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명 중 단 1명만 이 3가지 원칙을 지켜 사람들을 감동하게 한다

* 인터뷰 출연 제의는 이메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contact@keepmanydays.com
[작심만일 마인드 퍼포먼스 코칭]
"단 30개 영상으로 5개월만에 유튜브 15만 구독자 만든 비결"
www.keepmanydays.com
[작심만일 클래스유 온라인 클래스]
"성공 마인드셋 장착 클래스"
me2.do/5HSuBHxP
#스피치 #말하기 #동기부여
Source: @ConorNeill
Music: Melody Of My Dreams - Whitesand

Пікірлер: 212

  • @keepmanydays
    @keepmanydays2 жыл бұрын

    [작심만일 마인드 퍼포먼스 코칭] "단 30개 영상으로 5개월만에 유튜브 15만 구독자 만든 비결" www.keepmanydays.com

  • @saintcho7425

    @saintcho7425

    2 жыл бұрын

    댓글 가지치기해주세요. 광고글이 좀 많네요;;

  • @kim93511
    @kim935112 жыл бұрын

    7:34 1. 상대방이 직면한 문제여야 한다. 2. 사람들이 놀랄만한 이야기여야 합니다. 3. 자신만의 이야기가 담겨있어야 한다

  • @esfp3188

    @esfp3188

    2 жыл бұрын

    보이스피싱 전화네

  • @user-nz9ns8xl8i

    @user-nz9ns8xl8i

    2 жыл бұрын

    @@esfp3188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ㅎㅋ

  • @user-ty8gb6nl2l

    @user-ty8gb6nl2l

    2 жыл бұрын

    @@esfp3188 상대방이 직면한 문제처럼 착각하게 만들기, 일단 듣는 사람 놀라게 만들기, (다 지어낸)자신만의 이야기

  • @guoichannan7398

    @guoichannan7398

    2 жыл бұрын

    도를 아십니까?

  • @user-px7qu2to9j

    @user-px7qu2to9j

    2 жыл бұрын

    주식 문자도 저러자너 “고객님이 놀랄만한 정보를 들고왔습니다”

  • @user-ym3bj2lj1f
    @user-ym3bj2lj1f2 жыл бұрын

    1.직면한 문제 2.놀랄만한 사실 3.자신만의 스토리 듣고 싶어하는 감동 말하기 요점 말하기가 형식적이되기 싶고 청자들에게 기대수준만큼 집중되게해주지 못할까 발화기회에 자신이 없었는데 핵심이고 중요한 방법 영상에 내가 전하려는 말에 알맹이가 없었다는것을 자각하게 됬어요. 감사드려요.

  • @renonrechard3369

    @renonrechard3369

    2 жыл бұрын

    덕분에 뜬구름 같이 머리에 잘 핵심이 안 박히던 기나긴 말을 건널 수 있었습니다

  • @factereal

    @factereal

    2 жыл бұрын

    됐 제발

  • @user-yu9oe5iz7l

    @user-yu9oe5iz7l

    Жыл бұрын

    굳잡

  • @user-ck6vl1hr4g
    @user-ck6vl1hr4g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작심만일 화이팅!

  • @junhyuk450
    @junhyuk4502 жыл бұрын

    저는 공통점을 후로 미뤄두고 말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공통점을 화두에서 던지면 청자의 관심을 더 끌 수 있군요. 뻔하지 않은 얘기 스토리 등 좋은 지식을 많이 얻어가네요 감사합니다 ㅎㅎ

  • @iiiiilliili6354
    @iiiiilliili63542 жыл бұрын

    말 잘하는 사람들 보면 정말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많이 알고있다는것....음악과 여행. 경제. 사회별로 두루두루 알고있으니 막힐 일이 없는듯....

  • @user-xu1hy6mx1q
    @user-xu1hy6mx1q2 жыл бұрын

    학과공부 그리고 불사조 영상보면서 주식공부 하다가 지칠때마다 킬링타임용으로 보기 너무 좋습니다 ㅎㅎ

  • @user-rg9iu8dc3s
    @user-rg9iu8dc3s2 жыл бұрын

    강의하는 입장에서 다른 견해를 하나 적어보자면 결국은 폭넓은 공부가 필요합니다. 대상이 정해져야 그가 직면한 문제를 추출할 수 있고, 사람들이 놀랄 만한 이야기는 새로운 정보나 참신한 시각을 가져야 꺼낼 수 있고, 자신만의 스토리는 나만의 시행착오에서만 길어올릴 수 있습니다.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대학원생, 유학준비생과 교수를 상대로 다채롭게 말을 꺼내려면 이 영상제작자 선생님의 3원칙을 충족시킬만한 정보와 학습과 연륜이 끊임없이 갱신되어야하지요. 왜 이 알고리즘의 영상이 제게 떠올랐는지는 모르겠지만 잘 보고 갑니다. 늘 보람 느끼는 작심만일님 되세욤~ ^^

