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스 VS 바둑 뭐가 더 우월해?

Ойындар

체스 vs 바둑
복잡함을 비교해 봅니다.
#chess #chesscom #체스 #체스막타 #lichess #바둑
참고자료
en.wikipedia.org/wiki/Game_co...
gall.dcinside.com/m/chess/46382

Пікірлер: 409

  • @user-vr4dy5lh6g
    @user-vr4dy5lh6g6 ай бұрын

    2:40 361 360 350 349 ...?

  • @체스막타

    @체스막타

    6 ай бұрын

    예! 바보입니다 ㅠㅠ 저는 바보입니다.

  • @BananaFlavoredCat

    @BananaFlavoredCat

    6 ай бұрын

    @@체스막타 역시 바평은 체스막타ㅋㅋㅋ

  • @jaeyoung._.

    @jaeyoung._.

    6 ай бұрын

    361! 361 360 359 358 •••😂

  • @user-zm5tu7ut5f

    @user-zm5tu7ut5f

    6 ай бұрын

    😅

  • @apple0924

    @apple0924

    6 ай бұрын

    ??? : 체겔 이달의 ×신에 선정되신 것을 축하합니다

  • @user-hu2ko4eq6z
    @user-hu2ko4eq6z6 ай бұрын

    체스나 장기는 여러 차례의 교전과 압박을 통해 전투의 승패를 가르는 야전사령관이 되는 기분이라면 바둑은 교전보다는 전술을 통해서 전쟁의 승패를 가르는 총사령관이 되는 기분이 듭니다 교전의 방식에서도 바둑은 보통 한 번의 교전이 있고 나면 전투는 국지적으로 마무리하고, 승자가 해당 지역의 영향력을 확보하는 게 목적이지만, 체스의 경우 대게 교전을 통해서 기물이나 공격권에서 우위를 점해서 끝까지 몰아쳐야만 끝나는 게임이니까 사실상 모든 움직임이 교전의 연속으로 느껴지더라고요. 바둑과 체스의 가장 큰 차이는 목적성에서 오는 것 같아요. 게임 측면에서 체스와 장기는 상대의 왕을 잡아야 끝나기 때문에 교전이 반드시 일어나야 하지만 바둑은 승리 조건이 교전의 승리가 아니라 기물의 획득이니까 자연스럽게 게임 자체가 교전 외에도 집 지키기, 요지를 연속으로 선점하는 방법 등에 집중하게 되는 것 같아요. 롤이랑 스타를 비교하는 것처럼 같은 기준으로 비교하기에는 장르 자체가 다른 느낌입니다.

  • @yaricoo
    @yaricoo5 ай бұрын

    바둑은 단지 경우의 수가 많아서가 아니라, 그냥 플레이어 2명이 차례대로 돌을 번갈아 두고, 활로가 차단된 돌은 죽는다. 끝엔 집이 많은 사람이 승리한다는 말도 안되게 간단한 룰로 다른 복잡한 규칙들이나 정석들을 추가 룰 없이 논리적으로 추가시키는 게 진짜 대단한 게임. 그나마 유일하게 직관성과 배치되는 예외적인 규칙은 패를 무한히 따내지 못하도록 하는 규칙인데, 이마저도 패싸움이라는 게임적인 요소로 승화시킴. 아마 처음 바둑이나 체스를 고안한 사람은 이렇게까지 두 게임이 심오하게 발전될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았을 듯. 어느 게임이던 디자이너의 의도도 중요하지만 이후 플레이어들의 파고드는 시간과 역량에 따라 게임이 얼마나 개선되고 발전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인듯.

  • @cjinm0206

    @cjinm0206

    3 ай бұрын

    이래저래 모든걸 한 사람이 다 만들어냈다곤 생각하지 않긴 한데... 대단한 게임이라곤 생각하고 있습니다

  • @Chicabaduk
    @Chicabaduk6 ай бұрын

    아는만큼 보인다는 말이 있듯이 사람들은 각 게임에서 본인이 아는만큼 그 게임의 재미와 아름다움을 보게 됩니다. 저는 바둑 체스 쇼기 장기를 다 두는데 바둑>체스>쇼기>장기 순으로 좋아하고 또 이 순서대로 잘 둡니다. 특히 바둑을 제가 8단정도 두는데 그래서 바둑에서의 재미와 직관적인 아름다움을 체스류 게임에서보다 더 잘 느낄 수 있습니다. 바둑보다 체스를 더 잘 두는 사람들도 마찬가지의 이유로 체스를 더 좋아하겠죠.

  • @user-pp9rg6qd1x
    @user-pp9rg6qd1x5 ай бұрын

    어릴때 주로 장기를 두다 바둑, 오목, 체스 순으로 접했는데 그래도 체스가 가장 어렵다고 느껴졌어요 다른 것들은 한번의 실수가 그렇게 크지 않고 충분히 차근차근 커버해나갈 수 있는데 체스는 정말 한번 잘못 뒀다가 한번에 뒤엎히기도 하고 칼각까지 나올 뿐더러 상대가 쓰면 이게 잡혀? 싶은데 제가 쓰면 이게 안돼? 하는 기물의 움직임마저 복잡성과는 별개로 나름 어렵고 그만큼 재밌다고 생각해요

  • @user-oc2ks9zz5l
    @user-oc2ks9zz5l6 ай бұрын

    복잡한 게임일수록 입문은 어렵지만, 한번 빠지면 헤어나오기 힘든 재미를 준다고 생각합니다. 규칙이 어렵다고 고리타분하기만 한 게임 아니고, 그렇다고 단순한 게임이 수준 낮은 게임 아니죠. 그냥 서로 다른 맛이 있을 뿐이죠. 취향 차이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축구와 야구 사이 우열을 가려서 뭐하겠어요? 각자 좋아하는거 하고 보고싶은거 보면 그만이죠

  • @졸지마
    @졸지마6 ай бұрын

    체스가 경우의 수가 적은 건 정말 당연한 것. 8x8의 좁은 판에 16개나 하는 폰때문에 길이 죄다 막힘. 쇼기는 잘 모르지만 장기는 10x9에다가 졸병도 적어서 길도 뻥뻥 뚫림. 마랑 상 자리도 바꿀 수 있어 초,한 각각 2수씩만 둬도 가능한 경우의 수가 어마어마함. 대신 왕이 궁에 갇혀있고 프로모션 같은게 없어서 마지막까지 가면 루즈해짐. 하지만 이런 특징들은 게임성의 차이이지, 우월함의 척도가 아니지.

  • @진님
    @진님6 ай бұрын

    오목, 육목, 장기, 샹치, 쇼기, 바둑, 체스, 체커, 리버시(오델로), 커넥트포(four in a row), 오비토, 아발론..등등 다 의미 있고 좋다고 생각합니다.

  • @user-it5ep1mq1m

    @user-it5ep1mq1m

    6 ай бұрын

    솔직히 오목은 다른 종목에 비해 뒤쳐지는거 맞지 후공이 무조건 지는 보드게임이 어딨노

  • @user-vu8it2tn4t

    @user-vu8it2tn4t

    6 ай бұрын

    오목은 무적수 있어서 흑이 무조건 이김

  • @user-jv8me8ex3o

    @user-jv8me8ex3o

    6 ай бұрын

    나도 그정돈 보드게임 다 알아!....(오비토?)?

  • @min2min2jung-kh3mu

    @min2min2jung-kh3mu

    6 ай бұрын

    오비토는 나루토..?

  • @진님

    @진님

    6 ай бұрын

    ​@@user-it5ep1mq1m 그래서 국제대회에서는 오프닝룰을 사용합니다.

