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긴급출동! 백골부대 전병준 중위...그런데 내 뒤는? (KBS 23.06.06)

[시사기획 창 '현장진단, 우리들의 소대장' 중에서] #GOP #휴전선 #소대장 #ROTC
"광망 절단, 광망 절단입니다. 광망 절단입니다."
휴전선 철책에서 생긴 비상 상황, 급히 뛰어나온 소대장이 즉각 출동합니다.
대기 중이던 소대원들도 총기를 챙겨 현장으로 달려갑니다.
"안전검사! 노리쇠 후퇴 고정, 약실 확인"
차례차례 도착한 소대장과 대원들, 철책에 설치된 그물망 모양의 광망 센서에 이상이 없나
꼼꼼하게 살핍니다.
"15시 52분 부 철책 정밀 점검 완료. 특이 사항 없음 이상"
상급부대에 보고한 뒤, 상황이 종료됩니다.
백골부대 전병준 중위, 학군단 훈련을 거쳐 2년 전 소위로 임관했습니다. 최전방 휴전선 철책을 지키는 GOP 소초장입니다.
철책 출동에서 돌아오자마자, 곧이어 야간 경계근무에 투입되는 소대원들에 대한 군장검사가 이어집니다.
[녹취]
2023년 5월 18일 17시부터 익일 07시까지
야간경계작전을 명 받았습니다. 이에 신고합니다.
소초장님에 대하여 받들어 총! (백골)
밤인데다 갑자기 비가 내리는 날씨, 경계 근무와 안전에 신경이 더 쓰일 수밖에 없습니다.
[녹취] 전병준 / 육군 3사단 중위 (소초장)
오늘 야간작전 간에 강조사항 몇가지 전파할게. 우선 기온이 일교차가 심한 기온이 이어지고 있는데 개인 건강관리 유의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오늘은 비가 좀 많이 오고 있지 야간작전 안개 낄 가능성 높은데 이따가 초소 나가게 되면 우의 착용하고 전방 감시 철저하게 하자.
작전에 투입되지 않은 병사들과 면담을 하면서 어려운 점을 살피는 것도 중요한 업무입니다.
최전방이라는 긴장감, 녹록치 않은 근무환경, 밖으로 내색은 하지 않았지만, 전 중위의 고민이 느껴졌습니다.
[인터뷰] 전병준/ 육군 3사단 중위 (소초장)
본인에게 쉴 수 있는 휴식여건, 그런 것들이 조금 보장이 어려운 것들이 다른 직업군에 비해서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사명감이라든지 국가에 대한 봉사, 희생정신이 있어야만 할 수 있는 직업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최근 장기 복무 지원을 해 합격 통지를 받은 전 중위, 이런 바람을 밝혔습니다.
[인터뷰] 전병준/ 육군 3사단 중위 (소초장)
정말 우리 군을 발전시키고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나가는 인원들은 결국에는 군에 남아있는 인원들입니다. 그 인원들이 국가를 위해서 그리고 군을 위해서 헌신하는 만큼 국가도 그리고 사회적으로도 그 인원들에 대한 합당한 보상이라든지 그런 것을 개선을 많이 해 줘야 초급간부 지원율도 같이 올라가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전 중위의 말처럼 장교 지원율은 해마다 낮아지고 있습니다.
육군 장교 지원자 수는 2018년 3만 5백여 명에서 지난해 만 9천여 명으로 37% 감소했습니다.
지원자가 줄다 보니 학군단 경쟁률도 2017년 3.7대 1에서 지난해 2.4대 1로 줄었습니다. 올해는 지난 봄 모집에서 지원자가 적어 추가모집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런 추세라면, 일선 부대 소대장을 구하지 못하는 사태가 조만간 현실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인터뷰] 최병욱/ 상명대 국가안보학과 교수
중요한 것이 뭐냐면 지원율 자체에도 문제가 있지만 수도권 주요 대학에서는 정원을 못 채우는 일이 꽤 오래됐습니다. 또 하나 다른 측면은 뭐냐면 군에 있는 사람, 초급간부들이 이직하는 상황이 꽤 늘어나고 있는데, 사관학교에서 중도 탈락률이 높아진다든지, 또 5년차 전역률이 높아진다든지 이런 일들이 있어서 우수한 초급간부를 우리가 확보하고 유지하는 데에 문제가 좀 있다고 보아지고요. 지금 상황은 초급간부를 사람 채우는 데에 전전긍긍하고 있는 상황이 아닌가, 저는 위기라고 생각을 합니다
군 출신인 최 교수는 자신의 과거 소대장 시절과 비교해, 현재 상황이 크게 달라졌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최병욱/ 상명대 군사학과 교수
저는 80년대 중반에 86년도에 연천 대광리에서 소대장을 했었는데요. 그때만 해도 대한민국 장교라고 하는 자긍심이 있었습니다. 제가 볼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취업의 문제일 수 있는데, 장교들은 취업을 잘했습니다.
일단 복무기간으로 보면 예전에는 장교로 가는 것이 훨씬 유리했습니다. 복무기간이 병사보다 짧았고요. 제가 볼 때는 이 모든 상황이 다 역전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복무 기간은 오히려 장교로 가게 되면 길어졌고요.
병사들도 내무생활하고 군생활 하는 데에 크게 어려움 없이 많이 좋아졌습니다. 핸드폰도 쓸 수 있는 상황이 됐고요. 급여의 차이는 많이 없어졌고요.
실제로 요즘 군인 월급은 소위, 중위의 경우 개인차가 있지만 약 200만원 안팎입니다. 병사 월급은 현재 병장이 약 100만원인데, 2025년까지 150만원으로 오를 예정이어서 차이가 줄어들게 됩니다.
#시사기획창 #군초급간부 #처우개선 #복무여건 #부사관 #학군단 #철원3사단 #백골부대 #해군2함대 #공군교육사령부 #국방부 #현업공무원 #해군 #공군 #육군부사관학교 #캡틴김상호 #앗싸참수리 #소위 #하사 #GOP
방송일시 : 2023년 6월 6일(화) 밤 10시 KBS 1TV / 유튜브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bit.ly/39AXCbF
유튜브 / @kbssisa
페이스북 / changkbs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

