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물단지 된 생활형 숙박시설..수분양자 반발 고조ㅣMBC충북NEWS

◀ 앵 커 ▶
레지던스라고도 불리는 생활형 숙박시설이라는 곳이 있습니다.
내 집처럼 들어가 살 수도 있고, 호텔처럼
빌려줄 수도 있다는 말에 한때
큰 인기를 누렸는데요.
그런데 올해 10월까지 오피스텔로
전환하지 않으면 숙박시설로만 쓸 수 있어
수분양자들은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김영일 기자입니다.◀ END ▶
◀ 리포트 ▶
내년 4월 준공 예정인 생활형 숙박시설입니다.
부동산 시장이 달아올랐던 2021년 8월,
전용 면적 165에서 187㎡까지
모두 160채가 분양됐는데,
전국에서 13만 8천여 명이 몰려
평균 862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암묵적으로 주거용으로 쓰이면서도
숙박시설이라는 이유로
주택 수에는 포함되지 않아
다주택 규제를 피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투기를 부추긴다는 지적에
정부가 규제를 강화해 실주거가 불가능해지자
분양받은 사람들이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주거가 가능할 수 있다는
시행사 말에 속았다는 주장입니다.
◀INT▶
김종화/입주예정자협의회장
"실거주가 가능하다는 시행사의 답변을 받고 분양계약을 체결했고, 불과 몇 달 전까지만 해도 제가 시행사에 전화를 했을 때에도 실거주가 가능하다는 식으로 답변을 했습니다."
이에 대해 시행사 측은 분양 과정에서
공고문을 통해
[ CG ]
생활형 숙박시설의
유의사항을 적법하게 안내했다고 반박했습니다.
그리고 분양 이후 관련 법이 강화되면서
오피스텔로 용도 변경 없이는
거주가 불가능하게 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수분양자들이 주거용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주거용 오피스텔 변경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그렇다고 용도 변경이 쉬운 것도 아닙니다.
주거용 오피스텔은 수분양자의 100% 동의와
주차장 면적 추가 확보, 바닥 난방 면적의
설계 변경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전국의 생활형 숙박시설
9만 8천 가구 가운데 주거용 오피스텔로
변경한 경우는 2% 정도 밖에 안 됩니다.
◀INT▶
김춘일/청주시 일반건축팀장
"(수분양자) 100% 동의이기 때문에 그 100% 동의가 될지 안될지는 저희가 알 수가 없는 상황이고요. 거기가 상업지역이기 때문에 주차장 80대 (추가) 확보하는 것도 저희는 어려울 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입주 예정자들은 내일(21)
청주시와 시행를 상대로
주거용 오피스텔 변경을 촉구하는
대규모 시위를 벌일 예정이어서
생활형 숙박시설을 둘러싼 논란은 지역에서도 확산될 전망입니다.
MBC뉴스 김영일입니다.
#충북 #MBC #공영방송 #로컬뉴스 #충북인
MBC충북 유튜브 구독하기 : goo.gl/Ef6jGd

Пікірлер: 52

  • @user-yv6vt6cx8y
    @user-yv6vt6cx8y21 күн бұрын

    그럼 시행사에 변호사 선임해서 고소하면 되는걸 왜 나라에 해달라고 하는거징?

  • @user-nt1mh5yx8u

    @user-nt1mh5yx8u

    19 күн бұрын

    시행사에서 안해주니까

  • @user-yv6vt6cx8y

    @user-yv6vt6cx8y

    19 күн бұрын

    @@user-nt1mh5yx8u 아니 그니까 님은 옆집한테 사기당하면 변호사 선임해서 고소를 해야지 그걸 나라한테 해달라고함?

  • @user-sl2dp7pv4b
    @user-sl2dp7pv4b19 күн бұрын

    원래부터 거주 안됐는데... 편법으로 사용하려 한거 아닌가? 시행사가 가능하다 했다고? 그럼 시행사에 계약해지 소송하세요...

  • @user-jb3jk6iw6i

    @user-jb3jk6iw6i

    6 күн бұрын

    원래 거주됨

  • @user-vt1hu4tr6z
    @user-vt1hu4tr6z23 күн бұрын

    공고문에도 주거 불가라고 나와있던데 한글 모르시나?