  • @이종빈
    @이종빈5 ай бұрын

    오목을 다루는 유튜버입니다 우리 오목이는 그저 단순한 녀석이 아니에요.. 영상에 나온 점수처럼 실제 해보면 굉장히 복잡하고 재밌답니다!!

  • @체스막타

    @체스막타

    5 ай бұрын

    앗 안그래도 구독해서 보고 있었어요! 감사해요!

  • @이종빈

    @이종빈

    5 ай бұрын

    @@체스막타 보드 게임자체가 편집하기 참 힘든데 영상 잘 만드시네요 ㅎㅎ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콜라보해봤으면 좋겠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DanielMingi

    @DanielMingi

    5 ай бұрын

    어 체스를 하기전 오목에 빠졌을때 보던 분이네요 ㄷㄷ

  • @user-vx2pu5cn5n

    @user-vx2pu5cn5n

    4 ай бұрын

    이양반아 그게중요한게아니라잖아 상대적으로 단순한게 맞는데 그게중요한게아니란거구만 참 ㅇㅅㅇ

  • @user-fo7bc2cp2e

    @user-fo7bc2cp2e

    3 ай бұрын

    ⁠@@이종빈요즘 체스에 재미들려 파고있는 사람입니다 예전엔 오목도 팠었는데요 확실한건 오목은 단순한편에 속하는거같네요

  • @user-wk5yg1oi8x
    @user-wk5yg1oi8x5 ай бұрын

    바둑 교육일을하는 사람입니다 체스도 교육업을 할수 있는게 좋을거 같아서 체스 영상을 찾다 우연히 보게 되었네요 복잡성만 두고 보면 바둑이 제일이지만 각자의 또 다른 맛이 있는거겠죠 그 체스에 대해서 앞으로 알아 갈까합니다

  • @cjinm0206
    @cjinm02063 ай бұрын

    보드에 놓는 게임 뿐만 아니라 요즘 온라인 게임하는 '요즘것들' 게임도 이렇게 다양한 것 같아요 이러 저러한 설명 감사합니다!

  • @seohun8768
    @seohun87686 ай бұрын

    체스가 경우의 수가 적은건 사실이나 그만큼 수 하나하나의 영향력이 강해서 그만큼 진입장벽도 낮고 직관적인 재미도 가장 높을꺼 같네요 단적으로 수 하나만으로도 기물이 살고 죽고하니까요 물론 겜에 대해 더 잘 알수록 개인적으로는 바둑의 재미가 확오르는거 같아요 아무래도 직관성이 떨어지는 만큼 경험에 따라 알아가고 배우는 재미가 확실하죠 ㅎㅎ

  • @jungtk4467
    @jungtk44676 ай бұрын

    바둑은 체스랑 똑같아요 시작할때 내가 귀를 들어가냐, 들여다보냐 식이에요(귀는 바둑판의 모서리 부분이에요! 집이 가장 많이나요!) 이게 체스로보면 어떤 오프닝으로 시작하냐 정도이고 시작이후에서의 대응책을 마련하고 수를 읽는거가 같아요! 그래서 두게임의 차이점을 잘 모르겠어요,

  • @Otora5049
    @Otora50495 ай бұрын

    복잡성은 바둑과 쇼기가 높은편이라 저는 개인적으로 두 게임을 온라인으로 많이 두고 있습니다. 고등학생 때는 체스랑 장기만 두다가 2학년 때 샹치(중국 장기)에 관심이 생겨 샹치의 달인 게임에서 랭커가 되었던 기억도 납니다. 모든 보드게임은 각각의 매력이 있어 우월성을 따질 수 없다고 봅니다. 모두 룰을 숙지하고 공부한다면 외국인 친구나 유학 갔다 온 친구들과 대국하는 재미도 생기니 좋습니다^^

  • @ddh04043
    @ddh040436 ай бұрын

    잘 보고갑니다.

  •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6 ай бұрын

    경우의 수가 훨씬 많다는 점에서 바둑인들이 굉장한 자부심이 있습니다. 이와 별개로, 바둑과 체스가 서로 다른 과정을 통해서 발전했다는 점이 재미있습니다. 특히 근대 바둑은 체스와 달리 정부 주도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체스 세계 챔피언의 역사와 상당히 대조적입니다.

  • @user-ib5zy8qg8r
    @user-ib5zy8qg8r6 ай бұрын

    쇼기랑 체스를 두는데 쇼기의 경우의 수는 무량대수입니다...쇼기는 잡은 기물 재사용하기때문에 엄청 복잡해집니다...체스는 깊이 안해봐서 잘 모르겠네여...

  • @user-bt1qk5po2j
    @user-bt1qk5po2j5 ай бұрын

    게임판을 봐도 장기는 '궁성(왕과 사의 자리)이라는 가로선 세로선이 아닌 대각선이라는 진로가 있긴함 대충 룩이 비숍같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 또한 기물도 '포'라는 무조건 한기물을 뛰어넘어 공격가능하며 넘을 기물이 없으면 움직이지도 못하고 또한 '포'끼리는 공격이 불가능한 것 등이 약간 더 복잡성에 관여하지 않나 싶음

  • @user-hu2ol4sh9m
    @user-hu2ol4sh9m5 ай бұрын

    게임의 설계측면에서만 본다면 사실 바둑이 우월한건 사실이라고 생각해요. 단순히 복잡하다는건 중요하지 않아요. 경우의 수가 적다는 체스가 제공하는 탐색범위에 비해 인간의 뇌가 헤아릴수 있는 탐색범위는 여전히 아득히 좁고 얕습니다. 쉽게 이야기 하면 전세계 인류가 다죽고 단 한명의 인간만이 살아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사람이 일본 열도에서 살든 아시아 대륙에 살든 어차피 한 인간으로써의 행동반경에 비하면 아시아대륙이나 일본열도나 별 상관이 없습니다. 체스가 경우의 수가 적다는게 의미있는 단점으로 부각되려면 어떤 천재적인 인간이 체스의 모든 경우의 수를 파악해서 무패행진을 했을때만이 성립됩니다. 헤아려야 하는 정보량이 많을수록 주로 직관에 의존하고 정보량이 적을수록 논리 및 계산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바둑은 19X19가 주로 일반적이지만 9x9 사이즈로 축소해도 바둑의 게임요소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이것이 규모변동의 이점이자 바둑의 장점입니다. 장기류 게임들은 보드사이즈를 줄이면 게임의 본질이 바뀌지만요. 물론 모두 훌륭한 게임설계를 갖고 있지만 제가 바둑을 더 좋아하는 이유는 합리성 때문이에요. 사실 장기, 쇼기, 체스는 넓은 의미에서 동류의 게임이라고 볼수 있어요. 기물의 행마와 보드 사이즈, 그리고 공통된 왕의 사냥으로 끝나는 전투. 큰틀에서 같은 설계이념을 공유하므로 아주 먼 우주에 외계지적존재가 산다면 완전히 같진 않지만 이같은 류의 게임을 즐기고 있을것이라고 상상합니다. (그들이 우리와 같이 상상하는 능력이 있고 추론을 즐기는 성향이 있다면요.)하지만 바둑은 완전히 인류와 단절되어 있는 외계지적존재더라도 완전히 같은 규칙으로 즐기고 있을것같아요. 왜냐하면 합리성 때문이에요. 아주 복잡한 이야기지만 다른 색상의 돌을 둘러 싼다는것은 어떤 문화권에서도 부정적인 의미로 해석되며 합리적인 타당성을 지닙니다. 어떤 동물들에게 둘러 쌓여 있다는것은 어떤 문화권을 떠나 어떤 생태계의 동물들에게서도 긍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바둑에서 완전히 둘러 쌓이면 죽음으로 간주됩니다. 그리고 둘러 쌓은 빈 공간은 영토로 해석되는데 이런방식의 요소는 인간뿐만 아니라 어떤 동물들에게도 공통된 인식으로 받아들여집니다. 그렇다면 보드 방식으로 딴지를 걸수 있습니다. 굳이 격자방식의 사격형이 최적일까요? 육각형이나 삼각형같은 바둑판은 더 재밌지 않을까요? 저도 이것에 대해 고민을 해봤지만 사각형이 최적이라는 결론입니다. 삼각형은 지나치게 공격적인 전략이 강제되며 육각형은 지나치게 방어적인 전략이 강제됩니다. 사각형 격자의 현재 바둑보드가 공격과 방어의 균형이 적절하다는것이죠. 아무튼 주저리 말이 길어졌고 어떻습니까? 체스를 좋아하는 분들이 많이 계실텐데 전장을 마련해봤습니다. 서로 싸워주세요.

