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보는 명강의, 다니엘 연대기 길라잡이 (시대적 배경, 에스더, 아하수에로, 다리오왕, 포로기) with 김명현 박사(성경과학연구소)

김명현 박사의 다시보는 명강의 시리즈
성경과학연구소(153쉴터교회 부속 연구소) 사역에 동참하여주심에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헌금 및 후원을 통하여 이 사역이 유지될 수 있어서 감사드립니다.
국민은행 031601-04-224052 (예금주: 153쉴터교회, 기부금 영수증 발급 가능)
우리은행 1005-801-755362 (예금주: 도서출판 성경과학 김명현)
Paypal : biblescience153@gmail.com
더 많은 자료들과 공지사항을 원하신다면
성경과학연구소 홈페이지(www.biblescience.org/purchase)에서 열람 또는 구매가능하며
네이버 카페 153쉴터교회( cafe.naver.com/153shelter )에 실명가입하시면 열람 가능합니다.
문의: 02-745-2701(성경과학연구소) 또는 02-745-0153(153쉴터교회)

Пікірлер: 146

  • @jase7963
    @jase7963Ай бұрын

    인간이 찾아내고 정한것들에는 불완전며 오류와 시행착오가 일어날수밖에 없는거 같습니다 오직 변치않는 성경의 진리만이 하나님을 거듭 증거할뿐입니다.

  • @user-zp8dc7qh7h
    @user-zp8dc7qh7h3 ай бұрын

    덕분에말씀이이해가마니마니되었어요 감사합니다 최곱니다

  • @user-qw5tu2be7o
    @user-qw5tu2be7oАй бұрын

    잘했어요.

  • @myungha2496
    @myungha24962 жыл бұрын

    김명현박사님 강의는 최고명강의이십니다 머리에 쏙쏙 들어오는...많은분들이 듣고 하나님 의 뜻을 더욱 깊이 깨닫길 간구하며 박사님에게 더욱 충만한지혜로 더하소서

  • @End_Tree2048

    @End_Tree2048

    Жыл бұрын

    다니엘서를 안식일교와 똑같은 방식으로 연대기만 바꿔서 풀어가시는데 심지어 다니엘9장25절의 기름부음 받은자가 예수님이 아니라 폼페이 왕으로 해석하시는 분 교수님은 창조과학까지만 강의 하셨더라면 좋았을텐데 선을 넘으시더군요

  • @End_Tree2048

    @End_Tree2048

    Жыл бұрын

    모든 성서학자들이 다니엘7장의 네짐승을 2장의 금신상에 억지로 끼워 넣고 있습니다 다니엘2장의 금신상의 머리는 분명히 느브갓네살왕이라고 2장38절에 기록되있습니다 "왕은 곧 그 금머리니이다" 다니엘7장은 느브갓네살의 아들 벨사살때 꿈에서 본 환상이라고 말하고 있고 "그 네 큰 짐승은 네 왕이라 세상에 일어날 것이로되" 다니엘 7:17 ​ 라고 앞으로 나올 왕이라고 분명히 느브갓네살 이후의 미래형으로 기록되 있습니다 ​다니엘7장1절과 17절을 간과한 나머지 다니엘2장의 금신상에 빗대어 해석하는 비틀어진 성경해석은 큰 문제가 생깁니다 모든 성서해석자들이1절과 17절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느브갓네살왕 이후에 본 이상인 7장은 1절 느브갓네살왕의 아들 벨사살 원년에 본 이상인데 어째서 17절에서는 네 짐승이 느브갓네살과 벨사살 이후 미래에 일어날 왕들이라고 기록되 있을까요 그러므로 네 짐승을 금신상에 끼워 넣는 행위는 억지해석일 수 밖에 없습니다 고로 교수님의 안식일교식 연대기 끼워맞추기 해석법은 다른 해석도 아닌 완전히 틀린해석이라 봅니다

  • @user-tn1wc8ou3n
    @user-tn1wc8ou3n2 жыл бұрын

    김명현박사님 넘 은혜롭습니다!👍

  • @End_Tree2048

    @End_Tree2048

    Жыл бұрын

    모든 성서학자들이 다니엘7장의 네짐승을 2장의 금신상에 억지로 끼워 넣고 있습니다 다니엘2장의 금신상의 머리는 분명히 느브갓네살왕이라고 2장38절에 기록되있습니다 "왕은 곧 그 금머리니이다" 다니엘7장은 느브갓네살의 아들 벨사살때 꿈에서 본 환상이라고 말하고 있고 "그 네 큰 짐승은 네 왕이라 세상에 일어날 것이로되" 다니엘 7:17 ​ 라고 앞으로 나올 왕이라고 분명히 느브갓네살 이후의 미래형으로 기록되 있습니다 ​다니엘7장1절과 17절을 간과한 나머지 다니엘2장의 금신상에 빗대어 해석하는 비틀어진 성경해석은 큰 문제가 생깁니다 모든 성서해석자들이1절과 17절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느브갓네살왕 이후에 본 이상인 7장은 1절 느브갓네살왕의 아들 벨사살 원년에 본 이상인데 어째서 17절에서는 네 짐승이 느브갓네살과 벨사살 이후 미래에 일어날 왕들이라고 기록되 있을까요 그러므로 네 짐승을 금신상에 끼워 넣는 행위는 억지해석일 수 밖에 없습니다 고로 교수님의 안식일교식 연대기 끼워맞추기 해석법은 완전히 틀린해석이라 봅니다

  • @Lovehongsarang
    @Lovehongsarang2 жыл бұрын

    주안에서 영육간에 강건하시고 천국에서 뵈어야하고 하시는일이 잘되기를 소망합니다.

  • @user-wq6zt1mz6d
    @user-wq6zt1mz6d2 жыл бұрын

    강의 넘 감사합니다 경종 입니다

  • @eve6187
    @eve61872 жыл бұрын

    아멘 🙏감사합니다 😀

  • @user-ne2ts9ho3u
    @user-ne2ts9ho3u Жыл бұрын

    김명현박사님~ 이제서야 김박사님을 알게 되었네요 하나님께 무한감사드립니다 정말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언제나 하나님 복많이 받으세요 사랑하고 축복합니다 ❤️❤️❤️ 성경에 있는 하나님 말씀이 진리 그대로 선명하게 와닿습니다 오~ 새삼 놀라워라 우리의 사랑하는 하나님!!!!!!! 무한감사합니다 아멘아멘아멘 .

  • @Sunpower63

    @Sunpower63

    Жыл бұрын

    😊😊😊😊😊😊😊😊😊😊😊😊😊😊😊😊😊😊😊😊

  • @monster7129
    @monster71292 жыл бұрын

    말씀을 더 은혜롭게 깨달을수 있게 해주셨습니다 엄청난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 @user-ec6jp8gm5c
    @user-ec6jp8gm5c2 жыл бұрын

    주님만 찬양합니다.

  • @user-fv9rz8vs8t
    @user-fv9rz8vs8t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instant42
    @instant422 жыл бұрын

    박사님 감사드립니다 ^^ 열심히 공부 하겠습니다.

