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진짜 꿈이 있는가? | 강신주 풀버전

#토크콘서트 화통 #강신주 "꿈이 있거나 혹은 꿈이 없거나" 풀버전
타인의 #꿈을 꿈꾸는 요즘 사람들에게 당신은 진짜 꿈이 있는가?

Пікірлер: 95

  • @user-jt8de8cx6q
    @user-jt8de8cx6q2 жыл бұрын

    저는 힘들게 성취하고 집안경사가된 고등학교 교사를 7년을 꾸역꾸역 버티다가 우울증이 심각하게 와서 그만뒀어요 지금은 40이 훌쩍넘었네요 다른분들은 강신주님 말씀을 막연히 무책임한 말이라고 하실수도 있지만 저는 인생수십년과 청춘이 날아가버린 뼈저린 인생수업이었어요... 강신주님이 하시고 싶은 말의 의미를 가슴져리게 알고 있습니다... 내 꿈이 아닌 엄마꿈에 청춘을 다 보내고 나니.. 아이때부터 열망했던 그림을 그리고 있지만 기력이 소진되서 에너지가 많이 딸리네요... 유명한 화가의 꿈도 몇달전에 접었습니다....그저 그냥 성공이라는게 부질없고 지금은 그냥 하루하루 살아있는거에 바람과 훍냄새에 감사하며 삽니다....

  • @user-yn9kw5vj1f

    @user-yn9kw5vj1f

    2 жыл бұрын

    097

  • @user-x7z0r89m0

    @user-x7z0r89m0

    2 жыл бұрын

    매순간 작은 일상에서 행복하면 되죠. 조금씩 회복되실 거에요.

  • @user-pt5ce7ol4f

    @user-pt5ce7ol4f

    2 жыл бұрын

    너무 공감됩니다

  • @rxwt3907

    @rxwt3907

    2 жыл бұрын

    그림을 그리고 있는 자체가 행복하지 않다면, "그림을 그리는 것"이 본인의 꿈이였던게 아니라 "유명화가가 되는 것"이 꿈이였지 않았을까요? 날마다 그림을 그릴때마다 행복한지 스스로 물어보세요.

  • @user-jt8de8cx6q

    @user-jt8de8cx6q

    2 жыл бұрын

    @@user-x7z0r89m0 감사합니다 "좋은길"님

  • @seo2466
    @seo24663 ай бұрын

    산을 오르려고 하는 사람에게 산은 험하다 오르려고 하지 않으면 그저 산은 풍경이다 하루하루 행복하게 사는 삶을 위하여❤

  • @sizmaria7406
    @sizmaria74062 жыл бұрын

    저는 고등학생 시절에 우연히 접한 디자인 수업을 듣고 컴퓨터로 디자인을 해야겠다고 생각해서 부모님에게 디자인학원을 다니겠다고 해서 다녔고 관련전공을 하고 편집디자이너로 나름대로 주변의 친구들보다 많은 급여를 받으며 10년정도 일했습니다. 사실 하나도 행복하지 않았어요 첫 명함이 나오던 날 기뻣던 그 마음은 그 순간뿐이었죠. 돈이 모여도 공허함 뿐이었어요. 아무 의미없이 비싼 외제차를 샀지만 순간의 즐거움 이었습니다. 디자인을 하지 않겠다 결심하고 또 막연하게 사람을 상대하는 영업일이 즐거울거라 생각해 영업사원으로 3년정도 일을 했었습니다. 나름대로 좋은면도 있었지만 또 아니었습니다. 지금은 여러가지 시행착오를 격고 작은 회사를 만들어 조금씩 성장하고 있습니다. 몇가지 사업을 동시에 하고 있는데 너무 정신없고 바쁘고 직장인보다 훨씬 힘들지만 그래도 직장생활 할때보다 훨씬 즐겁고 자발적으로 움직이고 있어요. 주말에도 알아서 일을 하고 있구요. 직장인일때는 주말에 나와야 하면 너무 짜증나잖아요? 하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아요. 강신주님의 강의는 항상 사람을 관통하는 느낌을 줍니다. 예쁜말만 듣고싶은 사람에게는 상처를 후비는 강의를 하시죠. 하지만 그안에 깊은 의미가 분명히 있습니다. 도망칠거면 그냥 그렇게 도망다니며 살면 됩니다. 헛된꿈을 꾸며 괴로움 속에서 말이에요. 부모들도 잘 생각해봐야 합니다. 공무원이든 사짜들어가는 직업을 얻으라고 자식에게 주입시키는게 맞는일인지 말로만 난 애가 하고싶은거 하게 해줄거라고 떠들지 말고요. 자식은 부모의 꿈을 대신 이뤄주는 아바타가 아닙니다. 저도 부모가 그렇게 하라던 공무원이 되었다면 되고난 뒤 공허함을 느꼈겠죠.