  • @caro-kann1912
    @caro-kann19124 ай бұрын

    초등학교때 바둑체스라는 말 그대로 바둑하고 체스 가르쳐주는 방과후 다녔었는데 그때는 둘 다 깊게는 이해 못하고 그냥 되는대로 뒀었는데 그냥 기물들이 멋있게 생겨서 그랬는지 영상에 나온거 처럼 더 빠르고 쉬워서 그랬는진 몰라도 항상 체스하는 날만 기다림ㅋㅋ

  • @JuHyeonKang-bb8rl
    @JuHyeonKang-bb8rl5 ай бұрын

    인공지능이 나온지 8년째가 되어가는데 체스는 엔진이 못보는 수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지만 바둑은 인공지능이 못보는 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오는 걸 보면…판 크기에서 나오는 복잡도가 상당히 차이남을 알수있네요

  • @Y147702
    @Y1477026 ай бұрын

    체스 1600 바둑 타이젬 5단인 제 생각은 체스가 확실히 바둑보다 단순합니다 익히기도 훨씬 쉽고 경우의수도 많지않아서 어느정도 숙달되면 여기서 뭘둬야겠다가 정해져있어요. 하지만 바둑은 정답이없습니다 매그너스 칼슨급 되는 1위 바둑기사도 최선의 수를 두면 보는사람들이 개쩐다고 평가할 정도로 좋은수 두기가 어려워요. 한마디로 수의 깊이가 바둑이 더 깊다는거죠 게다가 체스는 무승부 날 확률도 높아서 스포츠로 관람하는데에도 조금 맥빠지는 감이있습니다. 그래도 둘 각각 재미느끼는 포인트가 달라서 각자의 매력이있는 게임이라고 생각하네요. 다만 머리쓰는게임으로썬 바둑이 더 깊이있는 게임이다에 한표 주고싶네요 ㅋㅋ

  •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6 ай бұрын

    바둑판은 대칭이므로 상하좌우와 반전을 생각하면 경우의 수는 8분의 1로 줄어듭니다. 처음에 흑이 둘때 우상귀, 즉, 오른쪽 위에 둔다는 오랜 관습이 있습니다.

  • @Pahpaho

    @Pahpaho

    5 ай бұрын

    관습은 사라진지 오래됨

  • @zlzmgl

    @zlzmgl

    5 ай бұрын

    대칭이라는게 무슨말이에요?

  • @user-fv3bv7si5f

    @user-fv3bv7si5f

    5 ай бұрын

    ​@@zlzmgl바둑이 끝났을때 머지막 형태에서 그 바둑판을 90도 돌려도, 거울로 비춰 반대로 해봐도 같은 바둑이라고 볼수 있잖아요. 일리있는 말인듯...

  • @gosemf390
    @gosemf3906 ай бұрын

    뭘 복잡하고 단순하고 이런걸 가지고 싸워 단순한만큼 이해하기 쉽고, 복잡한만큼 깊이가 있는거지

  • @joonbong_
    @joonbong_4 ай бұрын

    2:40 바둑 판은 상하좌우가 가운데를 기준으로 점대칭이기에 361가지가 아니라 90가지 입니다. 그 다음 수는 흑이 둔 곳을 기준으로 89 ~ 360가지까지 변합니다.

  • @kedkef
    @kedkef6 ай бұрын

    나레이션으로 체스 게임이나 오프닝 같은거 알려주시는거 재밌었는데 다시 해주실수 있나요?

  • @체스막타

    @체스막타

    6 ай бұрын

    오프닝! 워낙 정리가 잘된 채널들이 많아서 전 잘 다루진 않지만 생각은 해볼게요

  • @user-tg3ct7eg4s
    @user-tg3ct7eg4sАй бұрын

    둘다 매력적인게임이죠 복잡하다고 꼭 그게임이 재밌는것이 아니니깐 이게 더 매력있다고 싸우는것보다는 이사람은 이런취향인가보다~하고 넘기면 된다고 생각해요

  • @Starry_9
    @Starry_96 ай бұрын

    체스든 바둑이든 이기려면 둘다 정밀한 수읽기를 요구하는데 뭐가 더 우월한 게임이니 뭐니 하는게 소용이 있나요...? AI 앞에서는 의미있을지몰라도 인간에게는 읽을수있는 수의 깊이의 한계가 있기때문에 게임 종류에 따른 복잡도와는 우리와 전혀 상관이 없다고 생각하네용... 각자 자신에게 맞는 게임을 즐기고 재밌었다면 그게 야스입니다~

  • @Songkail
    @Songkail6 ай бұрын

    뭐가 더 복잡하고 우월하고가 무슨 상관이죠 ㅎㅎ 본인이 즐거운 걸 하면 되죠.

  • @Mutsukichan1203
    @Mutsukichan12036 ай бұрын

    체갤여신 막타눈나 영상 잘보고 있어요♡

  • @minsukim2433
    @minsukim24336 ай бұрын

    예전에 기계로 움직이는 체스영상봤었는데 나름재밌던데 ㅎ

  • @user-yw7fo7pt8t
    @user-yw7fo7pt8t6 ай бұрын

    체스는 상대와 함께 만들어가는 박진감 넘치는 게임입니당

  • @Chimuchakman
    @Chimuchakman6 ай бұрын

    어렸을때 부터 바둑두면서 대회까지 나가봤지만 재미는 역시 체스인듯 하네요

  • @user-bt6uk2jn4e

    @user-bt6uk2jn4e

    5 ай бұрын

    그건 니가 바둑을 못둬서 그런듯ㅋ

  • @Chimuchakman

    @Chimuchakman

    5 ай бұрын

    @@user-bt6uk2jn4e 혹시...연구생이세요?

  • @RIINO.92

    @RIINO.92

    3 ай бұрын

    실제로 바둑보다 체스가 재밌는데 기분탓인가?

  • @jsp324

    @jsp324

    2 ай бұрын

    바둑은 그냥 장기의 졸만 가지고 게임하는 느낌이라 뭔가 박진감 없음. 체스의 퀸이나 비숍 룩, 장기의 포 차 같은 영웅들이 활약하는 장면이 없어서 허전함

  • @user-nu2ez7qb8c

    @user-nu2ez7qb8c

    20 күн бұрын

    둘 다 안하는 사람이 보기엔 체스는 뭔가 간지나는데 바둑은 그냥 아재게임에 재미없어보임

  • @BeingFN
    @BeingFN6 ай бұрын

    바둑 체스밖에 모르지만 바둑은 똑같은 돌 두면서 힘이랄까 영향력 생기는게 재밌고 체스는 기물들 이동이 다 정해져있는데 전진하는게 재밌고 ㅋ

  • @say_annyeong
    @say_annyeong6 ай бұрын

    변형쇼기에서 타이쿄쿠쇼기를 둔 영상을 재밌게 봤던 기억이 있네요 3일에 걸쳐 한판이 끝나는...