  • @flamehan8771

    @flamehan8771

    2 жыл бұрын

    좋은 글이네요 감사합니다

  • @BEARSLEAGUE

    @BEARSLEAGUE

    2 жыл бұрын

    좋은글입니다. 제 작은 경험을 더하자면 폭넓은 공부라는 부분에서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는 부분중 하나가 본인의 경험과 정보를 굉장히 작고 별거 아니라고 느낀다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신의 경험과 정보를 앞에 있는 사람의 정보와 연결 시킨다면 폭넓은 대화가 되며 많은 이치와 원리들은 놀랍게도 비슷한 점이 있기에 어느분야에도 대입시킬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user-xn6sp4rk1h

    @user-xn6sp4rk1h

    2 жыл бұрын

    잘봣습니다.

  • @SharpionIBJeong

    @SharpionIBJeong

    2 жыл бұрын

    님도 말씀 정말 잘하시네요. 저도 강연이나 회의때 말을 잘하고 싶어요. 회의가 일주에 두세번 있는데. 생각을 멋지게 이야기하고 싶은데 말로 잘 포장을 못해요. 아이디어는 괜찮은데 말로 손해보는게ㅜ많아요. 또하나 가끔 강의나 강연요청이 오는데 잘하고는 싶은데 잘하지 못하는 것 같아서 수락하기 항상 망설여져요. ㅇ요즘은 무조건 강의요렁오면 일단 하겠다고 수락하며 경험치를 올리려 하여 무대공포증은 좀 나아졌는데. 무대공포증이 줄어들자 제 스킬(?)의 한계가 보여요. 댓글보시면 제게 팁 좀 주세요. 선생님.

  • @user-rg9iu8dc3s

    @user-rg9iu8dc3s

    2 жыл бұрын

    @@SharpionIBJeong 인사 감사합니다. 뭘 전해드릴 만한 내공이 없는 사람이라 부담되네요. ^^; 평소 어울려지는 사람들(저 같은 경우는 같이 강의하시는 분들, 동아리 식구들 등)과 대화를 많이 하는 편이고, 상대 입장으로 빙의(?)하는 습관이 있습니다. 내가 이 고등학생 상황이라면, 이 대학생 입장이라면, 이 사장님이나 이사님 입장이라면 하고 머릿속으로 반추해보고 떠오르는 것을 가끔 메모해두는 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강의 스킬이라는 건 솔직히 없고요.. 강의 전에 내 강의 듣는 학생들이 뭘 궁금해할까, 뭘 물어볼까 요런 생각을 미리 하면 대화 물꼬 트는 것이 편해지는 느낌입니다. 강의 잘 하시고 많은 분들 깨우쳐주세욤. ^^

  • @scarletkim6148
    @scarletkim61482 жыл бұрын

    요즘같은 비대면 시대에 사람을 만날 수만 있어도 좋겠네요 ㅎㅎ 온라인에서 모임으로 챗을 하거나 공지를 올리는데 대면대화와는 다르지만 글과 대화의 중간 어디 쯤인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스피치보다는 쌍방향의 소통이 중요하므로 상대의 관심사에 포커스를 맞추는 건 당연히 좋고 그게 서로의 공통 관심사라면 완벽하겠지요. 새로운 정보에 누구나 흥미를 보이니 그것도 필수, 서로 모르는 온라인이지만 상대에 대한 신뢰감은 어느정도 필요하므로 개인사도 적당히 노출하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오랜 인연들과의 오프라인 모임도 정겹지만 공통 주제로 모여 서로의 목표 달성에 시너지를 주는 비대면 모임에서의 대화도 상당히 매력적입니다. 신뢰와 예의가 갖춰진 비대면 소통으로 개인적인 생활을 나름 풀이해 봤습니다. 대면시대가 편안하게 다가오는 날이 어서 어서 오길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asd12a31kdar
    @user-asd12a31kdar2 жыл бұрын

    5:04 ???: 정말 흥미로운 강연이네요. 제가 94년도 미국 LA에 있었을 때…

  • @hji2981
    @hji29812 жыл бұрын

    상대방과 대역 주파수를 맞춰놓고 통념과 다른 자신만의 스토리를 말한다. 주파수를 맞춘다는 표현이 굉장히 인상적입니다.

  • @user-fr9pj2ws2f
    @user-fr9pj2ws2f2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좋은 영상

  • @bbjinju8981
    @bbjinju8981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은 꼭 저장해두었습니당👍

  • @goodfood_makes_a_goodlife
    @goodfood_makes_a_goodlife2 жыл бұрын

    오늘 영상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인간관계를 한 번도 하지 않을거라면 상관없지만 그게 아니라면 무조건 도움되는 영상인 것 같네요.

