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Ойын-сауық

길게 보는 tvN 핵꿀잼 영상! 저장해두고 나중에 보고 또 보자! #나중에또볼동영상 #나또동
#벌거벗은세계사 #산업혁명 #노동자
〈벌거벗은 세계사〉 매주 화 오후 10시 10분 tvN에서!
TVING으로 다시보기 👉 www.tving.com/contents/P00139...
00:00 충격적인 하층 노동자의 삶
08:07 심각했던 아동 노동 착취
18:12 범죄의 표적이 된 슬럼가 매춘부들
*회차정보 : 벌거벗은 세계사 47회
we’re :DIGGLE family

Пікірлер: 338

  • @user-qb9hk1wr3g
    @user-qb9hk1wr3g6 ай бұрын

    11:43 미쳤나봐 아장아장 걸어다니는 애기잖아...ㅠㅠ 저 애기가 무슨 청소를 한다고ㅠ

  • @user-el3fo5sh4d
    @user-el3fo5sh4d6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도덕 선플달기 나비효과 활동 중입니다. 제가 요즘들어 흥미를 가지고 벌거 벗은 세계사를 즐겨보는데 실제 학교에서 배우는 것보다 더욱 세세하게 말씀해주셔서 이해도 잘되고 산업혁명이 다른사람들에게는 좋지만 노동자들은 어떤삶을 살았는지 잘 알려주셔서 좋았습니다. 재밌는 영상들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sz4tj6dv9b

    @user-sz4tj6dv9b

    6 ай бұрын

    말씀을 엄청 이쁘게하시네요

  • @user-mm4eh6ho2u

    @user-mm4eh6ho2u

    6 ай бұрын

    도덕 쌤들 좌파니까 수업에서 하는 말들 걸러들어라

  • @user-lg1rp5kh8o

    @user-lg1rp5kh8o

    5 ай бұрын

    ​@@user-mm4eh6ho2u너나 잘하세요

  • @user-on7re4iv4w

    @user-on7re4iv4w

    4 ай бұрын

    ​@@user-mm4eh6ho2u 정치충 종교충은 유전자에 하자있는건가 정상적인 생각이란걸 못하는거 같아 😢힘내렴

  • @user-jy9ee9pn7l

    @user-jy9ee9pn7l

    3 ай бұрын

    귀여웡

  • @user-iv8hq9ue7v
    @user-iv8hq9ue7v11 ай бұрын

    복지 좋기로 소문난 코스트코나 이케아도 한국에서는 한국노동법을 배우는 듯 . 대부분의 기업들은 최대 이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법이 노동자를 보호하지 않으면 악랄해짐

  • @user-nr9pr3wc2m

    @user-nr9pr3wc2m

    10 ай бұрын

    과거 세계대전이전에 미국에서 임금이 싼 아동들 가혹한 노동력으로 고통받던거 세계대전 승전국이 된후에 서방 제국주의가 쇠퇴하니 아프리카 아시아 어린이들의 감싼 노동력으로 대체 했슴 ㅋㅋ 근로법이 빡센 나라들이 현지 노동법하고 똑같이 간다는건 글로벌 기업들 잘못이 아니고 아직도 한국이 후진적인 시스템에서 못벗어 났다는겁니다 ㅋ 누구나 기업인 자리에 앉으면 그나라 노동법 최대한 활용할듯요 님이라고 안그럴거 같음? ㅋㅋ

  • @mgjgddrng12

    @mgjgddrng12

    10 ай бұрын

    최저임금 올리면 자영업자 다죽는다고욧! ㅋㅋㅋㅋㅋㅋㅋ

  • @user-eg6lw6tt2q

    @user-eg6lw6tt2q

    9 ай бұрын

    그게 독일이 항상 경계하는거임. 자본에 의한 잠식

  • @Napalm47

    @Napalm47

    9 ай бұрын

    한국은 그게 잘못된 방향이지 해고도 못해서 책상빼기 승진누락 이런식으로 자진사직하게하는건 정상이 아니잖아?

  • @user-uk1ws6wg9i

    @user-uk1ws6wg9i

    9 ай бұрын

    ​@@good-gingerㅋㅋㅋㅋㅋ 그러면 산별노조 받으라고 ㅋㅋㅋㅋㅋ

  • @bella__swan
    @bella__swan10 ай бұрын

    11:26 아 너무 불쌍해…ㅜㅜ 저렇게 어린 아이들을…ㅠㅠ

  • @user-my3ze6ek5j
    @user-my3ze6ek5j9 ай бұрын

    아동 노동 말로만 들었을때도 안쓰럽다고 생각는데 영상으로 보니까 진짜 너무 가슴이 아픔

  • @muse_ofmyheart9008
    @muse_ofmyheart90088 ай бұрын

    교수님 강의 부드럽지만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사회, 환경 문제들에 관심을 갖고 개선할 용기 & 연대할 지혜는 지금도 절실한 것이네요🙏

  • @saomaisuni68
    @saomaisuni688 ай бұрын

    이 교수님 강의 너무 좋아요 다정한데 힘이 있어요

  • @jdiwnlooo5111
    @jdiwnlooo51117 ай бұрын

    마음이 아프다... 씁쓸하다. 인간이 이렇게나 잔인하다. 악마가 따로 필요없다.

