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끄럼 많은 생애를 보냈습니다

Фильм және анимация

안녕하세요, 명작 콘텐츠를 리뷰하는 리뷰남입니다. 오늘의 명작 콘텐츠는 '인간 실격' 이라는 일본의 한 소설입니다. 한국의 저출산과 더불어, 떠오르고 있는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청년 고독사' 입니다. 보통의 고독사는 은퇴 후 중장년층에 집중되었던 게 일반적이였지만, 최근 청년 취업난으로 인해 청년 고독사의 비율도 늘어가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 실격' 과, 문호스트레이독스라는 애니메이션의 '다자이 오사무' 라는 캐릭터를 중심으로 청년 고독사의 원인과 사회가, 그리고 한 명의 개인이 지향해 나가야 할 삶의 방식에 대해 리뷰해보고자 합니다. 오늘도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아요와 댓글은 영상제작에 있어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타임라인
00:00 시작
01:50 오늘의 리뷰 (주제 및 콘텐츠)
03:14 스토리 소개
05:25 인간의 기준
06:45 자기 연민의 늪
08:58 당신을 향해
#책추천 #애니리뷰 #인간실격 #문호스트레이독스 #청년고독사

Пікірлер: 725

  • @user-sz6fm9cf4y
    @user-sz6fm9cf4y3 ай бұрын

    다자이도 자신과 남을 혐오했지만 사실 누군가와 관계를 맺을 때 진심으로 행복해 했죠 삶이 고통이라고 하지만 소통과 관계 속에서 작은 희망과 행복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JongSongMong

    @JongSongMong

    3 ай бұрын

    그런 사람치곤 지 애인 여럿 수장시켰는데

  • @cuty_Bakugo

    @cuty_Bakugo

    3 ай бұрын

    @@JongSongMong ?

  • @spwi8dk47

    @spwi8dk47

    3 ай бұрын

    애인이랑 동반자살시도하고 혼자 살아남 여러번

  • @user-fu5pz8rw3l

    @user-fu5pz8rw3l

    3 ай бұрын

    그렇지는 않았습니다. 본명 쓰시마 슈지는 지역에서 가장 많은 세금을 내는 가문에서 태어나 주변 사람을 보며 자신이 누리는 많은 혜택들에 늘 죄책감을 품었습니다. 그는 어릴때부터 비범한 생각을 품었고 인간실격에서 자신을 투영한 오바 요조에게도 그 마음을 담아 천재라고 묘사합니다. 다만 그것도 얼마 안 가서 모종의 이유로 천재성은 죽어버리고 맙니다. 그 부분에서 우리는 비범하고자 했던 현실의 오사무가 사실 평범한 사람이였다는 자기고백처럼 들리기도 합니다. (실제로 슈지는 무뢰파라고 불릴 정도로 자신을 학대함. 그 이유는 생애로 보다시피 자신이 너무도 평범한 광대이자 특별하고픈 인간이라고 생각해서임) 그렇지만 어떤 의미에서 다자이 오사무는 천재였습니다. 본인은 자신을 광대라고 생각했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 광대에게 웃었습니다. 어째든 오사무는 사람과 관계를 맺길 좋아하기 보단 늘 회의적으로 삶을 고뇌했습니다. 자신의 심약하고도 과민한 감수성을 인간에 대입해서는 큰 괴리와 배신감만 느낄 따름이었죠. 그럼에도 그는 사람들과 관계를 맺어 나갔습니다. 자신은 사람을 은연중에 꺼리면서도 또 은연중에는 원했기에. 다만 그는 인간실격도에도 나오듯이 인간에게 실망하고 본인이 그 인간을 나서서 벗어 던집니다. 다시 말하지만 슈지는, 오사무는 인간과 관계를 맺는 행위를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았을지도 모릅니다. 그저 가냘픈 감수성으로 인간과 어울리기 힘들었고 그는 그의 대해서 대안이 필요했습니다. 바로 "아쿠타가와 상" 이 말입니다. 그는 이것으로 자신을 인간과 거리를 두고 천재로서, 상처 받은 천재로서 사양의 귀족이 되고자 했습니다. 다만 그의 사양을 읽어 보면 알게 되듯이 귀족은 몰락합니다. 아쿠타가와 상도 쓴 소리만 듣고 떨어져 신인 작가만 도전 가능한 기회를 놓여버렸죠. 그 시점에서 오사무는 깨달은 겁니다. 자신은 어쩔 수 없이 인간들과 나부끼며 살아야 하는 운명이구나. 그는 아이러니 하게도 그래서 천재가 됬습니다.

  • @cuty_Bakugo

    @cuty_Bakugo

    3 ай бұрын

    @@user-fu5pz8rw3l 애니 말하는거 아님??

  • @user-mm8nv7vt7c
    @user-mm8nv7vt7c3 ай бұрын

    그리고 한국 사회는 이 말로 끝장내준다. "그래서 먹고 살 수 는 있고?"

  • @Kinnryuukenn07

    @Kinnryuukenn07

    3 ай бұрын

    먹고살수는 있음

  • @user-jf9eu5tk4q

    @user-jf9eu5tk4q

    3 ай бұрын

    한마디 일뿐이 긴한데 여러의미로 말이 아프네요..

  • @crazybikegang6632

    @crazybikegang6632

    3 ай бұрын

    @@KIMSEUNGWOO_08정확히는 586 운동권 세대가 만들어 놓은거임

  • @user-sn3ys8te2o

    @user-sn3ys8te2o

    3 ай бұрын

    ​@@KIMSEUNGWOO_08 우리가 만든게 아니지

  • @Cursedtop

    @Cursedtop

    3 ай бұрын

    @@KIMSEUNGWOO_08 그게 무슨 소리야 난 태어난거 뿐이라고..

  • @bytravelland
    @bytravelland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실은 오늘, 죽으려고 했습니다. 살 용기도 없고, 후에 사회에 녹아들지 못한 패배자에 가족들 짐덩어리만 되기 싫어 죽으려 했습니다. 죽으려고 할 때 알고리즘에 뜨더라고요. 덕분에 다시 살아갈 용기도 얻고 갑니다. 감사하고, 채널 번창하세요.

  • @Review_man0729

    @Review_man0729

    3 ай бұрын

    살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chk4681

    @chk4681

    3 ай бұрын

    제 얘기를 꺼내도 될까 조심스럽지만, 혹여 우리가 혼자가 아니라는 메세지를 전달 드릴 수 있었으면 하여 몇 마디 적어봅니다. 저도 얼마 전 같은 선택을 하려고 했던 적이 있습니다. 살면서 한 번도 저에게 이런 날이 올지는 상상도 못했는데, 그런 날이 오더라구요. 결론만 말씀 드린다면, 저를 붙잡아 주었던 말은 "우리 안에는 어른과 아이가 있다" 라는 말 이었습니다. 내가 자살을 선택하면, 내 안에 있는 아이를 살인하는 것이더라구요. 너무 어린 나이에 내 안의 어른에게 억압당해서 숨죽여 살다가, 결국 살려달라고 울부짖는 아이를 떠올렸습니다. 나에게 그럴 가치도 없는 타인들을 위하여 나 스스로를 살인 할 필요가 있을까? 스스로에게 물어보니, 분해서라도 그런 선택은 접기로 했습니다. 아이러니 하게도 한번 죽음의 코 앞까지 가보니, 나의 삶에서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이 중요하지 않은지 명확해 졌습니다. 얼마 되지도 않는 짧은 나의 삶, 대단하지는 않지만 그저 나를 위해서 떳떳하게 살아주는게 스스로를 사랑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며 살고 있습니다. 제가 감히 당신의 삶을 알지는 못하지만, "가족에게 짐덩이가 되기 싫어서"라는 말씀을 하신 것을 보니 적어도 타인을 착취하시는 분은 아닐것 같아서 저의 경험이 생각 났습니다. 타인에게 하지 못할 일을 스스로에게도 하면 안되니깐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be2em9gp1g

    @user-be2em9gp1g

    3 ай бұрын

    저도 계속 어떻게 가는것이 나을지 고민하고있었어요...너무 외롭네요...