  • @user-tj8gz2sy4t
    @user-tj8gz2sy4t Жыл бұрын

    이렇게쉽게-표--와---대박-너무알고싶은세계사와-쉽게풀어주신 예수님께감사드리고 박사님께무한감사드림니다-이제야알았습니다--이렇게귀한강의를요

  • @yss-oq3qy
    @yss-oq3qy Жыл бұрын

    유진 폴스틱 선생님의 성경역사 검증에 대한 업적과 이를 세상에 널리 전하는 사명을 감당하고 계신 김명현 박사님은 하나님의 섭리에 따라 소명의식을 실천하고 계시는 분들이라 생각됩니다. 두 분과 협력하는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이러한 일들을 주장하시는 하나님께 감사와 영광 올려드립니다. 할렐루야!!!

  • @End_Tree2048

    @End_Tree2048

    Жыл бұрын

    모든 성서학자들이 다니엘7장의 네짐승을 2장의 금신상에 억지로 끼워 넣고 있습니다 다니엘2장의 금신상의 머리는 분명히 느브갓네살왕이라고 2장38절에 기록되있습니다 "왕은 곧 그 금머리니이다" 다니엘7장은 느브갓네살의 아들 벨사살때 꿈에서 본 환상이라고 말하고 있고 "그 네 큰 짐승은 네 왕이라 세상에 일어날 것이로되" 다니엘 7:17 ​ 라고 앞으로 나올 왕이라고 분명히 느브갓네살 이후의 미래형으로 기록되 있습니다 ​다니엘7장1절과 17절을 간과한 나머지 다니엘2장의 금신상에 빗대어 해석하는 비틀어진 성경해석은 큰 문제가 생깁니다 모든 성서해석자들이1절과 17절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느브갓네살왕 이후에 본 이상인 7장은 1절 느브갓네살왕의 아들 벨사살 원년에 본 이상인데 어째서 17절에서는 네 짐승이 느브갓네살과 벨사살 이후 미래에 일어날 왕들이라고 기록되 있을까요 그러므로 네 짐승을 금신상에 끼워 넣는 행위는 억지해석일 수 밖에 없습니다 고로 교수님의 안식일교식 연대기 끼워맞추기 해석법은 완전히 틀린해석이라 봅니다

  • @junsoyoung9404

    @junsoyoung9404

    Жыл бұрын

    그럼 김명현교수님 성경해석이 틀렸다면 본인이 한번 해보세요.

  • @End_Tree2048

    @End_Tree2048

    Жыл бұрын

    @@junsoyoung9404 틀린건 틀린겁니다 뭘 더 바라세요 위와 같이 분명한 {말씀}이 있으니 그 앞에서 겸손하라는겁니다 또 그 모든 편지에도 이런 일에 관하여 말하였으되 그 중에 알기 어려운 것이 더러 있으니 무식한 자들과 굳세지 못한 자들이 다른 성경과 같이 그것도 억지로 풀다가 스스로 멸망에 이르느니라 (벧후3:16) 김명현교수는 자신이 주장하는 연대기에 억지로 끼워맞추기 위하여 다니엘9장의 기름부음받은자를 예수님이 아닌 폼페이 왕이라고 까지 망령된 주장도 서슴없이 하고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늘 바뀔수 있는 연대기는 진리가 아닙니다 성경이 진리이지 진리도 아닌 연대기에 진리의 말씀을 마구잡이 억지 끼워맞추는 행위는 이단적 행위입니다 위와같이 연대기에 억지로 예언끼워 맞추기 하다 안식일예수재림교가 1844년도에 예수님이 재림한다고 하다 난리가 났던겁니다

  • @TheButterPrince

    @TheButterPrince

    2 ай бұрын

    ​@@End_Tree2048 안식일이라고 다 틀릴건인 가요? 그냥 해석법이 틀렸다 하면 될거를 도대체 여기서 안식교를 왜 들먹이는지?

  • @user-bm1wp8ku3k
    @user-bm1wp8ku3k Жыл бұрын

    수고에 감사합니다

  • @KM-ss4lx
    @KM-ss4lx2 жыл бұрын

    김박사님 화이팅 해외입니다.

  • @user-ye7uq5rq9p
    @user-ye7uq5rq9p2 жыл бұрын

    성경의 역사를 바로 잡는 사명을 잘 감당하시기를 간절히 기도합니다. 언제들어도 가슴벅차오르네요~^^

  • @woong8854
    @woong8854 Жыл бұрын

    요즘 김명현박사님 영상이 좋아서 모든영상을 다 정독하는데 너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End_Tree2048

    @End_Tree2048

    Жыл бұрын

    모든 성서학자들이 다니엘7장의 네짐승을 2장의 금신상에 억지로 끼워 넣고 있습니다 다니엘2장의 금신상의 머리는 분명히 느브갓네살왕이라고 2장38절에 기록되있습니다 "왕은 곧 그 금머리니이다" 다니엘7장은 느브갓네살의 아들 벨사살때 꿈에서 본 환상이라고 말하고 있고 "그 네 큰 짐승은 네 왕이라 세상에 일어날 것이로되" 다니엘 7:17 ​ 라고 앞으로 나올 왕이라고 분명히 느브갓네살 이후의 미래형으로 기록되 있습니다 ​다니엘7장1절과 17절을 간과한 나머지 다니엘2장의 금신상에 빗대어 해석하는 비틀어진 성경해석은 큰 문제가 생깁니다 모든 성서해석자들이1절과 17절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느브갓네살왕 이후에 본 이상인 7장은 1절 느브갓네살왕의 아들 벨사살 원년에 본 이상인데 어째서 17절에서는 네 짐승이 느브갓네살과 벨사살 이후 미래에 일어날 왕들이라고 기록되 있을까요 그러므로 네 짐승을 금신상에 끼워 넣는 행위는 억지해석일 수 밖에 없습니다 고로 교수님의 안식일교식 연대기 끼워맞추기 해석법은 완전히 틀린해석이라 봅니다

  • @user-vu9hc2mu2c
    @user-vu9hc2mu2c Жыл бұрын

    오랫만에 다시 듣는데도 강의가 잼나고 놀랍습니다. 어려운 내용을 쉽게 가르쳐 주십니다. 김명현박사님 강의 대부분 들었는데 놀라운게 한두개가 아니네요. 감사합니다.

  • @End_Tree2048

    @End_Tree2048

    Жыл бұрын

    김명현교수의 다니엘강의 문제점의 심각성은 이런겁니다 다니엘서를 안식일교와 똑같은 방식으로 자신이 새로 만들어낸 연대기에 바꿔서 풀어가시는데 다니엘9장25절의 기름부음 받은자가 예수님이 아니라 폼페이 왕으로 해석하시는 분 문제의 심각성은 자신이 새로 만든 그 연대기가 진리냐는거겠죠 진리의 말씀을 불확실한 연대기에 억지로 끼워맞추는 우를 범하고 있다는것에 개탄을 금치 못하겠더군요 김 교수님은 창조과학까지만 강의 하셨더라면 좋았을텐데 선을 넘으시더군요

  • @user-lh2sh3rn4d
    @user-lh2sh3rn4d Жыл бұрын

    박사님 모든연구자료를 책으로 만들면안될까요 너무 좋아요 우리젊은 분들이 너무잘이해할수있게 또 하나님께서 분명하게 인간과 세계모든것을 지으시고 창조하신걸 확실하게 알려주는 강의 같아요 넘재미있고 교수님 유머도넘치고 재미있어요