  • @user-oc9un4gm7o
    @user-oc9un4gm7o6 ай бұрын

    교수님 딕션이 너무 좋으시네요. 귀에 쏙쏙…^^

  • @TV-zh3qb
    @TV-zh3qb9 ай бұрын

    저도 몇 년전 캄보디아 여행갔다가 슬럼가 투어를 별 생각없이 했었죠. 땅 살 돈이 없어 강 위에 배를 띄워 그 위에 집을 지어 사는 수상가옥 형태의 빈민촌인데 조금만 생각해보면 그 선택관광을 신청하지 말았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그 당시 전 여행지에선 무조건 많이 보고 듣고 경험하자 주의였던지라 너무나 가벼운 마음으로 신청했습니다. (어쩐지 다른 일행들은 다 신청하지 않더라고요...) 그 투어를 다 하고 돌아온 저는 내가 이걸 왜 신청했지 씁쓸한 마음이 계속 밀려나오더라고요. 그들의 무심하고 공허한 눈빛을 잊을 수가 없어요. 정말 죄송하고 죄송했습니다..

  • @user-rq4uq7mv5t

    @user-rq4uq7mv5t

    6 ай бұрын

    ㅠㅠ.............

  • @user-on7re4iv4w

    @user-on7re4iv4w

    4 ай бұрын

    😢😢

  • @user-cu1vn7mj2r
    @user-cu1vn7mj2r2 ай бұрын

    지금도 파키스탄에서는 어린이들이 축구공을 꿰매고, 태국, 미얀마등 동남아 국가에서는 칵테일 새우 껍데기를 벗기고, 아프리카에서는 카카오농장에서 아동들이 착취되고 있습니다. 등등 더 많은 국가에서 아동노동착취가 일어나고 있겠죠ㅜㅜ

  • @MOTALCOMBAT
    @MOTALCOMBAT5 ай бұрын

    산업혁명 초창기 영국 하층민 노동자들의 평균수명이 30세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그만큼 엄청나게 힘든 삶이였죠.

  • @user-kt9xc5ws3q
    @user-kt9xc5ws3q10 ай бұрын

    교수님 말투 설명 넘 깔끔하고 듣기 좋음

  • @user-zd2zv5cg1u
    @user-zd2zv5cg1u11 ай бұрын

    저당시 어린아이들도 혹독한 노동 착취에 시달려야했죠 어린아이들을 선호하던 일터가 굴뚝청소.탄광같은 좁아서 덩치큰 어른들이 일하기 불가능한곳에서 어린아이들을 많이 고용햇는데 노동 환경이 너무 가혹해서 굴뚝청소하다 졸음을 못참고 자다가 죽는 사고도 빈번했었다고...올리버트위스트라는 고전이 괜히 나온게아니죠.. 일하다 죽느니 공장에서 도망나와 노숙자를 선택하거나 소매치기나 앵벌이 조직에 스스로 들어가기도했었다죠.. 안전 시초가 혹독한 노동환경에시달려야하는 어린 아이들의 노동 시간과 휴식을 보장해주기위해 나온거라는.. 사회주의 이론도 혹독한 현실에서 인간 이하의 대접을받는 현실을보며 다 잘살수없을까에서 나온 이론.. 물론 실패했고 실패할수밖에없는 이론이기도..

  • @user-nr9pr3wc2m

    @user-nr9pr3wc2m

    10 ай бұрын

    미국 아동들이 하던거 글로벌 리즘으로 바뀌고 나서 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 및 기타 등등 개발도상국 국가 아동들이 고대로 하고 있조 ㅋㅋ 우리야 서방에서 선진국 언저리에 도약하니 잘 몰라서 그렇지 학교 못가고 하루에 12시간 16시간씩 일하는 아동들이 전세계에 넘쳐 날겁니다. 미국기업들의 노동력 착취로 인해 ㅋ

  • @8ballondor
    @8ballondorАй бұрын

    인권이란 게 얼마나 소중한 발명품인지 알 수 있는 영상이네

  • @time_ing3374
    @time_ing337410 ай бұрын

    그 당시 희생당한 아이들에게 세상이란 춥고 배고프며 고되고 몸하나 제대로 누윌 곳 없는 먼지 지옥 이었다.