  • @user-dw7tu3ff3r
    @user-dw7tu3ff3r2 жыл бұрын

    맞네요~ 따로 정리해보진 않았지만 저도 그렇게 배워서 그렇게 하고 있던 것 같아요~ 진짜 결국 스피치는 스토리^^

  • @starkyo12
    @starkyo122 жыл бұрын

    일단 좋아요 박고 봄

  • @e-3517
    @e-3517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 @user-lk3ww8yq9k
    @user-lk3ww8yq9k2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이해 쉽게 요약해 주시는 거 너무 좋네요 감사합니다~

  • @user-gd8fb1ub4i

    @user-gd8fb1ub4i

    2 жыл бұрын

    왕십리곱창에 대한 놀라운 스토리를 들어보고 싶군요ㅋㅋ

  • @jjingjjong
    @jjingjjong2 жыл бұрын

    일단은 기본적으로 대화라는건 아는 지식이 많아야 하고 여러가지 경험이 밑바탕 되어야 함. 말을 잘 못하는 사람들을 보면 내성적인건 핑계고 아는것도 없고 관심있는것도 없고 세상 경험도 별로 없어서 대화에 참여 자체를 못하는거임. 그런 사람도 자기가 관심있는 분야 얘기가 나오면 입이 근질거려함. 결국은 대화 = 지식과 경험 그리고 센스와 유머까지 있으면 사람과 소통하고 호감을 얻는데 전혀 문제가없음.

  • @user-fe1dq6xn4v
    @user-fe1dq6xn4v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해석이 아래쪽으로 하면 좋을거 같아서요..

  • @nsk1520
    @nsk15202 жыл бұрын

    브금이 괜히 웅장하네요

  • @ASMR-rd4gk
    @ASMR-rd4gk2 жыл бұрын

    작심만일 좋은사람 손

  • @seekja-road

    @seekja-road

    2 жыл бұрын

    이 댓글 좋은 사람 ✋

  • @ASMR-rd4gk

    @ASMR-rd4gk

    2 жыл бұрын

    @@seekja-road 🖐

  • @keepmanydays

    @keepmanydays

    2 жыл бұрын

    늘 좋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mf9er2vq1f

    @user-mf9er2vq1f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손)

  • @mem111con

    @mem111con

    2 жыл бұрын

    ✋️

  • @user-jd2wm6wi7f
    @user-jd2wm6wi7f2 жыл бұрын

    말 빙빙 돌리는 기술이 탑이시네 ㅎㅎ

  • @jongwankim5836
    @jongwankim58362 жыл бұрын

    일단 상대방의 문제에 관한 이야기에 대한 이야기가 중요하겠군요

  • @choingtae
    @choingtae2 жыл бұрын

    말을 잘 하는 사람은 이런 거 안 봐도 말을 잘 하고.. 말을 못하는 사람들은 이런 거 하루종일 봐도 말 못함..

  • @goldingot3796
    @goldingot37962 жыл бұрын

    현시대 현시점 지금 이 순간 한국인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오프라인이든 현실이든 상대방을 존중하고 서로 이해 하며 정보 지식을 교류 하며 더 나은 세상으로 발전 해야 하는데 존중은 커녕 첫 마디 내뱉는 순간 마다 욕설이 난무하고 폭력적이고 살인적인 것들부터 고쳐야함

  • @tyhsee1318
    @tyhsee13182 жыл бұрын

    쉽게 접근 가능한 방법은 아니네요..그바탕에 많은 지식과 지혜가 필요할듯 합니다ㅎㅎ

  • @user-oi1sz6qw1b
    @user-oi1sz6qw1b2 жыл бұрын

    스피치를 효과적으로 시작하는 세가지 방법 첫번째 상대방이 직면한 문제여야 한다. 두번째 사람들이 놀랄 만한 이야기 여야 합니다. 세번째 자신만의 스토리가 담겨 있어야 한다.

  • @p140mm
    @p140mm2 жыл бұрын

    역시 궁극의 라떼는 말이야

  • @user-ch5oq9os8d
    @user-ch5oq9os8d2 жыл бұрын

    코너네일이라는 사람의 나이가 38살이라는게 무엇보다 놀랍다.

  • @bibi-do5lo

    @bibi-do5lo

    2 жыл бұрын

    앗.. 아아.. 좋은 뜻이죠?

  • @user-bb3no9pm4l

    @user-bb3no9pm4l

    Жыл бұрын

    그냥 예를 든거 아닐까요? 설마요

  • @Woody-dy3nt
    @Woody-dy3nt2 жыл бұрын

    말 잘하고싶어서 들어왔슨다.

  • @user-nx8jc1se9s
    @user-nx8jc1se9s2 жыл бұрын

    레벨에 맞춰 놀뿐 많이 듣고 적게 말하는게 평타는 칩니다.

  • @on-goingk.3114
    @on-goingk.3114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 @seongeen
    @seongeen2 жыл бұрын

    흥미를 유발할수 있는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는 생각을 길러보겠습니다. 잘 배우고 갑니다!

  • @user-ll7yu6sz9j
    @user-ll7yu6sz9j2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연인거 같으나 그나라 민족성에 따라 받아드리는 마인드가 확연히 다를수 있다는걸 인정하는게 중요할거 같다.