  • @End_Tree2048

    @End_Tree2048

    Жыл бұрын

    모든 성서학자들이 다니엘7장의 네짐승을 2장의 금신상에 억지로 끼워 넣고 있습니다 다니엘2장의 금신상의 머리는 분명히 느브갓네살왕이라고 2장38절에 기록되있습니다 "왕은 곧 그 금머리니이다" 다니엘7장은 느브갓네살의 아들 벨사살때 꿈에서 본 환상이라고 말하고 있고 "그 네 큰 짐승은 네 왕이라 세상에 일어날 것이로되" 다니엘 7:17 ​ 라고 앞으로 나올 왕이라고 분명히 느브갓네살 이후의 미래형으로 기록되 있습니다 ​다니엘7장1절과 17절을 간과한 나머지 다니엘2장의 금신상에 빗대어 해석하는 비틀어진 성경해석은 큰 문제가 생깁니다 모든 성서해석자들이1절과 17절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느브갓네살왕 이후에 본 이상인 7장은 1절 느브갓네살왕의 아들 벨사살 원년에 본 이상인데 어째서 17절에서는 네 짐승이 느브갓네살과 벨사살 이후 미래에 일어날 왕들이라고 기록되 있을까요 그러므로 네 짐승을 금신상에 끼워 넣는 행위는 억지해석일 수 밖에 없습니다 고로 교수님의 안식일교식 연대기 끼워맞추기 해석법은 완전히 틀린해석이라 봅니다

  • @vase-bijou6955

    @vase-bijou6955

    Ай бұрын

    벨사살은느브갓네실왕이7년간미쳐서들판에있을때재임한왕이고느브갓네살왕이그뒤정신이돌아온뒤복권된왕입니다

  • @yericho7148
    @yericho7148 Жыл бұрын

    유머감각이 있으셔서 즐겁게 잘 배웠어요!

  • @diablo4gospel
    @diablo4gospel Жыл бұрын

    다니엘서의 숫자들에 대한 설명을 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tg7ws1wm3v
    @user-tg7ws1wm3v2 жыл бұрын

    말씀 너무 좋습니다 궁금하고 도통 어떻게 되는건인지 이해 안가던 부분이었어요

  • @graft1514
    @graft1514 Жыл бұрын

    바로 배우는 기쁨!!! 감사합니다!!

  • @user-ht1hg1bw5f
    @user-ht1hg1bw5f Жыл бұрын

    언제나 말씀 감사드립니다 아멘

  • @user-bw9jc8mz1t
    @user-bw9jc8mz1t5 ай бұрын

    Shalom 🎉

  • @user-vm2po5to7z
    @user-vm2po5to7z Жыл бұрын

    와 ... 정말...👏👏

  • @user-gv6sb8pk1j
    @user-gv6sb8pk1j2 жыл бұрын

    모든강의 찾아서 매일 들으며 주변에도 열심히알리면서 세계적 바이블랜드 기도하며~교수님!감사합니다

  • @loveeachother2295

    @loveeachother2295

    Жыл бұрын

    아하수에로는 페르시아의 수도인 "수사(수산)"에서 즉위했습니다. 메대의 수도는 엑바타나 입니다. 따라서 아하수에로는 페르시아 제국의 왕이지 메디아의 왕이 아닙니다. 김명현 교수님은 창조론의 대가이지만 성경 연대기는 신학자들에게 맡겨야 할듯 합니다.

  • @End_Tree2048

    @End_Tree2048

    Жыл бұрын

    @@loveeachother2295 그렇게되면 에스더의 연대기가 전혀 안맞아요 기존 연대기로는 10대에서 20대의 에스더가 60대 할머니가 되더군요

  • @End_Tree2048

    @End_Tree2048

    Жыл бұрын

    @@loveeachother2295 아하수에로는 왕의 이름이 아니라 왕의 호칭 중 하나로 봐야한다고 하더군요

  • @End_Tree2048

    @End_Tree2048

    Жыл бұрын

    @@loveeachother2295 김명현교수의 다니엘강의 문제점의 심각성은 그런게 아니라 이런겁니다 다니엘서를 안식일교와 똑같은 방식으로 자신이 새로 만들어낸 연대기에 바꿔서 풀어가시는데 다니엘9장25절의 기름부음 받은자가 예수님이 아니라 폼페이 왕으로 해석하시는 분 문제의 심각성은 자신이 새로 만든 그 연대기가 진리냐는거겠죠 진리의 말씀을 불확실한 연대기에 억지로 끼워맞추는 우를 범하고 있다는것에 개탄을 금치 못하겠더군요 김 교수님은 창조과학까지만 강의 하셨더라면 좋았을텐데 선을 넘으시더군요

  • @loveeachother2295

    @loveeachother2295

    Жыл бұрын

    @@End_Tree2048 에스더는 페르시아의 아하수에로의 왕비입니다. 아하수에로는 바사의 수도인 수산에서 즉위하였습니다.(에 1:2) 히브리어 원문을 잘 해석하면 모르드개가 여호야긴(여고냐) 때에 포로로 잡혀온게 아니라 증조부 기스때 잡혀온 것입니다. 따라서 기존의 신학자들 연대기가 맞습니다.

  • @myeongjung9715
    @myeongjung9715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정말 감사해요 에스라와 느헤미야에 나오는 아닥사스다왕 때문에 난감했었는데 이렇게 명쾌하게 풀어주시니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만난 기분입니다 할렐루야

  • @loveeachother2295

    @loveeachother2295

    Жыл бұрын

    아니에요. 전통 견해가 맞습니다.

  • @user-jl4er5xp1z

    @user-jl4er5xp1z

    Жыл бұрын

    에스더는 페르시아 제국의 왕후입니다. 그런데..남편이 어떻게 메대사람 다리오가 됩니까.

  • @jaedongumkim4294
    @jaedongumkim42942 жыл бұрын

    muchas gracias

  • @user-tj8gz2sy4t
    @user-tj8gz2sy4t Жыл бұрын

    그림이있어서-너무재미있고 알기쉽고 대박이예요

  • @shaunsh33p
    @shaunsh33p Жыл бұрын

    귀한사역 하십니다

  • @mijeongchoi198
    @mijeongchoi1982 жыл бұрын

    와 감사합니다

  • @d0nghoon
    @d0nghoon2 жыл бұрын

    🙏

  • @user-cu1of5dc2r
    @user-cu1of5dc2r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더 많은 그리스도인이 들었음해요

  • @user-df8fv1oo5p
    @user-df8fv1oo5p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역사하시는 하나님! 할렐루야!

  • @user-eq2om5bn1f
    @user-eq2om5bn1f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놀라운 진실

  • @yoonheejung2355
    @yoonheejung23552 жыл бұрын

    성경에 너무 무식했어요. (대표적으로 성경을 덮어놓고 믿었습니다) 감사합니다.박사님. 하나님께서 얼마나 기쁘실까요 항상 건강하세요

  • @user-eq7ic1iq9y
    @user-eq7ic1iq9y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합니다

  • @davidyang8550
    @davidyang85502 жыл бұрын

    이제야 유대 랍비해석이 이해가 가네요. 유대인들이 좋아할 듯 요 김명현 박사님 강의는 유태 랍비들 해석과 일치하는 부분들, 그들이 궁금하던 부분들에 대한 해답을 줍니다 아무 도움 없이 '신바벨로니아 - 메디아 - 페르시아' 시기에 부딪혀 본 사람은 이 강의의 진가를 이해할 수 있을 것 입니다.

