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하면 행복해질까?ㅣ사적인 복수가 합법이었던 '이 나라'

Ойын-сауық

여러분 복수하고 싶은 사람 있으신가요?
저는 있..아니, 없는데요.
복수심을 갖는 건 진화론적으로 인간의 '본능'이라고 합니다.
근데 복수를 행동으로 옮기는 건 이야기가 다르죠.
옛날에 복수가 합법적으로
허용됐던 나라가 있었다고 하는데요.
과연, 어땠을까요?
오늘 교양만두는 '복수심'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입니다.
지식이 고플 만두하지? B급 교양 채널 '교양만두’
이야기가 유익하셨다면, 좋아요와 구독하기 눌러주세요!
일러스트│박도경
#교양만두 #복수 #역사 #심리 #지식
*참고문헌
『복수의 심리학』ㅣ마이클 맥컬러프ㅣ살림출판사
『복수의 심리학』ㅣ스티븐 파인먼ㅣ반니
『화풀이 본능』ㅣ데이비드 바래시ㅣ명랑한지성
"복수는 쾌감의 법칙"ㅣ이용범ㅣ아시아경제 2020.07.01 기사
"복수는 달콤하다"ㅣ전중환ㅣ한겨례 2013.07.15 기사

Пікірлер: 646

  • @Sketcherobrine
    @Sketcherobrine Жыл бұрын

    복수해도 소중한 이는 돌아오지 않는다. 하지만 복수를 안 해도 소중한 이가 돌아오지 않으니 복수를 하는 게 나을까나 - 키아누 리브스

  • @Wklcugehdj

    @Wklcugehdj

    Жыл бұрын

    와...띵언이네

  • @ks5889

    @ks5889

    Жыл бұрын

    오오오~~~

  • @user-zl2zx2ez7c

    @user-zl2zx2ez7c

    10 ай бұрын

    존윅은 지는 사람을 수백명 죽인 킬러면서 자기 개 죽였다고 바로 복수 ㅋㅋㅋ 복수도 자격있는 사람만 해야함

  • @user-ou3yo8tk5e

    @user-ou3yo8tk5e

    4 ай бұрын

    @@user-zl2zx2ez7c 그... 존윅은... 실존하지 않는 사람이야...

  • @user-fj1zm6hl3d
    @user-fj1zm6hl3d Жыл бұрын

    용서하는게 진정한 복수라는 사람들은 진짜 죽이고 싶도록 처절한 증오심을 안가져본 사람일것이다. 부럽네 그만큼 상처받은일이 없었다는 반증일테니까 ㅜㅜ

  • @user-hj8eh7mu9t

    @user-hj8eh7mu9t

    Жыл бұрын

    걍 남의 일이라서 그런 거임

  • @toc7325

    @toc7325

    Жыл бұрын

    용서를 해도 절대 용서를 한게 아니지

  • @Feirho123

    @Feirho123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복수 하겠다고 용서 하는건 말만 용서지 용서가 아니잖아

  • @user-vd3wy6yw1i

    @user-vd3wy6yw1i

    Жыл бұрын

    진정한 용서가 복수지

  • @Sleeptighterrday

    @Sleeptighterrday

    Жыл бұрын

    @@user-vd3wy6yw1i 이건 또 뭔 아무말이노 ㅋㅋ

  • @nosaster
    @nosaster Жыл бұрын

    눈에는 눈 이에는 이는 정확히 그정도만 하라는거였죠. 대등한 계급끼리 복수를 할때 과하게 복수하다보니 정확히 당한만큼만 하라고 가이드라인을 정한거여서요.

  • @TearSnow

    @TearSnow

    Жыл бұрын

    당한 만큼 만 하라는건데 꿀밤 맞았다고 뚝배기를 박살내는 사채급의 이자!

  • @user-pn4lz7fm4n

    @user-pn4lz7fm4n

    Жыл бұрын

    ???: 저는 그렇게해야 복수했다 느껴지는편입니다

  • @user-zl2zx2ez7c

    @user-zl2zx2ez7c

    10 ай бұрын

    "눈에는 눈을 고수한다면 세상에는 장님만 남을 것이다" 마하트마 간디

  • @user-rf7nq4yw4h
    @user-rf7nq4yw4h Жыл бұрын

    복수는 내가 행복하려고 하는게 아니라 상대방도 나처럼 불행해지라고 하는거다

  • @user-ov5zm5rz3v
    @user-ov5zm5rz3v Жыл бұрын

    함무라비의 법은 복수의 허용이라는 면도 있지만 복수의 한도를 정한 귀중한 법입니다. 과거에는 힘없는자에게 복수란 가당찮은 짓입니다. 그럴 힘이 있다면 애초에 당하지도 않을 겁니다. 하지만 눈에는 눈이라면 제아무리 부강자라도 상대의 눈이상을 빼내는 순간 이번엔 국가가 나서서 그 눈 이상의 것을 빼내겠다는 뜻도 됩니다. 법이 서면 그 집행자는 바로 국가이니까!

  • @bella_s.y2115

    @bella_s.y2115

    Жыл бұрын

    오…복수의 한도를 정했다는것까지는 깊이있게 생각못했네요. 단순하게 눈눈이이 라고만 생각했는데~

  • @user-ov5zm5rz3v

    @user-ov5zm5rz3v

    Жыл бұрын

    @@bella_s.y2115 //감사! 사실 니눈이 빠졌으니 저새끼 눈깔도 빼라는건 가혹하지만, 복수할 힘이 있다면 과연 '저새끼의 눈깔'에서 멈출까요????? 즉, 복수자체를 공적영역에 끌어들인 함무라비는 쪼잔하기가 좀생이 같지만 그만큼 자상한 왕이란 뜻일 겁니다. '억울하겠지만 그쯤해서 멈춰.'라고 말하는 것이니까!

  • @user-ov5zm5rz3v

    @user-ov5zm5rz3v

    Жыл бұрын

    @@user-yl2bw7xg6u //크하하하! 재주만 있으면 폰 하나로 시회에서 매장 시킬 수도 있지!

