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층 상가 35곳 중 25곳이 텅텅…7년째 공실 폭탄에 울부짖는 이대상권

국내 대표적인 대학가 상권 중 하나인 이화여대 상권이 최악의 위기 상황을 맞고 있다.
7년 전 사드 사태에 이어서 코로나19까지 덮치면서 이대 상권을 지켜온 자영업자들의 인내심도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작년 4분기 기준 신촌·이대 소규모 상가의 공실률은 9.0%로 서울 평균(6.2%)보다 높았다.
이대 상권 침체 원인을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다만 상인들은 단순히 중국인 관광객 감소, 코로나 확산으로 이대 상권이 무너진 것이 아니라 서울시 규제가 이대 상권의 성장에 발목을 잡고 있다는 주장을 편다. 서울시는 2013년 이대 상권 일대를 ‘쇼핑·관광권역’으로 지정했다. 당시 옷가게와 미용실 등의 업종이 성행했던 분위기를 반영해 이를 특화해 지역 상권을 발전시키겠다는 취지였다. 해당 구역의 권장 업종은 의류 및 잡화 그리고 이·미용원으로 제한됐다. 다른 업종이 들어서려면 주차장을 필수로 설치해야 했다.
당시 보행 상권의 대표 주자격이었던 이대 앞 상인들은 ‘주차장 필수’ 조치가 어떤 결과를 나을지 예측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이대 상권은 의류 및 잡화 등의 업종으로 집중됐고, 상권의 다양성을 확보하는데 실기하고 말았다. 서울시의 상권 활성화 정책이 되려 수요자들에게 외면을 받는 결과를 낳게 됐다는 주장이다.
현재 1층 소규모 상가 임대료는 전용 16㎡(5평) 기준 200만~250만원이다. 코로나19 이전만 해도 350만원까지 육박했으나 공실이 늘면서 임대료가 낮아지기는 했다. 그럼에도 인건비와 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임대료도 감당하지 못하는 임차인들이 속출하고 있다. 땅집고가 이화여대 상권을 직접 찾아 상인들의 이야기를 들어 봤다. / 김혜주 땅집고 기자 0629aa@chosun.com
▶타임라인
00:00 하이라이트
00:15 이대 상권이 '공실 폭탄' 맞았던 진짜 이유
01:45 목 좋은 상가도 텅텅, 지속 중인 공실 악몽
03:57 상인들 숨통 조인 '상권 활성화' 정책
06:13 권강수 상가의신 대표 "코로나가 끝나면 상권의 성격도 바뀔 수 있을 것"
06:51 결론
공부 엄청나게 한 고소득자가 상가 투자 폭망한 안타까운 이유
• 공부 엄청나게 한 고소득자가 상가 투자 ...
인기지역이니 월세 350 쉬울 것 같죠? 빼도 박도 못하고 폭망합니다
• 인기지역이니 월세 350 쉬울 것 같죠?...
4년 새 임대료 2배 폭등…'핫플' 성수동의 남모를 절규
• 4년 새 임대료 2배 폭등…'핫플' 성수...
미친 임대료에 이면도로는 50% 텅텅…홍대의 절규
• 미친 임대료에 이면도로는 50% 텅텅…홍...
시청 코앞 상가도 5년째 텅텅…유령도 안 다닐 법한 세종 상권
• 시청 코앞 상가도 5년째 텅텅…유령도 안...
1시간 동안 오가는 사람 30명…청라 커넬웨이가 폭망할 수밖에 없던 이유
• 1시간 동안 오가는 사람 30명…청라 커...
14평 상가 분양가 13억?…무너질 수밖에 없는 '광교역세권 상권'
• 14평 상가 분양가 13억?…무너질 수밖...
"전철 옵니다" 평당 1억 분양했는데...10년째 텅텅 빈 위례 상가
• "전철 옵니다" 평당 1억 분양했는데.....
공실률 무려 50%…'평당 6500만원' 기세등등 분양하다 폭망한 미사역 상권
• 공실률 무려 50%…'평당 6500만원'...
가로수길 점포 80곳 중 30곳 공실...임대료 4배 뛴 세로수길도 위험
• 가로수길 점포 80곳 중 30곳 공실.....
1층 상가 56곳 중 48곳이 공실…그 흔한 고깃집 하나 없는 '최악의 베드타운' 대장동
• 1층 상가 56곳 중 48곳이 공실…그 ...
1.5억짜리 매장이 302만원에…상상초월 공실 폭탄, 최악의 동대문 상황
• "장사 안돼 투잡, 쓰리잡 뛰어요"…상상...
빨대효과에 공실만 90%…'백화점 블랙홀'에 허우적대는 판교 상권
• 빨대효과에 공실만 90%…'백화점 블랙홀...
●'돈 버는 실전 강의 플랫폼 땅집고M' 온라인 강의 30% OFF
☞증여는 생존전략! 세금 폭탄에서 살아남을 특급 비법
자세히 보기 : bit.ly/3vStCEO
☞성공적인 재개발 투자 전략, 알아야 돈 번다!
자세히 보기 : bit.ly/3GRQJFL