  • @harubyharu

    @harubyharu

    3 ай бұрын

    죽지마세요 응원할게요

  • @user-ud2do7bf8b

    @user-ud2do7bf8b

    3 ай бұрын

    죽지마세요 당신은 소중한사람입니다

  • @SeoEunTan
    @SeoEunTan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사람들은 뭐든지 최고 또는 최선이어야 한다는 강박에 빠져 살고 있어요. 하지만 사람은 본질적으로 불완전하고 불합리하고 부족할 수밖에 없는 존재입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우리나라 사회와 문화는 자라나는 새싹들에게 그런 본질을 가르치지 않습니다. 단지 원대한 꿈을 그리고 그 꿈을 쫒고 손에 넣어야만 1등 시민이라는 세뇌를 시키고 있습니다. 결국 피라미드 꼭대기에 올라설 수 없으면 존재 자체가 부정되는 문제에 당면하게 됩니다... 그리고 생을 마감하는 선택을 하는 아이들도 생기죠. 피라미드는 꼭대기만이 아니라 중간층, 아래층, 지하에 있는 기반층이 있고 각각의 층은 모두 그만의 ‘가치’가 있음을 우리는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합니다.

  • @Hyunjincho84

    @Hyunjincho84

    3 ай бұрын

    일단 상대적으로 피라미드 구조에서 누구나 탑이 될수 없을 지언정 피라미드구조를 거부하는 개인의 의사는 무시되는 구조가 가장 몰상식한 부분이라고 생각됩니다.

  • @SeoEunTan

    @SeoEunTan

    3 ай бұрын

    @@Hyunjincho84 개혁가 또는 혁명가가 되어 변화시는 수밖에 없죠. 뜻이 맞는 사람들을 모아서요. 하지만 그게 쉽겠습니까. 화이팅입니다. 드라마 송곳(웹툰 원작)을 보면 그런 성향의 사람이 살아가기엔 우리나라 사회는 쉽지 않죠.

  • @kiky_witch

    @kiky_witch

    3 ай бұрын

    ​@@SeoEunTan???: 실패하면 반역 성공하면 혁명 아닙니까!?

  • @Isis_410

    @Isis_410

    Ай бұрын

    ​@user-as5fhkkd6 웃기게도 그런 나라라고 해도 그 나라의 국민이 아니라면 차별하죠

  • @silverseo.o

    @silverseo.o

    Ай бұрын

    @user-as5fhkkd6도망친곳에 낙원은 없습니다

  • @user-ud2fi6wi1z
    @user-ud2fi6wi1z3 ай бұрын

    학창시절 어느학교를 가던 가해자와 함께 생활했습니다. 10대 왕따를 앞두고 괴롭힘에 자살을 선택하려고 했는데 그중에 예술이 제 자신감을 찾아줬습니다. 예술을 하니까 각종 공모전에 수상도 하고 칭찬도받고 학교에서 왕따를 당해도 학원에서 자신감을 찾아 지금도 예술을 합니다. 가해자가 학원에 오기전까지는 즐거웠는데 오니까 와서도 괴롭힘에 욕좀 했다고 저만나쁜놈 취급당하고 관뒀습니다. 하지만 돈을 못번다는 이유하나로 대학생이된후 그림가끔그리지만 옛날처럼 막그리지는 못하고 그림을 4년동안 포기했습니다. 하지만 본능이있기에 그림을 다시도전해봅니다. 업계에서는 예술하는사람보고 수명이 짧다고 들었지만 좋으면어떻습니까? 즐거움만있으면 된다봅니다. 남의 뭐라하던

  • @LoveSkating-wg9gq

    @LoveSkating-wg9gq

    3 ай бұрын

    ㅇㅈ

  • @SCP00777

    @SCP00777

    2 ай бұрын

    저도 본능이랄까 좋아하는것 혹은 즐거움 딱 이야기 하고싶내요...

  • @gonggulelattattatta

    @gonggulelattattatta

    Ай бұрын

    화이팅입니다!

  • @user-bz8bx1uz2d

    @user-bz8bx1uz2d

    24 күн бұрын

    피해자가 살아남은 이유는 가해자를 이기고만다 라는 마음 가짐 때문에 살아남는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가해자보다 더 높은 곳에 서세요

  • @haren9767
    @haren97673 ай бұрын

    이전 좋아하는 소설이 인간실격이라고 말하면 거의 대부분이 찾아본 후 이상한 눈으로 보는 경우가 아주 많았었습니다. 지금 제가 느꼈던 부분을 이제 모두가 알 수 있는 사회가 기쁘면서 슬프네요.

  • @user-pq6gx3mg7i

    @user-pq6gx3mg7i

    3 ай бұрын

    좋아하는 소설이 인간실격이라면 그 사람은 보통 패션우울증에 걸린 사람이라서 그럴지도요

  • @RICOHGR

    @RICOHGR

    2 ай бұрын

    @@user-pq6gx3mg7i일반화 켜라

  • @user-ed3fi6bd8n

    @user-ed3fi6bd8n

    Ай бұрын

    @@user-pq6gx3mg7i흠

  • @user-lw8jm2wm6p
    @user-lw8jm2wm6p3 ай бұрын

    겁쟁이는 행복마저 두려워한다.

  • @Jack-ql8ff

    @Jack-ql8ff

    2 ай бұрын

    아픈 데 찌르는구먼

  • @Ssokddok_sae

    @Ssokddok_sae

    2 ай бұрын

    겁쟁이는 행복마저 두려워하는 법입니다.

  • @user-go9zb8sj3l

    @user-go9zb8sj3l

    2 ай бұрын

    행복이 생각보다 쉽게 찾아오는 게 아니라는 걸 알면 마냥 겁쟁이라고 할 수도 없음 그래서 행복한 순간이 오면 행복을 만끽하는 게 아니라 두렵고 경계하게 됨. 뭔가 폭풍전야같은 느낌이 들어서

  • @dolby8174

    @dolby8174

    Ай бұрын

    @@user-go9zb8sj3l행복이 오는 걸 인지한다면 잠깐의 안도감과 행복이 끝남과 동시에 몰려오는 먹구름을 비교해보면…행복이 행복이 아니죠…정말 폭풍전야

  • @hyewon6828
    @hyewon68283 ай бұрын

    6:59 처럼 인간 실격 에서 주위 사람들과는 다른 자신에 혐오감과 동시에 다른 사람은 본인을 이해하지 못할 것 이라며 자기 보호적 태도를 취하는 다자이 오사무가 문호스트레이독스라는 애니 에서 " 자기 연민에 빠지면 인생은 끝없는 악몽이다" 라는 대사를 치는 그런 디테일이 정말 재밌는 작품....