  • @MascenceSMH64
    @MascenceSMH646 ай бұрын

    상대 경쟁게임에서 그 게임 자체의 난이도는 별로 중요하지 않아요. 쉬운게임은 나한테도 쉽고 상대한테도 쉽거든요. 그래서 상대보다 잘하고 상대를 이기는건 똑같이 어려운거고요. 그래서 난이도는 인간이 극복할 수 없는 수준이면 됩니다. 그렇게 말많은 경우의수 이딴거 하나도 중요하지 않아요. 어차피 바둑 경우의 수 361! 이나 체스 경우의 수나 70억 인구가 평생 대국해도 다 나올 수 없습니다. 제대로 생각해본적 없이 얕게 아는사람들이 흔히들 하는말이라 생각하면 돼요.

  • @ol0326
    @ol03265 ай бұрын

    문득든 생각인데 단순 게임만으로 문화권의 특색이 나오는거같음 상대적으로 쾌활하고 직관적인 서양 사색하고 복잡한 동양 끼워 맞추기지만 이리 생각하면 재밌음 ㅋㅋ

  • @cleanriver4062
    @cleanriver40626 ай бұрын

    목소리 너무좋아

  • @user-he3dc9tp1w
    @user-he3dc9tp1w6 ай бұрын

    복잡성과는 상관이 없고 다 좋은 게임 사람 끼리 하는거라 특히 체스는 무승부가 있어서 흥미롭다는거 승부를 꼭 가려야하는게 아니죠 세계적 스포츠 중 하나인 축구도 무승부가 있는데

  • @user-yu2st3qh1n
    @user-yu2st3qh1n6 ай бұрын

    두뇌의 활동 영역과 관련해 바둑은 직관, 체스는 계산과 관련이 깊다고 합니다!

  • @kimjy2417
    @kimjy24176 ай бұрын

    실력은 초급자지만 둘다해본사람으로 개인적인 느낌은 바둑이 훨씬더 복잡하다는 겁니다... 이게 말로 표현 못하겠는데 아무래도 갈수있는범위가 정해져있는체스보다 어디에든 둬도 되는 바둑이 경우의수가 더 많다 느껴지더라고요

  • @hsyd211

    @hsyd211

    6 ай бұрын

    체스는 역사가 더 길어서 연구된 기간이 있기때문에 차이가 클수밖에..

  • @torpedotime4913

    @torpedotime4913

    6 ай бұрын

    ​@@hsyd211? 바둑 역사가 수천년되는데 그거보다 체스가 더 길어요?

  • @user-cx9et6bz5y

    @user-cx9et6bz5y

    6 ай бұрын

    ​@@hsyd211 둘 다 역사 깁니다. 고수들간의 정보교류를 통한 발전이 쉽지 않은 시기부터 이어져온 게임들이에요. 게다가 따지면 오히려 바둑이 살짝 더 길걸요? 공자가 말했을 정도니 사실 오프닝만 봐도 바둑이 복잡할만한게 바둑은 인간 잡는 AI가 나오자마자 바둑 오프닝이 대격변 일으켰으니까요 "이 수는 처음에 절대 두면 안돼!" -> AI: 되는데요?(프로9단이김) -> 프로들 따라 두기 시작

  • @hsyd211

    @hsyd211

    6 ай бұрын

    말을 좀 이상하케했네 체스가 연구된 정도 자체는 바둑보다 많은걸로앎

  • @user-oq2lw7ly5u

    @user-oq2lw7ly5u

    6 ай бұрын

    @@hsyd211 더 정확하게는 체스는 연구가 거의 끝나가지만, 바둑은 아직도 연구중인 내용이 더 많다. 가 옳지 않을까요?

  • @user-qm4qk6zq7z
    @user-qm4qk6zq7z7 сағат бұрын

    개인적으로 체스는 농구와 비슷하고 바둑은 축구를 보는느낌 한순간에 적진으로 파고들고 엎치락 뒤치락하는 듯한 체스는 공수전환이 빠른 농구의 느낌이들고 천천히 자리싸움을하고 어느순간 격렬한 접전을 펼치는 바둑은 축구를 보는 느낌 서로 다른 재미가있고 좋은 매력이 있는 스포츠처럼 결국 체스와 바둑도 이와 마찬가지라고 생각함

  • @Ch_Yan
    @Ch_Yan6 ай бұрын

    복잡하고 깊은 생각만 하게 하는 게임이 우월하다 정의한다면 그냥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수학문제 나열하고 답하는 게임이 제일 우수하게 되겠지. 할 사람음 하겠지만 그게 과연 게임으로 좋은걸까?

  • @user-vi7iy9kt7n
    @user-vi7iy9kt7n6 ай бұрын

    근데 어차피 바둑이던 체스던 인간의 지능으론 마스터 할 수 없음. 바둑이 더 복잡하다고 해도 어차피 체스도 인공지능 수준에 인간이 절대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어떤 게임을 하던 자신의 지능을 한계까지 짜내야 됨. 따라서 더 경우의 수가 많고 복잡한 게임을 한다 해서 그것이 게임의 재미나 지능의 우월성을 논하는 근거가 되기는 부족하다고 생각함.

  • @user-vi7iy9kt7n

    @user-vi7iy9kt7n

    6 ай бұрын

    바둑을 많이 해본 입장에서 얘기해보자면 게임을 하면서 상황이 특정되지 않는 이상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한다기 보다는 감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음.

  • @Bang9master
    @Bang9master6 ай бұрын

    ???: 아 포커가 더 짱이지

  • @user-kz7no7ed8h

    @user-kz7no7ed8h

    6 ай бұрын

    확실히 졌을 때 더 짜릿하긴 함

  • @Nucleus_11

    @Nucleus_11

    6 ай бұрын

    ​@@user-kz7no7ed8h 전기 자극이 가긴 할꺼임

  • @user-kl9bh5qd1f

    @user-kl9bh5qd1f

    6 ай бұрын

    싱글벙글 깜깜이배팅

  • @user-pz4wl5rf1v

    @user-pz4wl5rf1v

    6 ай бұрын

    포커 재밌긴 해요(돈 안걸면)

  • @Gorani473

    @Gorani473

    6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 @user-yi9jx9hj1s
    @user-yi9jx9hj1s5 ай бұрын

    바둑은 3,4패빅나오면 무한대로 둘수있어서 마지막 변형체스보다 오래둘수있을것 같아요

  • @caro-kann1912

    @caro-kann1912

    5 ай бұрын

    그럼 체스도 3수동형 규칙 빼버리고 무한반복 하면 됨ㅋㅋ

  • @user-yi9jx9hj1s

    @user-yi9jx9hj1s

    5 ай бұрын

    50수 제한도 빼야함

  • @panggom4653
    @panggom46536 ай бұрын

    복잡해서 그들만의 리그인 바둑 비교적 단순해서 누구나 즐길 수있는 대중성 체스 라고 생각합니다

  • @freddycat7022
    @freddycat70225 ай бұрын

    카장 9단 찍었는데 전 체스 손을 들어주고 싶네요 생각외로 장기는 틀이 잡혀있는게임이라 보던 그림이 너무많이나와서 체스보다 복잡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 @tridish7383
    @tridish73834 ай бұрын

    사실 복잡성으로 따지면 비디오게임들이 훨씬 높음. 보드게임은 경우의 수가 턴단위로 발생하는데, 비디오게임은 틱 단위로 발생하기 때문에 비교 자체가 불가능함. 단순히 수학적인 경우의 수가 많기 때문에 바둑이 체스보다 우월하다면 같은 논리로 스트리트파이터가 바둑보다 우월하다고 주장할 수도 있음.