  • @napperracoon9608
    @napperracoon960810 ай бұрын

    역사 교과서에서도 권력 계층이 누가 왕위 찬탈하고 싸우는 얘기들로만 가득차 있고 저런 관점을 더 부각하지 않는 이상, 같은 역사는 되풀이 될수 밖에 없지...

  • @armshero

    @armshero

    8 ай бұрын

    뭘 되풀이돼ㅋㅋ

  • @user-rz9tx1bx5f
    @user-rz9tx1bx5f5 ай бұрын

    그 어떤 경제체제라도 규제를 안하면 한없이 점점 더 착취하게 되어있음. 모든 경제활동이란 그 자연상태에서 갑과 을이 무조건 존재할 수 밖에 없기 때문. 놔두면 결국엔 선을 넘는다는 걸 인류가 경험함. 그래서 최저임금, 노동시간 등 최소한의 선을 만들어 규제해야 된다는 걸 깨닫게됨

  • @alleniris6
    @alleniris68 ай бұрын

    굴둑청소하는 애는 그냥 어린 정도가 아니라 아기잖아ㅠㅠ

  • @user-zi3bn6ui7b
    @user-zi3bn6ui7b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노동조합이 많아져서.. 좋은 일자리가 많이 창출되었으면 좋겠네요 아동착취, 노동자들이 자는 모습을 보니 정말 충격이고 마음이 아파요 ㅠ

  • @hlsylsify
    @hlsylsify2 ай бұрын

    이스트 엔드는 지금도 못살아요. 그래서 이민자들만 모여 있죠. 런던 서쪽은 우리나라로 치면 청담이나 압구정 느낌, 중심부는 관공서가 몰려 있어서 광화문이나 을지로 분위기예요. 중심부에서 동쪽으로 가면 분위기가 급변합니다. 건물색도 완전히 달라요. 동쪽은 누리끼리 벽돌로 지어진 낡은 집들이 즐비해요.

  • @user-si6lx6od3r
    @user-si6lx6od3r7 ай бұрын

    한국은 아직도 하루12시간 노동 넘쳐나는데 지방 공장들 대부분 하루12시간 노동함.

  • @ptalove
    @ptalove7 ай бұрын

    당시 저들에게 자선을 행한 귀족이 있었다면 그들은 지금 반드시 천국에 있으리라. 너무나도 잔혹하고 피곤한 삶들이었네요.

  • @JReadingKoreanpoetry
    @JReadingKoreanpoetry9 ай бұрын

    그나마 영국이 기록이 잘되어 아는거지. 다룬곳은 얼마나 엉망이었을까

  • @user-lg3bw6xm2x
    @user-lg3bw6xm2x10 ай бұрын

    지금도 제3세계 중동이나 아프리카 어린이들은 아동노동에 시달리고 있지만 모두가 외면하고 싼임금으로 싼제품을 쓰고 있죠

  • @user-ew5mj8pu6n
    @user-ew5mj8pu6n9 ай бұрын

    120시간 노동을 외친 그는 대체....

  • @blueblue4401

    @blueblue4401

    8 ай бұрын

    ㅋㅋㅋ그걸 돈 많이 벌어주게 한다고 빨아주는 놈들은 대체...

  • @tomatosuyani

    @tomatosuyani

    3 ай бұрын

    제정신이 아닌데... 그말을 받이들이는 정신나간 지지자들이 더 문제

  • @user-yj8ky4pu4s
    @user-yj8ky4pu4s10 ай бұрын

    굴뚝청소 아이들 너어무 어리다...

  • @user-ld6hb2jt9j
    @user-ld6hb2jt9j11 ай бұрын

    저산업혁명은갑작스럽게하다보니 노동자들의 인권및임금을제대로보장받지못하고 결국에는매춘부라는말이나오고 화려한건물사이에는저렇게여러문제들이나오게된결과되었죠

  • @user-vs2xz4wy5m
    @user-vs2xz4wy5m5 ай бұрын

    6일80시간에 경악하는 사람들을보니 씁쓸하네 난 지금도 그런데 하루13시간 주7일

  • @user-zf4yy2jk5o
    @user-zf4yy2jk5o11 ай бұрын

    산업혁명의 어두움으로 인해 영국에 노동법과 아동보호법이 발달됨

  • @HDunicorns

    @HDunicorns

    9 ай бұрын

    노동당이 득세하는 이유

  • @jung994

    @jung994

    9 ай бұрын

    영국 노동당이 예전 노동당이 아니예요. 대처이후 신자유주의 시대인데~ 득세는 무슨

  • @user-vd2it5jd5u

    @user-vd2it5jd5u

    8 ай бұрын

    @@jung994 대처는 보수당이었는데 뭔 헛소리하고 자빠졌냐?

