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심리학자가 '위플래쉬'를 스릴러 영화로 보는 이유 | 지선씨네마인드 '위플래쉬' (SBS 방송)

Фильм және анимация

#지선씨네마인드 #위플래쉬 #가스라이팅
음악 영화로 알려진 '위플래쉬'.
한때 교육 영화로도 권장되었다는 이 영화의 장르가
사실은 스릴러였다?
순수했던 한 학생이 존경하는 교수에게
심리적으로 종속되는 과정을
현실적이고 소름 돋게 담아낸 영화 '위플래쉬'.
주인공 네이먼의 심리 상태 변화에 집중하면서 감상한다면
지금껏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것들이 보이기 시작할걸요?
국내 최초 무비 프로파일링 토크쇼
지선씨네마인드 3회 '위플래쉬' (2022.10.14 방송)
[지선씨네마인드] 풀영상 다시보기
▶ 지선씨네 홈페이지 : programs.sbs.co.kr/culture/ci...
▶ 웨이브(wavve) : www.wavve.com/

Пікірлер: 1 000

  • @sbstruth
    @sbstruth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그앓이 여러분🙌 지선씨네마인드에서 편을 다루며 영화를 두배로 즐길 수 있는 티켓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는 원본 영화 상영에 맞춰 세계적인 음악감독 저스틴 허위츠(Justin Hurwitz)의 지휘와 18인조 재즈 빅 밴드의 라이브 연주로 영화의 뜨거운 감동을 선사할 예정인데요. 지선씨네마인드 영상을 보고 감상평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추첨을 통해 공연 초대권을 드립니다! 그앓이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참여 방법 : 지선씨네마인드 요약 영상 (지금 보시는 이 영상) 댓글로 감상평 남기기 - 상품 : 11월 8일(화) 오후 8시 공연 R석 초대권 - 당첨인원 : 10명(1인 2매) - 이벤트 기간 : 10/15(토)~10/21(금) 자정까지 - 당첨자 발표 : 10/24(월) 그알 채널 커뮤니티 통해 발표 📍공연정보 [LOVE IN SEOUL 2022] WHIPLASH In Concert(위플래쉬 인 콘서트) ▶공연일시 : 2022. 11. 8. (화) 오후 8시 / 11. 9.(수) 오후 8시 ▶공연장소 :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관람연령 : 15세 이상 관람가 ▶러닝타임 : 1부: 62분 / 인터미션: 20분 / 2부: 49분 ▶예매처 : 위메프(lrl.kr/V6h / 1661-4764) 인터파크(lrl.kr/V6g / 1544-1555) 세종문화티켓(lrl.kr/cdwx / 02-399-1000)

  • @user-hv9qc6vs8g

    @user-hv9qc6vs8g

    Жыл бұрын

    피디수첩이 찐인가요 그알이 찐인가요?? 인기는 피디수첩이 훨씬 많던데 엠비씨도 있고

  • @user-xy1hw4hh3b

    @user-xy1hw4hh3b

    Жыл бұрын

    위플래쉬 인 콘서드 정말정말 가고싶어요 😭 지선씨세마인드 열혈팬이에요 오늘 예전에 마음졸이며 봤던 위플래쉬를 프로파일링해주시는걸 보며 아내가그래서 이 영화를 봤을때 답답했구나 그게 내 감정이 맞았구나 싶어서 안도했어요 ㅜㅜ 다음편도 정말정말 기대가됩니다 사랑해요 💜

  • @XX-mi6ow

    @XX-mi6ow

    Жыл бұрын

    31:03 마지막 해석에서 제 생각과는 차이가 있네요. 아버지가 위로하면서 안아준 장면 이후 다음 다시 공연장으로 돌아간 이유는 앤드류가 아버지 같은 삶을 살기 원치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 영화는 가스라이팅의 가해자가 2명이 있는데 그건 플레쳐교수와 아버지입니다. 플레쳐는 예술이라는 목적을 위해 폭력적이고 독단적인 인생을 강요했고 아버지는 안정적이고 평범한 인생을 강요합니다. 아버지는 작가라는 타이틀을 가지기엔 뭐하나 내세울 작품 하나 없는 재능 없는 사람이었고 자신의 열등감을 지우기 위해 큰 업적을 이룬 인물들의 인생을 비난합니다. 그러면서 자신보다 조금이나 잘 살고 높은 위치에 있는 사람 앞에서는 굽신거리죠. 아마 앤드류는 아버지가 자기합리화를 하는 불행한 삶을 살고 있다고 느꼈을 겁니다. 심지어 아버지는 앤드류의 실패에 위로하는 모양세를 가지지만 한편으로는 기뻐하는 거처럼 보입니다. '너의 실패는 누구나 격는거다. 그리고 나는 너가 그런 힘든 인생을 살기를 원하지 않는다. 그래서 나는 행복하고 좋은 인생을 살고 있다.' 앤드류는 그런 아버지의 마음을 직관적으로 느꼈을 겁니다. 평생을 같이 해온 가족이었고 옆에서 그런 태도를 봐었을 테니까요. 앤드류는 자신은 재능이 있다고 생각했고 특별해지기를 원했어요. 폭력적이고 고된 과정이 있더라도.. 두 사람이 타협점이 있는 인생을 제시해주지 못한건 안타깝지만 그만큼 두사람은 달랐고 극단적인 자신의 삶을 강요했습니다. 사람마다 행복의 기준이 다른데 그중에는 성취욕과 인정욕도 있습니다. 아버지라고 가족이라고 해서 무조건 자식을 위하고 좋은 행동을 하는 건 아닙니다. 자신을 위해 자식을 혹사시거나 꿈을 포기하게 하는 경우도 많으니까요. 박지선 범죄심리학자님의 영화 해석을 항상 흥미롭게 보고 있었는데 이번에는 많이 어설프고 단순하게 심리파악을 하신건거 같아 아쉽습니다.

  • @Cocoasoupp

    @Cocoasoupp

    Жыл бұрын

  • @smithjohn4713
    @smithjohn4713 Жыл бұрын

    교육계에 있는 사람으로서, 정말 다시는 보고 싶지 않은 영화입니다. 수작이지만, 너무 잘 만들어서 보는 내내 짜증이 나는 영화였습니다. 폭력을 휘두르는 부모들과 선생들이 각자의 마음속에 본인이 '참스승'이라며 이런 영화식의 정당화를 할 까봐 겁이 납니다. 정말 그런 사람들은 보지 않았으면 하는 영화이기도 합니다.

  • @user-xm3zw1kx5x

    @user-xm3zw1kx5x

    Жыл бұрын

    저역시 참 힘들어하며 봤던 영화로 기억합니다. 그 당시 가스라이팅이라는 말로 표현은 못했지만 교육방법과 심리측면에서 너무 불편했습니다. 또 개인적으로 옳지않다고 생각했구요..

  • @user-rl5sh4cb8d

    @user-rl5sh4cb8d

    Жыл бұрын

    하지만 성공했으니 된거 아닌가요? 결국 주인공은 스승의 방법대로 각성했으니 방법이 틀린거 같지는 않습니다

  • @user-bq8bf6hd6y

    @user-bq8bf6hd6y

    Жыл бұрын

    교육계,스승이 실력도 없는데 가스라이팅하면 말도안되지만 플래처같은 스승이 가스라이팅하면 실력이 빨리 최고수준으로 느는건 맞죠 저렇게 배우면 절대 잊을수가없죠 운동 예체능 해보시고 배워본사람이면 이게 기회라는걸 잘알겁니다 심리 지배가 아니라 성공 할수있는 유일한 기회입니다 어차피 재능없고 그릇 안되는거면 가스라이팅 되어서 빨리 관두는게 현명해요 네이먼 아버지말씀처럼요 근데 네이먼처럼 각성상태를 끌어내 성과로 이어진다면 독보적 존재가되죠 이게 명확히 해야될부분이 학교에서하는 교육과는 예체능은 전혀 다르다고봅니다 예체능은 1,2위가 아니면 의미가 없기때문에 그렇습니다 웃는얼굴로 듣기좋은말해서는 손에 피가날정도로 연습으로 이어질수도 없고 어느정도는 필요도 하다고보겠죠 해당분야에서는 최고가 아니면 전공살려 먹고살수없으니그렇죠 우리나라 체육분야가 처벌만 하고 결과는없다고하시는데, 실력있는 스승이 없어서 결과도 없는 가스라이팅만 이어지고 있는거에요 어쨋든 플래처는 네이먼을 만들지않았습니까 네이먼은 강해졌습니다 플래처 교수나 스티븐 잡스나 비슷해보이네여 결국 세계1위 기업 애플 입사하는 건 최고수준 직원이고 그리고 현실은 플래처(잡스) 까는 사람은 아이폰 사용하고있고 ㅎ 사람 그릇의 차이입니다

  • @user-kimdaeung

    @user-kimdaeung

    Жыл бұрын

    이 영화가 오히려 이런 교육 방식은 옳지 않다고 괴물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려고 만든 영환데 역으로 해석하는 사람들이 많더라구요

  • @24th_dec

    @24th_dec

    Жыл бұрын

    @@user-rl5sh4cb8d 그걸 경계하라고 만든 영화입니다

  • @user-zq2kg8hv3h
    @user-zq2kg8hv3h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론 플레쳐는 망하고, 앤드류가 음악으로 성공하거나 다 잊고 다른길을 가길 바랐는데, 감독은 ‘플레쳐는 영원히 승리했다고 생각할것이고, 앤드류는 슬프고 속이 텅 빈 채로 살다가 30대에 약물과다복용으로 죽을 거다’ 라고 인터뷰 했죠. 인터뷰보고 한동안 멍했던 기억이있네요..

  • @user-nd6hp5dg2e

    @user-nd6hp5dg2e

    Жыл бұрын

    헐 충격..

