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는 어떻게 축적되는가 | 10분 만에 자본주의 이해하기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권 중 경제 챕터를 소개합니다!
본 영상은 출판사 웨일북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책은 카페 점주를 예시로 들어 세 가지 자본주의를 참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는데요.
생산수단과, 자본력의 힘, 정부의 개입 효과까지
우리가 알아야 할 자본주의 속성을 쉽게 전하고 있어
소개해보았습니다.
초기 자본주의, 후기 자본주의, 신자유주의.
경제 체제는 성장과 분배의 문제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보수와 진보라는 정치 싸움으로 이어집니다.
이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근현대의 역사와 지금의 정치 구조,
나아가 윤리적 딜레마까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책그림 | 자본주의, 신자유주의, 후기 자본주의

Пікірлер: 2 400

  • @drawthebook
    @drawthebook4 жыл бұрын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권 중 경제 챕터를 소개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책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coupa.ng/bB5CGK

  • @user-qv1ir3jt3k

    @user-qv1ir3jt3k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자본투자자는 아무일도하지않는다라.. 누구보다 정신적으로 두렵고 잠못자는 사람이 투자자일텐데요 아무일을 안한다니 ㅋㅋ

  • @gws1171

    @gws1171

    3 жыл бұрын

    @@TV-vh9yr 그건 말 그대로 특이사항이고 일반적일땐 늘 돈을 버는구조죠. 예외적인 사항을 우선시 할수는 없어요. 적은 리스 적은 수익율이지만 자본의 크기가 크면 수익율이 적어도 따라오는 수익은 같이커지는건데

  • @user-lp3nr4ix6r

    @user-lp3nr4ix6r

    3 жыл бұрын

    현재는 자본주의가 아닙니다. 남한도 미국도 아닙니다. 국가조직은 개인소득에 대해 국가조직의 소유권을 40퍼센트로 할지 60퍼센트로 할지 아님 80퍼센트 아님 100퍼센트로 할지 결졍권 즉 권리를 가집니다. 그에 따라 남은거 개인이 가지는 형태입니다. 소득세율을 현재 최대 42퍼센트에서 더 올리는 권리가 국가조직은 가지며 자본주의는 애초에 국가조직이 이 권리를 가지지 못함을 의미합니다. 한마디로 내가 국가조직이라면 너의 소득을 42퍼센트로 할지 60퍼센트 할지 결정권을 가지고 있다말입니다 네 호주머니에서 얼마나 빼갈지 내 맘이다 이겁니다. 자본주의아닌데 자본주의의 단점을 말하는 자체가 세뇌교육이라는 점을 아셔야 합니다. 경제학자 이놈들도 거짓말을 하고 있습니다. 이놈들도 정부의 앞잡이입니다. 아나운서 정치인등 앞잡이들이 많이 있습니다.

  • @user-lp3nr4ix6r

    @user-lp3nr4ix6r

    3 жыл бұрын

    자본주의를 안다면 왜 개인이 재산을 가져야 하는가?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직업은 준비기간이 필요합니다. 초중고나 초중고대 나와야 합니다. 그리고 한달 일하는 인생을 보내야 한달 월급이나 자영업자 경우 한달매출액이 나옵니다. 한마디로 자신의 인생의 시간을 써야 합니다. 인생의 시간이 날라갑니다 한달 월급이라는 돈만들기 위해 당신의 인생이 한달 날라갑니다. 일하는 인생으로 보내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그런 일하는 인생의 시간은 한정되어 있습니다. 결국 당신의 피와 땀외에 추가로 인생의 시간이 들어가 있음을 아셔야 합니다. 아버지가 물려준 돈으로 산다면 그 돈은 아버지의 인생의 시간이 들어가 있는 돈으로 산다는 말입니다. 국가조직이 그 돈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는 자체가 거져 돈먹기이고 남의 호주머니에서 깡패짓하는 것입니다. 골목대장이 이번달 호주머니에 얼마 들어왔네 이정도 돈이면 뭐 35퍼센트 가져간다 이런말이고 돈이 조금번 사람은 14퍼센트 가져가마~~ 이말입니다.호주머니 얼마 들어왔는지 신고해 쟈샤~~ 이말입니다.왜 중국이 그토록 여러나라에게 문제를 일으키나 하면 40퍼센트 깡패들모임에 60퍼센트 깡패가 나타났다는 말입니다. 저놈은 한마디로 내가 힘세면 다 내꺼야 내가 내꺼라고 하면 다 내꺼야 이말입니다. 가진생각을 추측해보면 지금의 행태를 바로 이해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자기꺼라고 우기기 하는 이유를 말입니다. 자영업자 경우 사전에 그 자영업을 위한 준비물이나 돈은 그 자영업자가 준비한 것이고 월급받는 자의 그일을 하기 위한 사전 기술 습득을 위한 비용이나 시간을 그사람이 들였다라는 점에서 비슷한 경우라고 볼 수 있습니다.

  • @user-lp3nr4ix6r

    @user-lp3nr4ix6r

    3 жыл бұрын

    사회주의는 국가조직이 개인것을 가져갈 권리를 가졌다는 말이고 북한은 개인것을 80퍼센트 가져가고 해외노동자는 돈많이 번다고 90퍼센트 가져가고 남한은 14-42퍼센트 가져갑니다. 많이 벌 수록 많이 가져갑니다. 자본주의는 개인이 재산을 가질 권리를 가졌다는 말이고 국가조직은 개인의 재산에 대한 소유권이 없다는 말입니다. 현재는 사회주의라는 사실 북한보다 덜 가져갈 뿐이고 가져갈 권리는 국가조직이 가진 상태는 북한과 남한이 같다는 말입니다.중국은 60퍼센트 던가 그렇죠 북한이나 중국이 왜 저런식으로 행동하는가? 바로 자본주의를 알면 이해가 가능합니다. 남의 것을 가져가려는 생각 굉장히 이기적이라는 사실 말입니다.

  • @sskim7690
    @sskim76904 жыл бұрын

    자본주의에 살면서 자본주의를 모른다. 빨갱이를 욕하면서 공산주의를 모른다. 지금의 사회가 뭔지 모른다. 무지+민주주의= 개판

  • @user-xz9pn1is1d

    @user-xz9pn1is1d

    4 жыл бұрын

    그게 지금 현재

  • @dylee6052

    @dylee6052

    4 жыл бұрын

    미친 이런띵언이 존재했다니

  • @Dokgo96

    @Dokgo96

    4 жыл бұрын

    와우.... 너무공감하죠... 주변친구들과 정치얘기할려고하면 어영부영대답하지만 깔때는 너무 잘까드라고요 그래서 어떤부분이싫어하면 명확한게없드라고요.. 그래서 국민이 무지하면 가장 저질스러운 정권에 지배당한다고하죠 이게 간접적으로 누구에게나 해당하죠

  • @agroman712

    @agroman712

    4 жыл бұрын

    @@peterpark8486 웩

  • @jammingcode5896

    @jammingcode5896

    4 жыл бұрын

    채사장이 자본주의 발달과정을 잘 모르는듯... 아니면 너무 좌파 시각으로 편협적으로 받아 들이고 있던가 초기 시장주의 붐 이후 경제 불황때문에 다시 정부 개입의 목소리가 커졌을 때 초기 시장주의 비판이 복지와 독과점에 관한 것들이였음 그리고 시장주의의 경쟁을 통해서 사회에 질과 합리적 가격을 찾아 간다는데 있는데 예시에선 바리스타의 실력과 커피의 맛 등은 고정 시켜버리고 대체 무슨 경제를 말한다는건지 모르겠음 현대 사회는 당연히 자유시장 경제를 택하고 사유재산을 보호해 줘야 하며 또 당연하게도 동시에 정부가 시장에 개입 할 수 있어야 함 문제는 개입 정도인데 이건 어느 정도 해야 한다 혹는 어떤 것은 어떻게 한다는 것은 국 내외 상황과 시기에 필요 정도가 매우 가변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확정적으로 논의하여 정할 수 없음. 그럼 궁극적으로는 시장과 정부가 타락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함. 서로 타락하지 않고 깨끗한 신뢰 관계를 유지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상호 이해로 좋은 정책을 내고 꼼수 없는 집행이 가능해 지는 것임

  • @user-jx6mg6wk5g
    @user-jx6mg6wk5g Жыл бұрын

    서울대 카이스트 나오면 그냥 자본가 입장에서는 성능좋은 기계인거임. 자본가가 소유한 공장에 성능좋은 기계로 쓰이는거지ㅡ 성능좋은 기계가 많은 회사는 더더욱 수익이 많이 발생하고 자본가는 결국 더 부유해지는...

