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올명강의 full ver [9강 :김상욱 교수와 도올 선생님의 강의 배틀]

Ойын-сауық

#도올학당 수다승철

Пікірлер: 529

  • @motaesolomon
    @motaesolomon4 жыл бұрын

    명강의 넘 잘 들었습니다. 모든 사물을 다시금 되돌아보게하는 인식의 전환의 시간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qr9ii6dd6v
    @user-qr9ii6dd6v Жыл бұрын

    왜 도올의 강의를 들으면서 눈물이 날까?.. 한 인간으로서의 참회?? 무튼, 나 자신을 돌아보는 소중한 시간이었음이 틀림없다.

  • @sungkim7567
    @sungkim7567 Жыл бұрын

    김상욱교수님 물리학에서 철학을 관통하는 혜안을 키우셨군요. 존경합니다.

  • @user-en5xm2cv3k
    @user-en5xm2cv3k3 жыл бұрын

    진짜 김상욱교수님은 공학지식 없이 들어도 넘 쉽게 설명함 ㅋㅋㅋㅋ

  • @user-ek3fo2ct7s

    @user-ek3fo2ct7s

    2 жыл бұрын

    수학(치밀함)은 =공학(기계) +과학(물리학)=ai 는미래 새역사 신시대를 낳았다 ㅠ 김용옥은 구태학자답게 점잖게 용퇴하지못하면 =고철 (ㅠ)

  • @user-xy3gg2np8i
    @user-xy3gg2np8i4 жыл бұрын

    지식이1미리도안되지만이분들의강의는귀기울이게합니다~최고의선생님들이십니다 유익한강의종종듣고싶네요~

  • @jsjsnnjssk9923
    @jsjsnnjssk99233 жыл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 강연 너무 친절하고 대중에게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을 너무 잘해주셔서 좋아요~! ㅠ 😄

  • @srs2466
    @srs24669 ай бұрын

    도올선생님 정말 대단하세요. 두 분 모두 감사합니다. emergent 인간의 창발적인 능력을 인공지능이 어떻게 해낼지 궁금합니다. 앞에 놓인 생명을 파괴할 때 나의 뒤에 무엇이 있는지 생각해볼 수 있는 문명이 오기까지 우리가 겪어야할 배움들이 두렵습니다만 가야할 길이겠지요

  • @blacksquad4587
    @blacksquad45874 жыл бұрын

    이 프로그램 너무 좋아요!! 도올학당 수다 승철!!자주 보고있습니다!! 이런 프로그램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 @youngyicify
    @youngyicify4 жыл бұрын

    기계의 윤리적 제동을 해야 한다는 말씀은 정말 ! 소름끼침니다. 감탄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존경합니다. 도올 선생님!

  • @user-be2um4ip9q
    @user-be2um4ip9q Жыл бұрын

    인간의 삶 강연이 참 와닿습니다. 인생은 다방면의 각도를 봐야하니.. 오늘도 도가도비상도를 업데이트하고 갑니다.

  • @user-yf2id3yg7u
    @user-yf2id3yg7u4 жыл бұрын

    두분의 강의를 한번에 들을수 있어 행복합니다,

  • @neoqma3772
    @neoqma37724 жыл бұрын

    두분 모두 자신의 개성대로 강의를 넘 잘하셔서, 정말 듣는 사람 입장에서는 너무 고마운 시간인 것 같습니다. 김상욱 교수님 강의는 듣는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너무 친절하게 그림그리듯 데려가 주셔서 집중이 잘 되고 즐겁다능. 이승철씨는 진행 자연스럽게 잘 하시넹

  • @user-cl1hl8mc8y
    @user-cl1hl8mc8y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연이었습니다 듣고보니 우리인간을 창조하신 신의영역은 있는것 같네요. 사랑만이 답인것 같 습니다~^^

  • @user-qx8js2wm8i
    @user-qx8js2wm8i2 жыл бұрын

    도올 이분 말씀은 많은데 나중에는 무슨 강의를 했지? 하는 생각이 들어요.잘모르겠어요.극과 극 입니다.그런데 김상욱 교수는 귀에 쏙쏙 들어 옵니다.그 이유가 뭘까요?

  • @user-uq8si1jt2n
    @user-uq8si1jt2n4 жыл бұрын

    도올답다. 인간과 과학. 욕심과 욕망. 삶과 죽음. 이분법적 논리와 허구. 인간의 한계. 이기와 삶의 지속. 자기 확신과 정당성의 논리. 그나마 한국의 현실은 미약하나마 공생의 염치가 도사리고 있어서 타인을 배려하는 문화와 의식이 존재해 코로나19 대응에 있어. 치정자들이 바라는 일사불란함 그것이 작동되어 있다고 본다. 과연 그럴까?

  • @carolj7586
    @carolj75864 жыл бұрын

    저런 설명방식 최고. 머리에 쏙쏙들어오내요

  • @user-hv5mv1re7l
    @user-hv5mv1re7l Жыл бұрын

    김상욱이라는 분이 앞으로 어떻게 진화할지 참으로 궁금해요...

