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KF-21 NAVY 가능한가? '한국형 항공모함' 함재기 후보 비교 (F-35A, F-35B, F-35C, F/A-18)

항공 모함의 핵심, 함재기
F-35B가 최선일까?
KF-21 NAVY를 포함한 함재기 후보들을
꼼꼼하게 분석했습니다
알찬 정보 꽉꽉!
궁금하신 점은 댓글에 남겨주세요
00:00 소개
00:20 경항모 함재기 선택지는?
01:17 KF-21 NAVY 개발 가능성
02:48 개발 과정을 예상해 본다면?
07:07 스텔스여야 하는가?
08:46 FA-50을 함재기로?
09:40 한국형 항모 특집을 마치며
#KF21 #경항모 #한국형항공모함

Пікірлер: 1 400

  • @propilot
    @propilot2 жыл бұрын

    ⚓ 프로파일럿 경항모 몰아보기⚓ 🔥[1/3] 한국형 항공모함 논란 돈 먹는 하마 F-35B? kzread.info/dash/bejne/k2F616qLZLGolrg.html 🔥[2/3] 해군은 꼭 경항모만 원하는 걸까? 중형항모 도입 가능성 kzread.info/dash/bejne/gniJlNyLnpeyZaw.html 🔥해군이 경항모를 원하는 진짜 이유는!? kzread.info/dash/bejne/p3t1qZN7qsqTlps.html 🔥 CIWS-II 한화 시스템 VS LIG 넥스원 강점 소개 kzread.info/dash/bejne/g4qhrZKmecngm7g.html 🔥영국 퀸엘리자베스 호 초대 함장 ‘Jerry kyd 단독 인터뷰’ kzread.info/dash/bejne/fJxlxKZ7gMzXaLg.html 🔥세계 항모 역사로 바로 보기 (미국, 일본은?) kzread.info/dash/bejne/k2F616qLZLGolrg.html

  • @surprisecode

    @surprisecode

    2 жыл бұрын

    초도비행도 안한 비행기를 What the... 초등학교 1학년 입학했는데.. 서울대 입학하자는 소리지...

  • @user-ur6gs7to2s

    @user-ur6gs7to2s

    2 жыл бұрын

    @@surprisecode 초등1학년 아니거든요...그동안 검정고시 패스하고 방통대 6년 장학생으로 다니다 졸업장만 안받은 꼴이죠...우리의 실력을 과소평가하지 맙시다. 그리고 주변 날강도들 설치는데 언제 할겁니까. 지금 때가 된건데 안하고 또 기다리고 또 겔벵이처럼 굴건지...하면된다....안해도 되는것 없다.안되면 되게하라...

  • @user-ur6gs7to2s

    @user-ur6gs7to2s

    2 жыл бұрын

    #한국형중항모 헤시태그 추가요...^^

  • @user-jy3mq7bk6v

    @user-jy3mq7bk6v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항모를 키우고 전투기를 KF21 네이비로 가야 한다. 예산? 경항모나 중형항모나 비슷하다. 항모소요 예산에 많은 부분은 함재기다. 스텔스? 항모 하나에 스텔스보다 전자전기와 작전 반경을 넓은 항공기가 더 좋은 선택이다. 프랑스가 라팔을 운용하는 이유 영국이 F35B의 수를 줄이는 이유를 명심해야 한다. 그냥 항모 하나? 아니다. 장기적 관점, 조기 경보기와 전자전기를 운용하는 것 KDDX와 정보 공유의 호완성등 가만 할 것들이 포함된다면 경항모가 아닌 중형항모로 거기에 네이비가 더 적절하다. 이는 K링크 구축의 전술 시스템을 만드는 것도 포함된다.

  • @won2757

    @won2757

    2 жыл бұрын

    @@user-ur6gs7to2s 프로토타입이 비행도 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프로토타입 설계를 베이스로 NAVY 개발을 한다는 것은 말 자체가 모순입니다.. 그렇게 개발하는 항공기 제작사도 없습니다. 그렇기에 KAI도 2026년이후에 개발을 언급합니다. 그럼 2033년에 취역하는 항모의 함재기로 채용하려면 최소 2030년까지 양산되어 공군에 인도가 완료되어야 한다는 전제가 붙습니다. 강창범님 가능할까요? 2030년까지 양산 되어야 할 그 이유가 NAVY버전은 CATOBAR방식이나 STOBAR방식 전제로 만들어지는 기체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지 않고 있는 내용이 항모에서 함재기가 이함과 착함 훈련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실상은 지상에서 모의 항모 갑판을 만들어 사출장치나 Arrestor wires장치를 갖춰 놓고 훈련을 임합니다. 이 훈련 과정을 이수하지 못하면 항모에서의 훈련 자격을 부여해 주지 않죠. 그렇기에 이런 훈련도 몇 년이라는 시간이 필요로 합니다. 우리나라도 미해군의 T-38A 훈련기처럼 모의 항모의 이 착함 훈련을 시킬 훈련기가 있는 가요? 그것이 여의치 않으면 2030년까지 양산되어진 F-21navy기체로 훈련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2033년 취역이라는 의미는 항모의 모든 제반 사항들이 100% 운용이 가능한 시점을 말하는 거죠. 또다시 독도함처럼 텅빈 갑판으로 운용시키면 안되겠죠. 우리나라처럼 함재기나 항모가 처음인 나라에서는 함재기를 먼저 선정합니다. 그 이유가 함재기의 항모내 운용 반경을 알아야 항모의 크기를 정할 수 있겠죠. 무엇보다 이런 상황도 데이터베이스화 시켜 놓기에 미국은 자신들의 함재기 크기에 맞는 항모 규격 정할 수 있는 겁니다. 강창범님! F-21navy기체사이즈에 대해 제대로 아세요? 왜 7만톤급 항모가 필요로한지에 대해 제대로 아십니까? 영상에 나온 사람들 F-21navy기체 사이즈에 대해 제대로 아는 사람들 없습니다. 그런데 7만톤급 항모를 어떤 근거로 하자고 할 수 있을까요? 항모가 커야 좋다라고 할 것 같으면 7만톤이 아니라 10만톤으로 가야하는게 맞겠죠. 밀떡들이 봤을때 저분들 진짜 쓸때 없는 논리와 주장으로 이 영상을 보는 사람들을 놀리고 있는 겁니다. 항모 운용에 있어 함재기에 대한 부분은 정부가 공군에 일임한 상태입니다. 그럼 공군이 써야 할 기체를 1년이 지나 지금까지 아무런 언급이 없습니다. 정부가 임의로 구매한 F35B에 대해 그 어떤 답도 없기에 해군은 F35B기준으로 항모 배수량을 정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도 7만톤으로 항모 건조해야 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어떻게 보면 공군이 병신이라 이 사업이 중형항모가 갈지, 경항모로 갈지 정하지 못한 겁니다. 그런데 영상에 나온 저 사람들은 해군보고 지랄하고 있는 겁니다. 제 3자의 관점으로 한 번 이사업을 제대로 보시면 무엇이 문제인지 답이 나옵니다.

  • @user-ud4ep3qd5n
    @user-ud4ep3qd5n2 жыл бұрын

    실제로 비슷한 시기에 제 지인도 조선업계에서 나와 이직했던 기억이 나네요 ㅠㅠ.... 그래도 덕분에 KF-21이 멋지게 나와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 주고 있으니 다행입니다.

  • @Tx-125-qz-86
    @Tx-125-qz-862 жыл бұрын

    kf21 navy 버젼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f35b는 그냥 모시고 다녀야하는 버젼이라는 느낌입니다.

  • @hwadong486
    @hwadong4862 жыл бұрын

    F-35B가 일단 가격이 엄청 비싸고, 탑재 무기도 적고, 운용비용이 과도하게 들고... 한정된 해군국방비를 생각하면 무조건 KF21 navy 개발이 답이지요~

  • @bandargomzzang

    @bandargomzzang

    2 жыл бұрын

    ㅡㅡ? 왜 잘나가다 이상한 애가 결론으로 나오지..

  • @hassawaynoa6789

    @hassawaynoa6789

    2 жыл бұрын

    KF-21 아직은 비행기가 아닙니다. 날개 달린 자동차지. KF-21 이 비행기가 된 상황에서 이런 이야기가 나와야 한다고 봅니다.

  • @658622827

    @658622827

    2 жыл бұрын

    KF-21 항모버전 개발은 공짜가 아닙니다. 아직 공군용도 검증이 안끝난 기종을...

  • @user-qi3ly4wl5l

    @user-qi3ly4wl5l

    2 жыл бұрын

    @@bandargomzzang 미국방사업체 록히드마틴 사와보잉사 한국돈가지고 장난치고있습니다 대구국히당잔당들은 이미 미국갑질을하고 있다는것을 미리사전에 알고있습니다 현재 대구국힘당잔단들은 미국한국국민돈으로 갑질을 하고있다고 미리사전에 알고있습니다

  • @FLASHkor

    @FLASHkor

    2 жыл бұрын

    @@hassawaynoa6789 동의합니다. 7월 첫 비행시험은 통과해야 간신히 김치국 냄새 맡을정도라 보고 2024년은 되어야 김치국마시기 가능하다 생각

  • @KKMD
    @KKMD2 жыл бұрын

    함재기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에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KF-21 Navy가 생각보다 가까이 있었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smcho7383

    @smcho7383

    2 жыл бұрын

    KKMD님이 여기 있으시군요

  • @comgusgh

    @comgusgh

    2 жыл бұрын

    형이 여기서 왜 나와…?

  • @kjp8353

    @kjp8353

    2 жыл бұрын

    엌 케빈님ㅋㅋㄱ 왜케 반갑지ㅋㅋ

  • @propilot

    @propilot

    2 жыл бұрын

    오~ 감사합니다 ^^ 영상 재밌게 보고 있어요

  • @NAYA_ESTJ

    @NAYA_ESTJ

    2 жыл бұрын

    케빈님이 여기서 왜 나와요? ㅋㅋㅋ

  • @skyair68
    @skyair682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항모도입을 하였을때 함재기가 스텔인것 보다는 전자전기나 조기경보기의 개발과 가용성이 더중요할거라 봅니다

  • @FLASHkor

    @FLASHkor

    2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스텔스는 F-35A로도 충분하고 B로 20기 들야오느니 A 40대구매가 더 쌀것같습니다 어차피 미국의회도 한국엔 100대인가 90대까지 수출승인 나있는 상태이니

  • @user-jr1su9vn7d

    @user-jr1su9vn7d

    2 жыл бұрын

    기존 스텔스 성능보다 우수한 스텔스도료가 자체기술로 개발되었다고 발표 하던데 이를 적용하면 해결되겠네요.