Пікірлер: 3 700

  • @johanneslee7009
    @johanneslee7009 Жыл бұрын

    상권은 완전히 망했는데 임대료는 아직도 250만원이라고 ?? 미쳤다 미쳤어

  • @user-su6pz1jc3o

    @user-su6pz1jc3o

    Жыл бұрын

    임대료가 높아야 상가 가격이 올라서 안내림

  • @user-ky6tv2ei6f

    @user-ky6tv2ei6f

    Жыл бұрын

    @@user-su6pz1jc3o 공실률이 높은데 상가 가격이 어떻게 올라갑니까 ;; 건물사는 사람이 왕년의 임대료 보고 삽답니까?

  • @user-kr7iq7be6o

    @user-kr7iq7be6o

    Жыл бұрын

    @@user-ky6tv2ei6f 그래서 부동산은 알 수가 없어요. 논리가 잘 안 통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 @user-yf9ut8xp9g

    @user-yf9ut8xp9g

    Жыл бұрын

    제가 이대상권 건물주인데요 임대료를 낮추고싶어도 못낮추는 이유가 받는임대료에따라 건물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 그래서 차라리 공실이더라도 임대료는 절대 못낮춥니다 뭘 알고나 떠드세요 좀~~

  • @user-kr7iq7be6o

    @user-kr7iq7be6o

    Жыл бұрын

    @@user-yf9ut8xp9g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공실인 상태와 입점이 되어 있는 상태는 건물 시세에 영향을 미치지 않나요? 예전부터 궁금했습니다.

  • @cedrat9931
    @cedrat9931 Жыл бұрын

    옛날엔 이대 앞에 유니크한 옷가게, 악세서리 가게, 수입문구잡화점들이 많았는데, 온라인 쇼핑몰이 성행하게 된 것도 상권 몰락에 영향을 끼쳤을거 같아요. 이대 앞으로 쇼핑갈 이유가 없어졌죠

  • @kangbitcoin

    @kangbitcoin

    Жыл бұрын

    이대 앞 상권이 망하는 가장 첫번째 이유는 이대생이 이용을 안하기 때문임. 당장 이대생들도 신촌가서 연대생 꼬실라고 하지 이대앞에서 안놈 새내기때나 이대앞에서 노는거지 찐따 소리들음

  • @damianlee6418

    @damianlee6418

    Жыл бұрын

    이대 스파이더맨...옷가게 알만한 사람은 알지요 ㅋㅋ 너무 옛날 얘기네여.

  • @LucyCassiopeia

    @LucyCassiopeia

    Жыл бұрын

    ㄹㅇ 20여년전부터 망해가기 시작함

  • @bji1074

    @bji1074

    Жыл бұрын

    페미 대학이라 그래. 꼴페미들 몰리는 곳 치고 제대로 되는 곳이 없다.

  • @user-yz4to8rl7s

    @user-yz4to8rl7s

    Жыл бұрын

    개소리 말고, 그냥 이대입구 가보면 알거임. 페미의 본거지 이화여대앞이라서 돌아다니는 애들 숏컷한 페미들 ㄹㅇ 개많음. 예전엔 사람들 바글바글 했는데 페미들 활개친 이후로 그냥 동네분위기가 ㅈㄴ 기분나쁘게 변해서 재수없어서 연인들이나 일반인들 쇼핑하러 안가게 된거임. 얼굴표정부터 음침한 페미들이 커플들 데이트가면 쨰려보고 지들끼리 비웃고 ㅈㄹ해서 그냥 젊은애들이 안가서 망한거임.

