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e automobile-centralized cities the norm?

#city #architecture #theunitedstates
Are automobile-centralized cities the norm?

Пікірлер: 989

  • @MAIHAMA7329
    @MAIHAMA7329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대학들 보면 이용자는 대부분 학생인데 길은 차도 위주로 되어있죠. 쉬는시간만 되면 학생들이 차도위를 아슬아슬하게 걸어다니는 경우가 많습니다. 교수님 모교인 연세대도 최근에 백양로를 보행자 중심으로 바꾸기 전까지는 백양로는 자동차가 주인이었죠. 심지어는 지금도 백양로 뒤로는 대우관까지 옛날처럼 차도 중심의 길이 잔존하고 있고요..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 @joomkim9629

    @joomkim9629

    11 ай бұрын

    다른 학교에서는 이공계-문과대 사이를 운행하는 셔틀버스에 학생이 치여서 사망하는 사고도 있었죠 사실 짧은 쉬는시간동안 캠퍼스를 이동하며 수업을 들을 수 있던 좋은 수단 중 하나였는데 안타까운 사고 이후 중단되었다가 필요에 의한 재개 의견이 많아지자 학내로 셔틀이 돌지 않고 외부로 돌아가는 코스로 재개되긴했는데요..문제는 수업 강의실이 먼 경우는 쉬는 시간동안 이동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버려서....

  • @user-pz7yc9ty8g

    @user-pz7yc9ty8g

    11 ай бұрын

    진짜 나 다녔던 대학이 씹 자동차중심이었는데 매우 좆같았음

  • @gksghk

    @gksghk

    11 ай бұрын

    차 타고 다녔어서 생각도 못 했었던 문제네....

  • @user-zk9qo5nz5g

    @user-zk9qo5nz5g

    11 ай бұрын

    그냥 서울 시내를 자전거만 다닐 수 있게 하면 됨. 겸사겸사 화물차는 경기도 내에서 운행 금지하고 지하철이랑 버스만 다니게 하고. 경기도에 살면 서울에 출퇴근 못하게 하자. 그럼 서울에 아무도 살고 싶지 않아질거임.

  • @user-pz7yc9ty8g

    @user-pz7yc9ty8g

    11 ай бұрын

    언덕이문제임 평지면 아무리 넓어도 걸어갈 수 있음 저 대학도 언덕이 정말 상상 못 할 정도로 높았음 지금 신림 화곡동 누가 걸어감 죄다 언덕인데

  • @Breakitinthemiddle
    @Breakitinthemiddle Жыл бұрын

    확실히 휴스턴편에서 미국 도시의 절망편을 보여주셨는데 미국은 원래 도시가 넓게 퍼져있고 차가 있어야된다는 댓글이 꽤 많더라구요. 교수님도 그런 도시를 더 없이 많이 봐오셨을텐데 그에 상응 하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hl6ej6ki4o
    @user-hl6ej6ki4o Жыл бұрын

    안그래도 자신들의 생각만이 맞는 양 다소 교만하고 공격적인 댓글들이 꽤 있었던 거 같은데, 이렇게 후속 영상으로 친절하게 설명해주시는 대처가 정말 잰틀하고 멋지십니다.

  • @joshua_lee__

    @joshua_lee__

    2 ай бұрын

    그리고 이 영상의 댓글에도 그런 사람들이 꽤 있죠...ㅋㅋㅋ 그냥 저렇게 젠틀하신 분과 인터넷여포 머저리는 대화가 안통하는 건가봅니다...

  • @kimyen._.y
    @kimyen._.y Жыл бұрын

    셜록현준을 보면서.... 건축이라는 것이 참 멋진 학문이라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건축이 단순히 집을 짓는것이 아니라 그 안에 살아가는 사람의 삶에 대한 고민이라는 것을 배웠습니다. 항상 좋은 것들을 전달해주는 것 감사해요.

  • @socialphilo3557
    @socialphilo3557 Жыл бұрын

    사실 한국도 경기권 벗어나서... 천안만 가도 자차 없이 대중교통 이용은 엄청 불편한데...

  • @kimdong0701

    @kimdong0701

    Жыл бұрын

    천안을 비롯해서 세종시가 교수님께서 언급하신 차 없으면 살 수 없는 전형적인 도시라고 생각합니다. 세종에서 대학을 다니고 있는 저에게는 세종의 교통이 너무나도 불편합니다. 세종에는 구도심과 신도심을 잇는 대중교통이 버스로 한정되어 있습니다. 지하철이 없기 때문에, 도로 상황에 따라 도착시간이 달라집니다. 시간이 더 많이 들기도 하구요. 조치원이라는 구도심과 세종 신도심을 연결하는 brt를 만든다고 하는데 단순히 차로를 늘리고 직통 버스만을 만든다고 해서 교통이 편해지지는 않을 거같다는게 제 의견이고, 세종에도 지하철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천안같은 경우는 1호선이 연장되어 있어 조금은 편할 것 같기도 하구요. 그럼에도 대중교통 이용은 많이 불편합니다. 만약 서울처럼 대중교통을 타기 편한 환경이 지방에도 주어진다면, 수도 집중화를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 @rosi6263

    @rosi6263

    Жыл бұрын

    사실 경기권도 대중교통 없이는 불편한 점이 많죠

  • @user-th7jx2wk1j

    @user-th7jx2wk1j

    Жыл бұрын

    @@kimdong0701 지하철을 만들려면 이용객이 많아야 경제성이 나오고 그럼 인구밀도가 높아야 할텐데요. 현실적으로 인구밀도부터 높일 생각을 해야 지하철을 만들든 하죠.

