. 반값 등록금 때문에 투입되는 연구비나 연봉이 적어지니 대학에 가려는 고급 인력이 없어서 교육의 질도 떨어지고 있습니다. 대학도 실제로 공부하려는 사람들만 가서 제대로 된 교육이 되게 해야 합니다. 자꾸 없는 사람들 기준에 맞춰서 하향 평준화 시키는 건 답이 아닙니다.

  • @rich818

    @rich818

    Жыл бұрын

    대학교육이 있어서 it 강국이 된겁니다.

  • @e.5984

    @e.5984

    Жыл бұрын

    지식만으로 먹고 살 수 있는 사람은 어딜가든 극 소수죠.

  • @uyunia

    @uyunia

    Жыл бұрын

    @@rich818 예 ? ^^ ;;;

  • @user-oq6tt2do1k
    @user-oq6tt2do1k Жыл бұрын

    들을수록 빠져드는 참 명강의십니다 자식사랑 애 부모입장에서 콕짚어주어 지난날을 뒤돌아보니 내얘기 나를보는것 같네요 한국인의 인성 심리 인간미 관계 많은 지식을 얻어갑니다 음악외 잡음이 많아 집중에 방해 분위기 산만해 옥의 티네요

  • @user-uv9hv4cy4j
    @user-uv9hv4cy4j Жыл бұрын

    한국사회의 실업. 결혼. 저출산. 빈부갈등. 남녀갈등. 이념갈등 등 모든문제의 근원은 높은 대학진학률과 교육문제때문이라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교수님의 분석이 가장 체계적이고 설득력이 있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특히 노인빈곤과 대졸자의 실업문제로 야기되는 빈곤문제는 매우 공감됩니다. 좋은 영감을 얻었습니다

  • @user-ig8tm4xm5u

    @user-ig8tm4xm5u

    Жыл бұрын

    0온야0ㅇ06동ㅇ

  • @user-eu9ic6ie4l

    @user-eu9ic6ie4l

    Жыл бұрын

    저출산도 포함입니다

  • @a3215955

    @a3215955

    Жыл бұрын

    ㅣㅣㅣ11ㅣㅣㅣ

  • @a3215955

    @a3215955

    Жыл бұрын

    ㅣㅣㅣ11ㅣㅣㅣ

  • @a3215955

    @a3215955

    Жыл бұрын

    ㅣㅣㅣ11ㅣㅣㅣ

  • @Jesus-freedom
    @Jesus-freedom Жыл бұрын

    저는 자녀들에게 열심히 살라고 가르치지 않고 "즐겁게 행복하게 살라!"고 가르칩니다. 그런데 자녀들이 스스로 열심히 사네요^^

  • @shpark4768
    @shpark4768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이 강의는 전국민이 다 봐야될 명강의입니다. 아무도 이 주제에 대해서 얘기한 사람이 없어요.

  • @user-wq4yt2ym7r

    @user-wq4yt2ym7r

    Жыл бұрын

    운동,예체능은 재능없으면 금방그만두는데 공부만은그러질않음..노력하면된다고만그러고..공부도재능입니다.애들성적이별로다?부모들 교과성적표떼서 같이보는거추천합니다.아니필수로 다떼서같이보세요.생전10등도못해본 어머니들이 꼭 내자식은 5등1등강요함.

  • @Hkhkonj

    @Hkhkonj

    Жыл бұрын

    @@user-wq4yt2ym7r 맞음 ㅋㅋㅋㅋ 이미 유전자부터 공부에 타고난애들이 있는데,, 개똥같은 유전자 물려주고 적성도 안맞는 공부 억지로 시킨다고 되겠냐고

  • @baeroy5472

    @baeroy5472

    Жыл бұрын

    찬성

  • @Awesome-im1sf

    @Awesome-im1sf

    Жыл бұрын

    ㄹㅇ 모든 부모들.예비부모들이 봐야될 영상

  • @Gas_Station.

    @Gas_Station.

    Жыл бұрын

    ​@@Hkhkonjㄹㅇㅋㅋ

  • @winnidiary3510
    @winnidiary3510 Жыл бұрын

    상담원은 고객보다 먼저 일방적으로 끊으면 안되요 그래서 못 끊어요..