  • @jung994

    @jung994

    8 ай бұрын

    @@user-vd2it5jd5u 모르면 가만히라도 있으면 반이라도 가지. 1979년에 공화당 대처가 당선되고 신자유주의 시대가 됐고 노동당 블레어가 당선됐지만 제3의길에 신자유주의 이념이 그대로 반영됐다는 말이다! 멍충씨

  • @TV-pk2xj
    @TV-pk2xj3 ай бұрын

    공자왈 : 이익을 보면 의를 생각하라. 무려 2500년 이전의 말씀이다. 불행히도 이 말은 여전히 유효하다. 산업혁명, 전기혁명 등을 거쳐 현재의 4차 산업혁명에 이르기까지 이득 만큼이나 해악이 크다. 자비나 박애라는 말도 여전히 이익 추구에 가려져 있다. 결국 이는 인간의 의식 수준 문제로 귀결된다. 인간의 의식은 대체로 낮다. 그로 인해 세계 곳곳은 불평등하고 분쟁이 끊이지 않으며 기후위기는 심각하다. 심신 수행으로 인간 본연의 참모습을 찾아라. 다같이 살고 싶고 지속가능한 세상을 원한다면 말이다.

  • @user-ct4nr6xo5d
    @user-ct4nr6xo5d10 ай бұрын

    안데르센이 겨울에 사람들이모여 웅성거리길래궁금해서 가봤더니 소녀가 동사해서 죽어있었다함 근데 시체가 묘하노웃는얼굴이길래 만든 동화가 성냥팔이소녀😢

  • @ryuboahn

    @ryuboahn

    8 ай бұрын

    당시 성냥공장에서 일하던 소녀들이 성냥원료인 황린에 중독되면 턱이괴사되는 병에 걸렸는데 그러면 성냥한보따리를 줘서 쫓아냈다고해요. 성냥팔이 소녀는 성냥공장에서 쫓겨난 아이라고 볼수있구요...

  • @user-in8vg4qp2f
    @user-in8vg4qp2f11 ай бұрын

    7:13 웃는거 귀엽네 ㅋㅋㅋ

  • @user-os2zd2mg7p
    @user-os2zd2mg7p6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그랬음

  • @user-qb3sb3yi6z
    @user-qb3sb3yi6z9 ай бұрын

    저 비참함이 어디 영국만의 일인가? 60~70년대 우리나라도 비슷하지 않았었나? 전태일평전 추천드립니다!

  • @user-llllllllllllllll

    @user-llllllllllllllll

    8 ай бұрын

    1860년대 일이 우리나라는 1960년대에 일어남

  • @user-db1ze6qf2q
    @user-db1ze6qf2q5 ай бұрын

    한국에도 아직 못쉬는곳 천지다 ㅡㅡ

  • @HaHa-tk6pj
    @HaHa-tk6pj5 ай бұрын

    지금 대한민국이랑 비슷하게 일하네

  • @KPZ-50T
    @KPZ-50T11 ай бұрын

    지구를 위협하는건 인간이다. 가장 잔인한건 인간이다.

  • @qrdigzx6461

    @qrdigzx6461

    11 ай бұрын

    ㅇㅇ 본인 이야기 하네 ㅋ

  • @sfk1031
    @sfk103111 ай бұрын

    예전에는 언론조차 안된게 신문이라는게 생기면서 여론화 된거지. 비슷한 사건이 흔하게 일어났지. 조선시대에는 살인사건은 괴담으로 알려줬지. 언론이 생기면서 구체적으로 실체화 된건데

  • @armshero

    @armshero

    8 ай бұрын

    까불면 돌로 쳐죽이고 묻어버리면 완전범죄였지 뭐.

  • @Murderer91
    @Murderer9110 ай бұрын

    지금도 일부 기업도 3조2교대로 직원 개같이굴림...

  • @Kimhakdo
    @Kimhakdo7 ай бұрын

    쉬는시간이 지금의 대한민국 중소기업이랑 똑같네 ㅋㅋ

  • @homeros777
    @homeros77710 ай бұрын

    명탐정코난..

  • @user-ix4ek2rp3l
    @user-ix4ek2rp3l9 ай бұрын

    잭더리퍼 그 이발사가 범인이라고 하는거 같은데 그때남아있는 증거에서 디엔에이 검사해서 비교대조한결과 유력한 용의선상에 있던 그 이발사 후손 디엔에이하고 99%인가 일치했다고 하던데ㅐ

  • @ygy9520
    @ygy952011 ай бұрын

    120시간 운운하든데 ㅋㅋㅋ

  • @elliekim03
    @elliekim0310 ай бұрын

    19세기 후반 저거랴구여 21세기 끝나가는데ㅜㅜ우리 어캐요

  • @user-ov7pz8ig1d

    @user-ov7pz8ig1d

    10 ай бұрын

    21세기 끝나려면 77년 남았음..