  • @windows0074

    @windows0074

    2 жыл бұрын

    현재 경항모는 조기경보기 운용 불가

  • @windows0074

    @windows0074

    2 жыл бұрын

    @@user-qx3sv9oz9n 에초에 사출기가 없으면 조기경보시 운영불가임. 거기다가 kfx는 해군버전으로 업그레이드는 커녕 아직 시험비행도 안한 기체인데 그걸 테스트 완료 후에 정상 투입하고 비행데이터를 쌓아서 네이비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하고 또 테스트를 하고 정상투입 하기 까지 몇십년이 걸릴지 아무도 모름. 사람들은 항모에 올리는게 쉬운줄 아는데 미군조차도 항모기체를 따로 제작할 정도로 항모전용기 제작이 힘듬.

  • @user-kp5vg3yc5x
    @user-kp5vg3yc5x2 жыл бұрын

    F-35B 좋은 줄 모르는 사람 없죠. 그런데 문제는 F-35B를 들여와서 과연 우리 공군이든 해군이든 제대로 만져나 보냐는 거죠. 어차피 우리 항모에 F-35B를 탑재한다면 아마 격납고를 따로 만들어 우리 군 인력은 감히 들어가지도 못하고 쳐다보지도 못하는 밀실이 생기고 미군이 상주해서 주인 행세를 할 거란 말이죠. F-35B는 아무리 좋아도 큰 돈 들여 샀더라도 온전히 대한민국 전투기가 아닙니다. 한마디로 큰 돈 들여 샀는데 빌려 쓰느거나 마찬가지인 기체입니다. 이럴바엔 KF-21을 항모용으로 만드는 것에 투자해도 될 법 합니다. 몇 조 투자해서 들여온 전투기를 우리 맘대로 띄우지도 못하는데 그게 우리 즉시 전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까? 우리 맘대로 띄우지도 못해요. 미군이 띄우라고 해야 띄울 수 있습니다. 이게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리를 지껄이나 하시는 분도 계실 겁니다. 우리가 샀으면 우리 맘대로 하는거지 라고요. 원칙적으로는 그런데 전투기 띄우려면 보안과 정비가 완벽해야 합니다. 그런데 대한민국이 구입한 모든 F-35 기체는 미군이 통제합니다. 그래서 이럴바에는 KF-21을 항모용으로 개조해야 한다고 말이 나오는 겁니다. FA-50도 안됩니다. 핵심 라이센스를 미국이 가지고 있거든요. 우리에게 항모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항모에 탑재할 비행체는 아무리 힘들고 초기 자본이 든다해도 대한민국의 기체로 만드는게 우리 자주국방에 도움이 될 겁니다. 대한민국 파이팅!!!!!

  • @user-oy2sr8mh4f

    @user-oy2sr8mh4f

    2 жыл бұрын

    무기도 달랑 공대공 미사일 2개만 달고 날아 갈 수 있는 전투기가 과연 .. 얼마나 좋은 전투기인지 모르겠네요. 항모 귀환 할 때 무기 장착 하고 착함 못 한다고 애기도 있고.. 내 돈 내산 했는데 내꺼 아닌 돈 먹는 하마.

  • @user-es3dc4bd5s

    @user-es3dc4bd5s

    2 жыл бұрын

    최고속도도 분단위 통제 해야함 꼬라날개 코팅이 b,c 벗겨지거나 파손됨 ...

  • @taewookim4689

    @taewookim4689

    2 жыл бұрын

    F-35B 사는 순간 호구짓이다.. 똥은 미국이 치우는 것은 우리...그냥 빨대꼿히는 모습이다... 미국은 일본이라는 하나의 빨대에 꿀빨다가 폐기하지만... 한국도 동참하면 록마는 땡큐....

  • @kyu5986

    @kyu5986

    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기축통화권을 가진나라라 비형을 사봐야 돈복사해서 주면 그만이지만 우리는 아니다...

  • @user-ty1kn4jj3i

    @user-ty1kn4jj3i

    2 жыл бұрын

    F35B는 진짜 국군이 손도 못대는거 인정합니다.완전 호구잡히는거죠 효율도 35B레기고 그렇다고 쌍발kf21을 한국형 경항모에 들이기에는 수직이착륙기가 아니라 개조를 해야될텐데요 이 개조는 전혀 다른 전투기를 개발하는것과 같은데.. 차라리 항모가 6만톤급에 최소 스키점프나 전자식사출기를 써야하는데 전자식사출기를 쓰려면 또 원자력이 필요할테고 답이없어요 그냥 항모는 있으면 좋겠지.. 그냥 잠수함이나 ㅈㄴ 뽑아버렸으면 합니다.

  • @Proclander
    @Proclander2 жыл бұрын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내년 까지 의사결정만 완료 되면 KF-21 항모버전으로 전력화 할 수 있다.' KF-21 제작사: 한국항공우주 / 항모 제작사:현대중공업

  • @P_mang
    @P_mang2 жыл бұрын

    kf21을 함제기용으로 만들거면 항모를 중형항모로 만들어야지..

  • @user-dp4io1np6d
    @user-dp4io1np6d2 жыл бұрын

    솔찍히 군수지원을 무시하는경향이 한국 밀덕들이 큰데 이거 무시를 못하는게 K1전차만 하더라도 MTU엔진인 덕에 엔진 창정비에 에로사항이 많은걸로 알고 있고 공군도 그나마 오래운용한 기종들은 나은데 최신기종들은 정비를 할수가 없어서 가동률에 큰 문제가 되는게 한두개가 아니라고 합니다 단적인 예로 글로벌호크,F35 큰돈들여서 사다놓고도 크고 작은 문제를 실력좋은 정비사들이 있음에도 뜯어볼수가 없어서 방치되다 운영은 해야되니 어거지로 운용하다 큰일이 되는 경우가 많고 설령 수리를 보낸다 하더라도 거리도 있고 미국 특유의 시스템 덕에 한달이 걸리면 땡큐요 다음년도에 되도 어쩔수 없는 상황까지도 심심치 않게 발견됩니다. 영상에서 점잖게 절래 절래 하시지만 실지로는 진짜 미국애들 태도 보시면 치가 떨립니다 너들이 안쓸거면 마는데 쓸거먼 어쩔건데? 하는 마인드가 쫙 깔려있어요 국산장비라면 태도건 서비스건 있을 수가 없는 일이죠. 당장 수리가 지연되면 바로가서 따질수가 있으니깐요 담당자 전화바꺼!!! 시전할수 있죠 ㅋㅋㅋ 농담이지만 실지로 장비 운용 유지 하는사람들에겐 피부로 와닿는 일입니다 이게 거짓말같겟지만 제가 일하던 공장만 하더라도 레이저 시스템이 미국제였는데 정말 별것도 아닌 내부 케이블 손상으로 레이저 이니셜이 안잡히는데도 우리보고 뜯으면 워런티소멸된다고 눈에 보이는 케이블도 못건드리게 하더군요 미국 업체 엔지니어가 올때까지 무려 4달이상을 기계가 멈춰있었습니다 4달뒤에 엔지니어가 와서 한거라고는 센서 케이블 교체가 전부였고요. 이게 현실입니다 미국애들게 성능이야 좋죠 그런데 운용하긴 아주 똥줄탑니다. ㅎㅎㅎㅎ 당장 기계안돈다고 냅두는지 압니까? 그거 아닐거라고 우리가 건드릴수 있는건 다 건들게 합니다 아니 안되는거 뻔히 아는데 헛짓거리 하는꼬락서니 보면 광대가 다름없죠 군대라고 아닐거 같습니까? 똑같습니다. 노력과 시간의 낭비죠 비슷한 국산장비는 저런일이없습니다 엔지니어 부르면 당일혹은 다음날에는 무조껀옵니다. 그리고 우리가 필요한 개조를 바로바로 요청할수 있습니다 미국산 장비요? 응안되 돌아가 안해줘 이소리만 주구장창 듣습니다 사업체도 이런데 보안이 더 까탈스러운 군사무기는 안봐도 그림이 그려집니다 그러한걸 무시할수는 절대로 없다고 봅니다

  • @ykj1630
    @ykj16302 жыл бұрын

    항모찬성론자이지만 B형은 절대 반대!!!! 꼴랑 상륙지원 말고는 제대로 활용 할수나 있나 싶을 만큼 빈약한 무장과 작전반경 그리고 엄청난 유지비.. 차라리 중형으로 캐터펄트 설치 하고 어떻게든 미국 구슬려서 수퍼호넷을 사던가 KF-21 네이비로 가야 경제적,국방력에 있어서도 나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ip3dx3io3c

    @user-ip3dx3io3c

    2 жыл бұрын

    @@hyunbeenkim9225 그래도 장착하잖아요

  • @user-pk3nl8xp1g

    @user-pk3nl8xp1g

    2 жыл бұрын

    @@hyunbeenkim9225 우린 영국처럼 스키점프대로 할거 같은데요.

  • @user-jf4ef7mz3m

    @user-jf4ef7mz3m

    2 жыл бұрын

    @@hyunbeenkim9225 그거 장착해서 10조라잖아 총 사업비가 f35b + 경항모로 했을 때 16조 kf21 navy+ emals 정규항모로 했을 때 10조 이렇게 든다고 영상에서 나오잖아 전문가가 그렇다고 하잖냐 이렇게 싸게 되는 이유는 규모의 경제 때문이고 다만 f35b는 즉시 스텔스여서 좀 더 간지 난다는 장점이 있는 거고. 댓글달 때 생각 좀 하고 달아라 전문가가 말하기를 kf21 + emals + 정규항모가 오히려 운영비가 싸져서 오히려 더 경제적이다고 하잖냐

  • @Aocjfkwoa204

    @Aocjfkwoa204

    2 жыл бұрын

    @@user-jf4ef7mz3m 그래서 KF21이 레이더 수행과 대공망 무력화 임무가 가능함?