  • @ksum5568
    @ksum55684 жыл бұрын

    역시는 역시다.명료한 정리 감사합니다.오래오래 건강하세요!!

  • @drawbended
    @drawbended Жыл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 엄청난 지식체계를 짧고 명확하고 쉽게 설명하시는데 깊은 내공 느껴짐

  • @user-ur3ge4ye2q
    @user-ur3ge4ye2q4 жыл бұрын

    한 분은 인간은 기계다란 주장으로 과학을 통해 인간을 보는 관점이고 도올샘은 과학이 가는길에 대한 문제제기로 인간이 과학을 보는 관점에 대한 강의네요. 둘 다 재밌었고 도올샘은 내용도 좋지만 강의를 코믹하게 하셔서 지루하지 않아요.

  • @sin1231000

    @sin1231000

    3 жыл бұрын

    kzread.info/dash/bejne/X5Z-t6t_edOsf84.html 천부경 우주의 무한성을 나타내다.

  • @user-qu8pv1qz4d

    @user-qu8pv1qz4d

    3 жыл бұрын

    물리보다 도올의 열변? 뭔말인지? 일관성도없고 오로지 떠든것외는 ᆢ 쩌 업

  • @user-ri1vp2pp5f

    @user-ri1vp2pp5f

    3 жыл бұрын

    사실과 가치의 차이군요

  • @septmerveilles
    @septmerveilles4 жыл бұрын

    인공지능이 인간의 삶에 점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코로나 바이러스가 창궐하는 21세기를 돌아보고 고민하는, 이 시대에 꼭! 들어야 할 최고의 강의!

  • @user-hm7ch1hq3c
    @user-hm7ch1hq3c4 жыл бұрын

    귀하고 귀하신 말씀이고 이런 선생님을 우리나라애 보내주신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공자. 장자 등의 말씀을 기초로 하셨지만...그 분들이상의 훌륭한 선생님이라고 생각합니다 . 귀한 말씀 영혼에 새깁니다.

  • @user-jk9pf3op8d
    @user-jk9pf3op8d4 жыл бұрын

    숨쉬는것도 조심하면서 집중해서 봤네요. 와... 이걸 유투브를 통해....

  • @jindodogstory5020
    @jindodogstory50204 жыл бұрын

    진짜 재밌어요^^

  • @ttntta
    @ttntta8 ай бұрын

    후반부(38분)는 정말 명강의라 생각합니다.

  • @user_justdoit
    @user_justdoit4 жыл бұрын

    캬~ 기가 막히다~~베리 굿~뜨

  • @lpundergroux
    @lpundergroux4 жыл бұрын

    Listem to my heart 소리쳐 ~

  • @kskang9436
    @kskang94363 жыл бұрын

    독수리는 까치를 노리고 까치는 사마귀를 노리고 사마귀는 개미를 노리고... 독수리를 노리던 장자는 갑자기 썸찟했다 바로 지금 내뒤를 노리는게 있다는 사실을... 그것이 인류문명이고 인류를 노리는게 있다 그것이 코로나같은 바이러스... 인류는 진화팽창의 역사에서 이제 반성과 성찰..그리고 대전환의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 @pdbaby

    @pdbaby

    2 жыл бұрын

    철학자들이 무서워하는건 과학자가 아닐까 지구를 중심으로 우주는 돌고 인간이 중심이되야 하는데 과학이 발전하면서 펙트가 알려지면서 자신의 밥그릇이 위험해지니... 과학 vs 철학은 마치 양방 vs 한방 같다

  • @lightshines730
    @lightshines7303 жыл бұрын

    우리 뒤에 있는 화살(코로나)을 모르는 어리석음,, 귀한 말씀 새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ht3lc2ln8m
    @user-ht3lc2ln8m4 жыл бұрын

    과학없는 철학은 공허하고 철학없는 과학은 맹목적이다.

  • @iwasborntosurvive5396

    @iwasborntosurvive5396

    4 жыл бұрын

    -칸트-

  • @user-ft2jm1go4t

    @user-ft2jm1go4t

    4 жыл бұрын

    ^^ ㅎ

  • @PETBOY

    @PETBOY

    4 жыл бұрын

    철학자하고 과학자랑 토론하는거 많은데 대부분 철학자들이 집니다.

  • @naandmi1761

    @naandmi1761

    4 жыл бұрын

    @@PETBOY 과학은 증거가 있고 철학은 단지 머리속에 있기 때문에 그런듯 합니다..