  • @user-dx5ug4dm7k

    @user-dx5ug4dm7k

    2 жыл бұрын

    하나님의 섭리, 이스라엘의 역사를 알고, 예언의 성취를 정확히 밝히는 강의. 감하함.

  • @kaifengking

    @kaifengking

    2 жыл бұрын

    유대인들은 궁금할게 없는데?;

  • @user-hp7zb2mm9e
    @user-hp7zb2mm9e3 ай бұрын

    에스더 2장6절 잘 연구해주세요.

  • @SoonSJarng
    @SoonSJarng2 жыл бұрын

    에스더 왕비가 메데인 다리오왕의 왕비라고 한다면, 문제가 생깁니다. 다니엘은 메데인 다리오 왕 시대와 그 다음 고레스 왕 때까지 총리의 자리에 있었고 다리오 왕 때에 사자굴에 들어가는 핍박도 받게 되는데, 에스더 서에는 총리 다니엘의 존재감이 없기 때문입니다. 역사적으로 바벨로니아는 메데와 페르시아 연합군에 의해 멸망당하게 되었고, 페르시아인 고레스는 메데인 다리오를 바벨로니아 멸망의 혼란기 때에 임시적으로 왕으로 세웠다가, 얼마 되지 않아 자신이 메데와 페르시아를 통합한 왕으로 등극합니다. 연대기로 살펴봐도 다리오 왕의 통치 기간은 길지 않았는데, 페르시아가 메데인에게 통치권을 오래동안 허락하기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 @user-qp9pc7ye6u

    @user-qp9pc7ye6u

    2 жыл бұрын

    다리오 는 왕이라는 칭호지 이름이 아니라네요 그래서 중복되어 자주 왕왕 나온다네요

  • @Chaedson2023

    @Chaedson2023

    Жыл бұрын

    @@user-qp9pc7ye6u 근거는요?

  • @user-yb8td1sw7o

    @user-yb8td1sw7o

    Жыл бұрын

    저도 메대의 다리오는 아닌거로 알고 있습니다. 이 부분이 이상해서 댓글 들어와서 보고있었습니다

  • @user-te5wk1ly8c
    @user-te5wk1ly8c3 ай бұрын

    모르드게 증조할아버지 기스가 여호야긴 때 포로로 잡혀온 분입니다. 따라서 기스의 증손 모르드게는 페르스아 크세르크세스 때 사람이 맞아요~~

  • @syuon777
    @syuon777 Жыл бұрын

    이 귀한 강의를 방에서 듣는 시대에 살고 있네요. 감사합니다~

  • @End_Tree2048

    @End_Tree2048

    Жыл бұрын

    모든 성서학자들이 다니엘7장의 네짐승을 2장의 금신상에 억지로 끼워 넣고 있습니다 다니엘2장의 금신상의 머리는 분명히 느브갓네살왕이라고 2장38절에 기록되있습니다 "왕은 곧 그 금머리니이다" 다니엘7장은 느브갓네살의 아들 벨사살때 꿈에서 본 환상이라고 말하고 있고 "그 네 큰 짐승은 네 왕이라 세상에 일어날 것이로되" 다니엘 7:17 ​ 라고 앞으로 나올 왕이라고 분명히 느브갓네살 이후의 미래형으로 기록되 있습니다 ​다니엘7장1절과 17절을 간과한 나머지 다니엘2장의 금신상에 빗대어 해석하는 비틀어진 성경해석은 큰 문제가 생깁니다 모든 성서해석자들이1절과 17절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느브갓네살왕 이후에 본 이상인 7장은 1절 느브갓네살왕의 아들 벨사살 원년에 본 이상인데 어째서 17절에서는 네 짐승이 느브갓네살과 벨사살 이후 미래에 일어날 왕들이라고 기록되 있을까요 그러므로 네 짐승을 금신상에 끼워 넣는 행위는 억지해석일 수 밖에 없습니다 고로 교수님의 안식일교식 연대기 끼워맞추기 해석법은 완전히 틀린해석이라 봅니다

  • @alsrlfkd1127
    @alsrlfkd11272 жыл бұрын

    박사님 강의 끝까지 잘 봤습니다..!!👍🏻 에스더와 여러가지 연대 측면에서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고 한 것 좋았고 충분히 이해가 됐습니다~ 허나, “왜 왕들의 이름을 통일해서 부르지 않았는가?”는 그냥 “왕의 이름을 다르게 부르는 것이 가능했다” 정도가 아니라 역사적으로 그 당시에 다리오와 아닥사스다왕이 동일인물이라는 증거들이 좀 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연대측정의 접근 뿐 아니라, 자료들이 좀 더 증거제시에 쓰여졌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어렵겠지만.. 두 번째는 1:10:40에서 본문의 메시아를 왜 ‘대제사장’으로 해석해야 하는건지에 대한 논리가 또 연대로만 묶어져 있는데 충분한 성격적 근거제시가 필요한 부분 같습니다. 세 번 째로는 ‘고레스 왕의 칭호’에 대해 ‘바벨론왕’도 가능하다고 얘기하셨는데, 그 논리가 충분치 않습니다. 한반도의 과거에서 고려 다음에 조선이 이어졌다고 조선왕을 ‘고려왕’이라 칭하지 않는 것처럼 엄연히 바벨론과 메데와 페르시아가 다른 구성과 다른 정신과 다른 세대의 나라인데 “바벨론의 왕이라 칭하는 것이 문제가 없다”라고 얘기하고 넘어가기엔 좀 어려움이 있는 것 같네요

  • @alsrlfkd1127

    @alsrlfkd1127

    2 жыл бұрын

    핀트를 잘 못 맞추는 분들이 있을까봐 염려돼서 답글을 달자면 시비가 아니라, 충분한 논제제기 입니다 박사님이 놓치신 부분이 있으면 추가연구를 바라는 것이고, 아는데 설명을 안 한 부분이 있다면 다음 강의 땐 설명을 요구하는 의도입니다~~

  • @user-mz7os8kx4c

    @user-mz7os8kx4c

    2 жыл бұрын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이후에 올라가는 영상들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추후 질문에 대한 답변도 영상을 통해 나갈 기회가 있을 것입니다. 건설적인 제안 감사합니다

  • @jindongsub
    @jindongsub5 ай бұрын

    혹시 그러면 아스티아게스의 딸이며 고레스의 어머니인 만다네 공주는 에스더의 딸일수도 있겠네여? 그럼 고레스는 유대인?

  • @user-pl9qn2mv4z
    @user-pl9qn2mv4z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성경과 역사, 지리, 물리, 수학, 과학, 언어, 신학 등을 활용한 입체적인 명강의! 성경과학연구소의 좋은 강의 자료들을 책으로 출간되거나, 교육시 교육자료로 문서화 되어 널리 보급되고 알려지길 소망합니다. PS: 혹시 강의 유인물이나 책으로 판매되는 것들이 있는지요? 구매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jindongsub
    @jindongsub3 ай бұрын

    박사님 예수님께서 세상마지막에는 어떠냐는 제자들에 질문에 다니엘서를 언급한 장면이 나옵니다. 다니엘서가 다 풀렸다고 보기에는 예수님의 세상끝에서의 예언이 있는것은 아직 다니엘서 예언이 진행된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여?