  • @user-yi3nc5ox1z

    @user-yi3nc5ox1z

    2 жыл бұрын

    @@user-pk3nl8xp1g 영국 캐터펄트 장착하는데여 잘 알고 말씀하세요

  • @thissak
    @thissak2 жыл бұрын

    진짜 전문가들이 하는 귀한 이야기 잘들었습니다

  • @propilot

    @propilot

    2 жыл бұрын

    별투님 감사합니다 ^^

  • @honshin23

    @honshin23

    2 жыл бұрын

    전문가라고 하기엔 다 아는 이야긴데...

  • @KITAINVEST
    @KITAINVEST2 жыл бұрын

    7만톤 가즈아~~~~솔직하고 후련한 콘텐츠.

  • @propilot

    @propilot

    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감사합니다 ^^

  • @user-fh7mg2qq3l
    @user-fh7mg2qq3l2 жыл бұрын

    만재 6만톤이상의 중형항모는 되야. 40년 넘게 쓸건데 함재기는 몰라도 배는 크게만들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FLASHkor

    @FLASHkor

    2 жыл бұрын

    프랑스 샤를 드 골이 32년 되었죠 핵추진이고 4만톤급이고 말씀대로 재래식 추진이면 6만은 되어야겠죠

  • @user-it4ol1sh8t

    @user-it4ol1sh8t

    2 жыл бұрын

    또한 무조건 캐터펄트로 이륙해야 무장탑재나 연료 탑재에서 손해를 안보는데 캐터펄트를 안쓴다 하니 그거 없으면 기체를 이륙 시킬려면 함정이 30노트 이상으로 갈려야 하는데 재래식 추진으로 그런 힘을 낼려면 ㅎㅎㅎㅎㅎㅎㅎㅎ

  • @honshin23

    @honshin23

    2 жыл бұрын

    @@FLASHkor 재래식 추진에 6만은 돈먹는 하마임... 기름 한방울 안나는 한국에서 그정도 쓸 여유 없음. 항모는 3개전단이 있어야 제대로 운영되는데... 불가능 함.

  • @user-hz3pj5pe3y

    @user-hz3pj5pe3y

    2 жыл бұрын

    @@honshin23 현재 해군 계획으로는 경항모 한척만 도입하려고 합니다. 한척만 할거면 큰거가 좋죠. 그리고 돈생각 하려면 항모보다는 다른 전력 키우는게 좋아요.

  • @minohkang404

    @minohkang404

    2 жыл бұрын

    초고속 대함미사일 얌얌

  • @user-gt3xz4nj3x
    @user-gt3xz4nj3x2 жыл бұрын

    현실적인 문제를 정확하게 말씀해 주셔서 이해가 빨랐습니다. .전문가의 고견 잘 들었습니다.

  • @propilot

    @propilot

    2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자주 놀러오세요👍

  • @user-vz8nx9ur1b
    @user-vz8nx9ur1b2 жыл бұрын

    꼭 제가 하고싶은 이야기를 모두 해주셔서 시원하네요.. F-35B는 절대 답이 아닙니다.. 우리는 느리지만 단계별로 가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중형,F-21 NAVY,전자식 사출장치 급하지 않습니다.. - 여론 방향 제시 부탁합니다.

  • @propilot

    @propilot

    2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 @honshin23

    @honshin23

    2 жыл бұрын

    캐터필러가 아니라 캐터펄트임... 사출장지...

  • @addjin391

    @addjin391

    2 жыл бұрын

    @@honshin23 프랑스발음은 캐터필러 맞습니다

  • @changseoplee
    @changseoplee2 жыл бұрын

    현재의 한반도 근처 안보현실을 보면 경항모가 아니라, 중형 항모로 가는게 더 낫다고 봅니다. 이유라면 결국 함재기 때문에 그런데. 그리고 중형 항모 로 간다면 결국 영국에 노하우를 의지 하게 되는데. 그것을 어떻게 풀 것 인가가 문제가 될 것 같습니다.

  • @user-ui2en6qx3f
    @user-ui2en6qx3f2 жыл бұрын

    F 35B를 도입 하려던 영국도 축소 하는데는 이유가 있겠죠. 솔직히 도입, 유지 비용 따지면 당연히 KF21 네이비가 맞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user-hf5wh3ll6w
    @user-hf5wh3ll6w2 жыл бұрын

    부사장님의 의견과 완전히 동감합니다. 중형항모에 kf21n을 올려야 한다고 봅니다. 현중안이 딱 맘에 들어요.

  • @Hk-kw8wn

    @Hk-kw8wn

    2 жыл бұрын

    무조건 최소 70000톤 이상의 중형항모에 KF-21N으로 가야하고, 미국과 원자력엔진 협상으로 개발가능하게 해야 합니다.. 그래야 전자식 캐터펠트가 가능하니까요

  • @ljh3825

    @ljh3825

    2 жыл бұрын

    @@Hk-kw8wn 한미원자력협정 개정해서 우리도 20프로 저농축 하게 해야함

  • @user-hf5wh3ll6w

    @user-hf5wh3ll6w

    2 жыл бұрын

    @@Hk-kw8wn 최선은 푸른소나무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그런데, 현실은 경항모 조차도 힘들게 진행되는 상황이라서 아마도 최대한이 현중안을 확장해서 중형항모 정도 수준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emals 가 어느정도 가격에, 어느정도 안정성을 가졌냐가 중요할것 같아요. 현중안은 emals의 가격과 안정성이 확인되면 추후에라도 확장 가능하다는게 장점인듯 합니다.

  • @user-lp3nr4ix6r
    @user-lp3nr4ix6r2 жыл бұрын

    KF21Navy 개발을 하면 장점이 한두가지가 아니다.1. 기술개발을 하기에 능력이 증가하고. 2비용싸고 3. 군수지원좋고 4. 해외판매 여건이 더 좋아집니다.

  • @kimk8780

    @kimk8780

    2 жыл бұрын

    머 보라매 기술을 일부 응용할수 있으니 개발비는 줄인다지만 네이비 해외판매는 어렵다고 봅니다 기것해야 동아시아 중동 개발도상국이 수입하는건데 동아시아 중동에서 항모를 보유한나라는 거이 없다는 거죠 그렇다고 유럽이 네이비를 도입한다 자신들이 개발한 함재기가 있는데 ㅋㅋ

  • @JJ-yk6ju

    @JJ-yk6ju

    2 жыл бұрын

    누가 항모 함재기로 보라매를 삼... 항모 가진 국가들이 맞서야 할 국가가 중국, 러시아인데

  • @user-bk6wx3jr1d

    @user-bk6wx3jr1d

    2 жыл бұрын

    개소리도 이런 개소리가 없다.

  • @user-lp3nr4ix6r

    @user-lp3nr4ix6r

    2 жыл бұрын

    @@kimk8780 왜 안된다고 생각하지?특허 성공확률이 1000분의 1입니다. 실패확률? 99.9퍼센트라는 말입니다. 장점을 보면 답이 나옵니다. F35C보다 항속거리가 더 길고 운영비가 매우 싸고 스텔스로 개조된 상태도 되고 한류가 발전하듯 경쟁력이 좋습니다. 싸고 품질 좋고 서비스 잘되고 저같으면 수직이착률기 면서 그만한 성능나오게 됩니다.

  • @user-lp3nr4ix6r

    @user-lp3nr4ix6r

    2 жыл бұрын

    본인이 KF21반대랑 같을때입니다 이미 미국은 비용상승으로 항공기 개발이 단가 상승해서 경쟁력이 떨어진 상태입니다. 한국이 장악하리라 봅니다.

  • @cjh7469
    @cjh74692 жыл бұрын

    앞으로도 12년이상의 긴 기간이 남았고, 항모도 한번 건조하면 최소 30년을 운용해야 하기에 자주국방/미래전장환경 등 모든요소가 충분히 검토되어야 한다! 벌써부터 경항모-F-35B로 못박을 필요는 없다고 본다!

  • @user-lr4xt8up2s
    @user-lr4xt8up2s2 жыл бұрын

    시간 더 들어도 좋으니까 경제성 훨씬좋고 산업적 효과도있는 네이비 기다리는게 어떨까요.

  • @honshin23

    @honshin23

    2 жыл бұрын

    F-35B 20대 VS KF-21N 40대면 성능도 그닥 밀리지 않는다고 봄... 함재기 고장 비율도 높고 우리가 정비도 못하는 F-35B 20대 경항모에서 유사시에 몇대나 작전 가능할지 장담할수 없음. 스텔스여도 정비와 부품 수급이 안되서 뜨지 못하면 의미가 없음. 그렇게 따지면 KF-21 40대 중형 항모가 성능에서도 F-35B 20대 경항모에 그닥 밀리지 않을거임. KF-21 개량 성능에 따라 오히려 능가할수도 있음...

  • @SereneMeditationTunes

    @SereneMeditationTunes

    2 жыл бұрын

    저도 이 생각은 못했는데, 경제성, 앞으로 기술 향상을 위해서 라도 이게 이득이네요 F35B사도 F35A처럼 고장 나면 우리가 만지지도 못할거라 생각해요

  • @user-pj6sj1ml6k

    @user-pj6sj1ml6k

    2 жыл бұрын

    제대로 개발이 된다고 가정을 해야하죠. 개발기간 , 문제 파악 , 수정 기간 등등등.... 여러 논의가 오가야 추가적으로 KF-21이 제대로 만들어질 경우에요.

  • @alexandrajeong1819

    @alexandrajeong1819

    2 жыл бұрын

    이게 참 뭐랄까 다 잘되면 좋은데... 함재기 개발은 또 다른 영역이라서요. 생각대로 된다는 보장이 없어요. 맘같아서는 개발하라고 하고 싶지만...

