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책너머 야생의 땅, 장항습지 23억 말똥게의 이동 [환경스페셜-철책의 땅, 장항습지] / KBS 20070711 방송

Ойын-сауық

▶ 장항습지를 가다
봄기운이 만연한 5월, 장항습지의 송월을 단 버드나무 씨앗이 온 세상을 하얗게 뒤덮고 자생종 물레나물과 노랑꽃창포도 봄을 맞아 활짝 피었다. 한때 지천으로 피었지만, 점차 사라지고 있는 매화마름꽃도 수줍은 듯 고개를 내민다. 버드나무의 숱한 구멍 속에서 겨울잠을 잤던 말똥게들도 기지개를 켜고 일어나 먹이활동과 번식작업을 시작한다. 이처럼 오염되지 않은 한강하구의 장항습지에선 습지 식물들과 작은 짐승들이 공존하며 살아가고 있다.
▶ 마지막 남은 기수역
장항습지는 강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한강하구의 기수역으로 마지막 남은 큰 강 하구의 살아있는 생태권이다. 다른 기수역에선 찾아볼 수 없는 기수역의 지표종인 붉은발말똥게 뿐만 아니라, 크기가 2센티미터 미만의 펄콩게가 작은 몸을 민첩하게 움직이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이렇게 작은 생명체들이 자연과 공존하며 살고 있는 장항습지는 한강하구의 철책선이 생태계를 가장 크게 훼손하는 ‘사람’이 들어올 수 없게 잘 보호돼 왔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었다.
▶ 버드나무가 부르는 생명의 노래
우리나라 최대의 버드나무 군락을 자랑하는 장항습지에선 버드나무를 둘러싼 여러 생명체들이 다양한 생명현상들을 보인다. 버드나무의 수액을 빨아먹고 사는 거품벌레는 거품을 만들어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어린 생명을 그 속에서 키우며 살고, 새들은 이런 거품벌레를 잡아먹고 산다. 또한 버드나무 구멍 속엔 버드나무 잎을 먹고 서식하는 말똥게가 분비물을 배설하면 버드나무가 양분을 섭취하며 공생관계를 유지하며 살고 있다. 이렇듯 이들에게 장항습지는 없어서는 안 될 생활터전이 된다.
▶ 철책선, 생명의 울타리
우리나라에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장항습지가 있다면, 홍콩엔 국제적으로 중요한 물새 서식지로 인정받아 ‘람사습지’로 등록된 마이포습지 자연보호구역이 있다. 홍콩의 마이포습지는 대만 타이난에 이어 동아시아에서 저어새가 가장 많이 겨울을 나는 곳일 뿐 아니라 도요새, 물떼새들의 이동경로에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1984년부터 세계자연보호기금 홍콩지부가 관리 책임을 맡고 있는데 매년 관리비용의 절반을 홍콩정부가, 나머지 절반은 자체수입으로 충당하고 있을 정도로 홍콩인들 또한 마이포습지를 자랑스럽게 여기고 이를 보호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한편, 우리나라는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의 군철책선을 제거하고 방음벽을 설치해 일반인들의 산책로로 활용하기로 결정했다. 이제 곧 장마, 홍수 등 자연 재해를 피해 수많은 생명들이 철책선 안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철책선이 사라진다면 이들은 로드킬을 피할 수 없는 처지가 돼버리고 만다. 지난 수 십 년간 끊임없는 개발로 한강하구의 습지들이 많은 부분 사라졌고, 그 속에 살던 생명체들도 함께 사라져 버렸다. 이처럼 수많은 생명체들의 울타리 한강하구의 철책선, 인간의 욕심을 버리고 이들의 보금자리로 유지시켜줘야 하지 않을까.
※ 이 영상은 [환경스페셜-철책의 땅, 장항습지(2007년 7월 11일 방송)]입니다. 일부 내용이 현재와 다를 수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국내 최초 환경 전문 다큐멘터리, 환경스페셜 공식채널입니다.
구독/좋아요/알림설정!
▶구독:url.kr/ikg6th
▶방송 다시보기(홈페이지): program.kbs.co.kr/2tv/culture/...

Пікірлер: 180

  • @user-me6xg8zx6j
    @user-me6xg8zx6j2 жыл бұрын

    장항습지 철책은 자연의 보호를 위하여 유지 되고 보호 되는 것이 옳다고 생각됩니다. 장항습지 철책이 지켜져야 합니다.