  • @user-nj9mg1pf2f
    @user-nj9mg1pf2f Жыл бұрын

    내가 60가까이 살면서 알게 된 것은 세상 그 어떤 것도 영원한게 없다는 겁니다

  • @003nirvana

    @003nirvana

    Жыл бұрын

    그걸 제행무상이라고 하네요!😊

  • @user-ph4tc9wq9x

    @user-ph4tc9wq9x

    Жыл бұрын

    아주아주아주 정확한 팩트입니다

  • @user-dc8jz8yc7o

    @user-dc8jz8yc7o

    Жыл бұрын

    어떤 것이든 살다보면 반작용을 축적시키게 되고 결국 더는 억누를 수 없게 되면 터지는것 같아요. 그저 기간의 차이뿐

  • @sosnrg7

    @sosnrg7

    Жыл бұрын

    동쪽에서 해가뜨는건 영원하던데요. 뭐 몇십억년후에 해가 안뜬다해도 영원에 가까운 시간인데 이게 영원한거지

  • @water_hama

    @water_hama

    Жыл бұрын

    ​@@sosnrg7 ㅋㅋㅋㅋ맞말

  • @user-bw7qy3ww7p
    @user-bw7qy3ww7p Жыл бұрын

    20년전부터 주차장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는데 구청에서 말을 안듣고 건물주들만 좋게 주차장 없이 증축 하게 해주어서 현대판 산동네 다세대 주택가 만들어짐 건믈에 1층2층은 상가 위에 2층~10층 원룸 방음도 잘안되는 허술한 건물을 짓게 해주고 무분별하게 공사허가 여기저기 내어주어서 골목마다 분진에 소음에 좁은길에 대형 공사트럭이 길막고 통행을 제한하고 하는데 누가 오겠습니까 ? 높은 임대료도 문제지만 상인들의 이의신청에도 토론한번 안하고 구청이나 시청에서 잘못된 행정으로 이지경이 되었습니다 서대문구 연임한 전구청장 문석진 서대문구 국회의원 우상우 도대체 마포구 발전한동안 도대체 뭐한건지 코로나에 신촌기차역앞에 공원 조성은 왜합니까? 이대 상권안에 골목은 불이 다꺼져있어서 음산한데 기차역만 공사해서 전기료도 비싼데 밤새 환하게 불이나 켜고 놀러온친구가 오징어배같답니다 기차역보고 ㅠㅠ주변으누검은데 기차역마당만 환해서 ㅠㅠ 주차장이 없으니 원룸에 이사온 사람들차량들이 골목에 줄서있고 주차민원 신청하면 구청직원나와서ㅠ하는말 여긴 왜이리 신고가 많냐고 ㅋㅋ 말하고 참 어이가 없습니다 마포구는 홍대에 나름 골목에 공영주차장도 만들고 노상주차도 가능하게 헤서 다양한 인원이 오게 하는데 서대문구 완전히 이상함 지금 구청장도 전구청장처럼 뻔합니다 인간들이 어디행사나 갈줄알지 구정엔 관심이 없네요

  • @user-gr4qi4mr7q

    @user-gr4qi4mr7q

    2 ай бұрын

    진짜로 주차장이 있어야 사람들이 모이는건데... 엄청많진 않아도 댈수는 있어야 하는데 이대는 그냥 말그대로 주차 지옥이라

  • @xeooox

    @xeooox

    29 күн бұрын

    오호...

  • @user-zy9bc2wl6m
    @user-zy9bc2wl6m Жыл бұрын

    사실..코로나와 별개로... 신촌과 이대 상권 자체가 이미 죽기 시작한지는 오래됐다. 이 상권이 홍대와 합정쪽으로 이동한지는 오래됐다. 안타깝지만 유행과 트렌드에 맞지않는 상권은 지기 마련이다.

  • @tonsk2k322

    @tonsk2k322

    Жыл бұрын

    젊은이들의 핫플레이스란 홍대처럼 문화로 포장이 되어야 한다. 새로 뜬 마포나 종로 모두 이런 포장에 성공한 케이스. 아니면 하다못해 명품거리라든지 먹자골목이 있든지 . 그러나 이대 앞은 일단 뭔가 유명 여대 앞이라는 의미 외엔 없다. 그래서 한국의 명문여대를 동경하는 중국여자들이나 추억을 찾는 동문 외엔 별 흡인력이 없다. 일반에겐 핫플레이스란 이미지가 건대 앞에도 크게 못 미친다.