  • @user-mu6uz9zi6l

    @user-mu6uz9zi6l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에서도 나온 장면처럼, 34세에 술과 마약에 찌들어 비참하게 죽은 찰리 파커, 그리고 그런 말로일지라도 평범한 삶보다는 유명세가 낫다는 주인공의 모습은 이게 복선이구나 싶게 만들죠.. 참 아쉬워요.

  • @yas-oh

    @yas-oh

    Жыл бұрын

    근데 그게 현대사회에서 정답이긴함

  • @maryyy000

    @maryyy000

    Жыл бұрын

    @@yas-oh 정답은 무슨ㅋㅋㅋ

  • @user-lb8gx3vj2r

    @user-lb8gx3vj2r

    Жыл бұрын

    @@user-mu6uz9zi6l 플레쳐가 울면서 해준 자살한 다른 학생 얘기도 복선인 것 같아요.

  • @cctv8438
    @cctv8438 Жыл бұрын

    이거 리뷰나 평점 엄청 많이 찾아봤는데.. 영화에서는 단 한순간도 긍정적으로 묘사된적 없는 플레처에게서 감동이나 감화 받은 사람들도 생각보다 많았던게 충격이었음 ㅋㅋ

  • @daslkwoidl

    @daslkwoidl

    Жыл бұрын

    저걸 한국에선 카리스마라고 생각함

  • @jinyoon7163

    @jinyoon7163

    Жыл бұрын

    난 그거보고 한국 사회가 이미 정상의 범주에서 벗어났다는걸 느꼈음

  • @user-uf6kw4zv9f

    @user-uf6kw4zv9f

    Жыл бұрын

    어떻게 사이코패스를 좋아할 수가…맙소사

  • @handleit505

    @handleit505

    Жыл бұрын

    저도 같은생각입니다. 교육자의 귀감으로 생각하는걸 보고 충격받았던 기억이 있네요

  • @momonunuo

    @momonunuo

    Жыл бұрын

    wow... 충격이네요;;;

  • @keepurselfalive
    @keepurselfalive Жыл бұрын

    한국사람들이 특히 이 영화를 보고 더 열심히 살아야겠다 생각하고 말하는 게 너무 공포스러웠어요 그리고 실제로 감독도 심리스릴러로 이 영화를 얘기하던데 유독 한국은 공부자극영화 인생자극영화로 부르더라구요 그게 참 지금껏 불편했습니다 ㅜㅜ 예체능 공부를 하고 있는데, 그 어떤 장르나 그 어떤 걸 공부하더라도 폭력이나 협박은 정당화될 수 없다고 생각해요

  • @znew
    @znew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영화에 대한 아무런 정보 없이 영화관에서 봤다가 다 보고 나오면서 기가 다 빨려서 다리가 후들거렸던 기억이 있어요 ㅠㅠㅋㅋㅋ 진짜 교수님 말씀대로 스릴러 장르 맞는 것 같습니다 ㅋㅋㅋ 그 당시에 영화를 보면서도 도대체 플레처는 앤드류에게 왜 그랬을까? 생각했었는데 이렇게 교수님의 상세한 설명이나 심리 분석이 함께하니까 영화를 한층 더 이해하기가 쉽네요! 저는 지금 이렇게 편집된 부분만 다시 봐도 기빨려요...

  • @minyoo1509

    @minyoo1509

    Жыл бұрын

    저도 저 영화 보기 직전에 만두 먹었었는데 영화 끝나고 급체가 와서 3일동안 아파서 병원 다녀왔던 기억이..ㅠㅠ

  • @cchoi3799

    @cchoi3799

    Жыл бұрын

    저도 보면서, 본 후도 넘나 스트레스 쌓였던 영화

  • @user-dh4vo6vi9e

    @user-dh4vo6vi9e

    Жыл бұрын

    저두요;; 아직두 생생하네요 ㄷㄷ

  • @hs1767

    @hs1767

    Жыл бұрын

    엘리트만능주의 = 관계윤리보단 엘리트 사기기질 있는 성격 = 나르시즘, 리플리증후군, 소시오패스(반사회적)

  • @user-hx5ue9fo3n

    @user-hx5ue9fo3n

    6 ай бұрын

    박지선 교수님의 해석은 지극히 범죄심리학 관점에서의 해석이죠. 예술에 있어서 무조건적으로 대입할수는 없다고 봅니다. 감독조차도 자신은 플레처의 손을 들어주고싶지않다 라고 말하면서도 예술을 위한 것이라면 용인될수 있는지 아닌지 답을 못냈다고 했죠. 여러 상황, 관점을 가진 사람들의 다양한 해석을 위해 열린결말로 열어두었다고 했는데, 채널이 채널인지라 범죄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공감하시는분들도 많네요

  • @hl5702
    @hl5702 Жыл бұрын

    플래쳐가 앤드류 가정사에 대해서 묻는게 자기가 괴롭혀도 되는 대상인지 물색하는 거라는 해석에서 너무 소름이 돋았어요.... 일상 생활하면서 만난지 얼마 안됐을 때 상냥하게 떠보는 질문을 하던 사람들이 떠올라서요. 정말 스릴러 영화라는 말에 공감하고 가스라이팅이 무엇인지 가해자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 아는 것만으로도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유익한 지선씨네마인드 열심히 챙겨볼게요 :)

  • @user-hf4ft5cw4b
    @user-hf4ft5cw4b Жыл бұрын

    어릴때 봐서 폭력적인 장면들에 무섭고 힘들다는 생각 뿐이었는데 교수님의 해석을 들으니까 막연했던 부분들이 풀려져서 이제야 위플래쉬를 제대로 본것 같아요! 어디든간에 교수의 영향력이 크긴 하지만 예체능에서는 더욱 심해서 고통받는 학생들이 많죠..

  • @user-yv9iw5bg3t

    @user-yv9iw5bg3t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예체능 자살률이 ㅈㄴ높음

  • @hs1767

    @hs1767

    Жыл бұрын

    엘리트만능주의 = 관계윤리보단 엘리트 사기기질 있는 성격 = 나르시즘, 리플리증후군, 소시오패스(반사회적)

  • @sunghoseo2839
    @sunghoseo2839 Жыл бұрын

    위플래쉬 개봉당시에 "열정가득한 멋진 영화다. 대박이다" 라는 평이 많아서 봤는데, 저는 불쾌하기만 했었어요. 그런데 몇년이 지난 지금, 저와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이 무려 박지선교수님이라 너무 반갑고 위안이 됩니다. 저도 예체능 계열로 학창시절을 보냈던 터라 더 공감이 됩니다 ㅜㅜ

  • @hs1767

    @hs1767

    Жыл бұрын

    엘리트만능주의 = 관계윤리보단 엘리트 사기기질 있는 성격 = 나르시즘, 리플리증후군, 소시오패스(반사회적)

  • @user-iq2kl4co2e

    @user-iq2kl4co2e

    Жыл бұрын

    그니까요. 심지어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교육영화라고 보여줬으니 참..

  • @painted_original

    @painted_original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는 왜 이 영화에서 감동받았다고까지하고 저 선생의 방식대로 하는것도 이해하는 분위기가 있는걸까요??? 교수님이 이 부분 꼭 따로 다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user-je3nz4rk7l

    @user-je3nz4rk7l

    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버전으로는 영화 4등이 있음

  • @jhi6595

    @jhi6595

    7 ай бұрын

    상하관계가 분명하고 마음에 안들면 강압적으로 휘두르는게 암묵적으로 당연하듯이 받아들이다 보니 그런것 아닐까요. 보통 조직적으로나 부모자식 관계에서 나르시시스트가 많이 보였다 하더라구요

  • @ledzptoto2
    @ledzptoto2 Жыл бұрын

    박지선 교수님이 정확한듯 합니다. 학교든 사회 생활이든.. 따스하고 잘 알아듣게 가르쳐 주는 샘 또는 선배가 있고 / 뭘 가르쳐 줘도 마치 힘들고 불편하게 억압적으로 가르치는 인간들이있습니다. 억압적이지만 난 널 위해 최선을 다해 가르치는거야 라는 탈을 쓴채.. ㅎㅎ 세상은 넓고 좋은 사람 많습니다. 그들에게 배우세요

  • @chumlee225

    @chumlee225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그래서 지잡대 대학원 자퇴

  • @user-hv9fx2oq4u
    @user-hv9fx2oq4u Жыл бұрын

    장도연님 군더더기 없이 말씀도 잘하시고 리액션도 좋고 교수님 얘기에 잘 따라가면서도 약간의 유머와 편안한 진행 너무 좋네요.

  • @user-lb2zz6xk9b

    @user-lb2zz6xk9b

    Жыл бұрын

    프로그램과 넘 잘어울리는 MC인 것 같아요 ㅎㅎ

  • @ori6205

    @ori6205

    Жыл бұрын

    @@user-lb2zz6xk9b 지식인 아닙니까 또

  • @user-uz3ex1sz7k

    @user-uz3ex1sz7k

    Жыл бұрын

    ㅇㅈ 너무 오버 안해서 좋음

  • @user-vi3pb4wb5m
    @user-vi3pb4wb5m Жыл бұрын

    음악영화라고 봤던 위플래쉬가 보면서 왜 자꾸 불편하고 무서웠는지 지선교수님의 설명을 듣도 제가 느꼈던 감정이 무엇인지 아주 명확하게 알게 됐어요~ 지선씨네마인드 사랑합니다.♡

  • @skykim-t1w
    @skykim-t1w Жыл бұрын

    처음에 음악영화인지 알고 극장에가서 봤다가 영화를 보는내내 폭력이나 폭언으로 극한으로 치닿게 만들어도 결과만 좋으면 된다라는 느낌이 들어 마지막엔 진짜 묘한 감정이 들었던 영화였는데 왜 그런 감정이 나오는지 교수님이 알기 쉽게 표현해주셔서 진짜 영화리뷰를 보는것이 아니라 어떤 사건의 범죄를 재구성한 느낌이어서 정말 신선했습니다 가스라이팅 되서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점점 동조화 되는 모습을 바라보면서 정신적 학대가 얼마나 무서운지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는 리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goguma_123
    @goguma_123 Жыл бұрын

    보면서 전 직장 다닐 때 선임에게 당했던 일들이 떠올라 집중해서 봤어요... 플래처에 대한 분석, 플래처의 성격 특성들이 너무나 비슷해서 그때 당시 제가 왜 힘들어하고 스트레스 받았는지 이해가 되면서 상처가 조금은 치료가 되는 것 같아요 이번 영상도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cynthiakim7750

    @cynthiakim7750

    Жыл бұрын

    저도요... 심지어 다른 경력을 쌓고도 그 직장에 다시 돌아가 더 잘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곤 했는데... 제 모습이 앤드류와 겹치는 걸 보니 소름 돋네요. 이 영상으로 많은 것을 깨닫고 치유받아 갑니다.