  • @kcrollerskate3404
    @kcrollerskate3404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 @user-bw7wh3kg9v
    @user-bw7wh3kg9v2 жыл бұрын

    공감, 관심, 개성

  • @jaehyeonpaek1950
    @jaehyeonpaek19502 жыл бұрын

    5:30 ☆6:30☆ ☆7:03pathos ethos☆ 7:12 1. 상대방이 직면한 문제 주파수 2. 놀랄만한 주제 3. 8:50 인간의 스토리

  • @user-xz3qy5br5o
    @user-xz3qy5br5o2 жыл бұрын

    스피치를 잘 하는법 우리 다 알잖아요 핵심적으로 말하고 시선처리 목소리억양이 중요하다는거

  • @user-co9if2cc7c
    @user-co9if2cc7c2 жыл бұрын

    나같은 사람에게는 직접적인 상황의 예문를 더 들어줬으면 좋겠다.

  • @ssounya
    @ssounya2 жыл бұрын

    나도 모르게 상대방에게 관심을 끌만한 내용을 이야기함으로서 청중에게 관심끄는법을 알고있었는데 이영상을 시청하고 내가 했던 말하는법이 진짜 있었구나 생각하게 되었어요

  • @user-tn6pg4le7h
    @user-tn6pg4le7h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주구장창 하는 획일화,일반화,주입식 교육 에서 벗어나야합니다. 아무 생각 없이 그냥 정보를 받아들이는 자세에 익숙한 현대 대한민국 사람들... 스스로 생각하고 탐구하는 자세가 더욱 필요한 현 시점이 아닌가 합니다.

  • @yamorange6379
    @yamorange63792 жыл бұрын

    역시 스토리. ^^ b

  • @user-kx4nu1uu7h
    @user-kx4nu1uu7h2 жыл бұрын

    말할 때 틀리더라도 당당하게말해야된다. 대부분 사람들은 자기말이 꼬이거나 헷갈리거나 틀릴 때 음..어.. 말을 더 듬습니다 .틀려도좋아요 자신있게 말하세요 죄지은것도 아닌데 상대방과 대화할 때 마치 자신은 족쇄를차고 말하면 그 누구도 듣고싶지 않을 것 입니다

  • @jwkim2825
    @jwkim28252 жыл бұрын

    결국 지식이 많으면 해결 된다는 이야기.. 머리 좋은 사람들이 말을 잘함

  • @goldingot3796

    @goldingot3796

    2 жыл бұрын

    하지만 머리 안좋은 사람들 다수가 머리 좋은 사람의 이야기를 불쾌하게 받아 들이고 자신만의 괴상한 망상 스토리를 만들어 내어 머리 좋은 사람을 왕따 시켜 사회 믿바닥 나락까지 찍어 내리려는 사람들이 많긴 합니다...

  • @user-wb2jn2we6i
    @user-wb2jn2we6i2 жыл бұрын

    10년도 더 된 스피치인가보다 블랙베리이야기가 다나오네. 좋은이야기이지만 다시생각해보면 너무도 당연한이야기.

  • @user-us3ph3gt3m
    @user-us3ph3gt3m2 жыл бұрын

    자소서를 풀어내는 느낌과 비슷하네요

  • @69kgold16
    @69kgold162 жыл бұрын

    헌팅포차 가서 써먹을 내용은 아니군요

  • @cookiemaniac7552
    @cookiemaniac75522 жыл бұрын

    고 정주영 회장 중앙대학교 연설 생각나네요. (..once upon a time, ) 아침 저녁 두끼 해먹으려면 장작값 두번 들어서 20전인데 아까워서 한끼는 따신밥 한끼는 찬밥 먹었는데.. 물론 영상으로 본것이고 실제 강연에서 입을 떼시며 어떤 말씀을 하셨는지 모르지만, 저 도입부 부터 입을 헤 벌리고 온전히 몰입해서 봤더랬죠.

  • @iilililiiilliillilililil

    @iilililiiilliillilililil

    2 жыл бұрын

    정회장님 멍청 하시네 ㅋㅋㅋ 아침에 밥 해서 온돌바닥에 이불 덮어노면 저녁까지 따신 밥 쌉가능인데 ㅋㅋㅋ 이래서 사람은 머리를 써야됩니다 장작 팰 생각만 하니 발전이 없던 것이죠. 끊임없이 현재 상황을 변화시키려는 의지. 방관하지 않는 태도. 그것이 현대를 살아가는 필수 요소일 것입니다