  • @user-hz9ni7vs8q
    @user-hz9ni7vs8q6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지나가던 바둑프로기사 입니다 바둑은 잘둘때는 정말 재밌습니다 하지만 못둘땐 정말 재미없죠 하지만 전 체스보단 바둑이 재밌다 생각되네요 물론 저도 가끔 체스를할만큼 체스 장기 쇼기? 이런 다른게임들도 정말 재밌습니다 한마디로 전부다 충분한 의미와 상징성이 있는 게임이라 생각합니다 그래도 복잡함은 바둑이 제일 우위라고봅니다 바둑은 사활문제라고 수학같이 푸는것도 있고요 정말 어렵습니다 여튼 전부다 좋은 게임이니 누가 좋고말고 할거없이 다 즐기면 될거같네요

  • @체스막타

    @체스막타

    6 ай бұрын

    소중한 댓글과 시청 감사합니다!!

  • @user-ib1df5to4b

    @user-ib1df5to4b

    5 ай бұрын

    ? 올해 입단하셨어요? 아직 못들어본 사범님인데 혹시 본명이 어케되세요?

  • @user-sh8qe1di7i
    @user-sh8qe1di7i6 ай бұрын

    바둑이 확실히 더 복잡하긴 한데 의미가 없는게 AI수준에서나 통하는 이야기인듯 인간 머리 한계치에 다다른다고해도 몇십년전에 나온 체스ai에 발도 못봍이지

  • @slavetocode

    @slavetocode

    6 ай бұрын

    체스 ai는 맘먹고 비비면 무승부 볼 수 있지 않나요? 탑급이라고 했을 때. 바둑은 그냥 암것도 못하고 농락당하다가 끝남.

  • @user-fg8pp7nv8x

    @user-fg8pp7nv8x

    6 ай бұрын

    @@slavetocode 절대 절대 절대 불가능입니다. 현재 세계 챔피언들이 한데 모여서 의논하면서 둔다고 해도 개발립니다. 몇십년 전에 나온 ai한테도 체스 세계 챔피언이 졌는데 지금이면..ㅎㅎ

  • @slavetocode

    @slavetocode

    6 ай бұрын

    @@user-fg8pp7nv8x 글쿤요 비슷하구만. 경우의수가 적어서 가능할거라 생각했는데 아니군여

  • @nowit2ki

    @nowit2ki

    6 ай бұрын

    @@slavetocode 무승부도 못거둠. 경우의 수 적다는게 인류 역사상 제일 머리 좋은 인간이 짱구 굴려서 모든 경우의 수 다 계산해서 컴퓨터랑 비빌 수 있을 수준도 안돼서 컴퓨터가 계산하기에 경우의 수가 바둑보다 적다 그 뿐임. 하찮은 인간한테 아무 의미도 없는 논쟁임. 바둑이든 체스든 컴퓨터에 비해 하찮은 상대방 인간이 얼마나 강하냐가 중요. 체스가 룰떄문에 상위 0.0001프로 슈퍼지엠들간의 경기에서 무승부가 많이나와서 경우의 수가 작아서 그렇지 않을까 하는데 체스룰자체가 서로 리스크 줄이고 합의하에든 뭐든 무승부 만들기 쉽게 짜여있어서 그런거

  • @Shdggqh

    @Shdggqh

    3 ай бұрын

    ​@@slavetocode진짜로 아무것도 못하고 발립니다 물론 바둑처럼 압도적인 차이가 나자않지만 절대 못이기는건 팩트에요

  • @yobass625
    @yobass6254 ай бұрын

    체스, 바둑 둘다 하는 사람 입니다. 결론은 둘다 재미있고 둘다 사람이 마스터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게임입니다. 그래서 몇천년이 지난 지금도 인기가 있죠! 둘의 비교는 넌센스입니다. 왜냐하면 과목으로 따지면 하나는 국어(외국어) 이고 하나는 수학인 것처럼 아예 다른 게임 입니다. 뭐가 더 재미있다라고 개인적으로 말할 순 있어도 뭐가 더 우월(?)한지 비교하는거 자체가 말이 안됩니다. 각각 장단점이 있고 게임 방식도 아예 다른 게임인데 비교 하는 것 자체가 넌센스죠

  • @fcte6464
    @fcte64646 ай бұрын

    바둑은 추상적이고 체스는 직관적인게 큰 차이점이라고 생각함 그렇기에 둘 다 재밌긴함

  • @Yongbaek102

    @Yongbaek102

    4 ай бұрын

    글쎄요 직관적이라면 바둑이 더 단순하고 직관적입니다. 체스처럼 각 기물의 움직임 규칙을 외우고 게임에 임할 필요도 없고 그저 한수한수 돌을 놓는다 돌의 뭉치들이 상대의 돌들로 에워쌓이면 그 돌을 게임판에서 들어낸다. 상호간 합의하에 게임을 끝내고 영역의 칸수가 많은 사람이 승리한다. 이 세가지 외엔 어떤 규칙도 없어요. 패싸움에 대한 예외규칙 말고는 말이죠. 이 또한 체스의 앙파상이나 캐슬링 규칙과 유사한 규칙탄생의 이야기를 갖습니다. 둘다 재밌는것은 동의하지만 바둑을 추상적이라고 하면 너무 어렵고 난해한 게임으로만 보는 시선이 잡힐수 있어서요. 바둑은 뭐랄까 게임 자체는 매우 쉽지만 승리하기 위한 실력을 키우기가 매우 어려운 게임느낌입니다. 그 단순한 룰로 말도 안되는 가지수의 전략과 전술과 기술들이 파생되니깐요. 그것들을 쓰고 안쓰고는 자유이지만 승리하기 위해선 공부해야 하죠. 체스를 둘때 오프닝을 공부하고 많은 경우의 수에 대한 수읽기 연습울 하듯 말이죠.

  • @MESU-GAKI

    @MESU-GAKI

    3 күн бұрын

    ​@@Yongbaek102바둑이 직관적이라는거 너밖에 없을듯 ㅇㅇ

  • @Murararide

    @Murararide

    21 сағат бұрын

    @@MESU-GAKI바둑이 더 직관적인게 맞음 체스는 기물끼리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바둑은 근본적으로 특정 공간을 둘러싸기만 하면 됨 체스는 다음 수를 둘 때 관계를 고려해야 하지만, 바둑은 돌 사이의 관계 고려성이 떨어짐. 왜? 바둑은 관계를 만들어내는 게임이니까 이미 존재하는 유기적인 연결을 고려하며 진행하는 체스가 직관성이 더 떨어짐

  • @user-pf6qe8ep2n
    @user-pf6qe8ep2nАй бұрын

    둘다 하는 사람으로써 둘다 비슷합니다 체스는 전략게임이며 스타의 전투적인 부분이 닮았고 바둑은 땅따먹기 형식에 중간 중간 있는 교전이 스타의 상대 유닛과 하는 교전 및 영토 먹기가 닮아 있다 생각하니 둘을 합친 게임은 왜 없는지 의문이 갑니다

  • @user-fg1sx2jb9e

    @user-fg1sx2jb9e

    12 күн бұрын

    그게 스타

  • @user-pf6qe8ep2n

    @user-pf6qe8ep2n

    12 күн бұрын

    @@user-fg1sx2jb9e 피지컬;;

  • @user-oj6up9ef6f
    @user-oj6up9ef6f5 ай бұрын

    체스가 단순하다는 이유로 무승부를 꼽는데 체스에서 무승부가 나오는 건 사실 그냥 룰 문제에 불과함 둘 수 있는 수가 없으면 수를 못두니까 무승부라는 체스의 룰이 무승부를 만드는 거지 그냥 이 규칙만 사라져도 복잡성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한 쪽이 반드시 패배하게 됨

  •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6 ай бұрын

    보통 바둑이 놓을수 있는 곳이 엄청나게 많기 때문에 더 복잡한 게임이라고 합니다.