  • @frame4409
    @frame4409 Жыл бұрын

    위플래쉬 처음 봤을때 네이먼한테 감정이입 엄청 되서 보는 나조차도 뭐가 잘못되었는지 잘 판단이 안되었는데 심리학적으로 분석하면서 보니까 진짜 정신지배, 가스라이팅 그 자체네요,,,, 현실에서도 저런 일이 있을까봐 무서워요😰

  • @DrD130
    @DrD130 Жыл бұрын

    처음 개봉했을때 별 생각없이 봤다가 PTSD와서 엉엉 울었던게 생각나네요. 저도 인서울 음대 출신이고 전공까지 퍼커션이였거든요ㅠㅜ 제 연주듣고 교수님이 지휘봉 던지고 나가신적까지 있어서.. 지금은 저한테 재능에 없다는 걸 인정하고 다른길로 가지만 그때는 세상 전부였으니까요.

  • @yas-oh

    @yas-oh

    Жыл бұрын

    연습을 더할생각은안햏나요?

  • @user-bw1kk4xk4f

    @user-bw1kk4xk4f

    Жыл бұрын

    세상 전부가 될 때까지 얼마나 많은 연습이 있었겠냐

  • @DrD130

    @DrD130

    Жыл бұрын

    @@yas-oh 물론 미친듯이 연습했죠~ 아침에 샌드위치 하나사서 학교 연습실에 들어가면 막차타고 집에 올때까지 연습실에서 나오질 않았어요. 손에는 상처가 너무 많아 테이핑을 하면 배구선수 처럼 보이던 시절이었어요.매트로놈 60부터 1씩 올리면서 130-140 이 완벽하게 연주 될때 까지 매일 반복했죠. 그래도 저 처럼 평범한 사람은 비범한 준재와 천재사이에 치여서 낙오될 뿐이죠. 지금도 트라우마로 자동차 깜빡이 소리, 시계초침 소리 등 규칙성이 있는 소리는 듣기 힘듭니다.ㅎㅎㅎ

  • @DrD130

    @DrD130

    Жыл бұрын

    @@user-bw1kk4xk4f이해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ㅜ

  • @andrewlee1007

    @andrewlee1007

    Жыл бұрын

    와 고생하셨네요 ㅎㄷㄷ

  • @user-yq7mk4pf6v
    @user-yq7mk4pf6v Жыл бұрын

    미대나왔는데 저런교수있었음. 저 영화보는데 PTSD쎄게 왔었는데.. 나한테는 진짜 역겨운 영화였는데 친구는 예술영화의 정수라며 칭찬해서 아연했었는데..

  • @ttbb-tt7kr
    @ttbb-tt7kr Жыл бұрын

    이제는 저게 가스라이팅이다 라고 정신적 폭력에 해당한다고 누구나 알 수 있고 말할 수 있는 세상이어서 다행이라고도 생각이 듭니다..

  • @hs1767

    @hs1767

    Жыл бұрын

    엘리트만능주의 = 관계윤리보단 엘리트 사기기질 있는 성격 = 나르시즘, 리플리증후군, 소시오패스(반사회적)

  • @sohyunpark3968
    @sohyunpark3968 Жыл бұрын

    가스라이팅에 대해서 일면을 잘 보여주는 영화인데, 이걸 하나하나 풀어서 설명해 주셔서 너무 좋았습니다. 특히 2차 가해에 대해서도 그 상황을 지켜보는 사람들이 '공정세상 신념'이라는 심리가 작용되어서 피해자를 탓한다는 것도 흥미로웠습니다.학교나 직장 생활을 통해서 알고 있었지만 말로 정확히 짚어주셔서 이게 그런 원리구나를 이해했어요. 한 가지 교수님과 저의 관점이 다른 점에서도 흥미로웠는데, 그 부분은 네이먼의 아버지와의 관계였어요. 저는 영화관에서 다른 옵션도 있다는 말을 할 때 솔직히 아버지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힌 사람(물론 자식의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 하는 말이지만), 또는 나태한 인물로 비쳐졌거든요 이미 은퇴시기에 접어들어서 뭔가를 도전하지 않는 사람으로요. 그래서 자식이 세상을 향해 도전해서 깨어질 걸 두려워하고, 다른 길이 있다, 더 편한 길, 안전한 곳으로 가라는 말로 느껴졌어요. 또한 마지막 장면에서도 네이먼이 또 배신을 당해서 비참하게 무대뒤로 걸어나올 때 안아주며 집에가자고 했지만, 저는 그러면 안됐다고 생각했거든요. 평생 그 상황을 그대로 마음에 간직하고 사느니 한번 가서 싸우고 부당함을 알려야 한다고 느꼈으니까요. 물론 돌아갈 곳이 있고 사랑이기는 하지만 그 사랑이 과연 약이 될지 독이 될지는 알 수 없는 거니까요. 아버지가 있어서 가능했다기보다 네이번의 응축된 드럼에 대한 확고한 신념, 나를 이끌어주는 사람이 없어도 '내가 하고 싶은 거니까 해' '인정받지 않아도 돼' 이런 포텐이 터진 씬이라고 느꼈습니다. 역시 모두 다 보는 관점이 다르네요 정말 재밌습니다 '-' 꼭 범죄영화 아니어도 이런 장르로 많이 다뤄주세요 잘 보고 있습니다 :)

  • @jolgoo

    @jolgoo

    Жыл бұрын

    저도 이 의견에 동의해요! 아버지가 아들을 사랑하는방식이 잘못 되었다고 느꼈습니다. 앤드류는 스승도, 부모도, 친구에게도.. 기댈데가 없었고요.

  • @addie6256

    @addie6256

    Жыл бұрын

    오 저는 교수님 의견도 이 의견도 다 맞는 것 같아요 엄밀하게는 아버지는 교수님 의견에 가깝게 생각하고 행동했지만 아들에게는 댓글 쓴 분처럼 가닿지 않았나..싶네요 마지막에 무대에 오른 것도 ‘아버지 덕분’까진 아니지만 그런 아버지라도 있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싶기도 하고요. 다만 아버지가 아들의 마음 자체를 매우 잘 이해해주고 행동을 한 것은 아니라 아들은 아들대로 매우 외롭다고 느꼈을 거 같습니다

  • @Anne-yw9kg

    @Anne-yw9kg

    Жыл бұрын

    ​​@@jolgoo 방탄소년단 멤버중에 태형이가 한 말중에 어쩌면 자신이 떨어질지 모른다고 아버지에게 말하니까 아버지가 그게 뭐라꼬? 다른 길도 많으니까 다른 거 찾아보자 했는데...태형이는 거기서 마음이 안심이 됐을 것 같아요. 돌아갈 곳이 있구나! 여기서 버림받아도 갈 곳이 있구나! 선택지가 있다는게 중요합니다. 그래서 불안하지 않고 다시 승부욕이 생겨서 싸울때 싸우더라도 끝까지 쓰러질 때까지 해보겠다는 의지가 생길 것 같아요. 만일 의지할 곳이 한 곳도 없다면 늘 불안해서 포기할 수도 있어요 ㅎㅎ

  • @jolgoo

    @jolgoo

    Жыл бұрын

    @@Anne-yw9kg 그렇게 볼수도 있겠네요! 저는 아버지가 드러머로서의 아들의 꿈을 가벼이 여기고 무시하는 것처럼 느껴졌어요. 또는 자기 아들이 성공하지 못할것 같은 아버지의 두려움이 "그거 별거 아니야" 라는 식으로 투영된 것 같기도 했구요. 아들 입장에서는 자신을 믿고 지지해주기 보다는 자신의 꿈 자체를 받아들이지 않는 듯한 아버지가 서운했을거라고 봤어요. 해석이 달라서 재미있네요. 🙂

  • @Anne-yw9kg

    @Anne-yw9kg

    Жыл бұрын

    @@jolgoo 사람마다 다 다르죠! ㅎㅎㅎ 나는 선택지가 있을 때 어디가서도 당당한데 선택지가 없이 한곳에 매여 있어야한다고 생각하면 기죽게 될 것 같아요 ㅠ 방탄소년단 이야기를 다시 하자면 제이홉은 아버지가 굉장히 반대를 많이 했답니다. 항상 기죽어 있는 듯하고 죽기살기로 했다는데 데뷔하고 나서 몰래카메라에 아버지가 축하한다고 인정해줬을 때 엄청 울더라고요. 그동안의 설움이 복받쳤는지..ㅠㅠ 슈가도 부모님 반대를 무릅쓰고 성공한 후 공연장에 부모님이 왔을때 큰절 올리고 펑펑 울면서 일어나지 못하고 ㅠㅠ 리더 남준이는 너무 힘들어서 도망나왔을 때 아버지가 다시 돌아가라고 설득했다는데..ㅋㅋㅋㅋ 이해되긴 하죠. 이미 학업을 포기하고 연습생이 되었는데 중도에 그만두면 사실 갈 곳이 없어요. 위플래쉬 보면서 방탄소년단이 떠올랐습니다 ㅎㅎ 처음부터 부모님이 밀어주면 아무래도 활발하고 당당하긴 할 것 같아요 😂 사람마다 감정이 다 다르니까...보는 사람도 다 다르죠^^~

  • @PengLV_forever
    @PengLV_forever Жыл бұрын

    영화 개봉 영화 보고 음악 영화가 아니고 전쟁영화 같다는 후기를 남긴 적 있는데 가스라이팅 관점에서 보니 정말 소름끼치게 들어 맞네요 게다가 이런 성향의 보스를 경험해서 그런지 박교수님 설명이 긔에 쏙쏙 들어온거 같습니다 현실에선 주변에 피해자들이 생기는데 계속 승승장구하네요...