  • @jhj8367
    @jhj83672 жыл бұрын

    결국은 불가능한 일이다 바에 들어가서 세명이 있는 테이블, 그 사람들의 직면한 문제부터 알수가 없다

  • @gauntletsilver2996
    @gauntletsilver29962 жыл бұрын

    현실적으로 2번 어그로를 끌어야 된다는 양날의 검이라고 생각함. 어그로가 논증이 되지 않고 납득 되지 않으면 역공 당하고 실 없는 사람 되는거죠

  • @user-md3jf8ld2t
    @user-md3jf8ld2t2 жыл бұрын

    죄송합니다 졸았어요,,

  • @user-xq2mr1kw7g
    @user-xq2mr1kw7g Жыл бұрын

    상대에게 말할때, 뭘 말하고 싶은지 머리속에 미리 생각을 하고 말한다면 도움이 됨. 말을 유창하게 하고 청중들을 즐겁게 했으나 알맹이가 빈 발표와 어눌하고 우물쭈물해도 청중들에게 그 내용을 확실하게 전달한사람의 발표중에 좋은발표를 고르라고 한다면 적어도 사람들은 확실하게 발표한 사람말을 따라가기 마련임.

  • @user-cz8he9uq4w
    @user-cz8he9uq4w Жыл бұрын

    그사람들과 공감하는것을 기본으로하세요 그럼 사람들이 자신의 의견도 들을거임

  • @user-gt8bk1bz8s
    @user-gt8bk1bz8s2 жыл бұрын

    상대방과 접점이 되는 대화 공통점 상대방의 관심사 놀랄만한 이야기 그것을 통한 나의 스토리를 풀어 상대방에 마음속이야기를 꺼낼 수 있는 대화 말은 잘하는것이 아니라 상대방이 생각과 나의 생각을 대화하며 경청하므로 개인적인 일까지 꺼내어 상대방이 너무 잘 통한다는 후련함을 느낄 때 그 느낌에 가치를 느낌을 요즘 조금이나마 느끼는것같아 대화의 중요성을 느낍니다

  • @daywalker103
    @daywalker1032 жыл бұрын

    봐야지

  • @user-pm9hd7sd4s
    @user-pm9hd7sd4s2 жыл бұрын

    다들 상대방과 좋은 얘기를 하고싶은가요? 댓글들과 달리 경험이 풍부하지 않아도 충분히 가능한 방법입니다. 실제로 해봤는데.. 관심있는 상대와 관련된 질문을 하고, 신선한 말을 하려고 노력하고, 자신의 이야기를 하면 됩니다. 자신의 이야기가 없는 사람은 없으니까요.

  • @user-cx4eu3wx2r
    @user-cx4eu3wx2r2 жыл бұрын

    항상 사람이 있었다

  • @naldoko461
    @naldoko4612 жыл бұрын

    우린 그것을 어그로 라고 부르기로 했어요(?)ㅋㅋ

  • @npmylife7834
    @npmylife78346 ай бұрын

    예전에도 같은 강연의 소개를 봤던 것 같은데 이 채널은 성공팔이 느낌이 아니고 다 같이 으쌰으쌰 느낌이어서 좋네

  • @keepmanydays

    @keepmanydays

    6 ай бұрын

    성공은 오직 매일 같은 성장이 차곡차곡 쌓인 결과물입니다. 이 채널은 성공보다 성장을 강조합니다. 반갑습니다🔥

  • @LeoNizO-O
    @LeoNizO-O2 жыл бұрын

    낯선사람에게 꼭 말을 잘 해야할 이유는 없지만... 잘 보고 갑니다.

  • @yadaman7
    @yadaman72 жыл бұрын

    결국 감동있는 강연은 아무나 할 수 있는게 아니다 이거네요 3가지 원칙을 지키면 되는데 문제는 그 원칙을 지키는게 쉬운일은 아니라는 거죠 1원칙 2원칙 3원칙을 잘 믹스해서 말의 강약을 주고 제스쳐와 다양한 표정을 사용해야만 청중들은 집중을 할 수 있고 그래야 감동을 전달할 수 있으니까요 이런 스킬을 사용할 수 있는 해박한 지식은 패시브 스킬로 가지고 있어야 하고요

  • @KIMDDUSHI
    @KIMDDUSHI2 жыл бұрын

    일단 현재 살아있는 인구가 여태 까지 죽은 사람보다 많다는 건 ㄹㅇ 충격이긴 하네; 언제 함 써먹어야지

  • @user-dh6jx7vf3u
    @user-dh6jx7vf3u Жыл бұрын

    8:37 어그로끌기

  • @ch-ye7um
    @ch-ye7um2 жыл бұрын

    출퇴근하면서 자유롭게 볼수있게 자막크기를 키워주셧으면 좋겠습니다

  • @szsz4779

    @szsz4779

    2 жыл бұрын

    @@user-tn5fk6lr6i 그니까요

  • @westside87king
    @westside87king2 жыл бұрын

    해외 에서 세일즈만 20년. Sales is all about asking right questions.

  • @user-bi1ko5px1p
    @user-bi1ko5px1p2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인생에는 반드시 무엇이 정답이다 라는 것이 없고 자신만의 길을 가는 대로 현재에 만족하고 미래를 위해 준비하는 삶이 자신만의 정답인 성골의 기준이 될 것 같네요 리스펙 합니다 하나 건의하고 싶은 건 중고딩 때 국어책 읽는 억양만 없애시면 너무 좋을 것 같아요 그럼 20000...

