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이 만들어지는데 걸린 총 시간 = 3시간 컷! 😎 | 역대 가장 정밀한 NASA 시뮬레이션의 새로운 결과?!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 #달 #시뮬레이션 #대충돌 #테이아 #지구 #moon #theia #earth #simulation #nasa
📝 칼럼 링크
m.post.naver.com/my/series/de...
🎤 NAVER 오디오클립 팟캐스트 링크
audioclip.naver.com/channels/143
레퍼런스
iopscience.iop.org/article/10...
www.nasa.gov/feature/ames/lun...
www.nature.com/articles/ngeo2866
본 컨텐츠는 NAVER 네이버 & 비즈한국의 지원으로 제작됩니다.

Пікірлер: 123

  • @observancechoi
    @observancechoi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재밌네요 ㅋㅋ 시뮬레이션으로 과거나 미래를 추측하는건 참 재밌는듯

  • @therock79983
    @therock79983 Жыл бұрын

    항상 유익한 소식 감사

  • @gemem33
    @gemem3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재밌게 잘 봤습니다

  • @sggibson2382
    @sggibson2382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유익한 정보 항상 감사합니다. ^^

  •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봤습니다!

  • @creativemonk6721
    @creativemonk6721 Жыл бұрын

    수준 높은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

  • @soderbergh
    @soderbergh Жыл бұрын

    우주영상의 독보적 편집 구성과 컨텐츠 퀄리티 그리고 해석은 우주먼지현자타임즈가 최고 입니다.

  • @jeeunlee-

    @jeeunlee-

    Жыл бұрын

    ㄹㅇ 이런 채널몇개만 더있으면 과학동아나 뉴턴같은 잡지 망할듯

  • @user-fj2pr7sk7n
    @user-fj2pr7sk7n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 @user-hihi123
    @user-hihi123 Жыл бұрын

    지구 스케일에서 벌어지는 격동도 상상할 수 없을만큼 거대한데 태양보다 거대한 항성에서 일어나는 그 힘은 대체..

  • @nalexandi
    @nalexandi Жыл бұрын

    퀄러티 쩌네요~ 응원합니다. 대중성있는 채널보다 훨씬 더 좋아요

  • @90Babo

    @90Babo

    2 ай бұрын

    이거 일반 대중을 겨냥한 채널입니더

  • @amugkim5949
    @amugkim5949 Жыл бұрын

    마크비유 너무 좋은데요 이해가 확 되네요

  • @chanhongmin3637
    @chanhongmin3637 Жыл бұрын

    세 시간 남짓이라니... 놀랍고 멋집니다.

  • @user-ed7bo5kp6r
    @user-ed7bo5kp6r Жыл бұрын

    테이아라는 고대행성이 지구와 충돌하는 각도에 따라 시뮬레이션 값이 많이 달라지지는 않나요? 그리고 테이아의 크기나 질량, 밀도에 대한 값은 어떻게 설정한 것인지 궁금하네요.

  • @sakkk2051

    @sakkk2051

    Жыл бұрын

    흠. 일단 우리는 어느정도 결과값을 알고 있습니다. 지구와 달의 질량, 공전 자전 속도, 둘 간의 거리 등등 이라는 결과값을 알고 있어서 지금의 상태라는 결과가 나오게끔 시뮬레이션 돌렸을겁니다. 모르는 변수는 많겠지만 여러가지 경우의 수 중에 1가지를 보여준 시뮬레이션입니다.

  • @user-xh8ur1sf2v

    @user-xh8ur1sf2v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모두 추측과학임 우주탄생은 커녕 생명 기원도 몰라서 하느님이 만들었다고 개소리하는것들 우주소재는 추측과 설 시나리오 시뮬레이션 뿐입니다

  • @user-vl8iq7sn4u

    @user-vl8iq7sn4u

    Жыл бұрын

    @@sakkk2051 이게 맞는듯 여러가지 경우로 현재 지구와 달의 모습이 나오는데 그중 한가지 정도로 시뮬레이션

  • @user-ut2tp2es4k

    @user-ut2tp2es4k

    Жыл бұрын

    @@user-xh8ur1sf2v 왜케 화가 나셨을까..

