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 반항적인 똑똑이 많으면 의대 문제도 해결됩니다? (홍콩과학기술대 김현철 교수)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글로 읽는 "언더스탠딩 텍스트".
contents.premium.naver.com/backbriefing/news

Пікірлер: 371

  • @understanding.
    @understanding.5 ай бұрын

    1부 링크입니다. kzread.info/dash/bejne/mHl8tLJwlNfcqdY.html

  • @SunggukLim
    @SunggukLim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반항을 하면 회사에서는 짤리고 학교에서는 좋은 성적을 못받아요

  • @v__________v

    @v__________v

    5 ай бұрын

    🐕 팩트지.

  • @user-xx1yk5uc4r

    @user-xx1yk5uc4r

    5 ай бұрын

    다른나라는 다를것 같지. ㅋ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5 ай бұрын

    일본 학자가 "한국 사회는 도덕 쟁탈전을 벌이는 하나의 거대한 극장이다. " 라고 했습니다. 심리학자가 한국인들은 지적질이 엄청 심하다고 합니다. 조선시대부터 도덕 , 윤리 , 규범을 엄청 따졌던 나라. 조선은 망했죠. kzread.info/dash/bejne/qX-t1M-un7u1YdY.html 메타인지 때문 입니다. 메타인지 부족으로 한국인들이 고통 받고 인재가 나오지 않는 겁니다.

  • @selah4891

    @selah4891

    5 ай бұрын

    지적질... 성리학자들을 탈레반이락고까지 부르는 이유가 있지요.

  • @GOA7520

    @GOA7520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좋은 회사 나오기 힘든건 대기업 독점 구조 때문이죠 뭐 ㅋㅋ 문어발을 근절 시켜야 하는데 이미 뿌리박혀서 답도 없음

  • @unipia
    @unipia5 ай бұрын

    국내에선 왜 애플의 스티브 잡스나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같은 혁신적인 인재가 없냐고 하는데, 둘 다 한 성깔 하기로 유명해서 (심지어 일론 머스크는 아스퍼거 증후군까지 있다죠) 그런 사람이 있어도 한국 사회에선 과락입니다. 사회성 미달로요. 그런 사람들이 나오려면 문화가 좀 더 다양성과 포용력을 가지고 그런 사람들을 키워줄 수 있는 시스템이어야 하죠.

  • @mercury0108

    @mercury0108

    5 ай бұрын

    돈많은 부자집이면 저런 성격도 한국에서 받아줍니다.. 다만 가난한곳에서 살면 무시받지요

  • @Jennilovi

    @Jennilovi

    5 ай бұрын

    학생때나 그렇죠..사회에서 누가 협업하고 누가 투자하고 기다려서 성과나올때까지 받아주나요; 재벌이나 되야 가능하죠

  • @user-sj8ng7ev9q
    @user-sj8ng7ev9q5 ай бұрын

    교육이 바뀌려면 교육부와 학부모, 교사가 같이 바뀌는 구조로 가야합니다. 특히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사고는 기존 교장, 교감 승진체계에서는 어렵습니다. 새로운 아이디어로 수업을 하게되면 민원의 소지가 있고, 평가도 교장. 교감이 하니까 어느 순간 합의가 되어버립니다. 능력이 안되는 교장, 교감은 민원에 시달리니 더 보수적으로 운영하게 됩니다. 교육부. 교사. 학부모 다같이 변해야 합니다.

  • @user-jw9ih8dh3s

    @user-jw9ih8dh3s

    5 ай бұрын

    절망적이네요. 우리나라가 바뀔 수 있을까요..

  • @user-ot9bh8wk2e

    @user-ot9bh8wk2e

    5 ай бұрын

    진짜 민원은 정말 괴로워요😂😂

  • @dddk236

    @dddk236

    5 ай бұрын

    ​@@user-jw9ih8dh3s 오바마는 또라이라서 한국 교육을 부러워 했을까 그 반대로 하면 더 좋을까 🤔

  • @jamesyoo5927

    @jamesyoo5927

    4 ай бұрын

    한국은 서열을 정해야하는 상대평가형 대학입시제도에 최적화 된 교육이다 보니 한국교육은 창의적 영재를 키우지 못합니다. 대학입시를 바꿔야 합니다.

  • @sonnylee5482

    @sonnylee5482

    3 ай бұрын

    전교조는 반항을 잘해서?

  • @hsktop
    @hsktop5 ай бұрын

    김현철 교수님 시간 가장 유익하고 흥미롭습니다

  • @user-ul9hm7bt8l
    @user-ul9hm7bt8l5 ай бұрын

    이 프로는 20세 이상 전 국민이 필수적으로 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출연 해주신 3분께 감사 드립니다. 진짜 좋은 내용 입니다

  • @user-nr4te4kn8j
    @user-nr4te4kn8j5 ай бұрын

    반항적인 똑똑이를 지향하자

  • @why4237
    @why42375 ай бұрын

    이프로 오늘도 아주 예리해~ 짜란다!

  • @user-ge8yh4gl1w
    @user-ge8yh4gl1w5 ай бұрын

    라이브때 이어서 해주신다고 하셔서2부 초조하게 기다리고 있었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 @yyy7576
    @yyy75765 ай бұрын

    국제학교 경험한 걸로 생각하건데 틀에 박힌 생활을 벗어나도 존중하는 환경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지각하거나 행동이 거슬린다고 폭력이나 가혹행위를 하는 한국식 교육 방식은 세습을 일으키지 않을지요~~ 창의적 사고는 다른 말로 표현할수 있지요~~ 반항하냐~~ 이런 것도 있지만 한국은 법으로 사회 관습으로 정해놓은 것이 있어서 일반인이 구지 똑똑하지 않아도 배우는 기회가 제한이 있는 것도 사회 발전을 저해하는 이유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다시말하자면 한국사회는 구속이 많다는 것입니다~~

  • @user-rp7kq6zn6n
    @user-rp7kq6zn6n5 ай бұрын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유익한 프로였습니다. 김현철교수님 이프로님 안대표님 수고하셨습니다.

  • @viewer54
    @viewer54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무인기 개발을 일찍 시작하고도 개발이 더딘 이유를 모두 말씀하시네. 우리나라 정부 각료들이 모두 시청해야 할 영상입니다.