  • @user-tb3us4hb6t
    @user-tb3us4hb6t3 ай бұрын

    저도 제가 좋아서 작은 이유로 시작했지만 남들이 이건 별론데 왜 함 걍 이거 하셈 등 사회적 타인의 시선에 눌려서 결정권을 남한테 준 채 살아와서 공감이 되는 영상이었습니다 우리 모두 각자 자신만의 이유로 각자의 삶을 사는 서로 존중하고 자신만의 길을 개척할 수 있는 삶이 되길 진심으로 빕니다

  • @kallikanlee63
    @kallikanlee633 ай бұрын

    원래 자신을 포함한 모든 인간은 조금씩 실격점 몇 개씩은 달고 살아가는 거거든 솔직히 실격되면 어때? 계속 연습하고 노력해서 다음 번엔 완주라도 한다고 생각하면서 열심히 살아가면 그게 좋은 거 아니겠어? 우리 인생에서 레이스는 수십만, 수백만 번은 있을 테니까

  • @shinji__924
    @shinji__9243 ай бұрын

    살아가는데 너무 큰 의미를 부여해서는 안 되는 거 같음 그냥 흘러가는 대로 살면 되지..

  • @user-sg9gx5ei8s

    @user-sg9gx5ei8s

    3 ай бұрын

    ㅇㅈ

  • @user-bh9ve2tz2k

    @user-bh9ve2tz2k

    2 ай бұрын

    경쟁에서 이겨본 경험이 별로 없나보네요

  • @peace_030

    @peace_030

    2 ай бұрын

    ​@@user-bh9ve2tz2k이 영상 왜 보러온건지

  • @user-bh9ve2tz2k

    @user-bh9ve2tz2k

    2 ай бұрын

    @@peace_030 어떤 사람들이 이런 영상 보는지 궁금해서요 예상대로였지만ㅋ

  • @user-bh9ve2tz2k

    @user-bh9ve2tz2k

    2 ай бұрын

    @@peace_030 혹시 제말이 불편한가요?

  • @sogogi9595
    @sogogi95953 ай бұрын

    내딛으면 결국 내 스스로가 타협하는 방법을 알게 됨. 그럼 사람들 사는게 다 똑같구나 느낌. 굳이 나를 정의 내릴 필요도 없음. 하고자 하는 일이 나쁜 일만 아니라면 무엇이든 마음껏 해도 됨. 그저 이상만 높으면서 어느하나 시작도 못하고, 이렇고 저렇고 나열만 하다가 지레 포기하고, 그름을 선택하는 어리석음은 저 소설 주인공으로 충분함. 당신이 지금 서있는 곳은 항상 출발선이 될 수 있다는 걸 잊지 않길

  • @Raleowe

    @Raleowe

    3 ай бұрын

    정답이다

  • @hokifoki

    @hokifoki

    3 ай бұрын

    같잖게 아는 척 하지말고 모르는 분야는 걍 닫고 사세요. 왜 무식함을 자꾸 뽐내려고해 지나가는 사람까지 짜증나게 ㅉ

  • @sogogi9595

    @sogogi9595

    3 ай бұрын

    @@hokifoki 무엇이 그렇게 화나게 만들었는지는 모르지만 힘내세요

  • @If_funny_go_

    @If_funny_go_

    5 күн бұрын

    @@hokifoki질문한 순간은 멍청한 바보가 되지만 질문한 뒤는 지식인이 된다 - 인터넷의 글

  • @user-jf9eu5tk4q
    @user-jf9eu5tk4q3 ай бұрын

    저는 어른이 부러웠습니다 어른과 어른은 서로 존댓말을 하면서 스스로 일해서 자기 갖고싶은걸 사면서 가족을꾸리는.. 그런가 어른이 부러웠습니다 그래서는 중학생때부터 학업보다는 일을 하면서 어른인 '척'을 할려고 노력해죠 하지만 20살이되면서 어른에 더러운면이 보이고 어른인'척'하는 면서 내면에 성장이 멈추어서 몸은 어른인데 내면은 중학생에서 버서나지 못했습니다. 그래도 내면에 성장할수있는 사람을 만나면서 저도 조금씩 발전 중입니다 ㅎㅎ 댓글이 좀 길었는데요..리뷰남님 영상 보고 오랜만 감수성이 나와서 적어봅니다 ㅎㅎ..

  • @alxososnddux

    @alxososnddux

    3 ай бұрын

    저도 그런데 내면 성장을 어떻게 이룰 수 있을까요? 정체성이 형성되기 전에 척하는 거 먼저 하다 보니 어른이 뭔지도 정체성이 뭔지도 모르게 된 거 같아요

  • @hasasin1077

    @hasasin1077

    3 ай бұрын

    ​@@alxososnddux 계속 그 답을 찾으세요

  • @user-jf9eu5tk4q

    @user-jf9eu5tk4q

    3 ай бұрын

    ​@@alxososnddux 저같은경우는 욕심을 줄이고 도파민 치료 하는게 중요한거같더라구요

  • @user-qt6us6si6f

    @user-qt6us6si6f

    3 ай бұрын

    @@alxososnddux책을 많이 읽는 것도 참 좋은 방법입니다. 책 하나에는 어떤 한 사람의 인생이 담겨있으니

  • @shutupandrunnin

    @shutupandrunnin

    3 ай бұрын

    ​@@alxososnddux 달리기를 시작해보는건 어떨까요? 1km,, 10km,, 42.195km,,, 천천히 늘려나가보세요. 달리는 시간 동안 오롯이 본인과 본인만 대화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 @moonpe6660
    @moonpe66603 ай бұрын

    인간실격이라는 글에서 사람을 이해하기 힘들어서 대충 타인 앞에서 넉살을 떨면서 적당한 관계를 유지한다 이런 글을 봤는데 되게 저의 어린시절 생각나서 찔리는 느낌이더라고요

  • @Ogamdo
    @Ogamdo3 ай бұрын

    나라는 배의 선장이자 선원은 나 하나인데, 내가 포기해버리면 모두 끝이군요. 이제는 더 이상 도망치지 않아야겠습니다

  • @user-zv8fk8cq5j
    @user-zv8fk8cq5j3 ай бұрын

    아마 그냥 태어남 당한김에 사는 사람이 대부분일듯 부모를 잘만나야함 부모답지않은 부모 밑에서 자라면 저렇게 됨

  • @user-fv8br3co9r

    @user-fv8br3co9r

    2 ай бұрын

    노력부족

  • @DDkfmals

    @DDkfmals

    2 ай бұрын

    이 댓글과 대댓이 불지옥 "대한민국"을 정확히 표현한 하나의 예술이라 할 수 있음

  • @Imrjfjed

    @Imrjfjed

    2 ай бұрын

    ​@@user-fv8br3co9r 노력좀해라

  • @user-fv8br3co9r

    @user-fv8br3co9r

    2 ай бұрын

    @@Imrjfjed혹시 직업이?

  • @user-xu8up5zw9y

    @user-xu8up5zw9y

    Ай бұрын

    니가 처 알아서 뭐하게😂😂​@@user-fv8br3co9r

  • @HugmeYo
    @HugmeYo3 ай бұрын

    그냥 하고 싶은 대로 하면서 사셈 남 눈치를 보든 안 보든 그것도 자기 마음이고 인생에 정답은 절대로 없어

  • @user-oh8rx3ct5q
    @user-oh8rx3ct5q3 ай бұрын

    그래서 한국이 망할수밖에 없는거임. 남들과 조금의 다름도 용납치 않으며 직장생활 대부분은 견제와 뒷담화 소외.차별 속에 이들과 어울려야만 살아남고 똑같이 야만적이어야만 그들 그룹으로 받아들이니.. 그런데 이걸 사회생활 다 그래.. ㅇㅈㄹ 하면서 개스라이팅 하고 사회수준이 전혀 쓸모없고 경쟁이 이런식으로 왜곡되어 생산성은 전혀 나아지질 않음.. 한국의 경쟁문화가 기업의 원동력일까 아님 전체를 파멸시킬껏인지 이미 답이 정해졌다고 봄.