  • @weather_note
    @weather_note Жыл бұрын

    이번에 새로 시행된 실험을 통하여 볼 때 앞으로 또 어떤 몰랐던 사실들이 밝혀질지 흥미롭네요. 달의 존재가 생명체의 유지에 크게 기여를 한다는 것을 볼 때 테이아의 충돌은 정말 지구 역사상 가장 극적인 사건 중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ㅎㅎ

  • @user-cr2lf5fh7s
    @user-cr2lf5fh7s Жыл бұрын

    지구 반만한 크기가 충돌하면 지구에는 어떤 현상이 나타났을지 궁금하네요. 또 충돌속도는 어느정도인지, 그래서 tnt는 어느정도일지... 궁금합니다.

  • @user-he7jg3dh6p
    @user-he7jg3dh6p Жыл бұрын

    우주유튜브 즐겨보는 사람인데 제생각엔 우주먼지현자타임즈 유투버님이 가장 알차고 유익합니다 .

  • @user-sw6ks8lv1v

    @user-sw6ks8lv1v

    Жыл бұрын

    북툰

  • @Smari24
    @Smari24 Жыл бұрын

    점점 정답에 가까워져 가네요.

  • @seowlite
    @seowlite Жыл бұрын

    라그랑주 포인트는 뭘 뜻 하나요??

  • @user-zs5fq3qq4l
    @user-zs5fq3qq4l7 ай бұрын

    하루 조금지나 다 완성😊

  • @user-jr8ow5ze7f
    @user-jr8ow5ze7f Жыл бұрын

    사실 며칠전에 다른 채널에서 먼저 본 주제이긴 한데. 우주먼지 현자타임즈가 훨씬 정리되고 이게 어떤 의미인지 더 자세히 알려줘서 좋네요 ㅋㅋ

  • @guyverpae4094
    @guyverpae4094 Жыл бұрын

    달의 탄생과 지구의 자전, 그리고 지구 핵의 회전에 의한 지구자기장의 탄생 등에 대한 설명이 꽤 인상적이네요?

  • @Anthem_of_light
    @Anthem_of_light Жыл бұрын

    현자타임즈 달 재밌어요

  • @khk8636
    @khk8636 Жыл бұрын

    대충 돌로 3시간만에 만들어졌군요

  • @user-xe6uf1sr2m
    @user-xe6uf1sr2m Жыл бұрын

    달은 실험실 비커 안에 넣는 자석처럼 잘 섞어주는 중요한 위성👍👍

  • @user-tb3oe7ch7w
    @user-tb3oe7ch7w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정보 디테일이 다르네요. 대부분 자칭 과학유튜버가 3시간이랑 파티클 수가 역대 최대였다는 언급만하지 파티클 개수 바꿔가면서 시뮬레이션한거 언급한데를 본적이 없네요.

  • @voololl
    @voololl Жыл бұрын

    일요일 아침에 유의한 정보 감사합니다 우주먼지들은 현자타임을 사랑합니다 [^___^]

  • @topmade7727
    @topmade7727 Жыл бұрын

    달의 탄생이 신의 한수네 한수야

  • @ht30
    @ht30 Жыл бұрын

    달 너무 소중한 존재네요. 달이 왜 저리 구멍이 많나 했더니, 파편들 끌어오느라 그랬던건가봄..

  • @GaRang_Be
    @GaRang_Be Жыл бұрын

    근데 보면.... 참 우연에 우연이 더해진 결과가 현재가 아닐까 싶어요. 개기일식 같은거 보면, 달이 태양을 딱 가리는 사이즈의 거리에 있는 것도 그렇구요.

  • @user-zs1iz9wx2p
    @user-zs1iz9wx2p Жыл бұрын

    달아 고맙다...ㅜㅜㅜㅜ

  • @user-mq9sw6ie2q
    @user-mq9sw6ie2q Жыл бұрын

    지구와 달의 중력 균형점에 많은 소행성이나 파편이 흔적으로 남아 있어야 가능한 이론

  • @user-qd6it9ly4h
    @user-qd6it9ly4h Жыл бұрын

    달은 대충.. 돌로 만들었다

  • @redstone_pg
    @redstone_pg Жыл бұрын

    달의 기원...대충 돌로 만들어져...

