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도 겪을 수 있다... 비행기 타기 전에 꼭 봐야 할 영상 / 스브스뉴스

언제나 설렘이 가득한 비행기 여행! 그런데 기내 비상상황 때 어리둥절하며 상황 판단만 하다간 20초 만에 죽음에 이를 수도 있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궁금하시다면? 자세한 내용은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 뉴스에는 위아래가 없다, 스브스뉴스
- 스브스뉴스 링크 -
Facebook : / subusunews
Instagram : / subusunews
홈페이지 : news.sbs.co.kr/news/subusuNew...
#비행기 #산소마스크 #사고

Пікірлер: 1 300

  • @SUBUSUNEWS
    @SUBUSUNEWS2 жыл бұрын

    00:25 생각만 해도 아찔... 여러분은 비행기 탔을 때 당황스러웠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 @user-uv1yk6lx4x

    @user-uv1yk6lx4x

    2 жыл бұрын

    No

  • @BLHOBLHOBLHO

    @BLHOBLHOBLHO

    2 жыл бұрын

    25초가 지났군요? 당신은 죽었습니다.

  • @DWARFerande

    @DWARFerande

    2 жыл бұрын

    화장실에서 신음소리 나올때

  • @C_seo_chan

    @C_seo_chan

    2 жыл бұрын

  • @C_seo_chan

    @C_seo_chan

    2 жыл бұрын

    이륙할 때 급똥이 마려웠어요.

  • @includingyo
    @includingyo2 жыл бұрын

    미 연방 항공국에서 이런말을 했습니다. "비행규정은 누군가의 피로 쓰여졌다." 대부분의 안전규정은 누군가가 죽고 다쳐서 만들어진 규정입니다.

  • @MRHYUN-xk1bd

    @MRHYUN-xk1bd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대부분의 주의사항들은 누군가의 희생으로 인해 만들어진 것이죠…

  • @tay._.10

    @tay._.10

    2 жыл бұрын

    그럼 아직 일어나지 않은 사고는..

  • @gram6465

    @gram6465

    2 жыл бұрын

    @@tay._.10 웬만한 경우는 이미 다 일어났겠죠.

  • @blues50542

    @blues50542

    2 жыл бұрын

    원래있는말인데 거기서 유명해졌다고 와전됐네요

  • @han_k95

    @han_k95

    2 жыл бұрын

    원래 비행기 창문은 사각형이였는데, 힘이 모서리 쪽에 다른 부위보다 더 가해져서 결국 공중폭팔했습니당 그래서 지금은 타원형이죵 이중창문이고

  • @Leo-xb8cq
    @Leo-xb8cq2 жыл бұрын

    20초안에ㅡ써야 한다는 문구를 우리나라 항공사에서 말해줘야 사람들이 귀기울여듣고 실제로도 잘 실전 적용되지 않을까 싶어요

  • @user-om3mj6pg7s

    @user-om3mj6pg7s

    2 жыл бұрын

    긴급상황시 산소마스크는 내려오면 바로써야된다고 비행기탈때교육하는데 비행기안타보셨나요?

  • @Leo-xb8cq

    @Leo-xb8cq

    2 жыл бұрын

    @@user-om3mj6pg7s 앞ㅇ ㅔ20초라썼는데 한글 못읽으시죠??

  • @nxm

    @nxm

    2 жыл бұрын

    즉시가 20초 보단 빠르지 않을까요?

  • @wonwoodo6085

    @wonwoodo6085

    2 жыл бұрын

    @@Leo-xb8cq 즉시가 20초보단 빠르지 않나요?

  • @millie20251

    @millie20251

    2 жыл бұрын

    @@nxm 그래도 20초라는 명확한 숫자를 제시해주면 더 효과적이지 않을까요??

  • @user-ts9vj4vh4j
    @user-ts9vj4vh4j2 жыл бұрын

    걍 자주 타니까 걱정되나보다 하고 지나가..

  • @leeego

    @leeego

    2 жыл бұрын

    산소마스크 쓸 정도면 비상상황인건데… 확률이 굉장히 적음 정상임.

  • @study2745

    @study2745

    2 жыл бұрын

    무사히 착륙하는 게 당연한 거라도 기장에게 감사할 수 있는 거 아닌가..

  • @leeego

    @leeego

    2 жыл бұрын

    @@study2745 맞아용

  • @study2745

    @study2745

    2 жыл бұрын

    @@leeego 윗 댓글 보고 얘기한건데 글을 삭제했네요^^;

  • @blues50542

    @blues50542

    2 жыл бұрын

    번역) 나 비행기 많이 타는 잘나가는 사람이다

  • @mr.h__
    @mr.h__2 жыл бұрын

    물 속에서 질식하는 것과 감압에 의해 질식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음 물 속에서는 잠시동안 숨을 참으면서 버티는 것이 가능하지만, 감압 상황에서는 폐 속의 공기가 강제로 밖으로 뽑혀 나가기 때문에 숨을 참고 버틴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함 실제로 훈련받은 사람은 수중에서 수 분 이상 숨을 참으면서 버틸 수 있지만, 감압 상태에서는 아무리 훈련받은 사람이라고 해도 1분을 버티기 힘들다고 함

  • @Hojune-Lee

    @Hojune-Lee

    2 жыл бұрын

    통상 25000피트 상공에서 2-3분의 시간이 있습니다. 그리고 서서히 의식을 잃어가는게 제일 큰 문제지만 비행기가 10000피트 고도로 급강하하면 문제없이 다 살수 있습니다. 흡연 여부 개인 건강여부가 제일 크게 작용하지만 대부분 산소 마스크가 내려올때는 쓰는게 좋은게 급감압보다도 엔진에 불이 나거나 유해가스가 유입되는걸 차단시키는 목적도 있습니다.

  • @user-iq3db8pl3p

    @user-iq3db8pl3p

    2 жыл бұрын

    압력이 낮아지면 기체의 용해도도 낮아지기 때문에 혈액 중의 산소가 빠져나감

  • @H_Kim

    @H_Kim

    2 жыл бұрын

    ​@@user-iq3db8pl3p 혈액속 산소는 적혈구 헤모글로빈에 결합되는 식이라 단순 압력에따른 기체의 용해도랑은 좀 멀지않나여

  • @user-th6zz5ee9i

    @user-th6zz5ee9i

    2 жыл бұрын

    @@user-iq3db8pl3p ㄴㄴ우리몸은 그정도 기압차이는 버팁니다… 그래서 에베레스트등반하는 산악인들도 호흡기만 들고가거나 그냥올라가기도합니다… 그래서 물속에 잠수할때도 호흡기를 들고가는게 아니라면 수십미터를 잠수해도 바로올라오는게 가능하고(호흡기쓰면 천천히올라와야함…) 우주에서 우주복없이 맨몸으로 던져저도 혈관과 폐가 2-3분정도는 버티기에 우주선이나 정거장근처라면 충분히 살아남을수가있죠…

  • @HH-kb2ye

    @HH-kb2ye

    2 жыл бұрын

    자기도 모르게 기절한다는데 고통이 없는걸까요?