  • @BeautifulWorld-jl4po
    @BeautifulWorld-jl4po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첨 뵙는데 강의 너무 현실적 입니다. 깨닫는 시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breed5512
    @breed5512 Жыл бұрын

    너무나 유익한 강연 잘 듣고 있습니다~감사해요

  • @news3590
    @news3590 Жыл бұрын

    '나(개인)'보다 우리(공동체)' 중심. 많이 배웠습니다. 감사드립니다, 허태균 교수님.

  • @jiwooheres3162
    @jiwooheres3162 Жыл бұрын

    남을밟고 올라서는게 행복이고 삶의 목표로 가르치는 교육이 문제라고 봅니다.

  • @user-lt4yo9pe1s

    @user-lt4yo9pe1s

    Жыл бұрын

    글쎄요? 남을밢고 죽여서라도 올라 가야삽니다 사시 재수를10년한분도 5천만 국민을 지좃만큼 도 여기지 않아도 떠 받들잔아요 공부계속하고 기회되면 밟고 올라가세요

  • @user-cj9bs8jx4d

    @user-cj9bs8jx4d

    Жыл бұрын

    전교조가 그런건가ㅡㅡ

  • @kyungtaeklee5811

    @kyungtaeklee5811

    Жыл бұрын

    교육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시스템의 문제입니다. 단기간의 급격한 성장을 할려면 적은 자원으로 효율적으로 쓸려고 돈 되는 사업만 육성을 해서 그에 관련 직업만 돈을 벌 수 있고 그 이외 직업은 인정과 돈을 벌기 힘듭니다. 그에 관한 사회시스템에 사람들은 맞추기 시작한 것이고 적은 티어의 사람들을 뽑는 한정된 산업에 취직을 할려면 높은 스펙, 외모, 사회성 등 여러가지를 보게 된 것이죠.

  • @k90kiss

    @k90kiss

    Жыл бұрын

    교육은 그런적이 없는데…

  • @leverkusen8373

    @leverkusen8373

    Жыл бұрын

    @@k90kiss 사실상 상대평가가 그걸 노린거임

  • @annpark9213
    @annpark9213 Жыл бұрын

    이해하기 쉬운 명확한 설명, 재미있는 강의 감사합니다.

  • @user-jr5ty1po8o
    @user-jr5ty1po8o Жыл бұрын

    명강의 잘듣고 느낌이 크게 울립니다 재미도 있고 현실감 넘치는 명강의입니다

  • @hbkim8195
    @hbkim8195 Жыл бұрын

    외국인이 이해하기 어렵다는 한국인의 '정'이 바로 타인을 가족처럼 여기는 감정이다.

  • @user-rn1mu6oc4o

    @user-rn1mu6oc4o

    Жыл бұрын

    그런건 아프리카, 원주민도 있는것

  • @user-bl4wo2nr2h

    @user-bl4wo2nr2h

    Жыл бұрын

    옛날부터 그렇게 살아왔으니까... 지금은 개인주의성향이 강하지만

  • @user-kc4tf5df3c

    @user-kc4tf5df3c

    Жыл бұрын

    @@hbkim8195 "외국인이 이해하기 어렵다" 라는 말 자체에 모순이 있는것 아닙니까

  • @user-pj8kx1fw5o

    @user-pj8kx1fw5o

    Жыл бұрын

    @@hbkim8195 님 댓글에 좋아요가 더 많다는것만 집중하세요. 우리나라 사람들이 원래 태클을 위한 태클을 거는 사람들이 많아요. 님은 교수님이 말씀하신 내용을 되짚었을 뿐인데. 맘에 안들면 엄지 뒤집어진거나 걍 꾹 누르고 나가면 될것을.. 교수님 강의 재밌게 잘 보고나서 댓글 읽다가 저도 좋아요나 꾹 누르고 나가려다가 괜히 한마디 남겨봅니다.ㅎㅎ

  • @takumi5

    @takumi5

    Жыл бұрын

    정이라는 단어자체가 애매모호합니다.결국에는 남인데 그정이라는것때문에 피해를 보는 사람이 많지요.