  • @Junghwan80
    @Junghwan802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가장 좋은 방법이 말을 하다말고 끊는거라는 거죠? 저도 저 분이 10월에 그한테 무슨 말을 들었는지 궁금해서 집중했네요

  • @cellics
    @cellics Жыл бұрын

    와 정말유익하네요

  • @wk2778
    @wk27782 жыл бұрын

    결국은 경험치임. 머리로 저거 다 알고있어도 그걸 실전에서 자연스럽게 말하려면 평소 개인대 개인간 대화에서도 저걸 자연스럽게 쓰는 연습을 해야함.

  • @weisscreme
    @weisscreme2 жыл бұрын

    경험을 많이 해야 저런거를 할수가 있을 꺼에요...

  • @user-zb9gr3ev9o
    @user-zb9gr3ev9o2 жыл бұрын

    대화가 아니라 여러 사람에게 스피치 하는거라면 당연한 소리를 하고 있네요.

  • @leemarukr

    @leemarukr

    2 жыл бұрын

    본인은 잘 체화하셨나요?

  • @ipad1652
    @ipad16522 жыл бұрын

    설득은 상대방에 맞추어야 하는 것인데 청중의 수준이 높다면 저런 기법에 속아 넘어가지 않을 것이고 청중의 수준이 낮다면 속아 넘어갈수도 있음

  • @cookiemaniac7552

    @cookiemaniac7552

    2 жыл бұрын

    세계 최고의 석학이 길가다 담벼락 낙서를 봐도 글씨가 예쁘면 한번 더 보게 됩니다. 수준이 높다면 속임수가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본질에 대해 생각하죠 수준이 낮다면 흥칫뿡 그래봤자 말재간이야 생각할 수 있음

  • @MS-qw9bo
    @MS-qw9bo2 жыл бұрын

    👍👍👍

  • @user-cj9oc8fb6q
    @user-cj9oc8fb6q2 жыл бұрын

    참 웃긴건 미국 영화에서 흔히 나오는 작업거는 방식이 강의하는 법과 크게 다르지 않음. 바에 들어간 남자가 마음에 드는 여자한테 인사하고 자신은 큰 문제를 직면한다는 식으로 어그로 끌고 당신에게 관심있다는 식으로 어필하는데 단순한 어필이 아닌 놀랄만한 이야기를 자신의 스토리로 엮어서 당신을 좋아하는 이야길 돌려서 말한달까. 좀 고리타분한 작업맨트로 저는 최근에 눈이 멀어 버렸어요. 주변이 잘 보이지 않고 계속 하얀 빛만 바라보거든요. 하늘을 쳐다보지 말라고요? 아뇨 그게 아니에요 지금도 쳐다보는 걸요 -당신을요- ... 라는 식의 직면한 문제에 궁금증을 유발하고 짧은 스토리로 풀어서 전달하는 방식인데 흔하다면 흔하지만 참 기본적이어서 까먹는 처세술이 아닐까 생각함.

  • @goldensnitch1614
    @goldensnitch16142 жыл бұрын

    3:12

  • @GuomiDKing
    @GuomiDKing2 жыл бұрын

    자 이제 말 잘하는 법을 알려주세요

  • @suwonlee5175
    @suwonlee51752 жыл бұрын

    말 잘하는 것보다 머리숫 많은 나로 만족하면서 살아야겠다 ㅎ

  • @christophermun7629

    @christophermun7629

    2 жыл бұрын

    나빳어ㅠ

  • @LOCALDIDE
    @LOCALDIDE2 жыл бұрын

    라떼는 말이야~(옛날 옛적에…) …. 그리고 다들 싫어했다 ㅋㅋㅋㅋ

  • @jh7254
    @jh72542 жыл бұрын

    1, 결핍 자극 - 너 공부 못하지? 2, 어그로 - 유튜브 볼 시간에.. 3, 감성팔이 - 라떼는 말이야..

  • @saintcho7425

    @saintcho7425

    2 жыл бұрын

    1.결핍자극ㅡ 그런 친구들이 있어요. 뭔가 열심히 하는 것 같은 데 결과가 안 나오는 친구들 2.어그로ㅡ이런친구들에게는 입버릇이 있어요. 나 지금부터 뭐한다. 공부한다. 다이어트한다. 그리고 후에는 폰을 꺼내서, 배민으로 음식 주문한 후, 유튜브를 켜죠. 3.감성팔이ㅡ정확히 1년전의 제 모습이에요.(대화 시작) 오 님이 해준 정리 깔끔한듯

  • @frombottom9038

    @frombottom9038

    2 жыл бұрын

    완벽해 A+

  • @user-hl1ji3kt8q
    @user-hl1ji3kt8q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원빈입니다.