  • @CY-wd4sd

    @CY-wd4sd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지금 있는 곳은 현상황에서 보완 발전해 내가되, 새로 지어질 도시들은 처음부터 보행친화적인 도시를 짓는게 좋겠다는 게 교수님 요지인 듯 합니다! 천안 말씀하셨으니깐 충남 내포신도시만 봐도 전혀 보행친화적인 도시가 아니라는걸 알 수가 있죠

  • @hawk9938

    @hawk9938

    Жыл бұрын

    경기도도 자동차없으면 불편한 곳 엄청 많습니다 대표적인 곳이 동탄이죠

  • @joonmopark1278
    @joonmopark1278 Жыл бұрын

    건축학자가 단순히 건물 설계하는 직업이 아니라는 걸 알게 해 주는 교수님

  • @user-dz7vx4uy3f

    @user-dz7vx4uy3f

    11 ай бұрын

    모지리요 구름속에 사는 고귀한 분이라 차없이 살수 있는게 좋다는 말을 함부로 하지요 아주 현실감이 없어요

  • @user-mr7ce2xl4m

    @user-mr7ce2xl4m

    11 ай бұрын

    ​@@user-dz7vx4uy3f자꾸 병신같은 댓글 달고 다니시는데, 그 편협하고 맥락도 없는 니 사상으로 댓글환경 해치지 마세요

  • @user-oh6mq2xp3d

    @user-oh6mq2xp3d

    11 ай бұрын

    ​@@user-dz7vx4uy3f영상을 제대로 보신건지 궁금하네요😂

  • @kyriefy

    @kyriefy

    11 ай бұрын

    도시공학자라고 따로 있습니다. 건축학자는 건물만 설계해도 되요.

  • @Ash-bi6wz

    @Ash-bi6wz

    11 ай бұрын

    @@user-dz7vx4uy3f영상 볼 줄 모르죠...

  • @myoungbaek1713
    @myoungbaek1713 Жыл бұрын

    역시 전문가의 고찰이 돋보입니다. 모든 사고가 '현재의 나'에만 머물러 있는 일반인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부분입니다. 하나의 의문에 자세히 부연설명 해주셔서 교수님 의견을 쉽게 납득할 수 있어서 좋네요.

  • @jamesjeon807
    @jamesjeon807 Жыл бұрын

    항상 교수님의 통찰력을 보고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 @modnbubu
    @modnbubu Жыл бұрын

    진짜 장비들고 해외 다니면서 차 없이 대중교통이 얼마나 불편한지.. 정말 말로는 못하죠. 걸을수 있는 도시가 많아지면 얼마나 여행하기 좋을까요~ 언제나 딱 공감가는 부분 파헤쳐주시는 교수님 너무 팬입니다! ^^

  • @kevinjhjung
    @kevinjhjung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영상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휴스턴에서 자란 입장으로서 교수님이 미국식 도시설계의 문제점을 정확하게 잡아주신 것 같습니다. 추가하자면 자동차 활성화 후에 개발된 미국도시들은 각각의 고유문화나 전통을 지우며 이루워졌기 때문에 사람들이 자신이 사는곳과 유대감을 형성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죠.

  • @johnkim9642

    @johnkim9642

    Жыл бұрын

    텍사스 총기사건.. 한인 가족 부부 죽고.. RIP. 무섭다... 한국이 마음은 편하다...

  • @kimhyunwooPaul

    @kimhyunwooPaul

    11 ай бұрын

    총기사건 얘기는 왜 꺼내는거지요? 부정적인 느낌이 생기면 미국 이민 안 온다고요!!! 새로 이민자 들어오면 식당 팔아치우고 한국 들어갈건데!!! 미치겠네요 진짜.

  • @user-dz7vx4uy3f

    @user-dz7vx4uy3f

    11 ай бұрын

    @@kimhyunwooPaul 누구 봉 씌우고 빠져나가겠다 새로온 이민자는 기술을 가져 회사에 취직해야죠 왜 식당일을 해야 되나요?

  • @user-pt5mu8vn3s

    @user-pt5mu8vn3s

    11 ай бұрын

    건축가나 공무원의 이상이 도시설계에 반영되면 어떻게 되는지 세종시를 보면 알수있죠.. 자동차 중심도시가 아니고 자전거 도시만들겠답시고 도로 꼬라지보세요.,. 인구도 얼마없는데 차도 미어터지고 그거때문에 수십만이 매일매일 고통받습니다. 사는 사람들이 원하는게 뭔지가 먼저죠. 건축가의 이념따위가 아니라...

  • @engle8844

    @engle8844

    11 ай бұрын

    @@user-pt5mu8vn3s 설계를 대중교통 중심으로 만들면 되잖아요.

  • @hj1016h
    @hj1016h Жыл бұрын

    너무 공감해요! 맨해튼 살다 휴스턴 왔는데 오고나서 느꼈어요 도시 설계와 내 라이프스타일과 삶의 질이 얼마나 밀접해있는지..

  • @coincidence8
    @coincidence8 Жыл бұрын

    집앞 슈퍼가는데도 차타고 나가는 사람들은 자신이 뭘 놓치고 있는지 모릅니다. 교수님 ㅎ감사합니다~ 편리함을 위해 인간적인 행복을 손해 보고있다는 걸요. 지방소멸이 심각해 질텐데 정책관리자들이 이 영상을 보고 반성을 했으면 좋겠어요. 쓸데없는 예산으로 동상이나 세우지말라고 ㅎ

  • @lohag4313
    @lohag4313 Жыл бұрын

    저는 휴스턴에 20년 넘게 살고있지만 이 주제에 공감합니다. 필요에 의해 자연스럽게 차를 타고 다니지만 항상 편하게만 느껴지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관계형성, 자동차만을 위한 공간, 연료소비, 차사고 등등. 인프라가 전혀 없는 (있어도 여러가지 이유로 사용하지 않는) 도시라, 최근에 토론토를 다녀왔는데 전철, 버스, streetcar 등등 차가 없이도 다닐 수 있는 도시가 더 활기차고 편하게 느껴지네요. 삶의 방식의 차이일 수도 있지만 사람의 기본적인 필요를 채우고 행복감이 높은 도시 구조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도시가 좋은것 같다고 느껴집니다. 항상 영상 잘 보고 있는데, 텍사스 이야기가 나와서 반가운 마음반 안좋은 도시구조의 예가 된 것 같아서 안타까운 마음반이네요. 하지만 덕분에 미술관과 샌안토니오 리버워크 등 다른 시각으로 볼 수 있는 시간이여서 감사했어요 :)

  • @moongakpark5214

    @moongakpark5214

    10 ай бұрын

    ​@@user-mw8md2so7w혹시 역 입구에서 구걸하시는 현직 흑인 이신가요?