  • @user-gh6wl4et3z
    @user-gh6wl4et3z Жыл бұрын

    단순히 음악영화라고만 생각했던 위플래쉬를 지선씨네마인드에서 다뤄주시니 한 번도 생각해보지 못한 시선으로 생각을 해볼 수 있어서 너무 좋았어요!!! 심지어 박지선교수님 말씀처럼 요즘 밥먹듯이 많이, 흔하게 쓰이는 가스라이팅이라는 단어에 대해 또한번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아서 너무 좋았습니다!!! 지선씨네마인드 너무 팬이에요🫶🏻🫶🏻

  • @alicealice8491
    @alicealice8491 Жыл бұрын

    그저 흔한 성장영화인줄 알았지만 정말 어깨에 힘주고 보다 담걸릴뻔한 영화였어요. 가해자와 피해자에서 결국은 또하나의 플레처 된게아닐까 생각이드는 영화였어요. 누군가에겐 노력, 저에겐 광기였네요. 심리적으로 압박되지만 음악은 정말 좋았어요!

  • @user-ei5hb9ce4n
    @user-ei5hb9ce4n Жыл бұрын

    영화의 장르를 가리지 않는 지선씨네마인드에 감탄했습니다. 다양한 이야깃거리를 찾아 주셔서 인문학 강의 같은 느낌을 받았어요. 위플래쉬를 혼자 감상했을 때에는 플레처 정신이 이상하다, 음악 영화 중에 미감과 즐거움을 둘 다 잡은 유일한 영화다 라는 생각 뿐이었는데 지선 교수님과 프도파일러의 생각치도 못한 종속 관계의 언급에 감탄했습니다. 정말 제가 본방 챙겨 보는 프로그램은 지선씨네마인드 뿐이에요. 인문학 최고 지선씨네마인드 최고! 영원하자~

  • @minjikim6159
    @minjikim6159 Жыл бұрын

    경찰공무원 준비하면서 계속된 낙방으로 힘들 때 엄마가 추천해주셔서 정말 재미있게 봤던 위플래쉬였어요! 그때 당시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힘들었던 시기였는데 저는 위플래쉬 보면서 앤드류의 열정에 감탄하면서 봤었거든요..! 한편으로는 나는 왜 저렇게 못할까 자책도 많이 하면서 봤는데 그렇게 느끼는게 정상적(?)이지는 않았었네요 😂 공부할 당시에 플래쳐처럼 시간 철저히 지키고 화장실 가는 시간도 계산하면서 정말 강박적으로 생활했었는데 그 내면기저엔 불안이 있다는 내용도 너무 와닿았습니다. 지금도 경찰공무원을 준비하며 밥먹는 시간마다 그알이랑 지선씨네마인드를 즐겨보곤 하는데 위플래쉬를 추천해주신 엄마랑 좋은 시간 보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유익하고 재밌는 좋은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 @liiiiilllllll

    @liiiiilllllll

    3 ай бұрын

    경찰붙었니?

  • @user-xx1vv4ko5f
    @user-xx1vv4ko5f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분석 덕분에 마키아벨리즘이라는 정확한 정의랑 플레처 심리를 좀 더 잘 알 수 있어서 좋았어요. 아버지에 대한 포옹과 결말에 대해서는 제 감상과 다르지만 재밌게 봤어요~ 영화에 나오는 곡들 모두 너무 좋아요!

  • @roygbiviolet
    @roygbiviolet Жыл бұрын

    저도 예체능 전공이였어서 위플래쉬가 개봉했을 당시에 예고편만 봐도 분위기가 너무 무섭게 느껴졌었거든요. 영화를 보기전부터 두려움을 느낀 이유가 저도 겪어봤던 언어폭력이나 정서적 학대 때문에 그랬던거였다는 걸 깨닫고 갑니다.

  • @user-zk4zb2cl9v
    @user-zk4zb2cl9v Жыл бұрын

    범죄 전문가들이나 정신의학 전문가분들은 보통 중립적인 성향을 보이려고 노력하시는데 이 분은 범죄자 가해자를 하찮아하는 게 잘 보여서 너무 재밌어요 ㅋㅋㅋㅋ

  • @GloWonsiK
    @GloWonsiK Жыл бұрын

    예전에 보고 오래도록 여운이 남는 영화고 지금도 이 영화를 생각하면 생각이 많아지는데 이렇게 친구같은 프로랑 같이 한번 더 봐서 더 좋았습니다. 그리고 영화에 대한 생각과 시선을 공유 할 수 있어 너무 좋았고 시청 하는 순간 행복했습니다. 정말 재밌게 잘 봤습니다 :D

  • @hkk4135
    @hkk4135 Жыл бұрын

    이번 방송도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봤어요~ 이전에 봤던 영화이지만 심리 분석을 곁들여 다시 봤더니 새롭게 느껴지네요 현실에서도 남을 지배하려는 사람에게 휘둘리지 않도록 주위를 잘 살펴야겠네요 지선교수님 최고~~다음 방송도 본방 사수!

  • @Eviboo
    @Eviboo Жыл бұрын

    교사로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영화였고, 조금 더 방향을 생각해볼 수 있게 하는 씨네마인드 한편이었습니다..! 단지 재미로 보는 예능이 아니라 매번 깊은 생각과 배움을 주는 씨네마인드 응원합니다 :)

  • @monikafrench
    @monikafrench Жыл бұрын

    굉장히 인상적으로 몇번이고 봤던 영화지만 어떤 것이 그토록 불편하고 꺼림칙했는지 정확히 파악하진 못하고 있었는데 지선씨네마인드 덕분에 확실하게 알게 됐어요 스릴러에 가깝다는 말씀에 정말 공감합니다 😢 이 영화를 교훈적인 작품이라 생각하는 한국 부모님들이 많다는 것도 참 슬픈 일이에요…

  • @user-uy9sb4tp8e
    @user-uy9sb4tp8e Жыл бұрын

    플레처의 학대장면 볼 때마다 진짜 너무 조마조마하고 저까지 너무 긴장되는 영화였습니다ㅠㅠㅠㅠ네이먼이 변하는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면서 뭔지 모를 감정이 울컥하더라구요,,,! 결말도 상당히 여운에 남는 영화였는데 박지선 교수님의 주옥같은 설명 들으면서 다시 보니 감회가 새롭네요!😃

  • @user-yd2rh5vq7o
    @user-yd2rh5vq7o Жыл бұрын

    개봉당시 영화를 보는내내 회사에서 압박당하는 느낌이라 힘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당시엔 제가 이상하게 감상한줄 알았는데 지선교수님 역시 가해자와 피해자로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쏙쏙 되었습니다❤ 다정하고 세심한 설명 감사해요! 다음영화도 미리 복습해둘게요 다음주에 만나요👋

  • @user-yq8ui3xh4s
    @user-yq8ui3xh4s Жыл бұрын

    제 최애 영화를 지선교수님 관점으로 분석해주셔서 너무나도 인상깊게 봤던 화입니다. 단순히 노력과 성공과 관련된 영화라고만 생각했는데 프로파일링을 통해 정서적, 언어적 학대를 콕 집어서 설명해주시는, 특히 플레처교수의 숨은 의도, 생략된 말을 생각해보라는 등의 지선씨네마인드만의 캐치력이 더욱 돋보였던 이번편이었네요 정말 즐겁게 봤습니다 !

  • @zazaza8118
    @zazaza8118 Жыл бұрын

    이번화는 진짜 지선시네마인드의 취지가 잘 보이는 에피였어요. 범죄심리 관점에서 보는 는 아예 다른 맛과 장르의 영화네요 이런 해석으로도 볼 수 있다는게 너무 신기해요

  • @jye0421

    @jye0421

    Жыл бұрын

    감독의 의도가 가학적 교육에 대한 비판입니다

  • @fmay48
    @fmay48 Жыл бұрын

    덕분에 새로운 시선으로 다시보게 되었습니다!! 전에 봤던 영화인데 그때는 그냥 음악에 대한 열정을 그린 영화인줄만 알았었네요.. 지선 교수님의 설명 덕분에 다른 시각도 가져보게 되어서 넘조앗어요오🥹😍 늘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

  • @user-uw5jf9lk4g
    @user-uw5jf9lk4g Жыл бұрын

    이것 처음 봤을 때 어렸을 적 저는 플레처의 성장에 더 관심을 두었던 것 같은데 지선교수님의 주요 장면장면마다 해주는 코멘트를 보고 참 다르게 생각하게 되네요 이런 다양한 장르를 범죄를 주로 감상하다보니 이렇게 다양한 이야기가 나오네여! 지선씨네마인드 쭉 오래오래 해주세요🤍🖤

  • @hykim3180
    @hykim3180 Жыл бұрын

    저도 진짜 처음 본 당시에 거의 학대라고 생각됐었는데 또 작은 경험이지만 대학 동아리에서 공연 올려본 입장에서 왜 저렇게까지 집착하는 지 이해도 되고... 복잡했던 기억이 나네요! 이렇게 정리해주시니 명쾌해지는 것 같아요!