Пікірлер: 113

  • @user-nz7th6ks7c
    @user-nz7th6ks7c10 ай бұрын

    05년도 백골 전역자 입니다 후배님들 힘내세요

  • @7946134569
    @794613456911 ай бұрын

    장군들: 알빠노? 난 조용히 있다가 전역하고 연금 타면 그만

  • @mylee7680
    @mylee768011 ай бұрын

    자랑스런 우리 자식 들

  • @user-wr6uy4zp6c
    @user-wr6uy4zp6c4 ай бұрын

    3소초네요 저기서 근무했던 추억이 새록새록 합니다 영상만 봐도 전방의 분위기와 냄새까지 기억납니다 후배님들 나라를 위해 희생하고 고생해주셔서 고맙습니다 몸 건강히 전역하길 응원할게요 다시한번 감사하고 좋은 추억 떠오르게 해주신 프로그램에게도 감사의말을 전합니다

  • @user-jl8gf7nw3j
    @user-jl8gf7nw3j11 ай бұрын

    저렇게 국가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는 군인에 대하여는 남자든 여자든 국공기업및 공무원시험에 많은 가산점을 줘서 사기를 진작 시켜야 한다. 과거에 군에대 필하지 않은 대통령으로 인하여 피해를 보는 모든 군인에 대하여 이제부터라도 가산점 제도를 부활시켜야 된다.

  • @user-zo3vx8fx2f

    @user-zo3vx8fx2f

    3 ай бұрын

    가산점주고 우선채용해야함

  • @user-sr4et7rn1k
    @user-sr4et7rn1k11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지오피 근무피로도 빡세서 눈풀려있는거 국룰

  • @AB-tx3wj

    @AB-tx3wj

    10 ай бұрын

    여름보다 겨울은 진짜 씹.... 아침에 안개끼면..