  • @lIllllIlllllIIIIIIIllllIIlIlll
    @lIllllIlllllIIIIIIIllllIIlIlll Жыл бұрын

    보는 내내 해외 다큐에서 나오는 아프리카나 열대 우림인가 싶을 정도로 장관임. 인간이 없는 곳의 한국이 저렇게 멋지다니. 버드나무 군락은 진짜 멋지다

  • @LEE-wq6kw
    @LEE-wq6kw2 жыл бұрын

    현재 장항습지는 람사르습지로 등록되었습니다. 공원화 하기 위해 환경단체 조언, 대안 뭉개고 난리입니다. 코로나 때문에 조금 지체됐는데 개방하는 건 모두 시민을 위한 것이라 합니다. 어떤 시민? 위정자들의 거짓 논리에 열받습니다. 현재 펄콩게 사는 지역은 수년 전부터 갈대들이 서식해 풀숲으로 변했습니다. 펄모래가 쌓여 물이 차지 않기 때문이지요. 강의 흐름 때문에 생긴 현상이지만 한강을 막고 있는 신곡수중보 때문에 김포쪽에서 물을 흘려보내느라 장항습지 쪽으로 모래가 쌓인 것이랍니다. 어부들은 한강 하류 물길, 생태환경을 위해 많이 애쓰고 있답니다. 규정에 의해 물고기도 잡고 폐그물 등 쓰레기 등도 스스로 치웁니다. 농민들, 그들이 짓는 볍씨들은 겨울철 재두루미와 큰기러기, 쇠기러기 먹이로 대부분 뿌려줍니다. 물론, 경기도와 고양시가 어느 정도 값 쳐 보상해 주지요. 철책, 절대 걷히면 안 됩니다. 무분별하게 사람들 들락거릴 수 있는 관광상품화, 더더욱 안 되지요. 자전거 동호인들 위한답시고 자전고 도로 바로 옆에 내고 사람들 몰려들도록 하는 정책, 우리나라 국민 대다수가 반대할 겁니다. 공무원들, 제발 정신차려야 합니다. 그놈의 개발, 개발, 관광, 관광~ 자연이 즐거워야 인간이 즐겁다는 말, 올바른 정치하려면 자연 훼손 절대 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냥 가만 놔두면 됩니다.

  • @user-co9xy9pb2g
    @user-co9xy9pb2g2 жыл бұрын

    장항습지는 동식물들이 살수있도록 습지를보호하고 생태경관을 보호해서 자연환경을 우리인간들이 만들어 자연생태들의 자유를 느끼게해주고 싶다

  • @TV-fp4eo
    @TV-fp4eo2 жыл бұрын

    나도 오두산 통일전망대 근무했는데 철책이 동식물에서 안식처를 제공해준다 한강 하구는 엄청난 자연이 있다 지역유지 몇놈 노닐려고 철책을 제거하는것은 시민을 위장한 배불뚝이 유지 몇놈이 뒤에 있다

  • @user-cb1qo7wg4n

    @user-cb1qo7wg4n

    2 жыл бұрын

    꼭 하지말라는 걸 할려고 애쓰는 놈들이 있는데 바로 그런놈들을 위해 "국민을 위한다"는 되지도 않는 논리를 펴는 놈들입니다.이래서 제대로 된 놈들을 골라서 선출해야 됩니다. 동물을 애완용으로 사육할려고 하는 놈들은 일정 기간동안 애완용으로 키웠으면 좋겠습니다.

  • @user-oq2ff1dc9f
    @user-oq2ff1dc9f Жыл бұрын

    30년전에 경기도 연천에서 군생활했는데 철책선 안과 밖은 정말 생태의 보고였씁니다. 밤에 봤던 개똥벌레들은 장관이었지요 ~~~

  • @user-ek1tw5vk1o

    @user-ek1tw5vk1o

    Жыл бұрын

    1

  • @dalongkim2094
    @dalongkim20942 жыл бұрын

    역설적이게도 현재의 철책이 이들을 보호한고 있다... 철책을 걷어낸 동해안의 경우 모든 해안에 사람이 자유롭게 드나들면서 철새들이 쉴곳이 없어졌다... 철책은 자연 보호의 보루이다.

  • @user-lf6jr6mq9c
    @user-lf6jr6mq9c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뒤늣게 보면서 아!안돼! 가 절로나옵니다. 제발 철책을 걷어내지 마세요~ 고라니 도요 돌물떼새 이 귀하고 귀여운 동물들을 지켜주세요. 인간의 손이 닿는순간 이것들은 소리없이 사라져 버립니다. 적막한 시멘트로 뒤덮힌 대지,도로 부족하지 않습니다.