  • @user-cf4nd5vv1y
    @user-cf4nd5vv1y2 жыл бұрын

    지금 꾸고 있는 꿈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일단 올라가라 그리고 뭐가 남는지 느껴라. 꿈이라는 산을 실제로 올라가려할때 험한것을 안다. 현실주의와 이상주의는 한면이다. 선생님 잘 들었습니다.

  • @user-on7eb2dt3h
    @user-on7eb2dt3h2 жыл бұрын

    요약:꿈을 꾸려면 온삶을 다해 노력하고 그러지않을바엔 꿈없이 하루하루 행복하게 살아라 노력없는 꿈은 망상(개꿈)이고 남의 꿈을 꾸는 것은 불행의 길이다

  • @user-oz1kt2ge7y

    @user-oz1kt2ge7y

    Жыл бұрын

    요약 ㄱㅅ

  • @user-oi2nv7qn1r
    @user-oi2nv7qn1r2 жыл бұрын

    산을 오르려는 사람에게만 산은 험하다.

  • @kwanpokim2295
    @kwanpokim2295 Жыл бұрын

    나의 무지함을 항상 되돌아 보게 만드는 강신주 선생님. 오래오래 좋은 이야기 많이 들려주시길요

  • @user-nn8bx2sp7n
    @user-nn8bx2sp7n Жыл бұрын

    구구절절 가슴에 꽂이는 말씀 치열하게 살아본 사람은 바로 알아들을수 있는 말씀 젊은이는 다소 어려울수 있는 쉬운 말씀이나 결국 스스로 해봐야 자기것이 되니 만만치 않아요 매일이 새롭고 일상에서 소소한것들이 살아있어 느끼는 감사 느낄수 있다면 행복한 사람 늘 감사해요 쌤^^~♡

  • @user-pt5ce7ol4f
    @user-pt5ce7ol4f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습니다^^ 공감됩니다 올라와보니 허탈해서 이기분 머지 감사함을 모르는 나를 탓했는데 내꿈이 아니였던거였어요 합리화를 하고있었네요 엄한곳에서 땅파고있었어요 감사합니다^^

  • @user-dp2hc5bi4f
    @user-dp2hc5bi4f2 жыл бұрын

    산에 오르려는 사람에게만 산은 험하고 산에 오르려하지 않는 사람에게 산은 멋진 풍경이라 우와~

  • @user-iw1nn5ld6j

    @user-iw1nn5ld6j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요? 뮌 의미죠?

  • @coopersmom8339
    @coopersmom83394 ай бұрын

    이 강의는 무겁지 않게 말씀해 주셨지만 너무나 정곡을 찌르는 통찰로 우리가 꾸는 꿈이 어떻게 우리가 실재 느끼고 겪는 현실과 어떻게 연관이 있는지에 제대로 알려주신 내용이네요. 우리는 누구나 제법 원대한 꿈을 꾸지만 사실 그 꿈에 닿기 위해 몸으로 도전하기 시작하면 그 과정을 통해 그것이 우리 각자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 일인지 알게 됩니다. 사실 그 과정은 정말 큰 고통을 통해 온 몸으로 꺠닫고 알게되는 인생에서 어쩌면 가장 큰 의미가 있는 일이기도 하고, 또 실재로 애쓰다보면 어떤 경우는 단지 개꿈이였다는 걸 깨닫게 되기도 하죠. 그러나 직접 부딪쳐보지 않으면 개꿈이 진짜 마치 인생에서 가장 크게 놓쳐버린 가장 중요한 일로 착각하며 크게 후회하고 아쉬워하는 삶을 살게 되겠죠. 그 욕망을 버리지 못하면. 중요한건 우리가 몸으로 직접 노력해보아야 포기하더라도 그것이 나에게 결국 큰 의미가 없었다는걸 깨닫게 된다는거죠. 또 꿈을 이루더라도 사실 그 경지에 오르면 내가 이룬꿈도 내가 만든 환상이였구나를 알게 되기도 합니다. 사실 강신주님 말씀처럼 매일 우리가 하는 가장 사소한일이 행복해지면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행복한 삶인것 같아요. 또 한 사람을 만나기 위해 우리가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말씀도 정말 맞습니다. 이 강의를 듣고 깨달은 바가 큽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myladhood4732
    @myladhood47322 жыл бұрын