  • @eblu9636

    @eblu9636

    4 жыл бұрын

    여기서의 과학은 성선설이며(감상욱의 과학) 철학은 성악설(도올의 철학) 이기에 그렇다 선함이 없는 악은 공허하고(허무주의 - 아무것도 의미가 없다) 악함을 망각하는 선은 맹목적이다(과학주의 - 과학으로 인간을 위해 모든걸 할 수 있다)

  • @sang-yunlee9520
    @sang-yunlee95204 жыл бұрын

    참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강의 이었습니다

  • @nomind007
    @nomind007 Жыл бұрын

    두 분 모두 감사합니다. 갑자기 등 뒤가 서늘하게 느껴집니다. AI를 만들고 있는 인간의 뒤를 AI가 위협하고 있는 현실

  • @user-zh2hi9rx7t
    @user-zh2hi9rx7t2 жыл бұрын

    에너지를 채우는거 같다. 사실 에너지는 충전이다. 철학적인 사고방식은 생명과 국방 노동이다. 적은 국방을 튼튼하게 해야 막는다. 적으로부터 살려면 이래야 한다. 생명은 소중한데 생명은 단군께서 사랑하고 아낀다. 누가 이걸 무시하랴. 생명 존중은 우리의 책임이다. 단군은 노동도 위대하다 말한다. 노동이 있어야 먹고산다. 노동으로 살기 위해서 말이다.

  • @user-gf3do3kg3v
    @user-gf3do3kg3v2 жыл бұрын

    어느만큼 공부를 해야 저런 강의가 나오는지? 대단합니다.

  • @user-wi2ne4fy1z
    @user-wi2ne4fy1z4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기계에 대한 윤리적 측면 꼭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 @bluebell3936
    @bluebell39362 жыл бұрын

    전 공학자 인데요. 김상욱 교수님은 도올 선생님의 철학을 잘 이해 못허시는 것 같아요.

  • @user-fs8vw1vv2t
    @user-fs8vw1vv2t2 жыл бұрын

    저도 도올선생님과 비슷한 생각을한적이 있습니다! 동양의 과학적 기술이 서양보다 뒤떨어지는 것이아니라 ! 완벽하지 못한 인간의 과학기술이 인간을 더 해롭게 할수있다는 자각 때문이라는걸 모호하게나마 생각한적이 있어요!

  • @yirshi2829
    @yirshi28292 жыл бұрын

    도울 선생님께서는 숲과 나무를 모두 보시는군요.

  • @user-go4sz7fr1n
    @user-go4sz7fr1n2 жыл бұрын

    김상욱교수님의 친절하고 쉽게전달한 강의 멋집니다.

  • @y.s.c9786
    @y.s.c97862 жыл бұрын

    도올선생님 너무 감동적이에요 원자폭탄 얘기했을때 눈시울이 붉어지네요

  • @user-ot8zs3go8v
    @user-ot8zs3go8v2 жыл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 도올 선생님 앞이라 그런지 많이 긴장하는 모습이 인간미 있고 귀여워요~~

  • @me_light_lab
    @me_light_lab2 жыл бұрын

    결국 같은 말 한 건데 도올 선생님은 김상욱 교수의 강연의 요점을 파악 못 한 것 같다 ‘생명은 기계다. 인간은 기계다.’라는 말에 꽂혀서. 김상욱 교수는 ‘특별한’이라는 수식어를 넣어서 과학적으로 보이는 당연한 문장을 완전히 180도 바꾸었는데. 저렇게 생각을 말할 수 있는 과학자는 몇 없을 것 같다. 철학하는 과학자라 다르다. 도올 선생님은 철학만 했을 것 같다.

  • @user-tc7jl6sr7i

    @user-tc7jl6sr7i

    9 ай бұрын

    도올은 철학을 이해 한 것도 아닌것 같습니다.ㅎㅎ 철학이란 본디 수학,과학,물리학,심리학,종교학,인문학,등의 인류의 모든 학문의 그 결정을 내리기 위한 학문이죠. 김상욱 교수는 그 모든 부분을 공부를 하신 분이시고 도올이란 분은 철학자라고 부르기도 뭐 한 분인것 같습니다. 파란색 쇼맨, 비슷한 형태로는 kjd 정말 책도 얄팍하게 보아서 논리가 약해보이는 얕은 깊이의 논리 얼버부림은 단순히 나이가 많아서 그렇다. 하고 볼수는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어버버 그리거 버럭! 에서 나오는 심리학 해석으로 봤을때는 그냥 들키기 싫은 자신의 지적수준을 감추기 위한 액션으로 대표 될 수가 있을것 같습니다.

  • @meongokkim5629
    @meongokkim5629 Жыл бұрын

    김 상옥교수님 고생하셨어요 ㅎㅎ

  • @user-mx4el4mt2k
    @user-mx4el4mt2k2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최고에 말씀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iq7rk5nz8k
    @user-iq7rk5nz8k2 жыл бұрын