  • @valhalla2626
    @valhalla26263 ай бұрын

    현실의 자살률 저출산 등의 문제는 경제적인 요인이 크죠 평균 미만의 생존비용조차 하위노동자의 소득으론 영위하기 빠듯해서 삶이 더 나아지기란 요원하니까요 사회는 하위계층에 대한 투자를 세금낭비라 비난하고 그 하위계층의 비참한 삶이 두려워 경쟁은 더욱 심화되며 한번 삐끗이라도 하면 고문같은 삶으로 굴러떨어지느니 차라리 죽고 안낳는게 낫다 여기는거죠 요즘 평균 올려치기라는 말로 다른 문제들을 덮고 개인에게만 책임을 전가하는 사회분위기는 광기예요 그냥

  • @Sigma-Male017

    @Sigma-Male017

    3 ай бұрын

    사회적 광기에 맞서려면 개인도 광기가 있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할거면 죽는게 맞음 그게 사회적응인데 못할거면 도태되는게 맞지 나같은경우 주변에서 아무리 평균올려치기 해도 알빠노 시전하며 평균자체에 신경끄며 살아왔음 그냥 흘러가는 대로 살아왔음 그 덕분에 내가 30대 초반인데도 주변에 친구도 없고 애인도 만들어본적 없음 외롭고 우울하기도 함 근데 어쩌겠음, 생존을 위해서 전부 포기했는데 사람만나는 것도 비용이라 생각했음 흙수저 출신이라 물려받을 재산 없음 그 작은 경차도 없음 왜냐하면 유류비, 주차비, 도로이용비, 보험비, 자동차 검사비, 자동차 정비비, 유류수 교체비 등등등 차와 관련된 모든게 비용이라서 뚜벅이 생활 및 대중교통 이용하고 있음 그덕분에 과소비 하지 않음으로서 흙수저 중에선 상위 0.1% 및 일반서민층에 다다렀다 자부함 오로지 절약으로 8년간 버티며 백수생활 없이 좋소기업 한곳만 20대 중~후반 청춘을 바쳐서 만든 결실이라 생각함 추억이 없음 청춘낭비 했음 도전해본게 없음 세상물정 30초반 인데도 내가 하는 업무스킬 외 아는데 잘 없음 근데도 난 사회탓 해본적 없음 지금의 이 상황이 전부 내가 선택한 결과임을 알기에

  • @user-zt5ql3gn5c

    @user-zt5ql3gn5c

    3 ай бұрын

    솔직히 살기 어려운건 옛날이 더 어렵고 살기힘든것도 다른 나라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어려운것도 아닙니다... 진짜 문제는 희망이 없는거죠 평생 하층민은 거의 평생 하층민이니...

  • @user-hhf6t82be5j3

    @user-hhf6t82be5j3

    3 ай бұрын

    ​@@Sigma-Male017 본인이 병신이라는걸 굳이 이렇게 길게 써놨노

  • @sanahn9117

    @sanahn9117

    3 ай бұрын

    ​@@Sigma-Male017와 저랑 비슷한 인생을 살고 계시네요 ㅋㅋㅋ저도 그냥 친구 없이 흘러가는대로 사는데 ㅋㅋ 외롭기도 하지만 빚이 없어서 나름 만족하며 삽니다

  • @valhalla2626

    @valhalla2626

    3 ай бұрын

    @@Sigma-Male017 개인적으로 만족하시면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고 사회가 붕괴되건 말건 신경 안쓰고 그냥 사시면 됩니다. 굳이 사회위기로 보는 사람들한테 그런 댓글을 달고 다닐 이유가 없잖아요

  • @user-mf3yd6gy5b
    @user-mf3yd6gy5b3 ай бұрын

    자기자신 조차도 자기의 편에 들지않고 사회의 편에 서니까 파멸적인 인생을 보내게 된것같네요

  • @kjk5874
    @kjk58743 ай бұрын

    요즘 반복적이고 재미없는 직장생활을 하면서, 나는 왜 살고 있지, 누굴 위해서 이런 삶을 살고 있는 건가? 라는 생각에 우울했는데...많은 생각을 하는 컨텐츠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번 감사해요.

  • @user-vh6rg2ot6q

    @user-vh6rg2ot6q

    3 ай бұрын

    시비가아니고 정말 궁금해서 여쭙습니다. 반복되는 회사생활에서 이영상을 보고 어떻게 바뀌려고 마음을 가지셨나요?

  • @user-sb6sl6pf3q

    @user-sb6sl6pf3q

    3 ай бұрын

    @@user-vh6rg2ot6q취미를 만든다거나

  • @what2125

    @what2125

    6 күн бұрын

    알베르 카뮈의 시지프스 신화라는 에세이를 한번 읽어보세요. 신기하게, 당신의 삶을 포함한 대한민국 다수의 삶과 완전히 닮아있습니다. 카뮈의 그 에세이는 같은 직장생활을 반복하는 현대인들이 왜 자살을 하지 말아야하는지 논리적으로 근거와 함께 설명하는데요,, 계속 허무한것 같다면 추천합니다.

  • @user-vy7ey9uh9x
    @user-vy7ey9uh9x3 ай бұрын

    문스독 모르시는 분들은 이번 기회에 한번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애니메이션에도 본인만의 살아가는 이유와 정의를 지키려고 고군분투하는 내용이 나오기 때문에ㅎㅎ 다양한 인물들을 볼 수 있으니 흥미가 생기셨다면 추천드립니다😊

  • @terryra7389
    @terryra73893 ай бұрын

    요즘 높아진 사회의 기준을 소위 '포기'하는 청년들도 늘고 있습니다. 포기하는 것도 정말 큰 용기가 필요하겠죠. 부모님의 시선과 기대를 저버려야 하니까요. 저는 포기보다는 '저항'이라고 생각하면 어떨까 생각합니다. 가까운 사람에게 저항하는게 아닙니다. 높아질 대로 높아져서 규격 외 인간은 모두 루저로 판단하는 잔인한 이 사회에 대한 저항입니다. 알바해도 괜찮습니다. 루저 아닙니다. 결혼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패배자 아닙니다. 적어도 이 한국 사회에선,, 이것이 큰 용기입니다. 리뷰남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작고 소중한 이유를 위해 살아가십시오. 나 한명 먹고살 정도도 충분합니다. 자족할 만큼의 소득에 하고 싶은 소소한 일들을 하면서 살아가십시오. 요즘 명절에 제사 문화 사라지고 있죠? 가끔 만나서 불편하기만 한 친척들 잘 만나지도 않게 되죠? 아무리 사회의 기준이 빡빡하고 높아도, 대다수가 그렇게 하면 그쪽 방향을 흘러갑니다. 포기(저항)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그제서라도 진지하게 다루고 귀기울일 것입니다. 이건 저에게 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 @ssossohankki
    @ssossohankkiАй бұрын

    우울증 약 복용 중인 30대 여자입니다. 처음엔 자기혐오가 심했어요. 아무것도 이루지 못한 삶, 남들의 기준에 부합하지 못한 자신의 위치, 왜 나는 노력하지 않았는지에 자괴감 등등…. 이런 것들로 우울증 불안장애 수면장애 진단을 받고 3년 째 약을 복용 중입니다. 그나마 저는 선생님을 잘 만났고, 조언과 스스로 생각을 바꾸려는 노력을 통해 많이 좋아졌습니다. 자기 파괴적인 생각은 안 하게 되었고, 남들이야 어떻든 내 인생을 사는게 더 중요하다고 깨달았죠. 하지만 문득 문득 내가 앞으로 잘 해나갈 수 있을까? 왜 나는 허무하게 인생을 낭비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인생은 긴 마라톤이라고, 끝까지 다 살아봐야 아는 것이라는 엄마의 말에 패배감을 느끼지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그리고 누구에게나 같은 시기에 같은 무언가가 오는 것이 아니라 길이 열리는 순간은 모두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좀 늦더라고 제가 좀 더 고생 할 뿐, 누구에게 민폐를 끼치는 것은 아니니까요. 모두 스스로 더 사랑하는 하루를 보내시기 바랍니다.