    김어준씨가 팔레스타인의 대표인 아라파트를 만나러 간 이야기가 생각이 나네요. 결국 어렵게 왔는데 다와서 문앞에서 '돌아가야지'하고 생각했다죠. 그 이야기를 들으면서 이 이야기를 들으면 아주 잘 이해가 될 것 같아요. 왜 김어준씨가 그냥 돌아왔는지. 가보지 않은 사람은 절대 이해못할 그 생각. 그걸 알게 되는 게 10대인 사람도 있고, 20대인 사람도 있고, 정말 죽기 전에 아는 사람도 있겠죠. 인생 다 살아보니 이런 것 같다라는 것 처럼. 굳이 나를 이루려고 자신을 가학하는 것도, 너무 강신주씨가 말하는 꿈을 가지려 노력하는 것도 의미가 없을 수도 있어요. 자신에게 오는 그 순간, 그 순간의 내가 나와 아주 솔직하게 만날 때만 가능할 것 같기도 해요. 솔직한 나를 만드는 과정, 행복하다는 것이 그런 것 같기도 해요.

  • @user-qx7he8lw5g
    @user-qx7he8lw5g2 жыл бұрын

    열심히 해서 꿈을 이룬 후, 허무함 때문에 이게 뭐지? 싶어서 시간 많이 날렸어요. 그냥 제끼고 다음 거 하면 되었던 것을. 이제라도 깨닫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rg1wq2oy7t
    @user-rg1wq2oy7t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힘찬 목소리 감사합니다~ 교수님 강의를 통해 많이 생각합니다.

  • @park_ho_seong
    @park_ho_seong2 жыл бұрын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꾸준히 강연해주세요😚

  • @user-bl9mp3dm7h
    @user-bl9mp3dm7h2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소중히 세기겠어요

  • @user-gs2hy7or1o
    @user-gs2hy7or1o2 жыл бұрын

    와우...너무나 마음에 와닿는..멋진.좋은강의 감사드립니다.

  • @user-wj2uv8id9w
    @user-wj2uv8id9w2 жыл бұрын

    강의 참 좋다

  • @ringo5195
    @ringo51952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너무좋아요

  • @happyracoon70
    @happyracoon702 жыл бұрын

    생각의 깊이가...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tannay81
    @tannay817 ай бұрын

    아침부터 공감하고 감명받고 갑니다. 좋은 내용 감사해요

  • @user-il2sc3yo5w
    @user-il2sc3yo5w7 ай бұрын

    강연 너무 멋지세요 감사합니다 ♡

  • @user-sf2vb7qb4m
    @user-sf2vb7qb4m2 жыл бұрын

    진짜로 공감갔습니다 공부는 아니지만 열심히 하는 활동 1등으로 했엇는데 이게머지...? 대체 이거 했는데 머가 의미있지..? 생각되더라고여 다른 사람들의 찬사를 볼려고 했던 거더라고여 그래서 지금은 주변사람들과 대화하면서 지내는중인데 즐거운 것 같아여 이것 또한 바뀔수도 있지만 그래도 조아여!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kank269
    @kank269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ez6bt7fn8v
    @user-ez6bt7fn8v2 жыл бұрын

    멋진 강의

  • @chrisdaeyunkim
    @chrisdaeyunkim2 жыл бұрын

    꿈과 현실의 결합 = 힘들어도 매일 할 수 있는 행복한 노력과 일 그리고 성취감

  • @user-nv2iy9bp6n
    @user-nv2iy9bp6n2 жыл бұрын

    강신주교수님 감사합니다.

  • @user-iq5dy9dm2e
    @user-iq5dy9dm2e2 жыл бұрын

    얼굴 좋아지셨네요. 이제 제모습 나와서 다행입니다.

  • @user-il7sf4on1z

    @user-il7sf4on1z

    2 жыл бұрын

    예전 강의입니다.

  • @user-wn6ug1si6o
    @user-wn6ug1si6o2 жыл бұрын

    유튜브 하나보고 강신주를 말하다니요~^^ 책도 읽어보세요.