  • @UnKnownSatellite
    @UnKnownSatellite2 жыл бұрын

    역시 안내방송을 해주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 @user-hb3pn6ek8y

    @user-hb3pn6ek8y

    2 жыл бұрын

    노무현

  • @TV-iv1eh

    @TV-iv1eh

    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안전지키라고 하는말인데 노잼노잼 이러는게 이상한거지 ㅋㅋㅋㅋ

  • @user-ie6ou9xv9o

    @user-ie6ou9xv9o

    2 жыл бұрын

    모두 항상 긍정적으로 항상 건강하게 항상 좋게 항상 파이팅입니다. Everyone, always be positive, always be healthy, and always cheer up~

  • @noprcyesroc6383

    @noprcyesroc6383

    2 жыл бұрын

    @@user-hb3pn6ek8y 게이야...

  • @nomuddak

    @nomuddak

    2 жыл бұрын

    노지금 무라고 현냐

  • @Windididi
    @Windididi Жыл бұрын

    현재 항공사 승무원으로 근무 중입니다. 정말 승객분들의 안전을 위해서 이륙과 착륙시 안전벨트 착용을 항상 말씀드리는데 거부하시거나 랜딩중 자리에서 일어나시는 거 보면 심장이 덜덜 떨립니다… 그리고 착륙 했다고 일어나서 화장실을 가거나 짐을 빼내는 모습을 보면 더더욱요…! 승무원이 요청하는 것은 다들 승객분들의 안전과 관련된 것으니 승무원의 안내를 꼭 꼭 따라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다들 안전 비행, 좋은 여행 하셨으면 좋겠습니당 :) 승무원들은 항상 여러분의 안전을 위해 있으니까요 😊😊

  • @user-dn7vv7zp4k

    @user-dn7vv7zp4k

    Жыл бұрын

    떨지마렴

  • @charming_sound

    @charming_sound

    Жыл бұрын

    진짜..안전사고 대부분은 이착륙때 난다는데 한국사람들 빨리빨리 정신 이런데서 나오는듯요ㅠ 승무원 분들 안내도 제대로 귀울이지않는거 보면 사고나면 그냥 어쩔수없는~

  • @kimberlychung3827

    @kimberlychung3827

    Жыл бұрын

    @@user-ff6pz1de6b 그게 한국식입니다. 외국에서는 식당에서도 백화점에서도 규칙을 따르지 않거나 매너없는 행동하면 쫒겨납니다. 비행기안에서도 승무원의 말을 잘 따라야하고 식당에서도 쫒아낼 수 있다고 싸인이 적혀 있습니다

  • @jayjo7624

    @jayjo7624

    Жыл бұрын

    @@user-ff6pz1de6b 한강에서 혼자 수영이나 하세요ㅋㅋ 사회 좀 먹지 말고

  • @Masaru3911

    @Masaru3911

    Жыл бұрын

    고생이 많으십니다. 저는 승무원이 따라주는 포도주스를 가장 좋아합니다.

  • @elizabeth
    @elizabeth2 жыл бұрын

    비행기에서 사고 안나고 지나가게 해준 기장님께 매번 감사하게 생각해야겠네요 ㄷㄷ

  • @C.O.M.

    @C.O.M.

    2 жыл бұрын

    이분은 어딜가나 있네

  • @Tv-bw2jz

    @Tv-bw2jz

    2 жыл бұрын

    사고가안나야되는건 당연한거고 그리감사한것도아닌듯 비행기뿐만아니라 버스 택시 지하철 다 동일하게 시민생명을책임지고 가는데 비행기에 국한되서 차별하는건 문제있다고보고 그냥하늘에떠있어서? 더위험해서? 버스택시기차도 사고나면 생명잃는경우 다반사인데 차별하면안되지

  • @jin04090

    @jin04090

    2 жыл бұрын

    @@Tv-bw2jz 탑승객 모두가 기장의능력과 별개로 사건에 따라서는 한방에 즉사하는 항공기와 기사의 기지를발휘할수있는 타 대중교통과는 급이다르죠

  • @Tv-bw2jz

    @Tv-bw2jz

    2 жыл бұрын

    @@jin04090 급이아니라 논점이 어긋난대요 다른사고도 죽습니다

  • @sholee5466

    @sholee5466

    2 жыл бұрын

    왜이리 꼬여있냐 걍 알아쳐먹어라

  • @belluga9_9
    @belluga9_92 жыл бұрын

    산소마스크 착용시 꼭! 앉은상태에서 얼굴까지 잡아당겨서 착용하셔야합니다!! 산소마스크는 잡아당겨야만 해당 산소마스크로 산소가 공급이 됩니다 만약 일어서서 착용하거나 당기지 않고 착용하시면 산소공급이 안될수도 있어요

  • @Cotton_of_niga

    @Cotton_of_niga

    2 жыл бұрын

    추가적으로 난기류를 만나 비행기가 흔들거릴때 안전밸트해달라는 방송이 나올때 무시할수없는이유가 난기류를 만났을때 극단적인 경우에는 비행기가 확내려감. 이는 마치 엘레베이터가4-5층에서 추락하는거랑 맞먹는다고하니 목이꺾이거나 뚝베기깨지고싶지않으면 안전밸트를 꼭 착용해야함

  • @옆집싸자형

    @옆집싸자형

    2 жыл бұрын

    @@successfuluser77 산소 공급 방식이 화학식인데 잡아 당기지 않으면 내부에서 섞이지 않아서 산소가 안나와요 수류탄 핀 생각하시면 될듯

  • @옆집싸자형

    @옆집싸자형

    2 жыл бұрын

    @@successfuluser77 그렇긴하죠ㅋㅋ

  • @sangsukim8548

    @sangsukim8548

    2 жыл бұрын

    @@successfuluser77 그니까 혹시 일어나면 안 잡아당겨도 될 수도 있으니까 그렇게 말하신 거 아닐까요

  • @nxm

    @nxm

    2 жыл бұрын

    그냥 당긴다고만 하면 마스크 끈을 당기라는 얘기로 들릴 수 있음

  • @elsya1990215
    @elsya19902152 жыл бұрын

    03:18 러시아에서 승객두명이 저래가꼬 바로 뒤쪽에 있던 사람들 전부 사망함. 만약 자기앞 사람이 빨리 탈출 안하고 짐 챙긴다. 몸통박치기로 밀어버리고 탈출하세여.