  • @SoonSJarng
    @SoonSJarng2 жыл бұрын

    Est 2:7 저의 삼촌의 딸 하닷사 곧 에스더는 부모가 없고 용모가 곱고 아리따운 처녀라 그 부모가 죽은 후에 모르드개가 자기 딸같이 양육하더라. 유대 왕국이 망하면서 바벨로니아로 끌려가던 포로들 중에서 적지 않은 수가 도중에 죽었을 것으로 짐작하고, 형제가 죽으면 다른 형제가 그 혈육을 이어가던 시대였음을 이해할 때에, 에스더는 모르드개 삼촌의(דֹּד֔וֹ) 친 딸이라기 보다는, 삼촌의 후손의 딸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바른 것 같습니다.

  • @loveeachother2295

    @loveeachother2295

    Жыл бұрын

    히브리어 원문에 관계사를 잘 보시면 모르드개가 아니라 증조할아버지 기스가 여고냐(여호야긴)때 잡혀 왔습니다.

  • @user-dw6mi1gu8e
    @user-dw6mi1gu8e2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엔 번역의 오류로 볼 수 있을것같습니다. 에스더 2장 5~6절의 킹제임스 영어 버전입니다. 5 Now in Shushan the palace there was a certain Jew, whose name was Mordecai, the son of Jair, the son of Shimei, the son of Kish, a Benjamite; 6 Who had been carried away from Jerusalem with the captivity which had been carried away with Jeconiah king of Judah, whom Nebuchadnezzar the king of Babylon had carried away. (Esther 2:5-6, KJV) 6절의 who가 모르드개가 아니라 바로 앞에 있는 인물 kish 즉 기스와 연관된다면 여고냐와 함께 잡혀간 인물은 모르드개가 아니라 모르드개의 증조부인 기스가 됩니다. 그래서, 우리말 성경에는 아예 기스라고 나와 있기도 합니다.(물론 어떤 한글 성경에는 모르드개로 되어 있기도 합니다.) 5 그때 수산 왕궁에 한 유다 사람이 있었는데 그의 이름은 모르드개였고 베냐민 지파 사람으로 기스의 증손이며 시므이의 손자이며 야일의 아들이었습니다. 6 기스는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에서 유다 왕 여호야긴을 포로로 잡아 올 때 함께 포로로 잡혀 온 사람이었습니다. (에2:5-6, 우리말성경) 저 부분은 원어를 보고 유대인들이 어떻게 번역했는가를 참조해 보아야 하는데 히브리 원어 성경에도 6절에는 모르드개라는 말이 없습니다. 또 만약 모르드개가 다니엘과 같이 잡혀 갔다면 왜 메대 궁전에 있을까요? 논리적으로라면 느부갓네살 궁전에서 지내야 했을 것 같구요. 또 만약 모르드개가 다니엘과 같은 시대에 활약했다면 다니엘서 어딘가에 그 흔적이 남아 있는 것거나 에스더서 어딘가에 다니엘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있었어야 타당해 보입니다. 다니엘과 에스더, 모르드개는 비록 피지배 민족 이었으나 각각 매우 비중있는 위치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또 7장 이후의 내용을 읽어보면 가족 상황이 언급되는데, 예루살렘 멸망시 창졸간에 어린 나이에 잡혀 갔다면 조부와 삼촌 등등을 언급한 상황 설명은 조금 어색해 보입니다. 따라서, 모르드개의 증조부 기스때 잡혀가서 느부갓네살 시절을 보내고 메대-페르시아 제국을 거치면서 삼사대에 걸쳐 페르시아에서 자리를 잡은 베냐민 지파로 보는 것이 무리가 없어 보입니다. 그래서, 모르드개에 대한 설명이 바벨론 포로 이후 족보인 기스. 시므이. 아일. 모르드개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 아닐까요?

  • @loveeachother2295

    @loveeachother2295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히브리어 원문에 기스가 잡혀갔습니다.

  • @loveeachother2295

    @loveeachother2295

    Жыл бұрын

    @지원TV 5절 6절을 이어서 같이 보세요.

  • @loveeachother2295

    @loveeachother2295

    Жыл бұрын

    @지원TV 에스더가 메대왕의 부인이라는건 맞지 않습니다. 그럼 유대인이 다 죽게 생겼는데 총리인 다니엘은 뭐하고 있었답니까?

  • @user-fn4xe2ps1w
    @user-fn4xe2ps1w Жыл бұрын

    박사님 강의 여러편을 잘 보고 많은 감동과 은혜를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니엘서의 예언이 다 성취되었다라는 말에는 정말 동의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미 예수님 오시기 전에 70이레가 성취되었다는 말씀인데, 그럼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깁니다. 여기에 대한 박사님의 견해를 듣고 싶습니다. 마태복음 24장에 예수님께서 직접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15절에 그런즉 대언자 다니엘을 통해 말씀하신 바 황폐하게 하는 것이 거룩한 곳에 선 것을 보거든 그 때에 유대에 있는 자들은 산들로 도망할 지어다. (누구든지 읽는 자는 깨달을지어다) 제자들이 세상끝날에 대해 물었을 때, 예수님은 다가올 미래를 말씀하시면서 하신 말씀 입니다. 다니엘 70이레가 예수님 이전에 다 성취되었다면 할 수 없는 말입니다. 더구나, 다니엘서 9장 26절에 62이레 뒤에 메시야가 끊어질 터이나 자기를 위한 것은 아니니라. 장차 임할 통치자의 백성이 그 도시와 그 성소를 파괴하려니와 그것이 끝에는 홍수가 있을 것이며, 또 그 전쟁이 끝날 때까지 황폐하게 하는 것이 작정 되었느니라. 예수님 이전에 성소가 파괴당한 적은 있지만, 홍수가 있었다는 기록과 전쟁이 있었다는 기록은 없습니다. 오히려, 위의 내용을 뒷 받침하고 있는 기록은 주후 90~95년경에 요한이 밧모섬에서 예수님의 계시를 받아 기록한 요한계시록 12장 15절 이하에 " 뱀이 자기 입에서 여자의 뒤로 물을 홍수같이 내뿜어 그녀를 홍수에 떠내려가게 하려 하되, 땅이 여자를 도와 자기 입을 벌려 용이 그의 입에서 내뿜은 홍수를 삼키니 용이 여자에게 진노하여 그녀의 씨 중에서 남은 자들 곧 하나님의 명령들을 지키고 예수그리스도의 증언을 가진 자들과 전쟁을 하려고 가니라" 는 말씀이 더 강력하게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예루살렘의 멸망(주후70년)보다 더 늦게 쓰여진 것이 요한계시록이고 12장은 미래를 예언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이 외에도 다니엘의 내용을 뒷 받침하는 내용이 마태복음, 요한계시록, 구약, 신약서에 많이 있지만 지면상 생략하겠습니다. 다니엘의 마지막 1이레가 성취되었다면, 7년대환란, 그리고 다니엘서의 내용을 뒷받침하는 요한계시록의 여러 내용, 휴거, 한이레의 중간에 일어나는 적그리스도의 실질적 등장과 세계의 지배자, 성소의 파괴, 666등 많은 정통 교리들을 부정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다니엘서의 교리를 어떻게 해석하고, 요한 계시록을 달리 해석하였다 해서, 구원 받을 사람이 받지 못한다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많은 크리스쳔들이 혼란에 빠지고, 방황하고, 교회를 멀리하고, 신앙에서 흔들리지 않는 다는 보장도 없습니다. 이에 저는 박사님이 다른 여러 각도에서, 여러 경우의 수와, 역사적 문헌을 참조해서, 보다 신중하게 종말론을 연구해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 @user-vc8lt5us4c
    @user-vc8lt5us4c2 жыл бұрын

    원래 유튜브는 어디갔어요? 없어졌나요?