    김상욱형은 과학자 자격이 있습니다 우리는물질이라는것에 동의합니다 바퀴벌레와 우리가 다를게 없습니다~~

  • @user-gw2zu5do2r
    @user-gw2zu5do2r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활용한 가능한 기술이 개발되었더라도 그 기술이 사회적으로 유해하다면 사회적 차원에서 그 기술을 규제할 수 있고 또 규제해야 한다는 선생님의 생각에 저도 동의합니다. 다만, 그런 규제가 유효하려면 '올바름'이 사회적 영향력을 가져야 합니다. 실제로 사회적 기강만 바로잡혀 있으면 유해한 기술이 사회적으로 해를 끼치지 못합니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총기를 개인적으로 소유하고 보관하는 것이 허용된 나라라도 총기사고가 매우 적은 나라가 있고 총기사고가 매우 많은 나라가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어떤 개인이 우발적으로 총기를 난사할 기회가 많은 나라라도 실제로 총기 난사 사고가 일어나는 빈도는 제각각이죠. 그런데 어떤 나라가 비윤리적인 기술을 몰래 개발하고 그 기술을 군사적으로 사용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다른 나라는 모두 비윤리적인 그 기술을 사용하지 않는데 그 나라만 비윤리적인 기술을 사용한다면 그 나라는 세계를 제패하는 패권국가가 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전쟁에서 막강한 위세를 과시할 수 있을테니까요. 이처럼 비윤리적인 위반이 성공하는 사례가 많아질수록 위반 사례는 늘어날 수밖에 없어요. 그렇다면 비윤리적인 위반 행위에 대해서 확실하게 사회적인(국제사회 관점에서는 국제적인) 응징을 할 수 있을 정도 사회적 규제력이 뒷받침되어야 하는데, 이것이 쉽지 않습니다. 왜냐? 이건 인간이라는 동물의 생물학적 특성이 아닐까 싶을 정도인데, 이런 '도덕적 규범력'을 사회적으로 인정받기가 몇 배 힘듭니다. 도올 선생님은 악성 관절염으로 병역을 면제받으셔서 군대 경험은 없으시죠? 군대에서 리더가 한 번 위력을 보여주면서 지시를 내리면 정말 몇 초 안에 지시를 칼같이 이행합니다. 권위를 가진 자가 그 권위를 이용해서 지시를 내리면, 그 권위에 순종해야 한다는 군중 일부의 여론이 간접적으로 군중 전체를 압박하는 형식입니다. 사실 이 점은 모든 집단이 동일합니다. 세상 모든 집단은 결국 리더 본인이 아니라 리더를 적극적으로 따르는 '친위대의 세력 크기'에 따라 리더의 위상이 결정됩니다. 그런데 현재까지 인간 세상에서는 도올 선생님께서 좋아하시는 윤리도덕적 방법으로 이런 '친위세력'을 모아서 유지시키고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가 정말 힘들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도올 선생님을 비롯한 도덕군자분들은 이런 현실을 애써 외면하시는 것 같더군요. 이 영상에서 말씀하신 자공 이야기는 20년 전에 '노자와 21세기'에서도 하신 말씀이죠? 책 읽었습니다. 도올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비윤리적인 기술에 대한 사회적 규제' 자체는 저도 동의합니다. 하지만 그것을 가능케 할 정도로 윤리도덕의 규범력을 강화시키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닙니다. 도올 선생님께서 좋아하시는 동학의 '다시 개벽'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윤리도덕의 사회적 규범력을 '탁월하지만 비윤리적인 기술을 성공적으로 규제할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하게 지속적으로 키울 수 있을지 명확하게 방향을 제시해야 합니다. 인류 역사를 돌이켜보면 이런 일을 훌륭하게 성공시킨 사례가 없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극소수 탁월한 영웅의 업적이었고, 그 영웅이 세상을 떠나거나 권력을 잃으면 평범하고 비속한 사람들이 그 영웅의 업적을 퇴색시키는 일이 반복되었습니다. 이것이 역사의 진실이죠. 그런데 "다중은 위대하다."는 미신에 사로잡힌 사람이 많아서 이런 진실을 직시하는 사람이 드뭅니다. 훌륭한 업적을 이룬 영웅을 따르는 사람들도 그 영웅 한 사람을 우상화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 그 영웅의 업적을 보편적 법칙으로 승화하려는 시도를 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죠. 공자의 제자 자공 정도가 예외겠군요. 도올 선생님께서 30년 전에 쓰셨던 '도올세설'이라는 책(신동아 칼럼에 연재한 글을 묶은 칼럼집)을 읽어보면 그 당시 도올 선생님은 인문학자로서 느낀 무력감을 절절하게 토로하셨더군요. 30년 전 선생님의 개인적 고뇌는 지금 현재 많이 해소되었을 수 있습니다. 이제 사회 유명인사로서 30년 전보다 훨씬 높은 대접을 받고 계시죠? 하지만 선생님께서 개인적으로 좋은 대우를 받고 계시다고 인문학의 사회적 위상이 그에 비례해서 올라갔다고 생각하기는 어렵습니다. 얼마 전에 유시민 작가님이 '거꾸로 읽는 세계사' 개정판을 내셨는데, 개정판 후기에서 유시민 작가는 인류가 완전히 멸망하거나 소수만 생존한 상황이 아니라면 스티브 잡스 등 제4차 산업혁명을 이룩한 사람들 위주로 21세기 역사가 기록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하더군요. 이건 유시민 작가 자신이 인문학의 무력함을 토로한 것이라고 저는 느꼈습니다. 21세기에 인류가 절멸에 가까운 위기를 겪는다면 그 책임의 상당부분을 과학기술이 져야 할텐데 인류가 이 위기를 극복하더라도 그 공을 인문학자가 아니라 스티브 잡스가 져야 한다니, 저는 유시민 작가의 생각에 동의할 수 없었습니다. 유시민 작가의 이런 생각은 도올 선생님께서 30년 전 도올세설에서 토로하신 인문학자의 무력감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지금보다 더 뼈아픈 성찰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 @user-fw4tc1il6p
    @user-fw4tc1il6p4 жыл бұрын

    요즘은 객관적인 성찰이 필요한 시기인데 이에 시의적절한 강의네요.