  • @user-ol4fq2kt8v
    @user-ol4fq2kt8v Жыл бұрын

    지선씨네마인드 애청자로써 이번 편도 무척이나 기대 많이했는데요. 이미 N차 관람했을 정도로 좋아했던 영화 중 하나였는데 직접 박지선 교수님의 살벌한(?) 플래처의 가스라이팅 설명을 들어보니깐 저절로 소름이 돋더라구요 ㅠㅠ 무엇보다 영화보면서 놓칠 수 있었던 대사 속 숨은 의미나 플래처의 표정 변화 등등도 같이 분석해주셔서 넘 유익했어요!처음 들어보는 마키아벨리즘이라는 용어도 알아갈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항상 좋은 영화 소개와 철저한 분석력에 감탄하면서 재미있게 시청하고 있습니다! 🥹🫶🏻

  • @merryeve
    @merryeve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게 본 영화고 나오는 노래들도 너무 좋아해서 지선씨네마인드에서 다룬다고 했을 때 너무 기대했는데 역시는 역시 ,, 너무 놀라운 분석에 감탄했어요 아버지께 안기고 다시 돌아서 연주하는 부분 생각도 못했던 거라 놀랐어요 그냥… 욱해서 뒤돌아 복수 겸 연주하는 거라 생각했는데 돌아갈 곳이 있다 이런 생각으로 한 거일 수도 있다니.. 그리고 집안 물어본 것도 너무 놀랐어요 ㅋㅋㅋㅋ ㅠㅠ 그냥 궁금해서 물은 건가 했는데 공무원들 이야기하시면서 분석하시는 거 보고 역시 아는 만큼 보이는구나,, 했어요 ㅎㅎ 본방에서 전공자 분들 모셔서 연주하는 것도 진짜 취재 짬바.. 보이는 거 같아서 좋았어요 ㅋㅋㅋ!! 어제 방송 보고 다시 카라반 죽죽 듣고 있는데 당첨되면 행복하게 듣구 오겠숩니당 ㅎㅎ!! 지선씨네마 최고,, 그알 최고,, 위플래쉬 최고,,❤❤

  • @user-nq3br5qg7d
    @user-nq3br5qg7d Жыл бұрын

    대학원 생활을 이야기하면, 친구들이 위플래쉬 생각난다고 했었어요.. 정말 힘들게 멈춰가면서 이번 편을 봤습니다. ㅎ 다시 봐도 무섭도록 닮았네요. 지선교수님께서 스릴러라고 정확히 짚어주셔서 너무 감사해요. 내 능력을 키우는 건지 아닌 지 너무나 헷갈리게 하고, 니가 부족하다는 가스 라이팅과 함께 끊임없는 자기 의심과 앞으로도 이 분야에서 볼 사람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언어 폭력들에 둔화 되더라고요. 너무 좁은 분야라 다른 데 가기 힘든 구조도 한 몫 했고요. 끝나고 나니,, 많은 것들이 보였는 데 그렇게 힘들게 할 필요가 없었더라고요. 내가 이 분야가 좋아서 계속 할 거면, 어차피 잘 할 거 였어요. 부족한 자기 확신으로 불안만큼 주도권을 넘겼더라고요. 잘 하고 싶은 사람들이 특히 취약해 지는 것 같기도 합니다. 방관자들에게 상처받고, 상대방은 마치 칭찬인 것처럼 교수와 비슷해졌다는 평을 하는 것을 들을 때는 정말 끔찍하더군요. 졸업을 위해 선택권이 없다는 생각에 가장 절망했었고, 몇 가지를 포기하고, 졸업 후 연을 끊었습니다. 조금씩 회복이 되면서, 얼마나 말도 안되는 상황 속에 있었는 지를 실감하는 나날을 보내고 있어요. 혹시나 비슷한 상황에 계시고 당장, 환경을 바꾸기가 힘들다면 이거 하나는 명심하시면 좋겠어요. 그 분야에서 잘 하고 오래 했다는 이유만으로 당신의 가능성을 평가하고 예측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그리고 ㅎ 알아도 싹을 밟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 데요. 열심히 한 스스로를 믿어 주세요🤘💫🧡

  • @DDD-zh9mn

    @DDD-zh9mn

    Жыл бұрын

    ㅠㅠ딱 저의 상황인데...감사합니다..너무 힘이됐어요!

  • @user-nq3br5qg7d

    @user-nq3br5qg7d

    Жыл бұрын

    @@DDD-zh9mn 에휴 제가 다 속상하네요ㅠㅠ 왜 나는 그만두지 못 할까로 자책하지 마세요. @DD D님의 이유가 있을테니깐요,, 끝이 정해져있다면 그때까지 자신을 잘 돌보시길 바랄께요. 응원합니다🙏

  • @user-ni3vx5ln3y

    @user-ni3vx5ln3y

    Жыл бұрын

    저도 올해 대학원 졸업했는데 많은 부분이 공감이 가는 댓글이네요 타샤님도 저도 더 행복해지길 바래요🙂

  • @user-nq3br5qg7d

    @user-nq3br5qg7d

    Жыл бұрын

    @@user-ni3vx5ln3y 네네 저희 모두 더 행복해질 거에요! @졍님도 고생많으셨어요. 오늘은 더 평안하시길 바래봅니다☺️

  • @hisoo384
    @hisoo384 Жыл бұрын

    이 영화는 음악영화의 탈을 쓴 심리범죄영화임.. 특히 주인공이 교통사고당했는데도 공연하고 가는 모습이 너무 괴로웠음.. 교통사고를 당했으면 병원을 가야지 그게 당연한건데 그 당연한거를 못하는 주인공을 보니 너무 안타까웠음 결말에는 그냥 평범하게 살아가면서 다시 교수만나니까 나에게 갑질하고 가스라이팅하고 정신적폭행하던 사람이 한낱 동네아저씨에 불과해진게 넘 허탈하고 허망해진게 잘 느껴진 영화임 잘 만든 영화는 맞으나 멘탈약해졌을 때는 절대 보지마세요.. 특히나 직장내괴롭힘당하거나 상사한테 가스라이팅당하는 분들은 절대 금지

  • @user-dv2qx8dk7p
    @user-dv2qx8dk7p Жыл бұрын

    진짜 보면서 너무 마음이 힘들었던 영화였는데 심리적으로 분석해주시니까 더 이해가 잘 되네요 :)

  • @eunimjeong1562
    @eunimjeong1562 Жыл бұрын

    드럼에 관한 책을 읽던 중 위플래쉬와 관련된 이야기가 나와 영화를 보게 되었는데 마침 완벽한 타이밍에 지선씨네마인드에서도 다뤄주셨어요! 음악적인 이해에 더불어 캐릭터 분석까지 들으니 영화를 더욱 깊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지선 교수님의 설명을 듣고난 후 마지막 장면에서 네이먼의 연주를 뿌듯해 하는 플래쳐를 다시 보니 더욱 소름끼치네요… 이미 완벽하지만 제가 좋아하는 음악감독 저스틴 허위츠가 지휘하는 실연과 함께 영화를 감상할 수 있다면 더없이 행복할 것 같습니다!! 지선씨네마인드 사랑해요♡

  • @then_3708
    @then_3708 Жыл бұрын

    드럼을 배우고 또 되게 좋아했을 때 쯤에 나왔던 영화라 되게 관심 깊게 봤고 좋아했던 위플래쉬네요 제가 정말 좋아하고 존경하는 박지선 교수님께서 영화에 대한 해석을 해주시고 설명해주셔서 너무 좋았어요 콘서트에서는 라이브 연주를 해주신다니 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 @SU-nv2ve
    @SU-nv2ve Жыл бұрын

    누군가 나서서 '저런 행동들은 학대다'라고 말하기 전까지, 제가 저 영화를 볼 때만 해도 플레처가 멋있다는 평이 아아아주 많았기 때문에 정말 이렇게 다시 재해석 되고 짚고 넘어가게 되어서 기쁘고 뭔가 기분이 오묘하네요. 플레처 같은 교수들이 정~~~말 많은 미대 재학생 때는 저 영화를 보면서 저 또한 '나를 더 완벽하게 가다듬어야지'라는 생각을 은연 중에 했던 것 같아요,,, 특히 예체능은 가혹하게 다그치는 교육 현장이 당연하게 여겨지기도 하고 대학원으로 가면 교수 한마디에 학생 미래가 좌지우지 되는 경우도 많아서 이렇게 영화를 해석하는 하나의 영상부터라도 인식이 점차 개선이 되고, 교육 현장도 훨씬 인격적으로 변했으면 좋겠어요. 특히 예전의 저와 같은 미대생 분들이 계시다면, 당신의 작품을 몇 초도 보지 않고 무시하는 교수나 공공연히 인격 비하 발언을 하는 교수는 그냥 도태된 쓰레기니 정말 정말 정말. 신경 쓰지 말고 자신만의 길을 찾아가시면 된다 말씀 드리고 싶어요. 그들의 말에 좌절하기 당신의 잠재력이 너무 뛰어납니다.

  • @user-ot4lh4sf5d
    @user-ot4lh4sf5d Жыл бұрын

    우와 확실히 교수님이 설명해주는 것을 들으니까 영화보면서 찝찝했던 포인트가 왜 그랬는지 알겠어요! 네이먼의 마음에서 공감하고 아쉬워하고 슬퍼하면서 봤네요. 좋은 해석과 결말 예측까지 정말 좋은 시선이라 생각합니다! 역시 교수님 짱🤭👍👍👍❤️ 장도연님도 적절한 질문과 리액션으로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어주셔서 감사해요!!😊

  • @-v-3455
    @-v-3455 Жыл бұрын

    이번편도 잘 봤습니다! 완전히 스릴러,범죄영화만 다루는 줄 알았는데 음악영화,성장영화로 보이는 영화도 분석하니 새로워요!