  • @user-fn4gt5fs1v
    @user-fn4gt5fs1v8 ай бұрын

    3소초다. 그대로네 촬영한다고 길 돌아갔구나 고생했네

  • @antoniojo6559
    @antoniojo65598 ай бұрын

    11년도 본부대 전역자입니다 후배님들 힘내세요

  • @user-uy7dz2pm4b
    @user-uy7dz2pm4b11 ай бұрын

    국방부도 그렇고 언론도 아직 문제의 포인트를 제대로 못 잡고 있네... 솔직히 국방부의 실책은, 인구 절벽 왔는데 아직도 장교를 사관학교 출신 빼고는 2-3년 싸게 써먹다 버리는 1회용 땔감 취급하고 있다는 것에 이런 사태가 발생한 것인데.... 과거에는 사람이 남아돌고, 복무기간은 좀 길어도 병에 비해 계급/급여가 보장되는 장교로 "단기복무"를 통해서 병역을 해결하고, 그에 따라 국방부에서도 사관학교 출신들 빼고는 단기로 돌린다라는게 가능했지... 그런데 지금은 병보다 급여도 복무기간도 크게 메리트가 없는데 여전히 1회용 땜빵으로 사관학교 출신들 바닥이나 깔아주는 깔판 역할하라고 하면 누가 단기장교로 입대하겠냐... 이런 와중에 해결책이라고 나오는게 "단기복무 장려금"을 뿌린단다... 세상 어느 군대가 단기만 하고 나가라고 장려금을 준단 말인가?? 사관학교 기득권은 절대 놓을 수 없다는 발악을 놓지 않는 이상, 단기장교들 부족 사태는 절대 해결할 수 없다. 그냥 장교는 출신 상관없이 "직업"으로서 선택할 수 있는 특수직 공무원이 되어야 한다. 의무복무기간이야 양성과정에 따라 3~7년 으로 달라질순 있겠지만 일단 임관하면 정년은 몰라도 계급 정년은 보장해줘야지... 즉 장기복무 심사 없애고, 계급정년까지는 보장해주고 대신 상위계급 진급 못하면 방출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단, 이렇게 되면 비사 출신들도 선발을 까다롭게 해서 장교 자격이 안되는 사람들은 임관을 시키지 말아야 한다. 지금은 단기장교 채우기에 급급해서 점점 비사출신 장교 입대 수준이 떨어지는데 이건 장기적으로 사관학교 출신들 입결에도 분명 영향을 줄수 밖에 없다. 뭐 지금 이미 사관학교도 흔들흔들 거리고 있고.. 어차피 병역자원 감소로 군축은 불가피 한데, 장교단 숫자을 합리적으로 줄이고, 장교는 출신 상관없이 군 간부인 직업군인으로 정착 및 수준 상향, 그리고 어지간한 소대장급 지휘 보직에 중상사급 부사관 보직으로 위관 장교들의 인력쏠림이나 업무 부하를 방지하는 것도 한 방편이라고 본다. 도대체 언제까지 장교도 출신별로 차별화 하고 1회용 땔감으로 생각할 건가??? 진지하게 장교를 이렇게 단기로 씹다가 다물 빠지면 버리는 취급하는 군대가 세상 천지에 존재하는지 궁금하다.

  • @hjj5370

    @hjj5370

    11 ай бұрын

    한국은 군이너무정치화되서 문제해결이쉽지않을거같네요

  • @user-zs7uh1vs6b
    @user-zs7uh1vs6b8 ай бұрын

    백골 유곡리 전역자입니다! 고생하세요!

  • @kakaukan1
    @kakaukan111 ай бұрын

    광학장비 착실히 개선되고 있군요...더 최신 장비 보급부탁합니다..