  • @Internationalbo
    @Internationalbo5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지낼 때 학교 다니면서 제 경험 상 신선했던 충격은, 주황색, 빨간색, 보라색, 푸른색, 회색을 다 하늘색 이라고 말할 수 있는 환경이었습니다. 한국 학생들에게 하늘색을 물어볼 때 대다수는 파란색 계열을 선택할 때와 달랐습니다.

  • @tikitaka8042

    @tikitaka8042

    5 ай бұрын

    검정색도 하늘색에 추가요...밤하늘은 까매요 ~~미쿡 살아요😊

  • @AnRi-jo7jc

    @AnRi-jo7jc

    5 ай бұрын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 경우가 많아요. 하늘색, 살색이라는 게 크레파스에 있죠.

  • @kayjo6258
    @kayjo62585 ай бұрын

    미국 학교에서의 저희 경험이 서구 교육을 다 보여줄 순 없겠지만, 미국학교는 쓰기 말하기가 교육의 중심이라고 느꼈습니다.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 교과서가 딱히 없습니다. (있어도 안쓰는 건지 모르겠지만요…) 소그룹별로 아이들끼리 문제를 풀고 선생님이 도와주시는 일이 많구요. 선생님이 앞에서 이야기하실 때도 아이들에게 대답을 유도할 수 있도록 질문을 끊임없이 하십니다. 국어수업(미국의 영어)은 4학년때부터 중고등학교까지 교과서가 따로 없고 소설책을 읽으면서 본인 생각에 와닿는 내용을 메모하고 에세이 글쓰기하는 것을 반복합니다. 사회문제나 소설 캐릭터 분석 등 굵직한 프리젠테이션도 초등학교부터 매년 하구요. 역사수업도 세세한 내용을 정확하게 암기하는 게 덜 중요하고 오히려 그런 내용을 아예 다 주고 그걸 취합해서 자기 생각을 글로 쓰거나, 역사의 굵은 흐름에 대해서 에세이 쓰는 것을 위주로 합니다. 그리고 상대평가하지 않고 절대평가하는데 이건 대학갈때는 AP시험 (특정 과목을 마친 전국학생들이 다 응시해서 한꺼번에 보는 선택적 시험)이 객관적인 평가를 좀 보완해줘서도 가능한 것 같습니다. 한국학생들 정말 너무너무 똑똑한데, 우리나라도 교육의 방향을 좀 바꿔서 학생들이 한국 공교육만으로도 세계 어디에서나 빛을 발하게 되면 좋겠습니다

  • @watersellsoo

    @watersellsoo

    4 ай бұрын

    각자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치는군요 부럽네요

  • @NYCstraum

    @NYCstraum

    4 ай бұрын

    근데 각자 생각을 개발하는 서구식 교육을 실행할려면 교사도 그런식으로 가르칠수 있는 소양이 필요합니다. 동 서 독일 통합 후 교사들의 능력을 동 서 독일가이 맞추는데도 오래 걸렸다고 들었습니다.

  • @jeonghyeokjung655
    @jeonghyeokjung6555 ай бұрын

    다양한 성향의 인재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다면 여러가지 커리큘럼으로 각자가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게 이상적이겠네요. 아이들이 수능에서 점수가 안나오면 가치가 없다는, 자기자신이 필요없는 존재라는 생각을 가지는것보다는 전문직이 아니더라도 수능 성적이 떨어지는 아이들이 이 사회에 각자의 방식으로 어느정도 기여를 할 수 있게 하는게 인재쏠림이나 사회참여를 거부하는 비율을 줄일 수 있지 않을까 하고 짧은 지식으로 의견을 내봅니다.

  • @user-nr4te4kn8j
    @user-nr4te4kn8j5 ай бұрын

    미소가 인자하십니다

  • @swk2573
    @swk25735 ай бұрын

    의학은 적당히 머리있고 마음이 따뜻하고 희생정신이 있는 사람이 해야함.. 진짜 똑똑한 사람 필요한건 공학이고.. 알앤디 분야인거지 ... ㅡ.ㅡ..

  • @user-nf9it4jl6x
    @user-nf9it4jl6x5 ай бұрын

    한국 교육의 문제점에 대해서 엄청나게 중요한 내용이 담겨 있는 영상입니다. 전 국민이 필수 적으로 보고 명심해야 할 내용....

  • @user-yw8ns2ww2u
    @user-yw8ns2ww2u5 ай бұрын

    이프로는 앏 팍한 지식으로 출연하는것이 아니라 깊이있는 지식을가진 석학들이 설명하니 품실이높아서 배울것이 많습니다.

  • @peearl80
    @peearl805 ай бұрын

    교수님 넘 재밌으시고 언더스탠딩 감사합니다

  • @user-gn8nu8wb3t
    @user-gn8nu8wb3t5 ай бұрын

    밀린숙제 오늘몰아봅니다. 역쉬 이프로님 클로징멘트 멋져요,,, 교수님,안대표님 감사합미당♡

  • @bidang-TV
    @bidang-TV5 ай бұрын

    3:53 김교수님 말씀에 크게 공감합니다 😂 저 일본유학시절에 비슷한 경험했거든요ㅎㅎ 일본도 주입식교육은 강하지만 다양성은 좀 더 인정해주는 듯요.

  • @user-yl5fs2bj6e
    @user-yl5fs2bj6e5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 @AJ-gf4bf
    @AJ-gf4bf5 ай бұрын

    Thanks!

  • @user-iw7hu8pq9g
    @user-iw7hu8pq9g5 ай бұрын

    지금까지 들었던 내용 중 가장 유익한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창의적 교육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내용도 있었으면 하고 국제 중 커리큘럼 이나 독특한 수업 방식도 자세히 알고 싶네요.

  • @ziz6351
    @ziz63515 ай бұрын

    우와 속 시원!!!

  • @Daily_TV94
    @Daily_TV944 ай бұрын

    너무너무 공감되고 좋은 말씀이십니다

  • @user-nr4te4kn8j
    @user-nr4te4kn8j5 ай бұрын

    투자하고 똑같네요 주식이 쌀 때 산사람은 많이 벌듯이 인재가 젊을때 집중적으로 지원해야 많은 리턴이 돌아오는군요

  • @user-ln3co9ll4v
    @user-ln3co9ll4v5 ай бұрын

    영상감사합니다. 공감합니다 ^^

  • @Yooje1202
    @Yooje12025 ай бұрын

    역시 믿고 보는 김현철교수님😂 넘 재밌게 봤습니다

  • @BBOOwangMagaretz
    @BBOOwangMagaretz5 ай бұрын

    교수님 뜬금없지만 우리 회사에 한후배가 홍콩과기대 출신인데 싸가지도 있고 똑똑하기까지 합니다. 홍콩과기대 좋은 학교인가봐요 제자들을 잘 가르치셨네요

  • @vanillaflavur7126

    @vanillaflavur7126

    5 ай бұрын

    아시아 대학들 중 랭킹 1위가 싱가포르 국립대, 그 다음이 홍콩 과기대 더라고요. 도쿄대 북경대 아니고 서울대는 더 한참 아래고요

  • @user-dy9gi4en5v

    @user-dy9gi4en5v

    5 ай бұрын

    카이스트를 보고 만든 대학이 홍콩과기대인데..