  • @user-uu6kg9mf6h
    @user-uu6kg9mf6h4 жыл бұрын

    넉을 잃고 봤습니다. 도올 선생님의 이야기는 항상 가슴을 울립니다.

  • @user-rz7pk1zv1r
    @user-rz7pk1zv1r3 жыл бұрын

    생명은 태워야 살 수 있다.. 뭔가 철학적인 의미가 있지 않나 생각을 해봅니다..아이를 낳으며 키우며 내 몸은 늙어가나 새생명이 태어어나고 자라는 것을 보며 생명은 누군가(다른생명)의 희생(태워진다) 에 의해 또 다른 누군가가 살수 있다는 생각.. 김상욱 교수님은 그저 자연 현상만을 공부하신분이 아니라 그 법칙속에 철학을 도출하시고 생각하게 해주시는 것 같아 듣고 있으면 참 흥미롭고 마음에 감동이 오는 것 같습니다.제대로 공부하신분!!!!

  • @yongwoonlee1663

    @yongwoonlee1663

    2 жыл бұрын

    공부 안해도 알수 있는것 당신의 무지가 그저 감탄 스럽군요

  • @yinyangohang
    @yinyangohang3 жыл бұрын

    정리 인간은 기계다 김상욱교수가 기계라고 한것은 기존의 우리가 인간이 특별하다는 생각을 해체하며, 인간 또한 기계와 다를바없이 연료를 동원으로 움직인다는 점에서 기계다라고 평등화 한다. 이는 사실이라기보다 기계와 객관적 성질을 비교하며 우리 인간 스스로에 대한너무많은 편애를 드러내고자 한것. 도올이 주장하는 것은 과학적언어는, 그 객관적언어(science) 과연 지시대상과 동일한것이냐? 아니면 인간이 보는 특유의 시점이 반영된 약속(합의)이냐를 묻는다 도올은 전자가아니라 후자를 주장하므로 지시대상으로서의 인간은 그런 객관적 성질을 가지고 판단할수 없다는것

  • @user-bw3mi2pd5t
    @user-bw3mi2pd5t4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씬스틸러는 저 칠판 지우개에 쓰여진 Bio...

  • @user-dc8mh9ic9f
    @user-dc8mh9ic9f2 жыл бұрын

    도올인지 돌인지 몽타지는 돌에가깝지요 바위비슷하고

  • @user-hq9dg2le2f
    @user-hq9dg2le2f Жыл бұрын

    인간의 의식은 과학이 설명 못한다..그 의식은 순수의식, 영성이기 때문...그 영성을 알아차려서 깨어나야만 진정한 자유와 평온을 찾는다...

  • @seabase5908
    @seabase59084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고 유익하고 슬프네요

  • @user-kj6np7rr1u
    @user-kj6np7rr1u2 жыл бұрын

    도올선생님 항상 건강하세요

  • @user-tw4iq8rf5e
    @user-tw4iq8rf5e Жыл бұрын

    세월이 갈수록 익어가야 되는데, 돌이 돌이되어 가네.도라도라도라돌아도올아!

  • @asewddd4875
    @asewddd48752 жыл бұрын

    온 몸으로 설명해주시니 이해가 더 잘됩니다.

  • @user-bc7jx4fu8h
    @user-bc7jx4fu8h4 жыл бұрын

    김상욱 시점 : 우주 밖에서 지구와 인간을 바라봄. 모든 개체의 무가치적 혹은 가치 중립적 관점. 도올 시점 : 인간의 몸 안에서 우주를 바라봄. 모든 가치는 인간이 매기고 인간이 최고의 가치.

  • @user-if6yy6tx6d

    @user-if6yy6tx6d

    4 жыл бұрын

    오 듣고보니 그런거 밭음. 예리하시네

  • @user-tu1vi9se9z
    @user-tu1vi9se9z2 жыл бұрын

    도올선생님 특강은 불교철학을 공부하면 공부가됩니다 역시 김상욱 박사님 특강도 이해돕니다 불교철학과 동양철학을 공부하게되면 세상을 삶이 숙제가풀리게됩니다 두분특강 너무좋았습니다

  • @deathlvbest
    @deathlvbest4 жыл бұрын

    인간도 결국 자연의 일부이기때문에 원리적으로 기계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인간은 특별하다는 것. 그 특별함이 결국 이 지구상의 모든것과 확연히 구별된다는 것. 그것이 인간임을 나타내므로 매우 소중하다라는 것이 김상욱 교수님의 이 강연의 결론이고 도올 선생님은 과학이라는 것이 기술과 만나 이룬 이 고도의 세계 속에서 과거 동양이 왜 과학보다는 기술을 발전시켜왔는지를 돌아보며 앞으로 인간이 기계를 대하는 자세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할 시기가 되었다라는 것을 전달코자 한 것 같습니다.