  • @o_ob_
    @o_ob_3 ай бұрын

    자살률 1위, 출산률 최하위 엄청나네요 특히 2030대들 자살률이.. 고령화 사회가 두렵네요

  • @user-zi2eh6hn8j
    @user-zi2eh6hn8j3 ай бұрын

    정말 뛰어난 영상미 소설이나 애니메이션들의 주제를 잘 파악해내시고 자신의 의견을 더하여 만드는 내용들이 정말 감탄스럽습니다.! 애니메이션만 리뷰하시는 줄 알았는데 소설들도 이렇게 분석하시며 리뷰해주시니 너무 좋네요! 앞으로도 소설 리뷰 많이 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user-mj7pm4yy9o
    @user-mj7pm4yy9o3 ай бұрын

    역겨운 건, 스스로 마음을 쏟을 작은 것을 찾아도 주변 인간들은 '관심'이라는 이름의 '참견'으로 그걸 멋대로 자신들의 기준으로 바꿔버립니다. 제발 참견하지 말고 그저 지켜보세요. 발버둥 쳐서 잡은 작은 것 하나마저 짓밟혔을 때 그 순간이 가장 자1 살 충동이 몰아쳐 옵니다. 자신이 잘 산다고 착각하는 당신들, 남이 무얼 하든 신경쓰지 마세요. 겨우 잡은 지푸라기를 지저분하다고 치워버리지 말라고.

  • @negummafighting
    @negummafighting3 ай бұрын

    살 목적을 찾을 생각을 하면 꺽이고 다시 찾고의 반복임. 크게 아파서 고통 받고 나서야 걍 어떤 삶이든 살아갈 사고방식으로 변모하는거임

  • @user-yb7rb1io3e

    @user-yb7rb1io3e

    Ай бұрын

    이게 맞다

  • @yamakim
    @yamakim3 ай бұрын

    아버지는 저에게 반쪽짜리 삶을 살지 말라하셨지만 전 반쪽짜리라도 되고싶었습니다 아직도요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전 언제쯤 어른이 될까요 나이만 먹었지 여전히 어른이 되지는 못했죠

  • @user-ou8iy4zo6c

    @user-ou8iy4zo6c

    3 ай бұрын

    삶이 왜 힘드냐면 자기자신의 생각때문입니다. 나는 반쪽짜리다 라는 생각이 들때 그 기준은 누가 만든건가요? 자기가 살아오면서 보고 듣고 했던것들을 머리에 입력시켜놓고 그 기준에 안맞으면 못난놈 맞으면 잘난놈 하는거 아닙니까? 그게 정말 맞는 기준일까요? 사람들이 만들어둔 기준이란건 자기 생각속에만 존재하지 우리가 사는 실제 세상에는 없습니다. 예를들어 배고픈 사자가 가젤새끼 한마리를 잡아먹었다고 칠게요 그 사자가 가젤새끼를 죽였구나 어미는 안됐네 하고 생각 할까요? 아닙니다. 동물들(세상)은 그런 생각이 없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인간들만 그런 기준과 잦대를 자기 머리속에 심어놓고 이게 맞다 저게 틀리다 하는 겁니다. 그거는 세상입장에서 보면 하나도 맞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남들이 정해놓은 기준에 맞지 않는 다는 생각이 들어서 괴롭다면 무시하세요. 무시하기 힘들다면 마음을 버릴수있는 방법을 찾으세요. 남에게 피해주지 않는 선에서 자기가 만족하면서 살수있는 환경을 만들어보세요. 똥간에 뒹굴어도 내가 만족하면 된겁니다. 글재주가 없어서 죄송합니다.

  • @jaemyungkim5226

    @jaemyungkim5226

    2 ай бұрын

    반쪽짜리랑 생각될때가 있긴해요, 남의 기대로 형성한것은 반도 안되더라구요, 하지만, 내가꾸준히해서 앞으로 형성한 경험이나 축적된 습관등, 나 자신에 대해 생각하는 점은 나머지 반 이상을 채울수 있답니다. 힘내요.

  • @user-zs2pl6sv2o
    @user-zs2pl6sv2o3 ай бұрын

    ㅡ욕심부리지 말고 비교하지 말고, 작은 것에 만족하면서 오늘을 즐겁게 살자, 마지막 순간에 "참 좋은 인생이었다." 라며 웃을 수 있게.

  • @user-sx1xm5xo8x
    @user-sx1xm5xo8x3 ай бұрын

    여러분 삶을 사는데에 있어서 자신의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 살아가는 데에 큰 연료가 될 수 있겠지만, 삶의 의미에 너무 치중해서 인생에 갈피를 못잡을수있습니다. 더더욱이 나를 혐오하며 채찍질해서는 더더욱 의미를 찾지 못 합니다. 돈이 많으면 좋고, 남들이 우러러봐주는 직책에 있으면 좋겠지만 그 자리에 올라가지 못하더라도 너무 자신을 학대하지마세요. 삶이 고통이라는 말이 있습니다만, 전 이 문장에 다른 뜻을 두고싶습니다. 삶에 고통이 있다면 행복도 있는 것 입니다. 그러니까 너무 고통에 신경쓰지마세요. 모든 일에는 적당히가 약입니다.

  • @user-sp6xs1cd9e
    @user-sp6xs1cd9e3 ай бұрын

    지금까지 봤던 '인간실격'에 관한 영상 중 최고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런 영상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lo5dc6zi3u
    @user-lo5dc6zi3u2 ай бұрын

    자기혐오 우울증 감정기복 자살충동 무의미한삶의목적 외로움 힘듬 어딘가에 말하고싶어도 또는 말해도 더어려운 시련 만을 극복해라고 말하는 인생 더이상 살아야하나 라는 의문이들때 이영상이 저의 눈에 들어왔네요 -감사합니다-

  • @user-tw9cj9tk6i
    @user-tw9cj9tk6i3 ай бұрын

    문스독이 있어서 잠시 들렸더니 이런 슬픈 ㅠㅠ.. 모두 힘내세요 지금이 끝처럼 보여도 끝이 아닙니다.