  • @rito7298
    @rito729823 күн бұрын

    시공사한테 법정 소송해라 이기는지 보자

  • @marineviper
    @marineviper24 күн бұрын

    생활숙박시설, 아파트 글자 못 읽나? 이건물 짓기 전부터 생활숙박시설의 정의, 목적, 용도, 혜택, 위법행위시 불이익이 모두 법에 기록되어 있었고 그 이전부터 정부에서도 경고하고 유튜브검색만 해도 투자 조심하라고 했는데 몰랐다는게 말이되나?

  • @user-jb3jk6iw6i

    @user-jb3jk6iw6i

    6 күн бұрын

    그건 그 후

  • @marineviper

    @marineviper

    6 күн бұрын

    @@user-jb3jk6iw6i 그후?ㅋㅋㅋ 내가 여기 견본주택 방문하고 전화로 영업 상담전화 받았다ㅋㅋㅋ내가 그래서 상담원한테 본인 거주 못하는 곳이라 계약 안한다고 했다! ㅋㅋㅋㅋ

  • @user-ef2ep4kk7h
    @user-ef2ep4kk7h22 күн бұрын

    자기들이 편법으로 구매하고 왜 저러지?

  • 21 күн бұрын

    실거주 여부를 관할정부부서에 문의해야지 시행사에 문의했다는 자체가 문제임. 시행사에 소송해서 보상 받으면 됨.

  • @asyncronize
    @asyncronize20 күн бұрын

    청주시가 아니라 시행사에 소송걸어서 취소를 시키는게 빠를 듯하네..녹취록이나 문구가 들어간 홍보자료가 있으면 이기기는 어렵지 않을 듯..청주시야 레지던스에 맞는 자료가 접스되면 허가할 수 밖에없고….이미 법에 레지던그란 뭐다라고 정의가 되어있으니 청주시에 소송걸어 이기기는 쉽지 않을 듯하고 또한 청주시가 바꿔줄 수도 없고…

  • @JYool10
    @JYool1022 күн бұрын

    저거 두동짓는데 한동은 생숙 하나는 후분양아파트임 ㅋㅋ근데 생숙규제나오고 분양시작해서 다들 위험하니 어쩌니 그러는데도 지들이 들어가놓고 이제와서 ㅋㅋ누칼협? ㅋㅋㅋㅋ 떼쓰면 다되는줄

  • @user-dn1vc2jq9r
    @user-dn1vc2jq9r23 күн бұрын

    저거 사라고 누가 등 떠 밀었나요? 선택은 본인이 한거고 감당도 본인이 하는것 그게 자본주의다

  • @user-dn3wd1wi8k
    @user-dn3wd1wi8k19 күн бұрын

    아니 청주에 뭐 있다고 숙박시설을? ㅋㅋ. 청주에 모텔, 호텔방도 공실로 장사가 안되는데.

  • @msp315
    @msp31519 күн бұрын

    실거주가 가능하다는 것은 안될수도 있다는건데

  • @user-yy5ww7yb1d
    @user-yy5ww7yb1d19 күн бұрын

    편법으로 뭔가를 해보려 한것자체가 도둑놈심보가 있었던거 아냐?

  • @junyshin5843
    @junyshin584316 күн бұрын

    무슨 관련법이 분양이후에 나옴?? 21년 8월 분양이면.... 21년4월에 시행령 나왔고 21년1월엔 예고까지 한상태인데... 전재산 들어가는데 네이버에 검색한번 해봐도 주거 불가 나오는데....몰랐다 속앗다...이게 말이냐 방구냐... 차라리 그냥 편법있는줄 알고 분양팀한테 속았다고 해라....그리고 시행사랑 소송을 하든 해라 정부에 때쓰지 말고.....

  • @JG-kk3bw
    @JG-kk3bw23 күн бұрын

    떼쑤면 뭐라도 해주겠지하고 단체 떼쓰기

  • @user-zf5ci1gr2q
    @user-zf5ci1gr2q12 күн бұрын

    생활숙박시설은 주택법이 아닌 건축법 적용 대상입니다. 다시 말해 주택처럼 실거주가 불가능하죠. 본인들이 이런 법적인 부분을 찾아보고 계약을 하셔야지요.

  • @user-zf5ci1gr2q

    @user-zf5ci1gr2q

    12 күн бұрын

    1:20 아니 시행사 말만 믿고 계약하는 사람이 어디 있나?? 순진한 건지..