  • @user-um9ei6rx8x

    @user-um9ei6rx8x

    5 ай бұрын

    ​@@user-dy9gi4en5v벤치 마킹을 힌건 맞는데 항상 카이스트 보다 늘 앞섰죠 ㅎ

  • @user-um9ei6rx8x

    @user-um9ei6rx8x

    5 ай бұрын

    과기대 졸업한 애들 취업한거 보고 너무 놀랬어요 ~훌륭한 교수도 많지만 학교 차원에서 애들한테 투자를 제대로 한듯 ,,,

  • @dokpark5547

    @dokpark5547

    5 ай бұрын

    홍콩이라는 지역이 서구 영향의 서구지였죠

  • @user-ml6sb5kx3w
    @user-ml6sb5kx3w5 ай бұрын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 @s.y.k.z4581
    @s.y.k.z45815 ай бұрын

    오늘도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방송을 듣다가 문득 생각난 것이 20년전쯤인가. 문화부에서 젊은 작가들 양성한다고 그림 사주기 큰 예산이 나왔는데 대부분이 미대 교수들이 자기네 그림들 팔았다는 후문이 있었죠. 그뒤로 그런 예산은 없어진걸로 알죠. 그당시에 참 말이 많았는데 얼마의 예산이 나왔는지 어느작가의 그림이 팔렸는지 묻지도 따지지도 못 할정도로 쉬쉬하고 끝났죠.

  • @psw8989
    @psw89895 ай бұрын

    뉴욕대 출신 조승연도 어릴때 굉장히 공격적이어서 한국의 교육과 맞지 않아 부모가 미국으로 보냈는데 거기서는 이런 공격적인 질문이 이상한게 아니어서 지금처러 성장할수 있었다고 하죠 우리나라도 유명인 평가할때 인성 엄청보는데 그 인성이 공격적인 질문이라고 해서 인성이 안좋은거냐에 대해서는 명확히 구분을 할 필요가 있다고 느껴지네요

  • @billionairesinsightrow5801

    @billionairesinsightrow5801

    5 ай бұрын

    그러고 유튜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Soso-nc4wh

    @Soso-nc4wh

    5 ай бұрын

    20살짜리 이강인에게 퇴출 운운하는 국민들 참 잔인해요 그가이룬 어마어마한성을 아무것두 아닌걸루 치부하는 국민들의 인성이 더 걱정됩니다.

  • @paullee1792
    @paullee17924 ай бұрын

    사회가 안정이 되려면 돈의 분배가 고루게 되꼬나서 그기반위에 독 창의적인 것이 나오는 문화가 나올수 있어야한다고 봅니다

  • @eunjungchoi9657
    @eunjungchoi96575 ай бұрын

    내용 너무 좋네요. 잘 봤습니다. 똑똑한 저소득층과 여성을 지원해줘야 한다는 내용도 와닿네요.

  • @jswon8658
    @jswon86582 ай бұрын

    유익한 시간들 입니다ㆍ

  • @hkim6721
    @hkim67215 ай бұрын

    ㅐ이프로 말씀이 맞는 부분이 있어요. 미국에서 영어시간(한국에서 국어)에 교사가 자의적으로 소설책을 선택해 서 가르치는데 한국은 모든 학생이 같은 교과서로 배우고 문제도 거의 비슷하게 냅니다. 한국교육 문제 많아요. 영어책도 억지로 만든 영어문장들 보면 너무 우스꽝 스러워요. 제발 교과서 부터 바꿔야하고 교사들도 바껴야 합니다. 영어소설책을 그대로 가져다가 공부하는게 진정한 영어를 배우지 한국교수들이 억지로 만든 문장이나 스토리 전개가 너무 저질스럽습니다 솔직히. 영어 어린이 소설책만 봐도 엄청나게 크리에이티브한 내용 많아요. 교과 내용부터 창의적이게 바꿔야 합니다.

  • @user-uv6te9xm4b
    @user-uv6te9xm4b5 ай бұрын

    ㅋ 언더스탠딩 오늘 포커싱 잘잡으십죠. 재밌음. 이나라는 똑똑한 관료가 없어서 생기는 문제가 많은거요

  • @user-he5rv5rl8l
    @user-he5rv5rl8l5 ай бұрын

    김현철 교수님 넘 실력있으시고 멋있고 넘 잼나요!!!

  • @ganekim
    @ganekim5 ай бұрын

    한국은 판검사, 의사에 무조건 미친나라여서 때문에 저출산, 저성장 늪에 빠진거였네 진짜 개념없는 나라였구나, 비판없는 국민때문에 소수의 카르텔이 시장을 장악해서 발전이 멈춘거였구나

  • @user-zh9ro9rh7q
    @user-zh9ro9rh7q5 ай бұрын

    남한테 피해주지 않는 한, 눈치보지 말고 자기 뜻한대로 사는것이 삶의 이유 아닐까.. 과거는 성장 때문에 어쩔수 없었지만, 이제는 그래도 괜찮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드는 요즘

  • @jks9340
    @jks93405 ай бұрын

    최고! 그동안 어렴풋이 생각해왔던것을 이렇게 근거를 가지고 명확히 말씀해주시니 속이 다 시원합니다. 한국 경제를 제대로 분석하고 해법을 제시하는 찐 한국 경제학자가 늘 필요했는데, 이제서야 역수입(?)해서 등장하셨네요! 이런 저런 이유로해서 저역시 애들을 IB학교에 보내고 있습니다. 사족을 덧붙이자면, 외국어 교육이 더 강화되어야 합니다. 특히, 영어는 그냥 제2외국어가 아니라, 제2국어로 격상시켜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하면 문제는,지금도 매우 심각한 인재유출이 더욱 가속화될 국가적 위험이 있긴한데, 그건 다른 차원에서 확실히 보완을 해야겠고요. 더 근본적으로는 성공, 행복, 창의력이 무엇인지부터 따져봐야하지만 그건 너무 산으로 가는 주제이고...아무튼 최고의 영상입니다!