  • @user-te5wk1ly8c
    @user-te5wk1ly8c3 ай бұрын

    [다번역성경찬송] 우리말성경 에스더 2장 6. 기스는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에서 유다 왕 여호야긴을 포로로 잡아 올 때 함께 포로로 잡혀 온 사람이었습니다.

  • @davidpark6768
    @davidpark6768 Жыл бұрын

    (에스더 2:5~6) 도성 수산에 한 유다인이 있으니 이름은 모르드개라 그는 베냐민 자손이니 기스의 증손이요 시므이의 손자요 야일의 아들이라 / 전에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에서 유다 왕 여고냐와 백성을 사로잡아 갈 때에 모르드개도 함께 사로잡혔더라..(개역개정) Esther 2:5-6 NIV Now there was in the citadel of Susa a Jew of the tribe of Benjamin, named Mordecai son of Jair, the son of Shimei, the son of Kish, [6] 6 who had been carried into exile from Jerusalem by Nebuchadnezzar king of Babylon, among those taken captive with Jehoiachin a king of Judah. 에서 6절 시작 ,who(관계대명사)는 선행사가 모르드개가 아니라 기스(모르드개의 증조 할아버지)를 가르킵니다 Esther 2:5-7 NKJV In Shushan the citadel there was a certain Jew whose name was Mordecai the son of Jair, the son of Shimei, the son of Kish, a Benjamite. [6] Kish had been carried away from Jerusalem with the captives who had been captured with Jeconiah king of Judah, whom Nebuchadnezzar the king of Babylon had carried away. 에서는 6절에 기스가 여고냐와 같이 포로가 되었다고 합니다. 히브리어 성경에도 모르드개가 아니라 기스라고 기록되었네요

  • @loveeachother2295

    @loveeachother2295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히브리어 원문에 모르드개의 증조부 기스가 포로로 잡혀 왔습니다. 에스더는 바사 아하수에로의 왕비입니다.

  • @davidpark6768

    @davidpark6768

    Жыл бұрын

    @지원TV ,who 용법을 알아보시고 NKJV도 확인부탁드립니다. 이것을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이라 한다죠? 언어감각이 아니라.ㅠㅠ Now there was a Jew in Susa the citadel whose name was Mordecai, the son of Jair, son of Shimei, son of Kish, a Benjaminite, who had been carried away from Jerusalem among the captives carried away with Jeconiah king of Judah, whom Nebuchadnezzar king of Babylon had carried away.(ESV)..에서 son of Kish, a Benjaminite(기스의 가문, 베냐민), who(계속적 용법: 선행사는 Kish...)

  • @loveeachother2295

    @loveeachother2295

    Жыл бұрын

    아하수에로는 페르시아의 수도인 "수사(수산)"에서 즉위했습니다. 메대의 수도는 엑바타나 입니다. 따라서 아하수에로는 페르시아 제국의 왕이지 메디아의 왕이 아닙니다.

  • @davidpark6768

    @davidpark6768

    Жыл бұрын

    @지원TV (CSB) Esther 2:5-6 CSB In the fortress of Susa, there was a Jewish man named Mordecai son of Jair, son of Shimei, son of Kish, a Benjaminite. [6] Kish a had been taken into exile from Jerusalem with the other captives when King Nebuchadnezzar of Babylon took King Jeconiah of Judah into exile.

  • @loveeachother2295
    @loveeachother2295 Жыл бұрын

    에스더는 페르시아의 아하수에로의 왕비입니다. 아하수에로는 바사의 수도인 수산에서 즉위하였습니다.(에 1:2) 히브리어 원문을 잘 해석하면 모르드개가 여호야긴(여고냐) 때에 포로로 잡혀온게 아니라 증조부 기스때 잡혀온 것입니다. 따라서 기존의 신학자들 연대기가 맞습니다.

  • @cheonanjoongbu

    @cheonanjoongbu

    Жыл бұрын

    저도 계속 의아했습니다 에스더 1장 1절에 인도에서 에티오피아까지 다스린 왕이라 써있는데 메데 나라 왕이면 안 맞다 생각했습니다

  • @swbaek1214

    @swbaek1214

    Жыл бұрын

    @@cheonanjoongbu 대단한 지적입니다...

  • @user-yb8td1sw7o

    @user-yb8td1sw7o

    Жыл бұрын

    저도 크세르크세스로 알고 있었는데 오잉? 했어요

  • @user-jl4er5xp1z

    @user-jl4er5xp1z

    Жыл бұрын

    에스더는..페르시아 제국의 왕후 입니다. 남편이 메대사람 다리오가 될수 없지요.

  • @user-hp7zb2mm9e

    @user-hp7zb2mm9e

    3 ай бұрын

    에스더 2장 6절 원문으로 잘 해석해 주시면 좋겠네요.

  • @joungsunchoi2372
    @joungsunchoi23722 жыл бұрын

  • @junpark8085
    @junpark8085Ай бұрын

    8장 24절 2300 주야에대한 해석을 부탁드립니다.

  • @cheonanjoongbu
    @cheonanjoongbu Жыл бұрын

    고레스가 바벨론 점령 전에 1차 포로 귀환시켰다 하셨는데 바벨론에 있던 성전기물이 (벨사살이 가지고 놀던) 페르시아에 있었던 이유가 궁금합니디

  • @user-xw5fw3pt3s
    @user-xw5fw3pt3s2 жыл бұрын

    하나님과함께한지 14년된 시람입니다 하나님께선 지금 대한민국에 계십니다 메시아란 하나님과함께하는사람을말합니다 하나님께서 사람을통해 말씀하시는것은 그사람과함께하고있기때문입니다

  • @End_Tree2048

    @End_Tree2048

    Жыл бұрын

    14년이나 믿으면서 성경을 영지주의로 해석하고 있네요 그러다가 이만희나 안상홍 정명석 같이 이상한 쪽으로 흘러갑니다

  • @hl3053
    @hl30532 жыл бұрын

    아멘! 이곳이 김명현박사님 공식채널인가요? 창조론과 진화론에 대한 전체 연구와 강의 내용을 처음부터 연속으로 듣고 배우고자 한다면, 어떻게 하면 되는지요?

  • @user-mz7os8kx4c

    @user-mz7os8kx4c

    2 жыл бұрын

    재생목록에 보시면 성경과학입문강의 와 성경과학아카데미 풀영상에 70여개의 동영상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 @hl3053

    @hl3053

    2 жыл бұрын

    @@user-mz7os8kx4c 김명현박사님 공식채널은 따로 없으신가요? 혹시 김명현박사님과 따로 연락하거나 만날수 있나요?