  • @user-rj5jk7vf2v
    @user-rj5jk7vf2v11 ай бұрын

    군인이 최고의 대우받아얏 합니다

  • @hammkers7
    @hammkers711 ай бұрын

    버기카 좋네요 드론이나 대전차무기 가지고 다니기도 좋아보임

  • @user-xc2kd7vp4z
    @user-xc2kd7vp4z5 ай бұрын

    필승 충성

  • @user-ij4hk1fs8v
    @user-ij4hk1fs8vАй бұрын

    백골 22여단 gop 로 제 아들이 배치 받았어요. 내일 소대로 가는데 선배님들처럼 잘 할수 있겠죠?

  • @moongchi7949
    @moongchi794911 ай бұрын

    직업 군인들 .. 연봉좀 올려줘라 .... 해택도 좀 많이 주고해라...

  • @simonhelberg1478
    @simonhelberg14788 ай бұрын

    옛날에 정연리 소초였던 곳이네ㅋㅋ 십 몇년전에 똑같은 곳에서 근무했는데.. 평생 저기 다시 볼일 없을 줄 알았는데 영상으로나마 보니까 신기하누

  • @user-hw9vv2fn9v
    @user-hw9vv2fn9v8 ай бұрын

    후임병들 보니까 든든하네요 저는 93년 입대해서 95년도에 제대했습니다 철원군 춥기로 유명하죠 3사단 수색대대 제대한게 영광스럽습니다 후임병들 때문에 후방에서 편안하게 지내고 있습니다😂

  • @user-kw2fd6di6f
    @user-kw2fd6di6f11 ай бұрын

    와 ptsd 씨게 오네ㅋㅋㅋㅋㅋㅋㅋㅋ

  • @kodex50
    @kodex5011 ай бұрын

    군대서 하는 일만큼 사회에서 하면 군대때보다 배이상 번다

  • @user-bf7cv2ip6g
    @user-bf7cv2ip6g11 ай бұрын

    6사단 gop선배로써 군생활 건강하고 부대원 후임들 잘 챙겨주고 항상 웃음이 가득하게 생활하면 제대하고나서도 많이 생각나고 그리울거다. 후임은 괴롭히는 대상이아니라 너가 걸어온길을 잘 알려주는 상대인거다, 책임감을 갖되 후임에게는 그 책임을 강요하지는 마라 , 선임으로써 당당하게 행동하면 후임은 그에 맞게 따라온다. GOP자랑스런 현역 후배들이 이 나라를 지키고 있기에 항상 당당하게 생활했으면 한다. 행여 후임을 괴롭히거나 했다면 마음을 열고 다시 생각해봐라 같은 남자로써 나라지키겠다고 군인의 신분이 된 동지다. 군생활할때 만큼은 서로 아껴주는 동반자가 되거라. 필씅!

  • @user-phydild

    @user-phydild

    11 ай бұрын

    저는 3사단 백골부대 출신이었는데 이웃동네 사단이네요

  • @AB-tx3wj

    @AB-tx3wj

    10 ай бұрын

    ​@@user-phydild필사즉생

  • @philipkim8597
    @philipkim859711 ай бұрын

    ㅎㅎㅎ 소대원이 뛰어가고 아직도 광학장비 부족 무릅 보호대도 없네 아직멀었네

  • @user-yd2fi5vx7z
    @user-yd2fi5vx7z11 ай бұрын

    멋진 우리 1소댐 ^-^ 보고싶다

  • @user-phydild

    @user-phydild

    9 ай бұрын

    현준 잘지내노 3사단 22여단 3대대 11중대 전우여~~~~~~ 농구 하고싶다 현준!!! 언제 한번만나!!

  • @user-sf1mb4zz2z
    @user-sf1mb4zz2z5 ай бұрын

    포병도 gop갈수있나요?