  • @Fly_Cruising-Altitude
    @Fly_Cruising-Altitude2 жыл бұрын

    항공기 비상탈출시 하면 안되는것 1. 짐 챙기기 (2019년 소련에서 아에로플로트 항공 1492편 사고 당시 한 승객이 짐을 챙긴다고 시간 지체 되어서 그 승객 뒤에 있던 사람들 대부분 사망하였음) 2. 바다에 불시착 (ditching) 했을때 구명동의 기체 밖에서 나오고 나서 부풀리기 (이티오피아 항공 961편 사고 당시 바다에 불시착 하기 전에 구명동의 부풀려서 많은 승객들이 탈출에 어려움을 겪고 사망하였음) 3. 비상슬라이드 타고 내려올때 하이힐 같이 날카로운거 신거나 들고 타지 않기 0:25 B737 NG, MAX 기종 autopilot 해제할때 나는 소리(기이익~ 기이익~), 랜딩기어 안내려올때 나는 경고음(삐~), 화재 발생 경고음(때르릉~), pull up 경보음 (주로 추락 직전에 나는 경고음) 나는데 실제로 객실에서 안들리고 조종실에서만 들립니다.

  • @mansuru_gimotti

    @mansuru_gimotti

    2 жыл бұрын

    항공기 비상탈출시 하면 안되는것에 4.창문 다 올려놓기 라고 적어노셨는데 실수 하신듯

  • @TwinHead108

    @TwinHead108

    2 жыл бұрын

    안되는 것인데 2. 구면동의 내용을 반대로 적으신 듯. 미리 부풀려서 탈출못했으닌까 불시착 후에 부풀리라는거죠?

  • @nakji5493

    @nakji5493

    2 жыл бұрын

    짐챙기는사람 무조건 있을듯

  • @gmvisck

    @gmvisck

    2 жыл бұрын

    @@TwinHead108 기체에서 탈출후에 터뜨릴것..

  • @whatever-it-takes

    @whatever-it-takes

    2 жыл бұрын

    @@nakji5493 뭔가 저상황되면 난 짐 안챙길거라는 보장이 없어서 더무서움..ㅠ

  • @user-hq7ql6xy5z
    @user-hq7ql6xy5z2 жыл бұрын

    이런 걸 학교에서 제발 좀 알려주면 좋겠다

  • @user-rc8lw8kb8f

    @user-rc8lw8kb8f

    2 жыл бұрын

    비행기 안내방송할때나 쳐 듣지 그걸 학교에서 2차로 알려줘야됨?

  • @ywen2174

    @ywen2174

    2 жыл бұрын

    @@user-rc8lw8kb8f 그럼 불났을때도 안내방송 나오는데 뭐하러 대피훈련까지함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vb3wt4we2x

    @user-vb3wt4we2x

    2 жыл бұрын

    @@ywen2174 ㅋㅋㅋㄲㅋㅋ ㅇㅈ

  • @yeseo3o

    @yeseo3o

    2 жыл бұрын

    현 중2인데 기술가정 시간에 수송 쪽 단원 배우면서 저거 배웁니다! 배 긴급상황 대처법도 있고, 비행기 긴급상황 대처법도 있더라구요.. 워낙 작게 보너스?로 있는거라 대충 하고 넘어가는 쌤들 많다고 하시더라구요..ㅠㅁㅠ

  • @user-vw7bq7gq8y

    @user-vw7bq7gq8y

    2 жыл бұрын

    학교에서 여가부 영상 보여줘서 빡침 이런걸 보여주지

  • @nu4686
    @nu46862 жыл бұрын

    기내방송에서 다른내용은 다 나오는데 15-20초 안에 마스크 쓰란말은 나오지 않아요. 부모님이 항공사 객실승무원이셔서 20년넘게 보고 들었지만 처음 보는 내용입니다. 항공사에서도 이부분은 반드시 표기해주시면 좋겠네요.

  • @volatilemessage7025

    @volatilemessage7025

    2 жыл бұрын

    동감입니다

  • @unclemun

    @unclemun

    2 жыл бұрын

    고도당 유지의식시간이 다르기때문에 15-20초라는 말을 따로 하지 않는겁니다

  • @user-gp7gy3rb5o

    @user-gp7gy3rb5o

    2 жыл бұрын

    감압 일어나면 급강하해서 고도 10000ft 이하로 내려가는걸로 알고있는데, 보통 60초 내에 내려가서 큰 위급상황 아니면 대부분 괜찮아지지 않나요?

  • @Hojune-Lee

    @Hojune-Lee

    2 жыл бұрын

    @@user-gp7gy3rb5o 60초이내가 아니라 통상 3-5분 걸립니다. 하지만 통상 35000피트에서 급강하를 시작하면 바로 의식을 잃는다기보단 2-3분내에 서서히 의식을 잃습니다. 그래서 그 사이에 조종사가 알아차리고 마스크를 낀다음 만피트로 하강하는것입니다. 여담으로 의식을 잃어도 일어날수 있습니다. 건강상에 치명적인 해는 끼치지 않습니다. 감압실에서 실제로 해봤거든요.

  • @user-gp7gy3rb5o

    @user-gp7gy3rb5o

    2 жыл бұрын

    @@Hojune-Lee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 @user-wh6bi7fd6o
    @user-wh6bi7fd6o2 жыл бұрын

    처음 알게 된 사실이어서 놀랐고 정말 유익했습니다. 사실 비행기 사고가 흔한 것이 아니어서 승무원들이 안내할 때 아무 생각 없이 듣지만 정말 필요한 교육이었네요 앞으로는 승무원들이 교육할 때 여러번 듣더라고 꼭 명심해야겠어요

  • @Shineyongs.
    @Shineyongs.2 жыл бұрын

    만약을 대비해서 학교에서 이런 영상 보여줬으면 좋겠다

  • @user-xy3ou4ip3y

    @user-xy3ou4ip3y

    2 жыл бұрын

    "성인지 감수성 교육" -여가부

  • @user-gh6cr2gt8w

    @user-gh6cr2gt8w

    2 жыл бұрын

    @@user-xy3ou4ip3y ㅇㄱㅂㅎㅊ

  • @user-yq2mi4od3j

    @user-yq2mi4od3j

    2 жыл бұрын

    혹시 초등학생이신가요? 저는 중학교 들어와서 배웠거든요 학교차이인지 초등학생때는 안배우는건지

  • @herecomesthenewchallenger

    @herecomesthenewchallenger

    2 жыл бұрын

    학교에서 봐도 기억 못할듯요 ㅋㅋㅋㅋㅋㅋ

  • @une7653

    @une7653

    2 жыл бұрын

    @@user-yq2mi4od3j 중학생인데 이걸 왜 배워요..? 어느 교과시간에..?