  • @vsy56

    @vsy56

    10 ай бұрын

    @@user-mw8md2so7w은 걍 백인만 있는 깡촌에 가서 옥수수나 감자 같은거 농사나 지으며 사세요. 어휴 ㅉㅉ. 이런 사람은 대체 왜 셜록현준을 보는건지 이해불가능.

  • @Chloe28901

    @Chloe28901

    9 ай бұрын

    @@user-mw8md2so7w 그런 머리는 왜 달고 있니 ?

  • @user-nx1qf4ob4d

    @user-nx1qf4ob4d

    4 ай бұрын

    @@user-mw8md2so7w 아니 걍 동감한다 이런 의견이다 말도못함? 당신이랑 의견 다르면 머리가 장식임? 진짜 너무 천박하다. 말하는 꼬라지;;배우고살자 인간이면

  • @3minquickbook136
    @3minquickbook136 Жыл бұрын

    너무 고급지식을 쉽게 설명해주시니 일반인입장에서도 인문학적+공학적으로도 이해가 잘 되는거같아요! 너무 감사합니다... 제가 사는 동안 이런 멋진 강의를 볼수있다니...너무 다행입니다!!

  • @rayhong6020

    @rayhong6020

    11 ай бұрын

    한국의 좁은 땅덩어리에 차 없으면 못 사는 나라도 아니고, 서울에 직장 다니면서 괜히 사람들이 전철을 타는 이유를 모르나....그냥 서울에 살 수 있는 능력이 안 되어 지방 수도권에 있다 보니 차가 필요할수 밖에 없는걸.... 경기도 광주 아는 분도 결국 서울로 와야 하는데 교통 일찍 끊길까봐 조마조마하는 모습 보면 측은 하더군요....

  • @hyunjuseo8801

    @hyunjuseo8801

    10 ай бұрын

    더군다나 고급지식을 쉬운말로 설명해 주시죠~

  • @songchiyoung
    @songchiyoung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점점 전설이 되어가시는거 같습니다... "사람간의 우연한 만남 sns를 통해 끼리끼리 만나는게 아니고 우연하게 공통의 추억을 만들면서 이 도시안에서 살 수 있는 방법" 진정한 휴머니스트이십니다 😂😂 좋은 강의 늘 잘듣고 있습니다!! tasch에 주차하고 zermatt에서 걸었던 기억들을 떠올릴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user-kl5it4nj6t

    @user-kl5it4nj6t

    Жыл бұрын

    그놈의 휴머니스트ㅋㅋ

  • @user-dz7vx4uy3f

    @user-dz7vx4uy3f

    11 ай бұрын

    웃겨 사람과의 우연한 만남으로 관계가 생기는게 얼마나 된다고 정말 어이가 없네 병원도 검색하고 찾아가는. 세상인데 길에서 우연히 만나. 관계가 생긴다고요?

  • @changjust8410

    @changjust8410

    11 ай бұрын

    @@jp5500정신병자도 아니고 뭔 눈 마주치면 싸움ㅋㅋㅋ 비약이 너무 심하시네요😂😂

  • @orange-what

    @orange-what

    10 ай бұрын

    ​@@user-dz7vx4uy3f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공유하는 경험이 늘어남으로서 공동체 의식이 강화될 것 같습니다.

  • @user-ep7hv2hc7r

    @user-ep7hv2hc7r

    4 ай бұрын

    @@user-dz7vx4uy3f시골에 사는 고졸이시죠? ㅋㅋㅋ

  • @kimmi6303
    @kimmi6303 Жыл бұрын

    걷기 좋은 도시 라는 게 환경과 건강 측면도 있겠지만 교수님 말씀 중 제일 인상 깊은 게 결국 "사람들과의 우연한 만남" 인 것 같아요. 걸으면서 이런 사람 저런 사람 만나고 이야기 나누고 소통하면서 사는 것. 사람 사는 공간은 그게 필요하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요즘 들어 많이 느끼고 있거든요. 사람들이 공간에 살고는 있는데 사람이 없는 느낌들을 받을 때가 많아요. 그래서 일부러 걸을 수 있는 동네를 찾아 기웃기웃 하고 있습니다. 건축에 전혀 관심 없다가 "사람"과 건축의 이야기가 재미있어 몰래 보다가 댓글 남겨봅니다. ^^

  • @andre_7302
    @andre_730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영상을 보니 캐나다 몬트리올이 생각나네요 몬트리올은 휴스턴와 달리 엄청 추운도시입니다. 겨울에는 눈이 상상도 할 수 없을만큼 내리고요 그러나 대중교통이나 보행환경이 일반적인 북미도시와 비교 할 수 없을정도로 발달되어 있습니다. 언더그라운드 시티가 다운타운 곳곳에 이어져있어 혹한기에도 많은 사람들이 걸어서 도심을 오가죠 한 번 가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아 기회가 되신다면 오리건주 포틀랜드도요 여기도 자동차 중심도시에서 다시 보행친화적인 도시로 리노베이션 한 사례인데 이곳들을 가 보신다면 같은 북미인데도 어떤 사람들이 모이느냐에 따라 도시의 모습이 달라지는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 @yeojakgaroom3312
    @yeojakgaroom331211 ай бұрын

    이런 강의를 무료로 들을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에 감사함을 느낍니다.