  • @VandalFX
    @VandalFX5 ай бұрын

    두 번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jakyeongkim1528

    @jakyeongkim1528

    5 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한번 더 듣겠습니다

  • @Iooxocc
    @Iooxocc5 ай бұрын

    가식 위선 안떨고 직설적인 인간이 필요하지

  • @nanyoungkim444
    @nanyoungkim4445 ай бұрын

    삼성이나 엘지에서 인재가 빠져 나가는 이유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내세운 직원은 갈굼 당합니다. 그게 지금 주식시장에서 현실로 나오잖아요. 대주주만 먹여 살리기 싫은 똑똑이는 나갑니다.

  • @snowmindTube
    @snowmindTube5 ай бұрын

    비판하지 못하는 사람이 멀리 있는게 아닙니다. 바로 앞에 앉아 있네요.

  • @user-tx3ih5by3d
    @user-tx3ih5by3d5 ай бұрын

    알차고 신박한내용 언더스텐딩 최고입니다 신선합니다 맞아요 언더스...아니고는 없습니다 고등학..진학못했는데 졸업했습니다 만학도입니다

  • @josw00
    @josw005 ай бұрын

    이프로님 마지막 의견에 공감 합니다 늘일건 늘이고 줄일건 줄여서 타협을 해야 할탠데 정부는 선거 앞두고 갈라쳐서 표얻는데만 관심있고 의헙은 자기 밥그릇 키우기만 하려 하니 진전없이 국민들만 피해보는 느낌이네요

  • @user-jq2sg2mw3g
    @user-jq2sg2mw3g5 ай бұрын

    메가 손주은회장에 따르면 머리도 유전될 확률이 높아서, 똑똑한 부모가 부유할 확률이 높아서, 부유한 집안에서 똑똑해진 자녀라기 보다 똑똑한 집안에서 똑똑한 자녀가 생기는 건 아닐까? 아이를 키워보면 확실하게 느낄 수 있어요. 돈의 힘으로만 공부를시킬 수 없다는 걸. 본인의 머리와 의지가 있어야 공부합니다. 그리고 주변 환경이 중요하겠죠. 목표가 달라지니까.

  • @user-kw4lz9rk8c
    @user-kw4lz9rk8c26 күн бұрын

    1부보다 2부에서 이프로의 생각의 변화가 인상깊습니다👍

  • @jws9201
    @jws92014 ай бұрын

    이프로님 화이팅~👍

  • @Lazygurukorea
    @Lazygurukorea4 ай бұрын

    진짜 이런이야기를 어디서 듣나 엄청난채널

  • @hjmoon5836
    @hjmoon58364 ай бұрын

    김현철 교수님 국제학교 아이들의 중간자질을 듣는 순간 생각난 게 있습니다. 여기 이민자의 나라에서 제법 괜찮은 학생을 보면 늘 이중언어를 지키는 아시안입니다. 생긴 게 아시안이어도 집에서 영어로만 말하는 아이들은 오히려 생활태도나 아카데믹한 부분에서 뒤쳐집니다. 그리고, 선생님의 자질 말씀하셨는데 캐나다는 유연한 사회구조였기에 공부를 못했어도 애들말로 존버하면 선생이 될 수있습니다. (이프로 말씀대로 A플랜이 실패해도 B라는 대안이 가능합니다.) 한국에서 제 세대에서는 선생은 공부 잘하는 애들이 되었지요. 하지만, 이 세상 모든 것은 장점과 단점이 있듯이 한국에서 공부잘하던 선생은 공부를 못하는 아이들 이해가 안가지만 캐나다 선생은 자기가 공부를 썩 잘하는 학생이 아니었길래 다른 관점으로 아이들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이들을 오래 인내하면서 지켜봐 줄 수 있습니다. 대신 캐나다는 초,중,고를 올 A, 올 Good으로 졸업해도 (아시안 부모의 개입으로 튜터링 돌린 경우 포함) 의외로 기본 상식이 떨어질 수있습니다. 교과서가 없기 때문에 메타인지가 부족한 채로 나옵니다. 한국처럼 아이에게 어느 수준에 도달하도록 공부를 가르칠 필요도 없습니다. 프로젝트 러닝하면서 그냥 따라 오는 애들 , 못따라 오는 애들은 따로 도와주는 시스템을 돌릴 수 있고 그래도 이해못하고 못따라가는 아이들은 그 본인 수준에 맞춰 졸업시키는 방향으로 갑니다.

  • @user-ce6ux4or4p
    @user-ce6ux4or4p5 ай бұрын

    세분께 감사드립니다.

  • @user-ot9bh8wk2e
    @user-ot9bh8wk2e5 ай бұрын

    가난한 똑똑이들은 안전과 안정성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창업이 어렵습니다. 일단 생존을 해야하거덩요

  • @user-10beger
    @user-10beger5 ай бұрын

    중고등학교 교육을 국제학교 교육 커리큘럼으로 전환해야할까요?선생님들도 창의성교육을 연수받아야할까요?챗gpt에 창의적 질문을 잘하게하는법을 가르치고 대입수능도 챗gpt활용 논술 바칼로레아 3일 시험체계로 가야할까요?

  • @juokhan6
    @juokhan64 ай бұрын

    김현철교수님의 선생님 인센티브제 제안은 지금의 한국사회에는 아주 잘 작용할 것 같습니다. 금권제의 끝판왕 한국과 중국에서. 몰래몰래 마음만으로 금권제하는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까지.

  • @smexywafflelover
    @smexywafflelover5 ай бұрын

    가정교육도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가 아이의 학교 성적에만 가치를 두고 자녀를 양육하니 학업 성취가 좀 부족하거나 엉뚱한 언행을 하는 아이는 자존감이 심하게 훼손되고 창의성의 싹이 죽기 십상이지요. 대부분 범생이들인 학교 선생의 시각으로만 내 아이를 판단하는것도 참고만 할뿐 다 받아들일 필요가 없어요. 반 사회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 한 아이를 지나치게 억압하고 틀에 가두지 않아야 혁신과 창조를 자유로이 할 수 있는 사람이 될것입니다. 내 자녀의 장점과 특기를 잘 살펴서 용기를 주고 서포트해 주는것이 부모가 할 일인데 그저 학교 성적과 학벌에만 올인을 해서, 윽박지르고 강요를 하면 절대 창의적인 인간이 나오질 못합니다.