  • @versli5957

    @versli5957

    Жыл бұрын

    ​@@user-ov5zm5rz3v 그게 힘이지 뭐가 힘임

  • @user-ov5zm5rz3v

    @user-ov5zm5rz3v

    Жыл бұрын

    @@versli5957 //미디어가 힘이 된것은 그것이 불특정다수와 공유 될 수 있기 때문임. 그야말로 유튜브 알고리즘의 힘이지.하지만 일단 무작위의 다수에서 벗어나 인기를 얻어 특이점이되면 매체의 우연없이도 관심을 유지하게되고 자체 컨텐츠가 생산됨. 하지만 그정도의 파워는 타인의 변덕에 의해 순식간에 증발됨. 내가 말하는 함무라비 법전이 언급하는 힘은 형태를가지는 힘, 권력 재력 폭력임.

  • @megashark1234
    @megashark1234 Жыл бұрын

    옳게 될려면 개인의 복수를 대신해서 사법이 똑바로 복수를 해줘야 하는데. 오히려 피해자는 용서를 안했는데 판사가 용서를 하는판이니..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Жыл бұрын

    아이러니하게도 그렇게 복수가 복수를 부르는 것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게 법이죠 그리스 서사시 오레스테스만 봐도 알 수 있듯이

  • @user-jz3em8ts2s

    @user-jz3em8ts2s

    Жыл бұрын

    판사는 용서한다고 하지않아요. 선처라고 하죠. 왜 선처를 하는지 모르지만 이해안되는 판결에 선처를 용서라고 판단하는 일반인들이 많죠.

  • @user-ov5zm5rz3v

    @user-ov5zm5rz3v

    Жыл бұрын

    사적복수의 끝이 바로 공적 형법의 시작입니다.

  • @lavieenrose1804

    @lavieenrose1804

    Жыл бұрын

    판결권이란 피해자를 대신해 형벌을 위임한다는 의미입니다. 피해자의 의견과 판사의 판결이 동일해야만 한다면 재판을 여는 의미가 없어집니다. 다시 말하면 피해자 뜻대로만 간다면 재판이 왜 존재하느냐의 문제이며, 애당초 법원은 복수대행기관이 아닙니다. 그리고, 일반인 보기에 이해가 안 간다는 사례 대부분은요, 판사가 틀린 게 아니라 일반인들이 법 이해를 못하는 경우입니다. 일반인들은 절대 인정 안하려 하겠지만요.

  • @Wklcugehdj

    @Wklcugehdj

    Жыл бұрын

    @@lavieenrose1804 법이 공정하다는 전제하에죠 근데 법이 공정해?

  • @lunatic0820
    @lunatic0820 Жыл бұрын

    진짜 사회생활 못하고 죽고싶어도 죽지못하게 피가말라서 바짝말라비틀어지도록 세상 잔인하고 처참하게 죽여도 시원찮을 쓰레기가 하나있지.. 정말 천벌 받았으면 좋겠다. 그 쓰레기의 말로가 비참했으면 좋겠다.

  • @ReadytoABM2drip

    @ReadytoABM2drip

    Жыл бұрын

    그러나 그 인간은 잘 먹고 잘 살고 행복합니다. 자기만 아는 새끼들이 더 행복함 ㅎㅎ

  • @yeniming1

    @yeniming1

    Жыл бұрын

    저도 딱 한사람 있어요. 남은 생동안 고통뿐이기를,,,

  • @user-bw7gl3ox3v

    @user-bw7gl3ox3v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 @lala-ds5im

    @lala-ds5im

    Жыл бұрын

    @@ReadytoABM2drip 반은맞고 반은틀림 하지만 죽어서 관에 들어갈때까지 아무도 모름

  • @love-tn1is

    @love-tn1is

    5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 @Nirvana-Nevergone
    @Nirvana-Nevergone Жыл бұрын

    복수는 공허하다는 말만큼 어이없는 말도 없을 겁니다. 그야 당연히 공허하죠. 애초에 뭘 남기려는 생산적인 활동이 아니니까요. 그럼에도 복수를 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좆된 나만큼이나 나를 조진 새끼를 똑같이 조져주고 싶다는 마음에서 출발한 것이기 때문이죠. 그러니 저 말은 그냥 복수하는 사람이 아닌, 복수 당할 사람이 한 말일 확률이 높을 듯합니다.

  • @user-re7po3to7h
    @user-re7po3to7h Жыл бұрын

    우와.. 목요일의 행복 교양만두님! 돌아오셧군요.. 오늘도 전만이들의 뇌에 지식을 채워주기 위해 열일하시는 교양만두님.. ♥임당..

  • @user-by3rs2wt8y
    @user-by3rs2wt8y Жыл бұрын

    죽은사람 안돌아온다고 해도 내가 당한 거 똑같이 돌려준다는 거만해도 만족도 최고지

  • @TearSnow

    @TearSnow

    Жыл бұрын

    그래야 죽은사람이 편히 가지 복수 못하면 귀신되서 어캄

  • @Wklcugehdj

    @Wklcugehdj

    Жыл бұрын

    맞음

  • @jejudo07

    @jejudo07

    Жыл бұрын

    @@TearSnow 존재하지도 않는 귀신을 위해 본인의 미래를 희생하는 어리석음

  • @user-ou3yo8tk5e

    @user-ou3yo8tk5e

    4 ай бұрын

    그니까 복수법이 망한거임 ㅋㅋㅋ 어떤 사람은 자신이 당한걸 돌려준다는게 주먹 한방이겠지만, 어떤 사람은 그 사람을 강간하고 산채로 피부 벗겨 죽이는 수준이기도 함 ㅋㅋㅋ 문제는 그렇게 하면 사회가 유지가 안됨 ㅋㅋㅋ

  • @whereisbadak

    @whereisbadak

    4 ай бұрын

    @@user-ou3yo8tk5e ? 그니까 당한만큼의 복수라잖아 무슨 복수법이 망햇네 뭐네 하고앉아잇냐...난독인가ㅋ

  • @minpaper
    @minpaper Жыл бұрын

    용서가 최고의 복수인게 아니라, 복수가 인생의 낭비라 안 하는거임.