  • @ariese23
    @ariese236 ай бұрын

    0:56 이건 흔히 두어지는 혼쇼기가 아닌, 中将棋(츄쇼기)라고 불리우는 원래 쇼기보다 더 큰 쇼기입니다.

  • @체스막타

    @체스막타

    6 ай бұрын

    음! 이미지를 잘못썼군요. 저도 자료 찾아가며 알아본건데.. 정말 츄쇼기도 있고 그것보다 더 큰 것도 있더라고요 어메이징

  • @user-jq4nw5dl5n
    @user-jq4nw5dl5n14 күн бұрын

    바둑은 진입장벽이 너무 높은게 큰 단점임. 근데 제대로 배우고 나면 그 깊이가 엄청남

  • @psw519
    @psw5196 ай бұрын

    요즘같이 쇼츠시대에 완벽한게임은 체스인듯 속도감부터 다름

  • @user-oy6uy8oi4e
    @user-oy6uy8oi4eАй бұрын

    장기, 바둑, 체스 다 해본 사람으로써 말해보면 체스가 제일 재밌는 것 같습니다.

  • @GAORIGOD
    @GAORIGOD6 ай бұрын

    마지막에 XXXL Chess ㅋㅋㅋㅋ 가장 빠른 체크메이트도 무려 10수 넘을거같은 변형 체스네요 ㅋㅋㅋ

  • @user-ib1df5to4b
    @user-ib1df5to4b5 ай бұрын

    바둑을 잘두고 체스를 즐기는 사람입니다 바둑은 말 그대로 복잡해서 진입장벽이 높다는게 바둑의 복잡성이 만들어낸 단점이기도 합니다 반대로 채스는 어떤가요? 오프닝 미들 엔딩 이 세밀한건 미뤄두고 기물의 음직임만 안다면 누구나 체스를 즐길수 있지 않나요? 타이젬 9단읗 두고 어링땐 프로를 꿈꿨던 저지만 바둑을 잘두게 되기까진 꽤 시간이 걸렸구요 그만큼 어렵다는거죠 이렇게 서로 달라 각각의 게임이 다른 재미가 있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지만 암튼 바둑이 짱입니다 네 반박시 내말이 다 맞음 라고할뻔~

  • @dong-jinkim4216
    @dong-jinkim42166 ай бұрын

    체스는 이동하는게 어렵고 바둑은 너무 집중력이 필요함

  • @nannder
    @nannder6 ай бұрын

    바둑이 짱이지 바둑은 변수가 드릅게 많아서 재밌음

  • @user-cx9et6bz5y
    @user-cx9et6bz5y6 ай бұрын

    그러면 둘 다 하면 되는게 아닐ㄲ 전 바둑쪽이 본진이지만 "복잡하다" 하나로 게임성 우위 판별하는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자동차경주 F1보다 육상경주가 느리다고 "육상 왜봄? F1 보고 말지" 같은 논리니까요 오히려 바둑에서 사활문제 풀고 나서 체스에서 엔드게임 문제 풀고 하는것도 재밌고 역사 속에서 오래 살아남은 게임들인 만큼 다 하나하나 파보면 재밌는게 많아요 그리고 싸움 붙히는 놈들은 체스든 바둑이든 쇼기든 제대로 못 하는 놈들이 많고 ㅋㅋ

  • @hayoo0923
    @hayoo09235 ай бұрын

    체스의 데한 모든 규칙(오프닝 제회,전술,전략제회) 1번째 기물은 룩 룩:앞,옆,뒤로 원하는 만큼 움직인다 2번째 기물 비숍 비숍:대각선 으로 원하는 만큼 움직인다,다른색 칸으로 못넘어간다 3번째 기물 퀸 퀸:룩과 비숍을 합친 기물이라고 보면 된다 4번째 기물 킹 킹:앞,뒤,옆,대각선으로1칸만 움직인다,상대방이 공격하고 있는 칸은 못간다 5번째 기물 나이트 나이트:나이트는 체스에서 유일하게 기물을 뛰어 넘을수 있다,직진으로 한칸,대각선으로 한칸 전진한다 6번째기물 폰 폰:움직이는 칸과 장악하는 칸이 다른 유일한 기물이다,장악하는 칸:대각선으로 앞쪽방향으로 간다,움직이는 칸은 앞으로1칸만 움직인다,움직이지 않은 폰은 2칸 움직일수 있다 1번째규칙은 기물의 일반이동 2번째 규칙은 기물의 특수이동 1번째 특수 이동:폰끼리만 할수있는 앙파상 앙파상은 백은 5랭크,흑은 4랭크에 있을때가능한 특수이동이다. 만약 폰이 2칸움직이면 그폰이 1칸움직였다고 생각하여 대각선으로 잡는다. 2번째 특수이동 규칙은 프로모션,언더 프로모션이다. 프로모션은 폰이 끝줄에 도착했을때 사용할수 있다. 끝줄에 가면 퀸,룩,비숍,나이트로 변신할수있다. 퀸이 젤 강력하기에 퀸으로 프로모션 할때가 있는데 싱황에 따라 퀸으로 프로모션하면 안될경우도 있다.이런 경우를 언더 프로모션이라고 한다 3번째규칙은 체크,체크메이트,스테일메이트가 있다. 먼저 체크다.체크를 막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1번째는 그 기물을 잡는것이고,2번째는 그 기물의 공격길을 막는것이다.마지막으론 킹이 그 공격하는 칸을 피하는 것이다. 체크메이트 체크메이트는 위에 봤던 것 처럼 체크를 피할 방법이 없는 것이다.이것을 체크메이트라고 한다. 스테일메이트는 기물이 움직일때가 없는것은 체크메이트와 같다. 하지만 체크상태가 아닐때를 스테일메이트라고 한다.그러면 무승부로 끝난다.