  • @qkr-pr5fw

    @qkr-pr5fw

    Жыл бұрын

    북한 간첩 들은 어쩌고?

  • @user-xd2ze8yu2l
    @user-xd2ze8yu2l2 жыл бұрын

    이럳곳에 생태계파괴범은 원주민과 어부들이지 이런 놈들의 어부권한을 박탈하고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 모든강과 바다의 주파괴범은 어부들이다

  • @Ark-ue7ux

    @Ark-ue7ux

    2 жыл бұрын

    찬성!

  • @user-pu9ww7sv1l

    @user-pu9ww7sv1l

    2 жыл бұрын

    무식하다는 어부 수 천명 보다 대가리에 먹물든 몇눔이 자연환경을 더 파괴 하지.

  • @NO-wf4nb

    @NO-wf4nb

    2 жыл бұрын

    그렇습니다..강과 바다를 더럽히는 주범은 은혜를 원수로 되갑는 어부와 낚시꾼 맞습니다.

  • @hie-eunlee6213

    @hie-eunlee6213

    Ай бұрын

    적극 동의합니다

  • @user-sc5zk4cb7t
    @user-sc5zk4cb7t Жыл бұрын

    역시 인간의 손길이 닿지않아야지 보전이되는구나 ㅡ잘보존해서후손들에게 물려줍시다

  • @masaliang825
    @masaliang8252 жыл бұрын

    잘 보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TV-fh9fo
    @TV-fh9fo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 @9cw499
    @9cw4992 жыл бұрын

    25:40 응애 나 아기 고라니 끼에에엥!!!!

  • @someghostwarrior
    @someghostwarrior2 жыл бұрын

    통일 이후에도 휴전선은 절대 개발하지 말고, 지뢰지대 그대로 보존하여 아들, 딸, 손자, 손녀에게 물려주어야 한다.

  • @Hammer-bag

    @Hammer-bag

    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지뢰는 제거해야....

  • @ohnato

    @ohnato

    2 жыл бұрын

    땅굴 열심히 뚫어 놨으니, 그거 손좀봐서 이용하면 되겠습니다 ㅋㅋㅋ.

  • @user-ti1wz4bf2q

    @user-ti1wz4bf2q

    Жыл бұрын

    경치좋다고 제일먼저 집지을껄.고위급들이 자신들 별장 지을껄

  • @igosro83
    @igosro832 жыл бұрын

    철책유지가 환경보호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할 듯

  • @user-in7vq1xh4s
    @user-in7vq1xh4s2 жыл бұрын

    지구에 필요없는 생물체는 인간임을 다시한번 일깨워주는 다큐

  • @user-zv9ey4jd6v
    @user-zv9ey4jd6v2 жыл бұрын

    옛날에 사람이 살았을 집터와 철길... 그리고 산과들 이름모를 동식물... 전쟁의 상흔속에... 너무나 아름다운 자연환경이 되었습니다. 다시 보고싶은곳!

  • @gasdciaq7276

    @gasdciaq7276

    2 жыл бұрын

    저런거 공개하면안됌 한국인들 종특상 몇일안가 오염됄거에요

  • @hongsukbeum
    @hongsukbeum2 жыл бұрын

    가장 최근뉴스가 장항습지에 생태공원만든다고 나섰다가 예산편성까지 끝난판에 습지안에 들어간 민간인이 지뢰밟고 발목잘려서 생태공원 백지화 되었다네요

  • @terrylee6703
    @terrylee67032 жыл бұрын

    휴전되도 꼭 보호 해야되는 곳

  • @hie-eunlee6213
    @hie-eunlee6213Ай бұрын

    와 대단합니다 이 지역은 잘 보존되어야 합니다

  • @Aeglaeca17
    @Aeglaeca172 жыл бұрын

    말똥게 갈대에 매달려서 잎새 아작아작 씹어먹는거 왜케 귀엽지 ㅎㅎ

  • @yjleezz871

    @yjleezz871

    2 жыл бұрын

    11:54 귀엽나요? 전 옆에 손톱으로 긁고싶네요 환고포증땜에

  • @user-vm4ve9mz6e

    @user-vm4ve9mz6e

    2 жыл бұрын

  • @user-du7tn6le5p

    @user-du7tn6le5p

    Жыл бұрын

    저말똥게 간장게장해먹으면 넘맞잇는데 꽂게보다더맞나요!가끔 서산가면 사려고 눈까뒤집고봐도 안나옴 어릴적 낙동강 하구에서 많이나왓지만 지금그쪽건 나와도 못먹어요