  • @user-zr4oc8vv6t

    @user-zr4oc8vv6t

    Жыл бұрын

    나한테 해가 돌아오지 않는다면 복수가 합법적 응징으로 정당방위로 받아들여진다면 복수는 권장해야하는 사안임. 자기집에 강도가 들어왔는데 실실쪼개면서 복수안하고 그냥 보내줄것인가

  • @user-ns8lj8ix2k

    @user-ns8lj8ix2k

    Жыл бұрын

    근데 더 이상 아무것도 남지 않으면 이제 복수만 있게되겠지

  • @minpaper

    @minpaper

    Жыл бұрын

    @@user-zr4oc8vv6t 합당한 대가를 치르게하는 것과 복수하는 것을 헷갈리면 안되지. 권장될건 합당한 대가를 치를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시스템과 개인의 노력이지 복수해서 뭐함? 칼든 강도한테 복수한다고 덤비는게 바보지

  • @minpaper

    @minpaper

    Жыл бұрын

    @@user-zr4oc8vv6t 님은 걍 덤프트럭오면 갖다 박으셈

  • @user-zr4oc8vv6t

    @user-zr4oc8vv6t

    Жыл бұрын

    @@minpaper 합당한 대가를 치르게하는게 복수를 하는거라고. 왜 별개라고 생각하는거지? 사적 복수를 실행하면 나한테도 해가 돌아오기에 그 복수를 사법시스템이 대신 해주는거고. 칼든 강도가 당신이나 가족을 죽이려고 하고있음. 그럼 부엌에서 그럼 복수하지않고 순순히 죽어줄래?

  • @user-wl9pf7js7u
    @user-wl9pf7js7u Жыл бұрын

    목요일의 행복!! 교양만두 넘 재미있어요!!

  • @jinsungpark1643
    @jinsungpark1643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이네요 많이 공감이 갑니다

  • @user-pq3pn3bi5s
    @user-pq3pn3bi5s Жыл бұрын

    오늘 목요일 기다리던 교양만두 오늘 주제가 복수 잘보고갈게요~ 😄

  • @user-kw7er2dq9l
    @user-kw7er2dq9l Жыл бұрын

    교양만두님이 복수에 대해서 너무 정확히 설명 한 듯. 진짜 사람들은 대부분 복수는 나쁘다 하는데 오히려 징신건강에 좋다니. 그리고 저도 복수가 개인적 쾌감을 위한 것 외에도 상대에게 강경대응을 하면서 상대에게 엄청난 경고효과를 줄수있다고 저도 이 생각했는데 와.. 진짜 근데 진짜 비효율적이긴 한데 그래도 기분은 좋죠.

  • @BerryPotion

    @BerryPotion

    Жыл бұрын

    뭐야 엄청 손해잖아 ???:하지만 복수했죠?

  • @user-qz6xo5of9q

    @user-qz6xo5of9q

    Жыл бұрын

    쾌감, 도파민을 시간과 노력을 들여 샀고 오래도록 기분이 좋다는것에 충분히 가치있다봄

  • @hongjinhyung

    @hongjinhyung

    Жыл бұрын

    그렇게 기분 빼고 효율만 따질 거면 술 담배 설탕 튀긴 음식 다 끊어야 함. 살 이유가 없어짐.

  • @user-tv7qd1jf5t

    @user-tv7qd1jf5t

    Жыл бұрын

    직접 복수는 아니지만 워낙 행실이 안좋기로 유명했고 웃긴건 힘있는 자들에겐 사바사바 잘해서 기생충처럼 먹고사는 인간이 있었는데 저도 당한게 있어서 복수 생각도 있었지만 얽히기조차 싫어서 같이 피해본 애들과 넋두리나 하고 마음 추스린적이 있었거든요 그런데 작년에 그 xx가 다닌 기관 조직도를 보니 그렇게 사바사바해서 들어간 곳에 이름이 빠져있는거 확인하고 수소문하니 안에서 새는 바가지 밖에서도 샌다고ㅋㅋㅋ 본성 어딜가지 않더군요ㅎㅎ 아첨이 통하지 않는 윗분에게 걸려서 나가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때 너무 통쾌해서 밥 한끼도 안먹었는데 배도 안고프더라구요ㅎ 노자의 도덕경에도 나오죠 해악을 끼친 인간 가만 냅둬도 머지않아 강가에 시체가 떠내려온다고요

  • @user-tf2tq1wj5z

    @user-tf2tq1wj5z

    Жыл бұрын

    복수를 해도 안해도 고인은 되돌아 오지 않으니깐..... 아무래도 복수를 하는게 더 상쾌하지 않을까나

  • @newkers
    @newkers Жыл бұрын

    흥미로운 내용이네요 잘 보고 갑니다^^

  • @javaxerjack
    @javaxerjack Жыл бұрын

    이 함무라이 법전의 문구를 이해하려면 조금 더 알아야 하는 사항이 있는데, 당시 복수라는 것은 단순히 앙 갚음이라는 수준의 이야기를 넘어서서 개인이나 일족의 체면이 걸린 문제이기도 했습니다. 즉, 자기 친족이 억울한 일을 당했을 때 이걸 복수하지 않으면 그 복수를 수행해야 하는 사람 내지는 그 일족의 체면이 바닥에 떨어졌다고 생각했던 것이죠. 문제는 이게 그냥 개인의 다툼이라면 서로 죽고 죽이고 끝날 터이지만, 서로 복수의 복수를 수행해서 나중에는 일족이나 집단간의 전쟁 수준까지 발전해 버리기 시작합니다.(그러니까 저 녀석은 내 아버지를 죽인 녀석의 복수를 하 삼촌을 죽인 ....) 문제는 최초의 법전이 있었다는 것은 개인과 개인 간의 사적 폭력에 제재를 가하기 시작했다는 뜻이 됩니다. 그래서 아직 복수를 허락하기는 하지만, 그 복수의 수준이 자신이 입은 피해 이상 (길가다 서로 부딫혀서 넘어진거 가지고 서로 죽고 죽이는 상황 같은)을 요구하지 못하고 딱 자기가 입은 피해 만큼만 가능하다라는 뜻입니다.

  • @user-fp9kp9zb7q
    @user-fp9kp9zb7q Жыл бұрын

    복수는 마이너스를 0으로라도 되돌리기위해 반드시필요한행위

  • @HappyUnderBoss
    @HappyUnderBoss Жыл бұрын

    복수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는 시간이었네요 ㅎㅎ 좋은 영상 고맙습니다!

  • @user-no7nz4op3b
    @user-no7nz4op3b Жыл бұрын

    처절하게 자신을 파멸시키면서 복수를 해야하는 상황이 오지 않는 건강한 사회이면 좋겠지만 그건 이상일 뿐이겠죠.. ㅠ

  • @toc7325
    @toc7325 Жыл бұрын

    복수가 합법이 되면 그거야 말로 세상이 망할 수 있는 지름길일 거임..