  • @user-jb3jk6iw6i

    @user-jb3jk6iw6i

    6 күн бұрын

    왜? 임차인은 근저당 몰랐다고해도 다 해주는데? ㅈㄴ 불공평

  • @rito7298
    @rito729823 күн бұрын

    법은 바뀌고 공정한 쪽으로 바뀝니다^^ 알고 들어오셨으면서^^

  • @bonbon.n9374
    @bonbon.n937419 күн бұрын

    마땅한 대책은 사실상없다.

  • @user-qu7bv4cp3o
    @user-qu7bv4cp3o18 күн бұрын

    시행사에 소송해라 떼쓰지말고

  • @dreamchangjo
    @dreamchangjoКүн бұрын

    돈 돼서 이익 나면 내탓 이오~~~ 돈 않되고 불리해지면.. 국가탓 이오~~~~

  • @user-fj5gz7yk5v
    @user-fj5gz7yk5v19 күн бұрын

    근데 관련법이 추후에 바뀌어서 논란은 당연하다

  • @junyshin5843

    @junyshin5843

    16 күн бұрын

    구라임 시행령 4월에 나왔고 저거 분양 8월임.....

  • @user-ht2nx6nz8y
    @user-ht2nx6nz8y18 күн бұрын

    투기꾼과 사기꾼의 환장할 콜라보~♡♡♡

  • @KJMun
    @KJMun13 күн бұрын

    저도 생숙 분양을 알아보다가 법적으로 주거가 안 된다는 사실을 알게되서 포기 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원칙대로 진행하는게 맞아 보입니다. 기분양자들은 시행사를 상대로 소송 하시면 되고요.

  • @user-ro8jc2fo8n
    @user-ro8jc2fo8n19 күн бұрын

    좋은날 올겁니다 점점 불이나면 불끄러 올겁니다

  • @user-xj5tz9st1j
    @user-xj5tz9st1j15 күн бұрын

    모르면 가만있으라. 정부 지자체가 방관한거도 문제다. 정부도 공범이란거다.

  • @raflasia5037
    @raflasia503711 күн бұрын

    단물은 다 빨고 쓴물만 남으니 국가가 책임져라? 지나가는 오뉴월 똥파리가 웃겠네.

  • @snqhtlrekd
    @snqhtlrekd2 күн бұрын

    자업자득

  • @WILDCAT-ui5fz
    @WILDCAT-ui5fz18 күн бұрын

    가능할수도 있다고 했지 가능하다고는 안했다

  • @user-os9li1vy2p
    @user-os9li1vy2p19 күн бұрын

    생숙 시행사 생 사기꾼들입니다 검사 판사 소송해도 콧 방귀도 안껴요 이건 그냥 폭탄 입니다 녹취록 문구 다 있어서도 판사가 보지도 않아요 미치지요 무슨 변회사들도 믿으면 안되고요

  • @user-vc6ov4oi6l
    @user-vc6ov4oi6l18 күн бұрын

    주거오피스텔 절대 반대!!!

  • @user-hk6vv2zt8n
    @user-hk6vv2zt8n15 күн бұрын

    탐욕애는 리스트가 따르는법 ㅋㅋㅋ

  • @user-oi8hg8pz7i
    @user-oi8hg8pz7i17 күн бұрын

    주거 오피스텔도 사실상 불가능

  • @user-oi8hg8pz7i
    @user-oi8hg8pz7i17 күн бұрын

    취소 전문 변호사 있으니 알아보세요

  • @user-eu9tq1gy1d
    @user-eu9tq1gy1d19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누칼협 ㅋㅋㅋ 잘망해라

  • @vj77in
    @vj77in18 күн бұрын

    헛소리 하지마라 부동산 투기 하고 멀더바래

  • @user-bd5ej2ei2m
    @user-bd5ej2ei2m21 күн бұрын

    돈처벌라고 산거잔아 시공사폐업하면?

  • @user-cg5fg9mq5r
    @user-cg5fg9mq5r20 күн бұрын

    법이 안되는데 시행사가 실거주 가능하다라고 거주해달라고 때쓰면 그걸 들어줘야하냐 실거주가 안되는걸 분양쳐받고 실거주해달라고 주접들 떨어봐야 안되는건 안되는거다 법은 지키라고 있는거다 거지인생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