  • @rufieldlee7807
    @rufieldlee78079 ай бұрын

    우리는 저때로 돌아가고 있네요

  • @user-zu7lf5cp9u

    @user-zu7lf5cp9u

    9 ай бұрын

    니가?

  • @user-nv7zd7nv3z
    @user-nv7zd7nv3z8 ай бұрын

    한국도 지방은 주5일제 거의 없고 임금도 암울하지

  • @user-ic5es5cn8r
    @user-ic5es5cn8r9 ай бұрын

    1:46 여기까지 봤을때 생각나는 곳 군대 ㅋㅋ

  • @ppukkumom
    @ppukkumom2 ай бұрын

    William Blake - Chimmy sweeper

  • @JaeTarot_TV
    @JaeTarot_TV8 ай бұрын

    8:24 1992->1922😅

  • @user-ur2hk5ds5l
    @user-ur2hk5ds5l5 ай бұрын

    어떤 논문에서 잭더리퍼는 한명이 아니라고 하던데

  • @tomatosuyani
    @tomatosuyani3 ай бұрын

    아직도 기업은 언제든 노동자들을 착취하길 원함

  • @WilltoSurvive51
    @WilltoSurvive5110 ай бұрын

    너무 잔인하다

  • @user-kg4im7he1q
    @user-kg4im7he1q5 ай бұрын

    의자에 앉는게 아니라 의자에 앉아서 줄에 매달려 자는게 1페니.

  • @silver6530
    @silver653017 күн бұрын

    굴뚝 청소 진짜 무서울거 같은데 그걸 아이가 하다니..ㅠ

  • @coturjik
    @coturjik11 ай бұрын

    누군가는해야 사회가돌아가고 힘든일을 하는 사람들이 모두없어지면 결국 본인들중 누군가는 해야하는걸 왜알지 못하는가

  • @songsing8040

    @songsing8040

    7 ай бұрын

    힘든일 하는 사람들 다없어지면 우리들중 누군가는 한다구요??? 아무도 안해요!!!ㅋㅋㅋㅋㅋ 그래서 지금도 한국인들이 꺼려하는 일, 안하려고 하는 일은 외노자들이 하잖아요!!!

  • @nwkimnwkim
    @nwkimnwkim11 ай бұрын

    공산혁명이 일어나는 게 당연햇을 수 밖에..

  • @lizziemonty1387
    @lizziemonty13878 ай бұрын

    한국인 주 120시간 노동은 선진국에서 보면 인간적으로 할수없는 시간이에요. 월요일-토요일 노동시간이 하루 20시간, 인간들은 할수없죠. 보통 7.5시간 외국은 일해요. 영부인들 대통령 시장 공장 구경도 (선거전) 빈민들 구경이죠. 내가 이 빈민들보다 우월하다라는 좋은 느낌주고 더 돈 많이벌자라는 에너지도 느끼고… 내 자식들위해 시장 공장 회사원 일꾼들 사람들보다 돈을 더 많이 벌고 평생먹을돈을 모아야 된다는 생각을 가지게되죠.

  • @user-qf2rb6du5r
    @user-qf2rb6du5r8 ай бұрын

    한국에서 지금도 저렇게 일하는데..

  • @jjkang9256
    @jjkang92562 ай бұрын

    어휴..공장주들, 자본가들..이렇게까지 해서 돈을 벌었어야 했냐? 이 악마들아..

  • @seungwon-kc1ck
    @seungwon-kc1ckАй бұрын

    먼나라 이야기가 아닌게 나도 전단지100개 돌리는데 성인은 만원받을때 미성년자는 3000원 심한곳은 500원 주는곳 받아가면서 착취당했네;; 성인이되고 알바에선 최저임금도 못받는게 디폴트였던 시대를 살았구나

  • @OwenDale-pc2bv

    @OwenDale-pc2bv

    8 күн бұрын

    와우...

  • @Aegora
    @Aegora2 ай бұрын

    산타클로스.. 도 어린 굴뚝 청소부가 동화화된게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드네요.

  • @crazy2u4me
    @crazy2u4me5 ай бұрын

    한 아이에 아빠인데..저 부모들의 마음은 어떠했을지..상상도 안간다..

  • @sanghuichung5988
    @sanghuichung59882 ай бұрын

    이런 유럽의 잔악한 역사를 듣고 배울때마다 드는 생각이, 서양이 동양에게 개 식용등 도덕적 잣대를 가져다 댈때마다 어이가 없다. 인권에는 한없이 양심을 가지지 않았으면서 이제 좀 배부르고 살만해지니까 별 이상한거에 도덕적 윤리를 가지게 됌. 역사를 잊은것도 잊은거지만 그들의 뻔뻔함이 더 황당함 ㅋㅋㅋ

  • @jagalchi0115
    @jagalchi0115Ай бұрын

    아동노동착취는 정말.. 영상보니까 말이 안나온다. 저 조고만 애를..