  • @user-bw6qx3vz8o
    @user-bw6qx3vz8o10 ай бұрын

    요즘도 팍골이라 하나요?ㅎㅎ 상승 백골 화이팅!!!~

  • @user-oy4uh7qw8b
    @user-oy4uh7qw8b5 ай бұрын

    냉장고 좀 새것으로 교체해주세요

  • @user-tc5ck2rg3w
    @user-tc5ck2rg3w11 ай бұрын

    앞으로는군에도AI로대채해야될판

  • @samki530
    @samki53011 ай бұрын

    어렸을때 군대갔을때 군대제대한지 얼마안됐을때는 소대장들이 싫었는데 지금보니 저들도 불쌍한 사람들이군요

  • @smileking28
    @smileking2811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재정형편상 50만 군대를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적은 병력, 적은 예산으로도 안보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미국을 중심으로한 동맹국들과 안보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 @user-phydild
    @user-phydild11 ай бұрын

    음? 뭐야 두번째줄 맨 오른쪽 사람 총이 K1A1인 것 같은데 총기 제식을 K2C1처럼 하네 ㅋㅋㅋㅋㅋ 다른건 몰라도 총기제식은 제대로 해야지. 백골부대 전역자로서 전해준다.

  • @onnanhal
    @onnanhal11 ай бұрын

    “여”성인권 챙기느라 분단국가 에서 군인은 뒷전인 나라

  • @user-be2ge4ce7l

    @user-be2ge4ce7l

    11 ай бұрын

    훠훠훠

  • @shinhyunmin6937
    @shinhyunmin693711 ай бұрын

    인구는 주는데 군대 규모는 안 줄었죠. 그렇다고 군인 처우는 좋지 않죠. 군복무기간은 줄었죠. 직업군인 더 늘려야 하는데 예산은 없죠. 징집 숫자가 한계인 상황이죠.

  • @knox9798
    @knox979811 ай бұрын

    유탄엔 절대 도트고 뭐고 안달아 주겠다는 의지...

  • @user-vo4eg1xo5v

    @user-vo4eg1xo5v

    11 ай бұрын

    피카티니 레일좀 달아줬으면..

  • @wjdbfbrus

    @wjdbfbrus

    11 ай бұрын

    ​@@user-vo4eg1xo5v k2c1 나오잖아여

  • @user-vo4eg1xo5v

    @user-vo4eg1xo5v

    11 ай бұрын

    @@wjdbfbrus 2c1에는 달려있는데, 201에는 레일이 안달려있는 것도 있어서..

  • @AB-tx3wj
    @AB-tx3wj10 ай бұрын

    필사즉생 골육지정

  • @Black_malrangcau
    @Black_malrangcau11 ай бұрын

    인접대대 당직사령 설때마다 하루에 2~3번꼴로 광망절곡, 절단상황 발생하는데 강풍이나 주변 동물로 인한 절곡상황인걸 대충 눈치채도 최악의 상황을 대비해서 출동하고 평가하는 전방부대보고 정말 최전방은 만만치 않아보인다는걸 항상 느낀다죠

  • @user-rj5jk7vf2v
    @user-rj5jk7vf2v11 ай бұрын

    군가산점은 어느 모지리들이 없앳냐

  • @user-do4yq9rm8f
    @user-do4yq9rm8f11 ай бұрын

    방송 촬영한다고 고생한다 ㅋㅋㅋㅋ 구호 외치고 면담하고 ㅋㅋㅋ

  • @hjj5370
    @hjj537011 ай бұрын

    성인지35조를 원래군인을위쌔쓸돈임

  • @daesunya
    @daesunya11 ай бұрын

    광망절단점검에는 드론이 먼저 출동해서 현장상황 촬영하고 해당영상 분석은 전문소프트웨어로 처리하는 식으로 바꿔야 할것 같아요.