  • @andyp1170
    @andyp11702 жыл бұрын

    장항습지 철책 그대로 두고 안에 자연도 훼손하지 마세요- 후손에게 물려주세요

  • @user-ld9gz1dw8b
    @user-ld9gz1dw8b2 жыл бұрын

    구독 했어여

  • @user-dq2hj2wz1s
    @user-dq2hj2wz1s2 жыл бұрын

    지금의 장항습지는 어떨지 궁금하네요

  • @likefeellike

    @likefeellike

    Жыл бұрын

    장항준 감독님이 접수하셨어요.

  • @user-ro6ij2ew8d
    @user-ro6ij2ew8d2 жыл бұрын

    정말 자연아름답네요. 인간 없으면 자연은 알아서 저절로 진화하고 성장하지요 통일이 되어도 그대로 보존되어 으면 좋겠내요

  • @user-xk2og6of4k
    @user-xk2og6of4k2 жыл бұрын

    이런곳이 왜 희귀한 곳이냐면 아마존 정글습지같은곳은 이미 많이 있고 잘 알려져있는 반면 이런 온대 습지는 그리 많지 않기때문에 학술적으로 희귀하다 들었음. 더구나 분단으로 인해 거의 백년 가까이 사람이 닿지 않았기 때문에 그 좁은 땅에 온갖 자연식물과 잊혀진 동물까지도 죄다 들어가 있음. 정말 학술의 보고임.잘만 관리하면 이젠 책에서만 봐야할 동식물을 볼수있을지도 모름.

  • @user-sq4uu9pq5i

    @user-sq4uu9pq5i

    2 жыл бұрын

    뭔 국뽕이여ㅋㅋ

  • @hongsukbeum

    @hongsukbeum

    2 жыл бұрын

    @@user-sq4uu9pq5i 열대습지나 한대습지는 사람살만한곳이 아니라 보존된곳이 많은데 온대습지는 사람살만한곳이라 사람이 살아오면서 있는데로 개발해버려서 인류이전의 모습을 가진 온대습지는 세계적으로 극히 드묾어요

  • @ohnato

    @ohnato

    2 жыл бұрын

    @@user-sq4uu9pq5i 국뽕 아니고, 그냥 사실임.

  • @user-iz1xt1ym7t
    @user-iz1xt1ym7t Жыл бұрын

    오늘도.제미있는풍경대표님지시으로감사드림니다.새해복많이받으세요건강하셔요~~❤️❤️❤️❤️

  • @Mg-kd4js
    @Mg-kd4js2 жыл бұрын

    바닷가 옛날 군부대 철책 근무지도 파괴하지맙시다. 자연을 조금이라도 살리려면 사람들이 들어가면 안되겠죠. 다시 바닷가에 철책을 칩시다.

  • @superfullmoon1985
    @superfullmoon19852 жыл бұрын

    강안대대 있을때 철책 안으로 들어갈때마다 정말 신기하고 아름다웠는데..행주쪽으로는 철책을 걷어내고 어찌변했을까 모르겠네

  • @chi1391
    @chi13912 жыл бұрын

    철원 gop에서 근무했는데 철책선이랑 겹쳐있는 한탄천보면 1m만한 장어 꽤 많이볼수 있음

  • @pain5-5
    @pain5-52 жыл бұрын

    한강 습지공원에도 말똥게 많아서 옛날에 잡아본적 있는데

  • @user-cb9cu2er3n
    @user-cb9cu2er3n2 жыл бұрын

    사람만 없으면 자연이 살아나네요

  • @user-ck8vk3xg1v

    @user-ck8vk3xg1v

    2 жыл бұрын

    인간에 욕심으로 자연이 파기되고 있지요 무지한 인간들.

  • @ohnato

    @ohnato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저는 자옄을 위해 도시의 아파트에서 살아요. 자연이 좋다고, 산골에서 사는 사람들... 실은 자연을 파괴하는 겁니다.