  • @park3097
    @park30975 ай бұрын

    진짜 90년대 생은 중간층이 다 망한 듯....애매하게 대학졸업해서 취업난 겪고 현타옴. 취업한 애들은 좀 낫지... 그것도 참 소수인것 같음. 성공할 사람이 이렇게 적을지 알았다면 공부 안 했을 듯. 교수님이 정말 정확한 답을 찝어주심.

  • @CreativeHoudini

    @CreativeHoudini

    3 ай бұрын

    ㅠㅠ

  • @donglan9599

    @donglan9599

    23 күн бұрын

    85년 이후 부터..무너진거같네요ㅠ...사는게 너무힘들고 청년 만34세 혜택도...못받고

  • @user-oo7um9bz6x

    @user-oo7um9bz6x

    18 күн бұрын

    ​@@CreativeHoudiniㅂ7ㅣ비1빕1ㄱ1피빕7ㅣ비비비삐피피비1빕7빕1비삡1ㅂ1핍111ㅂ11ㅃ1비ㅃ1비1비비ㅣ비비ㅣㅣ피ㅃ1비빕1ㅣㅣㅂ비ㅣ비비비ㅣ1비ㅣ피비삐피비피비피비빕1비비11비피ㅣ1111ㅣ비11ㅣㅣ1111ㅣㅣㅣㅣㅣ비ㅣㅣㅣㅣㅣㅣㅣ1ㅣㅣㅣㅣㅣㅣ1비비ㅣ피ㅣㅣㅣㅣㅣㅣ비ㅣㅣㅣ비ㅣ비ㅣ비빕1비ㅣㅣㅣ비비비비비ㅣ비피피ㅣ비피비피비ㅣ비비비비비비비비피비비비ㅣ피비비피ㅣ비비ㅣ피ㅣㅣㅣㅂ1비ㅣ비ㅣㅣㅣ비ㅣ비ㅣㅣㅣㅣㅣㅣㅣ1비ㅣ비ㅣㅣㅣㅂ1비ㅣㅂ1ㅣㅣ비ㅣ비피ㅣㅍ1비ㅣ비ㅣ비ㅣ1비빕1ㅣㅣ비ㅣㅣㅣ1비피ㅣㅣ비피피ㅣ피피피비비핍1비ㅣ

  • @chris-un7nr
    @chris-un7nr Жыл бұрын

    정말 최고의 강의입니다 한국인을 되돌아보게하는 시간이었습니다

  • @user-sn5pz6bi7e
    @user-sn5pz6bi7e Жыл бұрын

    유익한 강연 잘 듣고 있습니다

  • @user-bj9eo3jf2o
    @user-bj9eo3jf2o Жыл бұрын

    허태균 교수님 말씀해주신것 처럼 공부 위주가 아닌 자신이 뭘 하고 싶은지 어떤게 하고싶은지 자녀와 의논하고 대화를 하다보니 본인 선택에 길을 판단해서 현재 살아가는 모습볼때 대단한 모습을 봅니다~^^ 좋은영상감사합니다!~ 🙏 👍 😍

  • @user-bs9hd6ll2p
    @user-bs9hd6ll2p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넘 감동입니다. 울컥 했습니다.

  • @topjungkim5569
    @topjungkim5569 Жыл бұрын

    대학이 너무많아서 왠만하면 대학생이고 직업기대치는 높으니 그런거지요..이게 노력 대학생 무직..필연

  • @user-zq8fn3bm4m
    @user-zq8fn3bm4m Жыл бұрын

    너무 공감이 되네요..우리 자식세대는 또 너무 달라질까봐 걱정입니다.

  • @lyn1742
    @lyn1742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는 알아들을 수 있는 얘기를 질서 있고 발견하며, 공감하게 하는 강의....그 표본이네....

  • @user-cy2vg1sw3d
    @user-cy2vg1sw3d Жыл бұрын

    제일 좋아하는 심리학 교수님이십니다 자주 나와주세요!!! 다 뒤져봐도 몇개 없더라구요 ㅠ 중산층 기준 말씀하실때 뭔가 인생의 큰 가치를 깨닫는 기분이랄까요...

  • @user-gb7zt9qu6y
    @user-gb7zt9qu6y Жыл бұрын

    제가본 강연중에 제일 감명깊었습니다.