  • @dolchoi7093
    @dolchoi70933 жыл бұрын

    똑똑한 사람은 주식을 소유하면서 노동자인 동시에 자본가가 될 수 있죠

  • @user-bg4pg1un9q

    @user-bg4pg1un9q

    19 күн бұрын

    어디서 이런 말 같지도 않은 소릴 듣고온거죠?ㅋㅋㅋㅋㅋㅋㅋㅋ 꼴랑 몇 십 몇 백주 주식 보유하는게 자본가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졸라 웃기네

  • @user-vz2xo6tq1o

    @user-vz2xo6tq1o

    14 күн бұрын

    ​@@user-bg4pg1un9qㅋㅋㅋㅋ 저도 같이 웃고갑니다 ㅋㅋㅋ

  • @user-il3eb8un2n

    @user-il3eb8un2n

    6 күн бұрын

    10억이면 가능

  • @user-wt8cg8lq8w
    @user-wt8cg8lq8w6 ай бұрын

    정말 훌륭합니다. 아주 기본적인 논쟁이지만 사람들이 아직도 인식하지 못했던 꼭 알아야할 내용입니다

  • @goeallo8950

    @goeallo8950

    17 күн бұрын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4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주식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괴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 없으시길..

  • @user-bd3sz4uv9y
    @user-bd3sz4uv9y Жыл бұрын

    깔끔한 정리 감사합니다!! 요약 능력자 이시네요👍

  • @skfdkrkwk
    @skfdkrkwk3 жыл бұрын

    자본가는 갈수록 배가 불어가는데, 노동자는 노동자끼리 먹고 살려고 싸우고 있는게 현실이네요,,

  • @user-gg9nu5oz4h

    @user-gg9nu5oz4h

    4 ай бұрын

    부자공부 ㅡㅡㅡ시장놀이 가르치기

  • @user-en8bg5zf6f
    @user-en8bg5zf6f6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공유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jb2ht8jm8t
    @user-jb2ht8jm8t5 ай бұрын

    아주 잘들었습니다 부의축적 이루워봅시다

  • @bookcafe902
    @bookcafe902 Жыл бұрын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아기자기 하면서도 깔끔한 그림체가 너무 좋네요!

  • @drawthebook

    @drawthebook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 @taisoonkim4071
    @taisoonkim4071 Жыл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 @VVIP69
    @VVIP69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정주행중입니다

  • @user-no6gc4mx7g
    @user-no6gc4mx7g8 ай бұрын

    감사히잘봤습니다! 이해가쏙쏙되네요😊

  • @user-ii9eu7wk2h
    @user-ii9eu7wk2h4 жыл бұрын

    상계동 4억8천 짜리 아파트가 6억2천이 되더니 1달쯤지나서 7억2천 해서 기막히네요......3개월동안 보았는데 부동산업자들이 허위매물로 장난질하는것을 포착했습니다 그곳 실거래는 최고가 4억8천 이구요 수수로 조금 벌려고 허위매물로 올리고 주민들 선동시키고 실제로 살사람들한테 사기치네요

  • @l1Il1llI1l1lI1l

    @l1Il1llI1l1lI1l

    4 жыл бұрын

    호가 장난질, 썁탱구리들,, ㅡ 그냥 사지마세요. 안사면 돼요.!!..

  • @user-zm4gb9ec6c

    @user-zm4gb9ec6c

    4 жыл бұрын

    광교 e편한도 15억으로 동결시켜 놨네요 알고보니 부동산 업자가 다른 아파트 주민이더라고요

  • @c02.3

    @c02.3

    4 жыл бұрын

    사는 사람들도 급등하는거 보고 자기도 한탕 하려 들어가는거니 거품은 계속 커지죠 ㅋㅋ 폭탄돌리기잼

  • @JCONFIG

    @JCONFIG

    4 жыл бұрын

    블루스카이 담함행위 재재법 신설되서 그런인간들 싸그리 벌금징역 받을겁니다 비양심적인인간들 때문에 다수가욕먹네요

  • @user-lh8op2zi3u

    @user-lh8op2zi3u

    4 жыл бұрын

    부동산 허위매물은 오히려 청약유인이라고 해서 가격을 낮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가격이 올라갔다? 그건 지역주민의 담합입니다

  • @user-fg9ii5bo6f
    @user-fg9ii5bo6f4 жыл бұрын

    자본주의를 이해하기 쉽게 카페운영으로 설명한 부분이 좋았네

  • @kkangidang

    @kkangidang

    4 жыл бұрын

    자본주의에서 누구나 다하는 커피숍을 자기만의 특별함 없이 똑같이 가격만 맞춰서 판매하는 것자체가 실패의 지름길임, 모든 장사는 남들과 똑같이 할려고 하면 무조건 망함. 이건 대통령이 욕먹는 이유가 아닌데 너무 오해를 하고있는듯

  • @user-po5um2ou8y

    @user-po5um2ou8y

    4 жыл бұрын

    @@lasvim 이제 알앗음? 신자유주의 경제 체제는 어느 대통령이 당선되어도 바꿀수가 없음 아니 오히려 그걸 더 강화시키거나 신자유주의를 수정할려다가 부작용이 오는 두가지 경우밖이 없는거지

  • @changwoo6301

    @changwoo6301

    4 жыл бұрын

    @@user-po5um2ou8y 자본이 풍부한 미국의 수장 미국대통령은 바꿀 수 있죠. 미국대통령의 결정에 전세계가 영향을 받죠.

  • @jammingcode5896

    @jammingcode5896

    4 жыл бұрын

    채사장은 자본주의라는 말도 애초에 좌파적 언어에다가 자유시장주의의 중요 시각도 다 무시한 예시를 쓰고있음

  • @user-ff2zb1jo9w

    @user-ff2zb1jo9w

    4 жыл бұрын

    @@user-po5um2ou8y 넌 언제부터 알았는데 ㅋ

  • @whtjdgus1212
    @whtjdgus12123 жыл бұрын

    잘보구가요 감사합니다~!!

  • @user-rz3pk1lw5j
    @user-rz3pk1lw5j Жыл бұрын

    보수와 진보 까지이해하게되는 좋은 내용이네요

  • @dragonlee71
    @dragonlee71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좋은 교육이네요.^^

  • @opjang0320
    @opjang03204 жыл бұрын

    유익하다..

  • @user-lp3nr4ix6r

    @user-lp3nr4ix6r

    3 жыл бұрын

    지금이 사회주의세상인데 뭐가 유익해요? 국가조직이 네 월급에서 가져갈 권리를 가진게 사회주의이고 현재는 14-42퍼센트로 책정된 상태입니다 북한은 80퍼센트이고요 낮게 책정되어 있을뿐 네 월급을 국가조직의 가질 권리는 그대로입니다.35퍼센트로 할지 50? 80? 100퍼센트로 할지 권리는 여전히 국가조직이 가진상태라는 사실 잊지 마세요!!그 권리를 개인이 가진상태가 자본주의고 국가조직이 그 개인의 돈을 가질 권리가 없는 상태가 자본주의입니다.

  • @user-ck7pu5iv1u

    @user-ck7pu5iv1u

    2 жыл бұрын

    @@user-lp3nr4ix6r 혼자서 ㅈㄴ 진지하넼ㅋㅋㅋㅋㅋ

  • @user-tv6bm6ju1b
    @user-tv6bm6ju1b Жыл бұрын

    멋진 영상입니다.

  • @ghtyrdfvvgi
    @ghtyrdfvvgi Жыл бұрын

    아주 유익한 염상이네요.

  • @Ithinkmore
    @Ithinkmore4 жыл бұрын

    근로소득 보단 자본소득이 더 높다. 그리고 생산자가 되어라 .

  • @lightenchant7323

    @lightenchant7323

    4 жыл бұрын

    띵언이네...