  • @blackwell1201
    @blackwell12013 ай бұрын

    적어도 당신의 삶에서 주인공은 바로 당신 입니다..비록 지금 힘들더라도 고통은 순간 입니다..모두들 홧팅 하세요 😊😊

  • @user-gy9hn2un2b
    @user-gy9hn2un2b3 ай бұрын

    아쉽게도 한국은 사람들에게 사람답게 사는 방법과 사람을 사귀는 방법 좋은 사람들을 찾고 교류하는 인간적인 부분은 하나도 가르치지 않았다. 어렸을 때 인문학 책을 관심있게 봤었는데, 인문학 책을 번역한 서울대 교수가 한 말이 생각난다. "인문학은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표현하는 문학으로 인간이 인간 답게 살기 위한 여러 방법들을 제시해줍니다. 허나 한국엔 인문학이 죽어가고 있어서 안타깝습니다."

  • @turtlebomb8264
    @turtlebomb82643 ай бұрын

    지옥은 자기 스스로가 만드는겁니다.. 어느 위치에 있는것이 있느냐가 중요한것이 아닌 내가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느냐가 중요하죠 열심히 사세요

  • @Hina_Sorasaki0219
    @Hina_Sorasaki02193 ай бұрын

    몇 개월 전, 하나의 사소한 이유로 다른 것들을 많이 포기했습니다. 불안합니다. 그것들을 하지 않았을 때 다가올 시선들이나, 현실적인 압박들이. 그럼에도 그 이유. 그것을 생각할 때면 다른 것들이 눈에 들어오지 않습니다. 그저 행복합니다. 그걸 위해서 전 오늘도 하루를 살아갑니다. 그저 하나의 이유를 위해 살아갑니다. 누군가는 이런 저를 보며 손가락질 할지도 모르지만, 전 행복합니다. 그저 그뿐입니다.

  • @Giggler94
    @Giggler943 ай бұрын

    고독사,자살 무엇에 끌려 차라리 목숨을 포기할까 약속이나 한 듯 된 듯 매일 내 보기엔 사소함 그 이유여도 어떤 애정이 온전히 이해커나 넋을 기리거나 대신 후회를 해줄지 누가 먼저 알아채고 환기시켜 이 악취와 오물을 예방해줄지 당장 그런 행운은 없을거다 내 귀신같은 나날은 우연히듣게된 누군가의 말에 부끄러운 삶 이었지만 도리는 알게되었다 좋은사람 그런 인연 만나서 진심으로 회포 할 때까지 살아보세

  • @kenwooshim
    @kenwooshim3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A_PooDuck
    @A_PooDuck3 ай бұрын

    제가 하고 싶은 것을 하고 있는 리뷰남님.. 영상을 만들어주셔서 진심으로 존경하고 감사합니다 그동안 생각은 했지만 결론에 도달하지 못 해 헤매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런 저에게 큰 도움이 되는 영상 같아요 저의 존재를 곱게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언젠가 저도 리뷰남님 같은 영상을 만들 수 있기를 바라며 유튜브 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ho990811
    @ho9908113 ай бұрын

    마지막 챕터의 말을 듣고 저를 위로해주는 것처럼 들렸습니다. 바로 눈물이 나올정도로 정말 힘이 되는 말이네요. 좋은 영상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살아가겠습니다.

  • @user-gz4fe7gx8e
    @user-gz4fe7gx8e3 ай бұрын

    매번 영상마다 놀라운 통찰력과 편집능력을 보여주시네요😂😂 마지막은 감동🥺🥺 작품속만이 아니라 현실에서도 저런 조언해줄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겠네요

  • @user-eo5dp6id9z
    @user-eo5dp6id9z3 ай бұрын

    제가 좋아하는 작품에대한 다른 사람의 생각을 들을 수 있어서 너무 좋네요. 어떠한 작품을 통해 이 사회를 생각해보는 리뷰남의 능력이 대단하다고 생각 합니다. 저도 리뷰남 님처럼 되고싶네요.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 @user-kw3se9oh3f
    @user-kw3se9oh3f2 ай бұрын

    한국사회에 굴복하지마세요 . 비웃으세요 허접한 사회라고 그냥 꼴리는데로 살면 됩니다. 그렇게해 무시해야되는 존재가 심지어 내 부모 친척 친구 까지 되겠지만 죽는 것 보단 낫습니다.

  • @user-sj3um1fn2d
    @user-sj3um1fn2d3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청년들의 문제점을 정확히 지적하고 그에 대한 해답까지 제시하시는 것과 동시에 알기 쉽게 애니메이션과 소설로 빗대어 표현하시는 그 능력, 정말 지혜로우신 것 같아요 앞으로 이런 영상 많이 만들어주세요

  • @user-sz6fm9cf4y
    @user-sz6fm9cf4y3 ай бұрын

    문스독 주인공 이름이 다자이오사무인 이유가 궁금했는데 좀 알게 되는 것 같네요 왜 다자이가 자살하고 싶어하는 캐릭터인지 왜 능력이름이 인간실격인지 그리고 사람을 살리는 일에 인생을 바치는지도 이해가 되는 영상입니다

  • @crescent0628

    @crescent0628

    3 ай бұрын

    꺅…다자이 주인공 아닙니다… 주인공은 나카지마 아츠시랍니다…

  • @user-lr8qf6im4t
    @user-lr8qf6im4t3 ай бұрын

    사람은 원래 태어나고 싶어서 태어난게 아님 살기 싫으면 그만두면되는데 쉽지않은면에서 너무 잔인함

  • @ruma-ii5nm

    @ruma-ii5nm

    3 ай бұрын

    자살하고 싶은 사람 안락사 허용하면 빨리 죽을텐데….

  • @QVQ_QVQ_QVQ
    @QVQ_QVQ_QVQ3 ай бұрын

    좋은 리뷰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마지막 멘트가 마음에 와닿네요.. 이 영상에 담긴 메세지가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졌으면 좋겠어요.

  • @an_nyeong3377
    @an_nyeong33773 ай бұрын

    진정으로 포기해야 될 것은 개인이 만든 높은 기준, 엄격한 잣대인 것을... 여러분의 도전을 위한 행동에 은혜와 은총이 함께하길 바랍니다.

  • @user-lz5rv9gm5v
    @user-lz5rv9gm5v3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 @user-pf9ge1ry3c
    @user-pf9ge1ry3c3 ай бұрын

    너무 많은 사람들에게 신세를 졌다. 나로 말미암아 여러 사람이 받은 고통이 너무 크다. 앞으로 받을 고통도 헤아릴 수가 없다. 여생도 남에게 짐이 될 일밖에 없다. 건강이 좋지 않아서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책을 읽을 수도 글을 쓸 수도 없다. 너무 슬퍼하지 마라. 삶과 죽음이 모두 자연의 한 조각 아니겠는가? 미안해하지 마라. 누구도 원망하지 마라. 운명이다. 화장해라. 그리고 집 가까운 곳에 아주 작은 비석 하나만 남겨라. 오래된 생각이다

  • @BHCHOI.
    @BHCHOI.3 ай бұрын

    캬... 감동입니다 마지막에 녹음하다가 안 울컥하셨나요ㅋㅋㄱㅋ 항상 따뜻한 메세지 감사합니다

  • @ExcitingPersimmon

    @ExcitingPersimmon

    3 ай бұрын

    감동..ㅜ

  • @seolin104
    @seolin1043 ай бұрын

    매번 삶의 의미나 의의를 얘기하는 것을 볼 때마다, 실존주의 철학이 얼마나 나의 인생을 바꾸어 놓았는지 실감한다.