  • @geniussjang
    @geniussjang11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현재도 그렇죠

  • @gbhcharged2261
    @gbhcharged22615 ай бұрын

    지금도 비율빈 방글라 이런데 가면 애들이 일한다......

  • @AgesOfAndrei
    @AgesOfAndrei2 ай бұрын

    영국 산업혁명의 실상을 잘 만들어진 영화들: 올리버 트위스트 그리고 잭 더 리퍼. 하층 계급의 아이 노동자들과 매춘부들의 장시간 저임금 받아도 범죄에 가해자와 피해자로 살아가야하는 시대.

  • @KGJ-user
    @KGJ-user5 ай бұрын

    이런 잭더리퍼를 로리로 만든 일본은 도덕책ㅎㄷㄷㄷㄷ

  • @sentimentalgraffiti
    @sentimentalgraffiti10 ай бұрын

    3:32 눈 땡그랗게 뜨는 혜성이 귀엽다 +_+

  • @hyo_0.001
    @hyo_0.0019 ай бұрын

    베이커가의....망령

  • @vega5868
    @vega58687 ай бұрын

    인간이 문제 이 지구상에서

  • @sherlockholmes293
    @sherlockholmes2933 ай бұрын

    저런 시대라면 사회주의 바람이 부는것도 당연했네

  • @Greenite
    @Greenite10 ай бұрын

    저 시대를 지금 기준으로 보면 지옥이지만 그 전 농노 시대에 비교하면 훨씬 좋으니까 다 도시로 몰려 나온걸텐데.

  • @user-zd2zv5cg1u

    @user-zd2zv5cg1u

    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나 미국도 마찬가지죠........우리나라만해도 70-80년대 전국 시골에서 서울로 물밀듣이 몰려왓고..미국도 대도시 외 인구들보면.......어느나라나 마찬가지입니다....농.어업이라는게 지금이야 기계 기구들이 많이 좋와져서 그만큼 노동강도가 적어졌다고해도 기피하는 일 중 최상급이죠....기계 기구 전무하던 시절에는 극강의 노동 강도였죠...시골분들 허리 굽고...오십견...각종 관절...

  • @user-nr9pr3wc2m

    @user-nr9pr3wc2m

    10 ай бұрын

    세계 대 공황 터지기 전에 하루 종일 일해야 노동자들은 빵한조가리 밖에 못사먹고 반대로 기업가들은 잉여이윤 착취해서 자산 양극화가 엄청나게 불어 났다조 ㅇ . 저러다 보니 기존에 공급이 수요를 따라간다는 경제이론이 지배적이 였다가 대 공황 터지고 나서 수요도 뒷받침되어야 공급이 따라온다는 걸 나중에 깨닫게 되었조. 하루종일 일해서 제품은 무지막지 하게 생산하는데 돈은 빵사 먹을 돈밖에 기업가들이 안주니 시장 넘쳐나는 제품들을 못사는데 돈 유동성이 돌았을까요. 그래서 한대 미국 대기업 위주의 경제 성장주도에서 경제기반을 바꾸고 당시에 대기업 세율 걷는데 심할때는 97프로 까지 걷었다고 합니다. 이전에는 시장에 정부가 개입하는것은 공산당들이나 하는 짓이다 라는 관념에서 경기가 둔화 될때는 정부가 나서서 개입해야 된다는 케인즈 학파 이론이 당시에 있었습니다.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10 ай бұрын

    인클로저 운동 때문에 농민들이 쫓겨나서 도시로 올수 밖에 없었어요

  • @Greenite

    @Greenite

    10 ай бұрын

    @@user-nr9pr3wc2m 약간 핀트가 나가신듯. 제 말은 키네시안 학파나 어쩌고 하는 것도 산업 혁명이 있어서 가능하단 말을 한거지 산업혁명 과정이 모두 정의롭단건 아닌데. 스탈린도 수백만명 죽여가며 억지로 산업혁명 했는데 그건 갑자기 정의롭게 여기시는 분은 아니죠? 그리고 90%이상의 세금은 전시 특수상황인데 그걸 일반화 하는건 좀 그렇네요. 키네시안도 말씀처럼 둔화될때 곧 어쩔수 없을때 하는 방편이란 말이지 그걸로 이끈다는 말이 아닙니다.