  • @user-vf7sl4hb3i

    @user-vf7sl4hb3i

    4 жыл бұрын

    토마 피케티가 말한 말

  • @Ithinkmore

    @Ithinkmore

    4 жыл бұрын

    @@shorts_video634 ㅡ 일터를 찾지말고 꿈터를 찾아라 . 네꿈의 크기가 결국 네삶의 크기 이다. 꿈을 꾸는 자가 결국 꿈을 이룬다.

  • @mkseo568

    @mkseo568

    4 жыл бұрын

    그렇게 세계에서 자영업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가 되고..

  • @drake90663

    @drake90663

    4 жыл бұрын

    이런 토마 피케티를 조선에서는 빨갱이라고 치부함 ㅉㅉ

  • @haru_lotto
    @haru_lotto Жыл бұрын

    우와 대단한 영상입니다.

  • @user-gg9nu5oz4h

    @user-gg9nu5oz4h

    4 ай бұрын

    자자 잠자자? 아니........몰라도된다

  • @user-ud9gh5ht6e
    @user-ud9gh5ht6e Жыл бұрын

    잭을 읽어도 이렇게까지 이해하고 정리하진 못했을듯~ 머리에 쏙쏙 잘들어오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함니다

  • @user-pj2sd1pg6n
    @user-pj2sd1pg6n4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raedf7197
    @raedf71974 жыл бұрын

    최근 본 영상중에 젤 유익함ㅇㅇ

  • @user-xn8jn8fk9l

    @user-xn8jn8fk9l

    4 жыл бұрын

    동감합니다

  • @yoori1119

    @yoori1119

    2 жыл бұрын

    저두

  • @yoori1119

    @yoori1119

    2 жыл бұрын

    쓰잘대기없는 연애인들 일상보는것보다 유익하네요

  • @ytbdheevara8863

    @ytbdheevara8863

    2 жыл бұрын

    인정

  • @user-gb4kn8br2p

    @user-gb4kn8br2p

    Жыл бұрын

    @@yoori1119 이런거 볼 시간에 국어 공부나 처 해라ㅋ

  • @user-fm9up4hh8x
    @user-fm9up4hh8x Жыл бұрын

    이런걸 초등학교 교육과정부터 넣어야 한다 어릴때부터 경제교육을 받아야한다 채사장 책중 제일 읽기쉽고 이해하기 쉬운책이다

  • @CheeseK9

    @CheeseK9

    Жыл бұрын

    중등교육과정에서 배우는데 굳이요?

  • @user-jm5lh1us3z

    @user-jm5lh1us3z

    Жыл бұрын

    배울 수록 기존 체제에 대한 의문과 혐오만 느끼는데 왜 집어넣겠냐

  • @null9636

    @null9636

    Жыл бұрын

    뭐하러 경제교육 받아 경제교육은 조부모 부모가 부자인 사람들이 자식한테 해주는거지 시드머니도 없고 벌 능력도 없는 사람들에겐 자본주의 시스템은 지옥인데 차라리 모르고 사는게 나음

  • @hjsim5501

    @hjsim5501

    7 ай бұрын

    ​@@null9636 알고 또 알아서 많은 지식을 갖고 노력하며 살다보면 반드시 기회가 온다. 지독하리만큼 운이 없는 사람도 반드시 기회는 온다. 부정적인 생각은 다시오지않을 흔치않고 소중한 기회를 걷어찰 뿐입니다 긍정적으로 살아요!

  • @user-uo5ep9je3d

    @user-uo5ep9je3d

    6 ай бұрын

    제발 이런 헛소리 하지마라 학교에서 다 배우는데 지가 공부 안해놀고 나라탓하노

  • @jun_smath
    @jun_smath7 ай бұрын

    이번 강의는 자본주의에 대해서, 돈에 대해서 정말 잘 만들어진 영상이네요!. 저도 막 자세히는 잘 몰랐었는데, 기본 원리랑 개념들에 대한 설명이 이해하기 쉽도록 잘 구성되어 있고 자료도 잘나와있어 유익하고 재밌게 시청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drawthebook

    @drawthebook

    7 ай бұрын

    영상이 자본주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다니 너무 기쁘네요! 쉽고, 유익한 영상으로 또 찾아올께요! 영상 잘 봐줘서 고마워요

  • @user-vl8xb9ir9n
    @user-vl8xb9ir9n4 ай бұрын

    와… 깔끔한 정리…. 이해 쏙쏙 됩니다

  • @hyeonlee
    @hyeonlee4 жыл бұрын

    여러가지 책이랑 유튜브등 생각해보기에 좋은 자료들이 많아요. 그러나 한편으로 그러한 자료가. 특히 유튜브는 한쪽 성향으로 추천을 계속 해주기 때문에. 극단적이게 될 확률이 높아요. 항상 자신이 틀릴 수도 있다는 생각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절대라는 정답은 없다는거.

  • @Bom-Gom

    @Bom-Gom

    4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AI가 이용자의 성향과 반대되는 컨텐츠 또한 손쉽게 접하도록 추천해주면 좋겠지만 그런 반대성향을 AI가 자체 판단하여 추천한다는게 절대로 쉽지 않은 것이겠지요.

  • @le8505

    @le8505

    4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은 다릅니다. 이것은 책을 그려주는 유튜브고 책은 기본적으로 논리적인 구조와 상식을 담습니다. 대한민국식 진보(197~80년대식 남미에 주로 출몰하던 공산주의자들과 거의 동일한 성향)가 비논리 비상식에 의거한 감성팔이인데다가 대책도 없거나 허술하기까지 하기 때문에 사실 상식적이고 논리적인 것이 다 보수인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 @user-ue4cm5fl2b

    @user-ue4cm5fl2b

    4 жыл бұрын

    그런 현상을 필터 버블이라고 합니다 유튜브 알고리즘은 보던 영상과 비슷한 성향의 영상을 계속 노출시키니 편향적인 정보만 보게되는것이죠.

  • @user-bc7cm2lw7f

    @user-bc7cm2lw7f

    4 жыл бұрын

    정치충들이 너무 많아서 문제입니다 가치판단엔 옳고 그름이 없는데 말이죠

  • @user-ks4ui1sh1h

    @user-ks4ui1sh1h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책 한권만 읽는 사람이 무섭다고 하는거겠쬬?ㅎㅎ 유튜브도 무서운게 알고리즘이란게 날로 정확해져서 본인이 관심가는 것만 추천해줌 나중에는. 한 우물에 갇힐수도 있다는 게 참..

  • @Noble.6
    @Noble.64 жыл бұрын

    A, C의 단점을 한가지 알려드릴게요. 기업의 제 1 목표는 비용절감입니다. 만약 기업의 노동현장에서 사고가 발생해서 노동자가 사망하게 되면 기업은 2가지 계산서를 앞에 놓게 됩니다. 1번 선택지는 막대한 돈을 들여 노동환경을 개선해서 더이상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2번 선택지는 노동환경을 개선은 하지 않고 앞으로 매번 사망자가 발생할때마다 노동자에게 사망 보상금을 지금한다. 인간적인 측면에서는 당연히 1번 선택지를 선택하는게 바람직하겠죠. 하지만 기업은 매우 합리적인 집단입니다. 기업의 선택기준은 인간애가 아니라, 합리성 그자체에 있으며 그 합리성은 어느쪽이 비용을 더 아낄수 있는가가 판단 기준이 됩니다. 그리고 실제 산업현장에서는 1번보다 2번이 비용이 더 절감됩니다. 그러므로 기업은 2번 선택지를 선택하게 됩니다. 막대한 돈을 들여서 노동환경을 개선하고 그 개선된 노동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데 들어가는 비용보다... 그냥 지금처럼 X같은 노동환경 상태로 유지하면서 사망자 발생할때마다 유가족들한테 보상금 봉투 던져주는 비용이 더 저렴하거든요. 그래서 기업들이 해마다 수많은 산업 재해가 일어나도 구체적으로 노동환경을 개선하지 않고, 그냥 돈 봉투 던져주는 식으로 떼우는 겁니다. 대표적으로 아마존같은 업체가 있습니다. 아마존 창고 노동자들이 사측에 에어컨을 달아달라고 요청했지만.. 아마존은 에어컨 설치 비용 + 앞으로의 전기세 보다... 창고 노동자가 쓰러질때마다 엠뷸런스 불러서 병원보내는 비용이 더 저렴하다는 판단을 했고, 결국 에어컨을 달아주지 않았습니다. 그게 A입니다. 참.. 합리적이죠?