  • @hwweE0000
    @hwweE00003 ай бұрын

    영상 보기 직전 딱 이 주제와 맞는 일기를 썼어요. 흡입되듯 시청했습니다. '배가 출항할 때 옆에서 포격이 일면 어쩌지.' 하다가 '상관 없어.' 라는 생각이 반복합니다.. 인간 실격과 문호 스트레이독스. 이 두 작품을 들어보기만 했는데 이야기를 알게 되어 직접 보고 싶어졌어요. 실제 사회 문제와도 연결해서 더욱 몰입할 수 있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wlozapot
    @wlozapot3 ай бұрын

    최고의 리뷰 채널

  • @user-fx6vj1zd9u
    @user-fx6vj1zd9u3 ай бұрын

    자신의 길을 찾아가는게 가장 힘든 것 같아요 사회에서 말하는 정상적인 사람이 되기 위해 너무 노력해왔기 때문인지 내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잘 모르겠고, 계속 이게 맞는지 돌아보고 나아가질 못하는 거 같아요 저도 모르게 얽매이고 있는 이 생각들은 너무 많고 자각하기도 힘들어서 내가 왜 힘든지도 알기 어렵지만 그래도 조금씩 바꿔나가면 미래에는 또 하나의 저가 있겠죠 이렇게 생각하다가도 사소한 일에 와르르 무너질 때도 많지만, 그래도 내 인생의 주인은 나라는걸 알고 있다면 괜찮다고 생각해요 중간만 하자라는 말에 중간이 되는것도 어렵다고 하는 말을 들었는데 요즘에는 그 중간이 되는게 굉장히 어렵다는걸 느끼고 있네요 사실 그 중간도 제 스스로 주변 눈치를 보며 만든 기준인데 말이죠 다자이가 인간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는 말이 공감이 돼요 전 아주 어렸을때부터 인간이란 존재가 이해가 안돼서 관찰을 많이 했지만 아직도 이해가 안돼요(이 상황에서 저 친구는 이렇게 행동/말 하겠군과 같은 걸 맞출 정도로 관찰을 했었네요 약간 습관이라고 해야하나... 근데 웃긴건 그날 그 친구가 뭘 입었었는지 안경을 쓰는 친구인지 앞머리가 있는지 이런건 기억 못함) 단지 남들이 보기에 저도 이해가 안될거라 생각하고, 다들 나름의 이유가 있겠지 싶은 마음으로 살아갈 뿐이죠 죽을때까지도 전 이 세상을 이해하지 못하고 죽을거 같네요

  • @user-wf2hx6lu8w
    @user-wf2hx6lu8w3 ай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이 영상을 올려주셔서 정말로.... 제가 스스로 생각했던 자신의 행동과 사고방식의 이유에 대한 정답이 맞았군요 저는 철학을 좋아합니다 그와 동시에 철학의 실용성을 어느 정도 부정하죠. 저는 뭘 해야할까요? 라는 질문에 다시 질문을 하고 번듯 눈이 뜨이게 되었습니다. 20대 초에 이러한 정보를 많이 생각하게 되어 행복이라 생각합니다 이 댓글이 당신에게도 좋은 희망이 되길

  • @IIiIIllIil
    @IIiIIllIil3 ай бұрын

    가끔은 사실 자주 너무 두려울때가 있습니다만... 그래도 나아가야겠죠 잘봤습니다

  • @mspark4566
    @mspark45662 ай бұрын

    SNS 끊으세요. 그리고 쉽지 않겠지만, 문을 열고 나오세요. 사람은 관계를 맺지 않고는 죽을수 밖에 없는 존재입니다.

  • @neoklain
    @neoklain2 ай бұрын

    심금을 울리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힘든 세상 서로 도우며 살아갈 수 있으면 좋겠어요…

  • @user-sq6fh4vn5b
    @user-sq6fh4vn5b3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작품들인데 이렇게 관련지어서 해석을 해주시다니 너무 좋은 영상인 거 같아요 마지막 말을 들으니 작게나마 감동받고 갑니다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 @user-ki7iy1up7h
    @user-ki7iy1up7h3 ай бұрын

    '산다는 것은 슬픈 일이지만, 사소한 즐거움을 잃지 않는 한 인생은 무너지지 않는다' 우리가 살아가는데 필요한건 현실과 이상을 직시하고 작은 즐거움을 찾는것 아닌가 합니다. 작금의 대한민국을 만든건 그저 역사의 수레바퀴에서 우리가 경쟁사회로 나아갈수 밖에 없엇던 시대적 배경이 만들어낸 참상일 뿐. 우린 누구도 잘못 한게 없습니다.

  • @user-uq7oj7in7t
    @user-uq7oj7in7t2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큰 위로가 되었습니다.

  • @jamong_jam23
    @jamong_jam233 ай бұрын

    항상 사람은 왜 살아가는가로 고민하며 삶의 의미가 없다고 죽고싶다고 느끼는 날이 많았습니다. 이런 제 허무맹랑한 질문에 답이 될 수 있는 작은 답변을 찾은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KJJ180
    @KJJ1803 ай бұрын

    멋진항해를 나아가시는 모든분들께 말씀드리고 싶은게 있습니다 바다란게 절대 흐르는 강물처럼 순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아주 큰배는 강한파도에 많이 흔들리긴 하겠지만 좌초되진 않죠 배는 여러분들의 마음 입니다 강하게 마음먹고 다시한번일어날수있게 주문을 외우세요. "이또한 지나가리라" 그러다보면 언젠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풍경이 펼처질겁니다 가장고통스러운 지금 당장 이순간도 지나갈겁니다 힘내세요

  • @If_funny_go_

    @If_funny_go_

    5 күн бұрын

    Carpe diem 한순간도 슬퍼하지도 포기하지도 말고 즐겨라

  • @HhH-ix1rn
    @HhH-ix1rn3 ай бұрын

    이런 주제 무겁지만 꼭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잘 봤습니다!

  • @jkk3475
    @jkk34753 ай бұрын

    생각이 많아지는 영상입니다. 이런 훌륭한 작품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bo2ms6qv6e
    @user-bo2ms6qv6e3 ай бұрын

    공감가는이야기.

  • @user-lu9ij4ct6k
    @user-lu9ij4ct6k3 ай бұрын

    오 진짜 지적인 컨텐츠다. 이런 타겟층 좋아요. 구독❤

  • @johnswanson217
    @johnswanson2173 ай бұрын

    어른이 되고 도무지 앞이 안보이는 상황들을 마주하면서 많이 괴로워했습니다. 죽고싶은 상황에서 “Learn to say fuck you to the world every once in a while" 이라는 말을 듣고서 깨닫게 되었습니다. 가끔은 사회를, 부모를 욕하고 탓해도 됩니다. 우리는 모든걸 내 문제로 돌리고 반성하도록 훈련된 세대입니다. 그렇게 우리를 훈련시킨 인간들은 자기 마음대로 살면서 남탓만 하는 사람인 경우가 많습니다. 절대 그런 나르시시스트들에게 이용당하지 마세요.

  • @user-if9gf9ww5n

    @user-if9gf9ww5n

    3 ай бұрын

    저도 그런 줄 알았습니다 근데 사회 나가니까 이상하리만치 본인탓을 안하는 족속들이 있더라고요😂😂

  • @nars7493
    @nars74932 ай бұрын

    영상보고 울었네요... 너무 마음 아픈 내용 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zt2kx3rb9c
    @user-zt2kx3rb9c3 ай бұрын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실격은 청년일때 한번쯤 읽어보면 정말 좋은 작품입니다. 읽고나면 나름 자기자신을 긍정적으로 볼수있어요. 한번쯤은 읽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user-rt3tl2cq1z
    @user-rt3tl2cq1z3 ай бұрын

    어릴 적 부모님이 하신 잘 할 수 있다는 말과 제가 부모님께 얘기했던 약속들, 여러가지 것들이 겹쳐 소설 속 주인공과 같은 정말 인간으로써 실격 된 삶을 살았던 것 같습니다. 그 후 군대를 가게 되었고 군대 안에서 저라는 사람의 문제점이나 현재를 인정하기 시작하면서 저의 세상이 바뀌었다고 생각합니다. 오랫동안 앓던 병 같은 것이라 지금도 가끔씩 저로써의 삶을 잃어버릴 때가 있는데 그럴 때마다 알고리즘에 뜨는 이런 좋은 영상들이 저를 한번 더 바로잡아주는 것 같습니다. 덕분에 조금 더 좋은 삶을 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좋은 자극 감사드립니다.