  • @j453fdfg
    @j453fdfg Жыл бұрын

    불편한 영상? 많이 만들어주세요. 담론과 화두를 던져주는 거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 @kellykim5613
    @kellykim5613 Жыл бұрын

    차타고 출근하고 마트가는 엘에이 살아서 뉴욕 텍사스 재밌게 봤는데 이번 내용도 정말 흥미롭네요. 일반인에게 이런 고급지식을 무료로 전파해주시는 교수님 감사합니다❤

  • @user-xy9qc9rv5o
    @user-xy9qc9rv5o Жыл бұрын

    교수님, 항상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존경합니다! 이런 훌륭한 컨텐츠를 집에서 볼 수 있다는 게 너무 감사할 따름입니다 ㅎㅎ

  • @blackdream5247
    @blackdream5247 Жыл бұрын

    이런 반론? 영상도 참 좋다고 생각합니다 사람은 늘 자신의 경험 안에서만 생각하는데 새로운 지식 덕에 편견과 고정관념을 다시 생각하게 해주니까요...ㅎ

  • @edwardkim3921
    @edwardkim3921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교수님. 수준 높은 컨텐츠를 접하게 되어 영광입니다! 차없는 거리에 대해서는 암스테르담의 사례도 좋은 참고가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한때는 많은 차들로 교통체증이 심각했는데 시에서 차의 통행을 여기저기 제한하기 시작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걸어다니게 되고 거리 상권도 살아나고 많은 사람들이 좋아했다는 얘기를 어느 캐나다인의 유튜브 강연을 통해 들은 적이 있어요.

  • @SJ-zb3eo

    @SJ-zb3eo

    9 ай бұрын

    네덜란드 다녀왔는데 보행자, 자전거 중심 도시구조의 장점을 잘 느낄 스 있더군요. 걷기만해도 즐거운 나라는 네덜란드가 처음이었던거 같습니다

  • @STDMT

    @STDMT

    5 күн бұрын

    NotJustBikes!

  • @236Film
    @236Film Жыл бұрын

    오늘 셜록현준 채널에서 삶을 관통하는 핵심가치를 마주한 것 같네요 '최적의 에너지를 소비하면서도 도시안에서, 지구에서 공통의 추억을 만들며 이것을 지속해나가며 살아가는 것.' 이 함축적인 영상 안에서도 삶의 여러가지 장면과 의미를 곱씹게 되네요

  • @jjj2856
    @jjj2856 Жыл бұрын

    일반인들에게 가장 잘 설명해주신 영상 같습니다. 현시대의 문제점 뿐만 아니라 미래에 대한 비전도 생각해보았던 영상이라 더욱 유익한 것 같네요.

  • @scottchoi7262
    @scottchoi7262 Жыл бұрын

    매번 느끼지만 너무 좋은 강연 감사드립니다. 구독하고 갑니다.

  • @user-nowhere
    @user-nowhere Жыл бұрын

    사막에서 성공한 도시는 씬시티뿐이다....띵!하네요. 같은시간을 걸어도 신도시의 반듯하게 구획된 길이 구불구불 시간이 만든 골목길보다 지치는 이유가 있었던거군요. 작정하고 쏟아내신 이번 영상 너무 재밌었습니다. 학자이자 전문가로서의 신념이 보이네요^^

  • @user-ty3te1ex4w

    @user-ty3te1ex4w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구불구불한 길은 가면서도 항상 다른 풍경을 보게 되니까 즐거운 거 같아요!

  • @user-zk9qo5nz5g

    @user-zk9qo5nz5g

    11 ай бұрын

    평평한 길이 훨씬 편한데.... 구불구불하고 계단 많은길 가면 50미터만 가도 피곤함. 근데 시골에 차도 없고 경지정리 되어있는 농로에 자전거 타고 가면 3키로 10키로를 가도 안 피곤함. 강북에서 골목골목 걸어다니는게 피곤한지 아니면 강남에서 대로변 걸어다니는게 피곤한지 그걸 생각하면 딱 답나옴. 여름만 생각하면 당연히 골목길이 시원하고 대로변이 덥지만 봄,가을,겨울을 생각하면 대로변이 훨씬 편함.

  • @vsy56

    @vsy56

    10 ай бұрын

    @@user-zk9qo5nz5g진짜 대로변이 더 편한가요? 저는 대로변이 시점의 변화가 없어서 훨씬더 걷기 힘든거 같은데;;

  • @user-zk9qo5nz5g

    @user-zk9qo5nz5g

    10 ай бұрын

    @@vsy56 저 멀리 정해진 포인트로 아무생각 없이 갈 수 있잖아요. 대로변 같으면 인도도 넓고 차도랑 확실히 분리되어 있으니까 아무 생각없이 걷기만 하면 되죠. 목적지 까지 1개 포인트만 잡고 걸으면 되는데 골목길 같은 경우에는 주변을 항상 두리번 거려야 함. 대로변은 걸을때 발을 어디 딛는지 생각하지 않잖음. 골목길은 내 발밑도 계속 확인해야 되고 다른사람이나 오토바이, 차는 안오는지 교차지점마다 계속 멈춰서야 함. 거기다가 도로변 주차된 차량도 피해다녀야 되고. 오는차 가는차 피해가며 달리고 피하고.. 얼마나 피곤한지 체감하려면 손에 캐리어 하나 쥐어주면됨. 골목길?300미터도 못가서 금방 GG침.

  • @eunhokim3304
    @eunhokim3304 Жыл бұрын

    개인의 능력으로 바꿀수는 없고 그래서 불편하고 비효율적인것에도 맞춰살다보니 그 역시도 익숙해져서 부정적인 댓글들을 적으셨나 봅니다 너무 유익한 내용이었습니다:)

  • @jipark4245
    @jipark4245 Жыл бұрын

    나도 파리,도쿄,베네치아 같은 도시에 살아보고싶지 LA같은곳은 별로 살고싶은 생각이없었는데 그 이유를 깨닫네요. 걷을 수 있는 도시와 없는 도시의 차이.