  • @itmasspeaker684
    @itmasspeaker684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다 공감~

  • @messiahtennis2136
    @messiahtennis21362 жыл бұрын

    인간의 꿈이란 타인의 삶을 나의 삶에 투영시킨 비교에서 시작된다. 폭죽을 가지고 노는 친구가 행복해 보이기 때문에 나도 폭죽을 쏘고 싶은 것이다. 이 행복은 영원하지 않으며 반듯이 유통기간이 존재한다. 모든 인간은 이 비교라는 저주 때문에 불행한 것이다. 더 불행한 것은 인간은 비교를 통하여 삶의 원동력을 만들어 살아가고 있다. 이것이 욕심이다. 문제는 욕심을 버리고 살아갈 수 있는 인생은 없다는 것이다. 또한 이 욕심을 버리고 산다는 것이 삶의 한 부분에서는 가능할지 모르지만 삶의 모든 영역에서 이루어 지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욕심없는 인생을 살수 있다는 것. 이것은 인간의 영역이 아닌 신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이에 인간이 신의 영역과 비슷한 경지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 이타적인 사랑이다. 이타적인 사랑이란 나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고 전적으로 타인의 이익만을 추구함을 말한다. 여기에 타인의 이익을 추구함에 최소한의 나의 이익을 내지는 명예를 보장 받고자 한다면 이 또한 포장만 이타적일뿐 속은 이기적인 사랑이다. 결국에 인간의 욕심의 한계 때문에 이 경지에 오를 자가 없고 꿈이란 이기적인 욕심에 불과하다. 이에 인간의 무엇이고 나는 어디에서 왔는지 고뇌하는 인생이 진실된 꿈을 찾아가는 인생이라 할 수 있다.

  • @user-kt1fh1fx5u
    @user-kt1fh1fx5u2 жыл бұрын

    시간가는줄모르고몰입해서들었습니다

  • @MMzealot
    @MMzealot2 жыл бұрын

    그저 정해지지 않는 우리 인생을 사는 것이 중요하다.. 부모는 자식이 걱정돼서 사회가 정해놓은 길을 가르쳐주지만 그건 아이에게 불행만 가져올뿐.. 정해지지 않은 길... 흙만 만지고 놀아도 즐거웠던 시절로 돌아가고 싶다

  • @user-bo1bb1oe7r
    @user-bo1bb1oe7r2 жыл бұрын

    다소 표현이 거칠지만 공감합니다~

  • @user-op2er4js1f
    @user-op2er4js1f2 жыл бұрын

    누가 불을 사랑할때 물을 생각하니 그가 나를 생각할때 내가 정을 알까 좋은 말이 생명이니라.

  • @truthspot
    @truthspot2 жыл бұрын

    목적이 있으면 되는 일이 하나도 없고 목적이 없으면 다이루어 지지 않을까요? 신의경지

  • @pipiruby87
    @pipiruby872 жыл бұрын

    수중에 돈이 여유롭게 있으면 모든게 행복한데 없으면 모든게 행복하진 않네요 ㅎㅎ

  • @user-xf1ry2tb8y
    @user-xf1ry2tb8y2 ай бұрын

    세상 모든 욕망이 타인의 욕망이지.

  • @IllllIlllIlllIl
    @IllllIlllIlllIl2 ай бұрын

    이 나라는 기본적으로 어렸을 때 집안이랑 원수져야 기본적으로 꿈에 가까워지게 됨. 빨리 가출하고 빨리 도전하고 깨지고, 마지막으로 진짜 내가 뭘 제일 잘하고 하고싶은지 발견하는 사람만 성공하고 행복해질 수 있음. 우리나라는 부모 입김이 너무 쌔. 전부 다 로봇으로 커서 절망 밖에 안남은 저출산 국가가 되버림.

  • @-boardingpass7907
    @-boardingpass79072 жыл бұрын

    12:50

  • @user-hr9xt5vg7s
    @user-hr9xt5vg7s2 жыл бұрын

    15:20 11:45

  • @user-rd5hu7nl7j
    @user-rd5hu7nl7j2 жыл бұрын

    진짜 꿈은 ALL IN하게 만들고 기꺼이 ALL IN하는 상태(열정과 몰입상태)를 만들어내는 것

  • @user-jo5vg5op4j
    @user-jo5vg5op4j Жыл бұрын

    최고!

  • @user-er3cx2gd8g
    @user-er3cx2gd8g2 жыл бұрын

    강신주

  • @user-wv2wt3sh5u
    @user-wv2wt3sh5u2 жыл бұрын

    뇌과학이랑도 참 잘 맞네요. 도파민의 꿈과 새로토닌의 행복....어쩜 옛날 성인들은 현대과학적인 지식도없이 머리와 감정만으로 그걸 다알았던 걸까요.