  • @user-if4je1di4n
    @user-if4je1di4n Жыл бұрын

    위플래쉬를 처음봤을때의 느낌이랑 교수님의 설명이 위플래쉬를 봤을때 너무 다른 느낌을 받을수 있어서 너무 참신했습니다. 이게 위플래쉬라는 영화가 가진 힘이라고도 생각이 되는데요. 보는 관점에 따라서 다른 시선으로 바라볼수 있어서 너무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화 많이 풀오내 주시길바랍니다. 지선 씨네마인드 화이팅!

  • @julie8644
    @julie864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전문가적인 시점으로 설명해주셔서 본 영화도 새로보는 기분으로 봤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장도연씨와 교수님 궁합이 너무 좋은 것 같아요! 찰떡💜

  • @user-ld9dp9ct2e
    @user-ld9dp9ct2e Жыл бұрын

    하ㅜㅜ 대학원 다닐때 교수님 모습이랑 오버랩되어서 보는 내내 마음이 불편했어요🥲 신체적 학대나 성희롱적인 발언은 없었지만 자존감 깎아내리는 말을 하도 많이 들어서 난 아무 쓸모도 없는 사람이구나.. 취업하고 나서도 일 못하겠구나.. 하는 생각에 번아웃도 왔는데...ㅜㅜ 그래도 교수님 덕분에 좋은 방향으로 많이 바뀌어서 감사하고 존경하는 마음이 더 크지만 가스라이팅 당한것도 맞으니 가끔은 좀 원망스럽기도 하네요 굳이 그렇게까지 하셔야됐나 싶어서 ㅜㅜ

  • @user-cj4tc5fn6u
    @user-cj4tc5fn6u Жыл бұрын

    중학생 즈음 영화를 보며 이해가 가지 않았던 부분들이 너무 많았는데 성인이 되고 난 뒤 다시 보니 참 생각이 많아지는 영화네요...생각지도 못했던 부분을 교수님께서 짚어주시니 속이 뻥 뚫리는 기분입니다!

  • @im_eman_im
    @im_eman_im Жыл бұрын

    와 대놓고 범죄스릴러 이런 영화도 재밌는데 이렇게 다른 관점으로 다루는게 진짜 엄청 재밌어요 갑자기 위플래쉬 되게 무서운영화가 되버렸네요 앞으로도 이렇게 자주 다뤄주셨으면 좋겠어요ㅠㅠ

  • @user-vv6go4yt8y
    @user-vv6go4yt8y Жыл бұрын

    이전 편들까지도 너무 재밌고 흥미롭게 잘 보고있었는데 이번에 제가 좋아하는 위플래쉬에 대해서 다뤄주셔서 역대급으로 몰입했던 것 같아요.... 다음편도 기대됩니다ㅠㅠㅠ

  • @seoulcitypop
    @seoulcitypop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아하는 영화인데 음악에 대한 열정을 보여주는 단편적인 영화인 것 같다가도 보는 사람마다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영화기도 하죠. 심리학적인 해석으로 봐도 참신하고 재미있네요!

  • @user-iw8xo3qw4r
    @user-iw8xo3qw4r Жыл бұрын

    가스라이팅에 대해서 현실적으로 이해가 되는 영화네요 언제나 날카로운 분석 감사합니다!^^

  • @user-ir7ps2tt2h
    @user-ir7ps2tt2h Жыл бұрын

    위플래쉬 진짜 인생영화인데, 아직도 처음 봤을 때의 느낌이 생생해요. 음악영화를 보는데 액션, 스릴러 장르를 보는듯 영화 끝날때까지 극도의 긴장감에 몸이 경직된 채로 보았던 기억이 나네요. 처음 봤을때의 신선함과 영화 중후반부에는 너무 몰입한 나머지 심장이 조여오듯 두근거림까지, 끝난 후에도 묘한기분에 지금까지 잊혀지지 않는 영화인데, 지선교수님의 설명을 들으며 영화 속 인물들의 심리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네요. 제가 영화에 몰입하며 느꼈던 감정들도 다시 되새겨보게 됩니다. 위플래쉬를 너무도 애정하는 제게 이 영상이 너무도 소중하게 느껴집니다🤎 앞으로도 지선씨네마인드의 좋은 콘텐츠 응원합니다!

  • @sojeong7888
    @sojeong7888 Жыл бұрын

    위플래쉬라는 영화를 지선씨네마인드로 처음 보게 되었네요. 라라랜드 감독이 만든 작품이라고는 알고 있었고 라라랜드는 정말 재미있게 봤거든요. 그냥 저 혼자 봤다면 다른 음악영화와 다르지 않게 보고 오에스티 듣고 했을텐데, 박지선 교수님과 함께 보니 새로운 시선으로 다르게 영화를 보게 되는 것 같아서 참 좋아요. 그저 흘러가는 캐릭터 없이 꼼꼼하게 보시는 것도 좋아서 이제는 저도 영화를 볼 때 그렇게 보려고 해요 ㅋㅋㅋㅋ 일하는 시간이라 본방사수는 못 하고 요약본으로 보지만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user-ss6dv9nu6t
    @user-ss6dv9nu6t Жыл бұрын

    몇년전에 학생들 영화수업을 위해서 봤던 영화였는데.. 보는 내내 정말 숨이 막히더라구요..어제 수업에서도 학생 한명이 이 영화를 봤다고 해서.. 관련 영상 보다가 지선쌤의 해설과함께 보게 되었는데... 스릴러란 말씀이 공감이 되네요.. 영화보는 내내 무섭다는 느낌이 들었고 배우들의 명연기에 빨려들어가는 느낌이 들었거든요.. 지선쌤 덕분에 영화내용 이해하는게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누러고 갑니다.^^

  • @sera200302
    @sera200302 Жыл бұрын

    지선씨네마인드 처음 유튜브에 올라왔을 때부터 정말 열심히 챙겨보고 있습니다! 저도 드럼을 취미로 연주하고 있어서 위플래쉬라는 영화를 매우 인상 깊게 봤었는데 이렇게 리뷰해주셔서 정말 기쁘네요 ㅎㅎ 영화 내내 플레처의 행동이 과연 진실된 선생의 자세일까 고민했었는데 이걸 교수님이 말씀하신 가스라이팅과 학대라는 관점에서 보니 생각 정리가 잘 된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는 스릴러나 범죄 장르의 영화를 주로 리뷰하셨는데 이번에는 다른 장르인 음악 영화로 프로파일링을 해 주셔서 더욱 새로웠던 것 같아요 이 프로는 영화를 다양한 시각으로 볼 수 있게 해주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잘 챙겨보겠습니다 !! 박지선 교수님 그리고 장도연 MC님 다른 제작진 분들 모두 화이팅!

  • @idontwannabeyouanymore3766
    @idontwannabeyouanymore3766 Жыл бұрын

    어제 본방 챙겨보고도 요약본으로 또 봐도 너무 재밌어요 제 생각이랑 교수님 분석이 일치할 때 관통한 기분이라 뿌듯함 ㅋㅋㅋ

  • @Imaluckybaby
    @Imaluckybaby Жыл бұрын

    위플래쉬라는 영화는 알고 있었는데 처음 접해보는 시선이었어요. 지선씨네마인드는 진짜.. 제가 생각해본 적도 없는 방향으로 저를 이끌어요. 영화를 두 편 본 것처럼요! 위플래쉬가 이렇게 무섭고 잔인한 영화라고는 생각도 못해봤는데 연주도 그렇고 음악도 그렇고 음악영화라고만 생각했던 저의 생각을 바꿔주신 지선의 시선 !! 꼭 보러 가고 싶어요 !! 지선씨네마인드, 그것이 알고싶다처럼 오래도록 시청자들의 옆에 남아있는 채널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 @Thywords_
    @Thywords_ Жыл бұрын

    작년에 재개봉했을 때 기대하며 본 영환데. 이렇게 범죄심리학적으로 리뷰해주시니 또 새롭네요! 가스라이팅 그리고 심리적 종속이 무서운 것은 초반에 말씀하신 것처럼 고립을 가져오기 때문인 것 같아요. 고립되다보면 이상황이 맞는지 아닌지 의심조차 품을 수 없게 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더 종속되가는 악순환인 것 같습니다. 이 영상을 통해 많은 분들이 심리범죄에 더 관심을 갖고. 고통 받으시는 분들을 위해 사람 아래 종속이 아닌 사람 사이소속이되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창구가 마련되길 바래봅니다☺️

  • @Sommy3
    @Sommy3 Жыл бұрын

    정말 가스라이팅의 무서움,, 보면서 숨막혔던 , 박지선 교수님의 관점에서 설명을 들으니까 더 이해가 잘되고 영화가 새롭게 보이고 좋네요 앞으로도 기대하겠습니다❤️‍🔥

  • @Happpy.happpy
    @Happpy.happpy Жыл бұрын

    내용을 보다보니 sns에서 우연히 봤던 누군가의 사연이 떠오르네요 간호사 분이셨는데 선배로부터 소위 '태움'이라 불리는 것을 네이먼처럼 똑같은 방식으로 당했었다는 이야기였어요. 근데 그 분은, 이 영상의 마지막에서 박지선 전문가님이 말씀하셨던 두 갈래의 길에서 후자를 선택하신 분이셨어요. 자신은 후배들에게 내리'태움'을 절대 하지 않을 거라 다짐하고 그걸 실천한 간호사님이셨죠. 이 영상을 보고 그 이야기를 떠올려보니 역시 사람의 인생은 자기가 선택하는 길로 가기 나름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 @sejin93kim
    @sejin93kim Жыл бұрын

    많은 사람들이 위플래쉬를 명작으로 칭찬할때 저는 정말 이 영화에 대해서 단 1도 몰라서 대체 왜저렇게 칭찬하나 했거든요. 이번에 박지선 교수님의 설명과 장도연언니의 질문들로 인해서 왜 이 영화가 많은 사람들이 명작으로 꼽는지 알게 됐어요! 유튭으로만 봐도 강력한 사운드 덕분에 극장 상영때 보지 못한게 꽤 많이 후회가 되는데 기회가 된다면 꼭 라이브 연주로 영화를 함께 즐기고 싶네요...!!!!!