  • @user-ul3dr7dh4z
    @user-ul3dr7dh4z2 жыл бұрын

    아일랜드에 코너라니 맥그리건줄 알았노 ~ ㅋㅋ

  • @theronic6135
    @theronic61352 жыл бұрын

    1. 일단 빡빡이가 아니여야 합니다.

  • @sunkim4964
    @sunkim49642 жыл бұрын

    서양인들의 강의를 듣다보면 사족이 너무 많다는 느낌 그게 이들의 문화라고 생각, 한국인은 대체로 본론에 바로 들어간다. 빨리빨리 문화...그들에게서는 여유 우리에게서는 진지함이...무엇보다 그들이 궁금해하게끔 하는 것이 요점인 것 같다

  • @user-pk3hz8fb8y

    @user-pk3hz8fb8y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보면서 하고싶은 이야기가 뭐야 내가 이해를 잘못하나 생각하게 되네요강의가..

  • @user-ek5qm9wp1i

    @user-ek5qm9wp1i

    2 жыл бұрын

    한국도 강연은 저렇게 하는데요

  • @user-th6jc4lf4s

    @user-th6jc4lf4s

    2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의 문화보다 요약된 내용을 접하고 아무런 생각도 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무뇌아가 많은 건 아닐까요? 한국이 어디에 어떤 모양으로 왜 존재하고 있는지 아시나요? 간단하게 말해서 한국의 지도를 그릴 수 있나요? 애매하고 단순하게 알고, 말하고 그리겠죠. 님에게 관심없고 들을 필요도 없는 내용이라면 요약? 좋죠. 타인과의 대화를 하는 법에서 무언가를 얻고자 한다면 이해를 하셔야죠. 어떻게 생겼고 어떤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행동으로 이끈 사례가 무엇인지 말이에요. 태어났을 때부터 앞이 보이지 않는 사람에게 색의 사전적 정의를 설명해줘도 아는거라고 할 수 있나요? 당신은 맹인과도 같네요

  • @user-bu7ow5dq8e

    @user-bu7ow5dq8e

    2 жыл бұрын

    ​@@user-pk3hz8fb8y 삶에 대해 먼저 이야기 하라는 말입니다. 회사가 어떻게 물건이 어떻고가 아니라, 내가 이 상품을 만들게 된 스토리를 들려주고 그 스토리에서 그런 상품을 만들어야만 했던 경험을 공유하면서 이런 상품이 필요하다고 생각을 전달하는게 아니라 소비자 스스로 상품이 필요하다고 느끼게끔 하라는 말입니다. 그리고 거기서 부터 이 상품이 소비자의 삶에 어떻게 연결이 되고 도움이 되는지 상상하게끔 말하라고 화자는 이야기 하는 겁니다

  • @blueblue4401

    @blueblue4401

    2 жыл бұрын

    @@user-bu7ow5dq8e wow~!

  • @vanjiny
    @vanjiny2 жыл бұрын

    보다 말았다.

  • @Alex.NT-1
    @Alex.NT-12 жыл бұрын

    이분. 이야기 시작하고 3분쯤 지나자 난 다른 채널을 뒤적거리고 있었다.

  • @user-gk3gn4ic9z
    @user-gk3gn4ic9z2 жыл бұрын

    ???:라떼는 말이야.....

  • @kinggeunlee822
    @kinggeunlee8222 жыл бұрын

    세일즈맨이 바이어를 상대하는 화술로는 적절하다고 생각됩니다만 친구나 연인 또는 나의 가족에게 적용할만한 내용은 아니라고 생각되네요

  • @masteroffantasy
    @masteroffantasy2 жыл бұрын

    발표는 청중앞에서 노래를 부르는것과 같다. 대부분의 발표 노하우는 내용중심으로 이야기하지만 나는 말하는 태도와 말소리도 상당히 중요하다고 생각함. 발표내용은 미리준비하기 때문에 발표 상황에서는 사실 중요하지 않다. 청중은 그들의 눈과 귀가 즐거워야 한다. 발표가 어렵게 느껴진다면 사람들 앞에서 노래를 부르는것과 같다고 생각하면 될것이다. 연설을 잘하는 사람들을 노래를 부르는 상황과 비교해서 바라보면 비로서 차이가 보인다. 그들의 행동은 연기자처럼 자연스럽고 꾾김이 없으며 목소리는 듣기좋고 부드럽다. 아무리 내용이 좋아도 듣기거북한 목소리 부자유스러운 행동은 청중을 만족시키기 어렵지.