  • @Noble.6

    @Noble.6

    4 жыл бұрын

    참고로 현재 아마존은 창고 노동자들의 노동현장에 에어컨을 설치해줬습니다. 위와같은 사실이 알려져서 전방위적으로 욕을 먹게 되자 뒤늦게서야 에어컨을 설치해줬죠. 근데 아마존이 단순히 사방에서 욕 먹었다고 에어컨을 설치해준게 아닙니다. 이 때에도 역시 아마존은 2가지 계산서를 앞에 놓게 됩니다. 1번 계산서는 그냥 다 생까버리고 지금처럼 유지할때 입게 될 손실.... 2번 계산서는 에어컨 설치 + 전기세 비용을 감수하고 대신 뒤늦게라도 기업이미지 개선을 했을때의 손실... 아마존은 2번이 그나마 더 적게 손실이 난다는 판단을 했고 그래서 에어컨을 놔주게 되었습니다. A나 C의 세상에서는 참 이만큼이나 합리적인 지옥이 펼쳐지는 겁니다. 인간의 목숨이나 존엄보다 비용이 더 중요한 가치가 되는 거죠.

  • @user-ho9qj2xu7f

    @user-ho9qj2xu7f

    2 жыл бұрын

    @@Noble.6 그것은 더 좋은 기업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들이 이곳에서 일하는 이유는 이곳이 그동안 일했던 곳보다 좋기 때문입니다. 이곳의 노동자들은 선택권이 있고, 더 좋은 노동환경을 선택하지 더 나쁜 노동환경을 선택하지 않습니다. 이 사회에 더 좋은 기업이 들어선다면... 이곳 노동자들은 더 좋은 기업을 선택할 것입니다. 지금의 기업이 이 곳 노동자에게 나쁜 곳이 절대 아닙니다. 이들에게는 더 좋은 기업입니다. 아직 이들에게 에어컨과 같은 것이 설치된 기업이 없었을 뿐입니다. 이들에게는 더 좋은 기업이 필요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동자의 선택이 더 좋은 기업이 나오도록 유도할 것입니다. 노동운동에는 2가지 있습니다. 하나는 투쟁, 또 하나는 선택입니다. 하지만 투쟁은 생산적이지 않고, 그 누구에게도 이익이 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임금이 오르면 그만큼 소비자물가가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선택은 소비자 물가를 떨어뜨고, 높은 임금을 줄 기업이 나오도록 유도합니다. 따라서 선택이라는 노동운동은 생산적입니다. 기업들이 더 노력하게 합니다. 투쟁은 노력이 없는 집단의 힘에 의한 또 다른 착취라고 생각합니다. .

  • @user-kf7jg3sv4r

    @user-kf7jg3sv4r

    Жыл бұрын

    폭동나서 죽어봐야 정신차리지 계속 이렇게 가봐라 일자리? 로봇이 다 할꺼고 빈부격차? 그딴것도 무너지는거다 신자유주의? 꼴깝을 떨고있네 도덕과 윤리도 없는 곳에 자유주의가 존재할것같냐? 막말로 1대100이 싸우면 1이 이길수있나? 10대 70대 20 이 될수있게 누군가 조율하고 균형을 맞춰줘야 제도가 지켜지는거다 쉽게말해서 나만 잘먹고 잘살면된다는 천박한 생각을 버려야하고 세금내라면 좌파찾고 빨갱이찾는 거지 sgg들은 천하고 멸시의 대상이되어야하는거다

  • @user-fw5ex1rl4c
    @user-fw5ex1rl4cАй бұрын

    이해하기 너무 편해용 감사합니다.

  • @musicTenThousandMusic
    @musicTenThousandMusic4 жыл бұрын

    와 이해가 쏙쏙되네요

  • @SSOO776
    @SSOO776 Жыл бұрын

    초등학교 아이들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책입니다~ 어려운 정치.경제 용어라도 쉽게 써주시고 풀어주셔서 재미있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jb2oy3gh3q
    @user-jb2oy3gh3q9 ай бұрын

    영상 진짜 이해가 잘 됩니다 사회시간에 막연히 배운것이 아무 필요도 없고 이 영상 하나라 끝

  • @user-kx8sz6sk1f
    @user-kx8sz6sk1f9 ай бұрын

    자본주의 이해에 도움이 되네요

  • @user-mf5lg4rg2m
    @user-mf5lg4rg2m4 жыл бұрын

    진짜 이해하기 쉽다.. 이게 바로 경제 쉽게 이해하기다... 와 최고다...

  • @giujeong

    @giujeong

    3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작은기업이 성공하는건 어떻게 설명하나 경제가 그렇게 쉽게 설명되면 왜 박사까지 공부하나

  • @giujeong

    @giujeong

    3 жыл бұрын

    이런식으로 자본가와 노동자를 계급으로 구분짓고 선동하는걸 막시즘이라고 한다

  • @giujeong

    @giujeong

    3 жыл бұрын

    기업가정신에 대한 설명이 빠진 시장경제 자본주의는 팥없는 빵이지

  • @user-ts9tt1ou6c

    @user-ts9tt1ou6c

    3 жыл бұрын

    @@giujeong 빵은 팥없어도 맛있는데

  • @Iminlove579

    @Iminlove579

    3 жыл бұрын

    @@giujeong 창조적 파괴가 작은 기업이 성공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지만... 문제는 자본을 통해 인수해버린다는 겁니다. 그리고 더 큰 문제는 혁신과 기업가정신을 배우는것조차 되물림된다는 겁니다. 무수한 It기업들이 생겨나고있고 그 기업들의 ceo는 유명 공대출신들입니다. 수준높은 교육을 받으려면 돈이 필요합니다.

  • @twins0507
    @twins05074 жыл бұрын

    한줄요약:돈이 돈을 번다!

  • @user-by3pc4ik9l

    @user-by3pc4ik9l

    3 жыл бұрын

    @@undergroundrockstar6851 이런 사기쑨

  • @user-cy4hp4fr5x

    @user-cy4hp4fr5x

    3 жыл бұрын

    @@undergroundrockstar6851 무료로 코인 채굴할 수 있는코인이 지금 수만종류다. 하루에도 수백개씩 사라지고 새로생겨나고 있는데 뭔 헛소리를 하고잇냐

  • @user-zg9iy5hw8n

    @user-zg9iy5hw8n

    3 жыл бұрын

    @@undergroundrockstar6851 나중에 사용할거는 비트가 아니라서 그렇지요

  • @undergroundrockstar6851

    @undergroundrockstar6851

    3 жыл бұрын

    @@kofooikoreanfood271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난 주식 단타해서 5천만원 벌었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넌 비트코인 살 돈이라도 있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gx2vz5ko2i

    @user-gx2vz5ko2i

    3 жыл бұрын

    @@undergroundrockstar6851 5천벌었다는놈이 추하게 유튜브 댓글로 홍보하고다님? ㅋㅋㅋㅋㅋ

  • @dojawiththecat
    @dojawiththecat4 жыл бұрын

    이 책 재밋엇죠..

  • @hs9553
    @hs9553 Жыл бұрын

    영상잘봤습니다.

  • @kangs1121
    @kangs11214 жыл бұрын

    자본주의에서 살아남는건 금융시장을 이해하는겁니다

  • @user-lp3nr4ix6r

    @user-lp3nr4ix6r

    3 жыл бұрын

    현재 자본주의아닙니다. 착각하고 계시네요. 국가조직이 개인소득에서 자신이 얼마 가져갈지 결정권을 가집니다. 42퍼센트 할지 50퍼센트할지 80퍼센트 할지 말입니다.북한 보다 낮게 책정되어 있을뿐입니다. 자본주의는 개인이 재산에 대한 권리를 가집니다 국가조직은 못가집니다. 세금은 개인소득에 대한 소유권으로 책정되는게 아닙니다. 이제 이해를 하시는지 모르겠네요. 당신은 세뇌교육 받고 있다는 사실을 아셔야 하겠습니다 마치 자본주의 세상에 살고 있는 걸로 오해하도록 만듭니다. 북한 보다 낮게 책정되어 있을뿐이라는 사실!