  • @user-gv6qj8hd9m

    @user-gv6qj8hd9m

    Жыл бұрын

    이대쪽은 안 가봐서 모르겠는데 신촌은 지금도 사람 많던데??

  • @a-sm

    @a-sm

    Жыл бұрын

    홍대와 합정 상권도 2년안에 죽는다

  • @NukedAbe

    @NukedAbe

    Жыл бұрын

    신촌은 핫한데 뭔소리

  • @user-pv6bi5zs1z

    @user-pv6bi5zs1z

    Жыл бұрын

    저출산으로 20대초반인구 급감으로 번화가 지방 공실률폐업률 올라가는추세고 성비감안하면 젊은여성인구가 더욱없음 대형3사도 아이돌구인난이라 콘텐츠주는 계속 하락 기업들도 소비층감소로 고용투자 더욱안하고 중소중견기업 들도 도산. 20년후면 한국이 동남아한테 GDP 역전당한다고 골드만삭스가 그러던데

  • @bkforest22579
    @bkforest22579 Жыл бұрын

    근처에서 10년 넘게 일했는데, 원래는 고유 맛집도 카페도 옷가게도 많았는데 언젠가부터 중국인상대의 프랜차이즈와 화장품 가게만 많아지고..고유 상점은 다 죽더니 결국 이렇게 됐네요 ㅜㅜ 중국인 관광객덕에 눈만높아진 건물주들이 임대료만 올리고.. 결국 괜찮은 가게들도 금방 나가버렸어요 ㅜㅜ 속상하네요

  • @callbygmailcom

    @callbygmailcom

    Жыл бұрын

    근본적인 원인은 이거 같습니다. 충신을 내치고 간신을 등용한 결과 황금오리를 쫒아내고 오리고기로만 상권을 만든 결과

  • @jabcdjaa5595

    @jabcdjaa5595

    8 ай бұрын

    자 업 자 득

  • @user-ur8jl3lx4p

    @user-ur8jl3lx4p

    6 ай бұрын

    문재인이 중국에 나라를 바쳤죠

  • @user-cj3ok5kb5o

    @user-cj3ok5kb5o

    4 ай бұрын

    건물주들 욕심부리다 멸망

  • @user-ig2zr8xd5b

    @user-ig2zr8xd5b

    4 ай бұрын

    이게 정답 손님많다고 훅돈벌려다 한방에 훅가는 길로 가는 갈수 있음 공유지의 몰락처럼 나만 바뀌는거 괜찮겠지하다 어느새 다 그렇게 장사하면 특색없어 결국 관광객도 끊기고 단골도 끊기고

  • @user-zy1mz6pm2d
    @user-zy1mz6pm2d6 ай бұрын

    코로나여파로 인해 상권이 찾아가야 하는 오프라인에서 집에서 택배로써 편하게 받아볼수있는 온라인으로 전향되었고 그리고 주고객층인 이대학생들도 편리함을 추구하는 MZ세대로써 소비성향이 많이 바뀌었으며 더 중요한건 이렇게까지 상권문화가 변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목이 좋다는 이유로 아직까지도 비싼 임대료를 받는 임대인들이 임차인을 망하게 하는 원인임

  • @TV-pk2xj

    @TV-pk2xj

    3 ай бұрын

    손님이 줄면 임대료가 내려야 정상인데 건물주의 욕심으로 세입자까지 같이 망한거죠.

  • @user-lj1cq8kd2p
    @user-lj1cq8kd2p Жыл бұрын

    저도 신촌 20년 장사하다 손들고 나왔습니다 구청과 임대인들도 시대에 흐름을 알았음 합니다

  • @user-fk9it4hn2e

    @user-fk9it4hn2e

    Жыл бұрын

    무슨 가게 하셨나요?

  • @iraf27

    @iraf27

    4 ай бұрын

    철이네김치찌개, 하루돈까스...

  • @funnygold8569
    @funnygold8569 Жыл бұрын

    젠트리피케이션..상권좀 살아난다 싶으면 득달같이 올려버리는 임대료가 가장 큰 원인이다.아래 어느 건물주님 말씀이 임대료 낮추면 건물가격 떨어져서 차라리 공실로 둔다는데 죽은상권 건물을 누가 삽니까?당장 임대료 절반 이하로 낮추면 상권 다시 살아납니다.그 임대료 최소 5년이상 보장해준다면요..