  • @user-ph4ef1tw6u

    @user-ph4ef1tw6u

    2 жыл бұрын

    위에님이 말하신거 처럼 유사시에 몇대나 가동될지도 따져봐야 하는 부분입니다 제 생각에는 지상에서 보관하는 f35b가 많지 않다면 독도함꼴 날거 같구요 기술개발해서 한국 산업 전반에 낙수 효과 일자리 창출효과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정비유지를 우리가 직접 원하는 시기에 할 수 있다는게 가장 크고 중요한 이유이겠습니다 여타 다른 장비는 모르겠지만 항공기는 부속품 하나만 고장나도 항공기가 투사할 수 있는 전투력을 100프로 발휘 못하고 또 심하면 조종사의 목숨과 천문학적인 돈을 그냥 태워버리는건데 정비 한 번을 우리손으로 못하고 외국갔다가 외국에서 정비하고 다시 외국에서 오길 기다리는건 엄청난 시간낭비라고 생각합니다 전쟁은 1분 1초가 아쉽고 중요한 상황인데 몇날 며칠을 그렇게 수리가서 안돌아오면 돈을 그냥 땅바닥에 버리는꼴이죠 자동차 보험처럼 사고나면 보험처리하고 수리 끝날때 까지 타고다닐 전투기가 회사나 국가에서 나오는것도 아니고... 저는 항모를 꼭! 가져야 겠다면 중형항모로 가서 조기경보기 전자전기까지 갖춘 제대로된 항모를 가지거나 당연히 kf21해군 버전으로 중형항모는 아니다 싶으면 차라리 수직 발사대를 탑재한 3천톤 이상의 중형 잠수함을 더 많이 갖는게 국익에 도움이 된다 생각합니다

  • @user-fl5os2sp1t
    @user-fl5os2sp1t2 жыл бұрын

    영상감사합니다 국뽕이 아닌 정확하고 팩트 그리고 안보를 냉철하게 지적해주시는 방송 간만에 속시원하게 보고갑니다 감사합니다

  • @wg16kim49
    @wg16kim492 жыл бұрын

    역시 자칭군사전문 유튜버들과는 차원이 다르다는걸 알겠네요

  • @propilot

    @propilot

    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gw3cg8ws4y

    @user-gw3cg8ws4y

    2 жыл бұрын

    공감 합니다. 방송출연 잦고 유튜버 활동까지 겸하는 모 유튜버들는 KF21 네이비를 아주 비관적으로 보던데 역시 해당분야 전문가의 의견이라 신뢰가 가네요. 실질적으로 후속지원 및 경제성 , 가성비는 물론 폭장량도 떨어지는 F35B 보다는 자체 개발로 가야 한다고 봅니다

  • @Seinhood

    @Seinhood

    2 жыл бұрын

    그분도 KF21네이비에 영 내키지 않지만 F35b 요즘 돌아가는거 보니 대놓고 반대는 안하더라구요

  • @beaver-dk6fp
    @beaver-dk6fp2 жыл бұрын

    굉장히 해박하신 경험으로 구체적으로 분석 하시는걸 보고 감명 깊습니다. 네이비용 개발하는게 매우 수긍이 가는 토론 이었습니다.

  • @user-lv7qn1jo9x
    @user-lv7qn1jo9x2 жыл бұрын

    항모에 조기경보기를 제외하면 항모는 그냥 바다위 커란 표적일 뿐! 반드시 조기경보기와 함께 운영가능한 사출기방식 이륙방식과 어레스트케이블 방식 강재착함 방식이 유일한 대안입니다. 프랑스식으로 가야합니다

  • @taewookim4689

    @taewookim4689

    2 жыл бұрын

    저도 프랑스식에 한표

  • @user-we1dq6gl5n

    @user-we1dq6gl5n

    2 жыл бұрын

    조기경보기 없는 경항모라면 공군이 운용하는 육상발 조기경보기 작전범위 밖으로 나가는건 자살행위...이순신급이나 광개토 대왕급 구축함에다 mw-08이라는 30km짜리 대공 레이더 다는것부터가...근데 작년에 광개토급 1번 업그레이드 했고 올해 2.3번함 업글하는데...대공레이더는 빼고함...

  • @He-jr2ow

    @He-jr2ow

    2 жыл бұрын

    ㅇㅈ

  • @He-jr2ow

    @He-jr2ow

    2 жыл бұрын

    @@user-we1dq6gl5n 그건못한거에요 전투시스템과 레이더가 호환이안됨 시스템은 미국 거고 레이더는 Lig넥스원거고 대함미사일은 미국거고 그래서 못한겁니다 또한초기에만들때 그당시에 그게 최대한으로 선택한거에요 미국이 더좋은건 안팔아서요 우리도 그당시 레이더기술도 떨어지고해서요 알고떠듭시다

  • @user-we1dq6gl5n

    @user-we1dq6gl5n

    2 жыл бұрын

    @@He-jr2ow 무슨? mw-08단게 가격과 무식함이였고 이후 업그레이드에서 빠진것도 돈때문인데...6척 개량에 1조 들고 상부 구조물전부 바꿔야 해서 레이더 개량은 포기한건데...이순신급 첨 만들때 여러 나라가 더좋은 LW-08쓰고 있었음...못한게 아니고 안한겁니다.왜? 다른 군사유튜버들이 이야기 한데로 성능 좋은거 만들면 담에 더 좋은 이지스함 같은사업 하는데 차질이 생기니까...실제로 이후에 대공 방어나 탐색에 취약하다는 이유로 이지스함 시작합니다

  • @user-jt5je5uw5z
    @user-jt5je5uw5z2 жыл бұрын

    F-35C가 퀸 엘리자베스를 건조할때 판촉을 한거보면 미국이 안판다 이게 아니라 캐터펄트가 없어서 안산다라고 봐야하지 않을까요?

  • @taewookim4689

    @taewookim4689

    2 жыл бұрын

    캐터펄트는 방법은 많음... 문제는 중대형으로 가야하고 중대형은 원전으로 가야 효율적이다... 즉 원잠이 최우선이라는 결론... 원자력잠수함에 먼저 시동이 걸리면 중형이든 대형이든 항모는 원활하다... 프랑스가 8.5만톤 원자력항모 개발중이다,,, 이 모델이 최적인것 같음.. 영국 퀸 엘리자베스는 실패작.. 이유는 비행기 이룩시 최소 30노트 속력의 함모여야 하고... 전자캐터펄트의 전기도 만만치 않고 그냥 디젤로는 많은 전력을 감담하기 힘들더.. 그리고 함재기유와 항모용유를 다 적재해야 하는 저장공간의 비효율은 치명적이다,,, 그래서 난 핵잠을 실행하지 못하면 함모는 힘들다 임니다...

  • @honshin23

    @honshin23

    2 жыл бұрын

    @@taewookim4689 원잠 개발한다고 해도 핵추진 항모가 말처럼 쉬운게 아님... 시행착오가 반드시 있을거고 거기다 캐터펄트까지 개발하려면 2050년 가야 될지도 모름. 전자식 캐터펄트는 또 다른 문제고 거기다 함재기와 테스트까지 해보려면 수십년 걸림.

  • @user-hp5yh9ru1y

    @user-hp5yh9ru1y

    2 жыл бұрын

    @@taewookim4689 프랑스의 드골함도 원자력항모이고 함재기는 라팔쓰고있습니다. 그리고 프랑스는 자국항공산업의 유지를 위해 왠만한건 자기들이 개발하거나 합작품 쓰고요 그런의미에서 항모조기경보기라면 모를까 함재기는 개발중인 6세대전투기를 항모버전으로 개량해서 쓰던겠죠 개발이 늦어져도 기존의 라팔이 있으니 수명연장을 시켜서라도 자국산 우선이라는 기조는 이어갈듯 하네요

  • @_Kilimanjaro

    @_Kilimanjaro

    2 жыл бұрын

    판촉과는 관계없음. 미국의회가 승인을 하냐 안하냐가 중요함.

  • @user-hp5yh9ru1y

    @user-hp5yh9ru1y

    2 жыл бұрын

    @@_Kilimanjaro 호넷 라이트닝 사출기 판매전력 있는것들입니다 호넷과 라이트닝이 공군형과 해군형의 탑제된 항전장비와 무기가 다른것도 아니고 더욱 라이트닝의 경우 랩터의 저가형이자 동맹국 판매용기체이니 승인 안될이유가 없죠

  • @user-bd2pp9pz7u
    @user-bd2pp9pz7u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정보 이해 쉽게 잘봤습니다

  • @nicholask4713
    @nicholask47132 жыл бұрын

    3편을 잠들었는데 참으로 좋은 의견 같습니다. 이런 식으로 네이비 버전과 중형항모로 갔으면 좋겠습니다.

  • @FLASHkor
    @FLASHkor2 жыл бұрын

    항공기는 사출기가 없어도 스키점프대 이용해서 어떻게든 날릴순 있죠 결국 KF-21N에 있어 중요한건 강제착함인데 단거리강제착함 방법과 수직착륙 중 아무래도 전자가 더 난도있지 않나 예산은 충분히 있다고 가정하고 봐도 착함 훈련 부분이 난관이라 생각합니다 솔직히 중국 해공군 대응용이라면 F-35는 나설필요도 없고 F-16선에서 대부분 정리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잊는건 KF-21의 예상외 성능(카달로그성능이지만)때문에 자꾸 F-35나 다른 4.5세대 전투기와 비교를 하는데 애당초 KF-21은 F-5대체용이라는걸 잊어선 안됩니다 4.5세대가 아니라 4세대로만 나와도 성공인 사업이라 보고요 업그레이드를 통해 5세대 도달하면 더 좋은거고 그래서 08:10 항모 탑재기가 굳이 스텔스일 필요 없다는데 동의합니다.

  • @propilot

    @propilot

    2 жыл бұрын

    오~~😀

  •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2 жыл бұрын

    저는 테자스 착함하는거 보고 생각보다 함재기 개발이 어렵지 않을지도 모른다고 봅니다.

  • @taewookim4689

    @taewookim4689

    2 жыл бұрын

    @@dennythedavinchi3832 KF21 개발보다 힘들거라 생각하나?... F16부터는 기체는 비공기역학적이라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 초당 30회의 인공적인 균형유지 시스템. 즉 전자비행시스템의 어려움이 최고의 난이도 이다... 공기역학적인 디자인은 무게중심이 전방에 있지만 F16부터는 무게 중심이 뒤에 있다... 그래서 기동성이 탁월하다... 그래서 T50도 록마의 도움이 필요 했다... 그래서 T50의 파생품은 록마의 전자비행시스템 개조에 의존해야 한다... 즉, 조그만한 무장이나 무게중심이동에 전자비행시스템 개조가 필수이다. 우리는 어떻게 KFX에 개발할수 있었나? 여긴 비밀이 있다... 여튼 전자비행시스템을 개발할수 있는 기술습귿 적분이다... 그로해서 누군가 스파이죄로 미국 감옥에 갔다... 하드웨어 개발은 쉽다.. 소프트웨어는 어렵고

  • @user-rn9ho5kd1n

    @user-rn9ho5kd1n

    2 жыл бұрын

    말로는 kf-5 지요 kf-16 대체용 으로 알고 있습니다 글고 kf-5대체는 fa-50으로도 충분히 커버 하고요 전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 @FLASHkor

    @FLASHkor

    2 жыл бұрын

    @@user-rn9ho5kd1n 맞습니다. 말로는, 서류상으론 F-5 대체이지만 실질적으론 F-16계열을 대체할 수 있을것으로 봅니다. 모든 성능면에서 (아직 스펙상이지만)뛰어나니까요 그래서 이번에 F-5 사태에선 FA-50으로 어느정도 커버할 생각인 것 같습니다.