  • @user-vp7jt9tn9d
    @user-vp7jt9tn9d Жыл бұрын

    aster와 비슷한 글자로 별이라는 뜻의 astro가 있어요

  • @starmoon7158
    @starmoon7158 Жыл бұрын

    확실한 길라잡이 하나님께서 도와주실줄 믿습니다.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lm4mg7mi4v
    @user-lm4mg7mi4v2 жыл бұрын

    노아 욥 다니엘 이 분들 하나님께서 자랑 할만한 분들 이다 욥은 이스라엘 인은 아니다 이 분들의 특기는 기도를 많이 하시는 분들 이다 모세나 다윗도 여기에 포함 하지 못한 거다 신약 성경 나는 나무요 너희는 가지라 주께서 하신 말씀이다 기도로 늘 붙어 있으라는 교훈 이다

  • @SoonSJarng
    @SoonSJarng2 жыл бұрын

    BC 520년에 선지자 학개와 잇도의 손자 스가랴가 성전 재건을 예언하였습니다 (스 5:1, 학 1:1). 다리오 1세 2년(BC 520년)에 예루살렘에서 성전 건축이 재개되었습니다 (스 4:24). 성전 재건은 다리오 1세 6년 (BC 516년)에 완료되었습니다 (스 6:15). ..... 페르시아 왕, 아닥사스다 1세 (BC465-BC424 Artaxerxes I, 느1:1) 왕은 통치 초기에 이스라엘의 성읍과 성벽 건설을 금하고 건축을 금지하라는 사마리아인의 명령을 받아들였습니다 (스 4:17-23). 아닥사스다 1세 통치 7년 (BC 458)에 그는 에스라 (BC 480 - BC 440)를 예루살렘으로 보내 율법을 가르치게 합니다 (스 2:2, 7:1, 7:8). 그 후 아닥사스다 1세 통치 20년(BC 445)에 느헤미야를 예루살렘 총독으로 삼고 (느헤미야 5:1), 포로의 3차 귀환을 이끌고(BC 444), 제2성전 시대에 성벽을 쌓게 하였습니다. (BC 516- AD70, 느 2:1-9). 에스라와 느헤미야는 같은 시대에 살았습니다(스 10:6, 느 3:1(엘리아십(Eliasib) 참조)). .... 에스더가 메데인 다리오의 왕비라는 전제 하에서, 성경 전체의 흐름을 다르게 해석하시고 있는데요, 성전 건축과 성벽 건축은 다른 시대의 사건이었습니다.

  • @loveeachother2295

    @loveeachother2295

    Жыл бұрын

    네, 맞습니다. 에스더도 페르시아의 아하수에로의 왕비입니다. 아하수에로는 바사의 수도인 수산에서 즉위하였습니다.(에 1:2) 히브리어 원문을 잘 해석하면 모르드개가 여호야긴(여고냐) 때에 포로로 잡혀온게 아니라 증조부 기스때 잡혀온 것입니다. 따라서 기존의 신학자들 연대기가 맞습니다.

  • @swbaek1214

    @swbaek1214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 @bungabbang5974
    @bungabbang59742 жыл бұрын

    마태와 마가복음에 마태(24장)/마가(13장) 예수님께서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이래로 이런날이 없을것이라 하신 큰 환날 날 곧 마지막날에 대하여 말씀하신 부분은 (다니엘서의 멸망의 가증한것이 거룩한곳에 선다)다니엘서의 마지막 한 이레속에 나오는 말씀인데 그렇다면 다니엘서의 한 이레는 마지막때라고 보는 세대주의적 해석이 더 옳아보이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사랑합니다 김명현 박사님

  • @bungabbang5974

    @bungabbang5974

    2 жыл бұрын

    예를들어 마태 24장에 그날에 대하여 말씀하시길 (마태 24장 14절)복음이 온천하에 전파되어야 한다하시고 (다니엘서 9장 27절) 말씀을 마지막때의 징조로 말씀하십니다 (마태24장 15절) 고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 @swbaek1214

    @swbaek1214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 @user-koreaman
    @user-koreaman2 жыл бұрын

    역사를 바꾸고 성경의 오해를 푸는 위대한 발견이네요. 에스더서에서 아하수에로 라는 대왕 칭호를 쓰던 메대인 다리오(에스더의 남편)가 패망 후 고레스의 외삼촌으로서 분봉왕으로 임명될 때에는 아하수에로의 아들이라 평가절하되었네요. 메대는 문화강국으로서 미개한 바사를 개발하고 이끌고서 강력한 제국을 형성하였습니다. 메대가 쓰던 아하수에로 라는 왕의 호칭을 친족인 바사 왕들도 사용하여 캄비세스2세까지는 사용하다가 귀족출신의 왕인 다리우스1세 때부터 아하수에로를 버리고 아닥사스다라고 칭했는데 이게 오래되다보니 왕의 이름 자체를 아닥사스다(아르타크세르크세스) 라고 부르는 지경까지 된것 같습니다. 캄비세스 2세는 교만하여 비서들을 두지않고 통치를 하다가 이집트 정복 후 귀국하다가 신관의 우두머리이자 실권자인 가우마타의 함정에 빠져 암살을 당한것 같습니다.

  • @tv-jn2jp
    @tv-jn2jp2 жыл бұрын

    그럼, 당시의 1년을 360일로 여겼다는 점으로 해석하신 내용인지요~?

  • @user-dy2hs5gr1h
    @user-dy2hs5gr1h4 ай бұрын

    고레스왕 전에 다리오는 고레스 외할아버지 인가요?

  • @ginysong1431
    @ginysong143111 ай бұрын

    박사님 벨사살은 느부갓네살의 손자이고, 느부갓네살 미친 시절 대리 통치 왕은 다른 왕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Fact check 부탁드립니다

  • @user-sx3gl8cq7w
    @user-sx3gl8cq7w Жыл бұрын

    ㅡ실제하느님 ㅡ 숙제? 인간에 혼의 구성물질은? 김교수는 하늘에서 지키라합니다! 지식은 도적도 못 훔쳐갑니다! ㅡ실제하느님 ㅡ 세속명 이명종

  • @user-oq2wn8wj8f
    @user-oq2wn8wj8f7 ай бұрын

    저는 목사안수 받을때 흰돌 계시은사 능력을 받았다. 받을때 여러 수백억짜리입니다 감탄하면서받았다.계2:17. -주님께서 금년3월15자 새벽에 7년대환난기 도표로 전3년중에 상징적으로 7년중에 성도들을 비유해 단백질 식물 고사리가 땅속에서 솟아나서 공중으로 휴거되는것과 후3년중에 상징적 비유해 큰 무우 머리에 줄기 열개가 나왔어 열뿔 열왕이되어 철과흙속에서 작은뿔이 적그리스도가 나타나 성도들을 핍박하는것 계시로 보여 주셨다.깨어 있으라 때를 따라 양식을 공급해라는 말씀을 주셨다. 단2,7장.마태24:40-51,계2:17, 성령기도원 김에스겔목사.

  • @user-rc2ck8dq3o
    @user-rc2ck8dq3o6 ай бұрын

    다른부분들은 좀더 공부해보겠지만 느헤미야 부분에서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느헤미야 서의 느헤미야 총독이 에스라 2장과 느헤미야 7장에 나오는 예루살렘으로 귀환한 스룹바벨 예수아 느헤미야 에 나오는 느헤미야라고 설명하시고 또 이들이 어렸을때 바벨론으로 잡혀간 이들로 이해하시는데 물론 느헤미야 7장 6절 표현만보면 오해할수도 있지만 에스라 2장 1절에서는 바벨론으로 갔던자들의 자손들중에서 놓힘을 받은 사람들로 표현되어 있고 그들중 스룹바벨은 8살때 바벨론으로 잡혀간 유다왕 여호야긴 의 손자 로써 바벨론에서 태어났으며 1차 귀환령때 총독으로 돌아왔으며 7장 5절을 보면 총독 느헤미야가 총독으로 와서 성전건축시에 백성들을 모아 등록하면서 1차 귀환령때 온사람들의 계보를 얻은거지 7장 7절의 느헤미야 랑 같은 사람 이 아닙니다. 7장 1절에 하가랴의 아들 느헤미야라고 1차귀환령때 돌아온 느헤미야랑 다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결론은 총독 느헤미야는 예루살렘에서 어릴때 잡혀간 느헤미야가 아니고 다른사람임을 분명히 할수 있습니다.