  • @frontman4409

    @frontman4409

    Жыл бұрын

    그게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임.

  • @user-jb5me9si9b

    @user-jb5me9si9b

    Жыл бұрын

    @@user-hv6ct9mr5o 그건 MAD 때문.

  • @toc7325

    @toc7325

    Жыл бұрын

    @@user-hv6ct9mr5o 굳이 거기까지 가지 않아도 전세계가 24시간 매일 더 퍼지 같은 짓을 한다면 어우...생각만해도...

  • @koo2144

    @koo2144

    Жыл бұрын

    @@user-hv6ct9mr5o 너 같이 생각하는 놈이 있으니까 저런 법이 있으면 안돼는거야

  • @koo2144

    @koo2144

    Жыл бұрын

    @@user-hv6ct9mr5o ㅋㅋㅋ 정말 대단하다 그때 괜찮았다고 문제점이 없다라는 단순한 대가리라니 ㅋㅋㅋ 니 기준으로하면 동영상에 나온 고려때 여시로 문제가 있다라고 판명되었다 인데 ㅋㅋㅋ

  • @user-qn7bz9sr1i
    @user-qn7bz9sr1i Жыл бұрын

    역시 재밌는. 교양만두 최고!

  • @user-kv8zu7oq1i
    @user-kv8zu7oq1i Жыл бұрын

    과 졸업논문을 쓸 때 '복수법'을 조사 햇었는데 이렇게 영상으로 보니 반갑네요 ㅎㅎㅎ 오늘도 재밌게 잘 봣습니다 ㅎㅎ

  • @user-om3jd2sp1k
    @user-om3jd2sp1k Жыл бұрын

    용서는 생물학적으로 경쟁상대를 살려주는 선택 이기 때문에 본능적으로 좋아하지 않는 거 같고 복수는 경쟁상대를 제거 재기불능 하게 만들어 생존에 더욱 유용해져 그런거 같음

  • @Macaron1632
    @Macaron1632 Жыл бұрын

    항상 재밌는 영상 고맙습니다!

  • @chattenoir1004
    @chattenoir1004 Жыл бұрын

    함무라비 법전에 '이에는 이 눈에는 눈'의 가장 큰 의의 중 하나는 형법의 역사에 있어 최초로 사적제재에 범위를 제시한 것입니다. 고대 많은 국가들의 형법에서 개인 간 벌어진 상해에 대한 징벌적 정의를 피해자가 직접 사적제재를 통해 실현할 수 있게끔 용인했습니다. 하지만 복수라는 것이 늘 그렇든 자신이 입은 손해보다 더 큰 상해를 돌려주고 이로 인한 복수의 재 생산이 만발하자 이를 중재하고 복수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정의했던 것이 함무라비 법전이었습니다. 즉 저 사람이 너의 눈 하나를 빼앗았다면 너도 눈 하나만 빼앗지 그 이상은 용인하지 못한다. 라는 뜻인겁니다. 인류는 17세기 이후 비교적 현대에 들어서야 사적제재가 사라지고 가해자에 대한 처벌의 권리가 피해자와 그 친인들이 아닌 국가권력으로 이양되는 체계로 바뀌게 됩니다. 이로인해 '자신의 권리를 침해 당한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직접 복수할 권리를 국가가 대행하는 것이 과연 피해자의 권리를 존중하는 행위라고 볼수 있는것이가?' '피해자가 만족하는 징벌적 정의를 국가는 잘 실천하고 있는가?' 에 대한 끊임없는 담론들이 만들어지고 있죠.

  • @dogo-dangr
    @dogo-dangr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ey-step3775
    @ey-step3775 Жыл бұрын

    화나고 억울할땐 정말 해코지라도 하고싶지만, 시간이 지나고보면 그런감정에 휩싸여 흘려버린 시간들이 아깝더라구요. 어짜피 복수 못할거니깐.. 그리고 상처준 상대는 암치도않게 잘지내보이는건 더 열받구요. 그 상태에서 빨리 벗어나는게 최소손해인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리고 날위해 그냥 그렇게 믿으려구요. 그따구로 쳐살아서 적을 만드는 그들은 언젠가 자기 악행에 스스로 걸려 엎어져 어디서부터 무엇이 잘못인지도 모른채 불행하고 다투는 삶을 살게 될거라구요. 가장 하찮고 쓰레기같은 인생살다가 먼지처럼 흩어지는 삶으로 종결될거라구요. ㅎㅎㅎ 그렇게 생각하니 그냥 그들의 악행은 나를위한 반면교사 정도의 역할이고 덕분에 나는 더 잘 살아야지 싶기도 하더라구요. 없었으면 좋았을 만남이지만 무조건적으로 나쁜것은 아니다라는 생각에 이르렀었어요. 또 억울한 일을 당하면 속상하고 화나겠지만 더러우니깐 일단 피하고 마찬가지로 생각하려구요.

  • @lumoseo

    @lumoseo

    Жыл бұрын

    이거지 ㄹㅇ 진정한 복수는 상대가 뭘 했든간에 그것에 굴하지 않고 꿋꿋하게 나만의 길을 간다는 것만으로도 상대를 충분히 엿먹이는 거라고 생각함

  • @user-sl3zu3ei4y
    @user-sl3zu3ei4y Жыл бұрын

    복수의 끝은 허무가 아니라 고소하고 달콤하다.

  • @user-pq6un4ou9e

    @user-pq6un4ou9e

    Жыл бұрын

    근데 복수에는 끝이 없다.

  • @DC-jt7ye

    @DC-jt7ye

    Жыл бұрын

    @@user-pq6un4ou9e 맛있는 것은 끓을수 없다.

  • @user-dg6pl4pf3f

    @user-dg6pl4pf3f

    Жыл бұрын

    복수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상대방에게 해를 가했다면 자기도 파멸하지 않을까.

  • @riverred101

    @riverred101

    Жыл бұрын

    @@user-dg6pl4pf3f 호구는 그 누구도 무서워하지 않는다.

  • @Wklcugehdj

    @Wklcugehdj

    Жыл бұрын

    @@user-pq6un4ou9e 복수안해도 분노와 괴로움 고통은 끝이없다

  • @a_mado
    @a_mado Жыл бұрын

    아 교며들었다... 너무 재밌음 ㅡㅠㅠㅠ

  • @hjp619
    @hjp619 Жыл бұрын

    처음엔 복수보다 화해가 좋을거라 생각했는데 결국 나중에 그애는 처음보다 더한 빅엿을 주었다😭 포기하고 손절쳤지만 곱씹게되고 복수심만 사로잡혀 스트레스받는 지경까지..