  • @선의길마
    @선의길마2 жыл бұрын

    평소에 상대방의 말 한마디를 잘 듣느냐 잘듣지 않느냐 비상사태때 생사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ad_54ajbb7

    @ad_54ajbb7

    2 жыл бұрын

    세월호참사는 예외긴했죠..🎗

  • @bf-1109
    @bf-11092 жыл бұрын

    여담이지만 산소마스크는 항공기에 내장된 산소발생장치의 분량이 떨어지면 더이상 산소마스크의 기능을 하지않음. 그래서 조종사는 최소한 산소마스크가 필요없는 고도(약 4000m 이하)까지 최대한 빨리 강하해야함

  • @옆집싸자형
    @옆집싸자형2 жыл бұрын

    그리고 보통 저 산소통 분량이 15~20분정도라고 합니다 엥 그거밖에 안나와? 라고 할 수 있지만 최고 고도에서 비상감압으로 인해 안정고도까지 내려오는데 걸리는 시간과 비상착륙에 걸리는 시간을 감안해서 그렇게 설계되었다고 하네요

  • @user-ft8xc7iz7v

    @user-ft8xc7iz7v

    2 жыл бұрын

    꿀팁

  • @highyoung510
    @highyoung5102 жыл бұрын

    0:28 저 경보음 들으면 이미 살 수 없는 상황일텐데...

  • @user-th6zz5ee9i

    @user-th6zz5ee9i

    Ай бұрын

    기체가 정상이라는 가정하에 바로 상승하면 살기는 함...근데 문제는 그 경고가 나오는 시기가 기체가 이미 손상되었을때여서 그렇지만...

  • @euro1209
    @euro1209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내용. 진짜 안전불감증인 사람들로 인해 비상시 일사천리로 대응못하는거 짜증나고 위험스럽고.

  • @user-xg8wi5qt9n
    @user-xg8wi5qt9n2 жыл бұрын

    비행기를 몇 번 안 타봤지만 탈 때 안내방송을 한번도 제대로 들은 적이 없는 거 같아 반성하게 됩니다... 그래도 지금이라도 뉴스를 통해 알게 되어서 좋네용 제 가족과 지인들한테 무조건 말해줘야겠어요 비상상황은 언제든 일어날 수 있는 거니까요!!

  • @gukbap21

    @gukbap21

    2 жыл бұрын

    진지충 기본적인데ㅉㅉ

  • @user-kg6uh4kj4j
    @user-kg6uh4kj4j2 жыл бұрын

    여러 번 비행기를 타면서 아무 생각 없이 들었던 안내방송인데 엄청나게 중요한 정보들이 있었네요!! 쉽게 놓칠 수 있는 내용들이었는데 이렇게 흥미로운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되었어요!

  • @the_koguryo
    @the_koguryo2 жыл бұрын

    생각만해도 아찔하네요..사고가 나지 않는 게 가장 좋겠지만 만약의 상황을 대비해서, 안내방송에 항상 귀 기울여야겠어요~!

  • @harrykang2340
    @harrykang23402 жыл бұрын

    아쉽게도 몬트리올 의정서에 따라 외항사의 경우 버린 물건은 보상이 따로 되지 않습니다. 극히 예외적으로 시혜적인 보상만 될 수 있고요. 내항사의 경우에는 별도로 소송을 제기하여야 할 것입니다..

  • @subway_slave
    @subway_slave2 жыл бұрын

    차도 위험하지만 비행기는 진짜진짜 너무 무서움,,..

  • @user-xc5xf8gp8n
    @user-xc5xf8gp8n2 жыл бұрын

    저걸로 숨쉬라고 내려오는 건데 코 안막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는게 신기하다

  • @user-gd8jr5ng9x

    @user-gd8jr5ng9x

    2 жыл бұрын

    내 몸이 당장 별일없는데 갑자기 내려오니 띠용 할 수도 있죠

  • @FzsTj02

    @FzsTj02

    2 жыл бұрын

    마스크도..

  • @user-wh7wu8tc6b

    @user-wh7wu8tc6b

    2 жыл бұрын

    그거 그냥 작아서 그런거에요

  • @user-gv9pu6cq1o
    @user-gv9pu6cq1o Жыл бұрын

    학생때 항공과를 나와서 그런지 지금은 다른 직업을 가지고 살고 있지만 비행기를 탈 때마다 알면서도 매번 꼼꼼히 듣는게 비상시대책요령 안내방송입니다. 근래에 여행을 간다고 새벽 비행기를 타서 너무 피곤했지만 안내방송은 듣고 기절했어요. 항상 하던 일도 실수하듯이 가끔 타는 비행기에서는 저런 안내방송을 꼭 숙지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제발제발

  • @user-juhnkal086
    @user-juhnkal0862 жыл бұрын

    모든 비상사고 관련 조항은 피로 써진 조항이라고 하죠....꼭 지킵시다

  • @lightning_jae.615
    @lightning_jae.6152 жыл бұрын

    안전 요령 잘 들을테니 비행기 타고 여행 가고 싶다..ㅠ 코로나 진짜… 화나네…

  • @morin123

    @morin123

    2 жыл бұрын

    제주도 가셈

  • @leeleele1141

    @leeleele1141

    2 жыл бұрын

    @@morin123ㄹㅇ 제주도 잘만 알아보면 1만원대로감

  • @user-dr6hs4ht5k

    @user-dr6hs4ht5k

    2 жыл бұрын

    @@leeleele1141 대신 덜덜덜덜..ㅠㅠ

  • @dosahong9847

    @dosahong9847

    2 жыл бұрын

    원래 작년에 해외 다녀올 예정이였는데 지금까지도 못가고있음

  • @uvuvueennyatuenhuangubyuen1589
    @uvuvueennyatuenhuangubyuen15892 жыл бұрын

    2:19 진짜 개웃기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ppiyak77
    @ppiyak772 жыл бұрын

    저희 아버지가 비행기조종사이신데 승객분들께서 산소마스크를 땡기고 써야 효과가 있는데 거의 대부분이 이사실을 모르고 그냥 쓰기만 한다고 하시더라구요ㅜㅜ 만약 마스크가 내려오면 무조건 마스크를 한번땡기시고 코와 입 가리고 잘쓰세요!!ㅜㅜ

  • @myangmyang._.

    @myangmyang._.

    2 жыл бұрын

    마스크 끈을 땡기는건가요..? 어느부분을 땡기나요

  • @HL-ve6ob

    @HL-ve6ob

    2 жыл бұрын

    @@myangmyang._. 마스크가 내려왔을때 천장이랑 연결된 호스를 당겨야 산소공급 시작됩니다

  • @myangmyang._.