  • @ryuusungrune4285
    @ryuusungrune42855 ай бұрын

    반항적인 똑똑이가 많은 나라하면.... 프랑스랑 이탈리아인데.... 각종 혁신기업은 미국이 만드는거 보면 결국 교육+인재+막대한 자본.... 미국만큼 막대한 R&D때려박을수있는 국가가 있을까....

  • @user-ws4te8ez4g
    @user-ws4te8ez4g5 ай бұрын

    이프로 질문때문에 봅니다 어떤질문을 던지나 볼려고😅

  • @gugugugu4907
    @gugugugu49074 ай бұрын

    교수님 핵심적인 문제는 말을 아끼시네요. 역시 현명하신분

  • @user-jy2nh1hk8f
    @user-jy2nh1hk8f4 ай бұрын

    국제학교 1+1 교육 예를 드셨는데 그건 국제학교 학생들이 평균수준보다 훨 높은 지적능력이 있기에 가능합니다. 보통의 서구 학교가 그런식의 교육을 일반적으로 하다보니 지적능력 우수 소수학생들에게만 좋은 영향을 미치는거고 강제적 학습과정이 없어 대다수 학생들이 기본적 수리 및 탐구능력이 매우 낮습니다. 그냥 이리저리 변명에 핑게만 많은 사람을 양산하게 되는 문제도 있다고 개인적으로 봅니다.

  • @user-yn8ljinn
    @user-yn8ljinn5 ай бұрын

    싸가지 없는 똑똑이? 잘생긴 이프로가ㅋㅋㅋㅋ 잘생겼다.이프로😂😂😂

  • @selah4891
    @selah48915 ай бұрын

    바둑아 이리와 나하고놀자.. 진짜 웃기는 교과서 명령어에 지적질 이프로 감사합니다.

  • @almondnut4764
    @almondnut47645 ай бұрын

    어떤 합리적인 제도와 개선이 적용되지 않는 이유는 1. 제한된 자원 과 2. 후진적 평가시스템에 기인한 3. 평가자의 권위유지와 타인에대한 통제 때문입니다. 이를 바꾸지 않으면 다 탁상공론

  • @ljs2358
    @ljs23585 ай бұрын

    좋은 컨탠츠 감사합니다. 많이 배웠어요!

  • @user-tk8er6wh7m
    @user-tk8er6wh7m4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우리나라교육혁신되어야 합니다. 진짜 좋은말씀 넘 동감합니다. 제발 교육혁신 경제 혁신 되어야 됩니다 국민의식이 빠르게. 바꿔져야 되는데 걱정 이 크답니다❤❤❤❤❤

  • @hyunjookim6388
    @hyunjookim63885 ай бұрын

    미래에는 가난하든 부자든 온라인 게임과 쇼츠때문에 모든 아이들의 교육 수준이 낮아진다는 결과가 나올거 같습니다. 요즘 아이들 기르다 보면.. 혁신 이노베이션.. 이거는 무슨 먹는건가 싶습니다.

  • @user-gt3wn8tg6h
    @user-gt3wn8tg6h5 ай бұрын

    인구가 줄어서 학교 선생님들 큰일났다는 이야기는 20년 전에도 있었다. 무지한 사람들이 눈앞에 실제로 벌어질때까지 관성으로 교대에 갔던것이다. 학교 현장에서는 나이든 선생들 명퇴 받고 있거나 명퇴가 시작될것이라는 소식들이 들려오는데 그것도 모르고 무지하게 교대 졸업만 하면 공무원 된다는 생각에 계속 입학한것이다. 이것은 이미 지난 과거이고 실제 벌어졌던 일이다. 무지한 부모들이 본인들 젊었을때 교대의 위상을 생각하고 애들을 보냈다. 20년 뒤는 알지도 못하고 관심도 없다. 의대 정원 확대와 관계없이, 지금 의대가면 20년뒤 지금의 교대와 같은 일이 벌어질 가능성이 아주 높다. 심지어 정원이 확대되면 그 시기가 훨씬 앞당겨지겠지. 고령화 되어도 절대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면 동네병원 대부분 폐업할것이 눈에 뻔하다. 지금 출산률이 얼마인지는 알고 의대 가는가? 지금 출산률이면 20년뒤에 인구가 몇이 되는지는 아는가? 의사라는 직업이 인구수가 급격히 감소해도 이것을 방어할 수 있는 직업인가? 나는 의사가 아니기에 이것에 대한 정답을 알지는 못하지만 이 미래를 한번은 진지하게 생각해보고 의대를 가야한다고 생각한다. 직업은 미래를 보고 선택해야하는데. 지금 가장 좋은 직업을 선택하는 무지한 사람들이 참으로 안타깝다. 여기 댓글만 봐도 참 안타깝다. 의사가 되면 졸업만하면 뭐가 보장이 되고 쉽게 월 얼마를 벌 수 있고 이런 내용들. 지금 현재 왜 의사가 좋은지를 적는사람들. 그것이 20년뒤에도 유지되거나 더 좋아질것으로 생각하는가? 그렇다면 그 의견 존중한다. 미래는 아무도 모르니까. 다만, 미래에 대한 전망 없이 현재만 바라보고 직업(의대)을 선택하는 사람들은 똑똑한데 똑똑하지 않은것이다. 사람들의 안타까운 선택은 시대가 지나도 늘 변하지 않는다. 시대는 변했지만 그들의 인생은 처음이기때문이다. 나는 미국에서 엔지니어링을 한다. 와서 보니 미국은 왜 잘나가고 한국은 왜 상대적으로 뒤쳐지는지 알겠다. 미국의 인재들은 인공지능과 휴머로이드등 기술을 개발해서 세상을 바꾸고 있는데 우리나라 최고의 인재들은 방구석에서 얼굴에 레이저 쏘고 있다. 이러니 이 나라가 잘 될 수가 없다. 이것도 참 안타깝다. 물론 이런 선택은 개인의 문제만은 아니다. 정부에서 R&D예산을 삭감하는 등 엔지니어링을 존중하지 않는 우리나라의 뿌리깊은 문화도 상당히 영향을 줬다고 생각한다. 부디 우리나라 최고의 인재들이 무지한 부모들의 선택으로 잘못된 길을 가지 않기를 간절히 바라본다.