  • @user-cn5jb7pj4f
    @user-cn5jb7pj4f Жыл бұрын

    와 바로 설득됩니다 교수님의 지식과 통찰력이 경이롭네요

  • @yjonly
    @yjonly11 ай бұрын

    정말 어떻게 이렇게 설명을 잘하시는지 매 편마다 감탄을 멈출수가 없네요.... 화이팅!!

  • @BaniaBanya
    @BaniaBanya11 ай бұрын

    교수님 유튜브 강의를 그동안 무심히 흘려들었었는데, 점점 빠져듭니다. 참 유익하고 재미도 있습니다. 이런 좋은 내용을 무료로 가르쳐 주시니 너무나 감사합니다!!!

  • @bikeelectric2577
    @bikeelectric2577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정말 많은걸 배웁니다.

  • @mieux4604
    @mieux4604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당

  • @user-el4bd1cv5x
    @user-el4bd1cv5x Жыл бұрын

    교수님영상 너무감사히보고있어요 교수님의 솔직하고 질높은 영상을볼수있어서 너무좋아요.. 더불어 목소리도좋으셔서 더위 좋아욤~~^^

  • @UnLMTDUP
    @UnLMTDUP Жыл бұрын

    오늘 WE TALK에서 강의들었었는데, 차 없으면 살 수 없는 도시에 대한 얘기를 하셔서 동탄2신도시 말씀하시는건가 했습니다 ㅎㅎ 동탄2신도시에 살았었고, 동탄1신도시에 얼마전에 친구 집들이를 갔었는데, 동탄2신도시가 도로도 널찍하고, 좀 더 신식? 건물이어서 보기 좋긴 하였으나, 밀도가 높은 동탄1신도시가 사람 살기엔 더 좋다고 느껴지더군요. 동탄1신도시 옆에 새로 생길 진안신도시는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새로운 도시 형태로 만들어졌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user-tk2ff4qb6b
    @user-tk2ff4qb6b Жыл бұрын

    진짜 캐릭터성이 좋으신 듯! 썸넬 보자마자 꽂혀서 들어옴 ㅋㅋ

  • @user-nj6yi2qt3d
    @user-nj6yi2qt3d Жыл бұрын

    차없는 도시가 되려면 그 도시의 사람이 갈 수 있는 반경에 본인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되어있어야 하는데 그렇게 되려면 대중교통이 잘 깔려 있어야 하며 그 대중교통이 잘 돌아가려면 그 도시의 규모가 커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모든 도시가 그렇게 되긴 힘들거 같아요

  • @user-torisister
    @user-torisister Жыл бұрын

    실제로 걸어서 10~30분안에 주거단지, 학교, 지하철, 나무언덕과 물이 적절히 조화된 공원들, 상업시설, 관공서들이 모두 갖춰진 동네에 살고 있습니다. 직장들도 대중교통으로 30분~1시간내 거리쯤에는 존재하구요. 그 쾌적함을 살아보기 전에는 몰랐어요. 그 후 거주지가 무조건 넓다고 좋은게 아니라는걸 깨달았고 우리나라에 이런 동네가 아직까지는 별로 없다고 생각되니 이 동네 집을 팔고 다른 곳으로는 쉽게 못갈거 같네요. 교수님 말씀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 @babyji1013
    @babyji1013 Жыл бұрын

    7:50 너무 멋진 사례들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역시 아는 만큼 보이나 봅니다 9:16 아름답고 멋진 디자인 11:06 건축가는 정말 넓고 깊이 알고 다양면으로 멀리 볼 수 있어야 한다는 걸 매번 깨달으면서 존경합니다👍 인간이 더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멋진 직업이네요

  • @dyk1691
    @dyk1691 Жыл бұрын

    명품 체널입니다 이런걸 뮤료로 볼수있다니.. 너무 고마워요

  • @starcraftnewbie2003
    @starcraftnewbie2003 Жыл бұрын

    환경문제를 짚어주신 점은 정말 탁월하고 좋은 지점이라고 생각합니다.

  • @yelown
    @yelown Жыл бұрын

    많이 생각하게 하는 영상이네요 고맙습니다 교수님

  • @user-yw7pm2ym5h
    @user-yw7pm2ym5h Жыл бұрын

    도시는 그 도시를 만들고 또 사는 사람들을 닮는다는 사실을 다시금 깨닫게 됩니다. 유현준교수님의 생각이 도시의 새 물결로 되기를 바랍니다.❤

  • @happysmile638
    @happysmile638 Жыл бұрын

    캘리포니아 여행갔었는데 차없이는 집밖에 나갈 수 없는 걸 보며 나중엔 무기력감과 우울감을 느꼈습니다. 여행이란 걸어다니면서 이동네에 뭐가 있나 구경하는 게 매력인데, 그 매력을 앗아가더라구요. 관광지 뭐 이런데 아니면 도통 걸을수가 없고 걸으려몀 차를 타야 하는 아이러니;;