    @myangmyang._.

    2 жыл бұрын

    @@HL-ve6ob 아하 감사합니당!

  • @hah6773
    @hah67732 жыл бұрын

    저는 비행기 탈 때 비상시 대처요령 항상 안내책자 확인하고 앞에서 설명해줄 때 주의 깊게 듣는데 모든 항공편에서 설명해주는건 아니더라고요. 옛날에 아시아나인가? 탔을 때는 어떤 경우에는 하고 어떤 경우에는 해주지 않아서 뭔가 했어요.

  • @zasaekgogooma

    @zasaekgogooma

    2 жыл бұрын

    헉... 전 지금까지 탄 비행기에서 다 안내해줘서 다 해주는줄 알았는디 안해주는곳도 있나봐요...

  • @ppppiglet

    @ppppiglet

    2 жыл бұрын

    메뉴얼이 있기 때문에 안해주지는 않았을겁니다! 직접시연 혹은 안내비디오 영상 꼭 보여주게 되어있어요

  • @user-rf7cy7le8x

    @user-rf7cy7le8x

    2 жыл бұрын

    법적으로 안내를 하지 않으면 이륙을 못하게 되어있어요 직접시연아니면 모니터영상입니다 아마 모니터인데 못보셨나봐요

  • @hkthedev

    @hkthedev

    2 жыл бұрын

    대형 광동체 항공기의 경우 개인 모니터의 안전 비디오를 통해 알려주며 중소형 협동체 항공기의 경우 승무원이 통로에서 일정 간격으로 서서 시범을 보여줍니다

  • @ch.s1395

    @ch.s1395

    Жыл бұрын

    꿈에서 탄거 아님? 비상착륙시, 산소마스크, 구명조끼 펴는거, 충돌시 대비자세 다 알려주는데

  • @you_081
    @you_0812 жыл бұрын

    저는 이륙과 착륙할때가 너무 무서워요.. 그때만큼 바싹 긴장을 합니다..ㅠㅠ

  • @user-sl8vm9if8p
    @user-sl8vm9if8p2 жыл бұрын

    비행기를 탄 경험이 종종 있지만 어디론가 떠난다는 설렘에 안내방송을 소홀히 들었던 것 같네요. 앞으로 비행기를 탈 일이 언제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꼭 비행기 안내방송을 경청해야겠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lw1jx8rs8g
    @user-lw1jx8rs8g2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몇번타봤지만 이런이야기는 처음듣네여ㅎㅎ앞으로 비행기 탈 일이 생기면 좋겠어요ㅎㅎ

  • @sundaylogbook
    @sundaylogbook2 жыл бұрын

    항공기 비상시의 대처법을 훈련해볼 수 있는 항공사 프로그램도 있어요~ kzread.info/dash/bejne/iqh1zKRxc7ytg5s.html

  • @user-md5ii1gk6r
    @user-md5ii1gk6r2 жыл бұрын

    비행기 구명조끼: 사고 시 기내에서는 바람을 넣으면 안 됩니다.(잠수에 불리해지기 때문입니다. 밖에서 바람을 넣어야 합니다.)

  • @user-yk7fz7me1z

    @user-yk7fz7me1z

    2 жыл бұрын

    저 이거 몇주 전에 비행기 타고 알았어요... 진짜 이거 올려야함

  • @user-tv2mt2uj3m

    @user-tv2mt2uj3m

    2 жыл бұрын

    수영도 못하고 허우적 거리는데 밖에서 바람을 어떻게 넣으라는건지.....

  • @tmflfkdzksd1632

    @tmflfkdzksd1632

    Жыл бұрын

    @@user-tv2mt2uj3m 밖으로 나가기 직전에 바람을 넣으세요

  • @dnenessd30

    @dnenessd30

    Жыл бұрын

    @@user-tv2mt2uj3m 알빠노 ㅋㅋ

  • @arianas.7641

    @arianas.7641

    Жыл бұрын

    구명조끼는 좌석에서 부풀리면 빵빵해져서 부피가 커지기때문에 탈출시 좁은 아일(복도)로 대피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도어앞까지 나와서 탈출 직전에 부풀려야 합니다

  • @elzk286
    @elzk2862 жыл бұрын

    0:25 저 소리는 항공기가 지면에 접근했을때 조종석에서만 들립니다 고로 저 단어는 캐빈에서는 절대 들을수 없으며 창밖을보며 가까워지는 땅을 보고 어? 하시는동안 편안하게 갈수있습니다 ㅋㅋㅋ

  • @skatecraig2536
    @skatecraig25362 жыл бұрын

    그런데 말입니다... 사실 비행기 사고가 날 확률은 극히 드물답니다. 오히려 공항까지 가다가 사고 날 확률이 더 높다고 합니다. 그래도 항상 안내방송 잘 듣고 안전 주의 합시다!

  • @user-nj5gp3jd8b
    @user-nj5gp3jd8b2 жыл бұрын

    3:03 아시아나214편 샌프란시스코 착륙실패 사고후 승객들이 캐리어,구두등을 갖고 비상 슬라이드를 타서 슬라이드가 터져 부상자가 더 생겨었습니다. 슬라이드 탈 때는 물건은 버려 주세요.

  • @joebrown3517
    @joebrown3517 Жыл бұрын

    누가 자신에게 이야기를 하면 거의 맞는 말 입니다. 훈수 훈계치고 틀린 말이 거의 없습니다. 이런 거는 빨리 받아들이고 인정해서 변화를 이끌어 내야 됩니다.

  • @flymaker6058
    @flymaker60582 жыл бұрын

    11월에 제주공항인근에서 화재났을때 화재연기가 공항부근까지 밀려와서 착륙하고있던 아시아나 항공기가 회피기동으로 고어라운드하던데 그 항공편에 타고계시던분들 어떠셨을지 긍금하네요

  • @seoqq

    @seoqq

    2 жыл бұрын

    아 기억나요 월랑초옆 가구매장에 불난거요 ㄷ ㄷ

  • @flymaker6058

    @flymaker6058

    2 жыл бұрын

    @@seoqq 화재나기전 마지막으로 착륙했던 항공기가 제가 탔던 항공기였더라구요 조금만 더 지연됐으면 제가 탄 항공기가 고어라운드 했을수도있었다는....ㅋㅋ

  • @user-cp4ye2my5c

    @user-cp4ye2my5c

    2 жыл бұрын

    저 그때 타고 있었습니다…한번 다시 뜨니까 이러다 죽는거 아니겠지 라는 생각이 계속 들더라고요 ㅋㅋ 막 영화한장면 생각 나거 ㅋㅋ옆에 여자친구 손 꼭 붙잡고 무사히 내렸습니다

  • @Panda_Do_It
    @Panda_Do_It2 жыл бұрын

    이거 매번 지겹게 듣지만 정말 중요한건데.. 좋은 영상이네요.~

  • @xmhao_svt
    @xmhao_svt2 жыл бұрын

    항상 기내 방송 귀 기울여 들어서 괜찮아요! 엄마한테 말씀드려야겠네요 ㅎㅎ

  • @goodcomment3088
    @goodcomment30882 жыл бұрын

    비행기내에서 비상사태로 감압장치를 잘 착용하지 않으면 20초 이내 기절을 하고 이후 저산소증으로 사망까지 할 수 있다는 내용을 들으니 썸뜩하네요. 이제 비행기를 탈때 기내 안전교육 방송에 귀기울여서 안전한 여행을 해야겠네요. 좋은 정보감사합니다.