  • @user-nr9pr3wc2m

    @user-nr9pr3wc2m

    8 ай бұрын

    @@Greenite 마르크스주의도 어느정도. 생산요소기반이 충분이 다져진후에 분배해야한다는데 소련은 기반 시설도 안갖춰진 상태에서 공산주의 한다 정책이였는데 경제 성장률 생산기반 시설은 민간이 하고 그 이후는 노동자가 개입해야한다인데 애초에 소련 자체가 정책을 잘못 하닌했조 ㅇ 자본주의나 공산주의나 양극으로가면 결국 권위주의 엘리트주의 아닙니까

  • @user-du1we1no2i
    @user-du1we1no2i8 ай бұрын

    유영철이네

  • @user-kt4os5mu8k
    @user-kt4os5mu8k11 ай бұрын

    어우 사진 ㅠㅠㅠㅠ

  • @user-wn7ww8bi5v
    @user-wn7ww8bi5v28 күн бұрын

    16시간 노동 : 아 불쌍해 어떻게 아이들이 16시간 학습 : 그것밖에 못 해?

  • @ooj4446
    @ooj444611 ай бұрын

    인도 최하층 천민들은 지금도 저렇게 살던데

  • @B.O.P.E-3234

    @B.O.P.E-3234

    10 ай бұрын

    힌두어로 수드라임

  • @user-oi5rx3tz6z
    @user-oi5rx3tz6z11 ай бұрын

    사람을 사람으로 보지않는 것이죠.

  • @user-cf5tc5mq6d
    @user-cf5tc5mq6d2 ай бұрын

    낫과... 망치...

  • @user-ic1kj6zs9h
    @user-ic1kj6zs9h5 ай бұрын

    북한 현실 하고 비슷하네요 아동착취 하고

  • @muso4382
    @muso43822 ай бұрын

    저 당시, 저런 상황에서 헉명을 외친 사람들...

  • @abigfishinasmallpond3026
    @abigfishinasmallpond302610 ай бұрын

    지금도 저렇게 일하는 공장 많아 한국에...하루 16시간 일해도 한달 400도 못 번다..

  • @yoshiki9665
    @yoshiki966511 ай бұрын

    지금도 12시간 이상 일하는 곳 많다

  • @user-rj5ii7kq7u

    @user-rj5ii7kq7u

    11 ай бұрын

    지금도 12시간 이상 하는곳 많은데 저때처럼 복지나 돈안주고 시키지는 못하지요 . 그게 틀린거 아니겟음 .

  • @SonZedong

    @SonZedong

    11 ай бұрын

    억지로 시키나요? 안하면되죠 ㅋㅋㅋ

  • @nangmoo354

    @nangmoo354

    11 ай бұрын

    @@user-rj5ii7kq7u 안주고 시키는곳 많음 개소리 ㄴㄴ임

  • @user-rj5ii7kq7u

    @user-rj5ii7kq7u

    11 ай бұрын

    @@nangmoo354 안주고 시키면 안하면돼지 . 먼 걱정임 . 누가 잡아간데요. 사람한명 다쳐도 날리나는 세상에 .시킨다고 하는 사람이 잘못이지. 다큰 성인이 판단력도 없음 .

  • @abigfishinasmallpond3026

    @abigfishinasmallpond3026

    10 ай бұрын

    @@SonZedong 안하면 돼,, 그래서 젊은애들은 공장에서 일하는 경우가 거의 없지 대신 불법외국노동자들이 적은 임금으로 하루 12시간 이상 죽어라 일하지.. 근데 그건 또 한국 젊은애들이 엄청 싫어하지.. 불체자들 다 추방시켜야 한다고.. 그래서 이걸 바로 잡자고 근본적으로 한국 젊은 사람들이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자고 하면 그건 또 득달같이 달려들어 기업편들며 지랄지랄하지.. 기업은 흑 퍼가며 사업하냐고... 누가 억지로 시키냐고 한 하면 되는 것 아니냐고... 참 대가리 돌 든 새끼들이 말 쉽게 쉽게 한다 그치? 안주고 시키면 안하면 된다고? 뭐가 걱정이냐고? 안하면 기업은 그냥 문 닫아야지 왜 안닫고 불법외국노동자들 고용해서 돈은 또 긁어 모으고 있냐.. 경제가 발전햇으면 거기에 맞게 임금도 오르고 복지도 향상되어야 하는데 절대 그걸 안 하는 기업에 대해선 한마디도 안하는 새끼들...하여간 단세포새끼들 보면 미래가 참 깜깜하다..

  • @user-wz3dd9po3y
    @user-wz3dd9po3y7 ай бұрын

    그들이 말하는 신사의 나랔ㅋㅋㅋ 인종차별도 제일 미친나라 ㅋㅋ

  • @goldcastle-sts
    @goldcastle-sts10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은 격일제 근무하면 일하면 3일만에 48시간 일하는데 뭘 놀라고 그러냐? ㅋㅋㅋ

  • @Rich1000hm
    @Rich1000hm7 ай бұрын

    조정치 교수님

  • @jung994
    @jung9949 ай бұрын

    노동시간 늘리겠다는 그.. 한국판 무식한 대처냐

  • @MrDicunprost
    @MrDicunprostАй бұрын

    권력있는 누군가가 매춘부로인해 시한부가되고 모든 책임을 매춘부로 돌렸나보네 ㅋㅋ 존슨을조심했어야지 요즘 매독돌고있다던데 다른사람은몰라도가정있는사람들은 진짜조심좀합시다

  • @narishin2011
    @narishin20119 ай бұрын

    35:52 어..불쾌한골짜기;;;

  • @jinmei8366
    @jinmei83668 ай бұрын

    지금 대한민국 서울 주택촌 지하 반지하 방들이 저기보다 나을게 뭔가요??