  • @rkdgofls_dltkdgkek
    @rkdgofls_dltkdgkek Жыл бұрын

    역시 달은 대충 돌로 만들어진거였어...

  • @SHGZR
    @SHGZR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앞으로 시뮬 해상도가 이보다 더더더 좋아지면 이러한 예측과 상반된 결과를 얻을 수도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 @user-cy5so4ji9h

    @user-cy5so4ji9h

    Жыл бұрын

    네 더더더 좋아지는거까지 안가도 변수하나만바꾸면 싹달라짐

  • @SHGZR

    @SHGZR

    Жыл бұрын

    @@user-cy5so4ji9h 음 제 질문은 다른 변수는 그대로 두고 파티클 수가 더더더 많아진다면.. 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ls1ef7ul5k
    @user-ls1ef7ul5k Жыл бұрын

    대충 돌로 만들어진 달

  • @cjfflgkr
    @cjfflgkr Жыл бұрын

    언젠가 인류가 탄생한 시뮬레이션도 볼 수 있기를...

  • @tankcooke
    @tankcooke Жыл бұрын

    어제 수락산 등산갔다왔습니다. 하나의 산에도 여러가지 거대 돌들이 있는거 보니, 지구가 용앙덩어리 였을꺼 보다 오랜시간 우주에서 다양한 돌들이 지구로 떨어졌을꺼 같습니다.

  • @kkakka7
    @kkakka7 Жыл бұрын

    오호 달의 질량이 이렇게 작은줄 미쳐 생각지도 못했네요. 중력이 1/6이니깐 그냥 질량도 1/6인줄 알았는데

  • @user-rk2gm3si8g
    @user-rk2gm3si8g Жыл бұрын

    달에 대해 이해 불가한 사실 두가지 달은 지구를 바라보며 돌고 있다.(뒷면을 절대 볼수 없음) 둘째 멀리 떨어진 태양과 반대로 아주 가까운 달의 크기가 지구에서 볼때 거의 동일하다 이건 어떻게 설명해야 하나요?

  • @daeyoungchoe2828
    @daeyoungchoe2828 Жыл бұрын

    행성계의 3분라면그런건가

  • @king15y
    @king15y Жыл бұрын

    달은 대충 돌로 이루어졌네요

  • @user-dl7cx5pj2v
    @user-dl7cx5pj2v Жыл бұрын

    근데 달이 지구 지름의 4분의1인데 시뮬레이션에서 달은 크기가 너무 작지 않나요?

  • @user-hy2kr8bc9f
    @user-hy2kr8bc9f Жыл бұрын

    그렇기에 달이 지구에 미치는 역학적 관계가 이해가 더 될수도 있습니다. 테이아와 대충돌직후 당연히 지구는 매우 혼돈하고 쇼크를 먹은 상태였슬것이 확실한데 이러한 쇼크상태에서 안정화되는 과정에서 달이 신속하게 형성되고 지구를 안정시키는데 큰 역할을 했슬것으로 봅니다.

  • @freedom-lz7cg
    @freedom-lz7cg Жыл бұрын

    이러니 지적 생명체가 만들어질 확률이 극히 적죠

  • @user-hg5be9hm3e
    @user-hg5be9hm3e Жыл бұрын

    지구하고 달이 근처에서 생성되었고 가까이에서 만들어 졌으니 베이스가 되는 가스나 먼지도 비슷한 성분 분포를 가졌을거고 그래서 지구하고 달이 비슷한 성분분포를 보이는건 아닐까요