  • @lov5some
    @lov5some Жыл бұрын

    매번 탈때마다 안전 이륙 착륙할수있게 해주신 여러 기장님께 감사드립니다…😢❤

  • @user-ne6xq1xk2v
    @user-ne6xq1xk2v2 жыл бұрын

    아주많이유익한방송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qv1fn7ny8d
    @user-qv1fn7ny8d2 жыл бұрын

    비행기에서 위기 상황이 닥쳤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알게 되었습니다. 비상 상황 시 잘 대처할 수 있도록 안내방송을 잘 들어야겠습니다.

  • @elizabeth
    @elizabeth2 жыл бұрын

    진짜 비행기에서 자고있는데 갑자기 경보 울리면.. 상상만해도 끔찍하네..

  • @1121__
    @1121__2 жыл бұрын

    안내 방송에 중요한 내용이 많았었네요.. 안전을 위한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

  • @나도몰라
    @나도몰라2 жыл бұрын

    이미 알려주는거군요...저는 타본적이 없어서 정말 유익한 영상이네요

  • @user-ie6ou9xv9o
    @user-ie6ou9xv9o2 жыл бұрын

    모두 항상 긍정적으로 항상 건강하게 항상 좋게 항상 파이팅입니다. Everyone, always be positive, always be healthy, and always cheer up~

  • @lunacyk6939
    @lunacyk69392 жыл бұрын

    지진, 화재 등.. 채험? 그런게 있는 것처럼 비행기를 탔을때의 위급 상황도 대처할 수 있게 화재, 지진 등 처럼 연습 해 볼수 있는게 더 있었으면 좋겠네요.. 한번이라도 해보면 아예 안 한 것 보다는 나으니까..

  • @user-iz4nu1uf6v
    @user-iz4nu1uf6v2 жыл бұрын

    추락할때는 산소 마스크 안 쓰고 기절하는게 나을거 같네요..... 어차피 죽을거 고통없이ㅠㅠ

  • @Edith_suzume

    @Edith_suzume

    2 жыл бұрын

    근데 산소마스크의 역할 중 하나가 산소 마스크를 쓰면 몽롱해져서 죽음에 숙연해지게 하는 것도 있기 때문에 쓰나 안쓰나 죽는거에 크게 관심갖게되는건 아니라고 하네요.

  • @jaeminsong3537

    @jaeminsong3537

    2 жыл бұрын

    @@Edith_suzume 산소마스크는 25분 정도만 산소가 공급이 되는데 그러한 이유는 그 시간이면 조종사가 이미 저고도로 강하를 할 수 있기 때문+산소는 위험성 물질이라서 화학 반응식 산소마스크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조종석에 있는 조종사용 산소마스크의 경우에는 몇 시간 정도 공급이 가능합니다.

  • @user-xj9to7ve7o

    @user-xj9to7ve7o

    2 жыл бұрын

    @@Edith_suzume 똑똑하시네요 ㅋ

  • @peljimi2952

    @peljimi2952

    2 жыл бұрын

    @@user-xj9to7ve7o 혼자 뭐하세용?

  • @Edith_suzume

    @Edith_suzume

    2 жыл бұрын

    저 사람 저 아니에요ㅋㅋㅋㅋㅋ

  • @CheatGamingTV
    @CheatGamingTV2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하다

  • @user-rg5zh6es3p
    @user-rg5zh6es3p2 жыл бұрын

    비상탈출시 짐칸이 안열리게 해야됨

  • @sangsukim8548

    @sangsukim8548

    2 жыл бұрын

    오오 신박한데? ㅋㅋㅋㅋㅋ

  • @hoyounsong570

    @hoyounsong570

    Ай бұрын

    그러다가 안열린다고 앞에서 버티는 사람 생길것 같은데 ㅋㅋㅋㅋ

  • @illillilliilii
    @illillilliilii2 жыл бұрын

    0:35 비행기 추락하기 10초전에 들린다는 그 소리..

  • @logicinjector5402
    @logicinjector54022 жыл бұрын

    폭발적기내감압은 그냥 쥐도새도모르게 정신잃습니다. 전문적 훈련을 받지않은이상 그냥 그대로 끝납니다. 또한 기장들도 가끔씩 기계결함으로인하여 경고없이 기내감압이되면 산소부족으로인하여 "취한" 느낌이들며 매초마다 상황판단력이 기하급수적으로 떨어져서 공기가 부족하다는것도 모르고 기절한채로 질식사합니다.

  • @skyeye8519

    @skyeye8519

    Жыл бұрын

    아뇨 오히려 폭발적 기내감압이 인지할 확률은 거의 100퍼센트죠. 그럴리 없지만 막말로 기내 캐빈 프레셔 감지하는 센서가 맛이 간상태로 운항하다 압력이 어느순간부터 스멀스멀 새서 저산소증 왔을때와, 정상적인 압력을 유지하다 한순간 외부 기압으로 감압되는 상황을 비교해보면... 당장 고막이 터질거같고 눈앞엔 수증기가 안개가 되는 상황이 폭발적 감압. 이때는 조종사든 승무원이든 일단 산소마스크를 착용하는게 우선이라 훈련했기때문에 안(혹은 못)쓸 이유가 없습니다. 스멀스멀 여압이 풀려서 산소마스크를 쓸 생각조차 못할 상황이 오는게 더 위험합니다. 추락까지 간 실제 사례도 몇 있구요.

  • @rtughi299
    @rtughi2992 жыл бұрын

    이번에 제주도 가는데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user-jo9mr3uq3c
    @user-jo9mr3uq3c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터키 갔을때 비행기 탔다 새벽가 바람 겁나 불고 기상상황 안좋아서 비행기 겁나 흔들리고 계속 안내방송에서 기상상황이 좋지않으니 앉아주시기 바랍니다 이래서 진짜 이러다 죽는거 아닌가 하고 무서워서 졸린데 한숨도 못잠

  • @park2ici
    @park2ici2 жыл бұрын

    'Whoop Whoop Pull Up!' 이 절대로 들어서 안 되는 소리라는데 무섭네요. 희박한 확률이지만 생존을 위해서 기내 안내방송을 잘 들어야겠습니다.

