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보는명강의, 대홍수직후 연대기와 아르박삿의 출생년도(성경연대기 특강), 153쉴터교회 with 김명현 박사

김명현 박사의 다시보는 명강의 시리즈
153쉴터교회(부설 성경과학연구소) 사역에 동참하여주심에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헌금 및 후원을 통하여 이 사역이 유지될 수 있어서 감사드립니다.
국민은행 031601-04-224052 (예금주: 153쉴터교회, 기부금 영수증 발급 가능)
우리은행 1005-801-755362 (예금주: 도서출판 성경과학 김명현)
Paypal : biblescience153@gmail.com
더 많은 자료들과 공지사항을 원하신다면
성경과학연구소 홈페이지(www.biblescience.org/purchase)에서 열람 또는 구매가능하며
네이버 카페 153쉴터교회( cafe.naver.com/153shelter )에 실명가입하시면 열람 가능합니다.
문의: 02-745-2701(성경과학연구소) 또는 02-745-0153(153쉴터교회), 010-3298-8929 (담당자)

Пікірлер: 33

  • @user-mq5xh2ic5w
    @user-mq5xh2ic5w Жыл бұрын

    저는 오늘도 김명현박사님 명강의를 듣고 제가 성경공부하는데 크나큰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하나님, 감사합니다. 김명현 박사님에게 건강을 항상지켜주시옵소서.

  • @user-sr1bh2wg4y
    @user-sr1bh2wg4y Жыл бұрын

    김교수님의 정확한 연도연구에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모습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진심으로 경의를 표합니다 감사합니다 🙏🙏🙏

  • @user-fx3ww1hg1x
    @user-fx3ww1hg1x2 жыл бұрын

    교수님께서 히브리원어로 단수와 복수를 설명하시는데 이해가 잘 되는데~~ 질문이 듣는 제겐 방해가 되는군요 저는 늦게 유튜브에서 명강의를 듣는데 현장강의는 더더욱 이해가 잘 되는것인데~~? 교수님께서 고생이 많으십니다 감사합니다 복된하루하루 ♡

  • @HappyManKR
    @HappyManKR2 жыл бұрын

    할렐루야

  • @user-ye7uq5rq9p
    @user-ye7uq5rq9p Жыл бұрын

    연대기 연구를 통해서 성경기록의 정확성을 분명히 밝혀주시고,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을 너무나 명확하게 해주시니 감사드립니다~김명현 박사님~^* 또한 히브리어 원어 연구와 분석을 통해서 명확하게 설명해주시니 성경 연대기 연구가 얼마나 가치가 있는지 다시한번 놀라게 되네요~^^

  • @yeonghokim1790
    @yeonghokim17902 жыл бұрын

    질문이 너무 길어서 공부하는데 장애가 됩니다. 질문은 잛게 해주시는것이 다른사람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 @user-yn1kq5fx6w
    @user-yn1kq5fx6w21 күн бұрын

    질문이흐름을방해하는경향이.. 😊

  • @user-to1je7be6l
    @user-to1je7be6l6 ай бұрын

    박사님 설명 감사히 잘 들었습니다. 유진 폴스티히 선생님의 연구, 예수님 탄생 날짜를 밝혀주시고 늘 감사한 마음입니다~ 그런데, 아르박삿 탄생과 관련해서는 유진 폴스티히 선생님 의견에 다소 이견이 있습니다. 처음엔 성경의 숫자를 더해가며 간단히 생각했는데, 박사님 영상 보며 저도 히브리어 문장을 자세히 살펴보기 시작했습니다. 박사님께서 복수단위의 숫자 의미는 기간을 나타내는 것임을 자세히 설명해 주셨는데 ㅡ 저는 방점을 분리 악센트에 두고 문장을 분석해 보았습니다. 창11장10절 문장의 구성에서 ( 분리 악센트를 보면) 크게는 "아르박삿"에서 끊어지고 ㅡ 그 분리된 뒷 부분이 "홍수 후 2년" 인데, 여기에 또 분리 악센트가 있어서 "홍수 후" 와 "2년" 이 끊어집니다. 이것은 홍수가 있었고 이어서 2년의 기간이 더 지났다는 의미로 해석하면 맞지 않고, " 홍수 후" 와 "2년" 이 그 의미와 비중이 대등함을 나타내는 것으로써ㅡ "홍수 후" 라는 것은 "2년의 기간"이 흘렀음을 의미함을 나타냅니다. 때문에 홍수 2년 + 홍수 후 2년 이렇게 해석하는 것은 구문론적 해석으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봅니다. 유진샘도 히브리어 원문을 보시며 연구하셨겠지만 분리악센트를 보며 구문분석을 하셨을까는 좀 의문이 듭니다,,,,,

  • @danielchoi4419
    @danielchoi44198 ай бұрын

    셈이 앞에 둔이유는 성경이 구원사중심으로 된 기록이기때문입니다

  • @user-nt4hi3ph7m
    @user-nt4hi3ph7m8 ай бұрын

    현대에도 장마기간에 비가 많이 왔을때 범람하거나 물이 다 빠져나간 날짜를 세지않습니다. 비가 내린 일수만 이야기하죠. 홍수기간은 40일로 보아야합니다. 샬롬