  • @GG-dj3ik
    @GG-dj3ik4 ай бұрын

    에초에 바둑과 체스는 결이 다르죠 장기랑 체스는 전술적인 관점에서 수싸움이라면 바둑은 전략전인 과점으로 봐야죠 전 이렇게 이해하고 있음 그래도 장기 체스 바둑 다 좋아함 누가 우월하냐고 하는건 한심한거죠 전쟁터에서 전술도 중요하고 전략도 중요함 군단장 급들은 바둑을 보고 배치를 본다면 현장 지휘관들은 장기를 두는거니깐요 둘 중 누가 더 중요하겠나요 떄로는 전략적 후퇴를 말도 있듯이 체스판에서 진다고 해도 둘러쌓아서 상대방을 굴복시키기도 하죠. 근데 이 과정에 지휘관과 현장지휘관 둘다 중요하죠. 둘다 잘해야되요 전략을 아무리 좋게 짜도 현장지휘관이나 병사들이 전략대로 움직이지 않거나 반대로 상대측 현장 지휘관이 능력이 뛰어나서 상대방 전략을 무너트리는 수를 낼 수 있죠

  • @letnonescape
    @letnonescape6 ай бұрын

    체스는 왕이 잡히면 끝나는 게임, 그래서 끝까지 가도 어떻게 될지 모르는 게임이기도 함. 하지만 바둑은 다름. 시간이 지날수록 강자는 더 많은 땅을 갖고, 약자는 벼랑끝에 몰려 결국엔 상대에게 발붙일 곳 하나 주지 않는 게임으로서, 비슷해 보이지만, 결국엔 다른 게임임. 고로 비교는 무의미한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 @user-krperson
    @user-krperson6 ай бұрын

    체스도 둬보고, 장기도 둬봤는데 형태상으로는 체스가 더 종류가 많다고 느꼈는데 수를 보는건 장기가 훨씬 깊었습니다 체스는 스피드해서 깊게 생각하기보단 이미 정해진 틀에 맞추는 느낌이라면 장기는 이미 정해진 틀에서 깊게 생각하는 느낌이 강합니다 더 시원한건 체스고, 더 신중한건 장기라고 생각합니다 요약: 둘 다 재밌고, 체스는 스피드한 맛, 장기는 몇 수를 내다보고 장고(깊이 생각하는 것)하는 맛에 합니다

  • @ztzeros

    @ztzeros

    5 ай бұрын

    체스 장기 쇼기 바둑 순으로 깊은 맛이죠 역순으로 시원한 맛입니다

  • @user-ii8ok4fv8n

    @user-ii8ok4fv8n

    5 ай бұрын

    장기를 주로 두면서 이생각을 했었는데 장기의 왕을 공격용으로 쓸 수 없다, 체스의 폰은 프로모션이 가능하다 이거 두개로 체스가 더 깊다고 하더라구요 체스를 깊게 둬보지 않아서 그런거같아요

  • @user-ib1df5to4b

    @user-ib1df5to4b

    5 ай бұрын

    바둑도 둬요

  • @user-mr8rq1zs4o
    @user-mr8rq1zs4o5 ай бұрын

    이누나 진짜 사랑스럽네

  • @Fth554
    @Fth5545 ай бұрын

    제가 15살에 바둑 15급 오목 3단에 체스 1500대지만 오목 백이 이론상 제일어려움 날일진 파훼로 끌고가서 어찌저찌 째야하는게 겁나 어려움 근데 다행인건 상대 흑이 ai급이 아니라 실수하면 이김 저는 체스에서 가능한가속화된 드래곤으로 많이가고 보통 백으로는 e4를 무조건 가고 흑으로는 퀸즈폰오프닝이나 가끔 쫄리면 프렌치 가고아니면 잉글런드갬빗을갑니다 (다른건 잘안나와서 그리고많아서 생략) 이렇듯 공격적인 오프닝 때문인가 미들게임에서 시간을 많이써서 엔드게임에 지는 현상이 지는 것중에서 많이 생기더라고요 제가 블리츠 1030입니다ㅋㅋ 제 강점은 전술을 과부화와 스큐어 핀 악수강요 메이트각등에서 정확도가 높습니다 그렇지만 약점은 엔드게임에서 무승부만들기 마이너기물 엔드게임이 어려우며 나이트 비숍체크메이트는 조금씩 헷갈립니다 그래서 저는 체스는 미들보단 개인적으로 엔드게임이 더어렵고 바둑은 어제시작했는데 사활문제가 어렵더라고요 더는 모릅니다

  • @user-cx1ng7gb1y
    @user-cx1ng7gb1y6 ай бұрын

    모든 게임이 장단점이 있어서 뭐가 우월하다 하는건 어려워보이네요

  • @user-zf5ix5vx6d
    @user-zf5ix5vx6d4 ай бұрын

    바둑이나 체스나 사람한테는 둘다 어려움 확실한건 AI한테는 바둑이 더 어렵지 경우가 많으니까

  • @ztzeros
    @ztzeros5 ай бұрын

    그런데 쇼기는 상대기물을 재사용해서 이론상 무한수순인데 게임복잡도가 226밖에 안나오나요?

  • @JmgTv1002

    @JmgTv1002

    5 ай бұрын

    쇼기는 500수 안에 승부가 결정되지 않으면 비깁니다

  • @ztzeros

    @ztzeros

    5 ай бұрын

    아하 수 제한이 있었군요

  • @koreaperson27_JK267
    @koreaperson27_JK2674 ай бұрын

    오목 사각형 개미쳤네 ㅋㅋㅋㅋ 아따 그래도 장기가 짱이여

  • @JmgTv1002
    @JmgTv10026 ай бұрын

    야스막타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YASSSS

  • @체스막타

    @체스막타

    5 ай бұрын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zhenhe08
    @zhenhe086 ай бұрын

    나쁜말해도 너무 귀엽게 들린다 ㅋㅋㅋ

  • @user-xi8ci6zv7s
    @user-xi8ci6zv7s3 ай бұрын

    바둑은 동등한 급의 병사들을 지휘관의 배치와 보급(집)에 따라 승패가 나고 장기는 유닛과의 상생을 잘 파악해서 상대 보스를 잡으면 끝나는데 바둑만을 오래해왔지만 솔직히 장기나 스타크래프트가 더 재밋슴.😅 바둑은 뭐랄까... 처절한 시가전 스탈린그라드전투같은... 이건 전적으로 취향의 문제임!

  • @go2deung-eo
    @go2deung-eo5 ай бұрын

    게임적으로는 바둑에 한표주고 싶음 하지만 학교 쉬는시간이나 친구랑 가볍게 하기에는 체스가 압도적임

  • @lne9325
    @lne93256 ай бұрын

    둘다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완벽한 기승전결의 영상이다.. 그런 의미에서 바둑도 입문해보세요ㅋㅋㅋㅋ +제 입장에서 체스의 아쉬운점은 너무 빈번하게 무승부가 난다는 겁니다.. 그에반해 바둑에서의 무승부 확률은 거의 0에 수렴한다 봐도 무방하죠. 물론 무승부에서 파생되는 전략이 매력이라 느낄 수도 있겠지만, 승부를 내러 왔는데 승부를 내지 못하니 뭔가 아쉽고 허무한 느낌...

  • @체스막타

    @체스막타

    6 ай бұрын

    바둑!! 궁금하긴 한데 두려워져요. 왜? 지금 체스하나로도 벅찬 삶이거든요 ㅋㅋㅋ 하지만 정말 궁금하긴 하네요.