  • @prollejazz
    @prollejazz2 жыл бұрын

    우선은 소형원자로 개발해서 .. 핵잠을 개발하는게 낫고 .. 여기서 확실히 소형원자로 기술이 확보가 되면 .. 바로 케토바 방식의 원자력 항모로 가는게 낫다고 봅니다. 그러면 함재기도 kf-21 네이비로 채울수 있고 .. 항모를 짧은시간에 작은걸 확보하는것 보다는 .. 당장 필요한 원잠 개발이후 .. 중대형 항모로 전환하는게 좋을듯 !

  • @1113subie

    @1113subie

    2 жыл бұрын

    맞는 말입니다. 어차피 핵잠의 경호없이는 20조가 넘는 항모를 가지고 멀리 나갈수도 없으니까요.

  • @user-no2zg5mg5b

    @user-no2zg5mg5b

    2 жыл бұрын

    항모는 향후 인구감소를 생각지 않은 발상이고요 현재라면 운영이 가능할수있지만 10년 20년후엔 성인남성이 지금 반의 반 수준으로 줄어듭니다 국력의 대부분도 지금 방송하시는분들 나이대의 부양비용에 거의다 들어가고요

  • @Jay-bb6kw

    @Jay-bb6kw

    2 жыл бұрын

    @@user-no2zg5mg5b 그놈의 인구감소논리는 지겹네요.....한 국가가 무슨 구멍가게도 아니고 국력의 대부분을 부양비용에 쓰는 나라라는게 대체 어디에 존재하는 나라임? 2030년 40년 우리나라 예상 국가예산이 얼마일거 같아요? 그중에 몇프로가 국방에산일거 같나요? 그런 디테일은 무시하고 그냥 어디서 줏어들은 인구감소한다 큰일났다 뿌뿌 하는 논리 없는 논리만 들이대면서 반대를 위한 반대만 하죠.

  • @_Kilimanjaro

    @_Kilimanjaro

    2 жыл бұрын

    대형항모 10척 동시에 건조한다고 한다면 또 몰라도 겨우 경항모, 중항모 한척 가지고 인구감소 때문에 안된다고? 말 같은 소리 좀 해라

  • @mirlee1309

    @mirlee1309

    2 жыл бұрын

    @@1113subie 우리나라가 포드급같은 초대형 초럭셔리 항모 도입하나요? 20조가 넘는 항모라는건 뭔 소린지...

  • @jeongdongook
    @jeongdongook2 жыл бұрын

    담백하고 쉬운 설명이 참 좋은 방송이네요. 또한 국익을 기본으로 생각하고 지혜를 모으는 모습에 이런 분들 하나하나가 선진국!! 대한민국을 만들어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 @user-vb5qf3rv5d
    @user-vb5qf3rv5d2 жыл бұрын

    최고의 밀리터리 유튜브입니다.

  • @R_u-n-
    @R_u-n-2 жыл бұрын

    한국 항공모함은 절대로 경항모가 될 수가 없죠... 예 ㅎㅎ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 @pohang_jinsoo
    @pohang_jinsoo2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저번에 영국밥콕과 현대중공업 같이 한국형(퀸엘리자베스급)항공모함 건조한다고 소식들어서 우리해군을 KF-21네이비(해군용전투기) 우리항모 개발을 꼭 성공하시길 응원하겠습니다. 경항모 변경으로 중항모처럼 항모 1척아니라 2척으로 꼭 이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 @user-yi6gs2sf1p
    @user-yi6gs2sf1p2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bandaho1
    @bandaho12 жыл бұрын

    프파덕분에 시야를 넓힐수있는것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됩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 @user-iw1jv5cz9r
    @user-iw1jv5cz9r2 жыл бұрын

    시간더 걸리더라고 경항모보다 중항이나 이상급 하는게 나을거같은데

  • @user-mw3kw7mn1k

    @user-mw3kw7mn1k

    2 жыл бұрын

    저도 동감입니다. 그리고 핵추진이 가능할때까지 밀어 붙여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미국의 동의하에 재처리 시설 건립이 가능하도록 이번에 수정되었고, 그걸 가능하게 만드는게 우선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지금은 항모보단 slbm을 활용한 잠수함에 더 전력화 할 시기라고 생각됩니다.

  • @jameschoi345
    @jameschoi3452 жыл бұрын

    전편에서 말씀하셨 듯이 경제적파급효과를 중점적으로 검토해서 타당성검증을 실시하는 것이 추진승인에 큰 장점으로써 작용한다고 한 만큼 더군다나 경제성때문에 성능이 낮은 국산무기체계를 선정하는 것이 아닌 정규항모전단을 운영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 수도 있는 만큼 경제적파급효과를 보다 중점적으로 검토하면 좋겠네요

  • @user-ho7xs8ry5r
    @user-ho7xs8ry5r2 жыл бұрын

    헐 유튭에 올라온 전문가 소견 중에 가장 들을만하네요.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leebyungchul9537
    @leebyungchul95372 жыл бұрын

    다양한 생각 응원합니다~

  • @jaydenpyun7765
    @jaydenpyun77652 жыл бұрын

    부사장님 의견을 1000% 지지합니다. 중형, KF21N으로의 사업재검토가 진행되길 간절히 바랍니다.

  • @hkhhhvyrd3455yub
    @hkhhhvyrd3455yub2 жыл бұрын

    제가 원한 정답을 주시네요. 중형항모+전자식사출기+KF21네이비 로 가야합니다.

  • @user-dm9qk3ux9h
    @user-dm9qk3ux9h2 жыл бұрын

    국방력 강화를 위해 이런 프로그램이 많이 필요한 시기인데 좋은 프로그램 잘봤습니다.

  • @user-qg3vs2bc9h
    @user-qg3vs2bc9h2 жыл бұрын

    국민의 자긍심과 비전을 진지하게 제시해주어 좋습니다. ^^

  • @TheCygnet14
    @TheCygnet142 жыл бұрын

    아직 시간이 10년도 더 남았다는걸 감안하고 한국의 발전된 기술력을 참고해보면 보라매 함재기형도 충분히 검토해볼만 한 상황이니 잘 판단해서 최고의 결론을 도출하는 쪽으로 이루어졌으면 합니다.

  • @user-zw6gb2wz8c
    @user-zw6gb2wz8c2 жыл бұрын

    항모를 가야 한다면 33년도 작전 배치한다고 생각하고 지금의 기술 발전을 고려 한다면 항모에서 효율적으로 운영 가능한 드론을 바탕으로한 조기 경보기 개발도 가능 할것 같은데 문제는 이 것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함 재기 전체 대수를 고려했을 때 경항모로는 싸이즈가 안나올 가능성이 ... 그렇기 때문에 항모는 중형으로 가고 함재기는 F-35B가 아닌 KF-21NAVY로 가는 것이 맞음 이럴리는 없겠지만 만약 작전을 위해 출항을 했는데 F-35B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항모에서 수리를하면 바로 작전에 투입 할 수 있지만 하필이면 문제가 발생한 부분이 미국측 보안과 관련된 부분이라면 ㅋㅋㅋㅋㅋㅋ 더구나 문제가 있어서 수리를 보내거나 필요 부품을 요청했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6개월 넘게 걸려 버리면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거기다 우리 군에서 요구하는 푹장량을 F-35B는 충족 시키지 못한다는 것은 관심있는 사람들은 죄다 아는 사실 그렇다면 결국 타격능력을 충족 시키기 위해서는 함재기 대수를 늘려야 하는데 항모는 제한적이라 늘리고 싶다고 늘릴 수 없는 것이 함재기 대수 ............ 여하튼 이런 저런 상황을 겪지 않고 원활한 작전 수행을 위해서는 반듯이 시간과 돈이 당장은 조금더 들더라도 원활한 작전 수행과 기술 축적을 위해서 중형 항모에 KF-21NAVY버전으로 그리고 하나더 바램이 있다면 어차피 미군과 함께 작전을 하는 것을 대비해서 독도함과 마라도함에 F-35B가 이착륙 할 수 있게 설비 보강 정도는 해 놓는 것이 좋지 않을 까????

  • @taewookim4689

    @taewookim4689

    2 жыл бұрын

    독도함과 마라도함이 몇톤 이신지 아세요... 개조비용이 새로 건조 하는거알 같음... 격납고도 없고 엘레베이터도 없고,,, 일본의 이즈모급과는 차원이 다른 배들입니다... 인터넷에 한번 정보를 검색하시고.. 혀를 차고 우리해군의 무개념에 한탄하시지 마시길...

  • @hongsupkwak7784
    @hongsupkwak77842 жыл бұрын

    KF-21Navy 내용이 참 공감가고 많이 배웠습니다 .....우리 항모에 우리 전투기 ...넘 좋습니다 .... ^^

  • @user-ps4he3ov6g
    @user-ps4he3ov6g2 жыл бұрын

    현재는 항모1척 기준 이지만...항모가 더 늘어난다면 함재기도 늘려야 할텐데... 당연히 네이비 버전으로...ㄱ

  • @user-it4ol1sh8t

    @user-it4ol1sh8t

    2 жыл бұрын

    함재기 탑재량을 늘릴려면 기체를 해군형으로 만든다고 해결되는게 아니라 함정을 크게 만들어야 합니다 당장 대형 항모 미국이나 중형 항모 프랑스를 보셈 경항모는 크기의 한계 떄문에 많이 운용못함

  • @taewookim4689

    @taewookim4689

    2 жыл бұрын

    @@user-it4ol1sh8t KF21 Nevy는 생ㄱ가보다 수요가 많을 것임... 가장 먼저 인도가 들어올수 있고.. 다음은 브라질..그리고 영국.. 인도는 항모에 가장 목메고 있다,,, 인도는 항모로 파키스탄에게 가장 잘사용해서 필요성을 잘알고 있다... 그리고 프랑스는 이번에 8,5만톤 개발에 들어감...6세대 함재기 개발과 함께.. 프랑스가 가장 현실가능합니다...