  • @WhenTheDogWishsMeal
    @WhenTheDogWishsMeal2 жыл бұрын

    나중에 통일이 되더라도 휴전선지역 전체를 그린벨트로 묶고 관광지역으로 개발하되 기간정해놓고 아무도 못들어가게 해라 전세계 유일하게 70년 넘도록 사람의 손길이 전혀닿은적없던 지역이다 .. 이대로 잘 보존하고 관리해서 우리의 후손들에게 잘물려주었으면 한다

  • @user-wp9oo2zy9d
    @user-wp9oo2zy9d2 жыл бұрын

    DMZ는 야생동물들에겐 천국이겠다

  • @kevindevaojoo8882

    @kevindevaojoo8882

    2 жыл бұрын

    강원도 DMZ 안에 여름에 가 보면 영화 주라기공원에 나오는 숲같은 극단적으로 이국적인 원시 숲지대로 보임 일반 한국 산 숲하고 완전히 달라요 전 군대에서 있을때 자주 들어갔었음

  • @user-nr2tp5rp7g
    @user-nr2tp5rp7g2 жыл бұрын

    한강하구철책도 역사의 한페이지다 미관상 어쩌구 저쩌구 뜯어버리려는 인간들아 정신 차려라

  • @user-qo6ti6ir2e
    @user-qo6ti6ir2e Жыл бұрын

    철책이 보긴싫어도 자연보호 차원에서 그대로ㆍ 두는것이 습지보존 동식물의 보존입니다

  • @paintedbird6791
    @paintedbird67912 жыл бұрын

    내고향 당진 - 갯벌이 세계 최고 였는대 간척 사업, 공업지역 개발로 그많던 갯벌 다 없어 졌다. 갯벌은 없어지고 씨벌만 남았다.

  • @user-oo7vv5vn6n
    @user-oo7vv5vn6n2 жыл бұрын

    찾아보니 지뢰문제도 있고 굳이 관광 개발 하지 않고 그대로 보존했으면 ..25:40 새끼고라니 귀엽다..ㅋㅋ

  • @-iyagi.com-
    @-iyagi.com- Жыл бұрын

    철책은 그자리에 있어야 한다 사람이 숲을 파괴 했는데 그걸 못가서 안달인것이 말이 되냐 멀이 사는 사람들은 갈 생각도 안한다

  • @user-zx6gm9fw9u
    @user-zx6gm9fw9u2 жыл бұрын

    충남 금강하구에도 똥게라고 불리던 말똥게가 많았어요 지금은 없다고 해요

  • @user-vm4ve9mz6e

    @user-vm4ve9mz6e

    2 жыл бұрын

    어디로 갔을까요

  • @user-zx6gm9fw9u

    @user-zx6gm9fw9u

    2 жыл бұрын

    @@user-vm4ve9mz6e 헐! 여기 오셧군요 죄송합니다 말똥이라 해서 ㅎㅎ

  • @oso2339
    @oso2339 Жыл бұрын

    가히 자연의 천국이 군요 통일이 되면 지금 그대로 보존 하기를

  • @csicsi7099
    @csicsi70992 жыл бұрын

    철책철거 금지하자!!!!!

  • @user-xr1db8xc9m
    @user-xr1db8xc9m2 жыл бұрын

    통일이되도 휴전선철책은보호해서 그나마조금남은 자연 후손에게 물려주어야한다

  • @user-xc5dj5rn9m
    @user-xc5dj5rn9m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장항습지보호해야한다고양시장파주시장등그놈들은철책개방하여북한간첩들이롭게할것이며자연을망치려는두가지인것이다즉국민이름을이용하는개놈들인것이다

  • @user-kb2sk6yh3y
    @user-kb2sk6yh3y Жыл бұрын

    펄콩게 뻘에사는 콩알 만한 콩게네요. 제주도에선 뻘을 펄이라고 합니다. 지금은 제주도 사투리가. 서울 사람들은 알아듣기 힘든 와계어 처럼 들릴지 모르지만... 먼 옛날에는 그게 표준말이었을지도...

  • @oppasadvice
    @oppasadvice2 жыл бұрын

    나가보고 싶은게 아니라 개발하고 싶은거겠지 ~

  • @g.castlena284
    @g.castlena2842 жыл бұрын

    아파트 가격에 눈이 어두워져서 모든것을 파괴하자고 하는 사람들이 날뛸까 걱정....

  • @user-fh3fc5pf8g

    @user-fh3fc5pf8g

    2 жыл бұрын

    돈줄테니 살아라해도 못살곳인데 걱정노노 ㅋㅋ

  • @user-hu5de6xq6r

    @user-hu5de6xq6r

    2 жыл бұрын

    @@user-fh3fc5pf8g 333

  • @sungyomg8360

    @sungyomg8360

    2 жыл бұрын

    이미 짓는중이다 ㅋㅋㅋ 장항동 재개발봐라

  • @user-yz3ry2hf1n
    @user-yz3ry2hf1n2 жыл бұрын

    습지에 둑을 쌓은 것들 잡아서 도축해야 합니다.

