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회] 탁월한 사람을 알아보는 몇가지 방법 (feat.면접경험) | 김경민의 경영벙커

사람을 판단하는 일은 어려운 일입니다. 하지만 회사가 생각하는 일하는 방식을 인재에게 제안하고 거기에 맞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꽤 다양하게 있습니다. 이 영상에서는 그동안 경험한 사례를 나누면서 적합한 사람을 확인하는 팁을 이야기 하겠습니다.
✅ 영상에서 사용된 강의파일 다운로드 👉bit.ly/3vaug1t
✅ 23년 현장 경험을 가진 컨설팅회사의
검증된 경영 양식과 영상으로, 바로 [적용]해보십시오!
"경영은 직원들과 함께하는 것, 직원의 실력이 조직의 실력입니다."
✅ 우리 기업에 [가인지캠퍼스]를 도입하고 싶다면?
👉 www.gainge.com/business-request
✅ 쉽고 편리하게, 가인지캠퍼스!(앱 다운로드)📱
👉 gainge.info/3YuQbvK

Пікірлер: 29

  • @user-pt9xh5lg4r
    @user-pt9xh5lg4rАй бұрын

    와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suyeonlee4467
    @suyeonlee4467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겸손하신 대표님께 정말 많이 배웁니다

  • @k-landhealing913
    @k-landhealing913 Жыл бұрын

    다 그래는 아니지만 참고는 합니다~^^ 좋은강의 고맙습니다~^^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해주심에 감사드려요~^^ -존경합니다- -사랑합니다- -밑줄쭈욱-

  • @user-yq8oz9ub2i
    @user-yq8oz9ub2i2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HyungJoon23
    @HyungJoon232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 @user-lb5yb4nd1k
    @user-lb5yb4nd1k2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hoowon2231
    @hoowon22312 жыл бұрын

    저는 걸어서출근하며 듣고있어요 좋은날되세요

  • @user-ve9jl8qh7d
    @user-ve9jl8qh7d Жыл бұрын

    면접위원으로 활동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넘 좋습니다.

  • @yejij7728
    @yejij7728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ux3hf9ll3u
    @user-ux3hf9ll3u2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 @3minutestreetfoods112
    @3minutestreetfoods1122 ай бұрын

    인간의 정보 처리 용량의 한계 때문에 뇌의 과부화를 방지하고자 세상을 패턴화를 시키는 본능 때문이 아닐까요?? 대표님께서 말씀하시는 집단화 또는 패턴화를 선호하는 사람들의 비율은 교육 수준이나 지성의 깊이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를 10년 전 쯤 본 적이 있습니다.

  • @user-ev2zi2iq4o
    @user-ev2zi2iq4o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해요^^가인지캠퍼스 잘 활용해보고 싶네요

  • @user-ie3mp6lj7r
    @user-ie3mp6lj7r2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leonakim6771
    @leonakim67712 жыл бұрын

    다들 안녕하세요~

  • @siriusj1389
    @siriusj13896 ай бұрын

    23.12.01. 감사합니다.

  • @Kang6120
    @Kang61202 жыл бұрын

    저도 grit 좋아해요!!!!!

  • @aramus8506
    @aramus8506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월화수목금금금 ㅜㅠ 이에요.

  • @user-dj8tg9wd4q
    @user-dj8tg9wd4q10 ай бұрын

    😊

  • @user-pk8ed4st9v
    @user-pk8ed4st9v2 жыл бұрын

    ♡♡

  • @leonakim6771
    @leonakim67712 жыл бұрын

    안젤라요

  • @SoYoubaby
    @SoYoubaby Жыл бұрын

    14:25

  • @hlee8854
    @hlee8854 Жыл бұрын

    여러번 들었습니다. 한가지 궁금한게 있는데요, 직종과 관계없이 공통된 패턴 다섯가지 중에 창의력이 들어가 있는 이유가 있을까요? 대표님이 말씀하신 것 처럼 창의력이 특정 몇명에게 신이 선물로 부여한 능력이라고 하면 면접을 볼 때 관련직군(디자인, 음악 등)이 아닌이상 면접을 볼때 크게 우선시 되야할 요소는 아니지 않을까 싶어서요!

  • @user-xu9bn6tv7f

    @user-xu9bn6tv7f

    11 ай бұрын

    새로운 프로젝트 진행이나 발굴, 이슈 해결 모두 다 창의성이 필요한 영역인데;;

  • @hlee8854

    @hlee8854

    10 ай бұрын

    @@user-xu9bn6tv7f 네 물론 필요하죠~ 필요하지 않다는 뜻이 아니라 면접을 볼 때 꼭 우선시돼야 하는 여부를 여쭈어본겁니다. 영상 속에서 대표님께서 창의력에 대해 설명하시 던 중 창의력은 노력보다는 '신이 선물로 부여한 능력'이라는 선천적 요인의 느낌이 강한 표현을 쓰셔서요.

  • @user-ml7sk2oo6m

    @user-ml7sk2oo6m

    8 ай бұрын

    선천적인 요소가 평가의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결론이네요

  • @user-in7ql8xw9d

    @user-in7ql8xw9d

    4 ай бұрын

    기업의 전형적인 환상을 쫓는 희망 아닐까요?ㅎㅎ 엄밀히 말하면 창의력이라는 단어와는 다를지도요. 적극적인 태도 + 일머리 라는 것을 창의력이라고 표현하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다만 안타까운 것은 그런것들을 충분히 기업이 육성해줄 수 있는 부분임에도 기업의 환경을 바꾸려는 노력보다는 직원 개개인의 창의력 일머리라는 가스라팅으로 때우려 하는 듯

  • @KoreaMost
    @KoreaMost2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user-ht3jk2tr8h
    @user-ht3jk2tr8h7 ай бұрын

    14:20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