  • @user-it4ol1sh8t

    @user-it4ol1sh8t

    2 жыл бұрын

    @@taewookim4689 님 국뽕 유튜브 그만 보시고 현실을 보세요 아직 한번도 날아보지 못한 기체한테 많은걸 기대하시네 당장 계획대로 진행된다고 하면 2027년에 테스트가 완료되어 빨라도 2028년에 실전배치됩니다 아직 실전배치 안해봤는데 구입한다? 상식적으로 말이 되는 소리라고 생각하세요? 그리고 당장 경항모는 기본적인 체급이 작아 함재기 운용을 얼마 못합니다 전투기만 운용해요? 아니죠 부수적인 운용할 기체들까지 생각하면 경항모가지고는 효율적인 소티가 얼마 안나옵니다

  • @user-it4ol1sh8t

    @user-it4ol1sh8t

    2 жыл бұрын

    @@taewookim4689 국뽕 유튜브 그만 봐요 그거 보면 크 무슨 우리나라가 미국도 바르고 우주최강이여 ㅋㅋㅋㅋㅋㅋ 우리가 무슨말을 하면 세계가 우러러 봐 그럼 영어 공부 왜합니까 국제공용어가 한국말되는데 ㅋㅋㅋㅋ

  • @alexandrajeong1819

    @alexandrajeong1819

    2 жыл бұрын

    틀렸다 생각하는 의견 있으면 그냥 조목조목 반박하면 되지 맨날 그놈의 국뽕국뽕...대체 어떤 개새끼가 만든 단어인지 모르겠음.

  • @user-pg2uv1ig4w
    @user-pg2uv1ig4w2 жыл бұрын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전투력 경제력 기술력확보 모든면에서 kf21n 버젼은 필요하다고 봅니다 7만톤 응원합니다 두분 전문가님 의견 훌륭합니다

  • @aleksei5195
    @aleksei51952 жыл бұрын

    프랑스도 함재기 사업 때문에 유로파이터 프로젝트에서 빠져나오고 오랜 시행착오를 겪었지만 현재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항모전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라팔은 함재기로서도 공군 전투기로서도 매우 훌륭한 전투기로 완성되었죠. 반면 영국은 수직이착륙기만 고집하다가 크기만 크고 소티 생성능력은 형편없는 반쪽짜리 대형항모를 굴리고 있습니다. KF-21 네이비의 개발이 힘든 길이 될 것이란건 매우 당연합니다. 하지만 힘들다고 쉽게 포기할만한 선택지는 아니라고 봅니다. 때로는 힘든 길을 가는 과감한 결단이 필요합니다. F-35B와 경항모는 지금 시점에서 쉽고 값싼 길로 보일지 몰라도 장기적으로 대한민국 해군과 공군의 큰 짐이 될 것입니다.

  • @He-jr2ow

    @He-jr2ow

    2 жыл бұрын

    ㅇㅈ

  • @wonilhwang7275

    @wonilhwang7275

    2 жыл бұрын

    프랑스항모는 원자로 가 있잖아요! 우리 원자로 없이 항모를 만든다는데.

  • @KK-eo8hb
    @KK-eo8hb2 жыл бұрын

    늦었지만 잘봤습니다ㅎ 궁금한게 항모에 전투기탑재하면 미군처럼 해군도 전투기를 운용하는지, 공군에서 파견식으로갈지 궁금합니다

  • @user-oq8dd4mv7l
    @user-oq8dd4mv7l2 жыл бұрын

    굿 좋은 패널들 좋았습니다

  • @user-jf4ef7mz3m
    @user-jf4ef7mz3m2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요즘은 초창기 cvx 사업추진때와 달리 시각의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초창기때는 비용문제때문에 경항모로 가고 함재기는 f35b 이렇게 가는 것이 현실적인 방법이다고 말했거든요. 그런데 요즘은 분위기가 바꿨네요. 최근 영국이 실제 f35b를 운영해보니까 중형항모에서도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오히려 f35b 추가도입을 취소해버렸죠. 이유는 엄청난 유지비였습니다. 그 돈이면 그냥 사출기달아서 소티를 늘리겠다는 식이죠. 영국이 이미 f35b의 무용성(?)을 증명한 마당에 우리가 실수를 반복할 필요가 없죠. 영상에서 나오는 것처럼 총사업비 운영비를 고려하면 emals를 단 정규항모를 건조하고 함재기는 kf21 navy로 가는 것이 더 합리적입니다. 스텔스기는 추후 업그레이드 또는 c형 구매를 타진하면 되구요. 문제는 emals를 장착가능한가여부입니다. emals는 미국 제너럴 아토믹사의 독점작입니다. 미의회가 승인한다는 것을 가정 하에 판매가는 1조 5천억입니다. 경우에 따라서 9천억까지 다운될 수도 있다고 하지만 어쨌든 1조 5천억이다고 합니다. 또 전자식 사출기 시스템에 적합하게 여러 설비가 들어가야하구요 무엇보다 필요충분한 전력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합니다. 결국 추진체계가 핵항모여야한다는 겁니다. 지금 핵잠수함 배치를 위해 하반기에 한미연례보안회의에서 한미원자력협정개정을 논의 예정중입니다. 만약 농축률 20% 핵연료추진체계가 허용된다면 저농축 핵잠을 배치할 수 있고 여기에 들어가는 스마트원자로를 개량해서 핵항모로 전용할 수 있습니다. 지금 프랑스 샤를 드골 핵항모가 이런 방식입니다. 허용된다면 핵항모 + emals 정규항모가 최선입니다. 사출기만 있다면 e2d 조기경보기를 띄워서 cec 전투체계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항모전단은 cec가 핵심입니다. 스텔스성은 그 이후 문제입니다. kf21도 배치3가 되면 스텔스기가 될 수 있습니다. 즉 navy버전도 때가 되면 스텔스기로 배치될 수 있다는 말입니다. 또한 미의회의 승인을 받아 fms로 f35c를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다양한 경우의 수를 가져갈 수 있습니다. 위 영상에 나온 말이 설득력이 있습니다. 총 운영비와 전략적 유연성을 고려해볼 때 kf21 navy가 더 장점이 많습니다. 사업의 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어요.

  • @ska7257

    @ska7257

    2 жыл бұрын

    인도에서 발행한 RFP에서 보면 1조원 같습니다... 중국 포위망 때문에 미국도 장려하는 입장인지라... 지금이 기회죠

  • @user-fm3cu9qc7q
    @user-fm3cu9qc7q2 жыл бұрын

    제가 진격의아재에 달았던 댓글과 너무 공감되 정말 집중하며 들었습니다. f35 같은 갑질 전투기는 사서도 골치라는걸 전세계가 다 아는 사실. 시간이 걸리더라도 우리손으로 만드는 kf21로 가는게 맞다고 보고 경항모가 아니 중항모로 그리고 무슨일이 있어도 핵잠은 꼭 진행해야 합니다 우리기술로 우리가 해내는 모습 상상만 해도 ㅎ 아흐 오늘 유튭내용 너무 좋아요 ^^

  • @youngcthomaspaik2879

    @youngcthomaspaik2879

    2 жыл бұрын

    navy kf21 설계후 경험 얻는 데까지에 최소 10년은 걸리겠죠? 이착함 연습해야 하고. 항모가 원자력이 아니면.. 연료를 너무 많이 소비하고... 전투기 연료를 많이 싣지도 못하고. 있스면 좋지만.. 북한과 중국을 상대하려면 항모보다는 핵잠이 더 나을것 같은데요.

  • @TheMngl2005

    @TheMngl2005

    2 жыл бұрын

    @@youngcthomaspaik2879 문제는 공격원잠도 미국의 허락이 떨어져야 뭔가 진행이 된다는 게..

  • @plantece

    @plantece

    2 жыл бұрын

    아니, ㅋㅋㅋ 의지만 있으면 되냐? 일단 f-35도입하고 개발을 하면 모를까 성공을 염두에 두고 계획을 짜는 건 병신짓이지.

  • @user-qz2bc1yy1o

    @user-qz2bc1yy1o

    2 жыл бұрын

    @@TheMngl2005 한국의 정권이 미국에 도움이 된다 싶으면 승인할꺼고 잠재적 적국으로 보인다 싶으면 노 하것죠 ㅎㅎ

  • @user-qz2bc1yy1o

    @user-qz2bc1yy1o

    2 жыл бұрын

    @윤가단 개발소요기간+돈 이런 측면에서 뭐라고 한거 같은데, 국내 필요대수로만 생산하면은 대당단가가 올라가고 그러니 당장 돈주고 쇼핑할 수 있는 전투기 놔두고 왜 그러냐 그런 뜻인가 봅니다. 고용창출과 기술축적이 가능하다고 답해주세요 ㅎㅎ

  • @7mmalltheway
    @7mmalltheway2 жыл бұрын

    항상 궁금한게 있습니다. 사출기와 스키점프 방식을 섞는다면 어떤 일들이 생길까요? 앞 바퀴에 걸리는 많은 하중? 높은 받음각과 속도에 사출기에서 조기 이탈?

  • @user-xb3ro5if5v
    @user-xb3ro5if5v2 жыл бұрын

    좋은 얘기 고맙습니다

  • @groundwar578
    @groundwar5782 жыл бұрын

    앞서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영상 속 음성 오디오 소리가 너무 작습니다! 심지어 효과음 보다도 작아 대화중에 뭐라 하는지 명확하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한가지 더 조명 붉은색(전구색)도 아닌 붉은 계열 조명은 지양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propilot

    @propilot

    2 жыл бұрын

    피드백 감사합니다!

  • @user-gc3rq8cl9u
    @user-gc3rq8cl9u2 жыл бұрын

    공군에 입장에서는 F-35B보단 KF-21 함재기를 원함. 해군예산으로 F-35B 구매하면 모를까 공군에서는 F-35B 구매생각은 없음.

  • @honshin23

    @honshin23

    2 жыл бұрын

    항모와 함재기는 해군소속인데... 공군이 뭔 상관임... 공군은 이미 F-35A와 KF-21만으로 충분한데...