  • @user-to1je7be6l
    @user-to1je7be6l6 ай бұрын

    먼저는 "홍수 후 2년" 의 의미에 대해 말씀 드렸는데, 이어서 셈이 몇째 아들인가에 대한 의견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창세기 10장에 족보가 야벳, 함, 셈 순서로 되어있는 것은 10장과 11장 전체의 흐름을 볼 때, 먼저, 야벳과 함의 족보를 얘기하고, 셈의 족보를 얘기할 때는 벨렉의 때에 세상이 나뉘었다는 언급이 나오고, 이어서 바벨탑 사건이 나오고, 다시 이어서 셈에서 벨렉, 벨렉에서 아브람에 이르는 족보가 나옵니다. 즉, 셈에서 아브람에 이르는 큰 흐름의 계보 중에 바벨탑 사건으로 세상이 나뉜 게 어느때였는지 구체적 상황을 삽입하고 셈의 계보는 아브람의 얘기 12장으로 이어집니다. 이것은 문학적 구조상 셈의 계보를 아브람과 잇기 위해 야벳과 함의 계보를 맨 앞으로 뺀 것으로 보여집니다. 또한 창세기 25장은 아브라함의 후손들을 열거하는데, 사라 사후 첩 그두라에 의한 후손이 먼저 열거되고, 그 다음에 이스마엘, 이삭의 순서로 후손의 얘기가 나옵니다. 이것 또한 이삭의 계보가 중심되고 뒤에 이어지는 전체 줄거리에서 그두라 첩의 자녀들과 이스마엘의 후손들 얘기를 먼저 앞으로 뺀 것이지 그렇지 않고 장남이 먼저 언급되어야 한다면 그두라의 자녀들보다 이스마엘이 먼저 나와야 했을 것입니다. 또한, 창세기 49장에 야곱이 자녀들을 축복할 때 보면, 처음 레아의 네 자녀 르우벤, 시므온과 레위, 유다. 그리고 라헬의 자녀 요셉과 베냐민 이렇게만 순서가 맞지 중간에 6명은 태어난 순서와 무관하게 언급되어 있습니다. 위와 같은 예들을 살펴 볼 때, 창10장의 계보에 있어 야벳, 함, 셈이 언급된 순서가 곧 장유의 순서라는 근거로 보기 어렵고, 또 다른 말씀의 구체적 근거는 창10장21절이라고 봅니다. 한국어와 영어는 셈이 야벳의 형이라고 되어있지만 이는 번역 오류입니다. 히브리어 문장은 "야벳이 그형이다" 야벳과 그형은 연결 악센트로 이어져 있어 하나의 의미이고, 그 앞에 셈이 에벨후손의 아비라는 어구와는 분리 악센트로 끊어져 있습니다. 즉, 이는 "셈" 이라는 인물을 "에벨 모든 후손의 아비" 이며 "야벳의 동생" 이라고 양면으로 설명하고 있는 구조입니다. 여기서, 야벳만을 형으로 언급했다는 사실입니다. 더불어 창9장 24절에서는 노아가 함을 작은 아들이라 칭했음을 감안할 때, 함이 둘째나 막내였겠으나 셈을 기준하여서는 야벳만을 형으로 언급한 것과 함께 생각할 때 함이 막내였으리라는 결론에 이릅니다. ( 번역이 원문보다 먼저일 수 없으나) 영어번역은 KJV은 the elder를 썼고 NASB, NIV, NLB 등은 동일하게 his(노아의) youngest son, 즉 막내 아들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저는 야벳, 셈, 함의 순서로 보는 견해입니다. 노아 602세에 셈이 100세, 즉 노아 502세에 태어났다가 되는데, 이는 둘째로서 시간적으로도 충분함을 보입니다. 더우기 박사님이 설명하신 그 2년이라는 기간이 만2년을 의미하므로 노아가 500세가 되고 곧 야벳을 낳았다면, 502세까지는 2년도 넘는 기간이 됩니다. 다시 셈이 출생하기에 충분한 텀을 두고 있습니다.

  • @user-xs6ld3wu7f
    @user-xs6ld3wu7f Жыл бұрын

    성경의 첫째는 종을 말합니다 이스마엘과 이삭 . 에서와 야곱 .구약 종의법인 죄와 사망의법과 신약 아들의법인 생명과 성령의 법 아들의법(롬8:1~)

  • @user-xs6ld3wu7f
    @user-xs6ld3wu7f Жыл бұрын

    딤전1 :4 참고하세요

  • @user-jl4op8mp2r
    @user-jl4op8mp2r2 жыл бұрын

    깊이있고 다각적인 분석과 원어해석에 의하니 그럴듯 합니다. 야살의 책에는 아르박삿 출생 해에 대해 명백한 기록이 창세기처럼 없더군요.. 그래서 "야살의 책"을 두루 살펴 보니 두 군데 명백한 단서가 나오네요. 1. 야13:9에 의하면, 노아 사망 시 아브라함 나이 58세로서 이 해가 AM 2,006이며 기산의 해가 됩니다. 1,056+950=2,006 2. 또, 야25:29에 아르박삿은 사망일은 이삭 48세 때인데 이 때는 AM 2,096이 됩니다. 3. 그러므로, 아르박삿의 출생은 AM 2,096에서 그의 나이 438을 빼면 AM 1,658년이 됩니다. 4. 그러므로, 셋째 아들인 아르박삿은 홍수 발발 후 2년만에 줄줄이 출생했나 봅니다. ㅋㅋ 연구란 끝이 없나 봅니다....