  • @yeonjin553

    @yeonjin553

    5 ай бұрын

    고령화가 심해서 인구감소효과는 상쇄될 듯. 소아과 산부인과는 논외로 하면 오히려 환자수가 증가해서 베이비붐 세대들이 살아있는 동안은 큰 문제 없음.(적어도 20년~30년)

  • @user-gt3wn8tg6h

    @user-gt3wn8tg6h

    5 ай бұрын

    @n553 이렇게 미래를 전망하신 후에 의대를 가거나 자녀를 의대에 보내는것은 좋은 일이죠.

  • @user-lq9vb5de8z
    @user-lq9vb5de8z5 ай бұрын

    저도 피부과 레이저 시술을 꼭 의사만 해야 하나라고 생각한 적이 있어요. 물론 병적인 치료는 제외하고 미용적인 시술은 기기 사용이 능숙하고 피부에 대해 공부한 사람이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했어요. 의료기기 업체 직원들이 의사 대신 수술할 정도 잖아요.

  • @Jennilovi

    @Jennilovi

    5 ай бұрын

    GP한테도 미용 시술 받고 부작용 나서 몇년 고생하는 사람들 많습니다. 건강상 위험까지 간 분들도 부작용 카페에 수두룩 합니다..오히려 안전을 위해 전문의만 가능하도록 권한을 줄여야한다고 봅니다. 하물며 일방인에게.... 그러면 수많은 부작용에 개인의 몸이 마루타가 되겠죠.

  • @hjmoon5836

    @hjmoon5836

    4 ай бұрын

    캐나다는 레이저테크니션이라고 사설이라도 과정을 공부하고나면 (안어려운) 시술가능합니다. 그래서 한국의사들이 애들 유학시키고싶은데 와서 할 거없으니 레이저클리닉 열어서 울쎄라, 인모드 등등 들고 들어와서 패키지로 팝니다. ㅎㅎㅎ

  • @kidbright-ev2pj
    @kidbright-ev2pj5 ай бұрын

    창의적인 교육을 해봤자 수능으로 귀결되는 현실에서는 한계가 있죠. 지금 인기있는 인강 강사들만 봐도 창의적인 교육을 하나요 수능 잘나오게 만드는 강의식 수업을 하지 학교에서 창의적인 교육을 하겠다고 해봤자 수능잘봐야하는데 무슨 짓이냐는 민원만 들을듯

  • @cottoncloudlee549
    @cottoncloudlee5494 ай бұрын

    해외에서 국제학교 다니고 올해 국내대학간 딸이 최근 수업하면서 느낀게 질문은 전부 외국인 친구들뿐이라고 하더라구요. 한국학생들은 전혀 질문을 안합답니다. 중고등때 기껏해야 문제집질문만 하던 학생들에게 대학수업에서 질문을 바라는게 어려울것 같습니다.

  • @TheFirenick
    @TheFirenick5 ай бұрын

    그.. 혁신적인 기업들이 서울에만 있는 게 문제라니까요

  • @karennamkung9308
    @karennamkung93084 ай бұрын

    동문 끼리 끌어 주고 밀어 준다는 예가 동의 합니다. 제가 미국에서 만난 한 친구는 백인 남자 흑수저 예요. 그의 엄마는 틴 에이저 였고, 그는 초등, 중등, 고등 교육 받았을때는 학급을 뛰었고, 음대를 캘리포니아 에서 전액 장학금 받고 다녔고, 20살때 학사 졸업 하였읍니다. 그 이후에 워싱턴주 경영 대학원에서 석사를 받았고, 결혼해서 동부로 가서 한 중소기업 에서 매니저로 일하면서 하버드 대의 경영 대학원에서 MBA를 받았어요. 그 이후에 고향으로 돌아와 서 한 기업에 다니는데 연봉은 그렇게 대기업 같이 많이 받는 것은 아닌것 같더군요. 이곳은 하버드 대 나온 사람들이 몇명 않되어서 끌어주고 밀어주는 동문이 없으니... 이곳에서는 한 법대 대학원에서 같은 동문들이 변호사들로 일하고 그 변호사 출신들이 판사도 하는 중소 도시 이니까요.

  • @sunny-sv2hx
    @sunny-sv2hx5 ай бұрын

    늘 유익하십니다 교수님이 울리시는 종소리는 늘 귀에 청량한 울림이 있으십니다 감사합니다 🎉

  • @user-GoldMaitreya
    @user-GoldMaitreya5 ай бұрын

    👏👏👏

  • @sim_to_real
    @sim_to_real5 ай бұрын

    사람들이 어떤 일을 할때에, 기존 체제를 똑같이 따라하는 것보다 기존 체제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거나 새로운 것을 도입하는 경우가 이익이 될 경우에 그렇게 하지요. 현실적으로 아무 이득도 되지 않으면서도, 새로운 것이 무조껀 좋고 기존의 것을 극복해야 한다는 구호는 몽상에 불과하지요. 사람들은 실리에 따라 움직이지, 어떤 비장한 신념이나 믿음에 의해서 움직이는것이 아닐겁니다.

  • @neetruri

    @neetruri

    5 ай бұрын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각하는 것을 죽기보다 싫어한다. - 버드란트 러셀 비즈니스에서 가장 위험한 다섯 단어는 : Everybody is else doing it - 워렌 버핏 이런 말들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sim_to_real

    @sim_to_real

    5 ай бұрын

    @@neetruri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각하는 것을 죽기보다 싫어한다. ] 에 대해서는, 각각의 개인이 주어진 환경이란 맥락에서 고유한 방식으로 최선을 다하더라도 남들 눈에는 생각하지 않는 것이나 최선의 것을 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고 [Everybody is else doing it] 은 남들 따라서 하게 되는 사회적 압력을 말하는것 같은데, 남들 다 하는대로 따라가면 로우 리스크 로우 리턴으로 적당한 정도로 성공하거나 실패할 겁니다.