  • @myloverher11

    @myloverher11

    11 ай бұрын

    광망절단은 거수자가 이미 침입한걸로 규정하고 움직입니다 초동조치를 드론으로 하게되면 대응이 힘들것같습니다

  • @kimwj5774

    @kimwj5774

    11 ай бұрын

    경계지역에서는 기동성이 생명인데 제발 드론만능주의로 이상한 헛소리 하지 말길 바랍니다

  • @kimwj5774

    @kimwj5774

    11 ай бұрын

    ​​​​@@user-sr4et7rn1k 정보분석조로 임무수행했었지만 현장에서 초동조치 하는 대원들은 거수자를 잡기위해서가 아닙니다 말그대로 현장보존만 잘한뒤 방첩대 또는 군단 정보사 요원들에게 인계후 그분들이 조사하는거에요 또한 덧신 등 장비착용은 꽤나 번거롭지만 무장공비 침투사례등이 많았기에 어쩔수 없을것 같다고 판단됩니다

  • @user-qi8zm8bv5z

    @user-qi8zm8bv5z

    11 ай бұрын

    @@myloverher11 각 소초마다 드론 1개 정도 운용해서 절단,절곡지점으로 띄워서 보내는것도 괜찮은것 같은데..

  • @ghkdalsrn17

    @ghkdalsrn17

    11 ай бұрын

    어휴 과학화 시대야 입대를 안해서 사람이 없어 저걸 사람이 앞으로 얼마나 더 할 수 있다고 보냐!? 책임구역이 짧으면 다행이지 못해도 20km넘어 보장이 어려운게 아니라 윗대가리가 그걸아는데 묵인해

  • @sm-gc8og
    @sm-gc8og11 ай бұрын

    나 이등병때 월급 7,600원 병장때 좀 올라서 12,000원 받았는데

  • @user-vn6ub4hs3t

    @user-vn6ub4hs3t

    11 ай бұрын

    그때 소위 월급이 18만원

  • @hsm2826
    @hsm2826Ай бұрын

    소대장 탄 없이 가넼ㅋㅋㅋㅋㅋ

  • @user-hp2vb9yv1m
    @user-hp2vb9yv1m11 ай бұрын

    병장4500원에 소위 120000 원 하던 시절은 너무햇지

  • @user-vn6ub4hs3t

    @user-vn6ub4hs3t

    11 ай бұрын

    70년대 월급

  • @user-jq1eq9he4s
    @user-jq1eq9he4s2 ай бұрын

    어딘지모르겠네 97ㄴㄷㅊ전역

  • @BigOneFishingClub
    @BigOneFishingClub11 ай бұрын

    개인이 선택을 한 것인지 희생을 자처하고 봉사하기 위해 군에 있기로 한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적어도 국가가 개인에게 희생을 요구하고 봉사 할 것을 요구하는 구조로서는 전시에 목숨 바처 싸울 군인은 많지 않을거라 생각 합니다.

  • @user-cp1md9tt6f

    @user-cp1md9tt6f

    8 ай бұрын

    96년 강릉무장공비사태때 그지역 예비군 소집했는데 소집률 50%밖에 안됬다고 하죠...지금은 훨씬 처참할듯합니다.....

  • @user-zo3vx8fx2f
    @user-zo3vx8fx2f3 ай бұрын

    부사관 초금장교 대우해주아야함 특히부사관전문직종양성하고 생할불편없개해야함 국민의아들덕분에안심하고생업에종사할수잊다고함 배골18연대1대전역한지48연 후배드아주믿음직함니다

  • @LivingUS2013
    @LivingUS201311 ай бұрын

    초급간부들부터해서 월급 올려야된다... 병사월급이 중요한게 아니다. 어차피 저출산국면이라 입대자들은 자연스레 줄어들 수 밖에 없는데 그 자리를 전문성있는 장교 부사관으로 채우려면 월급인상이 답이다.

  • @dume411
    @dume41111 ай бұрын

    출산율이 반토막났는데 처우개선해봤자 다른 영역의사람 빼앗아오는것밖에안됨, 인력없이 운용되는구조를만들어야됨, 올해태어난 아이가 30만명이안되고 남자는 15만명이안되는데 앞으로 20년뒤 초급간부는 이 15만명에서 뽑아야함.