  • @user-fb2lc1xn5p
    @user-fb2lc1xn5p3 ай бұрын

    최고의 영상

  • @GGJ-dq2lk
    @GGJ-dq2lk2 ай бұрын

    사소한 공황장애와 기피증을 앓고 있는 사람입니다 전에 영상 봤지만 인간실격을 읽고 절망에 빠졌지만 배려하면서 위로하고 공감할수있는 메세지를 진심으로 희망차게 느끼게 하시네요 재능있으신거같아요 자주 올게요 감사합니다

  • @user-ee8vy8rq2j
    @user-ee8vy8rq2j3 ай бұрын

    어떤마음으로 영상을 만드셨을까 그 마음이 따듯하게 느겨져서 감사합니다

  • @user-cm8iq5dg8q
    @user-cm8iq5dg8q3 ай бұрын

    남보다 잘 해야 한다는 말을 들어 그런 강박에 빠져 살았습니다. 존재자체만으로 사랑받지 못 했고 잘하거나 남들보다 잘 하고 월등한 결과를 내야 칭찬, 사랑을 받은걸로 기억합니다. 완벽하게 잘 하지 못 하면 버림받고 쓰레기가 되는 느낌이 듭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좋은 영사 감사합니다.

  • @Jinu0319
    @Jinu03192 ай бұрын

    많은 생각이드는 영상, 형언할 수 없는 벅차오름이 느껴진다

  • @user-yb5rd3hp5z
    @user-yb5rd3hp5z2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마지막 말이 정말 위로가 됐네요~

  • @user-ci6dy1eb9o
    @user-ci6dy1eb9o3 ай бұрын

    고직 14살이지만 마지막 말 너무 감동입니다 좋은 대학 가려고 사는 건데 너무 감동적입니다ㅠㅠ 이런 영상을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name-yb5ep
    @name-yb5ep2 ай бұрын

    사실 따지고 보면 모든 인간의 삶은 근본적으로 무가치 합니다. 우주에 아주 작은 먼지 한 점으로서 잠시 지구에 머물다가 순식간에 사라질 뿐이지요. 어떻게 살다 갈 것인지 어떤 삶이 가치 있는 것인지는 스스로 정하기 나름입니다. 인간의 삶이란 삶의 목적을 찾기 보다는 스스로 목적을 만들어 나가는 것입니다.

  • @MCS____
    @MCS____3 ай бұрын

    짱이에요…..

  • @j-ci3729
    @j-ci37293 ай бұрын

    솔직히 오늘도 내일도 변하지 못하는 삶에 기로에 있는 분들에게 자살 하지 말라고 하는 것 또한 엄격한 가혹행위일 뿐입니다.. 자살도 엄연이 그 스스로가 오랫동안 생각해 오고 결정한 것 그걸 우리가 뭐라고 하는 것 또한 자격이 안되는것.

  • @user-ho2gr1te1n
    @user-ho2gr1te1n3 ай бұрын

    이런 마음에 울림이 있는 영상을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Chan-bz5wl
    @Chan-bz5wl2 ай бұрын

    진짜 영상 너무 잘만든다 바로 구독 살아갈 희망이 생기네요 사랑하고 감사합니다 유튜버님

  • @purpose092
    @purpose0922 ай бұрын

    저도 현시대를 살아가는 청년으로써 울림이 큰 영상이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mp8zi5cp3j
    @user-mp8zi5cp3j2 ай бұрын

    문스독을 먼저 알아서 몰랐는데 이렇게나 명작이었군요 😢 시간날때 꼭 한번 읽어봐야겠어요

  • @nusle5044
    @nusle50443 ай бұрын

    리뷰남님 영상에서는 항상 인류애가 느껴져요 아무것도 아닌 사소한 걸 보고 살아가는 게 인생이라고 생각합니다 ㅎㅎ 요즘 마음이 넘 힘들었는데 위로받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mong7
    @mong72 ай бұрын

    고독은 벗어날 수 없는듯요~나만 그런게 아니라는게 위안이 되네요~

  • @user-gx2gc4rr9l
    @user-gx2gc4rr9l3 ай бұрын

    진짜 남들 기준에 자신을 맞출생각하는것보단 무시하려는 생각을 먼저하는게 더편한

  • @haim7512

    @haim7512

    3 ай бұрын

    독립된 개체로 성장하지 못하면 다른 사람들의 의견에 휘둘릴수밖에 없음. 잘되면 해피엔딩 안되면 파멸.

  • @Milk-Syrup
    @Milk-Syrup3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구독 누르고 앞으로도 잘 챙겨볼게요 ^v^

  • @Bukkiy20
    @Bukkiy202 ай бұрын

    남이 인정하고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목적과 삶이 과연 행복한 삶이 될까? 자기 자신만 만족하는 삶이 인간을 올바르게 이끌어 갈까? 사람마다 그 가치는 다르게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생각이 다르다고 본인의 가치가 대중의 가치와 불일치하다고 욕하거나 욕먹을 자격은 없습니다. 서로의 다른 생각을 인정해주는 태도를 가지는 것도 우리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길입니다. 많은 생각이 드는 영상입니다. 앞으로도 많이 올려주세요.

  • @Yujin0521
    @Yujin0521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deiesswws2041
    @deiesswws20412 ай бұрын

    남들과 비교하지 않고 살아가자고 다짐했었지만 무의식적으로 주변과 비교를 하는 나를 은연 중 발견한다

  • @user-ic9lj7cn9z
    @user-ic9lj7cn9z3 ай бұрын

    인간실격은 최근에 알았고 문스독은 원래 알고있던 애니인데 문스독이 인간실격에서 유래(?)된 건줄은 오늘 영상보고 알았네요 잘봤습니다

  • @Umu_Umai
    @Umu_Umai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오늘은 편안하게 잠에 들 수 있겠어요

  • @user-fp3qn6wj5d
    @user-fp3qn6wj5d3 ай бұрын

    고품격 리뷰 감사합니다..💙 문학과 애니의 조합 너무 좋아요

  • @liil9859
    @liil98593 ай бұрын

    고등학생때는 정말 불쾌함의 극치인 소설이었는데 성인이 되고 좀 지난 지금 다시 읽으니 제가 요조나 다름없는 행동을 하며 살고 있더군요... 다른 사람들은 날 괜찮게 보는 것 같으면서도 확신이 안서고 나 자신이 한참 기준미달인 사람인 것 같고... 참 묘한 감정이 들면서 짧은 삶을 되돌아보게되던 시간이었습니다.😂

  • @jaemyungkim5226

    @jaemyungkim5226

    2 ай бұрын

    힘내. 화이팅

  • @user-bx5cl7gu8q
    @user-bx5cl7gu8q3 ай бұрын

    최고를 리뷰하는 최고의 채널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