  • @jhfoever
    @jhfoever Жыл бұрын

    음.. 미국 서법에서 삽니다. 전 생각이 좀 다른데요. 한국처럼 대도시에 집중된 생활권이 뉴욬 정도 제외하면 없다시피 합니다. 지금 그 뉴욬도 코비드 이후에 오피스 공동화가 매우 심하죠. 현재 미국인들 직장 대부분 서법에 있거나 집에서 일합니다. 서법에서 서법으로 출퇴근 하는거죠. 맨하탄이나 필리 센터 시티 서법에서 살았는데 실제 그 중심부에 갈 일이 없습니다. 한국처럼 어떻게든 인구 밀집 지역에 갈 일 자체가 많지 않습니다. 그리고 보통 서법 근처에 18-19세기에 만들어진 기차역 주변 옛날 동네가 힙 한 샵들과 식당 등으로 walkable하게 재탄생 하고, 그런 옛 타운이 없는 동남부 신도시들은 보통 promenade라고 walkable한 아웃도어 몰을 만들어 놓지요. 미국같이 땅넓고 인종도 다양하고 총기가 흘러넘치는 나라에선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스타일대로 타운을 만들고 삽니다. 전 미국적인 사회 환경이 가장 잘 반영된 도시 형태가 서법이라고 봅니다. 미국 전체 인구의 반 이상이 살고 특히 대부분의 백인들이 이렇게 살죠. 총기사고가 끊이지 않는다는 인식과 다르게 대부분의 서법은 총기사고는 고사하고 집 문도 잘 안 잠그고 다닙니다. 순찰도 매일 여러번 정기적으로 돌고요. 물론 서법 라이프스타일이 좋은 점만 있는건 아닙니다. 미국인들이 자조적으로 성인 될때까지 가택 연금이라고 하는 이유가 있지요. 한국처럼 집 나와서 어슬렁 걸어가서 뭘 사 올 수 있는것도 아니고, 걷는것과 일보는것이 철저히 분리된 삶을 사는 것이 적응이 안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생활 간섭 없고, 층간소음 같은것 걱정없고, 비슷한 소득 수준의 사람들끼리 모여 산다는 면에서는 대부분의 사회적 갈등이 적어도 서법 안에서는 근본적으로 해소되기때문에 스트레스는 정말로 적은 삶의 방법 같네요.

  • @kwonhu1984

    @kwonhu1984

    Жыл бұрын

    다운타운만 훑어보고 도시 전체의 모습을 판단내려버린거죠. 서울 광화문일대만 보고 서울을 정의내려버린 것과 같은.

  • @parkcurry8887
    @parkcurry888711 ай бұрын

    풍부한 영감을 주는 내용입니다. 지성의 힘이 통쾌하게 빛납니다. 감사합니다.

  • @Ekun2kun
    @Ekun2kun Жыл бұрын

    차와 사람의 이동에 관한 교수님의 재미난 의견 잘 들었습니다. 최근에 커뮤니티에서 이 주제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주제에 대해 들은적이 있는데 운송 인프라가 도로와 차량에 크게 의존하는 체제가 과연 건강하고 정상적인 인프라인가에 대한 말인데 영토가 좁거나 운송 인프라가 부실한 국가들은 운송 인프라를 도로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긴 하지만 한국은 극단적으로 도로에 치우쳐져 있는 편이라고 하더군요. 여기에 대체제가 될 수 있을 철도는 한반도의 지형이 험해서 인프라를 깔기가 어렵고 철도의 장점이 돋보이려면 장거리 노선이 있어야 하는데 그건 국토가 좁아서 힘드나 연안 수운은 '선박용 블록과 같이 연해 중공업 단지에서 생산, 소요되는 특수화물' 같이 연안해운에 더 적합한 제품들이 있는데 이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제품들조차 차량운송을 하는것이 과연 옳은 시스템인가 하는 내용인데 이에 대한 교수님의 고견이 궁금합니다

  • @HM-gr8if
    @HM-gr8if11 ай бұрын

    저도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걸어다니면서 사람들이 우연히 서로 만나며 추억을 쌓을 수 있는 곳. 저도 그런 도시가 좋습니다.

  • @a3epp917
    @a3epp917 Жыл бұрын

    이정도 되어야 교수라고 불리는구나. 대단합니다.

  • @user-dz7vx4uy3f

    @user-dz7vx4uy3f

    11 ай бұрын

    개뿔 교수는 구름속에서 Romatic 하게 고귀하게 살아서 Realistic 을 몰라요 일반 서민 들의 삶을 경험하면 이따위 영상을 올리지 않아요

  • @a3epp917

    @a3epp917

    11 ай бұрын

    교수가 정치하는 사람 아닌 이상 서민의 삶을 고려하여 학문에 접근을 할 필요는 없을것 같습니다.

  • @user-dz7vx4uy3f

    @user-dz7vx4uy3f

    11 ай бұрын

    @@a3epp917 건축계획 하고 건축물이 지어지고 사화 인프라가 지어지는데 거기 누가 사냐요? 누가 살아요? 우리나라 재개발로 홍콩의 닭장 아파트 같이 지어지는게 보기 좋나요? 이 교수는 차가 없는 걸을수 있는 뭐 이따우 소리해대는데 밀집된 도시는 출퇴근시 만원. 지하철에서 시달리지요 또 차가 있으면 차로 움직이지. 거의 지하철 버스 안탑니다 휴스턴은 집에도 나가면 허리케인 방지로 인공호수가 있는 곳이 많아 얼마든지 서울보다 나은 환경에서 걸을 수 있어요 서울 살면서 차로 다니는 경우가 많아오 지하철 있어도 만원 지하철에 시달리기 싫고 또 같이 가지고 다니는 물건도 있어 차가 편해요 그런데 차 없는데서 있어야. 지나가는 사람과 우연히 친해질 수 있다 든가 그런경우가 얼마나 있겠어요? 이건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예술적인 집을 짔는 수 밖에 없어요 건축이 사는걸 다루는 건데 왜 안 중요합니까?

  • @a3epp917

    @a3epp917

    11 ай бұрын

    @@user-dz7vx4uy3f 맞는 말이네요. 생각이 짧았습니다. 좋은날 되십시오.

  • @user-dz7vx4uy3f

    @user-dz7vx4uy3f

    11 ай бұрын

    @@a3epp917 아니예요 제가 더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좋은 일이. 함께 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sck8207
    @sck8207 Жыл бұрын

    항상 그렇지만 교수님 영상보면 새로운 눈이 뜨이는 느낌입니다 유려한 영상미는 뭐 말할 필요도 없구요^^ 즐겁게 보고 있습니다~~

  • @user-rl5nb6gq4c
    @user-rl5nb6gq4c Жыл бұрын

    셜록현준 콘텐츠 첨보는데 미래를 바라보는 관점이 너무 멋진것같습니당 잘봤습니다!

  • @user-xo1nx7iw5f
    @user-xo1nx7iw5f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멋진 교수님..영상 볼때마다 유튜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시개발.건축계에 대통령 ..