  • @user-xs6ld3wu7f
    @user-xs6ld3wu7f Жыл бұрын

    함이 장자요 다음은 셈과 야벳입니다 (참고 창9:24)노아의 하체를 가리려고 뒷걸음질친 셈과 야벳이 작은 아들들이고 셈은 야벳의 형(창10:21)

  • @user-xs6ld3wu7f

    @user-xs6ld3wu7f

    Жыл бұрын

    순서는 함.셈.야벳입니다

  • @user-yn1kq5fx6w
    @user-yn1kq5fx6w21 күн бұрын

    질문없이진행하시먄인될까요😅

  • @jerrypark4252
    @jerrypark4252 Жыл бұрын

    년도수 가 내려가야 하는데 올라갈수가없어요. BC 이기 때문에요.

  • @user-gc7cu7ye2z

    @user-gc7cu7ye2z

    Жыл бұрын

    성경을다시쓰세요

  • @user-kg2zz4kx8i
    @user-kg2zz4kx8i Жыл бұрын

    42❤😢

  • @user-kj3lh6mf8c
    @user-kj3lh6mf8c Жыл бұрын

    그렇다면, 한국어로 변환하면, "홍수 만 2격년 후에 아르박삿을 낳았고"(격은 간격을 의미하는데, 네이버 사전상, '시간적으로 벌어진 사이'라고 우리말샘에 나온다고 합니다. 이에더해, 격년 자체의 의미상 '한 해 이상 지남 또는 해를 달리함'의 의미가 있다고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 나온다고도 합니다.)라고 할 수 있나요?

  • @jwoos4374
    @jwoos43742 жыл бұрын

    창세기 10장 21절에는 셈이 야벳의 형 이라고 나온데요..

  • @user-eb4hs9je8d

    @user-eb4hs9je8d

    Жыл бұрын

    킹제임스성경 창세기10장21절 셈은 모든 에펠자손의 조상이요 형 야벳의 동생이라 그에게서도 자녀가 출생하였으니 이렇게 적혀있으니 셈은 야벳의 동생이 분명합니다

  • @gracekang5604
    @gracekang56042 жыл бұрын

    히브리 원문에도 셈, 함, 야벳이라고 되어있으니 셈이 장자 인 것 같은데요.

  • @user-bl8vc9so4l

    @user-bl8vc9so4l

    2 жыл бұрын

    요세푸스가 기록한 유대고대사에서 야벳이 노아의 장남이라고 기록했다면 성경과 맞지 않을 수도 있겠군요 요세푸스가 잘못 기록했나봐요

  • @Daniel-bu9qp

    @Daniel-bu9qp

    2 жыл бұрын

    성경에서의 인명기록을 보면.. 성경기록은 장자권자 우선으로~ 족보기록은 태어난순으로 기록하는것을 봅니다. 1) 창세기10장에 노아의 아들들의 족보기록 순서는 야벳, 함, 셈 순서로 나옵니다.(태어난순) * 나머지 성경기록은 장자권자를 가진 셈이 가장 먼저 나옵니다. 2) 창세기 9장24절 : 함을 작은(막내)아들로 나옵니다. 3) 창세기 10장 21절 : (1) NIV, 킹제임스 : 야벳이 형인 셈 (2) 개정개역, 우리말, 쉬운, 현대인 등 대부분 한글번역본 : 야벳의 형 셈 (3) NLT : 둘 다 표시

  • @user-zt7mn1ep5l

    @user-zt7mn1ep5l

    2 жыл бұрын

    셈과 야벳, 누가 형인가? > 가생이닷컴 - naver.me/5SB66nbv

  • @user-zt7mn1ep5l

    @user-zt7mn1ep5l

    2 жыл бұрын

    영어성경은 야벳이형이라고 나오네요

  • @user-xs6ld3wu7f
    @user-xs6ld3wu7f Жыл бұрын

    개역 한글에...

  • @user-ix6gq4wu6o
    @user-ix6gq4wu6o Жыл бұрын

    방청하는분 사사로운질문은 여유시간에~~유투브듣는사람 짜증나

  • @shanggeunshim5919
    @shanggeunshim59193 ай бұрын

    개인을 상대로 강의하시는 건 아닌거 같은데 왜 수강자가 강의도중 자주 맥을 끊고 질문을 하시는지....질의응답은 강의 후에 하는 것이 예의 아닌가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