  • @user-uo5ep9je3d

    @user-uo5ep9je3d

    6 ай бұрын

    ​@@user-lp3nr4ix6r빨갱이냐? 북한가라 자본주의 맞지 살짝 섞이긴한데 이게 자본주의지

  • @user-ry6tc8xl8h
    @user-ry6tc8xl8h Жыл бұрын

    주식을 사세요. 누구나 자본가가 되는 길을 열어놓았습니다.

  • @user-rj7pe6qj7t
    @user-rj7pe6qj7t4 ай бұрын

    정말 잘 만드셨네요~~~ 대단해요!

  • @jj.kim7
    @jj.kim77 ай бұрын

    알지만 너무 흥미롭네요

  • @mojochoi
    @mojochoi4 жыл бұрын

    1. 문명의 발현 후 국가 시스템에서는 왕정과 귀족이라 하는 기득권 세력이 통제를 위해 사회적 가치를 조장했고, 나머지 국민들은 무조건적으로 따르게끔 학습을 시켰다. 이는 자본주의라는 말이 생기기도 전부터 국가 시스템이 해왔던 일이다. 숫자가 적혀있는 종이 조각이 화폐로 인식되는 과정 말이다. 2. 자본주의는 인간의 욕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고, 현대 자본주의에서는 자본이 국가를 뛰어넘었다. 자본가는 자본으로 국가 시스템의 기준과 규칙을 바꿀 수 있게 되었고, 돈으로 돈을 만드는 구조에서 심리라 하는 인간적인 특성까지 파고든 마케팅은 사람들로 하여금 가치에 빠져들도록 하여 현혹하고 사람을 실제로 노예로 만들었다. 이것 또한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 자본주의의 특징이며, 절대로 간과하고 살면 안된다. 특히 당신이 돈 때문에 괴롭다면 더욱더 그렇다. 3. 당신은 스스로 '왜 돈을 벌어야 하는지', '왜 끊임없이 소비하게 되는 것인지', '왜 돈에 집착을 하고 있는 것인지'에 대해 객관적으로 생각해본 적이 있는가. 갓 태어난 아기들을 보면 알겠지만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돈을 벌기 위해, 돈을 쓰기 위해, 탐닉하기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니다. 아기들에게 돈은 숫자와 종이에 불과하다. 당신은 교육되었다. 당신을 둘러싼 모든 주변 환경 (국가, 가정, 사회 등) 이 당신에게 학습되었고, 당신의 사고 방식을 형성하고 있다. '이미 이런 사회에서 태어났으니까?' '남들 다 그렇게 사니까?' '돈이 없으면 먹고 살 수가 없으니까?' '행복하기 위해?' 라는 말을 믿고 있다면, 당신은 아직 순수하다. 4. 물질을 차고 넘치게 갖고 있어도, 행복하지 않다는 것의 증거는 아주 가까이에 있다. 당신이 살고 있는 주변을 보거나 뉴스의 사회면을 보면 된다. 자본주의에서 자본가와 기득권이 부를 통해 행복함을 얻었더라면 사회는 합리적이고, 평화로웠을것이다. 그들이 나서서 저지르는 불합리와 부조리를 보라. 그들은 행복하지 않다. 그들은 자신의 자본을 통해 움직여지는 세상에서 자아를 찾았으며, 자아와 물질이 동기화되어 오히려 그 자본을 지키기 위한 노력으로 인생의 대부분의 시간을 쏟는 중이다. 5. 인간은 언제나 욕구. 그 이상의 행복감을 꿈꾸며 살아왔다. 이는 천국을 꿈꾸게 했고, 술을 만들어냈고, 포르노를 만들어냈고, 돈이 행복을 줄 것이라는 믿음을 만들어냈다. 하지만 물질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편리함이며, 이 또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뿐이다. 욕구 충족은 쾌락이라는 아주 짧은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행동 중 하나이며, 인간의 특성상 욕구는 한가지로 끝나지 않고 무엇이던 질리게 마련이다. 사회는 시스템을 돌아가게 하기 위해 경제 활동이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며 욕구를 채우라 한다. 사람들의 자살과 생태계 파괴는 이런 지점에서 당연했다. 6. 인류는 약 200만년 동안 물질 없이 생존해 왔으며, 문명은 발현 된지 채 1만년도 되지 않았다. 인간의 터전과 환경은 바뀌었지만, 우리가 인간이라는 점에서는 예나 지금이나 같다. 200만년 동안의 생존 사투가 엄청난 스트레스 였다고 문명의 시초들은 말하겠지만 생존의 위협에서 벗어나 편의를 얻은 인류가 죽음을 극복한 것도 아닌데다, 생존을 뛰어넘은 인간은 오히려 물질과 사회에 갖혀 스스로를 죽이고 있다. 현대의 기술과 발전이라면 모두 함께 상생하는 방법도 모색할 수 있겠지만, 물질을 차지하는 일에 행복이 있을 것이라는 상상과 환상이 우리를 상생하지 못하게 만든다. 나는 당신에게 돈을 벌면 행복할 수 있다는 사회의 얘기보다 자신의 행복은 무엇인지 생각을 해보기를 추천한다. 이를 생각해보지도 않고 그저 사회의 기준에 당신을 맞추는 것이 당신에게 행복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생각은 당신의 남은 여생도 물질에 허덕이게 만들 것이며, 힘들게 번 돈도 허비하게 만들 것이다. 내 경우에 행복은 모두가 꿈꾸는 먼 미래의 성공보다 아주 가까운 지금에 있었다. 부디 모두 돈 때문에 삶이 고통스럽지는 않길 바랍니다.

  • @wallpaper_is_20cm

    @wallpaper_is_20cm

    4 жыл бұрын

    mojochoi 와 작가님이신가요? 짧은글이지만 감명받고갑니다

  • @user-pp3fu4fi1q

    @user-pp3fu4fi1q

    4 жыл бұрын

    필력이 장난 아니시네요... 감명 받고 갑니다.

  • @user-pk2en3km5x

    @user-pk2en3km5x

    4 жыл бұрын

    와.. 감탄..

  • @-a-b-c-d-

    @-a-b-c-d-

    4 жыл бұрын

    와... 감사합니다

  • @coblo3186

    @coblo3186

    4 жыл бұрын

    @mojochoi 님 돈 때문에 마음이 고통스러운 이유가 자본주의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한 것이라는 뉘앙스로 말씀하셨는데, 보다 더 근본적인 원인은 자본주의가 아닌 각자의 마음가짐에 있는 것이죠. 자본주의에 반대하는 이념들 속에서는 과연 물질 때문에 고통받을 일이 없을까요? 행여나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 이념을 건강하게 구현시킬 수 없다는 것은 여태까지 세계의 역사를 봤을 때 이미 증명된 사실이죠. 그렇기 때문에 해당 영상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최선의 경제체제는 자본주의가 맞습니다. 자본주의가 돈으로 인한 고통 또는 인간의 욕망으로 인한 고통의 근원은 절대 아니죠.