  • @dramalabpool3844

    @dramalabpool3844

    2 жыл бұрын

    흥미롭네요. 말씀하신 뇌과학과 관련된 정보를 어디서 얻을 수 있을까요?

  • @user-wv2wt3sh5u

    @user-wv2wt3sh5u

    2 жыл бұрын

    @@dramalabpool3844 뇌과학 김대수교수님의책부터 공부하시면 좋아요

  • @user-cn3dm2ib1h
    @user-cn3dm2ib1h2 жыл бұрын

    다시 살찌셨네 쾌차하셨나보네요

  • @user-il7sf4on1z

    @user-il7sf4on1z

    2 жыл бұрын

    예전 강의입니다

  • @namjupainting

    @namjupainting

    2 жыл бұрын

    @@user-il7sf4on1z 어쩐지..최근영상봤는데 목소리가떨리시고 힘이없으시는..ㅠ.ㅜ

  • @antonius3496
    @antonius34962 жыл бұрын

    평범한건 좋은거구나....ㅅㅂ

  • @user-op2er4js1f
    @user-op2er4js1f2 жыл бұрын

    신주 만나고 싶네 될까!

  • @jonykim7382
    @jonykim73822 жыл бұрын

    요즘 어떤 여자가 바흐듣는 남자를 만나는 꿈 꾸나.. 재력가에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의 직업, 보통이상의 외모 화목하고 경제적으로 안정된 집안을 가진 남자를 원하지.. 그런남자는 트로트 들어도 상관없고 트로트 듣는 다고 해서 바흐듣는 남자보다 별볼일 없는것도 결코 아니다. 트로트 즐겨 듣는 평생 환자들을 위해 일생을 바친 의사도 있고 바흐 즐겨듣는 사이코패스도 있다

  • @miraclevictory
    @miraclevictory Жыл бұрын

    88

  • @ludwigwittgenstein9243
    @ludwigwittgenstein92432 жыл бұрын

    꿈? 다 개꿈이야. 내가 원하는 건지 타인 눈치 때문에 한 건지 이루어 질 때까지 몰라. 여기서 가장 이득본 것은 강신주 한 명이야.

  • @user-xe3vr7jl5j

    @user-xe3vr7jl5j

    9 ай бұрын

    ㅈㄹ하구 앉아있네

  • @HJ-hv7wb
    @HJ-hv7wb2 жыл бұрын

    미안하지만.... 공감이 잘 안된다...

  • @user-re9rb8bl7u

    @user-re9rb8bl7u

    2 жыл бұрын

    30대에 와닿지않았다. 먹고살기바빠서 40대에 먹고사니 이제 강신주말을 알겠다. 저말을 왜했는지

  • @supermeshpool
    @supermeshpool2 жыл бұрын

    강신주말 들을거 없다... 모든 이야기가 매 순간 쾌락을 선택하라는 이야기 뿐

  • @yupark7257

    @yupark7257

    2 жыл бұрын

    그런 얘긴가요. 님은 너무 쾌락주의적인 해석같네요. 제 입장엔 적어도 환경에 의해 인생 대부분의 시간(일)을 힘들어 하지 마라는 걸로 바꿔 들어도 좋을듯.

  • @supermeshpool

    @supermeshpool

    2 жыл бұрын

    @@yupark7257 전체적인 이야기를 말한겁니다. 여기에서는 조금 다르게 이야기했습니다.

  • @user-ns6qo2yl8g

    @user-ns6qo2yl8g

    2 жыл бұрын

    너보단 나아 넌 할말이있냐

  • @ericpark6067

    @ericpark6067

    2 жыл бұрын

    같은 이야기도 듣고 해석하기 나름이라지만 쾌락을 선택하라는 이야기라고 퉁치는 이 해석은 참...

  • @leinardjung5990

    @leinardjung5990

    2 жыл бұрын

    @@supermeshpool 님이 해석을 잘못하신거라는 생각은...? ㅎ

  • @arche_2942
    @arche_29422 жыл бұрын

    김어준이 사회보고 강신주 박사랑 Jordan B. Peterson 교수랑 철학콘서트 하면 당장 날아가겠습니다...

  • @user-xd4zr9zl8q
    @user-xd4zr9zl8q2 жыл бұрын

    이 아저씨는 객석의 사람들 부르는 호칭이 왜 저래? 말투 너무 듣기 싫다! 강의를 하려면 말투부터 좀 다듬으시면 좋겠습니다. 그래도 감동받은 젊은이들이 많으시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