  • @user-vd4gt7kd8r

    @user-vd4gt7kd8r

    Жыл бұрын

    진짜 사람 고쳐쓰는거 아님 살면서 더더욱 느끼는거지만

  • @user-ut7ow1lp6f

    @user-ut7ow1lp6f

    Жыл бұрын

    용서와 화해는 전혀 다른거다.

  • @user-fy1eh9nm2y
    @user-fy1eh9nm2y Жыл бұрын

    교양만두는 못참치~

  • @user-li1mb4ge3q
    @user-li1mb4ge3q Жыл бұрын

    더 글로리가 흥행하는 이 때에 어울리는 영상..!!

  • @user-qo3qc2nn2j
    @user-qo3qc2nn2j Жыл бұрын

    우리 팀장님 속은 좁아도 목소리는 좋다구욧!!!!

  • @smartmandoo

    @smartmandoo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 @ddd-yu5nh
    @ddd-yu5nh Жыл бұрын

    복수심이 파멸이 아닌 자기 발전의 계기가 되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 사람보다 더 좋은 직장 지위 학벌을 쟁취하면 좋은거죠

  • @user-ez2yj5ro2e
    @user-ez2yj5ro2e11 ай бұрын

    자신에게 파멸뿐인 복수라도 상대에게 다시는 되돌릴수 없는 철저한 파멸을 선사할수있다면 그건 인생한번 걸어볼만큼 매력적인 행동 아닐까요?

  • @luansen0
    @luansen0 Жыл бұрын

    [군자의 복수는 10년이 지나도 늦지 않다] 복수의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겁니다 원수만 제거하는 방법 원수만 놔두고 측근을 제거하는 방법 등등 많겠지만 복수를 한다고 행복해지진 않겠죠 행복하려고 복수를 하는 사람이 있을까 싶기도 하고.. 반드시 복수할거라면.. 복수 대상자는 성공을 거둘때 과거사를 폭로하며 복수해도 늦지 않을거라고 봅니다 나쁜짓하면 성공할 수 없다는게 최근 사건들로 증명이 되고 있으니 나쁜짓 한 분들이 인생 나가리 되기 전에 꼭 피해자를 찾아가 용서를 구하길 바랍니다 특히 학폭논란이 대표적이죠

  • @user-rz5pm4yi1s
    @user-rz5pm4yi1s Жыл бұрын

    목소리 좋으니까 앞으로도 계속 해주세요ㅋㅋㅋㅋ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Жыл бұрын

    안 하자니 적들에게 호구가 되고 무작정 저지르자니 괴물이 되고... 어쩌면 용서만큼 하기 힘든 게 복수일지도 모르겠네요

  • @Elsa0709
    @Elsa0709 Жыл бұрын

    오랜만에 교양만두다운 영상

  • @user-kv6wd2tb3t
    @user-kv6wd2tb3t Жыл бұрын

    복수는 사회를 엉망으로 만들어서 찬성할순없지만 처벌이 솜방망이인건 문제가 있는거같음 오히려 가해자들이 더 당당하게 돌아다니는건 이게 맞나싶음

  • @ddd-yu5nh

    @ddd-yu5nh

    Жыл бұрын

    똑같이 사람 죽여도 누구는 참고해서 양형 누구는 실형 ㅋㅋ

  • @user-hm2cm1lc4k

    @user-hm2cm1lc4k

    8 ай бұрын

    ​@@ddd-yu5nh솜방망이??솜방망이가 먼뜻인지모르나봄..살인죄 징역 1개월..이게 솜방망이지..1년이상은 미친형벌임..

  • @user-ou3yo8tk5e

    @user-ou3yo8tk5e

    4 ай бұрын

    군대 딱 2, 3년만 다녀와도 사회적으로 단절 당한걸 뼈저리게 느낄 수 있는데 하물며 범죄자들은 전과 있어서 대부분의 직종에 취업도 제대로 못함 ㅋㅋㅋ 그냥 교도소 나와도 감옥 갇혀 사는거나 다름 없는게 전과자들인데, 뭘 더 바람? 이제는 사람들이 원하는 기준이 뭔지 모르겠음. 예전에는 그래도 연쇄 살인마처럼 누가봐도 악인인 사람들한테나 분노했던 사람들이, 이제는 좀도둑만 봐도 사형, 무기징역, 사회적 격리를 외치고 있음. 내가 보기에 한국 대중들이 원하는 '적절한 형량'은 그냥 무시해도 될 것 같음. 한도 끝도 없이 그저 '해줘' 연발하는데, 하물며 응급실 가서도 "아잉~ 난 증상 모른다고~ 아무튼 힘드니까 알아서 처방 '해줘'"하면 진료 안하고 내쫓음 ㅋㅋㅋ 지금 한국인들 태도가 딱 이 짝임.

  • @whereisbadak

    @whereisbadak

    4 ай бұрын

    @@user-ou3yo8tk5e 이 모지리는 지가 뭐라고 짖고있는지 인지는 하는건가? 교도소 갔다오면 그만큼 힘드니 된거라고?ㅋㅋ 취업? 자영업하는사람들도 해당됨? 프리랜서들 해당됨? 취업만이 직업의 전부라고 생각하는 이 쫍아터진 머리로 대체 뭘 비판하겠다고 나불대는건지 이해를 못하겠네ㅋㅋ 법원에서의 형량은 정해진 법에 의한 판결인거고, 그걸 해줘해줘 한다고 법이 바뀌지 않지 그냥 사회적으로 이슈가 얼마나 되었고 공분을 얼마나 샀는지에 따라 대중들의 반응일 뿐인거고, 그걸 갑자기 응급실 어쩌구 거리면서 되도않게 갖다 붙이는게 말이 된다고 생각하고 쓴거냐 어휴 진짜 가만히나 있으면 중간은 가는데 꼭 중간을 못가려고 발악을 하네

  • @chugah
    @chugah Жыл бұрын

    나한테 피해망상 있던 그애 어떻게 살고있으려나 그냥 그 성격 그대로 가지고 살았으면 좋겠다 다 잊지는 못해도 그런일이 있었지~ 정도로 두고 내가 잘사는게 최고의 복수인듯

  • @user-wx8jo2gi9i
    @user-wx8jo2gi9i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교양만두님은 어떻게 이렇게 자료조사를 잘하세요? 복수에 대해 알려주는 유튜버 분은 교양만두 채널이 처음 인 것 같아요. 복수 드라마나 영화 보면 왜 저렇게 까지 하지..?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의문 해결 감사합니다! 앞으로 이런 감정을 주제로 영상 올리셔도 될 것 같아요! 전남친 죽이러 가야지.