  • @mq2652

    @mq2652

    2 жыл бұрын

    왜 저런 음성이 나오는 건지 아시나요??

  • @user-ib2js6rn3x

    @user-ib2js6rn3x

    2 жыл бұрын

    @@mq2652 고도가 낮아서 올리라고 뜹니다

  • @muhyeongkee

    @muhyeongkee

    2 жыл бұрын

    칵핏에서만 들리는 소리 아닌가여

  • @jaeminsong3537

    @jaeminsong3537

    2 жыл бұрын

    @@muhyeongkee 네 칵핏(조종실)에서만 들립니다.

  • @stms4331

    @stms4331

    2 жыл бұрын

    @@mq2652 고도 완전 바닥에 처박기 직전이란 소리고 저걸 들을만한 상황이면 이미 비행기 조종해서 그 상황 빠져나갈만한 상황이 아님 ㅋㅋㅋ 그냥 죽기전에 듣는 소리

  • @dannyair887
    @dannyair8872 жыл бұрын

    비행기는 화장실에도 산소마스크가 있기 때문에 볼일 보다가 당황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 @user-vx3kn9li9m
    @user-vx3kn9li9m2 жыл бұрын

    비행기 타면서 항상 했던게 좌석앞에 꽂혀있는 비상시 안내책자를 심심할때마다 봐서 대처는 잘 될것 같네요 ㅋㅋㅋ

  • @truth3722
    @truth3722Ай бұрын

    지금까지 비행기에서 안내방송 나올때마다 너무 흐릿하게 들리고 웅얼웅얼해서 무슨 말인지 다 자세히는 몰랐는데 이렇게 초 중요한 내용인지 오늘 처음 알았네요. 너무 감사합니다!

  • @user-fh2dr5oo2n
    @user-fh2dr5oo2n2 жыл бұрын

    비행기사고는 보니 우연과우연과우연이 겹쳐서 생기는경우가 허다하더라구요 대한항공이 예전 3년연속으로 항공사고가 나서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항공사라는 오명이 생겼어요 그래서 대한항공측에서 안전에대한 교육,기장부기장 비행기내에서 무조건영어사용(한국말은 존댓말이 있어서)이런규정 등등 만들고 사고안나게끔 철저하게 교육해서 그뒤론 아직한번도 사고난적이없대요

  • @B787_Dreamliner
    @B787_Dreamliner2 жыл бұрын

    0:33 저기서 풀업 소리가 들린다면 20초 안에 왠만하면 죽습니다

  • @user-yl8ll1em7m
    @user-yl8ll1em7m Жыл бұрын

    비행기 여러번탔는데 처음 알았어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tryre3679
    @tryre3679 Жыл бұрын

    오 , 혹시모르게 도움되는 영상 감사합니다.

  • @user-jo4yu4of6g
    @user-jo4yu4of6g2 жыл бұрын

    오옹, 이건 몰랐네요.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 @limo7989
    @limo79892 жыл бұрын

    이거보다 더 중요한건 승객들의 안전을 책임저야할 승무원들이 몸에 붙는 스커트를 입는다는거.

  • @user-gg8dy4ee5n
    @user-gg8dy4ee5n2 жыл бұрын

    연기잘하시네요!!👍

  • @92kws105
    @92kws1052 жыл бұрын

    이륙전에 산소마스크, 구명조끼 사용법이랑 위치까지 알려주죠. 참고로 문옆에 자리한 좌석은 넓고 좋지만 돌방상황 발생시 승무원 조금 도와야 한다고 합니다.

  • @MUlTiVERSE_2024
    @MUlTiVERSE_20242 жыл бұрын

    "비행기님이 날뛰고 있습니다!"

  • @whatever-it-takes

    @whatever-it-takes

    2 жыл бұрын

    음성지원되네ㅋㅋ

  • @user-uv1yk6lx4x

    @user-uv1yk6lx4x

    2 жыл бұрын

    😯

  • @user-qu9uk3fk7x
    @user-qu9uk3fk7x2 жыл бұрын

    이런게 평소부터 교육되어야 될 비상교육이지 학교에서 소방차불러서 물뿌리는 것처럼 교육되는게 아니야

  • @joebrown3517
    @joebrown3517 Жыл бұрын

    업무적인 부분을 위해서 욕심을 부려도 됩니다. 업무에 의가 있다는 점은 정말 멋 있는 겁니다. 사람이 노력도 있고 의욕도 있고 돈 욕심이 아닌 일에 욕심이 있어야 합니다. 못해도 계속 배우는 자세와 굽히는 자세가 필요 하고 부족할 때는 굽히면서 배우다가 이제 여유가 생기면 업무에 대한 의도 내세우고 하는 점 입니다.

  • @ChriseanKim
    @ChriseanKimАй бұрын

    Thx for reminding me

  • @user-th6dt2fo3g
    @user-th6dt2fo3g2 жыл бұрын

    비행기 탈때마다 기다리는 동안 너무 심심해서 안전수칙 팸플릿만 수십번 읽어봤더니 다 기억나서 다행 ㅋㅋ

  • @user-zj4qn7dy7l
    @user-zj4qn7dy7l2 жыл бұрын

    pull up은 조종사들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듣는 경보음이자나^^

  • @chinoyam712
    @chinoyam712 Жыл бұрын

    아찔하네요. 아이가 있는데 이런 상황은 이렇게 미리 알아둬야 할 것 같아요.

  • @l3eautiful__
    @l3eautiful__2 жыл бұрын

    어떠한 이동수단을 이용하던 주의사항이나 비상시 대처요령등을 잘 읽어보면 그 안에 답이 다 있음...예를 들어 지하철 탈 때에도 그냥 타지만 말고 비상탈출로 맵 확인.. 비상탈출 방법, 도끼위치, 소화전 위치, 방독면 위치 등을 항상 보는 습관 갖는게 좋음... 그리고 무엇보다 저런 비상상황 생기면 당황하지 않고 최대한 침착해야하는게 생존률 더 높아짐..