  • @kimtaehyun1027
    @kimtaehyun1027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강의 감사합니다.실업 결혼 저출산 빈부갈등 성별 갈등 등 모든 문제의 근원에 대해서 설명해 주시고 체계적인 설명 감사합니다. 많은 국민들이 봐야할 강의 입니다. 강의 들으면서 정말 한국 교육정책은 근시안적이고 좀 개선의 여지가 많습니다. 교수님의 의견이 정책에 반영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의 방향성을 생각해보는대 아주 좋았습니다.

  • @user-ps3bo8rm7p

    @user-ps3bo8rm7p

    8 ай бұрын

    재성별감각만큼크고무턱대고문턱만큼크고빈방각방큰방빈각시큰집맛없재

  • @user-zb2hm6qr3e
    @user-zb2hm6qr3e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강의는 이해하기 쉽게 설명 잘 해주셔서 좋아요

  • @darren3932
    @darren3932 Жыл бұрын

    통찰이 있는 강의 잘 들었습니다. 그런데 효과음, 배경음악은 좀 줄이는게 몰입도를 더 높일 수 있을거 같습니다.

  • @chang249589
    @chang249589 Жыл бұрын

    내용 하나하나가 모두 공감되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pw1cz3zm8h
    @user-pw1cz3zm8h Жыл бұрын

    내가 본 강의중 최고입니다. 기억할께요. 허태균 교수님

  • @thomashuang1860
    @thomashuang1860 Жыл бұрын

    이런 좋은 강의를 들을 수 있음에 감사합니다. 벌써 교수님 강의를 20번 정도 듣는데도 어리석은 인생을 삽니다~ 계속 더 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ㅎㅎ

  • @user-ir4qw3ke4p
    @user-ir4qw3ke4p Жыл бұрын

    사농공상이나 체면 문화도 한 몫함 ㅇㅇ 대학가는걸 마치 선비가 과거시험 준비하는거로 여기고 나머지 기술이나 장사를 배우는건 그보다 급이 떨어지고 부끄러운일이라 여김 ㅇㅇ 그래서 대학졸업후 취업이 안되니까 이제 공무원 시험에 매달림 ㅇㅇ 교육은 내가 필요한걸 배우는게 교육인데 한국은 이게안됨

  • @bsj8352

    @bsj8352

    Жыл бұрын

    교육을 개혁해야됨. 아직도 조선시대 장원급제를 위해 과거시험보던 신분체제에 갇혀 폐쇄적이고 이미 망한 그 옛날문화가 아직 깊숙히 내재해있슴. 이나라 70퍼 이상은 대학졸업생이고 그들은 천민상공인을 멸시하던 그 옛날악습문화에 반해서 생긴거임. 양반이 되고싶었던 그 옛날 천민의 한이 아직 영혼이 되고 떠돌고있슴. 서로 내가 더양반이니 니가 더상놈이니 잣대질하니 정해진노선에서 경쟁에 뒤쳐진 젊은이들은 갈데가없지.

  • @user-nd7zd7cq5c

    @user-nd7zd7cq5c

    Жыл бұрын

    무슨 과거 조선시대 얘기를 꺼내시는데 대학70퍼센트 엄청난 학구열을 찍은건 우리나라 5천년역사중에 유례없는 일이기도 합니다 과거에 잔제가 지금 영향을 많이 끼치신다 생각하시는데 근거없습니다 애초에 높은데 오르고자 하는 욕구는 전세계 다 똑같아요 더 잘 살고싶고 돈 잘벌고싶고 누구나 같음 어디서 들으신거같은데 시야를 넓히세요 틀에박히지마시고

  • @user-dd1jz1hs9n

    @user-dd1jz1hs9n

    Жыл бұрын

    @@user-nd7zd7cq5c 기술 하면 몸쓰는것만 있다고 생각하는것도 문제임. 디자인이나 개발도 다 기술직인데 병신같은 꼰대새끼들이 몸쓰는것만 기술 이지랄해서 ㅋㅋ

  • @DIYLifeSkills
    @DIYLifeSkills Жыл бұрын

    그동안 아는듯 모르듯 한 점들을 이해하기 쉽게 잘 정리해 주셨네요.