  • @user-rc2ck8dq3o

    @user-rc2ck8dq3o

    6 ай бұрын

    모르드개부분에서 개역개정판 대로 보면 모르드개가 포로로잡혀 왔다고 볼수 있는데 그러면 최소한 120살을 넘는 할아버지가 되는데 이상하죠 히브리어 본문을 보면 에스더서 2장 6절의 주어가 모르드개가 아니라 그로 나와있고 5절의 마지막이 기스로 되어 있어서 모르드개의 증조부인 기스가 포로로 끌려왔다고 보는게 맞는것 같아요 그러면 모르드개나 에스더의 나이가 성경상의 내용과 어울리게 되죠

  • @End_Tree2048
    @End_Tree2048 Жыл бұрын

    다니엘서를 안식일교와 똑같은 방식으로 연대기만 바꿔서 풀어가시는데 심지어 다니엘9장25절의 기름부음 받은자가 예수님이 아니라 폼페이 왕으로 해석하시는 분 교수님은 창조과학까지만 강의 하셨더라면 좋았을텐데 선을 넘으시더군요

  • @fredkim01
    @fredkim01 Жыл бұрын

    혹시 어디 교단이세요?

  • @user-nb9ll6bf2c
    @user-nb9ll6bf2c6 ай бұрын

    Nebucadnezzar가 아니라 Nebuchadnezzar입니다. 이름 첱자 하나라도 정확히 써 주셔야 박사라는 말이 통하지요..

  • @user-nk8ti6xw8e
    @user-nk8ti6xw8e Жыл бұрын

    많은 지식을 알고계신 훌융한분이신데 정확한 복음 만알고계시면더 좋을텐데

  • @mangdrai000
    @mangdrai0004 ай бұрын

    에스더는 처음 1장 1절만 보고 "인도에서 구스 까지 다스리던 나라 라면 페르시아가 맞다" 고 생각하게 되겠지만 교수님 말씀을 통해 2장 5-7절의 여고냐, 모르드게, 하닷사를 보니 뭐가 문제인지 깨닫게 되었다 심지어 무덤이 메데의 수도에 있었다니 틀림 없는 것 같다 다만 메데가 인도에서 구스 까지 다스렸다면 이집트도 지배했다는 것인데 세상 학자들도 하나같이 메데는 이집트를 지배한 적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 듯 해서 이것 역시 하나의 수수깨끼가 될 듯 하다

  • @godscountrywishes9993
    @godscountrywishes999310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을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유진 폴스틱의 연대기라는 것이 책으로 구매가 가능한가요? 네이버나 구글에서 책으로 판매되는 곳이 검색되지 않아서 문의 드립니다.

  • @End_Tree2048
    @End_Tree2048 Жыл бұрын

    모든 성서학자들이 다니엘7장의 네짐승을 2장의 금신상에 억지로 끼워 넣고 있습니다 다니엘2장의 금신상의 머리는 분명히 느브갓네살왕이라고 2장38절에 기록되있습니다 "왕은 곧 그 금머리니이다" 다니엘7장은 느브갓네살의 아들 벨사살때 꿈에서 본 환상이라고 말하고 있고 "그 네 큰 짐승은 네 왕이라 세상에 일어날 것이로되" 다니엘 7:17 ​ 라고 앞으로 나올 왕이라고 분명히 느브갓네살 이후의 미래형으로 기록되 있습니다 ​다니엘7장1절과 17절을 간과한 나머지 다니엘2장의 금신상에 빗대어 해석하는 비틀어진 성경해석은 큰 문제가 생깁니다 모든 성서해석자들이1절과 17절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느브갓네살왕 이후에 본 이상인 7장은 1절 느브갓네살왕의 아들 벨사살 원년에 본 이상인데 어째서 17절에서는 네 짐승이 느브갓네살과 벨사살 이후 미래에 일어날 왕들이라고 기록되 있을까요 그러므로 네 짐승을 금신상에 끼워 넣는 행위는 억지해석일 수 밖에 없습니다 고로 교수님의 안식일교식 연대기 끼워맞추기 해석법은 완전히 틀린해석이라 봅니다

  • @user-gu5hr5yw3f
    @user-gu5hr5yw3f Жыл бұрын

    금신상에서 로마 다음에 철과 흙이 섞인 발가락 10개 나라가 있고 그 발가락을 돌이 내려와서 부숴버리고 금신상은 가루가 되어 흔적없이 사라집니다 그 돌이 점점 커지고 온 세상을 덮어버리죠 그 돌이 재림 예수라고 합니다 새예루살렘 즉 천년왕국의 시작....

  • @user-gu5hr5yw3f
    @user-gu5hr5yw3f Жыл бұрын

    예수님이 왜 재림을 하시는가 우리는 왜 낙원에 가서 예수재림을 기다리고 있는지.....그냥 초림의 예수를 믿고 죽으면 천국이나 지옥으로 영원히 가면 될 것을...왜 일까요? 예수재림 후 지상에서 통치하는 뜻이 있죠 유대인을 새롭게 만들기 위해...

  • @user-jl4er5xp1z
    @user-jl4er5xp1z Жыл бұрын

    아무리 생각해도.. 메대사람 다리오가 에스더의 남편은 아닌것같습니다. 1차포로 귀환 모르드개가 같은 사람이 아니라고 알고있습니다. 잘못 생각한 시점의 발원지라고 생각합니다.

  • @user-qh1wo5vc9v
    @user-qh1wo5vc9v26 күн бұрын

    bc590년부터 이스라엘이 바벨론에게 공격당하고 588년에 망하엿다라고 하셧는데 포로기를 bc590년부터 학개서의 성전기초가 세워지는날인 bc520년까지를 70년으로 설명하셧습니다. 그런데 왜 다니엘은 bc599년에 잡혀갓나요? 포로기기산점하고 다니엘 포로시점599년은 별개인가요

  • @swbaek1214
    @swbaek1214 Жыл бұрын

    성경에 세상 역사책을 맞추어야합니다. 저는 세상 역사책이 날조라고 생각합니다... 세상 이름이 뭐든 성경의 다니엘서의 아하수에로의 아들 다리오는 메데왕이 맞습니다... 다니엘이 기록할 당시에는 그 이름에 대해서는 모든이가 다 알고 있었을 겁니다.

  • @thebooldang-death
    @thebooldang-death10 ай бұрын

    성경에 다니엘이 둘 나옴. 하나는ㅡ그냥 다니엘. 또 하나는ㅡ나다니엘. ㅋㅋㅋㅋ ㅋㅋㅋㅋ

  • @21-jo9yx
    @21-jo9yx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oc6yu8ve3q
    @user-oc6yu8ve3q2 жыл бұрын

    🙏

  • @user-dr8zs1nx3g
    @user-dr8zs1nx3g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