  • @MG-tv4jf
    @MG-tv4jf Жыл бұрын

    지선씨네마인드 정규프로그램 되기 전부터 팬이었어요!!!! 단순한 스승과 제자 이야기라고 생각했는데 박지선교수님의 분석으로 영화를 다시 보니! 단순한 음악영화는 아니라고 깨우치게 되네요!!!영화음악도 엄청 좋아하는데 생각할 거리가 많은 영화라는게 너무 재밌었습니다!! 새로운 분석 감사해요❤

  • @eunhasoo4566
    @eunhasoo4566 Жыл бұрын

    워플래쉬편 지선씨네 마인드 분석해주니 영화가 흥미롭게 볼수잇을것 같습니다. 지선씨 응원합니다.

  • @user-zo7cj9uk5b
    @user-zo7cj9uk5b Жыл бұрын

    진짜 영화라는 매체가 가지는 다양성의 수용과 상징을 이 프로그램을 통해 명확히 보여주시는 것 같아요. 누군가에겐 참스승이되고 누군가에겐 끔찍한 가해자가 되기도 하니까요 이 시리즈 제발 오래오래 계속 하셨으면 좋겠어요!!!

  • @issue-retail-store

    @issue-retail-store

    Жыл бұрын

    참스승이래 ㅋㅋㅋㅋ

  • @user-kw8xp3yt6l
    @user-kw8xp3yt6l Жыл бұрын

    위플래쉬 예전에 상영홍보할 때나 주변에서 재밌다고 말할 때 음악영화에 많은 관심이 없어서 안봤는데, 교수님의 말씀을 들으니 갑자기 엄청난 흥미가 생겼어요. OTT에 있는지 찾아봐야겟다.. 게다가 장면 포인트들도 집어주시니 그 장면들 볼 때 더 유의깊게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덕분에 앞으로 관심없는 장르의 영화도 한번씩 살펴볼 것 같아요🤍

  • @ellyinblue
    @ellyinblue Жыл бұрын

    지선씨네마인드에 위플래쉬라니!! 영화선정 탁월하십니다👏🏻👏🏻👏🏻고조되는 드럼사운드와 함께 저도 같이 불안초조에 시달리며 봤던 영화였어요 ㅎㅎ ptsd올 것 같은 플레처였지만 거부할 수 없는 매력이 있었던 것 같아요. 제가 갖지 못한 부분에 대한 부러움과 동경이겠죠. 다 보고난 후 여운이 상당해서 한동안 ost 반복재생하여 들었는데 콘서트라니 정말 기대되네요! 당첨되면 좋겠어요!!

  • @minjaebeol2007
    @minjaebeol2007 Жыл бұрын

    요즘 공부를 하고 있는데 이런 영화를 보니 무섭기도 하고 흥미로워요!! 그알을 정말 열심히 보고 있는데 이런 컨텐츠 너무 좋아요 앞으로도 꾸준히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wieberms
    @wieberms Жыл бұрын

    이 방송의 취지가 영화를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자는 건데, 댓글들 보니까 이 영화를 음악 영화로 보는 사람들이 다 영화를 잘못 보고 있고, 심지어 마지막 합주를 감동적으로 본 사람들이 다 잘못된 거라는 식으로 생각하는 극단적인 분들이 많네요. 특히, 마지막 장면은, 아버지의 포옹에서 용기를 얻어 플레처와 맞짱 떠서 이겼다는 독특한 해석보다는, 아버지가 원하던 폭넓은 삶이 아니라 결국엔 플레처와 마찬가지로 돌아오지 못하는 강을 건넜다고 보는 게 좀 더 일반적으로 회자되는 해석인데도, (마지막 공연을 바라보는 아버지의 눈빛은, 아들아 플레처의 코를 납작하게 만들어라 하는 눈빛이 아니라 결국 네가 기어코 그 길을 가고 마는구나 하는 안타까움의 눈빛임) 이 영화를 전적으로 피해와 가해로만 보는 분들이 많네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데 한 가지 해석만 옳다고 우기고, 다르게 영화를 감상한 사람들을 비난하는 게 웃프네요.

  • @user-wt4nc1ko5z
    @user-wt4nc1ko5z Жыл бұрын

    위플래쉬는 여운이 많이 남은 영화 중 하나인데요, 교수님의 관점에서 영화를 다시 살펴보니 새로운 부분이 많네요. 특히 아버지의 역할을 말씀하신 부분이 인상 깊었습니다. 가스라이팅 피해자들이 돌이킬 수 없는 선택을 하는 경우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고립되어 있습니다. 정신이 병들어가는 것도 모른 채 끊임 없이 자책하며 살아가는 피해자들의 언덕이 되어주는 것이 앤드류 아버지 같은 주변인이라고 생각해요. 저 또한 그런 주변인이 될 수 있도록 주위를 살펴보아야겠습니다. 가해자나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내 자신도 끊임 없이 들여다 보고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sj2395
    @sj2395 Жыл бұрын

    지선씨네 마인드 제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대사, 장면의 해석들 볼 수 있어서 좋아요 위플래쉬도 개봉때 보고 엔딩이 좀 어려웠는데 교수님 해석 듣고 영화 다시 보고 싶어졌어요

  • @Gamer.9
    @Gamer.9 Жыл бұрын

    위플래시는 제 기억에 많이 남는 영화에요. 리더 직책 일을 하면서 부서원들을 관리할 때 어떤 방식이 더 옳은 걸까 많은 고민을 하던 시기에 본 영화여서 그런지 단순히 영화로만 보고 끝난 것이 아니라 여러 부분에 대해 깊은 생각을 하게 해준 영화입니다. 영화에 대해 막연하게 생각했던 부분에 대해 지선씨네마인드에서 자세하게 설명해줘서 좋았어요~ :)

  • @cream9759
    @cream9759 Жыл бұрын

    이 조합 너무 좋네요 36분짜리가 10분으로 느껴질만큼 재밌게 잘봤어요!!

  • @user-mx1ri8by7o
    @user-mx1ri8by7o Жыл бұрын

    영화를 처음 봤을 당시엔 가스라이팅이란 단어가 팽배하지 않어서 네이먼의 행동에 의문을 가졌었어요 근데 가스라이팅을 염두에 두면서 다시 영화를 요약하니까 이해가 되기 시작하네요.. 영화 마지막 부분의 아버지의 역할에 대해선 생각해본적이 없었는데 정말 인상깊은 해석입니다🥲

  • @saludparavidafeliz
    @saludparavidafeliz Жыл бұрын

    어제 본방사수 후 유투브 요약본도 또 보러 왔습니다. 위플래쉬 정말 여러번 봤는데 플레쳐가 네이먼한테 가족에 대해 물어본 의도는 전혀 생각도 못했네요. 정말… 소름 돋았어요😮 낙동강변 사건 사실 밝혀지고 박준영 변호사님이랑, 억울하게 옥살이하신 분들이 함께 막 우시던게 다시 생각나네요 ….

  • @user-lq8jq3et4g
    @user-lq8jq3et4g Жыл бұрын

    추석 때 친척들이랑 봤던 기억이 있는 영화에 가스라이팅에 관련된 내용이 숨어 있을 줄 상상도 못했네요. 우리나라에는 교육에 대해서 저런 태도를 너그럽게 넘기는 경우가 많은 거 같은데 경각심을 한 번 더 심어준거 같아 뜻깊었습니다.

  • @user-zq1re8qe3d
    @user-zq1re8qe3d Жыл бұрын

    티비에 지나가다 우연히 보고 다시 찾아서 끝까지 본영화.. 너무 재밌음.. 교수님 해석 보니 더 새롭네요

  • @aboutlinnet
    @aboutlinnet Жыл бұрын

    드럼 스틱이 드럼을 칠 때마다 정신적으로 채찍질 당하는 느낌에 영화관에서 숨 못 쉬며 떨면서 봤던 영화입니다... 한 편의 전쟁영화로서 심리적 승패를 가린 결말로 끝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지선씨네마 항상 재밌게 시청하고 있어요❤ 앞으로도 꾸준히 챙겨볼게요~

  • @sophiap2111
    @sophiap2111 Жыл бұрын

    위플래시 영화가 여타 다른 음악영화들과 같은 성장영화라고만 생각했는데.. 몇년 지나 지선씨네마인드에서 다시 보니.. 스릴러영화가 맞네요ㅜㅜ 요즘 다시 봤어도 조금 불편했을거 같아요.. 새로운 시각을 깨워주셔서 오늘도 감사합니다ㅎ

  • @paramecium_
    @paramecium_ Жыл бұрын

    초등학생 정도 되는 아이가 연기 연습을 하며 교수가 짚어줬던 부분을 바르게 하지않자 뺨을 때리는 방송 장면을 본 적 있어요. 나중에 인터뷰에서 교수가 학생이 자신을 싫어하게 될지라도 이것이 내 교육방법이고 초기에 강하게 바로잡아줘야한다고 말했었습니다. 인터넷 반응들을 보니 참스승이다, 자신을 미워하게 되더라도 바른길로 인도하려는 모습이 감동이다, 요즘 아이들은 체벌이 없어 막나간다며 띄워주는 반응이 대부분이였습니다. 지금보니 인터뷰는 완전히 자기정당화였다는 생각밖에 들지않네요… 위플래쉬에서 앤드류는 나이를 먹었음에도 불구하고 가스라이팅 속에서 그대로 끌려가는 모습을 보이는데 하물며 더 어린 아이는 대체 어땠을까..라는 생각도 들고요. 교육과정에서 체벌은 사실 정말 상대적인 것 아닌가요 ? 평소에 온화한 말씨와 천천히 가르쳐주려는 태도가 있었다면 다소 강압적인 말투만으로도 체벌의 효과가 있었을텐데요… 학생을 때린다는 것은 평소에도 강한 말씨와 학생을 가르치려는 태도가 아닌 자신이 원하는 대로 주입시키려고 했기 때문에 그정도의 체벌이 필요한 것 아닐까요 ? 사람에게 폭력을 행사함으로써 이뤄내야하는 것은 그만한 가치가 있을까요….