  • @agnesdu4850
    @agnesdu48505 ай бұрын

    김현철 교수님 같은 생각을 가진 분들이 우리나라 정부에서 일 해야 됩니다 그러면 나라가 더 좋아질듯~

  • @djpeter1Y
    @djpeter1Y5 ай бұрын

    혁신기업 비약적인 효과 날려면 오래 걸릴 텐데.. 지금 국내 정책도 10년 전부터 다시 돌아보고 20년 내다 보고 기획해야 그나마 비전 생길 수 있다고 봄.. 앞으로도.. 이미 규모 경쟁력으로 한국은 비전 없는 산업 분야도 많을 수도 있을 수 있다고 함.. 일단 중소 제조. 1. 약 10년 전부터 스마트폰 보급화 기점으로 오프라인 시장 밸런스 깨지는 가속화 진행하고 지역 상생 경쟁력 상실했고 2. 온라인으로 유지하는 곳은 특수한 경우 아니면 마진율 경쟁해야 하고 3. 인건비 시급 1만원 간다 기점으로 서서히 국내 중소기업 글로벌 경쟁력, 내수 생존력 하락하고 그마저도 인력 없고.. 4. 규모 대비 매출 안 나오면 바잉파워도 적어지고, 원자재 값 상승 5. 서서히 글로벌 시장 해외직구, 알리, 테무 등등 빨대 꼽혀있고 이게 불과 10년 만에 일어난 일.. 다행히 비례하게 서비스업과 문화가 성장해서 비전도 물론 있지만... 왜 행복하지 않을까?? 교육. 고도 성장기에 자식은 커서 이런 일 하지 마라 다들 키우고 자식은 나이 먹을수록 부모님이 고생해서 공부시킨 감사함이 독이 될 수 없고 자연스럽게 미화, 순응하는 것이 미덕 일 것이고. 돈 된다 하면 너도 나도 달려들 정도로 주입학습 잘 되어있고.. 창의성, 혁신 강조하지만 it 분야는 패스트 카피=데드 카피 국내에서 현실적으로 규모화 시키고 엑싯하고 연쇄창업. 이쪽으로 빠삭한 사람들 태반이고.. 기업가 정신 달나라 가고. 보조 지원금은 그런 사람을 더 신뢰하고..... 진짜 바꿀려면 점진적으로 수능 제도 폐지해야 함. 수능 제도는 소수 살리고 다수 죽이는 실패한 닭장 임. 다만 소수도 쌓이면.... 다수가 됨.. 변호사도 그랬고..의사라고 아닐수 없음.. 모든 목적과 열과 성의 달성 목표치가 유사한 다수. 돈의 노예가 안 될려고 공부하던 것이 역효과로 주입당한... 차별의 무의식 학습 결국 하고 싶은 것. 경험하고 느껴보고 싶은 것. 목표하는 바 못 이루더라도 하고 있음에 행복한 삶. 하다 보며 확신이 생기는 삶. 그 원동력이 나를 움직이게 하는 삶.. 사회가 너를 믿고 너도 사회를 믿는 삶 그게 성공이 아닐지라도 누구에게도 성공을 하라고 주입당하지 않는 삶. 각자 눈높이에서 자연스럽게 살아가는 삶. 이게 본질적으로 돈에 시달리지 않는 사람들의 태도. 후회라도 없는 삶. 어차피 미래 상당 부분 이런 방향으로 흘러갈 거라 봄. 출산율 저하는 막아야 할 테니..

  • @moonmoon8348
    @moonmoon83485 ай бұрын

    한국엔 필요하겠지만 사회에선 매장되겠죠. 특히 정치쪽으로 필요한 것 같은데 높은 자리 가기전에 찍혀서 쫓겨날텐데.

  • @yundee716
    @yundee7165 ай бұрын

    나라입장에선 혁신의 도시 "산호세/팔로알토"와 같은 도시를 만들고 그곳에 모여살고 싶게 만드는 것도 중요하겠네요.

  • @dlagytjs
    @dlagytjsАй бұрын

    29:00 맹모삼천지교

  • @user-tf4kf5ug1r
    @user-tf4kf5ug1r5 ай бұрын

    똑똑한 문제아 있지 ㅋㅋ 이강인

  • @drummerzedi
    @drummerzedi5 ай бұрын

    교육이 바뀌기 위해서 대학 입시 제도를 바꾸는 게 가장 힘든 일일 것 같습니다 대학들도 단순 수능이 아닌 다양한 능력치를 보고 학생을 뽑고 싶을텐데 그러면 공정성 논란이 생겨서 학교 맘대로 뽑기 힘들게 되죠

  • @juokhan6
    @juokhan64 ай бұрын

    자신이 환경의 영향을 어떻게 받느냐는 자신을 보고서도 충분히 알 수 있습니다. 실험방법; 1. 한달 정도 사람을 안 만나고 혼자서 고요히 있으면서 기도 또는 명상하면서 정갈한 생활을 합니다. 2. 한달 후 소규모 모임에 참석하여 3시간 이상 같이 행동하고 먹을 것도 같이 먹습니다. 3. 집에와서 그날 자신의 말과 행동 생각이 어떤 것이었고, 자신의 것이었나 한번 복기합니다.”

  • @bogyeongpark1143
    @bogyeongpark11435 ай бұрын

    이프로님의 성공한 제자에게 인센티브를 받자는 제도 적극 지지합니다. 공교육도 창의적인 제가 필요합니다.

  • @JP-gr8eb
    @JP-gr8eb5 ай бұрын

    여러 방면으로 나라가 인재를 발굴해 내려고 노력하긴 하는데 일선 교사.교수분들이 재능과 열정 있는 학생,연구원들에게 길을 열어주는 노력이 최전선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user-ef9ws1os8f
    @user-ef9ws1os8f5 ай бұрын

    좋은 의견들을 국가에 의견 제시하심 좋겠네요.

  • @painkiller2927
    @painkiller29275 ай бұрын

    혁신이 현실로 되려면 선투자된 인프라와 기대이익의 손실을 보상하고 남을 정도의 이익창출이 필요한데 정경유착이 된 경직된 사회 구조에서 피해를 주고 받기 어렵고 한국내수에서는 자체혁신으로 수익이 충분히 나오는 분야가 별로 없을 겁니다. 쿠팡이 수익을 내는 데 든 돈과 시간이 엄청났던 것처럼요.