  • @daeyounglim1310
    @daeyounglim13104 жыл бұрын

    도대체 이야기가 어디로 흘러가는 건지 알 수가 없다

  • @user-mk8pn8uj5l
    @user-mk8pn8uj5l4 жыл бұрын

    생명은 기계다. 인간은 기계다.------- 철학에서 이 문제는 20세기에 끝난 명제입니다. 분석철학, 언어철학, 논리학에서 다뤘던 큰 문제인데, 이 문제는 다 넘어 갔습니다. 극복한 문제 입니다., 도올 선생이 칠판에 써진 그 단순한 문장을 지우지 말라고 한 이유는 이미 검증 충분한 문제인데, 그게 칠판에 써 있는데, 그걸 마다할 철학자가 어디 있겠습니까? ㅋㅋ 신릴하게 비판할 문제인데, 도올 선생이 그냥 넘어 가는군요. 우물가에 노인 비유는 감명이었습니다.

  • @user-sy2on9rp8y
    @user-sy2on9rp8y4 жыл бұрын

    어렵긴한데 이해는되는 신기한시간이다 !!

  • @pcencalm3261
    @pcencalm32612 жыл бұрын

    저랑 똑같은 이유로 수학을 싫어하셨는군요. 저도 수학 선생이 싫어서 공부 안했드만.. 후회되네요. 사는데 지장은 없지만 이런 강의 들을땐 수학을 했어야 했구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좋은 강의 나누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GERMANY1908
    @GERMANY19084 жыл бұрын

    이시대의 보물 도올 선생님, 오늘도 많이 배우고 갑니다. 오래오래 건강하세요!

  • @pp0ppoable
    @pp0ppoable3 жыл бұрын

    이승철형님 노래의 신만 아니고 리액션에도 신이셨어 ㅎ

  • @UCJqIUBcL-2ZeJ2FsrUwT9Ag
    @UCJqIUBcL-2ZeJ2FsrUwT9Ag4 жыл бұрын

    인간이 컴퓨러의 애너지원이 될 수 있다. 메트릭스 네오 씀

  • @user-vz3qk3vf7h
    @user-vz3qk3vf7h2 жыл бұрын

    과학 진보가 급진적일 수록 인간의 소외는 반드시 일어난다.

  • @shonk146
    @shonk1462 жыл бұрын

    인간은 기계다 라는 것은 어떤 말장난을 하자는 것이 아니라 원리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말하는 것같네요. 우리가 기계를 무시하듯이 보지만 인간또한 기계와 다르지 않은 구조를 가졌고 물리학 법칙에 의해 움직이는 자연이 창조한 기계구조일 뿐이라는 것 안타까운점은 기계가 인간과 같다라는 문장이 참 공격받기 쉬운 문장이어서 꼬리가 물려 논쟁이 산으로 간다는게 좀 아쉬움 핵심 타겟에 대해(원리)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 빗겨나가서 서로 다른 주장이 되는 것 같아서.. 이게 정녕 토론인가? A는 B를 말하고 C는 D를 말하고있는듯

  • @user-hi9ni2bu6d
    @user-hi9ni2bu6d3 жыл бұрын

    물질과학은 전적으로 수단입니다. 주객전도되어서는 안됩니다. 부분적으로 사용되어여지 당연히 목적일순 없지요. 인간,생물과 기계의 구분은 정서 , 감정,이성적철학 고귀한 가치입니다. 문명의 이기가 지금보다 열악했던 이전의 시대에 인문학은 오히려 첨단이었습니다. 4대 성인이 존재했던 2000년전쯤 거의 그 개념이 구현된는데요. 마음과 정신의 정체성 및 그 여러 개념들은 이전에 구현된것 보면 실로 주목할만 합니다. 어떻게 잘 조화시키는 것이 관건이겠습니다. 자연과 그와 더불을 인간 ,과학 결과적으로 그것을 해하지 않을 정도로의 선용, 운용. 여기에서도 인문의 가치가 선행되었을때 과학은 선물입니다. 선물이냐, 괴물이냐의 가름은 인문이 선행되었을 구현될 소지의 것입니다. 실로 자연인으로 사는 사람도 있지 않습니까 잘 곱씹어 볼 일입니다.

