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리나무 여름전정 중요 포인트, 체리시식회 안내

Пікірлер: 23

  • @user-ps1eo1hh3q
    @user-ps1eo1hh3q5 күн бұрын

    위로 올라가눈거는 잘라줘야하나요

  • @CherryFarmEurope
    @CherryFarmEurope15 күн бұрын

    Great cherries!

  • @user-cn5hd9gi1s

    @user-cn5hd9gi1s

    15 күн бұрын

    Thank u 4 your cheering^^ Korean cherry is just at the starting point(:

  • @duke-tv
    @duke-tv8 күн бұрын

    저도 타이톤이 있어서 궁금해서 검색해 보니 타이톤은 써미트(사밀두)를 수분수로 쓰면 열과가 없어진다고 하네요.

  • @user-cn5hd9gi1s

    @user-cn5hd9gi1s

    6 күн бұрын

    타이톤은 원래 꽃이 커서 배꼽부분이 열과에 약하다고 알고있습니다. 자세한 출처를 알려주시면 큰 공부가 될 기회이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user-tx7ke7ko6o
    @user-tx7ke7ko6o6 күн бұрын

    농업이 엄청 발전했네 과학적으로 재배를하네

  • @user-cn5hd9gi1s

    @user-cn5hd9gi1s

    6 күн бұрын

    과학적인 재배법만이 성공농사를 장담하지 못하겠지만 아무래도 확률을 높이는 요인은 될수있다고 봅니다~

  • @user-bc9gj3xz7i
    @user-bc9gj3xz7i14 күн бұрын

    버건디펄 묘목 분양도 되나요

  • @user-cn5hd9gi1s

    @user-cn5hd9gi1s

    14 күн бұрын

    010 4555 7871 로 문자주세요~

  • @user-wd6we2ig4p
    @user-wd6we2ig4p12 күн бұрын

    지금 주지를 솎음전정하면 수지가 안흐를 까요? 6월초에 저도 솤음전정을 했더니 수지가 줄줄 흐르더군요 도포제를 발라 줬는데도 수지가 너무나와서 씨름 중입니다

  • @user-cn5hd9gi1s

    @user-cn5hd9gi1s

    12 күн бұрын

    상처가 났으니 나무입장에선 균의 침입을 막기위해 당연히 수지를 내보내는데 생육기이니 더 많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다행히 날이 맑고 또 비가림이 되어있어 도포제가 빠졌거나 부실하게 발린 부위로 비나 이슬로 인한 감염이 최소화라고 생각되어 수세가 센 나무들은 수확전에 여름전정을 마쳤습니다. 아무래도 수확후엔 장마가 있어 전정에 따른 부작용이 적을것을 기대하는데 또 비교해 봐야겠네요. 바쁘지않으시면 사모님과 평일에 헌번 다녀가세요!

  • @user-nf7sb1ub5u

    @user-nf7sb1ub5u

    11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체리역사가 짧다고하셨는데 제생각에는 100년이 지나도 기술센타가 변하지안으면 희망이없습니다 하고십은 얘기 많은데 다음에, .

  • @user-wd6we2ig4p

    @user-wd6we2ig4p

    11 күн бұрын

    @@user-cn5hd9gi1s 솎음전정에 대해 이야기가 나온김에 의견을 나눠보는 시간을 가져 봅니다 체리는 아니지만 핵과류인 복숭아와 매실 그리고 사과 자두는 처서가 지난 후에 솎음전정을 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그 이유는 처서가 지나 면 과수는 내년을위해 준비를 합니다 기온도 장일에서 단일로 바뀌면서 나무가 서서히 성장을 멈줘가는 시기 이지요 왜 처서가 지난 시점이냐면 동절기 전에 전정부위에 캘로스가 나와 아물수 있는 적젌한 시간을 과수가 기질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도포제를 발라주면 세균과 곰팡이의 침입도 막을수 있지요 그리고 체리는 동계전정이라는 언어가 사라져야 한다고 저는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대신 춘계전정이라는 단어가 적절하다고 봅니다 왜? 일까요? 왜? 제가 체리를 재배하면서 느낀것은 수피도 나무의 몬질도 단단하지 않은 과수라는겁니다 그래서 성목이 되어 수피가 두꺼워지기 전에 는 수지도 잘나오고 다른 과수에는 잘발생하지 않는 세균성궤양병과 가지 마름병에 취약한 특징을 보이는것 같습니다 우리가 과수를 재배하면서 주의있게 살펴볼점은 과수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특징과 성장특성 결과습성과 작물의 생리를 살펴보고 이해하고 적응해 갈때 비로소 고수~ 또는 선생님 이라는 호칭을 들을수 있는 자격을 같춘것이라 생각하봅니다 저 또한 앞으로 5년정도가 지나면 그런 호칭을 들을수 있도록 해보렵니다

  • @hail7190
    @hail719016 күн бұрын

    아까운 열매 수확이나 하고나서 들어 내시지 ᆢ 나무 잘라내는재미로 키우시나? 성급하시네요.

  • @user-cn5hd9gi1s

    @user-cn5hd9gi1s

    16 күн бұрын

    ㅎㅎ 맞아유~

  • @user-dh4nr4vj5k
    @user-dh4nr4vj5k13 күн бұрын

    비료는 언제 몇 번 주어야 할까요. 지금 5년생인데 아직 까지 열매가 안 열립니다.

  • @user-cn5hd9gi1s

    @user-cn5hd9gi1s

    13 күн бұрын

    열매안열리는 이유를 먼저 알아야합니다. 여튼 수세가 아주 약하지않다면 비료를 주어서는 안됩니다~

  • @user-ym2im6ug3r
    @user-ym2im6ug3r16 күн бұрын

    혀가 탄다는 일본품종이 먼가요?

  • @user-cn5hd9gi1s

    @user-cn5hd9gi1s

    16 күн бұрын

    선발좌등금입니다

  • @user-sk1ue7ig2f
    @user-sk1ue7ig2f14 күн бұрын

    노지 월동 가능한가요

  • @user-cn5hd9gi1s

    @user-cn5hd9gi1s

    14 күн бұрын

    추위는 큰 문제가 없지만 개화기 저온피해는 있습니다~

  • @mongkoko-nh5hi
    @mongkoko-nh5hi16 күн бұрын

    노지는 저정도 칠 필요 없습니다. 비가림이나 하우스는 내부를 저렇게 비우겠지만 노지는 빛이 강해서 저정도 크게 들어낼 필요가 없습니다

  • @user-cn5hd9gi1s

    @user-cn5hd9gi1s

    16 күн бұрын

    참고할게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