  • @user-xv6gy1xp6w

    @user-xv6gy1xp6w

    2 жыл бұрын

    @@honshin23 소속을 어디로할지 정해지지않은거로 아는데 어차피 공군소속조종사여 만약배치해도 해군소속으로 안갈거같은데

  • @_Kilimanjaro

    @_Kilimanjaro

    2 жыл бұрын

    아직 안정해졌음. 해군 항공대 소속으로 하자면 훈련과 교육 장소부터 시스템까지 다 마련해야하는데.. 복잡해짐. 만약 항모가 여러척이라 인원수가 많아지면 모를까 아마 당분간은 공군소속으로 갈수밖에 없을겁니다. 그리고 공군이 35b는 거부하고 kf21함재기 버젼을 원한다는 말은 금시초문인데요

  • @millyway9733

    @millyway9733

    2 жыл бұрын

    @@_Kilimanjaro 해군에서 공군으로 고등훈련까지 위탁 맞기고 공군 비행대대생활 5년정도 굴리게 한다음 그 인원들 복귀시켜서 하는 방법도 있지 않을까요?

  • @ska7257

    @ska7257

    2 жыл бұрын

    @@honshin23 해군소속인데 돈은 공군한데 전부 다해달라고 요구중

  • @gongginet
    @gongginet2 жыл бұрын

    함재기 중에 전투기도 중요하지만 항모 생존에 가장 중요한 전력은 전자전기와 조기경보기인데 공군에서 지원을 하기 힘든 원거리 작전에서 우리 경항모에선 어떤 대안이 있을까요?

  • @ska7257

    @ska7257

    2 жыл бұрын

    미해군과의 연합훈련이죠 사실 미국의 경항모도 정규항모의 백업용일 뿐입니다

  • @darknightno1631
    @darknightno16312 жыл бұрын

    질문하나 잇는데요 항모용 전투기를 육상에서 운영시 이착륙거리가 동종 전투기하고 다를까요? 같을까요?

  • @user-nn8je5vw7r
    @user-nn8je5vw7r2 жыл бұрын

    F35b는 국익을 위해서는 필요 없다고 생각됩니다 우리 비행기를 우리 요구에 따라 운용할 수 없는 것이 우리 장비인가요?

  • @user-wx4nj3oj8l
    @user-wx4nj3oj8l2 жыл бұрын

    35비 보다 21네이비의 개발 및 생산비용이 더든다고 해도 그건 사실 단점이라고 할수 있나? 오히려 해외로 유출되는 자금은 35비쪽이 더 많을텐데. 비용이 더든다고 해도 국내에 투자되는 금액들이고, 고용창출 효과를 감안하면 21네이비쪽이 더 이익일테지. 대부분 도입비용같은것에 집착하는 경향이 강한데 이왕 항모를 운영하기로 결정했다면 장기적인 계획하에서 하란거지. 항모를 운영하기로 했으면 장기적으로 국내 관련 기술을 확보하기위해 하란거지. 그리고 35비형은 솔찍히 아니지 않냐? 수직이착륙가능한점 말고 장점이 뭐냐? 35를 도입한다고 해도 할꺼면 35씨형으로 도입하던가.

  • @AnycallTube
    @AnycallTube2 жыл бұрын

    FA-50A의 미해군 훈련기 사업 참여를 통한 함재기 개발이나 성능 개량 사업의 방향에 관한 방송도 부탁 드립니다. 아울러, 중형 헬기 및 중형 수송기 사업에 대한 내용도 다루어 주세요.

  • @jang7777777
    @jang77777772 жыл бұрын

    쌍따봉 드립니다!!

  • @howni777
    @howni7772 жыл бұрын

    오늘 내용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중형,캐터펄트,kf-21네이비로 가야합니다 이왕가는거 제대로 가자고요 해군에서는 단계적작전수립을 말하는데 그냥 작전통제권모두 공군이 가지고 해군은 함 운용유지만 담당하는게 좋을듯하네요

  • @user-yv8wu9mi2j

    @user-yv8wu9mi2j

    2 жыл бұрын

    해군 항공기를 공군이 운용하자고요?? 제정신인가요?

  • @SHIPSUNBEE

    @SHIPSUNBEE

    2 жыл бұрын

    장기적으로 봤을 땐 해군6전단을 해군항공작전사령부로 확대개편하고 해군에서 함재기 운용 및 작전 다 하는게 맞습니다

  • @user-zi8ix8sx7t
    @user-zi8ix8sx7t2 жыл бұрын

    중형항모로 갔으면 좋겠네요. 짧은 생각이지만, 경항모에 무리하게 공간 활용하다보면 설계상 오류나 건조상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고, 무장 추가도 어려워지겠죠. 감가상각비나 수리비, 개조비 등은 오히려 더 들테고... 짧은 갑판은 추후 KF-21네이비 개발할 때도 높은 허들이 될 것이고, 적은 전투기 대수로 교차출격 하다보면 과부하도 걸리겠죠. 운용 가능한 전투기 기종도 보다 제한될테고요. 거기에 활용면에서 쳐지다보니 추가로 요구되는 보완전력에 따른 비용도 있을테고, 보급 주기나 항해 가능 기간이 짧아지면 항모 자체의 의미가 크게 퇴색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 @user-bb2rn1hl2i
    @user-bb2rn1hl2i2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 @skjohnlee7364
    @skjohnlee73642 жыл бұрын

    👍👍👍👍👍👍👍👍👍👍 전문적인 내용을 쉽게 들을수 있어서 참 좋아요!!!!!!!

  • @user-oy2sr8mh4f
    @user-oy2sr8mh4f2 жыл бұрын

    경항모+ f35b 이 조합은 진짜 망할 조합이다 차라리 항모 하지 말고 원잠 하거나 kf-21네이비 + 중형항모+ 전자식 캐터펄트+ 조기경보기 늦더라도 천천히 가도 되는 길로 가자

  • @user-wz7kl3qq3m

    @user-wz7kl3qq3m

    2 жыл бұрын

    전자식 사출기 달려면 원자력이 들어가야한다네요 사출기 자체가 전기 엄청먹는다고 합니다 ㅎ

  • @user-pw1wb3jc3b

    @user-pw1wb3jc3b

    2 жыл бұрын

    증기식 사출기도 있어요~

  • @kyu5986
    @kyu59862 жыл бұрын

    중형항모에 보라매와 e2d탑재면 ㄹㅇ 주변국도 두려울 항모겠고 핵추진항모로 만들면 더 대박 예산이 안되서 못하고 애매하게 할거면 차라리 핵잠사업을 빨리 진행했으면

  • @maengkkong-i
    @maengkkong-i2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kf-21 을 함재기 버젼으로 만들어서 중형항모에 올리고 사출기로 쏘는게 제일 좋을거라 생각 됩니다만 ,영상 내용에서 kf-21함재기 버젼의 기체 숫자에 대한 리스크 내용이 없는게 아쉽네요. 2033년에 중형항모로 간다해도 기체수가 30~40대 인데 이걸 만들기위한 개발비용과 f-35를 도입및 유지비용 ㅇ런것들에 대해서 어느게 더 가성비가 좋은지 설명해주셨으면 좋았지 않았나 싶네요!

  • @frankjameslampard952
    @frankjameslampard9522 жыл бұрын

    프로 파일럿님 영상은 너무 잘봤습니다. 나중에 혹시 함재기 개발할때도 자세히 영상 만들어주셔요 ㅎㅎ 친근감있게 형님이라 부르고 싶은데 제가 먼지탱이라 ㅎㅎ앞으로 영상 잘보겠습니다 그리고 KF-21 소식도 전해주실수 있나요? PS: 구지 2030년 기준이 아니라도 꾸준히 개발해서 멋진 함재기 리프트팬.단발엔진. 그리고 사출기 함재기 꾸겨넣을때 날개접은 모습을 보고 싶네요 ㅎㅎ스텔기나 스텔스 아니라도 개발 잘해 나중 언젠가 한국에서 핵잠3기이상 정규 항모(핵추진샤를드골급)이라도 2척정도 보고싶은 마음이네여

  • @user-vh5jh4ys4y
    @user-vh5jh4ys4y2 жыл бұрын

    중형항모&kf21n 쪽으로 힘을 모았으면 좋겠네요~ 늘 잘 보고 있습니다.

  • @propilot

    @propilot

    2 жыл бұрын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 @user-th8us5yv3y
    @user-th8us5yv3y2 жыл бұрын

    미해군훈련기사업에 fa50선정 가능성에 대해서도 방송해주셨으면 재미있겠습니다. 드리는바에 의하면 미공군과 해군의 비행 훈련프로그램이 많이 바뀐다고 하던데요.

  • @taewookim4689

    @taewookim4689

    2 жыл бұрын

    그냥 간단함니다... T50으로 이룩, 비행, 착륙만 할께 아니고 실제폭격과 실공중전도 하겠다는 이야기임... FA50으로 전력자산으로 하지 말고.... 운영비도 싸기에.. 마음껏 할수 있기에... 전력자산으로 1시간 연습 할것을 FA50은 4시간 할수 있다...

  • @ska7257

    @ska7257

    2 жыл бұрын

    ATT 프로그램 RFI가 나왔는데 아직은 모릅니다 우리나라 T50을 후보에 넣기 위해 스펙을 올린건지 아니면 들러리가 될지는 .. 단지 미조종사협회에서 t50을 선호하고 있어서 여론이 좋다는 정도

  • @filot_21
    @filot_212 жыл бұрын

    집 가서 보겠슴매!

  • @propilot

    @propilot

    2 жыл бұрын

    매매~! 좋슴매

  • @hwisokkoh9030
    @hwisokkoh90302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잘 봤습니다. 비행시험 측면에서도 고려할 요소가 많을 것 같습니다. 정리되는대로 SNS를 통해 말씀드리겠습니다.