  • @hyunyoon8952
    @hyunyoon89522 жыл бұрын

    훼손 한 놈을 못잡나?

  • @miroangell

    @miroangell

    Ай бұрын

    누군지는 다 압니다.. 저기 들어갈때 출입일지 쓰고 카메라로 다 녹화되거든요

  • @user-dx3mf1ct2v
    @user-dx3mf1ct2v2 жыл бұрын

    펄콩게 ㅈㄴ 귀엽다 ㅋㅋㅋㅋ

  • @user-pb3lh2ue8m
    @user-pb3lh2ue8m2 жыл бұрын

    먹을 수 있나요?

  • @user-ou9qm2dg5w
    @user-ou9qm2dg5w2 жыл бұрын

    제발 ㅠㅠ 통일돼도 개발하진말자 멀리서 지켜보자

  • @user-xk9rq6im7w
    @user-xk9rq6im7w Жыл бұрын

    습지 뒤집어 깐 어부는 어업권을 뺏는게 맞을듯 합니다. 자신의 이득을 위해 또 어떤짓을 할지 모릅니다

  • @youngteakim4830
    @youngteakim4830 Жыл бұрын

    서울시민들이 한강을 두루 이용할 수 있는 이유는 이미 자연이 그만큼 파괴당한 채 인간의 편리에 맞춰져 있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철책이 환경을 보호해준 경기도 지역은 그 자연을 보호해서 사람들이 탐방과 체험 공간으로 이용하는 유산으로 육성해야 합니다. 자연이야말로 후손들에게 물려줄 더없이 값진 유산이기 때문입니다. 수익성이 부족하면 그 자연의 혜택을 공유하는 중앙정부에서 지원을 해줘야 마땅합니다.

  • @ganekim
    @ganekim2 жыл бұрын

    공무원들 놀고 있네 세금 엄청나게 줄줄 세는구나.... 김포공무원 다 짤라!

  • @user-cp3ml5od8f
    @user-cp3ml5od8f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도 육지게가 있구나 신기하다

  • @bluerail03

    @bluerail03

    2 жыл бұрын

    생각보다 많아요

  • @user-ze2hh8te7l
    @user-ze2hh8te7l2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철책 걷어내고 10년은 지났을텐데 어떻게 되있나요?

  • @user-vm4ve9mz6e
    @user-vm4ve9mz6e2 жыл бұрын

  • @user-xz3kh3rw2p
    @user-xz3kh3rw2p Жыл бұрын

    인간이 간섭해서는않된다 절대로 들어가서는 않된다

  • @user-kk9kh1ib8w
    @user-kk9kh1ib8w2 жыл бұрын

    28:50 고라니가 아니라 양아치네 ㅋㅋㅋㅋㅋㅋ

  • @mira9693
    @mira96932 жыл бұрын

    근데 저거 먹을수있는건가요?

  • @kjchoi3074
    @kjchoi30742 жыл бұрын

    통일후에도 유지 되어야함

  • @inchullee9515
    @inchullee9515 Жыл бұрын

    인간이죠 문제는 만조때 들어오는 쓰레기는 안보여 주내요....

  • @user-gk8xc7dm9c
    @user-gk8xc7dm9c2 жыл бұрын

    농사고 어업이고 허가를 주지 말아야지..

  • @user-ik2qv7lb3c
    @user-ik2qv7lb3c Жыл бұрын

    한강습지에는야생동물고라니산양노루너구리철새여러야생꽃나무등이써야합니다

  • @user-fy8cw7ww4m
    @user-fy8cw7ww4m2 жыл бұрын

    07년이면 개발 해겠다 ... 자연을 보호하자 라고 자화자찬하는 입은 천상 유수 그러나 허나 머리 즉 뇌는 탐욕에 눈먼 우묵 가사리가 가득찼다 ....

  • @jameskim4869
    @jameskim4869 Жыл бұрын

    야생동물이 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줬으면 좋겠어요.사람들이 오가지 않는. 산에 횡단 도로도 그만 만들고

  • @user-vj4rq2hs6g
    @user-vj4rq2hs6g2 жыл бұрын

    맛있겠다..