  • @minjunseo9997
    @minjunseo999711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좋은 강의를 들을 수 있음에 감사합니다. 벌써 교수님 강의를 여러번 듣는데도 어리석은 행동을 많이 하네요. 공감되는 강의 감사합니다.

  • @english5278
    @english5278 Жыл бұрын

    나도 중학교때 공부잘해서 명문고 들어가 부모님 기대 가득 얻고 살았지만 결혼해서 처자식 먹여살리기도 힘든시기 겪고 기술배우려는 저 자신 상황과 똑같네요 부모님께 용돈 두둑히 드리고싶었는데 실망시켜드린건 아닌지 죄송합니다. 이제 40대를 시작하며 그래도 열심히 살아서 꼭 효도할게요~

  • @user-su1at4bw3t
    @user-su1at4bw3t Жыл бұрын

    허태균 교수님 명강이네요 지식뿐만 아니라 위안과 위로를 받아 갑니다. 감사합니다.

  • @xhsjahdhd
    @xhsjahdhd Жыл бұрын

    복잡하고 정리않된 대한민국의 현실을 정확히 지적하신 깨어있는 교수님!!

  • @redmoon12321

    @redmoon12321

    6 ай бұрын

    안...

  • @sue_seunghyeon
    @sue_seunghyeon6 ай бұрын

    강의력도 정말 좋으시고 내용도 재밌네요 ㅋㅋ 감사합니다!!

  • @user-nu6gs6ei1m
    @user-nu6gs6ei1m Жыл бұрын

    🙂많은 생각을 하게해주는 유용한 내용이었습니다 항상 감사하며 시청하고 있습니다😄**

  • @dosert
    @dosert Жыл бұрын

    2시간이 순식간에 지나갈 정도로 재미있으면서도 생각할 거리를 많이 던져주는 강의네요. 정말 감사히 잘 들었습니다.

  • @JW-7
    @JW-7 Жыл бұрын

    대학 상위 30개만 남기고 다 폐교시키거나 폴리텍으로 바꿔야 함. 대학은 진짜 공부 재능충만 갈 수 있도록...

  • @papillon6824

    @papillon6824

    Жыл бұрын

    그게 바로 독일의 시스템이죠

  • @user-uc3ut3yt9p

    @user-uc3ut3yt9p

    Жыл бұрын

    교수들 밥줄 때문에 안됨 ㅋㅋ 대학교 학위장사 ㅋㅋ

  • @user-cb5ej4ox7d

    @user-cb5ej4ox7d

    Жыл бұрын

    입학은 쉽게 졸업은 어렵게

  • @user-jf3wq3pu9i

    @user-jf3wq3pu9i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대학을밥먹는거마냥 가야하는줄 아는게문제지

  • @HEEHEE993

    @HEEHEE993

    Жыл бұрын

    @@user-uc3ut3yt9p 애를 안낳아서 어쩔수 없이 망하는중임 ㅎㅎㅎ

  • @user-ob7sf1bf8u
    @user-ob7sf1bf8u Жыл бұрын

    강의 최고에요

  • @user-oh7pl8jx7n
    @user-oh7pl8jx7n Жыл бұрын

    42:13 너무나 현실적인 부분이라 공감 많이 갔습니다.

  • @Zerojoo96
    @Zerojoo96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찐 팬 됐어요! 말씀 너무 재밌게 하심~!

  • @jslee571
    @jslee571 Жыл бұрын

    축구선수가, 노력한대로 결과가 나오면, 모든 선수가 메시고, 호날두이지!!! 재능이 필요하고, 좋은 지도자 만나야하고, 좋은 동료선수도 만나야하고, 좋은 팀도 만나야하고~~~ 자기 노려과 재능으로만 성공하는 사회는 인류 역사상 한번도 앖었어!!

  • @user-gu5hr5yw3f
    @user-gu5hr5yw3f10 ай бұрын

    가난한 이유는 자식은 부모를 닮기 때문예요 ....부모가 부지런하면 자식들도 부지런하고 부모가 게으르면 자식도 게으르니 가난하게 살 수 밖엔 없죠 누굴 원망하겠어요

  • @Brian-gw6gd
    @Brian-gw6gd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kellySunflower23
    @kellySunflower23 Жыл бұрын

    부모된 것 어떤 것보다 참 어려운 일이더라구요.