  • @Harmony_Korea
    @Harmony_Korea4 жыл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 발성 진짜 좋으시다..랩 제대로 배워서 하시면 엄청 잘 하실거 같은데

  • @topngod

    @topngod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 @user-ku7vf4vc3d

    @user-ku7vf4vc3d

    3 жыл бұрын

    돌선생님.지어내지마세요.유이신.하나박에없으요.만물.만들어놓고.6섯째날.사람.남자여자만들지요.4천사중.하나가.하나님.자리탐.하다가땅.으로쫒겨나지요.2이되므로..악신쫏겨난신.하나님.성신.12지파에.등록이.안되면지옥.12ㅣ지파등록.성신.자유.평화.사랑.악신은.한

  • @user-ku7vf4vc3d

    @user-ku7vf4vc3d

    3 жыл бұрын

    악신은.하나님.이지옥준.비해줐지요.지옥은.자유가없고.고통.예수님.으로부트.서기년도가.나왔고.예수님.이다시옴.으로.신천기를창조.오시지38년.100년만가면.신천기를.세계적으로쓰기.위해.만국희의항1000.년으로전파..요14장.길이도지요.길진리생.명나와있지요

  • @user-ku7vf4vc3d

    @user-ku7vf4vc3d

    3 жыл бұрын

    악신은.하나님.이지옥준.비해줐지요.지옥은.자유가없고.고통.예수님.으로부트.서기년도가.나왔고.예수님.이다시옴.으로.신천기를창조.오시지38년.100년만가면.신천기를.세계적으로쓰기.위해.만국희의항1000.년으로전파..요14장.길이도지요.길진리생.명나와있지요

  • @user-ku7vf4vc3d

    @user-ku7vf4vc3d

    3 жыл бұрын

    ㅡㄷㅈ

  • @user-lc9lj9xg5l
    @user-lc9lj9xg5l2 жыл бұрын

    김용옥사상가님의 강의에솔개를 잡으려 화살을 견우던 뷴이 국속으로 들어가 벌벌떨었다는 강의를 듣는순간 옛적 초등학교일적 어느선생님인지 모르겠으나 앞으로 인간은 안간이 만든 폭탄을 머리위 올려놓고 망치로 두를기는 것과같은 때가 온다라던 그 말을 떠 올린다 또 서울대 수학교수이신 김용머식이란 분의 말씀도 석굴암 석불이 이루어진 수학적으로 분석하면 불상의 좌대에는 방정식의 공식이 들어있으며 불상에는 원의 공식이 여들개가 있으며 일본의 불상에는 원의 공식은 세개이며 우링 우수성과 그 시대에 방정식공식 있었느냐며 하셨던 기역 서구뮨명 (기계)이 우리의 순수함을 말살시킨 괘물이란 것이 동의한다

  • @user-sc7sw5fr3y
    @user-sc7sw5fr3y4 жыл бұрын

    아 너무 좋네요.. 도올선생님의 철학이 빛납니다..

  • @user-mg7rl7oz6o
    @user-mg7rl7oz6o4 жыл бұрын

    일단 기본소득제로 한숨돌리고 생각해봅시다.

  • @user-xc1pi3jw5i
    @user-xc1pi3jw5i4 жыл бұрын

    최소한 기술의 발전은 인간이 적응해 갈 수 있는 시간을 주면서 전개 되어 가야 한다. 그러나 세상이 발전해가면 인간도 기술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것 또한 필요하다. 기술의 윤리가 필요한 때다. 이러한 생각은 10여년 전에 생각하고 있었는데 오늘 이 강의를 듣고 다시금 생각이 난다.

  • @user-uq5wy2xw2k
    @user-uq5wy2xw2k2 жыл бұрын

    기계와 사람과 똑같은 에너지 이용 방법이라고 하니까... 매트릭스 생각나네

  • @user-dx4no8cp2o
    @user-dx4no8cp2o Жыл бұрын

    18:34 까치와 테크놀로지

  • @user-zh2hi9rx7t
    @user-zh2hi9rx7t2 жыл бұрын

    도올도 나도 왕건과 김춘추처럼 논어를 배웠다. 국조와 하나다. 김춘추는 나는 신라인이다 말한다. 왕건도 논어를 많이 읽어도 나는 고구려의 자손이다.

  • @user-dh2vz2yc1c
    @user-dh2vz2yc1c4 жыл бұрын

    강의도 강의인데 이승철선생이 재미 잘 챙기네

  • @profhalf
    @profhalf4 жыл бұрын

    도울 선생님의 생각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좋은 강연 감사드립니다. 김상욱 교수님이 하시려는 말도 이해됩니다. 언어가 생각을 반영 못한듯 합니다. 인공지능이나 기계가 인간처럼 될 수 있다고 말했으면 더 좋았을듯합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간들의 무분별한 환경파괴가 이제 그만되기를 바랍니다.

  • @dbrokim4314
    @dbrokim43142 жыл бұрын

    도올 선생님은 인문학자이자 과학자이지. 기계를 싫어했던, 농부가 노자였다는 소문이...