  • @user-ht1rz4xg1k
    @user-ht1rz4xg1k5 ай бұрын

    다분히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두 아이를 키우면서 놀라는 것은 2010 년 이후 초등학교 선생님들의 놀라운 능력과 인품입니다. 매년 깜짝깜짝 놀랄만큼 훌륭한 선생님들을 만났어요. 제가 다시 학교를 다니고 싶을 만큼요. 그러다가 중학교 고등학교 갈수록 또 깜짝깜짝 놀라요. 뭐야~이거~~! 왜 시간이 30년 전으로 돌아가지? 선생님들 놀랄만큼 아이들에게 관심이 없고 정말 최소한만 일하려고 온 사람들 같아요. 중학교는 대박인게 상담가면 학원보내라~말 밖에 안해요~ 다른친구 엄마들도 다들 당황해서 돌아오고~ 아무리 그래도 본인들 입밖으로 그럴수가. 고등학교는 정말 또 재비뽑기도 아니고 너무 좋은 샘, 생기부 애들한테 쓰라는 진짜 자기일도 안 하는 샘~ 중고등 애들도 학부모도 세대교체 좀 빨리 되길 바라고 있어요. 연세 많으신 선생님들 정말 너무 하다 싶을 만큼 의욕없는 분을 많이 계세요TT

  • @user-ot9bh8wk2e

    @user-ot9bh8wk2e

    5 ай бұрын

    입시가 있어서 올라갈수록 어쩔 수가 없습니다.ㅠㅠ

  • @robotcobit6439

    @robotcobit6439

    5 ай бұрын

    동탄코딩학원 강사였는대 진짜 선생님 케바케로 극과극입니다. 생기부 쓰라고 독려하는 쌤도 있고 하겠다는 애 무시하는 선생놈도 봤어여

  • @gugugugu4907
    @gugugugu49074 ай бұрын

    42:11 교수님 말씀도 맞는말이만 가장 핵심적이고 직접적인 이유는 이프로님의 문제의식이 맞지 않습니까. 이 문제는 의사선생님들께서 언급도 안해서 쟁점화 자체를 안 만들려고 하는것 같더군요.

  • @user-qy5yj5ol4y
    @user-qy5yj5ol4y4 ай бұрын

    가난한집 똑똑이는 이미 명문대 나온 가난한집 똑똑이를 말하는게 아닙니다. 부모님 직업이 의사, 변호사면 애들 지능이 높을거라는 편견에 빠진 우리나라는 이해하기 힘들거 같네요.

  • @gratitude-almond
    @gratitude-almond5 ай бұрын

    IB교육 일본이나 캐나다 공교육에서 도입하는데 특히 일본에서는 그다지 잘 안된 것으로 들었는데요. IB측에 로얄티도 지급해야 된다고요. IB 효과가 그렇게 말씀대로 드라마틱한지. 요직에 IB커리큘럼 영향받은 사람들 많은지요. 기회되면 이부분 자세히 듣고싶어요. 한국에서 실시하는 IB교육 교사를 한달만 교육하면 할 수 있다고 했다는데 그정도면 금방 따라해서 도입하지 굳이 로얄티 주고 도입해야하는지 이상했고요. 무엇보다 점수가 교사 주관성이 커서 객관성 타당성 확보가 어려운 것 같았어요.

  • @hjkim1667

    @hjkim1667

    5 ай бұрын

    일본 IB교육 시작한지 별로 안되었죠 그것도 일부 지역만. 근데 중요한건. 가르치는 사람이 일본인이니까요. 대구 제주도. 한국교사가 가르치니 문제가 되죠. 외국교육은 특히 사립교육은 교사에게 막강한 권한을 줍니다 근데 과연 우리나라에 적용될수 있을까요? 내 아이 점수가 조금만 낮아도 항의하느라 정신없을겁니다

  • @gratitude-almond

    @gratitude-almond

    5 ай бұрын

    @@hjkim1667 네 아마 말씀하시는 그런 사립학교 교사들은 수준이 대학교수급이라 가능한 것 같아요. 그분들 페이 높고 그 학교 학비들도 높고 그런... 결국 돈 💰인가요ㅠ

  • @user-um9ei6rx8x

    @user-um9ei6rx8x

    5 ай бұрын

    아이비 시험 따로 았어요 ,,,

  • @gratitude-almond

    @gratitude-almond

    5 ай бұрын

    @@user-um9ei6rx8x 네 알고 있어요. 혹시 어디 오해하고 있는 게 있나요.

  • @aigoiaoidoi2215
    @aigoiaoidoi22154 ай бұрын

    블루록이라는 만화가 같은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 @matpak6068
    @matpak60684 ай бұрын

    반항적인 똑똑이 있잖아요 축구국대에. 싸가지 없다고 욕먹고 범국민 사과까지했죠. 축구하는데 싸가지 없으면 어떻습니까. 과학자 개발자 혁신가들이 인성으로 돼나요. 불필요한 서열의식 사회구조가 나라발전에 걸림돌이 됩니다.

  • @bluechun347
    @bluechun3475 ай бұрын

  • @mohikenatogengacetroneight9278
    @mohikenatogengacetroneight92785 ай бұрын

    테슬라 편 봤는 데 핵심은 그게 아니던데.. 우리나라는 HOW로 물어본다면 테슬라는 WHY로 물어본다는 것... 우리나라는 이거 어떻게 해결할래? 라는 HOW로 물어본다면 테슬라는 이게 왜 문제가 발생했지? 왜 이게 필요하지? 라는 식으로 WHY로 물어본다는 것. 당장 발생한 문제를 급하게 해결하는 데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그 문제가 왜 발생했고 왜 그것이 필요한지 초점을 두는 게 테슬라라는 이야기였음. 이러한 해법의 가장 큰 차이는 문제의 근본을 찾느냐 마느냐의 문제라는 거임. 끊임없이 왜? 라는 질문을 던짐으로써 그것이 되고 안되는 이유의 근본까지 올라가서 그걸 뜯어고치자가 애초에 일런 머스크의 철학임. 문제 해법에만 급급하면 문제해결은 빨리 이루어지지만 거기서 얻어지는 교훈이나 문제의 근본을 모른 채 넘어간다는 게 핵심 주제였음.

  • @uulyyy

    @uulyyy

    5 ай бұрын

    그래서 국제학교 다닌 한중일 학생이 일반 한중일 학생보다 질문 잘하고 비판적 사고를 잘한다는 이야기를 통해 교육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언급했죠. 비핀적 사고가 결국 ‘왜’라는 질문을 떠올리게 하는게 핵심이니까요. 그럼에도 좋은 대학 가는것의 중요성 역시 강조함으로써 이 문제 해결이 쉽지 않다는 것도 이야기를 한 것이구요.

  • @user-qw1dp9kl5d
    @user-qw1dp9kl5d4 ай бұрын

    코로나때 "이거 맞아?" 했다가 따당했어요..ㅠㅠ 우리나라는 답없네요

  • @kunheechoi6331
    @kunheechoi63314 ай бұрын

    Outlier에서 오팬하이머와 비교된 크리스랭건 편이 떠오르네요. 불우한 환경의 똑똑이는 왜 실패하는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