  • @sunstart395
    @sunstart395 Жыл бұрын

    덫붙여 화성이 지구보다 작은 것은 물론 목성이 지금 위치보다 훨씬 내행성 쪽으로 다가오면서 화성 주변의 물질들을 다 쓸어내 버려서 화성이 더이상 성장하지 못했고, 토성의 영향으로 목성이 더이상 내행성 쪽으로 다가오지 않고 멀어지게 되었다는 이론도 있긴 하나, 또 다른 이론으로는 화성과 수성이 생성된 곳이 원래 현재 위치가 아니었다는 이론도 있습니다. 이 이론에서는 현재 부피 대부분이 거의 핵으로 이루어진 수성이 거대 충돌의 영향으로 맨틀 부분을 거의 잃어버리고 공전궤도도 이탈해 현재처럼 태양에 가깝게 위치하게 되었으며, 이 여파로 화성은 튕겨져 나가 현재 궤도에 위치하게 되었다는 이론도 있죠.

  • @darreh4370
    @darreh4370 Жыл бұрын

    달의 비밀

  • @user-ir3tq7ck8w
    @user-ir3tq7ck8w Жыл бұрын

    단지 가설일 뿐이지....말이안됨

  • @hoony797
    @hoony797 Жыл бұрын

    달은 3시간 컷 영상시청은 3초 컷 3초 본것 같은데 끝이네요

  • @user-bg7bx3le6y
    @user-bg7bx3le6y Жыл бұрын

    오! 그럼 혹시 수성은 금성과 충돌한 천체 아녔을까요? 금성과 충돌후 태양한테 뻇긴 그런거 아닐까요? 수성의 핵이 비정상적으로 크다던대.. 혹시 그런거 아닐까요? 금성과 빗겨 맞을때 수성의 지표면들 떨어져나가고 당시 금성은 원래 지구보다 훨씬 작았는대 파편들이 금성으로 떨어지면서 원래 금성도 지구처럼판구조였는대 수성의 지표면 부속물들을 흡수하면서 금성의 지표를 수성의 지표로 덮어 버려서 금성은 판구조가 아니라 그냥 덮어버린 상황이 된거 아닐까요? 궁금하네요 ㅋㅋ

  • @user-xe6uf1sr2m
    @user-xe6uf1sr2m Жыл бұрын

    유럽 그리스같은데는 이름 참 의미 있고 멋있게 명명 하는거 같음 테이아라니 느낌 있고 멋있고 이쁘고 모성애도 느껴지고 테라같이 규모도 있어보이고 the + ia 란것도 깔끔하다 한국이나 중국 일본 아시아가 강대국이고 천문에 앞서가서 명명 했다면 달모? 몬가 안어울림 동남아랑 아프리카나는 되게 어려울꺼 같은 단어 붙히거나 중동은 엄첨 긴이름 나올꺼 같고 뭔가 대상이나 객체에 이름을 짓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운명에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므로 우주 물체 이름은 다 어울리고 딱맞는 이름들 같음 별자리도 그렇고

  • @cotana3823
    @cotana3823 Жыл бұрын

    양자 컴퓨터가 본격적으로 구동되기 시작하면 많은 우주의 비밀도 서서히 풀려지겠지요. 과학 기술이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가 되어주길....

  • @yshong509
    @yshong509 Жыл бұрын

    달 대충 돌로 만들어진 걸로 알고 있어요~

  • @user-nj6ie3pf7e
    @user-nj6ie3pf7e Жыл бұрын

    충격) 달 45억년전 대충~ 돌로만들어져

  • @user-hy2kr8bc9f
    @user-hy2kr8bc9f Жыл бұрын

    달이 존재해서 지구의 자전속도를 잡아준다라고 한다면 위성이 없는 금성의 하루가 1년보다 더 긴경우는 어찌 설명할것인지? 화성도 거느리는 위성이 매우 작아서 달이 지구에 미치는 역학관계수준이 성립이 불가능한데 화성의 자전시간은 지구와 비슷합니다.