  • @user-ev4zs3in3q
    @user-ev4zs3in3q2 жыл бұрын

    마스크 벗느라고 저거 만지기도 전에 죽을 듯

  • @LjHjCj
    @LjHjCj2 жыл бұрын

    코로나로 비행기 탈 일이 있어야..ㅠㅜ

  • @user-ou7ko6bd9u
    @user-ou7ko6bd9u Жыл бұрын

    학교 정규수업에 꼭 필요한 수업 같아요~ 옆나라 일본은 주기적으로 화재와 지진대비 관련한 수업이 있는데

  • @user-js3mk4gc7i
    @user-js3mk4gc7i Жыл бұрын

    이륙 전 승무원분들이 여러 시범 보여주시면서 설명하는 것들 열심히 들어주셨으면 좋겠어요ㅜㅜ

  • @Wihihih
    @Wihihih Жыл бұрын

    2:19 귀에다 쓸줄은 상상도 못했다ㅋㅋㅋㅋㅋ

  • @kkk7490
    @kkk74902 жыл бұрын

    승무원들은 진짜 비상사태 대비 안전요원인데,,, 자격증도 없는데 병원에서 데스크업무 포함해서 모든 일 시키면서 우리 병원은 안전을 위한 병원입니다. 승무원처럼 서비스직이 아닙니다. 거리는 상사 아래에서 일 할 때 마다...개 현타온다...

  • @user-xi1po4yr3o

    @user-xi1po4yr3o

    2 жыл бұрын

    그래봤자 평소 하는 일은 공중에서 식당 서빙 하는 것 과 같은 서빙 아닌가요?? 어떻게 의사 간호시와 맞 먹으려 하세요. ㅋㅋㅋ 얼굴 반반하고 공부 못 한 애들이 꼭 승무원 하던데

  • @user-ux6yq6mg6s

    @user-ux6yq6mg6s

    2 жыл бұрын

    공부 잘해도 하고 싶으면 할거 같은데....

  • @thinkingAboutA

    @thinkingAboutA

    Жыл бұрын

    @@user-xi1po4yr3o 어떤 직업군을 함부로 판단하고 개개인을 폄하하지 마세요 추해요

  • @y_y9043

    @y_y9043

    Жыл бұрын

    @@user-xi1po4yr3o 닉네임이 북남통일이면 위에서내려온 빨갱이인가..? 유튭은 어떻게 들어왔지?? 탈북하셨으면 뇌좀 빨리 씻으세요ㅎ 여기서 살아남기 힘드시겠네요.

  • @user-hx4vv3mw4b

    @user-hx4vv3mw4b

    Жыл бұрын

    @@user-xi1po4yr3o 이름보니 어떤 인간인지 알만하네 ㅋ.

  • @hhb34361
    @hhb34361Ай бұрын

    맨 처음 BGM ‘산위에 올라가서’인가요?멜로디가 익숙하네요ㅎㅎ

  • @HoukagoTeaTime
    @HoukagoTeaTime2 жыл бұрын

    비행기나 타보고싶다.. 20년넘게 살면서 비행기도 못타본 내인생이 레전드다

  • @cloverone87
    @cloverone872 жыл бұрын

    만약을 대비해서 안내방송 나올때 유심히 보지만 금방 잊어버림 ㅜ 학교에서 비상시 훈련 여러가지 필수로 받게하면 좋을거 같아요

  • @user-hc1ip7vu3k
    @user-hc1ip7vu3k Жыл бұрын

    공항에 체험할수 있는공간이라도 있었으면 좋겠다. 위급시 판단하기에는 한번도 행동한적없어서 당황 할수밖에 없지 않을까? 예비군 가면 cpr 연습하는것처럼 교보제가 있었으면.. 있나.?

  • @brrr9260

    @brrr9260

    3 ай бұрын

    체험하다가 아무도 비행기 안탈듯

  • @user-o7nt5ws3pz
    @user-o7nt5ws3pzАй бұрын

    항공 관련 안전규정이 정말 잘 되어 있어도 최근에 보잉사 항공기 계속 결함 발생하는 것도 그렇고 아무리 조심하고 또 조심해도 항공기 사고는 언젠가 또 터지게 되어 있다 이착륙시 조종미숙, 파일럿과 관제탑 사이 커뮤니케이션 오류, 항공기 결함, 조류와의 충돌, 급작스런 날씨 변화, 테러 등등 여러가지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절대 안심할 수가 없다 비행기 탈 때마다 긴장하게 되고 제발 아무런 사고 없이 무사히 도착하기를 기도한다

  • @nli6450
    @nli64502 жыл бұрын

    이걸 아직도 30만명 밖에 못 보신게 아쉽네요 ㅠㅠ

  • @user-nf9zp1ri5s
    @user-nf9zp1ri5s2 жыл бұрын

    전 아직 한번도 비행기를 타 본적이 없지만, 영화에서 보던것처럼 안써도 되는 건줄 알았는데 내 목숨이 그 마스크에 달려있다는걸 이 영상을 보고 알았어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Leoanimusic
    @Leoanimusic2 жыл бұрын

    참고 :비행기 사고 보다 교통 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훨씬 높다

  • @lIIllIIIlIIIl

    @lIIllIIIlIIIl

    2 жыл бұрын

    죽을 확률은 비행기가 거의 100%에 수렴

  • @user-hl9xx8ql4r
    @user-hl9xx8ql4r11 ай бұрын

    사고는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아무도 모르는 것이니 비행 전에 승무원들이 안내하는 안전 수칙들을 사람들이 잘 숙지하고 있었으면 좋겠어요. 특히 공중에서 일어나는 사고는 더 무서운 것 같네요.

  • @DH-yh8eb
    @DH-yh8eb Жыл бұрын

    삐요삐요 풀 업 저거 진짜 무서워... 콕핏에서 저거 듣고서도 살아난 경우가 극히 드물다던데.. 실제로 사고난 기체 조종실의 공개된 녹음기록 들어보면 삐요삐요 풀 업 거리다가 쾅 소리 0.1초정도 들리고 끊기는 경우들이 있음..

  • @nanmoonan
    @nanmoonan2 жыл бұрын

    구명 조끼도 착용후 비상착수전에 부풀리면 안되고 착수 후 부풀려야된다고 안내해요…기내에서 부풀리지말라고 안내하는데 많이 모르시더라구요 착수충격으로 부셔진 기체에 구명조끼로 인해 갇혀 못나와서 익사사고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고 해요.

  • @o_nle_no_bang_zong_ingayo
    @o_nle_no_bang_zong_ingayo2 жыл бұрын

    0:30 팩트 ) 저알림 들리는 순간 이미 사망 확정

  • @yoyo-ds9hm
    @yoyo-ds9hm2 жыл бұрын

    버린물건 보상되니까 놓고내리라해도 진짜진짜 돈으로도 못사는 그런것들은 정말 아깝겠다...

  • @national_power_level
    @national_power_level Жыл бұрын

    비행기타기전에 사고영상 정주행은 국룰이지ㅋㅋㅋ 거의 다본듯 쫄깃함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