  • @tv-ep2qv

    @tv-ep2qv

    11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 @_H34DPH0N3
    @_H34DPH0N311 ай бұрын

    복수를 할때 유의할 점: 복수를 하는 과정에서 복수와 관련없는 이에게 피해를 주면 안됩니다. 그러는 순간 그 사람은 복수를 하는 이에게 복수를 할 것이라는 것이죠.

  • @user-ie4gr2sj8q
    @user-ie4gr2sj8q Жыл бұрын

    새 교양만두 영상은 못참지.

  • @jjblue0625

    @jjblue0625

    Жыл бұрын

    모창찌~^^

  • @hololo1452
    @hololo1452 Жыл бұрын

    복수해도 속이 후련해지지 않는다는 미디어의 가스라이팅.

  • @user-qh5oi4rt1i
    @user-qh5oi4rt1i Жыл бұрын

    과거엔 폭력적이고 자기중심적이고 상처많고 정신질환 발병된 부모에게 복수심까지 품었습니다. 그치만 그게 저까지 미치기직전으로 만들더군요. 그 뒤부턴 저의 해방을 위해 복수심을 놓게됬지만, 나자신이나 주변인물을 판단하고 비판하는건 똑같았네요. 그러다 자비롭게 살 수 있냐는 크리슈나무르티 책을 보고 그러려는 중이네요

  • @user-vr3vv3pu9c
    @user-vr3vv3pu9c Жыл бұрын

    목소리 좋고 키큰 요요 팀장님!! 일제강점기 의사와 열사, 지사해 대해 더 자세히 알려주세요 ㅎㅎ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clayc891
    @clayc891 Жыл бұрын

    이 채널볼때마다 만두마렵다 하

  • @apprenticelee
    @apprenticelee Жыл бұрын

    조언 감사합니다. 저주인형 따위로 스트레스를 풀고, 남은 시간에 힘을 길러서 언젠가 원수를 완벽히 파멸시키겠습니다. 그 정도 복수라면 인생을 불태워도 후회는 없겠군요.

  • @user-kb8qp5ru9n
    @user-kb8qp5ru9n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짜 용서라는게 ...와 전 상상도 할 수가 없네요 ㅋ

  • @yoo-rilee1419
    @yoo-rilee1419 Жыл бұрын

    지푸라기 인형을 바늘로 찌르는 건 정신건강적으로 좋은 행위였네요 ㅎㅎㅎ 전 만두님 목소리 좋은데 누가 뭐라고 하나보군요... 개인의 취향이니 할 말 없습니다...

  • @user-kr6st8lv8j
    @user-kr6st8lv8j Жыл бұрын

    요요님 오늘 젤 귀엽네요 😜 좋아요 눌러주세용 ♡

  • @user-kd2on2wo7o
    @user-kd2on2wo7o Жыл бұрын

    2:36 국방력이 강해야 하는 이유네요

  • @kimg.8579
    @kimg.8579 Жыл бұрын

    뭐지ㅋㅋㅋ 이번 편 편집이랑 일러스트 정성이 장난없는데??ㅋㅋㅋ 정성 그득그득ㅋㅋㅋㅋㅋ 누구 퇴사하시나요ㅋㅋㅋ?

  • @user-ew2yi9pr3s
    @user-ew2yi9pr3s4 ай бұрын

    소수 사람들을 제외한 많은사람들은 보이는것만 보고 판단하니 내면의 진실과 어두운 면을 모르는법, 처음부터 그렇게 대하지만 않았어도, 시간지나서 제안 들어준다했을때도 몰루?하는 무시 할때 표정도 평생 잊혀지지 않는법. 이런게 존재한다는 이유로 항상 주변 사람들에게 힘있고 강한 사람이 되어야 된다는 조언을 받아왔다. 그나마 정의가 있었어서 세상의 몇몇 사람들의 사연들은 서럽고 쌓여왔던 한과 울분 등, 오랜시간이 지나서 뒤늦게나마 인생 보상 재대로 받아서 다행인거 같다.

  • @user-lr9ss2bh6s
    @user-lr9ss2bh6s Жыл бұрын

    복수는 무너진 자존감과 나의 가치를 올릴 좋은 수단입니다. 법으로 쳐 맞지 않을 방법만 가지고 있으면요.

  • @brian556m
    @brian556m Жыл бұрын

    떠오른것도 많고 할말도 많지만... 전부 가슴속에 묻어두겠습니다... 저는 그럼 마음을 다스리기 위해 저희집 대대로 내려오는 사시미칼을 갈도록 하겠습니다...

  • @hoya1317
    @hoya1317 Жыл бұрын

    사탕해요 만두형^^❤

  • @smartmandoo

    @smartmandoo

    Жыл бұрын

    🍬🍬

  • @user-tz8im3fx3j
    @user-tz8im3fx3j Жыл бұрын

    있어요 진짜 1주일에 한번씩 복수하는 꿈 꿉니다

  • @user-lr9ss2bh6s
    @user-lr9ss2bh6s Жыл бұрын

    함무라비 법전은 좀 경우가 다른게...그 시대에는 그냥 피해를 입으면 오버킬이 나니까...귀족끼리면 그게 진짜 난장이 나니까 딱 받은 만큼 행하라고 제한을 둔 케이스에 가깝다고도 하죠.

  • @ztzeros
    @ztzeros Жыл бұрын

    복수를 하는 개체나 집단이 생존에 유리했기 때문에 그런 개체가 남은거지. 국가가 형벌권 뺏어가고 복수를 막았으면 똑바로 형벌을 내려야 한다.