  • @user-uy4yc3zk3f
    @user-uy4yc3zk3f2 жыл бұрын

    책그림님의 그림을 보고있으면 항상 머릿속에 잘 들어오게 잘 정리해주셔서 부러워지더라구요...! 저희 콘텐츠도 책그림님의 그림처럼 잘 정리하는 역량을 길러서 좋은 내용을 세상에 널리 알려야겠습니다. 무한한 영감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 @woonyoungjung335

    @woonyoungjung335

    Жыл бұрын

    ㅔㅔㅠ1ㅏㅜㅡㅠㅡㅡㅠㅜㅒㅠㅡㅜㅜ3ㆍ13ㅡ2ㅡ121ㅣㅣ3ㅕ1ᆢ2ㅐ1ㅣㅣ1ㅣ11ㅣㅣㅣㅏ

  • @user-kf7jg3sv4r

    @user-kf7jg3sv4r

    Жыл бұрын

    폭동나서 죽어봐야 정신차리지 계속 이렇게 가봐라 일자리? 로봇이 다 할꺼고 빈부격차? 그딴것도 무너지는거다 신자유주의? 꼴깝을 떨고있네 도덕과 윤리도 없는 곳에 자유주의가 존재할것같냐? 막말로 1대100이 싸우면 1이 이길수있나? 10대 70대 20 이 될수있게 누군가 조율하고 균형을 맞춰줘야 제도가 지켜지는거다 쉽게말해서 나만 잘먹고 잘살면된다는 천박한 생각을 버려야하고 세금내라면 좌파찾고 빨갱이찾는 거지 sgg들은 천하고 멸시의 대상이되어야하는거다

  • @user-rp7vc9lj7g

    @user-rp7vc9lj7g

    Жыл бұрын

    @@woonyoungjung335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 @user-bs4od3ml8w
    @user-bs4od3ml8w23 күн бұрын

    추카드려요~~~~~~

  • @seanpark3082
    @seanpark30822 жыл бұрын

    최고

  • @user-jz5ym7fv9m
    @user-jz5ym7fv9m3 жыл бұрын

    여기서 더 나아가 보수와 진보의 차이를 말하자면 보수는 전통적인 것을 그대로 유지하며 시장에 개입을 최소화하고 진보는 사회적 개혁, 즉 정부가 시장에 적극 개입한다는 특성이 있죠

  • @Mahalik_L
    @Mahalik_L4 жыл бұрын

    건물주는 임대료 지출이 없지만 그 공간을 대여해서 임대수익을 낼 수 있으므로 임대수익만큼 투자한 개념이 되는거죠. 반쪽짜리 지식.

  • @user-iv5sx8sz7t

    @user-iv5sx8sz7t

    4 жыл бұрын

    고작 건물 주인이 부자 라고?? 생각 하심? 서민들중 부자 일뿐

  • @user-wj5md4qw4t

    @user-wj5md4qw4t

    3 жыл бұрын

    이해기 쉽게끔 예시를 생각하다 오류를 범했네요

  • @user-cc3kt1vk6r
    @user-cc3kt1vk6r3 жыл бұрын

    굳굳굳입니당

  • @tuantruong6717
    @tuantruong6717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는 외국인 입니다 영상은 정말 유익합니다

  • @wavewook
    @wavewook4 жыл бұрын

    예전에는 뭔가에 꽂히면 미친듯이 빠져들었었는데 요즘은 의욕이 생기지를 않습니다. 이게 어떻게 부를 축적할 것인지를 고민 하는 것 보다 더 심각한 문제 같네요ㅜㅜ 책을 읽으면 다시 의욕이 생길까요? 절실함이 필요한데.... 무뎌지고 익숙해져서 자극이 되지를 않네요.

  • @user-fk3fy9no6b

    @user-fk3fy9no6b

    4 жыл бұрын

    wave wook 과거 웰빙 헬조선 소확행 욜로 같이 대부분이 느껴가는 감정의 흐름인가 봄니다.. 저도 의욕이 없다보니, 이런사람이 요즘은 한둘이 아닌가 봐요. ㅠ

  • @user-ws3yj2cx4c

    @user-ws3yj2cx4c

    4 жыл бұрын

    저도요ㅠㅠ

  • @user-kf7jg3sv4r

    @user-kf7jg3sv4r

    Жыл бұрын

    폭동나서 죽어봐야 정신차리지 계속 이렇게 가봐라 일자리? 로봇이 다 할꺼고 빈부격차? 그딴것도 무너지는거다 신자유주의? 꼴깝을 떨고있네 도덕과 윤리도 없는 곳에 자유주의가 존재할것같냐? 막말로 1대100이 싸우면 1이 이길수있나? 10대 70대 20 이 될수있게 누군가 조율하고 균형을 맞춰줘야 제도가 지켜지는거다 쉽게말해서 나만 잘먹고 잘살면된다는 천박한 생각을 버려야하고 세금내라면 좌파찾고 빨갱이찾는 거지 sgg들은 천하고 멸시의 대상이되어야하는거다

  • @nqxitazgdx0

    @nqxitazgdx0

    3 ай бұрын

    무욕, 드디어 우리가 해탈의 경지에 접어드는 시대에 살게 된건가요ㅠ

  • @user-mu1kw3jd3u
    @user-mu1kw3jd3u4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는데?

  • @__-yd6ng
    @__-yd6ng3 жыл бұрын

    제가 잘 이해한건지 모르겠는데 결론적으로 결국 A는 건물이라는 자본을 이미 소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자본을 B나 C보다 더 늘려가며 독점할 수 있던건가요?(돈(자본)이 돈을 번건가요?)

  • @user-to2kg3iw3y
    @user-to2kg3iw3y3 жыл бұрын

    잘만들었네요

  • @jialee2699
    @jialee2699 Жыл бұрын

    정말 쉽게 그림으로 잘 설명해주셔서 너무 좋네요. 목소리도 너무 좋구요!!! 강추

  • @user-gm8ic5ho1m
    @user-gm8ic5ho1m4 жыл бұрын

    와 브리핑끝내준다

  • @user-hk6rp4rs5r
    @user-hk6rp4rs5r4 жыл бұрын

    책,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에서 나오는 얘기네요.

  • @ChhotuKumar-cs4vb

    @ChhotuKumar-cs4vb

    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요즘 중고사업이 돈이 된다는 말을 듣고 저도 발빠르게 움직여봤어요. 그런데 셀앤바이에듀 강의 듣고 진짜 월 200씩 벌게되더라구요! 한번 검색해보세용!

  • @greenmint.
    @greenmint. Жыл бұрын

    와 너무쉬운 설명 정말 감사합니다

  • @user-ek3dq9gz7b
    @user-ek3dq9gz7b4 жыл бұрын

    자본가도 그동안 노력했기에 자본가가된거임 분배보단 성장이 어떻게보면 더 공평한제도임 지금 근로장려금이나 청년수당같은건 오히려 불공평한제도임

  • @bumsoo1000

    @bumsoo1000

    4 жыл бұрын

    ??과연 우니라라 기업중에 노력으로 그자리 간 기업이 있나? 정부가 개입해서 존나 키워준기업들이지 형이 왜 총맞고 뒤진지 모르지? 그렇게 자란 기업들이 이제 형이 필요 없어진거니 치워진거야

  • @gohaenam
    @gohaenam4 жыл бұрын

    나래이션은 직접 하시는거아니죠? 목소리도 너무좋은데 기획도, 영상도 너무좋아요. 이해가 쏙쏙됩니다!!^^

  • @samj6213
    @samj62134 жыл бұрын

    감사.페북공유.

  • @user-hr5nh1yw4f
    @user-hr5nh1yw4f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nzjinkim
    @nzjinkim4 жыл бұрын

    역시 건물주!

  • @user-fu6dg3pi7p
    @user-fu6dg3pi7p7 ай бұрын

    와.. 거시경제학과 신자유주의를 너무 쉽게 설명해주셨네요.. 대단합니다..!

  • @drawthebook

    @drawthebook

    7 ай бұрын

    영상이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요!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kiky_witch
    @kiky_witch Жыл бұрын

    이 책 군대에서 읽었었죠. 정말 잘 만든 책이였습니다. 한번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 @raezabook
    @raezabook3 ай бұрын

    감사한가르침입니당

  • @diligently82
    @diligently822 жыл бұрын

    신자유주의 부분보니 막대한자본력과 유능한인재들이 일하는 우량기업 주주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이드네요

  • @user-ph7yz5vs3u
    @user-ph7yz5vs3u2 жыл бұрын

    자본주의의 가장 기본은 주식인데....한국은 주식을 도박으로 생각함......절대 부를 축적못한다....

  • @GrowthMinded04

    @GrowthMinded04

    2 жыл бұрын

    인정 ㅋㅋ

  • @Anjuuydhjjiskjhyys
    @Anjuuydhjjiskjhyys4 жыл бұрын

    결국 신자본주의에서는 돈이 돈을 번다는 거네요. 예전에 누군가 했던 말이 생각나네요. 1000만원의 자산을 2000만원으로 만드는 것은 노력과 절약정신이 필요하지만, 100억이 200억되는것은 시간문제다. 같은 맥락이네요.