  • @555kevin8
    @555kevin89 ай бұрын

    세상좋아졌습니다. 클릭 한번으로 이런 강의를듣고. 고마워요.

  • @user-lp3si9nw1l
    @user-lp3si9nw1l Жыл бұрын

    영상 흥미롭게 잘 보았습니다 교수님 더불어 건축과 도시계획의 공간을 구성하는 학문적인 괴리와 실무에 있어서의 상충점 등에 관한 이야기도 듣고싶어요

  • @vicharas80
    @vicharas8011 ай бұрын

    도시계획에 정답이 없는줄 알았습니다 너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kisha5097
    @kisha50979 ай бұрын

    자동차보다 사람이 우선시되는 도시가 되야한다는 말에 굉장히 공감합니다 우리나라만 해도 자동차가 다니는 찻길은 그렇게 넓은데 정작 도시의 주체가 되야하는 사람들 다니는 인도가 넓은 경우는 거의 못본거 같네요 나중에 교수님이 직접 도시설계자가 되어서 우리나라 도시들을 혁실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 @seoulkorea.

    @seoulkorea.

    Ай бұрын

    홍대가 있긴 해 홍대는 차도보다 인도가 넓음

  • @STDMT

    @STDMT

    5 күн бұрын

    공감합니다. 자가용 중심 도시계획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야죠.

  • @farfromit7654
    @farfromit7654 Жыл бұрын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에 문제점도 한번 다뤄 주시면 균형적인 관점을 가지는데 더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 @yourangtv
    @yourangtv Жыл бұрын

    고급강의를 들을수록 있어 정말 고맙습니다

  • @user-pp1jq6ji7o
    @user-pp1jq6ji7o Жыл бұрын

    너무 많이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 @user-rh8mq1im1b
    @user-rh8mq1im1b Жыл бұрын

    매번 보는건 아니지만 현준님 영상을 보면서 건축가가 너무 매력적인 직업으로 느껴집니다ㅎㅎ

  • @Randomphase
    @Randomphase11 ай бұрын

    제가 살고싶은 도시의 요건 중 하나가 pedestrian이 걷고싶고 생활하기 좋은 곳으로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더 크고 넓은 각도로 생각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withplus13
    @withplus13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yansuk4727
    @ryansuk4727 Жыл бұрын

    알기쉽게 설명 감사합니다. 잘 듣고 갑니다.

  • @vnfma7
    @vnfma7 Жыл бұрын

    거시적으로 공간설계자로서의 시각으로 공간을 바라보게 돼서 참 유익하다고 생각

  • @iamright_youwrong
    @iamright_youwrong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철학에 설득이 되네요~

  • @rizuri789
    @rizuri7897 ай бұрын

    교수님, 이 영상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막이 제공되어 다행입니다. 저는 인도네시아에서 왔고. 현재 한국어를 배우고 있습니다.

  • @dmsrud1000
    @dmsrud1000 Жыл бұрын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 @HahahahahaLoveyou
    @HahahahahaLoveyou Жыл бұрын

    너무 당연한 현재의 생활방식에 새로운 대안적 시선을 열어주셔서 좋네요! 다만 텍사스 사는데..어떻게 적용될수 있을진 모르겠습니다 ㅎㅎ 다양한 모습으로 살되 가능하다면 걸을 수 있는 도시가 많이 실험되고 적용되면 정말 좋겠어요!

  • @jiroma3916

    @jiroma3916

    Жыл бұрын

    텍사스 석유재벌 로비로 테초부터 답없이 설계되어서 안타깝네요. 지구 멸망의 주범 도시가 되어버렸으니 ㅠㅠ

  • @JJ-qo9ik
    @JJ-qo9ik Жыл бұрын

    컨텐츠 질이 너무 높다 진짜 돈내고 수강들어야 하는 강의 수준이다

  • @kaiwrites4182
    @kaiwrites418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교수님!

  • @qccioh6204
    @qccioh6204 Жыл бұрын

    우연한 만남 까지 생각하는 .. 건축가의 심도있는 생각의 깊이에 감동이~ 🤩😃

  • @user-xc7xl8ek4l
    @user-xc7xl8ek4l Жыл бұрын

    진짜 눈이 번쩍 떠지네… 건축학과 희망하는 고3 수험생입니다 항상 존경합니다

  • @chaewooli
    @chaewooli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건축의 도시이자 역사도 깊고 워커블로 최고인 시카고 오세요!! 분명 좋아하실거 같은데요. 시카고 뿐 아니라 주변에 세인루이스, 밀워키도 주변 도시의 역사도 상당히 재밌어요.

  • @lobro7084
    @lobro7084 Жыл бұрын

    건축사 교양수업의 한챕터 같은 동영상이네요. 잘봤습니다 ❤

  • @jutti0912
    @jutti0912 Жыл бұрын

    시간 순삭 너무 재밌어요.

  • @andrewkim8191
    @andrewkim8191 Жыл бұрын

    저도 이 부분에 매우 공감합니다. 제가 LA에 살 때는 왠지 모르게 외로웠는데, 나중에 동부로 와서 보니까 서부는 동부만큼 걷는 사람들이 보이지 않더라고요. 항상 차 타고 와서 자기 볼 일만 보고 가는 구조라 그런 것 같습니다. 동부는 뉴욕 보스턴 디씨 내쉬빌 마이애미 등 대도시에 항상 걷는 사람들이 넘쳐납니다. 내쉬빌은 시골동네인 줄로만 알았는데 주말에 음식점들 생음악 할 때 가보면 홍대를 방불케 하더라고요. 이것이 차를 타는 생활방식과 함께 도시계획에 따른 것이라는 것을 모르고 있었는데 유익하게 알게 된 것 같습니다. 참고로 오스트리아 비엔나 갔을 때 꽤나 인상 깊었던 것은 도시 어느 곳에서나 잠깐 앉을 수 있는 구조물들이 있는 점이었어요. 조금 걷다가 피곤해지면 길가에 아무데나 앉을 수 있어서, 이 도시가 이런 고민을 많이 했겠구나 하고 생각한 적이 있습니다.