  • @user-lk8bm4ie2t
    @user-lk8bm4ie2t2 жыл бұрын

    절때 제거금지 얼마나 더 자연을 훼손할 건가 인간의 욕심때문에 남은 자연마저 해치지 말고 보호해주자

  • @user-jt5me2vo9u
    @user-jt5me2vo9u2 жыл бұрын

    지구는 그런대로 건강한 생태계인데 인간이 온갖 행위로 야생의 서식처를 파괴하니 어짜할까? 어떻게 야생과 인간세상의 조화를 이룰수 있을라나?

  • @user-lf6hn3ns8t

    @user-lf6hn3ns8t

    2 жыл бұрын

    인간도 그 일부에요 ㅋㅋㅋㅋㅋ

  • @thelanterngrab5037
    @thelanterngrab50372 жыл бұрын

    철책 넘어서 찍다가 지뢰 밟으면 어떻게 되는거지

  • @user-ox7ys4jg4b36
    @user-ox7ys4jg4b362 жыл бұрын

    16:00

  • @user-gn6tw8bw9e
    @user-gn6tw8bw9e2 жыл бұрын

    고양, 김포 시민은 한강 위로 올라가면 되지. 꼭 거기서 만 한강을 이용해야 할까?? 얼마 후 면 장항습지도 고라니도 다 없어지겠군

  • @hecaiont
    @hecaiont2 жыл бұрын

    손범수 아저씬가? 역시 이런종류앤

  • @user-xx9zr6fp6b
    @user-xx9zr6fp6b Жыл бұрын

    토끼, 꿩, 고라니등 야생동물의 숫자가 서식지의 난개발과 개체가 너무 늘어난 들고양이 개들에 의해 거의 멸종단계에 있다 특히 멧토끼는 이미 수십년전 부터 시골이나 산골에서도 보기 어렵고 꿩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야생이된 들 고양이들이 야산 곳곳이 돌아 다니며 토끼굴까지 습격하고 숲등에서 꿩병아리를 사냥하여 거의 멸종되고 있다. 들고양이의 숫자를 줄이기 위해 사료가 풍부하면 새끼 를 많이 낳기 때문 주택가에서 도둑 고양이 사료를 주는 행위를 금해야 한다. 또 들고양이를 포획하여 불임시술을 계속적으로 하거나 숫자 줄이기를 지속해야 한다

  • @HJLEE-vy8vj
    @HJLEE-vy8vj7 ай бұрын

    4대강 망가트린 것들 후손 대대로 천벌 받길..

  • @user-rg5vn6lo5h
    @user-rg5vn6lo5h2 жыл бұрын

    철책은 제거하면 않 된다. 우선 누구의땅도 아 닌곳 그곳을개발 하 는인간은 자치장과 의 비리의 온상이 될 수 있기때문이고,선 택받지못한 주민과 의 마찰이 당현존재 할수 있기때문이다.

  • @user-jv7ym2pl1x
    @user-jv7ym2pl1x2 жыл бұрын

    인간만 없으면 정말로 자연의 섭리 대로 지구는 깨끗하게 돌아간다

  • @user-je3cv9gm6l
    @user-je3cv9gm6l Жыл бұрын

    인간들때문에 또 사라져가겠네...후손들은 사진이나영상으로만보겠지...하...몇안남은곳은 보존해야지...지키려고안했던거기 사람은 추억처럼 말하겠지 나 때는 말이야....

  • @user-vq7rv1tt6z
    @user-vq7rv1tt6z2 жыл бұрын

    국회에서 DMZ는 거주지빼고 영구 보존 결정내려야할듯

  • @Mg-kd4js

    @Mg-kd4js

    2 жыл бұрын

    국회에 있는 짐승들이 죌 나쁜것들인데 어떻게 믿나요.

  • @user-yx8yt4fv6n
    @user-yx8yt4fv6n2 жыл бұрын

    이곳도 철조망 철거로 야생은 끝나겠네

  • @user-hc9js8yt4x
    @user-hc9js8yt4x2 жыл бұрын

    모환경단체에서 한강철책 철거운동 하던데 크크크 하하하하하

  • @user-pz2jd2ju5h
    @user-pz2jd2ju5h2 жыл бұрын

    동식물들에겐 인간이 최대 천적이겠네 나중에 통일되더라도 이지역은 개방금지 시켜라

  • @korealumberjack7421
    @korealumberjack74212 жыл бұрын

    저거 철책걷어내고 인간들 산책로만드는순간 끝나버린다 임진강지류 문산천 산책로만들고 끝나버렸다 아~~옛날이여

  • @user-er6io4wf8j

    @user-er6io4wf8j

    2 жыл бұрын

    정말요? 그쪽도 개발이 됐군요 ㅜ.ㅜ

  • @user-be9qw9vw8v
    @user-be9qw9vw8v2 жыл бұрын

    원주 경찰의 고소장 손괴를 뇌물수수도 300만원 허위의 수사기록도 계속 재탕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민은죽어요 간청합니다 긴급점검 조치해야 합니다 이병재올림 도와주세요 널리 알려주세요 부패행위