  • @user-oq2fc4jx8t

    @user-oq2fc4jx8t

    4 ай бұрын

    돈이 돈을 벌수도 있지만 사업이란것은 한방에 훅가기도 합니다. ㅋ

  • @mira24lee
    @mira24lee4 жыл бұрын

    일러스트 직접 작업하신 건가여 기획이 넘 좋아요

  • @user-ce6sn9eq4j
    @user-ce6sn9eq4j4 жыл бұрын

    좋아요

  • @loganlee7510
    @loganlee75103 жыл бұрын

    저걸 불합리하다고 불평불만하기보다는 저 불합리를 자기가 어떻게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사람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네요

  • @user-wj5md4qw4t

    @user-wj5md4qw4t

    3 жыл бұрын

    불평불만하기보다는 다른걸 하는게 낫다는 거에는 동의합니다. 근데 빈부격차가 문제가 되면 그걸 줄일 생각을 하는게 민주주의 사회에서 옳은 일이 아닌가요? 민중에 의한 정치인데 민중들이 고칠생각을 안하면 누가 도와줍니까? 당신이 이 신자유주의 시스템을 이용해서 '남들보다 우위에 서도록 하는 행위'를 장려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그러면 필연적으로 남들보다 뒤떨어지는 사람들이 생길텐데요. 그 사람들은 이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당해도 싸다는 생각인가요?

  • @loganlee7510

    @loganlee7510

    3 жыл бұрын

    ​@@user-wj5md4qw4t 민주주의 사회에서 빈부격차문제 해소를 풀려고 하면 정치인이 되야죠. 그리고 일반 시민들은 그런 문제의식을 갖고 있는 정치인들에게 표를 주면 됩니다. 개돼지처럼 인기투표 하거나 특정정당 묻지마 지지하는게 아니라요. 그리고 제가 생각하기에 사회는 언제나 불공평합니다. 가지고 태어난것도 다르고 능력도 다르죠. 그런 사회에서 살아남으려면 항상 경쟁하고 남보다 앞서나가기 위해 고민하고 노력해야합니다. 윤민준님은 뒤쳐지는 사람들에게 집중하지만 저는 다릅니다. 노력하고 고민하고 치열하게 경쟁한 사람이 꿀을 따먹는게 당연한고 정의로운 것 아닌가요?? 경쟁에 져서 뒤쳐지는 사람들이 당해도 싸다고 말하는게 아닙니다. 노력하고 성과를 낸 사람들이 더 잘되야 한다고 말하는겁니다. 그리고 뒤쳐지는 사람들은 다시 경쟁에 복귀할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사회와 정부가 해야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 @georgefiet5611
    @georgefiet561125 күн бұрын

    실업급여제도도 없애야 한다. 계약직들 그만두고 실업급여타서 해외놀러갈 계획만 짜고 있음

  • @user-uo3zd7jc1t
    @user-uo3zd7jc1t7 ай бұрын

    지극히 좋은 이야기 입니다 그리고 평범하고 상식적인이야기 그런데 이야기가 우리에게 얼아나도움이 됩니까? 진정성

  • @user-re7jf7oc2k
    @user-re7jf7oc2k Жыл бұрын

    쉽고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lb4ki8wx5b
    @user-lb4ki8wx5b4 жыл бұрын

    8:19 이거 진짜 무서운말임 평생동안 일하는 노동력을 제공하는 사람들은 노동력을 고용하는 사람들을 절대 이길수 없음 따라서 부의 양극화는 절대 벗어나지 못함 가난한 이들의 자식들은 높은 확률로 계속 가난함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를 이어서 자신의 계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고착화됨

  • @gregoriolee4965

    @gregoriolee4965

    4 жыл бұрын

    그걸 요즘 젊은사람들은 교육을통해 깨달았고 아이를 낳지않는상황이 되버림

  • @user-qz2ry4ol9k

    @user-qz2ry4ol9k

    3 жыл бұрын

    문제해결은 생각보다 간단하죠. 대를 안 이으면 됩니다

  • @elonmusk_follwer

    @elonmusk_follwer

    3 жыл бұрын

    그렇다고 부의 분배가 옳은건 아니니 어쩔수 없죠 .ㅠ

  • @user-hz9jv8su5m

    @user-hz9jv8su5m

    3 жыл бұрын

    포스 계층사다리가 활발한건 자본주의가 태동할시기뿐이죠

  • @nemu0202

    @nemu0202

    3 жыл бұрын

    어떤일도하지않는다? 는 진심개소리입니다 A는 그어떤노동자보다 가장큰 risk를 감수해야하는데요? 코로나로 매출이급감하면 고용한노동자월급은안줘도되나요? 사업장 월세도 손님이 없으면 안줘도되나요? 이댓글에 추천이 극단적으로많은거자체가이해가안되네요 ㅎ 과연노동자로계신분이 돈을모아서 자영업사장을 할 깜냥과 의지는있는지 물어보고싶네요

  • @user-tm5uf9ck6i
    @user-tm5uf9ck6i4 жыл бұрын

    목소리~~너무 또랑또랑 귀에 쏙쏙

  • @user-vx5my2ro8q
    @user-vx5my2ro8q9 ай бұрын

    정치가 썪었다고 말하면서 사건 사고와 스포츠 뉴스만 보는 .. 뜨끔했습니다

  • @user-uo5ep9je3d

    @user-uo5ep9je3d

    6 ай бұрын

    뜨끄하지도 마라 어짜피 2개월 지나도 관심도 없을꺼면서

  • @uuiko10
    @uuiko10 Жыл бұрын

    우리는 은행의 노예 입니다.

  • @LuaLog
    @LuaLog3 жыл бұрын

    와 영상 너무좋아요. 감동하고 갑니다.

  • @Level__up__
    @Level__up__ Жыл бұрын

    진짜 이 책 꼭 읽어보시길 추천드려요 특히 이 책 읽고 나면 내가 정치관련 투표를 해야할 때 내가 진보를 지지할지 보수를 지지할지 판단하기 쉽게 도와줍니다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쪽이 어떤 쪽인지 선택하기가 더 수월해져요

  • @user-gi5dv3el9x

    @user-gi5dv3el9x

    Жыл бұрын

    책 읽고 보수를 투표함

  • @Level__up__

    @Level__up__

    Жыл бұрын

    @@user-gi5dv3el9x 부자 상류층인가봄

  • @user-wo7hs2ye5r

    @user-wo7hs2ye5r

    Жыл бұрын

    진보가 아니라 종북좌파임

  • @user-wl4yr2qi2c

    @user-wl4yr2qi2c

    Жыл бұрын

    진보가아니라 공산주의 빨갱이입니다.

  • @User-hbkksdbjhfvn

    @User-hbkksdbjhfvn

    Жыл бұрын

    @@user-gi5dv3el9x 부자가 되고싶은걸 부자라고 생각하는 개돼지

  • @morris9624
    @morris9624 Жыл бұрын

    유익한영상입니다.감사합니다.

  • @jinlee9491
    @jinlee94912 жыл бұрын

    콘텐츠 좋네요

  • @G_seektree
    @G_seektree4 жыл бұрын

    04:10 판매하지 못한 원두를 먹으며 버티고 있는 C 를 보니 짠하네요;; 결국 A가 일을 하지 않고도 부를 축적해나갈 수 있는 것은 처음부터 자본을 가지고 있었던 덕이고, 노동자는 열심히 노력해서 다른 노동자들을 경쟁에서 이길 수 있지만, 자본가는 이길 수 없다는 게 진짜 정답인 것 같습니다.

  • @chuncheoncity-mayor

    @chuncheoncity-mayor

    4 жыл бұрын

    Lg시그니처처럼 고급화해서 가격을 올릴수도 있죠.

  • @user-pt9fz3dx4v

    @user-pt9fz3dx4v

    3 жыл бұрын

    다른걸 줄일 생각 안 하고 알바비 줄이려고만 하는 c 전혀 안 불쌍한데

  • @darkstar5756

    @darkstar5756

    2 жыл бұрын

    그렇죠 펩시가 코카콜라를 압도하는 것은 단순 콜라의 경쟁에서 벗어났기 때문이죠

  • @user-ho9qj2xu7f

    @user-ho9qj2xu7f

    2 жыл бұрын

    하나 빠뜨린 것은... 사업자도 노동자를 위해서 경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더 높은 임금, 더 좋은 근로 여건을 마련하지 않으면... 좋은 인력을 경쟁업체에게 빼앗길 것입니다. 영상에서 간과한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만... 노동자들이 더 좋은 근로여건을 선택하는 것... 이것이 진정한 노동운동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선택이 계속될 수록 노동자의 근로여건은 좋아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만...