  • @user-be9nw2hd4u

    @user-be9nw2hd4u

    Жыл бұрын

    사람을 죽인 사람을 무조건 사형에 처하지는 않게 된 이유중 하나는 사람을 죽인 사람이 어차피 잡히면 뒈질 거 최대한 살아남고 보자고 목격자도 죽이거나 더 이상의 벌이 무의미해 사람을 더 죽이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이죠. 또 억울한 사람의 경우 되돌릴 수도 없게 됩니다. 그렇다면 사형을 제외하고 똑같은 형벌을 내리면 되지 않느냐 그것 역시 어려운 문제가 있습니다. 효율적이지도 못하고 야만적입니다.

  • @LoveKirby911

    @LoveKirby911

    Жыл бұрын

    @@user-be9nw2hd4u 흔한 좌파식 논리

  • @LoveKirby911

    @LoveKirby911

    Жыл бұрын

    @@user-be9nw2hd4u 좌파식 논리 대표적 예시: ‘어차피 형량 세게 때려봐야 범죄율 안 내려간다’=조두순 12년 ㅋㅋ

  • @lavieenrose1804

    @lavieenrose1804

    Жыл бұрын

    그 똑바른 형벌이라고 사람들이 믿곤 하는게 엄벌주의적 성향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으로, 역사적으로 엄벌주의가 배척되어가는 이유가 있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엄벌 -> 관용주의로 가는 건데, 그게 괜히 그런 거 아닙니다.

  • @lavieenrose1804

    @lavieenrose1804

    Жыл бұрын

    @@LoveKirby911 흔한 싸질러놓기.

  • @user-qi4we7be1n
    @user-qi4we7be1n Жыл бұрын

    그림은 누가 그리는건가요 넘 잘그려ㅠㅠ

  • @mhl426
    @mhl426 Жыл бұрын

    몬테 크리스토 백작 이야기가 안 나왔네요...아쉽...복수극 하면 어렸을 때부터 굉장히 좋아했던 스토리인데...

  • @user-kg7ub7de4u
    @user-kg7ub7de4u Жыл бұрын

    올만에 봤는데 만두님 구독자 늘었다 ㅎㅎ

  • @user-zv4iz3zx3p
    @user-zv4iz3zx3p Жыл бұрын

    함부라비 법전은 사실 복수가 아니라 사적복수의 금지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인간은 당한 만큼만 복수하지 않습니다. 재산을 잃었다면 건강을, 건강을 잃었다면 목숨을 빼앗는 것 같이 당한 것보다 더 큰 보복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당한 만큼의 보복, 동해보복법으로 복수의 범위를 제한하여 커지는 사적복수의 굴레를 멈추고 국가가 복수를 대신 주재하는 형태로 역사상 거의 초창기 성문법에 의한 사법 체계의 탄생이었답니다.

  • @user-jg1ds9ss1t
    @user-jg1ds9ss1t Жыл бұрын

    아 빵터져 ㅠㅠㅠ 저는 이걸 껴야 일하는데 능률이 올라가는 편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아영님 ㅋㅋㅋㅋㅋㅋㅋㅋ

  • @mydana
    @mydana Жыл бұрын

    친절한 금자씨

  • @user-he9nd2sb3z
    @user-he9nd2sb3z Жыл бұрын

    당신들이 저의 친구목숨을 살려주었습니다

  • @user-dx8yu3kc3y
    @user-dx8yu3kc3y Жыл бұрын

    개에게 물린 상처는 개를 죽인다고 낫지 않는다 -에이브러햄 링컨 1:11 하지만 측좌핵이 활성됐죠?

  • @borachoi6085
    @borachoi6085 Жыл бұрын

    짠미님.. 진짜 완전히 개로 묘사돼서........ 귀여워욬ㅋ ㅠㅋㅋㅋㅋㅋ

  • @wincup
    @wincup Жыл бұрын

    5:31 이거 무섭네요...

  • @user-ze4nv9rt6m
    @user-ze4nv9rt6m Жыл бұрын

    복수 를 당할 만 한 일! 을 안 하는게 좋죠! 그런데~ 현실 은? -> 복수심! 을 심어주고~ 용서! 하라고 강요하는 세상!

  • @isinece
    @isinece Жыл бұрын

    용서라는것은 스스로가 절망속에서 무너저내리는것을 막고 살아남기위한 마음속 마지노선일 뿐이지 정말로 가해자를 관용으로 따뜻하게 품으라는 소리가 아닙니다...

  • @mspark1821
    @mspark1821 Жыл бұрын

    저녁에 만두를 씹어 먹었더니 배푸르네..만두는 역시 털보네 만두보다 교양만두지..

  • @user-xk3st3uh3d
    @user-xk3st3uh3d Жыл бұрын

    세상 모든 정당한 복수를 위하여!

  • @jinahkim6584
    @jinahkim6584 Жыл бұрын

    힘내세요

  • @user-zq8hi1wg2l
    @user-zq8hi1wg2l Жыл бұрын

    복수는.. 복수를 낳습니다.. 당사자가 죽거나 정말 크게 손해를 입으면 그사람의 가족이나 지인들이 복수 한사람에게 원한을 품을거예요 정 사적으로 복수하고 싶다면 학교든 직장이던 증거자료 몇개로 소문내서 이미지 안좋아지게 하는 정도로만 하고 끝내는게 제일 깔끔하고.. 좀 답답해도 웬만하면 제도적인 틀 안에서 해결하는게 제일 뒤탈이 없어요 어떻게보면 여러분이 꼭 응징을 해야겠다고 생각했을때 국가나 사회가 그 책임을 같이 져주는 방법이기 때문에 이를 벗어난 방법의 복수는 얼마간은 속이 시원하겠지만.. 갈수록 걱정해야 할게 많아질겁니다..복수를 한 이후의 모든 상황을 오로지 혼자 책임져야 한다는 거니까요.. + 명상살인 이라는 소설을 꽤 재밌게 읽었는데.. 여기에 사적복수 그 이후에 펼쳐지는 현실적인 삶을 아주 자세하게 그려놨어요.( 심지어 주인공은 대형 로펌의 에이스 변호사인데도 난감한 상황을 꽤 많이 겪습니다..) 한번 보시면 꽤 재밌을겁니다.