  • @hs1767

    @hs1767

    Жыл бұрын

    엘리트만능주의 = 관계윤리보단 엘리트 사기기질 있는 성격 = 나르시즘, 리플리증후군, 소시오패스(반사회적)

  • @user-xl9kb8vq4w
    @user-xl9kb8vq4w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잘봤습니다. 내가 생각하지 못한 시선으로 무엇인가를 다시 보게 된다는건 참 기분좋은 충격이죠. 너무 유익한 프로에요.^^. 그리고 다음 주 실버라이닝 플레이북.... 참 좋아하는 영화 중 하나인데.... 벌써 기대 중 입니다.^^.

  • @re_cording_view
    @re_cording_view Жыл бұрын

    저는 위플래쉬가 하도 입소문을 타서 혼자 밤에가서 영화를 보고왔는데 보는 내내도 너-무 무섭고 공포스러웠거든요 저는 논리적으로 설명하지못해서 그저 제가 나약한줄만 알았는데 이런 관점으로 말씀해주시는 교수님 덕에 이제라도 안심이돼요 씨네마인드 넘 좋아요 박지선교수님짱❣️

  • @user-oh1qs3si4n
    @user-oh1qs3si4n Жыл бұрын

    어제 본방으로도 재밌게 봤었습니다! 박지선 교수님이 설명 해주시니까 영화가 더 재밌는거 같아요. 만약에 초대권 당첨이 된다면 영화에서 네이먼을 위로해주는 아빠처럼 저를 사랑해주시는 엄마랑 같이 보러 가고 싶네요 ㅎㅎ

  • @yeon9495
    @yeon9495 Жыл бұрын

    방송 정말 재미있게 봤습니다. 처음 영화관에서 이 영화를 봤을 때, 무섭지만 몰입감이 엄청난 영화라 느꼈습니다. 이후에도 한번씩 생각나는 영화였는데 이번에 지선씨네마인드에서 보게되서 너무 좋았습니다~ 이번 방송을 보면서 가스라이팅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다시 한 번 알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 @user-up1le3ui9o
    @user-up1le3ui9o Жыл бұрын

    생각해야할 것들을 많이 주는 시간이었어요.존중과 배려가 없는 교육과 관계는 인간성을 상실케하고 병들게 한다는것을 한번더 느끼게 되었습니다.정말 유익한 지선시네마 많이 기다린만큼 더 소중합니다.제작진모두 감사해요^^

  • @user-ye3iq4vl4n
    @user-ye3iq4vl4n Жыл бұрын

    위플래쉬 처음 봤을 때 충격은 잊을 수 없습니다. 이 영화를 지선 교수님이랑 같이 다시 보니까 너무 좋네요. 저는 개인적으로 네이먼은 플래쳐 교수님 길을 밟을 것 같아요. 마지막 장면을 보고 앙상블 하는 주변 연주자들에게 조금이라도 틀리면 분노를 쏟는 미래의 네이먼의 모습이 그려졌어요. 저도 학생들을 가르치는 입장이다보니 제 교육 태도도 되돌아보게 되는 영화였네요. 영상 잘 봤습니다:)

  • @katty617

    @katty617

    Жыл бұрын

    글쎄요...플레처는 아무 이유 없는 가학을 즐기는 사람이지만 네이먼은 자신이 당한 부당한 일에 대응하는 것뿐이잖아요. 그럴 가능성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 넘겨짚는 게 아닌가 싶어요. 아버지의 포옹에서 자존감을 되찾아 그 상황에서 할 수 있는 방식으로 플레처에게 맞선 것이죠. 자신을 그렇게나 학대했던 사람의 몇마디에 또 넘어갈 정도로 마음이 여린 사람이 다른 사람을 아무 이유 없이 그렇게 대할 것 같진 않아요.

  • @a0a0--0ao0
    @a0a0--0ao0 Жыл бұрын

    이번도 너무 재밌어요!!! 장도연님이랑 박교수님 케미도 너무 좋아요.. 어쩜 이렇게 찰떡같은 조합을...♡♡

  • @invisiblewoman146
    @invisiblewoman146 Жыл бұрын

    일주일동안 기다렸어요! 감사히 시청하겠습니다.

  • @ZZ-zs4dg
    @ZZ-zs4dg Жыл бұрын

    사회생활하면서 플래처 같은 상사를 만난 적이 있어서 여전히 참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저에게 너무나 위로가 되는 영상이었어요 모두가 남자이고 저 혼자 여자였던 집단에선 제가 하는 말은 아무리 옳은 말이어도 다 간섭이고 틀린 말이어서 플래처 상사의 잘못된 언행에 대한 제 비판에 아무도 동조해주지 않았거든요 결국 참고 참다 친구 심지어 가족들에게 이야기하니 저에게 돌아오는 말은 '소수가 아닌 다수가 너의 말을 들어주지 않는 건 너의 탓이 크니 네가 노력해라'라는 말이 전부였습니다... 회사에서 상사와 직장동료들에게 성희롱 포함하여 별말을 다 들었는데 시간이 지나도 상처로 깊이 남는 건 지인들의 말이에요.. 역설적이게도 교수님의 말씀이 객관적인데 이렇게까지 위로가 된다는 게 사실 슬퍼요 교수님은 저에게 화면 상 인물이고 당장 저에게 이야기 해주실 수 없지만 아직도 제 주변 사람들은 시간이 흘러도 이상한 사람이 저라고 하니까요 교수님 같은 사람이 제 주변에 있었다면 저의 삶은 달라졌을까요? 버티지 못해서 퇴사한 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여전히 그 상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살고 있는 제가 한심해서 글 남겨봅니다..

  • @dduddu-uj7lr
    @dduddu-uj7lr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 재밌게 잘 봤습니다. 저는 이 영화를 개봉 당시 영화관에 혼자 봤는데요. 다 보고 나와서 재밌었지만 가슴 한 켠에 찝찝함이 남아있던 영화 였습니다ㅋㅋ 박지선 교수 님의 시선으로 심리학 적으로 이 영화를 다시 보니 장면 속에 제가 생각지도 못했던 의미가 있었다는게 정말 신기하네요! 특히 플레쳐가 네이먼에게 부모님의 직업을 물어보는 장면에서는 그래도 네이먼에게 관심을 가지고 잘 챙겨주려고 하나보다 라고 생각했는데 저 행동이 심리적 지배를 위한 준비 동작이었다는게 정말 놀랍습니다... 저도 심리학을 공부하고 싶다는 욕구가 솟구치네요ㅎㅎ 앞으로도 다양한 영화 박지선 교수님의 시선으로 보는 해석 기대할게요 !!!

  • @NaWonCharm
    @NaWonCharm Жыл бұрын

    제 인생영화 Top2에 빛나는 위플래쉬를 지선씨네마인드에서 색다른 시선으로 느낄 수 있어 정말 재밌게 봤습니다! 단순하게 보면 야망심 가득한 순진한 어린 학생과 꽉막힌 독재자 스타일의 교수가 어떤 관계로 변해가는지 흥미진진한 음악영화같기도 한데, 보이는 게 다가 아니라 심리적 불안감이 무차별적으로 얼룩진 욕망의 흐름같아서 더 흥미롭게 시청했어요! 일반영화 해석과는 또 다르게 인간의 심리,관계,그것들에서 비롯된 행동들에 대해 집중적,세부적으로 다뤄주셔서 한층 더 몰입해서 볼 수 있는 것 같아요 위플래쉬 본 이후로 재즈에 더 관심도 가지게 되고 여러모로 제 문화생활에 영향을 준 영화에요 그간 본방사수를 못했는데 이번엔 너무 좋아하는 영화라 어제 본방으로 시청했어요 ㅋㅋ 늘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재밌게 보고 응원하고 있습니다!! 건강 챙기면서 제작해주세요~~!!🥹

  • @cheme5893
    @cheme5893 Жыл бұрын

    음악 영화를 정말 좋아해서 봤는데 다른 음악영화와는 좀 다른 장르에 영화같았습니다. 보면서 저도 모르게 위축되고 무서웠던 부분이 있었는데 그런 점들을 잘 설명해주셔서 정말 공감하고 이해하며 이번 영상을 봤던 것 같습니다. 위플래쉬도, 지선씨네마인드도 정말 재밌게 잘 봤습니다.

  • @user-sm4ri5vk7u
    @user-sm4ri5vk7u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시선을 이렇게 들을 수 있다는 게 즐겁고 감사해요 영화를 보고 함께 의견을 나누는 것만으로도 이렇게 재밌을 줄 몰랐네요

  • @user-ck1ke2ql9t
    @user-ck1ke2ql9t Жыл бұрын

    위플래쉬 보면서 상황에 대한 의문이 있었는데, 설명해주시는걸 들으면서 다른 시선으로 영화를 볼 수 있게 되었어요. 전문가의 입장에서 영화를 본다는거 자체가 굉장히 차원이 다른 느낌이네요 ㅎㅎ

  • @user-of5ej6mh3q
    @user-of5ej6mh3q Жыл бұрын

    감명 깊게 봤던 영화 중 하나인데 교수님의 해석을 들으니 영화를 새로운 관점에서 다시 보고 싶어지네요. 영화 보는 내내 숨막히게 봤던 기억이 있는데 광기가 흐르는 네이먼의 모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 @user-jb7vw6qm9n
    @user-jb7vw6qm9n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밌게 시청하고 있습니다~ 지선시네마인드를 보고있는 순간엔 영화보는 시각이 엄청 넓어지는거 같아요~ 롱런해 주세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