  • @user-qu5ls1mp8f

    @user-qu5ls1mp8f

    2 жыл бұрын

    무사고 안전비행 기원드리며 늘 고맙습니다~^

  • @user-wr8ho3uh5n
    @user-wr8ho3uh5n2 жыл бұрын

    딱 핵심을 찍어서 이야기 주시는 것이 너무 좋습니다. 내용이 너무 공감 가네요~!! 항모를 간다면 역시 중형급 항모로 가서 kf21 네이비가 더 좋은 선택일 것으로 보입니다.!! 항모를 구축함이나 호위함 처럼 막 찍어낼수 있는것도 아니니..............확실히 크게 가야 한다고 봅니다~!! 좋은영상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 @propilot

    @propilot

    2 жыл бұрын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 @spaspa123
    @spaspa1232 жыл бұрын

    어디서는 아에 항모 포기하자고 하던데 거기보다는 훨씬 현실적인 준비를 하면서 대안 마련하는거 보니 역시 전문가의 시선은 다르군요. 시일이 걸리더라도 항모는 가져야 됩니다. 대양해군 그날까지 쭉 갑시다.

  • @taewookim4689

    @taewookim4689

    2 жыл бұрын

    정말 땀땀한게 정말 항모를 가질 계획이 있었다면 진작에 브라질 퇴역항모 상파울로함을 사와야 했다... 올해 초에 2년동안 주인없이 있다가 터키가 사갔죠

  • @birdsky8622
    @birdsky86222 жыл бұрын

    전적으로 동감입니다~

  • @dohyunbarg
    @dohyunbarg2 жыл бұрын

    네이비가 아니더라도 F35c라도 아니면 라팔 아니면 f 18 함재기로 쓸 건 많지 않나요?

  • @hahaha_ha363
    @hahaha_ha3632 жыл бұрын

    좀 명쾌해지네요. 잘 봤습니다

  • @user-bn1ch8ot7r
    @user-bn1ch8ot7r2 жыл бұрын

    우리가 미해군 처럼 10만톤급 항공모함을 3척 이상 가질 수가 있다면 가능하지만, 필요성을 둘째 치더라도 현실성이 떨어지죠. 하지만, 국산 항공모함에 국산 전투기를 함재기로 운용하는 것에 대한 상징성은 무시할 수는 없죠. F-35B의 단점과 한계, 운용상 어려움을 보면요.

  • @user-nw3ou7zw2m
    @user-nw3ou7zw2m2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노력해주세요~

  • @ImpeachYSY
    @ImpeachYSY2 жыл бұрын

    항모 건조 계획 이유가 일본의 항모 개조로 인한 해상길 위협 등에 대한 대비로 보는데 네이비 버전을 만든다면 그들에 대한 저지력이 충분할만큼의 성능이 나올까요? 개발한다면 몇대정도의 소요가 나올것이며 비용 대비 효과 측면은 어떤가요?

  • @Woo-tm6uo
    @Woo-tm6uo2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도 잘 봤는데 사실과 다른 점이 있는게 아쉽습니다. f-35c는 영국이나 캐나다가 사려고 했는데 영국은 비용 때문에 캐터펄트 포기, 캐나다는 봉바르디에를 미국이 제제한데 대한 보복으로 f35 구매 철회라는 사건이 있어서 안 산거지 미국이 안 파는게 아닙니다. 또한 슈퍼호넷 또한 인도에 스키점프 실험까지 해가면서 인도 해군 함재기로 판매하려고 공 들이고 있습니다

  • @jkim949
    @jkim9492 жыл бұрын

    KF-21 NAVY로 가고 스키점프대로 사용하면되긴하죠... 굳이 F-35B 필요없음.

  • @jkim949

    @jkim949

    2 жыл бұрын

    @@justice13759 풀무장 이륙한다는건 이론이고 대부분 풀무장 이륙을 안함...공군기도 풀무장으로 이륙할일이 그의 없음... 풀무장 할경우는 함재급유기가 이륙후 급유하기 때문에 전시에도 평시에도 그의 없는 경우라고 봐도 됨...

  • @qnvoalsrnr
    @qnvoalsrnr2 жыл бұрын

    중형항모가 알맞는거 같은데 중형항모의 소요보다는 원잠의 소요가 단계나 비용면 모두에서 더 낫지 않은지...검토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원잠은 해군전력이 아닌건가요~?

  • @romisam-hz9ki
    @romisam-hz9ki2 жыл бұрын

    준장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하고 구독 좋아요 눌렀습니다. 아직 구독자가 적으시네요. 빨리 10만 채우시길. . .

  • @s3h1w8
    @s3h1w82 жыл бұрын

    근데 궁금한게 왜 해군은 함재기는 공군이 해야한다고 하는지 모르겠어요. 에초에 함재기 자체가 해군항공단이라는 해군조직 산하의 부대인데 결국 함재기는 해군의 전략자산이잖아요. 근데 공중에서의 작전은 공군이 하니깐 공군에게 전가시키는게 너무나도 어불성설입니다. 그리고 공군이 함재기를 운용한다고 쳐도 결국 해군의 명령을 들어야 할것입니다. 혹시 이점에 대해서 알려주실수 있으신가요?

  • @Yoon-qh8fo

    @Yoon-qh8fo

    2 жыл бұрын

    돈때문이죠 함제기비용을 공군으로 돌리는것

  • @taewookim4689

    @taewookim4689

    2 жыл бұрын

    이유는 간단... 손안대고 코풀기... 애초에 마라도함 후속기종이 있는 것을 2배로 늘리는 금액으로 해서... 항모를 가질려는 꼽수.... 독도함은 13500톤급,, 단층 격납고로 상륙장갑차 격납하고 헬기는 갑판에 격납.... 마라도함은 독도함과 같은 구조로 1000톤 증가,, 단층 격납고로 상륙장갑차만 격납하고 헬기는 갑판에 격납...대신 레이더는 최고급...오스프리 이착륙 가능...

  • @WD40a
    @WD40a2 жыл бұрын

    해군... 이번 사업 우당탕 밀어붙이는거보고 정말 많이 실망했습니다.

  • @inbaek8054
    @inbaek80542 жыл бұрын

    함재기 후보중 프랑스제 라팔M도 있지않나요

  • @user-od8uj9ri7t
    @user-od8uj9ri7t2 жыл бұрын

    권영근박사님 출연시키셔서 이야기해보셨으면 합니다 3군합동교리측면 지휘통일측면에서 항공모함 필요성과 함재기 이야기도 필요 합니다

  • @user-bn1ch8ot7r
    @user-bn1ch8ot7r2 жыл бұрын

    KF-21 보라매 네이비 함재기가 CVX에서 운용 될려면 대우가 아닌 현대의 설계안으로 가야 합니다.

  • @user-ev4rk9qs3x
    @user-ev4rk9qs3x2 жыл бұрын

    조종사 올라타는 사다리도 수입해서 써야 한다는데. 개발 가능하면 국산으로 가자.

  • @user-xy7bi4wm6y
    @user-xy7bi4wm6y2 жыл бұрын

    뭔가 조금만 더..쪼금만 더..속시원히 풀어볼수 있었으면 좋았겠다는 아쉬움은 남아 있지만..그리는 어려우셨겠지요?3편까지 다 잘 보았습니다~~😃

  • @user-ud4ep3qd5n

    @user-ud4ep3qd5n

    2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사실 알고 있으면서도 다 안다고 얘기하지 못하는게 세상 일인지라서 ...^^;;

  • @user-bn1ch8ot7r
    @user-bn1ch8ot7r2 жыл бұрын

    F-35B를 함재기로 운용한다면 스텔스와 전자전, 리프트 팬을 통한 단거리 이륙과 수직착륙 및 정지비행 능력을 활용해야 하고 부족한 점은 KF-21 함재기 버전으로 보완한다면 F-35B는 20대로 끝나고 KF-21 함재기 버전은 60대 정도 양산이 되어서 운용이 될까요? 아니면 F-35B를 40대 운용하고 KF-21 함재기 버전을 60대 정도 운용하는 것이 현실성이 있을까요?

  • @user-bw7ov3xm9w
    @user-bw7ov3xm9w2 жыл бұрын

    근데 김보현 예비역 공군 준장님.......현재 사출기를 가진 항모를 가진 나라가 미국 외에는 프랑스밖에 없는데....... f35c나fa18 함재기들은 f22처럼 팔지 않은 것이 아니라 딱히 팔 나라가 없었던 것 아닌가요???

  • @user-fi7ui8uu5p

    @user-fi7ui8uu5p

    2 жыл бұрын

    그렇죠 몇몇 나라가 이미 지상용으로 굴리고있기도 하구요

  • @user-jf1ux5fu6i
    @user-jf1ux5fu6i2 жыл бұрын

    세분 수고 하셨습니다 ^^👍 저는 대한민국의 항모 조급하기 진행하지말고 기술적으로 숙련을 키워 하나하나 진행했으면 합니다. 지금 경항모는 너무 조급해 나온것 같습니다. 저는 경항모보단 전자캐터필터와 어레스팅 와이어 착함의 중형항모로 가는게 더 발전이고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조선기술이면 충분히 항모건조 합니다. 문제는 탑재기로 바로 KF-21N이 힘들면 과도기로 복좌 F/A-18F 슈퍼호넷으로 훈련과 항모 운영 경험으로 KF-21N 개발에도 도움이 될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경항모는 한계가 특히 F-35B가 큼니다. 탑재기가 F-35B밖게(헬기빼고^^) 없지만 중형항모는 KF-21N, 무인기(조기경보기, 공중급유, 공격기 용도), E-2호크아이등 효용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 @taewookim4689

    @taewookim4689

    2 жыл бұрын

    급합니다... 문레발의 공약이 하나도 이룬것 없어서... 이거라도 해야 합니다.

  • @joongj8282
    @joongj82822 жыл бұрын

    중형항모로 가면 출력과 속도가 너무 떨어지지않을까요? 핵엔진은 아직 개발도 못했는데 중형으로가면 밥콕과 협력 해야 하는가?

  • @taewookim4689

    @taewookim4689

    2 жыл бұрын

    핵엔진아님 30노트 나오긴 힘들어서 어렵긴 하죠.. 만약에 F35B 목표로 경항모로 가다가 F35B 단종하면..? 지금 모양세가 곳 F35B 단종수순 같아 보임.... 때문에 F35B 로 결정해도 최소한 선택의 여건을 가져야 함니다... 거럴려면 최소 중항모는 가야 합니다.... 영국보다 큰 8.5만톤급으로 여차하면 전자 캐터펄트로 갈 여유룰 두어야 함... 잘 선택하고 선택의 여지가 많은 방항으로..... 그래도 핵잠이 먼저 인것은 첫째임니다.... 핵잠의 길이 열려야 모든 것이 순항입니다... 항모에는 핵잠과 조기경보기는 필수 호위기종입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