  • @user-uy7it1kz6p
    @user-uy7it1kz6p11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깊은 빡침이 느껴진다... 왜 저기까지 기어가서 가뜩이나 힘든 군생활 더 피곤하게 만드냐...

  • @learjet3871
    @learjet38719 ай бұрын

    좁은 공간에서 받들어 총을 하네? 전쟁 경험이 없어서 군인들이 실전같은 훈련을 하지 않아서 당나귀군이 되기 싶겠네,,,

  • @user-nu6ro9jv4c
    @user-nu6ro9jv4c11 ай бұрын

    이러니 다 떠나지 ㅉㅉ 한심하다 220으로 생활이되냐?

  • @prime1777
    @prime17775 ай бұрын

    95년 백골 402기 전역자입니다..후배님들 지금 군생활은 그냥 캠핑이예요..ㅎㅎㅎ 우리때는 오성산앞 GP에서 근무했는데 전방에서 가혹행위도 많고 구타도 많았는데 나라를 지킨다는 자부심으로 근무했습니다. 요즘은 근무도 감시카메라보고 모니터링하고 있고 제대로 보지도 않더만 게임하느라고 군복무기간도 짧고 뭐 그리 힘들지 않고 휴대폰주고 게임하고 자유스러운 분위기지만 나라지키는데는 진심으로 더 이상 당나라 군대 되지 않도록 가끔 군기강 확립이 필요합니다. 정신 좀 차리자 어디 지휘관인 소대장이 먼저 튀어나가냐~소대원들이 먼저 튀어 나가야지 생각 좀 하자 그리고 비상인데 노리쇠 후퇴고정? 제정신이냐! 비상에 그런건 스킵하고 진지로 뛰어야지~에휴 잘못 배웠네 그리고 광망 절단인데 이상없다니? 끊어졌으면 확인 완료라고 해야 되는거 아닌지? 군생활을 유튜브로 배웠더냐~다시 군생활 2년6개월로 늘려야한다..군대갈 남자도 없다던데~진심 수고하고 고생해라 전방 철책 잘 좀 지키자~후배님 손에 나라의 보안이 걸려있다!

  • @user-tx8dh2hy1x

    @user-tx8dh2hy1x

    4 ай бұрын

    아저씨 그냥 발닦고 디비 자세요

  • @prime1777

    @prime1777

    4 ай бұрын

    @@user-tx8dh2hy1x 군생활은 제대로한건지~어디 후방에서 놀았나벼

  • @user-tx8dh2hy1x

    @user-tx8dh2hy1x

    4 ай бұрын

    @@prime1777 1071기 3사 22여단 수색대 출신입니다

  • @user-eg4qe9qo2l
    @user-eg4qe9qo2l11 ай бұрын

    군대가 대학교 캠프화된게 맞긴 하는구나.. 2:03초 세워 총 자세에서 받들어 총 오른손 총기 파지법부터 다 틀리고..(맨우측 인원 빼고) 구령도 이상하다.. 훈련병때 배우는 기본 훈련부터가 다 엉망이다..

  • @00sindorim

    @00sindorim

    11 ай бұрын

    그래도 체격은 상향평준화 되는 듯

  • @dume411

    @dume411

    11 ай бұрын

    당신이 가서 나라지켜주소 하나하나 따지고들면 조선시대 훈련도감 병법 따르지

  • @user-qk7en7lb9s

    @user-qk7en7lb9s

    11 ай бұрын

    아갈해 그냥

  • @user-eg4qe9qo2l

    @user-eg4qe9qo2l

    11 ай бұрын

    @@user-qk7en7lb9s 느금

  • @user-qk7en7lb9s

    @user-qk7en7lb9s

    11 ай бұрын

    니엄 ^^

  • @user-oc55nj900a
    @user-oc55nj900a11 ай бұрын

    간부들능지개후달림;;

  • @zvezdah2362
    @zvezdah236211 ай бұрын

    애들 왜케 비리비리해 보이냐… 전쟁나면 전투나 할 수 있겠냐…..