  • @user-rx2ht4pm6b
    @user-rx2ht4pm6b Жыл бұрын

    대부분은 달이나 암석형 행성들이 단단히 굳어진 돌들을 생각하니 이해가 안될거에요 하지만 달등이 만들어지고 잇는 시기라면 어떨까요? 모든 물리학등에서 고정치가 아닌 여러가질 생각하면 상상력도 풍부해지고 많은 가설에 답에 가까워질수 잇어요 소행성 우주 다트 실험중에 소행성이 어떤지 보셧죠? 소행성등이 단단한 돌뎅이즉 깨져서 한의 덩어리가 아니라 수많은 덩어리들이 뭉쳐져 잇던 모양 뭔지 아시겟죠? 달과 지구등이 만들어지는 수많은 조각들이 뭉쳐지는 상황에서의 충돌로 보는거죠 지금의 지구라면 큰 덩어리 충돌과는 약간 다른형태 일수도 잇는 상태로 본거라 보이거나 시간으로 볼때 여러가질 추측한거라 보여요

  • @user-sr1rj8uw6l
    @user-sr1rj8uw6l Жыл бұрын

    걍 간단하게 지구꺼네

  • @kcha8878
    @kcha8878 Жыл бұрын

    ...왜 갑자기 스텔라리스가 하고 싶어 지지...?;;;

  • @user-yu3sb6yw6q
    @user-yu3sb6yw6q Жыл бұрын

    사람이 애 낳을 때도 더 오래 걸릴 때가 많은데 달은 완전 순산이네

  • @youseungchun7273
    @youseungchun7273 Жыл бұрын

    저런 위성이 지금이라도 박으면 3시간내에 모든생명체 전멸이군요.. 또 파티클갯수1000배차이에서 시물레이션이 이정도 차이가 나면 이보다 천배 더 세밀한 시뮬레이션에서는 완전히 다른 결과가나올수도 있겟군요

  • @holly5306
    @holly5306 Жыл бұрын

    저 가설에도 몇가지 단점이 있는것 같아요. 먼저 달이 떨어져나갔을 정도의 크기가 태평양 크기에서 저 가설에서도 지구는 아직 굳어진 상태가 아니기때문 (만약 굳어진 상태면 지구가 움푹 파혔겠지요) . 그리고 한가지 의문은 지구와 충돌하면서 생긴것이다면 달 하나만 왜 생겨났을까 라는 의문점입니다. 목성 토성과 같이 수많은 위성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라는것이죠. 저 시뮬레이션에도 충분히 파편이 더 멀리 가는것도 있고 가깝게 가는것이 있는데 그럼 지구도 2~3개의 위성이 존재했어야 하지 않을까요?

  • @exserion01
    @exserion01 Жыл бұрын

    달이 점차 지구에서 멀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 달이 지구에서 극도로 멀어지는 먼 미래일 수록 점차 지구의 자전속도는 느려지게 될 건가요?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지구 자전도 조석 마찰로 인해 느리게 느려지고 있습니다

  • @exserion01

    @exserion01

    Жыл бұрын

    @@wz_mz 답변 감사합니다^^

  • @user-xp7ql2xf6y
    @user-xp7ql2xf6y Жыл бұрын

    저 시뮬레이션의 의미는, 달이 생겨난 게 대충돌 이후 '정확히' 3시간일 수 밖에 없는 게 아니라, 여러 시뮬레이션 결과들 중에서 3시간 만에 만들어지는 '가능성'이 있는 시나리오 하나를 봤다는 것 같습니다. 당연히 정확한 예측은 카오스 동역학과 불확정성 원리 특성상 상당히 어렵구요. 비판하는 점이 틀린 건 아니지만, 그래도 논문의 논지나 의도가 무엇인지는 알고 비판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혹시 현자타임즈님께서 보셨다면, 제 의도는 현자타임즈님이 아니라 댓글 쓰는 사람들에게 말하고자 하는 말입니다! 혹시 불편하셨다면 정말 죄송합니다ㅜㅜ 영상은 재밌게 봤습니다! 달이 3시간 만에 만들어지는 시뮬레이션 영상을 보니까 '정말 이런 우연이 있을 수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ㅋㅋ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 @플래닛볼
    @플래닛볼 Жыл бұрын

    게다가 금성은 약 7억년전에 태양이 너무 밝아져 물이 증발해 현재의 대기 구성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 @플래닛볼

    @플래닛볼

    Жыл бұрын

    천문학에선 온난화 폭주라고 하나?