  • @TheJink6725
    @TheJink672511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jladdyseo8855
    @jladdyseo88559 ай бұрын

    영상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제가 해외에서 지리를 공부하고있는데 영상들이 너무 도움되고 흥미로워요~!!

  • @novicemaster
    @novicemaster Жыл бұрын

    걷는다는 게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 인간은 걷기 위해 지능을 발전시킨 거고 걷지 않으면 퇴행할 수밖에 없는 존재라고 생각해요. 그러니, 결국 인간 중심의 도시 디자인이라는 것은 걷기 좋은 도시를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그런 면에서 유 교수님의 도시 디자인에 대한 철학이 좋습니다.

  • @Frigate4one
    @Frigate4one Жыл бұрын

    사실 전원 생활을 자연친화적인 삶이라고 착각하지만 실제론 도시보다 탄소배출을 많이 한다죠. 코앞 마트를 나가려해도 차가 없으면 못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 @user-zu3lf4ug3f
    @user-zu3lf4ug3f Жыл бұрын

    이 채널은 건축이라는 매개물로 인문학적 철학을 다루어서 너무 좋다,

  • @user-os2jf3fw4u
    @user-os2jf3fw4u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은 건축학 교수의 영상답다는 생각이 든다. 전문적이면서 사람들의 지적에 대한 답변도 있네. 좋은 영상 같다.

  • @thoughtcroquis
    @thoughtcroquis Жыл бұрын

    걸어다니기 좋은 도시를 만들면 좋겠습니다. 최근 생긴 도시인 판교로 출퇴근중인데, 밀도가 너무 올라가서 뭘로 다녀도 최악입니다.

  • @Gioplat
    @Gioplat Жыл бұрын

    사람을 위한 공간이라는 개념으로 생각해 본 적이 없었는데요... 앞으로 도시를 바라보는 관점이 바뀔 것 같습니다. 깨우침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kkim0221
    @kkim022111 ай бұрын

    적극 동감합니다. 저는 건축쪽에 있지는 않지만 그러한 고민 많이했던 일인입니다.

  • @TUBE567_official
    @TUBE567_official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이네요

  • @JH-wd6td
    @JH-wd6td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면서 자꾸 세종시가 생각나네요 ㅠㅠ 걸어다니는 도시를 만들려다 차가 없으면 살수 없는 도시가 되어버린😂

  • @darktree5
    @darktree5 Жыл бұрын

    자동차가 지하로 다니지 않는 이유 중 하나가 내연기관이 뿜는 엄청난 매연을 정화시킬 대규모 시설이 필요해서 그런 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매연없는 전기차로 바뀐다면 지하로 차로를 내는것이 보다 쉽게 가능해지리라 예상됩니다.

  • @DitrotZ-gd9jq
    @DitrotZ-gd9jq11 ай бұрын

    와 교수님 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 @user-ji2fl5it3d
    @user-ji2fl5it3d Жыл бұрын

    명쾌한 설명!

  • @artvandelay5536
    @artvandelay5536 Жыл бұрын

    차 없으면 살 수 없는 도시... 어, 미국? 하면서 들어왔는데 미국 맞네ㅋㅋㅋ 자차 없으면 마트 가기도 힘든 나라ㅋㅋㅋㅋㅋ

  • @asomok2005
    @asomok2005 Жыл бұрын

    일본 오키나와 살고 있는데 미국 영향을 짙게 받아서 그런지 여기도 차없으면 너무너무 살기가 힘들어서 결국 차를 사게 되었네요... 교수님 말씀 너무 공감합니다 ㅠㅠ

  • @user-mo5lh9go5x
    @user-mo5lh9go5x Жыл бұрын

    셜록현준 블로그 시절부터 봐왔는데 제일 공감가고 통찰력이 느껴지는 내용이었습니다. 한국엔 자동차가 너무 많아요

  • @Rkdtjsfh187
    @Rkdtjsfh18720 күн бұрын

    오늘도 통찰력지리는 강의 감사합니다

  • @Real_potato
    @Real_potato Жыл бұрын

    도시를 자동차 발달 전과 후로 나누는게 재밌네요ㅎㅎ

  • @nabie981
    @nabie981 Жыл бұрын

    미국도 철도가 잘 발달된 도시들이 있었는데, 헨리 포드가 자동차를 만들고 나서, 기차길 대신 도로를 깔았다고 하죠. 미국의 대부분의 현상들은 국민을 위한 게ㅜ아니라 대기업을 위해 변형된 결과입니다. 오죽하면 대중교육도 농부 아이들을 공장에서 일하기 좋게 만들자는 로커펠러의 큰 그림에서 시작되었겠어요. 처음 미국 이민 와서 운전 면허가 없어서 한동안 걸어다녔는데, 워낙 걷는 사람이 없으니까 차가 계속 서더라고요, 태워주겠다고. 뉴욕, 샌프란시스코 빼고는 미국 전역이 다 그런 거 같아요.

  • @hofffnung

    @hofffnung

    Жыл бұрын

    원래 의무교육은 노동자 생산을 위한 도구입니다. 그건 미국만 그런게 아니라 태생이 그래요. 지금이야 교육 받을 권리가 자아실현이나 인간다운 삶을 위한 권리지만요.

  • @user-ld2fu6vu7d
    @user-ld2fu6vu7d11 ай бұрын

    점점 빠져드는 강의입니다~😂😊

  • @TheInchul
    @TheInchul11 ай бұрын

    이번 컨텐츠는 공감 100%입니다.

  • @user-zn7ly6ju2x
    @user-zn7ly6ju2x Жыл бұрын

    도심지 번화가 중에 '차없는 골목' 등으로 지정해서 자동차 금지한 지역들 있는데, 정말 걷기 좋고 지역민들에게도 인기있어요. 도시 전체로 아이디어를 확장시킨다면 어떨지 정말 궁금하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