  • @user-mg7fl8hn2m

    @user-mg7fl8hn2m

    Жыл бұрын

    그냥 철학자인데 꼰대 같음

  • @dnsqhd1217
    @dnsqhd12174 жыл бұрын

    과학도 중요하고 철학도 중요하지요 ㅎㅎ

  • @yongwoonlee1663
    @yongwoonlee16632 жыл бұрын

    공기가 들어오면서 에너지 대사를 할수있고 그 에너지 대사를 통해 생명활동을 할수 있음

  • @user-yh6bj8ui6w
    @user-yh6bj8ui6w2 жыл бұрын

    박사님 감사합니다.

  • @hyhplay46
    @hyhplay464 жыл бұрын

    과거 산업혁명때 과학이 테크놀로지를 만났듯이 이제 인문학과 과학이 제대로 만나야할때인 것 같습니다.

  • @sin1231000

    @sin1231000

    3 жыл бұрын

    kzread.info/dash/bejne/X5Z-t6t_edOsf84.html 천부경 우주의 무한성을 나타내다.

  • @khrkim9470

    @khrkim9470

    3 жыл бұрын

    ㅣㅣ

  • @igija78R
    @igija78R4 жыл бұрын

    모든것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

  • @TV-kq3uc
    @TV-kq3uc4 жыл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은 강연을 하시고 도올 선생님은 설교를 하는듯.

  • @crystal-gc5fi

    @crystal-gc5fi

    3 жыл бұрын

    철학적이네요 강연과 설교란 단어가

  • @me_light_lab

    @me_light_lab

    2 жыл бұрын

    강연은 생각할 여지를 주는 것 같고 설교은 주입하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 @user-qu9nk9gr9y
    @user-qu9nk9gr9y4 жыл бұрын

    김상욱교수의 강의는 내가 알게 된 것을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라는 느낌이, 도올에게는 '나는 아는데.... 너희는 몰라~'라는 사실을 알려 줄게 라는 느낌이다. 강의는 쉬워야 한다.

  • @user-mh6iy8rw5r

    @user-mh6iy8rw5r

    4 жыл бұрын

    원래 무식한것들이 현학적으로 말함으로서 자신의 무식함을 가리는법이죠

  • @user-nm5ti4mz1q
    @user-nm5ti4mz1q4 жыл бұрын

    이프로 이름이 뭐니?

  • @user-pp6cg5qb6g
    @user-pp6cg5qb6g4 жыл бұрын

    이 만남 너무 좋다

  • @daesungyoo920
    @daesungyoo9202 жыл бұрын

    정교하고 멋진 기계는 누군가 설계와 디자인 하지 않고 우연히 만들어져 스스로 진화하나요?

  • @CH-vy1li

    @CH-vy1li

    2 жыл бұрын

    그렇다는게 인류의 큰 깨달음이죠. 다윈이 촉발한

  • @user-ih4il2by8d
    @user-ih4il2by8d4 жыл бұрын

    신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피조물이 인공지능. 인간은 슈도-피조물, 한시적 탄소생명체. 유신론도 무신론도 신의 마당에서의 말장난인 것 같이 인간의 욕망도 시도 유한의 한계에 대한 자기고백. 과학과 기술의 융합 끔속의 몸과 지능의 융합 신의 형상

  • @kar91ss
    @kar91ss4 жыл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 정말 멋있어. 내가 여자였으면 한 눈이 반했을거야.

  • @user-oi1ji1mv9x

    @user-oi1ji1mv9x

    4 жыл бұрын

    여자인 저는 진작 반했답니다

  • @user-vw5cu7yr2y

    @user-vw5cu7yr2y

    Жыл бұрын

    남자인 당신도 이미 반한거 같습니다만

  • @LEGO-kj5xz
    @LEGO-kj5xz2 жыл бұрын

    유일하진 않지. 개미가 있잖아

  • @dongjincho8814
    @dongjincho88144 жыл бұрын

    변화 무상한 생명현상을 과학이나 철학의 언어 개념으로 파악하려고 하기보다, 까치가 집을. 짓듯이, 남녀가 몸을 비비며 사랑을 느끼듯이 생명을 살아가며 체득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도올 선생은 주장한다고 생각했습니다,

  • @act5774
    @act5774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걸음을 보니 세월이 안타갑네요. 운동을 꾸준히 하시기 바랍니다.

  • @rangha2837
    @rangha28373 жыл бұрын

    조금만 보려고 했는데 다 봐버렸...

  • @reatgt8233
    @reatgt82333 жыл бұрын

    인간 또한 DNA라는 유전적인 정보에 의해 살아가는 프로그램일 뿐이다 [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 내용중 ]

  • @citymanchester-eb1nq
    @citymanchester-eb1nq4 жыл бұрын

    기계가 복잡해지면 인간이 된다

  • @-hybridangler8833
    @-hybridangler88332 жыл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 오늘 따라 약간 긴장 하신거 같아서 귀여우십니다 ^^ 표정이 겸손 하신분 이어서 그렇지 긴장 잘 안하시는 거 같던데 ㅋ>> 근데 영상 보다 보니 도올 선생님이 더 긴장하셨네 ^^아름답습니다 ^^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