  • @bbb-zv1sd

    @bbb-zv1sd

    11 ай бұрын

    그럼 니가 재입대해라 ..

  • @user-ku3sp3gh9d
    @user-ku3sp3gh9d11 ай бұрын

    ㅋㅋㅋ 군대가 그리 좋으면 말뚝 박으세요 !! ㅋㅋㅋㅋㅋㅋ 아 난.. 방안 침대에서 편하게 영화보면서.. 폰해야지 ㅋㅋㅋㅋㅋㅋ

  • @mimimi8213

    @mimimi8213

    11 ай бұрын

    전쟁나도 그 소리 할까 궁금하네 아무리 생각이 없어도 그따구로 댓글 싸질러도 되냐? 니 미래 아들도 군대갈텐데

  • @user-yr8jq7zj2r
    @user-yr8jq7zj2r11 ай бұрын

    후배님 고생이 많으시네요. 에휴.. 소위월급 170정도인데...

  • @galaxygb1

    @galaxygb1

    11 ай бұрын

    더럽게 많이 받네요.

  • @user-yl2fx3hb2r

    @user-yl2fx3hb2r

    11 ай бұрын

    @@galaxygb1 170은 편의점 알바만 해도 받는돈인디

  • @user-pf4oe7vq4g

    @user-pf4oe7vq4g

    11 ай бұрын

    @@galaxygb1 그러면 방구석 키보드워리어 하지 말고 K-워리어 하세용

  • @user-yr8jq7zj2r

    @user-yr8jq7zj2r

    11 ай бұрын

    @@galaxygb1 ? 노숙자에요?

  • @junemoon4024

    @junemoon4024

    11 ай бұрын

    @@galaxygb1니가 하세요 그럼

  • @user-kt8dh2pw2t
    @user-kt8dh2pw2t11 ай бұрын

    부사관도 월급 올려라 창피할정도로 작다

  • @l7kee7
    @l7kee78 ай бұрын

    어?ㅋㅋ 5중대 섹터나왔네 ㅋㅋ

  • @simonhelberg1478

    @simonhelberg1478

    8 ай бұрын

    시발 역시 맞구나 11년도 군번인데 오랜만에 생각나서 검색해보니까 존나 눈에 익은 섹터 나와서 소름 돋음 ㅋㅋㅋ 영상 첨에 44초 인거같은데 옆에 뭔 족구장 같은것도 생기고 많이 바뀌었네 소초 이름도 바뀌고 원래 정연리 소초였는데

  • @l7kee7

    @l7kee7

    8 ай бұрын

    @@simonhelberg1478 서방산 신막사 완공후 처음 사용했믄데 ㅋㅋ 맨날 군단아저씨들 짬밥들고 주간근무투입하고 ㅋㅋ 06군번 ㅋ

  • @simonhelberg1478

    @simonhelberg1478

    8 ай бұрын

    @@l7kee7 아득히 먼 선배님이시네 ㅋㅋ 아 신막사가 06년도에 완공 됐었군요 본인 근무할때만 해도 시설들이 영상처럼 꼬질꼬질하지않고 다 깨끗해가지고 신막사 생긴지 얼마 안된줄 ㅋㅋ 은하, 서방산, 정연리 그리고 6중대 독수리 소초까지 다 산악섹터라서 눈 오면 후방도로에 부식차 못올라오니까 밤 새도록 후반야 근무 끝내고도 아침에 잠도 못자고 비탈진 후방도로에 갑바천 깔고 치우던때가 지옥이었죠ㅋㅋ

  • @chrisbrown99999
    @chrisbrown9999911 ай бұрын

    젊은 사람들이 돌대가리 아닌이상 부사관 장교를 지원할 이유가 왜 있냐고 ㅋㅋ

  • @uyouoyo
    @uyouoyo11 ай бұрын

    어우 ㅅㅂ 냉장고 봐라 어우 진자 욕이 아주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