  • @user-mx4zp9vq8p
    @user-mx4zp9vq8p2 жыл бұрын

    철조망 제거보다는 좋은 지점에 관찰할 공간을 마련하고, 망원경을 설치해 놓으면 될 것을..... 시민들이 얼마나 들어가 보고 싶겠냐고? 조지나 건빵이다 자슥아. . .

  • @user-wn6ye4qr7o

    @user-wn6ye4qr7o

    2 жыл бұрын

    푸하하하... 좋아요♥

  • @user-vn4ku3jk3b

    @user-vn4ku3jk3b

    2 жыл бұрын

    저도 보존에 찬성입니다

  • @---mo7zw
    @---mo7zw2 жыл бұрын

    철책 걷어내면 데크로 길게 설치할것이고 또 쉴수 있는 벤치 이곳 저곳 생기고 화장실도 생기겠지.. 야영도 할것이고

  • @cmccpy
    @cmccpy2 жыл бұрын

    10:30 같은 동족이라도 게장맛있는건 얘네들도 아는갑네,,,

  • @user-vm4ve9mz6e

    @user-vm4ve9mz6e

    2 жыл бұрын

  • @user-fw1nw7xl8q
    @user-fw1nw7xl8q Жыл бұрын

    DMZ주위에 지뢰를 많이 매설해서 사람에 접근을 원천으로 막아서 보전이 필요합니다 자연에 힘을 보는 유일한 곳이다 인간에 악함이 들어가지 않는 곳이다

  • @user-op4ey2ys3l
    @user-op4ey2ys3l2 жыл бұрын

    갈그이 ...젓갈담아 김치담으면 비린맛이 없어,,,어려서 금강 가에서 잡았는데...금강하구뚝 없애자...

  • @wgc8190
    @wgc81902 жыл бұрын

    한반도 분단이 자연에게는 생명줄이 되었네 통일이되더라도 이지역은 자연그대로 나뒀으면한데

  • @hongsukbeum
    @hongsukbeum2 жыл бұрын

    통일되면 군사분계선안에 지뢰를 더 뿌려야한다 그 어떤 개발도 이뤄져선 안된다

  • @user-dt5eo9sx7p
    @user-dt5eo9sx7p Жыл бұрын

    말똥게는 쓸모없는 차라리 귀한 참게새끼를 대량으로 풀면 그또한 뜻있는 일이될거다

  • @BlueWingsSuwon
    @BlueWingsSuwon2 жыл бұрын

    통일이 되더라도 DMZ는 개발하면 안된다 DMZ 전부 그린벨트로 묶어서 개발을 철저히 막아야 한다

  • @user-lf6jr6mq9c

    @user-lf6jr6mq9c

    Жыл бұрын

    네, 그렇습니다, 머리띠 두르고 나가야 해요^^

  • @20hbr45
    @20hbr452 жыл бұрын

    부천시 대장동에도 말똥게가 많았었는데

  • @hyeonjelee3225

    @hyeonjelee3225

    Жыл бұрын

    @@user-ch7jz4cx1o 토착왜구 일베 친일파인 할아버지그리고 니 아버지도

  • @johnoh1521
    @johnoh15212 жыл бұрын

    통일되도 지뢰 제거하면 안될 듯...

  • @user-qu5em3bz1x
    @user-qu5em3bz1x2 жыл бұрын

    아쉽지만 철책 서라지거나 통일되면 100% 사라지지..인간의 간섭으로 살아남은 자연 없지..특히 자연.환경 보호 개념 후진국수준에 인구밀집도 높은 우리나라는..

  • @yanjenafasi4814
    @yanjenafasi48142 жыл бұрын

    동족을 잡아먹는 것은 인간이나 동물이나 똑같다

  • @hojoonruooct1653
    @hojoonruooct16532 жыл бұрын

    최고의 자연보호는 인간이 없는것인가 ㅡㅡ

  • @user-rg6bk3ev1h
    @user-rg6bk3ev1h Жыл бұрын

    2008년 작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