  • @Leenuuuu

    @Leenuuuu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스피치 전문 학원도 많이 생겨났죠 확실히 발표를 비롯한 ‘대화’는 라이브이기 때문에 비언어적 표현으로 감정을 전달하는 것이 무척 중요한 것 같습니다

  • @Connie90
    @Connie902 жыл бұрын

    다른나라 처세는 정답이 될 수 없음 문화차이를 계산할 수 없기 때문에

  • @user-jn2rs3yn4l
    @user-jn2rs3yn4l2 жыл бұрын

    ㅇㄷ

  • @user-dp1qi2qp5t
    @user-dp1qi2qp5t2 жыл бұрын

    라떼로 시작하라고? ㅎㅎㅎㅎ

  • @user-pi2ym3tf5k
    @user-pi2ym3tf5k2 жыл бұрын

    한가지 추가 말하면서 너무 왔다갔다 하지 말기 정신 사나워서 혼났음

  • @id-mi7nv
    @id-mi7nv2 жыл бұрын

    이런 말 잘하는법 같은 영상은 때묻지 않은 어린애들 한테 강의가 되어야하는데 어른들이 찾아 본다는게 안타까움; 어느정도 사회생활 해본 사람이고 자아 성찰과 자기 객관화 까지 잘된 사람이면 아는데 인간의 의식의 흐름 구조는 그렇게 단순 하지가 않음 더구나 몇년 몇십년 그렇게 반복하던 사람들은 자신만의 의식의 흐름 구조에 맞게 개인이 기준을 잡고 체력 안배를 해온 결과가 지금 이러한 생활을 하고 있는거고 어떠한 환경에 직면해 있는건데 항상 얘기 꺼내면 갑분싸 되고 소외되던 아웃사이더 들이 인터넷에서 말 잘하는법 치고와서 단순히 이 강사의 강의 영상만 보고 공감대 얘기, 생활에 접해있지만 미쳐 몰랐던 놀랄만한 얘기, 자신만의 스토리를 미리 생각 해놨다가 청산유수하게 이어서 뇌정지 안오고 잘도 말하겠다 싶은게 말이안됌; 아무나 할수 없는 행동을 공신력 있고 그렇게 해온 능력 있는 사람이 너도 할수 있다면서 논리적으로 그럴싸하게 포장해선 긍정으로 희망을 주는게 개인적으로 어떻게 보면 긍정으로 가스라이팅을 하는 종교랑 별반 다를게 없어보임 그 루트를 논리적으로 다 알고 실행했다가 안되었을때. 희망이 깨졌을때의 절망감과 고독함이 어떻게 보면 정신병을 유발하는거고 실제로도 내가 요양원 같은데 봉사도 가보고 정신병 환자들은 어쩌다 이렇게 될수 밖에 없었을까 고민해보고 대화해보고 염두해보고 고뇌해보고 다 해봤고 사례도 직접 듣고 했는데 파헤치면 파헤칠수록 이러한 비슷한 맥락이더라 결론 이런 말 잘하는법 영상은 수요가 그렇지 못한 사람에서 발생 하는데 그 사람들은 해봤자 효과도 없고 자신만 더 힘들고 괴로워질 뿐이고 원래 말을 잘하던 사람이 자신의 문제점을 짚고 더 보완하는 목적에서 영상을 진지하게 시청한게 아니라면 장난식으로 그런갑다 하고 영상이 왜캐 길어 ㅋㅋ 하고나가는게 어떻게 보면 행복한 삶을 살고 싶어서 이 영상을 시청한거 일텐데 그게 훨씬 더 행복한 측면에선 도움이 될듯

  • @SuspiciousRacoon
    @SuspiciousRacoon2 жыл бұрын

    내용은 참 좋네요. 근데 이분 스피치를 다시 들으라 하면 못들을듯. 요점을 빙빙 둘러서 말하셔서 숨막히네요.

  • @the.sameshape

    @the.sameshape

    2 жыл бұрын

    제가 느낀게 뭔가했더니 이거네요

  • @adrianjohn5028

    @adrianjohn5028

    2 жыл бұрын

    이분이 돌려서 말하는건 배우는데 초점을 두기보단 자기말을 듣고 공감을 하고 자연스레 관심을 집중시키기 위함이지 않을까요?

  • @SuspiciousRacoon

    @SuspiciousRacoon

    2 жыл бұрын

    @@adrianjohn5028 저는 오히려 집중이 힘드네요.

  • @user-gl7bj8vz8j
    @user-gl7bj8vz8j2 жыл бұрын

    강의든 스피치든 용기없는 시작은 없다 대중들 앞에서 말하기가 두렵다면 길 한 가운데서 노래를 불러라 또는 아무 사람에게나 헌팅을 연습하라 그다음 필요한게 지식이며, 말하는 방법이다

  • @user-wh8zk4nd6t
    @user-wh8zk4nd6t2 жыл бұрын

    38세란말만기억이..

  • @user-cs9co4sd7s
    @user-cs9co4sd7s2 жыл бұрын

    그렇지만 월급 루팡을 하는 것도 인간이 누릴 수 있는 행복중에 하나인걸ㅠㅠ

  • @perero
    @perero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이지만 아직까지 좀 추상적이어서 흡수가 다 안됐음..

  • @user-gv5ic8hr9q
    @user-gv5ic8hr9q2 жыл бұрын

    저기 배경음악몬가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