  • @ztzeros

    @ztzeros

    5 ай бұрын

    무승부 게임 빈발하는건 스포츠로서는 큰 약점이죠. 선수들도 그렇지만 관객들이 재미없어하니까요

  • @MW-DANZI
    @MW-DANZI24 күн бұрын

    바둑은 지금까지 같은판이 한번도 안나왔다네요

  • @sid8646
    @sid86466 ай бұрын

    가장 우월한 것은... 틱택토 아닐까요?(웃음)

  • @gox3333
    @gox33336 ай бұрын

    사다리 타기가 불공평한 이유: 시작점 끝점이 5개일 경우엔 1에서 시작했을때 2로갈 확률은 100% 2에서 3이나 1으로 갈 확률은 50% 3에서 4나 2로 갈 확률은 25% 하지만 1에서 2로갈 확률은 50%입니다 그러니 가까울수록 갈확률이 높아지니 불공평 합니다

  • @Gajuk2

    @Gajuk2

    2 ай бұрын

    아래를 가리십쇼

  • @Gayonug
    @Gayonug5 ай бұрын

    다들 자기 생각 한번씩 말하하고 가는거 보니 제목 선정 잘했네

  • @user-nj3my3kw9f
    @user-nj3my3kw9f6 ай бұрын

    바둑과 체스는 느낌이 확실히 다른게임이라 왜 비교선상에 놓이는건지 잘 이해가 안가네요

  • @user-ds1yf1oz7n
    @user-ds1yf1oz7n6 ай бұрын

    저는 바둑은 잘 모르지만 장기는 알고 있습니다^^ 체스는 장기와 룰이 상당히 비슷합니다 두게임 다 상대편의 왕을 잡는다는것이죠 체스에서는 그것을 체크메이트라 부르고 장기에서는 외통수라 부릅니다^^그런데 장기는 체스보다는 조금더 어려운거 같습니다 그대신에 조금더 생각을 많이 하게되는 장점이 있고 체스는 룰이 장기보가 쉬우니까 사람들이 접하기가 더 수월한거 같습니다😊 막타님도 체스랑 장기를 같이 해보시는것도 나쁘지 않을것 같네요😊

  • @체스막타

    @체스막타

    6 ай бұрын

    네 유튜브 운영 참고차 기본수 구독해서 보고있는데 탁탁탁! 재미있어 보입니다!

  • @beenbe3384

    @beenbe3384

    6 ай бұрын

    장기는 촌스럽습니다. 장기는 동아시아에서만 하지 체스는 전세계에서 합니다 장기를 왜하는지 이해불가 입니다

  • @user-oq2lw7ly5u

    @user-oq2lw7ly5u

    6 ай бұрын

    ​@@beenbe3384 님 생각이 틀렸다고는 말하지 않겠습니다. 다만 주인장이 그런식으로 비교하지 말아달라는 영상에 이런 댓글을 다는 이유도 모르겠어요. 진짜 이해가 안되는 행동입니다. 촌스럽다는건 굉장히 주관적인 사상인것 같아요. 저만해도 절대 촌스럽다고 생각하지 않거든요. 그런 식의 생각이 발달하면 나중가서는 도대체 장기, 체스, 바둑을 왜 둬요? 어차피 ai가 다 이기는데 뭐하러 선수들이 있어요? 이런 질문으로 이어질 것 같네요.

  • @ReBeL_Cookie

    @ReBeL_Cookie

    6 ай бұрын

    @@beenbe3384 장기가 동아시아에서만 한다는 게 장기를 왜 하는지 생각할만한 이유인지 모르겠네요. 각 게임만의 장단점이 있고 자신은 자신이 좋아하는 게임을 하면 되는 것이고 그런데 다른 게임을 비교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해요. 영상에서처럼요. 어차피 선수 될 일도 없는데 동아시아에서만 하는지 전세계에서 하는지 무슨 상관입니까? 만약 선수가 된다고 하여도 그게 상관이 있나요?

  • @user-zf1sz9cd9b

    @user-zf1sz9cd9b

    6 ай бұрын

    다들 말하는게 야무지네ㅋㅋ

  • @Aaron-bj8hv
    @Aaron-bj8hv6 ай бұрын

    체스말고 안해보셨다고요? 그럼 이번기회에 마크를시작해봅시다(?)

  • @roksanahowe2054
    @roksanahowe2054Ай бұрын

    역시 오목이 제일 우월한 게임이었군요!

  • @user-vx1vt8rq4l
    @user-vx1vt8rq4l2 ай бұрын

    4:57 총합 점수는 장기(204) > 오목(175) > 체스(167) !! 오목보다 쉬운 체스 우하하

  • @user-iy1mv8vc8c
    @user-iy1mv8vc8c6 ай бұрын

    당연히 체스보단 바둑이지 ㄺㅎㅃ 둘다좋아

  • @user-pm2kv1mo1d
    @user-pm2kv1mo1d6 ай бұрын

    영상에 나온 변형체스 이름이 뭔가요?😮

  • @체스막타

    @체스막타

    6 ай бұрын

    XXXL Chess입니다

  • @S1riu5
    @S1riu56 ай бұрын

    체스는 바둑보다 복잡성 없는 게임입니다. 하지만 『시실리안 하이퍼 엑셀레이티드 드래곤』은 있죠.

  • @user-yd1kf4sj4k
    @user-yd1kf4sj4k2 ай бұрын

    근데 바둑을 아득히 초월하는 절대적으로 복잡한 게임이 하나 있어요. 바로 '타이쿄쿠쇼기' 라고, 변형 쇼기인데, 말 종류만 무려 208개, 가로와 세로가 36칸씩으로 된 1.5x1.5m의 거대한 장기판 위에서 한 쪽이 402개에 달하는 말을 움직여야 하는 게임이예요. 아마 모든 공식 보드게임 중 제일 복잡할 걸요?

  • @체스막타

    @체스막타

    2 ай бұрын

    아는 건데도 자주 틀려요 그거 ㅋㅋㅋ

  • @user-ky1lz7cs7m

    @user-ky1lz7cs7m

    2 ай бұрын

    그렇게 따지면 바둑을 99x99로 하면? 논점흐리지 마셈 다들 바둑>>>>>>체스

  • @ffuubtsihitsbifsbifsubtsub7705

    @ffuubtsihitsbifsbifsubtsub7705

    Ай бұрын

    ​@@user-ky1lz7cs7m경우의수 많다고 게임이 우월함?ㅋㅋㅋ 그럼 문명이나 스타가 제일 우월한 게임이지

  • @dolen4371
    @dolen43716 ай бұрын

    롤도 칼바람을 더 재밌어하는 사람도 있는 것처럼 자기가 재미있게 하면 그만입니다.

  • @cytokine5070
    @cytokine50706 ай бұрын

    복잡한게 최고라고 하면 문명이나 시켜줍시다

  • @sake563
    @sake5636 ай бұрын

    저 바둑 체스 둘다 해봤는데 그런거 없음 그냥 둘다 재밌음

  • @2SH_
    @2SH_5 ай бұрын

    마지막에 나오는 변형체스 이름이 뭔가요?

  • @체스막타

    @체스막타

    5 ай бұрын

    XXL Chess라고해요 체스닷컴가면 할수있는데 저 게임 돌리는 사람이 없어서 매칭이 어려워요

  • @nadonadodo
    @nadonadodo6 ай бұрын

    애초에 같은 사람 대 사람끼리 하는 거라 일부 사람들이 주장하는 '게임의 복잡도 = 우월성' 이 성립하지 않는 것 같아요. 아니, 애초에 게임에 우월함이라는 게 있을까? 어쩌면 게임 간의 우월성을 주장하는 사람들이야 말로 열등 의식이 있는 것 아닐까요. 앞으로 체스 영상에서 바둑 분탕질 하는 분들께 이걸 보여줘야겠군요.

  • @user-nj5nt7rl3h
    @user-nj5nt7rl3h5 ай бұрын

    바둑은 뭔가 부동산 같은 느낌이고(땅따먹기),체스는 전쟁 시물레아션같음. 그러나 실제 전쟁에서 지형이 중요해서 바둑을 두는거 아닐까?체스는 전략상에 군집 배치이고. (라는 뇌피셜.)

  • @kang7027
    @kang7027Ай бұрын

    아따 오목아 짱이야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