  • @user-ih9mx6tk3d
    @user-ih9mx6tk3d Жыл бұрын

    아니그럼 작은파편이 달 크기라면 지구크기 vs 지구크기가 박치기한거야?

  • @ytmmv4
    @ytmmv46 ай бұрын

    달은 지구의 자기장을 잘 유지 할수 있게 만들어준 것은 아닐지?

  • @iamchohi
    @iamchohi7 ай бұрын

    7:11 시뮬레이션 바로 보기

  • @devhoon
    @devhoon Жыл бұрын

    우리 엄마가 나 낳을 때 진통한 시간보다 적네

  • @duddn03
    @duddn03 Жыл бұрын

    달님~ 로또 1등 부탁드려요~

  • @skb22ggg
    @skb22ggg2 күн бұрын

    내가 뜯어서 던진거야

  • @gooddaddy5520
    @gooddaddy5520Ай бұрын

    현재 달이 지구에서 점점 멀어진다고 합니다... 그럼 반대로 시간을 거꾸로 돌리면 예전에는 지구와 지금보다 아주 가까왔을 거라는 말인데요 .. 퍼듀 대학교의 Matthew Huber 박사는 지금의 공전 궤도에서 달의 후퇴율이 지금과 같다면 지금의 후퇴 속도를 물리 법칙만 가지고 자연적으로 계산하면 15억년 전에는 달과 지구가 충돌 했어야 한다고 계산 했다고 합니다 현재 가장 유력한 달 생설 이론은 달이 약 44억 년 전 원시 지구에 화성 크기의 천체 ‘테이아(Theia)’가 충돌하면서 부스러기가 생겼고, 이런 부스러기들이 지구 주위를 돌다가 뭉쳐지면서 만들어졌다는 거대충돌설(Giant impact theory)이죠 44억년전 지구와 충돌후 달이 만들어지고 달이 지구를 공전하면서 부터 지금까지 약 40억년간 지구와 조금씩 멀어졌다면 실제로는 지금의 지구와 달의 거리보다 훨씬 더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

  • @oloveindexo
    @oloveindexo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누구꺼 따라 하는 같지?

  • @user-hy2kr8bc9f
    @user-hy2kr8bc9f Жыл бұрын

    그렇다고 반드시 위성이 있서야 행성에 생명체가 번성할수 있다라는 논리는 잘못된것이라고 봅니다. 지구 자전축등 달이 지구에 대해서 미치는 역학관계에 대해서 그런 논리는 모든 행성에 동일하게 적용할수는 없슬것입니다. 지구의 경우 달을 얻게되는 과정상 그런 역학관계가 형성될수 있었슬뿐 모든 행성들이 거느리는 위성과의 역학관계가 다 동일할수는 없죠. 만일 달의 형성과정이 다른 모습 예컨데 지구에 포획되었다라거나 했다면 그런식의 역학관계가 존재할수는 없습니다.

  • @joonhan1541
    @joonhan15419 ай бұрын

    저정도의 충돌이라면 지구가 공전괘도를 이탈하거나 지금처럼 둥근모습이 아닌 한쪽이 움푹패인 모습이 되었어야하는거아닌가? 거기다가 절묘하게 지구와 태양사이에서 완벽하게 개기일식을 만들고 달의 공전과 자전이 완벽하게 일치해서 달의 한쪽면만보이고......우연의 우연이 너무나 많이 겹치면 뭔가 이상하다고 생각하는게 합리적이다. 과학자들의 문제가 자신들이 알고있는 지식에서 벗어나면 어떠한 현상도 인정하지않으려는것이다. 모든 현상은 자신들의 법칙안에서 만들어지고 움직여야한다고 믿는것.