  • @user-dp9ow7sd6f
    @user-dp9ow7sd6f7 ай бұрын

    교수님 강의가 명강의 입니다. 우리 사회에서 방향을 제시해 주시는 깨어있는 참 지식인입니다. 존경합니다.

  • @user-of9zb1fm3n
    @user-of9zb1fm3n Жыл бұрын

    명 강의군요

  • @user-dw5sc7ui2w
    @user-dw5sc7ui2w Жыл бұрын

    재밌게 얘기 해주시는 선생님😃

  • @kimsleader
    @kimsleader Жыл бұрын

    제목보고 그냥 울컥이다. 그냥 왜 태어났는지 그냥 매일 힘들다

  • @gkkim345

    @gkkim345

    Жыл бұрын

    😢

  • @user-hv8cd2pk3i

    @user-hv8cd2pk3i

    Жыл бұрын

    힘내

  • @user-qo3kd2ye9u
    @user-qo3kd2ye9u Жыл бұрын

    많이 배웁니다 웃음도주시고 즐거움도주시고 배움도 주시네요 목소리가 은근히 자꾸 자꾸 듣게만드는 마법이 있네요 ㅎㅎㅎ

  • @user-xv3px6bz6r
    @user-xv3px6bz6r Жыл бұрын

    귀중한 말씀 잘 듣고 우리자녀 세대에게 빛만 남겨주고 떠난다는현실에 서글픔이 밀려옵니다

  • @himalayago
    @himalayago Жыл бұрын

    2시간 힐링 잘했습니 고맙습니다

  • @Horang2.
    @Horang2. Жыл бұрын

    집안이 가난할수는 있으나 정신 및 정서 그리고 마인드가 가난한 부모의 자식이면 가난이 대물림 됩니다;;

  • @user-cj3kt5gz7j
    @user-cj3kt5gz7j Жыл бұрын

    지성이면 감천이다. 라는 것이 우리 부모들의 신념이다.

  • @RANDYORTON-mc4yn

    @RANDYORTON-mc4yn

    Жыл бұрын

    지성은 박지성이지 무슨 감천이야

  • @user-gk3mx1ug6n
    @user-gk3mx1ug6n Жыл бұрын

    정말 멋진 강의입니다ㆍ 두시간동안 시간가는줄모르고 웃으면서 감동해가면서 10분처럼 지나갓어요~~

  • @blanche33
    @blanche334 ай бұрын

    제가 어릴 때로 돌아갔는데, 한국이 유럽처럼 대학 서열이 없어져있다면 제 인생과 제가 느꼈을 행복도는 어릴 때 부터 많이 달라졌을 것 같아요..

  • @user-bh2hq7op5u
    @user-bh2hq7op5u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명강의 잘 들었습니다.

  • @user-mc5ng1ii8p
    @user-mc5ng1ii8p Жыл бұрын

    관계성과 주최성. 선택에 따른 좋은 점도 있지만 안좋은 점도 있다는 것. 감사합니다.

  • @user-jo9kp4vw8s

    @user-jo9kp4vw8s

    Жыл бұрын

    주체성

  • @user-ql1eu3yp2g
    @user-ql1eu3yp2g Жыл бұрын

    죽도록 하는 이유 우리나라는 모든 자원이 없다 결론은 죽도록 공부해야 한다 그래도 살아남기가 힘들다 이게 현실이다

  • @ruheeby
    @ruheeby Жыл бұрын

    좋은건 윗대가만들고..안좋은건 아랫대가 한건줄..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건데..

  • @Djjune-qx7fp
    @Djjune-qx7fp Жыл бұрын

    리더를 잘 골라야~직장도..나라도..,국민들도.가족도.. 편안하고..행복하게 잘~살수 있는거지~!!!