  • @gyuminkim9392
    @gyuminkim93923 жыл бұрын

    빈부격차가 계속 벌어지면 결국 반란폭동이 일어난다. 역사적으로 반복된거지

  • @Choi_yun
    @Choi_yun7 ай бұрын

    필요할때마다 번갈아가면서 사용하면 되지 뭐 한쪽으로 치우칠 필요는 없지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이 많이 배워야겠지만

  • @MAUMGOORUM
    @MAUMGOORUM2 жыл бұрын

    되게재밌네요ㅎㅎ 학교다닐땐 신자유주의고뭐고 머리만아팠는데ㅋㅋ

  • @hongpa
    @hongpa4 жыл бұрын

    그림까지 있으니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 @iillil6355

    @iillil6355

    Жыл бұрын

    홍이파파님 혹시라도 리사이클링 사업 (중고 거래) 사업 ,투잡 관심있으실까용? 생각 있으시면 말씀해주셔용 kzread.info/dash/bejne/nqeTmtOSl5bKiNI.html

  • @youtubeisdead2180
    @youtubeisdead21804 жыл бұрын

    결국 돈있던사람은 돈벌고 돈없던사람은 하루하루 지들끼리 박터지게싸우면서 산다.

  • @user-rj9vi4ll9c

    @user-rj9vi4ll9c

    Жыл бұрын

    그렇게 생각하면 대기업 주식사면 되잖아 . 얼마나 살기좋냐. 대기업에다가 박아놓으면 알아서 돈이불려지는데

  • @user-so3fe7iz2j

    @user-so3fe7iz2j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부자아빠 가난한아빠에선 사업가로서의 성공이 힘들다면 리스크가적은 부의상승차선에 올라타라하죠 누군가 성장시키는기업의 투자를통해 부자까진 아니더라도 노후에 굶주리는 삶을 살 필요가없습니다 하지만 주식이라하면 한탕주의만 생각하는 대한민국에선 택도없는소리죠 ㅎ

  • @aprogenbiologic

    @aprogenbiologic

    11 ай бұрын

    ​@@user-en3cj7pr5k애인거야.. 아님 세상물정을 모르는거야 머야 얜 ㅋㅋㅋㅋ 너 혹시 자수성가 호소인 유튜버들 보고 막 너도 될 것 같다고 꿈꾸고 그러지??

  • @surfer_on_wave

    @surfer_on_wave

    10 ай бұрын

    부의 상승차선에 올라타라. 그러네요. 이것을 시도조차 안 하고 국가의 지원만 의존하는 사람이 대부분이겠죠.

  • @user-uu8be2fz7v

    @user-uu8be2fz7v

    10 ай бұрын

    ​@@user-rj9vi4ll9c근데 늰 왜 거지냐?

  • @user-pp9fi7ho5t
    @user-pp9fi7ho5t5 ай бұрын

    최곱니다. 감사합니다.

  • @bookchoicer
    @bookchoicer4 жыл бұрын

    근로소득으로 빵을 얻더라도 사업가마인드로 시스템도구를 잘만들어 부를 준비하고 부를 창출해야하지요~^^

  • @user-po9fz3zj8i
    @user-po9fz3zj8i3 жыл бұрын

    이 책의 기본이 되는 내용들은 이미 마르크스가 자본론과 공산당 선언에서 지적한 자본주의의 모순의 일부분과 대공항 이후의 경제학설사가 담겨져 있군요. 경제성장이란 무엇이며 과학과 철학이란 어떤 것일지, 깊이 있게 생각해 보기 위한 가장 작은 단위, 첫 걸음이 되는 기초교양 도서네요. 무관심한 대중에게 쉽고 유익하게 다가가기 위해서 이런 책을 읽는 삶도 필요합니다. 다만 현대사회에서 인구의 폭증이 우연이 아니라 자본주의의 양적 성장을 위한 경제활동력으로서의 생산과 소비를 담당하는 요소, 즉 자본주의 체제에 의해 생산하게 된 부산물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면 자본주의 윤리학의 정체성도 올바로 알게 될 것입니다. 비관적이지만 현실적으로 사회인구의 양적 증대란 이 책에서 간접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대자본가의 재산축적을 위해 태어나기를 권장되는 인구의 증식이 목적이지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인격과 지성의 함양에 국가교육기관은 관심이 없습니다 최소한의 노동자로서 필요한 간단한 생산성 유지를 위한 수준의 지식교육만을 담당하는 위치가 현 신자유주의 체제하에 공교육의 현실이죠. 김영삼 전 대통령이 97년 해외순방 이후 대학교육에서의 신자유주의를 주창했을 때 누가 오늘날 지방대 미달에 학력인구 감소를 예측할 수 있었을까요? 인구의 감소는 정치의 실패요 자본주의의 붕괴를 예언하는 것이나 다름이 없지요. 지식을 통해 세상을 바꾸려는 자들보다 지식을 통해 권력에 봉사하려는 자들이 훨씬 많기 때문에 지금의 체계가 붕괴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입니다. 한 마디로 성장을 위한, 앎을 위한 지적 추구가 특정 지식계급에 의해서 독점되고 사유화 되면서 권력에 더 복종적인 성격을 역사적, 사회관계적, 관습적으로 강화시켜 온 것입니다. 노동자 계급이 스스로 지식을 발견하고 깨닫으려는 노력이 없다면 이 사회를 변화시킬 질적인 성장도 기대하기 어렵게 될 것이고 자본주의를 그동안 양적인 성장으로 이끌어 갔던 인구의 증식도 더이상 기대할 수 없는 경제구조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겁니다. 새로운 경제공포가 다가오고 있군요.

  • @novemverrain5617
    @novemverrain56172 жыл бұрын

    소유주는 가장 많은 부의 축척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사업의 모든 리스크를 짊어지고 있습니다. 카페가 망하면 직원이 망하나요? 직원은 다시 취직하면 되겠지요. 하지만, 망한 소유주는 재기가 힘들지요. 이런 리스크를 감내하며 부를 축적하는 것입니다.

  • @user-og2gt9dp6b

    @user-og2gt9dp6b

    2 жыл бұрын

    망한 소유주도 직원의 위치부터 다시 시작하면 되는 거 아닌가요 교수님?

  • @LP_Nard

    @LP_Nard

    2 жыл бұрын

    @@user-og2gt9dp6b 빚도 다 짊어지고 파산이라는 위험도 감수해야하죠. 어떻게 따지면 일반 노동자보다도 더 위험한 길을 걷는다고 봐야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많은 위험을 지니까 많은 수익을 얻는 것이겠죠.

  • @morphous
    @morphous8 ай бұрын

    사회가 얼마나 정의롭고 공정한지도 중요하죠. 이게 없으면 혁신도 개혁도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는 멈춰버린 세상이 될거니까요.

  • @user-wq5wb7lb3h
    @user-wq5wb7lb3h3 жыл бұрын

    목소리 좋당

  • @baeduck
    @baeduck4 жыл бұрын

    최고다 이 영상

  • @user-wj9nf6mx5n
    @user-wj9nf6mx5n3 жыл бұрын

    이미 태어날때 부터 계층은 만들어져 있다.... 문제는 계층간 이동을 할수 있는지 없는지이고 이걸 풀어야할 숙제 또한 각자의 몫인듯 ..... 그냥 오늘하루 행복할렵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 @user-og2gt9dp6b

    @user-og2gt9dp6b

    2 жыл бұрын

    계층간의 이동이라는 건 대부분의 경우에 서민이 부자가 되는 것만을 의미하지만 더 넓은 의미에서 본다면 부자가 서민이 될 수도 있는 거죠 하지만 그런 논리로 따져봤을 때 과연 부자가 서민이 되는 거에 대해서 겸허히 받아들일 수 있을까요? 결국에는 밥그릇 싸움입니다 계층간의 싸움이고요 아래에서 위로 이동한 신분들도 그 자리에 올라가면 다시 내려오기는 싫을 겁니다

  • @mlmerp
    @mlmerp Жыл бұрын

    목소리 좋드아.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