  • @jsa89888
    @jsa89888 Жыл бұрын

    달은 외계인이 만들었음

  • @rakjin
    @rakjin Жыл бұрын

    하... 치즐모드가 뭔데 이 겜덕아

  • @user-en6jx8wv2o
    @user-en6jx8wv2o Жыл бұрын

    태양과의 위치 + 작지도 크지도 않은 적당한 크기 + 타행성계와 거리들이 먼 비교적 은하계외곽의 위치 + 지구에 적당히 좋은 영향력을 주는 달의 크기 등등등이 멋지게 어우러져 지구상에는 현재 고등생명체들로 바글바글하죠. 게다가 절묘하게도 수억년간 지구를 지배하던 당시 최강의 고등생명체 공룡이 멸종되면서 살아남은 아주 연약한 포유류의 다양한 진화... 그 결과 문화를 이룩하게 된 인류까지도 등장하죠. 그런고로 외계 고등생명체 특히 문화를 이룩할 수 있을정도의 생명체의 탄생이 정말 극악으로 어려운게 사실이지 않을까 합니다. 가까운 시일내에 겨우 태양계 안에서 외계생명체나 혹은 그 흔적은 분명 발견될 거라 생각합니다. 다만, 외계 고등생명체 특히 문화를 이룩해 살아가고 있는 생명체는 사실상 만날 수 없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 @user-jz6lz3rb7w

    @user-jz6lz3rb7w

    10 ай бұрын

    은하당 하나만 있어도 수천억 문명이니 우리 은하에서 구만 고등 샹명체를 가졌을 수도 있죠

  • @joonhan1541

    @joonhan1541

    9 ай бұрын

    그러한 우연이 왜 우리에게만 일어나는지에대해서 의심을 하는게 더 합리적

  • @user-en6jx8wv2o

    @user-en6jx8wv2o

    9 ай бұрын

    @@joonhan1541 그러한 우연들이 우리한테 일어난게 아님... 이게 바로 인간중심적인 아주 저차원적인 생각. 그런 우연들이 겹치고겹치고겹쳐져서 우리가 생겨난거

  • @markuslee5570
    @markuslee5570 Жыл бұрын

    대학원에서 시뮬레이션 좀 해본사람들은 다 알텐데.......... 수십개, 많으면 수백여개의 변수중 단 하나만 살짝 바꿔도 얼마든 결과를 바꾸거나 껴맞출수 있어서.......... 하다못해 격자 사이즈만 바꿔도 결과가 바뀌기도 하고....... 흠 천문학이라는 학문 자체가 시뮬레이션 아니고서는 알아낼 방도가 없긴 하지만........ 근데 뭐 저짝에서도 비슷하게들 생각하니까 감안해서 오픈 엑세스 로 퍼블리쉬 한것 같네요.

  •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Жыл бұрын

    저널 자체가 오픈 액세스로 퍼블리싱합니다. 수준 낮은 저널은 아니고, 최근에 누구나 볼 수 있도록 오픈 액세스로 전환되었습니다.

  • @user-xj8vl7nx4r

    @user-xj8vl7nx4r

    Жыл бұрын

    점점점......

  • @sundayguk-bab3687

    @sundayguk-bab3687

    Жыл бұрын

    @@taejinbaek5895 둘 다 맞으십니다. 저런 문제들이 있으니 저널들이 오픈 엑세스로 다들 전환된거죠. 과학이라는 것은 누구나 재현가능해야되니까요. 이 과정에서 문제제기도 가능하구요.

  • @user-dx6ln2mf7l

    @user-dx6ln2mf7l

    Жыл бұрын

    근데 저 모의실험은 결과를 실제에 껴맞추는 게 목적이잖아요?

  • @user-qh4zn4wy9q

    @user-qh4zn4wy9q

    Жыл бұрын

    학부생활 밖에 안 해봐서 몰라서 그러는데, 대학원에서 시물레이션 할 때도 슈퍼컴퓨터로 돌리나요?

  • @sunstart395
    @sunstart395 Жыл бұрын

    매우 훌륭한 영상입니다. 다만 조금 보완해야할 점이 있네요. 원시지구에 화성만한 천체가 충돌한다고 무조건 달이 탄생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한 조건중에 1) 지구 자전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2) 자전축에서 조금 벗어나 비껴서 충돌해야 하는데 이러한 점이 누락되어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이런 부분이 금성, 화성 등 을 이야기하는 부분에서도 고려가 되지 못했습니다. 금성에서 지구의 달과 같은 위성이 없는 이유는 단순히 태양의 인력때문에 금성 주변을 이탈한게 아니라, 금성 자전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방향으로 충돌했고, 자전축에서 빗겨나지 않게 충돌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금성 자전축이 거의 180도에 가깝게 기울어지고 금성의 자전이 거의 멈추어버린 것도 이 영향일 가능성이 높죠.