  • @Edwdcho
    @Edwdcho Жыл бұрын

    공감 심하게 합니다. 원래 사교육 포함해서 교육비 때려 박아 스펙 만드는 건 미국 동부의 상류층 문화였습니다. 교수님이 표현했듯이 '망하면 20억 들여서 식당 차려주면 되는' 그런 사람들이 만들어 낸 방법이죠. 그걸 유학파들이 배워와서 실시하고... 전국민이 벤치마킹.... 교육비 5억 버려도 내가 살거, 아이 20억 포함해서 수십억 이상 있지도 않은 분들이 지금 그걸 하고 있죠. 그리고 학벌로 먹어 주던 시대는 2000년대 극초까지가 절정이었고 이제는 학벌있어도 점점 쓸모 없어지는 시대로 가고 있습니다. 우리 흑수저들은 흑수저에게 잘 맞을 수 있는 방법으로 살자구요.

  • @maxkim2739
    @maxkim2739 Жыл бұрын

    남한테 신경을 안써야 편하게 살고 좀 덜 힘들건데 너무 신경을 쓰니 아파트 처럼 폐쇄적 주거형태를 추구하게 되는듯.. 옆집사람이 나를 아는게 싫은거지.. 간섭할걸 아니까.. 진짜 한국인들의 속성은 문제가 심각함... 간섭은 호의가 아니라 악의.. 아이들을 절대로 낳지 않게 만드는 제일 큰 요인. 그게 서로 담을 쌓게 만듦..

  • @user-ip3qv7ut7n
    @user-ip3qv7ut7n Жыл бұрын

    와 ~ 최고에 멘토 강연 Best of Best 👍

  • @user-qp5ss9fj4d
    @user-qp5ss9fj4d Жыл бұрын

    한국사람은 급하게 서두르기 때문에 친절도는^^ 빵^^이예요.

  • @hameseni9025
    @hameseni9025 Жыл бұрын

    공부 못하는 우리 애들 교육비 대신 재테크를 해주었더니 지금 평생 벌 돈 이미 다 이루어 걱정없이 살아요

  • @walktoremember.5760

    @walktoremember.5760

    7 ай бұрын

    혹시 재테크를 어떤 방법으로 해주셨나요? 저희 부모님은 그렇게 못해주셔서 제가 스스로 해보려고요..ㅠㅠ 부동산이나 주식 공부하면 될까요?

  • @ddaraddara99

    @ddaraddara99

    Ай бұрын

    사기에요 뭔 돈을벌써 다벌겠어요

  • @user-my1qu3sh8j
    @user-my1qu3sh8j6 ай бұрын

    교수님 강의 정말 잘들었습니다.

  • @user-hr2fd9pc1t
    @user-hr2fd9pc1t10 ай бұрын

    너무 감사합니다 이렇게 좋은 강의를 무료로 들을수 이어서 교수님 늘 건강하세요

  • @user-dz1yt4er7q
    @user-dz1yt4er7q Жыл бұрын

    정말 듣고 싶은말~

  • @korea-sijo-healing1004
    @korea-sijo-healing1004 Жыл бұрын

    삶을 속도보다 방향을 우선해야 한다는 말은 백번 공감

  • @user-rs3zq2yq2y
    @user-rs3zq2yq2y Жыл бұрын

    고객한테 진심으로 대하는게 아니라 친절한척 착한척하라고 요구하는거지 내 진심은 불친절한 사람 전화 끊고 욕하는 고객있으면 욕하고 전화 끊는거지

  • @user-bx8wf9fp7o
    @user-bx8wf9fp7o Жыл бұрын

    역대급 강의 인것 같습니다.

  • @chung2649
    @chung26498 ай бұрын

    교수님에 정당한 말씀입니다. ❤

  • @korea-sijo-healing1004
    @korea-sijo-healing1004 Жыл бұрын

    강의 내용이 매우 설득력 있고, 잠자는 의식을 깨우십니다

  • @user-vl1yf8qb6l
    @user-vl1yf8qb6l2 күн бұрын

    너무 좋은 강의다...대한민국에 꼭 필요한 강의

  • @user-qp3xk6yf6m
    @user-qp3xk6yf6m Жыл бұрын

    두번째 듣는데 너무 재미 있습니다 유튭에 교수님 강의 있는지 찾아야 겠네요 ~ 감동입니다

  • @seungranwagner7801
    @seungranwagner7801 Жыл бұрын

    친절=예의=존중

  • @user-uu9gw5dd1w
    @user-uu9gw5dd1w Жыл бұрын

    부모가 자식의 모든것을다해준다면 자식은 부모의 고마움을 못느끼죠 좀어려움을 느껴야 바른인간성을 가질수있다생각해요 부모는기본바탕만만들어주고 자식들 자신이노력하여 가난을 벗어날수있어야 겠죠

  • @hunjung2430

    @hunjung2430

    Жыл бұрын

    쳐웃기고 있슈. 이건희 이재용이 모든걸 못해줘서 세계갑부가 되었나?