  • @user-cl7uw5nd2p
    @user-cl7uw5nd2p Жыл бұрын

    가족죽인 사람을 죽이면 그 모가지를 고인이 된 가족의 묘지에 바칠수는 있지

  • @Black_man721
    @Black_man721 Жыл бұрын

    확실히 복수나 화는 나를 성공시키는 원동력이되기도함

  • @user-yh4pq3dq2l
    @user-yh4pq3dq2l Жыл бұрын

    복수도 하나의 수단이자 도구이자 방식이다. 복수를 부정하지 않겠다. 하지만 복수 행위보다 더 나은 길이 있다면 그 길을 걸어야 하고, 우리는 더 나은 존재가 되어야만 한다.

  • @KIMdirectorTVYSMA_EandM
    @KIMdirectorTVYSMA_EandM Жыл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

  • @user-wy7nt8wm5g
    @user-wy7nt8wm5g Жыл бұрын

    그러니 법이 있는 건데 법이 그 역할을 못 하고 있으니...

  • @North_Jeollado
    @North_Jeollado Жыл бұрын

    제가 예전에 교회를 8년 다녔거든요 솔직히 교회에서 좋은기억은 그닥 없지만, 아무래도 다니다보니 형제에게 라가라 하는자는 벌을..어쩌고저쩌고 그 구절이 자꾸 떠오르고, 마음속으로 욕하는것도 죄짓는일이라는거에 반성을 하고있습니다 그래서 교회안다니는 지금도 저한테 말 함부로하는 사람들에게 화가나서 뒷담이나 혼잣말을 할라 치더라도 한번 한숨쉬고 삼켜버리거든요 혼자 욕짓거리만 안했지, 그 화가나는 마음은 그대로 갖고있긴하지만요 그러다보니 화가 쌓여서 아무도 안볼때 벽이나 쿠션같은데애 주먹질 하기도 하고, 횡단보도 녹색신호에 무대뽀로 진입하는 우회전 차량을 주먹으로 쳐서 시비붙은적이 두번이나 있었습니다 이대로 참다가는 사람이나 동물에게 주먹질 할거같아 겁이나네요 솔직히 누구한테 뒷담화 하는거 아니더라도 혼잣말로 저 썅x 왜 항상 나한테만 xx이지 오함x로 x버리고싶네 이런 말 아무도 없는곳에서 속시원하게 해야 좀 후련할거같은데 그러면 죄를 짓는거라 못하겠네요 이미 차를 주먹으로 치고 시비붙은거에서 죄를 지었긴 합니다만

  • @user-zx5uk4cj1j
    @user-zx5uk4cj1j Жыл бұрын

    조선 왕편은 더이상 안나오나요? ㅜㅜ 넘 재밌게 봤는데....

  • @user-ul2hg3vk3v
    @user-ul2hg3vk3v Жыл бұрын

    함정은 다음에도 풀려면 바늘로 찌른던게 칼로 인형도 보다 리얼해야 한다는 것. 점점 커져야 한다는 것 우리의 자극은 더욱 강렬해야 반응한다는 것 오직 들뜬 마음을 가라앉히는데 있다

  • @primero2896
    @primero2896 Жыл бұрын

    복수는억울한사람이하는게아니야 힘있는사람이하는거지...

  • @GR_EZGGAGGA
    @GR_EZGGAGGA Жыл бұрын

    요요 목소리 개좋다

  • @gyu_of_one
    @gyu_of_one Жыл бұрын

    *복수가 자기개발의 원천이 되기도 하는것 같아요* *저에게 못되게 굴었던 사람이 있는데* *그사람의 사회적 지위가 저보다 높거나* *폭행, 상해를 입히게 된다면 제가 법적인 처벌을 받으니* *_내가 너보다 잘나서 너를 찍어누른다_* *라는 발전의 원천이 되기도 하는것 같습니다*

  • @Nirvana-Nevergone
    @Nirvana-Nevergone Жыл бұрын

    함무라비 법전의 눈에는 눈, 이에는 이에는 조금 더 심층적인 의미도 있습니다. 눈에는 눈만큼, 즉 눈 이상을 바라지 말라는 뜻이자 되로 주고 말로 받기를 방지하기 위한 조항에 가깝습니다.

  • @user-ct2ud4qe5p
    @user-ct2ud4qe5p Жыл бұрын

    재밌다

  • @user-st7ok3xy5e
    @user-st7ok3xy5e Жыл бұрын

    은혜는잊어도 원수는 잊지않는게 남자의 도리입니다

  • @sapiron7528
    @sapiron7528 Жыл бұрын

    다른분들도 좋지만 요요 팀장님이 제일 귀여워서 좋은데 올'ㅋ'

  • @luckydicelee3220
    @luckydicelee3220 Жыл бұрын

    (초롱초롱) 저는 악플도 안다는 착한 전만이입니다! (엄근진) 대신에 일 안하면 채찍은 들꺼에요. 앞으로도 열심히 일해주세요 교양만두~

  • @daniel89min30
    @daniel89min30 Жыл бұрын

    학교폭력, 사회괴롭힘, 악플 등의 수 많은 경험을 가진 사람들에겐 증오심이 발생하여 괴롭힌 사람을 똑같이 벌하는게 복수 아닐까요 용서를 해도 변함과 소용이 없는 사람은 분명 잘못된 인성이기 때문에 아마도 복수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가해자와 피해자의 용서가 통한다면 아마도 진정한 용서입니다.

  • @jjujjuba9517
    @jjujjuba9517 Жыл бұрын

    나한테 나쁜짓한 사람은 가만히 있어도 자연스럽게 복수할 기회가 생김..ㅋㅋㅋ 기회를 보고 있으면 됨

  • @user-ro3ou3lj1m
    @user-ro3ou3lj1m Жыл бұрын

    법적으로 복수심을 갖지않을 방도가 있다면 좋겠지만 현실의 법은 가해자에게 유리한 상황을 만들죠 피해자는 일방적으로 피해입을래 똑같이 범죄자할래의 이지선다에서 후에 억울한마음에 복수마저 범죄라 틀어막히는데 가해자는 운좋으면 안걸릴수도 있고 합의라는 경우의수도 생기고 죄를 저질럿더니 벌을 받고 벌받았으니 아무문제없다 라고 넘기죠 그마저도 변호사빨 받아서 형벌을 줄일수도 있고요

  • @DrabuIy
    @DrabuIy Жыл бұрын

    0:42 Opening 6:45 Endcard

  • @hkk909
    @hkk909 Жыл бұрын

    복수가 최고의 용서입니다

  • @l7story454
    @l7story454 Жыл бұрын

    5:32의 예는 "세월이 약이다" 아닌가여? ㅋ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