  • @user-kl4qm9uz6t
    @user-kl4qm9uz6t Жыл бұрын

    뭐라도 부딪쳤으면 띠가 있어야 하지 않나. 액체든 고체였든 지구 주변이 너무 깔끔함.

  • @user-bh1tf5ln5w
    @user-bh1tf5ln5w Жыл бұрын

    엄청난 속도로 타조알 오리알 부딪첬는데.. 깨지면서 달걀이 만들어 졌다..... 어떤 물질이고, 어떤 중력,자기장, 어떤조건인지 모르나 도무지 일반인의 머리론 이해불가ㅎㅎ

  • @user-lh2jj9qb8j
    @user-lh2jj9qb8j Жыл бұрын

    헐 달이 지구가 낳은거에요? 응애응애

  • @USA-TIGGER
    @USA-TIGGER6 ай бұрын

    어이가없네ㅋㅋ 그럼 달에사는 토끼는 어캐 설명할껀데?

  • @user-mi8ln4pe3f
    @user-mi8ln4pe3f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실제로는 금성이 지구보다 컸었나?

  • @E-217
    @E-217 Жыл бұрын

    풋 ㅋㅋㅋㅋ 저걸 믿어?

  • @HOlymolSLAM
    @HOlymolSLAM Жыл бұрын

    이번엔 신박과학 따라하는건가요? 참 웃기는 사람들이네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ㅋㅋ 4분 길이 영상을 따라해서, 13분 길이 영상을 만들겠습니까?

  • @user-dx6ln2mf7l
    @user-dx6ln2mf7l Жыл бұрын

    12:10 이건 너무 현실성이 없잖아 ㅋㅋㅋㅋㅋㅋㅋ

  • @user-ze4qj4mx9k
    @user-ze4qj4mx9k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저런 연구는 그냥 논문쓰기 위한 연구지 인류의 미래에 도움되는 연구는 안될듯.. 과거에 있었던 행성단위 천문학적 사건을 어떻게 예측해

  • @user-vs4ou6oz5o
    @user-vs4ou6oz5o Жыл бұрын

    제목만 보고, 영상도 안 보고 댓글 다는 중. 지구와 충돌한후에 튕겨져 나온 달이 3시간만에 궤도에 안착했다고? 이건 상식 무시. 지구와 달까지의 거리가 얼마나 먼데, 그 먼거리를 엄청난 속도로 날아가서 3시간만에 급브레이크?? 그게 가능하다면, 그 궤도 자리에 뭔가가 있어서, 외계로 튕겨져 나가는 달을 멈춰세웠다는거겠지. 영상을 볼 가치도 없는것 같아서, 제목만 보고 댓글 달았음. 제목으로 어그로 끌려거나... 영상을.... 아니다. 이건 그냥 제목으로 어그로 끌려는거다. 100% 확실하다. 그동안 참 유익한 프로라고 즐겨봤는데, 제목 보고 바로 실망이네. 우주먼지에 처음으로 싫어요 달아본다.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Don't judge a book by its cover"의 정확한 과학적 증거 +1

  • @netsguykimchangho

    @netsguykimchangho

    Жыл бұрын

    많은 첨문학자와 슈퍼컴퓨터의 결과도 믿지 못하시네요.

  • @cheese9520

    @cheese9520

    Жыл бұрын

    8:00

  • @cheese9520

    @cheese9520

    Жыл бұрын

    지적인 척 좀 없어보이긴 하네요

  • @promas7985
    @promas7985 Жыл бұрын

    계란 노른자도 아니고 꿀렁꿀렁 말이 3시간이지 수백년 걸렸을거같은데

  • @wonkunlee8087
    @wonkunlee80876 ай бұрын

    뽕뽕뽕 이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