  • @user-bm4es2si6e

    @user-bm4es2si6e

    Жыл бұрын

    ㅂㅅ

  • @user-gm5ry2gh8i
    @user-gm5ry2gh8i Жыл бұрын

    월드컵덕에 낮밤이 바뀌어 밤을 견디면서 교수님강의를 듣는데 좋았는데 불필요한 음악이고 광고때문에 반쯤듣다가 나갑니다

  • @user-kg4du8io5k

    @user-kg4du8io5k

    Жыл бұрын

    광고가 너무 많아요 왕 짜증

  • @user-gm5ry2gh8i

    @user-gm5ry2gh8i

    Жыл бұрын

    @@user-kg4du8io5k 짜증나서 못들어요 눈감고 듣다가... 안듣고 말지

  • @user-ys7xi6ep9e

    @user-ys7xi6ep9e

    Жыл бұрын

    소란스럽네요 전혀 맞지않는 음악 오히려 방해되네요

  • @user-fn5br1lf4u

    @user-fn5br1lf4u

    Жыл бұрын

    이딴글 올릴필요잇나 프리미엄 사면되자나

  • @deltax9471

    @deltax9471

    Жыл бұрын

    음악은 그럴수있는데 광고보기 싫으면 한달 만원정도하는 프리미엄 쓰시면되는?

  • @leehyangje
    @leehyangje Жыл бұрын

    은근히 참 알찬 방송 ㅎ

  • @rachelkim7771

    @rachelkim7771

    Жыл бұрын

    ㄴㄴ 대놓고 알찬 방송~~~~~

  • @user-ub1lw5ww6e
    @user-ub1lw5ww6e Жыл бұрын

    받고싶은대로 행하라

  • @user-io8ls8dc5x
    @user-io8ls8dc5x Жыл бұрын

    와 너무재밌는 강의네요😀😀

  • @user-nd2iq3vc2w
    @user-nd2iq3vc2w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이나라를 위해 사는 사람이 예전 어른신때보다 많이 준거 같습니다 . 군대가는것도 이슈가 되는걸 보면요. 적어도 우리때만 하더라도 군대는 당당하게 가던 시절이였는데 말이죠. 세상이참 많이 변한걸 많이 느끼며 삽니다.

  • @jungkwon8475
    @jungkwon8475 Жыл бұрын

    이런강의 국회의원들한테 필요한건데

  • @user-pv6cg5yy7i
    @user-pv6cg5yy7i Жыл бұрын

    결국 현재의 높은 대학진학률은 대졸실업자를 양산하기 때문에, 고졸이하자도 대졸자와 비슷한 수입을 이룰수 있는 직업체계,인식변화를 대한민국사회전체가 동의해야 하는데...오랜 학벌주의 인식이 극복할 문제인 것 같음...대졸자들이 유능하고,높은 수입을 누리는걸 당연시하는 인식변화...결국 대졸실업자가 적체되다보면 대학에 대한 인식도 강제적으로 변화할 듯....

  • @gangnamvill
    @gangnamvill Жыл бұрын

    한국이 심리학의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건 정말 좋은 현상이야~~ 감정이 아닌, 이성으로 변하는 과정과 이기주의가 아닌 개인주의 성향으로 바뀌는 과정이야. 이기주의는 남에게 피해가 가던 말던 본인만 편하겠다는 거고 개인주의는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내가 원하는대로 하는거지 두 마인드 속에는 하늘과 땅 차이 개인주의는 개인들의 개성과 성향이 모두 다르기에 타인의 윈하는걸 자유롭게 인정하는거고 이기주의가 집단주의가 되면? 강요 강제 규칙 이것들은 법보다 집단의 이해관계가 더 중요하게 되며 그것의 부작용이 지금 한국... 그 과도기 과정에서 일어나는 것이 갈등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