  • @Moon-rz7yv
    @Moon-rz7yv9 ай бұрын

    영국 보면 그 당시 보면 병원 보면 답 없던데 마취도 없이 수술 하는거 보면 성냥 팔이 소녀도 저 때 배경 아닌가

  • @hoonjung2440
    @hoonjung244010 ай бұрын

    히틀러가 나쁜게 아니고 이시기 자본가.정치인들이 더 나쁨 역사를 제대로 보라

  • @cv9737
    @cv97376 ай бұрын

    매년 파업하고 시위해서 경제 어렵게 만들고 도로 점거해서 시민들에게 피해만 주는 귀족 강성 노조만 보고 자란 세대로서 영상 속 노동자들은 매우 생소함. 특히 어린이들 너무 불쌍 😪

  • @yongchangjang2243
    @yongchangjang224311 ай бұрын

    다비니 나왔네

  • @user-oz8nf8rb6t
    @user-oz8nf8rb6t11 ай бұрын

    4차산업혁명에는 어떤 문제점이 있을까요? 똑같을까요? 예상치 못한 다른것들도 분명 있을거 같은데…

  • @skyyy1004

    @skyyy1004

    11 ай бұрын

    똑같진않죠 1차산업혁명은 자본사회로들어가는길이고 농업.축업.수업 특히농업사회에서 산업으로 들어가는첫단계라. 4차산업은 그냥 지금도 편리하고 편한 사회를 더편리하고 빠른사회로만드는것이라 문제점이면 후진국과 선진국의 격차가 더심해진다는것과 개발도상국들이 선진국으로갈수있는 길이 안그래도힘든데 더힘들어진다는것 그리고 기업들간의 전쟁같은 기술싸움과 앞으로 4차산업에 쓰일 지구내에있는 광물을 어느나라가 차지하냐이고 그광물과 자원들을가지고있는 아프리카나 중앙아시아.동남아를 어느기업과 어느나라들이 관계잘유지하냐겠죠 그런데 지금 중국이 거의 공짜수준으로 낙후된나라들 광물을 싹쓸이하고있는상황이라

  • @user-oz8nf8rb6t

    @user-oz8nf8rb6t

    11 ай бұрын

    @@skyyy1004 이런것 말고 과거 산업혁명에도 예상치못했듯이 예상치 못한 새로운 문제들…

  • @honeyRiceCake_

    @honeyRiceCake_

    10 ай бұрын

    스트레스및 운동부족으로 인한 자가면역질환?

  • @user-nr9pr3wc2m

    @user-nr9pr3wc2m

    10 ай бұрын

    노동력 상실로 인해 생계 위협(?) 인간의 성취욕 저하(?) 로봇 ai 등등의 대체로 인해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의구심? 고찰? 생각? 그리고 전세계 인류 동일한 기본생계수당 지급 가능성(?) 플랫폼이 가진 특정한 극소수의 (0.00001%)외에 나머지 사람들의 권력 자본 힘 세뇌등등 양극화(?) 현대 현실 사회에서 돈의 가치(노동력에 따른 보상)가 미래에 가상 세계에서 돈의 가치(게임같은 행위를 따른 보상)및 노동력의 가치가 상실 등등 이 있지 않을까요.

  • @user-nr9pr3wc2m

    @user-nr9pr3wc2m

    10 ай бұрын

    @@honeyRiceCake_ 그건 지금도 있어요 ㅋㅋㅋ

  • @user-jh6yr8ks5q
    @user-jh6yr8ks5q3 ай бұрын

    영국찾을 필요없이 부모세대 70년대에 14시간 화학약품노출 쌀두말=5만?원=현재20? 받고 이나랄발전시킴 것도 빠이롯뜨 원진레이온 같은 대기업에서요

  • @user-gs7yj8us9c
    @user-gs7yj8us9c6 ай бұрын

    지금 중국이 저런 사회로 되돌아가는 중...

  • @user-xh8mg1po6s
    @user-xh8mg1po6s11 ай бұрын

    혜성님 미모 실화냐

  • @SonZedong

    @SonZedong

    11 ай бұрын

    전현무가 ㄷㄷㄷㄷㄷㄷ

  • @jr-pv5ck
    @jr-pv5ck9 ай бұрын

    도스하우스는 그냥 찜질방 수면실아니냐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