  • @sportskeep3462

    @sportskeep3462

    Жыл бұрын

    그런일은 절대 존재하지않습니다

  • @user-lp3nr4ix6r

    @user-lp3nr4ix6r

    Жыл бұрын

    그게 아니고 사람이 없는데 뭘

  • @chaostar88

    @chaostar88

    Жыл бұрын

    물가는 미친듯이 오르는데... 사람이 안옴.

  • @user-dn2ck2ud2i

    @user-dn2ck2ud2i

    Жыл бұрын

    욕심이 부른 참극. 답이없네

  • @user-ti3tq3dd3g

    @user-ti3tq3dd3g

    Жыл бұрын

    상권문제가 아님 ㅋㅋ20년전에야 저기가 옷사러가고 이것저것 많았지 이젠 신촌상권도 학교행사때 말고는 외부인이 아예 안오는데 이대쪽도 하락세 덩달아 타는거임

  • @bonlals6823
    @bonlals6823 Жыл бұрын

    원래 이대는 보세옷 + 파스타, 카페 이런 느낌이고, 신촌은 현대백화점 + 술집 느낌이었는데, 보세옷은 인터넷때문에 망하고, 맛집이느 카페는 홍대-합정 라인이 더 많아져서, 사람들이 갈만한 요인이 거의 사라짐. 그걸 중국인이 메꿨었는데, 그들도 코로나로 사라졌으니...

  • @proceed-js

    @proceed-js

    Жыл бұрын

    코로나로 사라진게 아니라 사드로 사라짐

  • @su_a1227

    @su_a1227

    Жыл бұрын

    정답

  • @Vietnam.No1

    @Vietnam.No1

    8 ай бұрын

    ​@@proceed-js관광객은 코로나로 직격탄 맞은게 맞음

  • @user-gv9wh5dt4y
    @user-gv9wh5dt4y Жыл бұрын

    96년이었나 97년 이었나.. 스톰매장에 정장사러 갔을때만해도 우아..소리가 절로나던 뭔가 있어보이는 골목상권 분위기였는데..30년이 다 돼가는 세기말 추억이네.

  • @dmskcdd6956

    @dmskcdd6956

    Жыл бұрын

    저랑 비슷한 나이이신거같네요 . 그때 진짜 재밌었죠

  • @hooloolook

    @hooloolook

    Жыл бұрын

    스톰에 정장이요? 그 당시 정장은 이신우 아닙니까? ㅋㅋ

  • @rhombus3815

    @rhombus3815

    2 ай бұрын

    ​@@hooloolook 이걸 다 알아듣는 내가 싫다 ㅜㅜㅋㅋㅋㅋㅋㅋ

  • @user-kj7jp2mg7y

    @user-kj7jp2mg7y

    18 күн бұрын

    ​@@rhombus3815 저도요.. 윗분들 나보다 더 학번은 높으신데...

  • @user-eh8zi3zc1d

    @user-eh8zi3zc1d

    12 күн бұрын

    292513을 기억해내다

  • @ramen_kasira
    @ramen_kasira Жыл бұрын

    코로나, 임대인, 서울시규제... 이대.. 정말 복합적으로 힘든 상황 입니다.. 조목조목 좋은 분석과 해결책 감사합니다~

  • @missprettie2165

    @missprettie2165

    10 ай бұрын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 @kopaul343
    @kopaul343 Жыл бұрын

    가장 큰 문제는 이대 학생들이 이대앞에서 안노는거죠. 요즘은 아무리 멀어도 sns로 핫한 곳 찾아다니기 바쁘지 특정 상권에만 얽메여 노는건 이제 지났습니다. 이게 단지 이대앞만 문제가 아니라 명동이니 경리단길이니 과거 유명했던 상권들 다 금새금새 트렌드가 바뀌어서 오래 살아남기 힘들어요. 문제와 원인을 단지 젠트리피케이션 에서만 백날 찾아봤자 답 안나옵니다. 그냥 자영업자들도 시대 흐름에 맞춰서 바로바로 트렌드를 읽고 한발 앞서서 변화하는 수 밖에 없어요.

  • @tonsk2k322

    @tonsk2k322

    Жыл бұрын

    전부터 남자들은 놀거리 없는..나이트나 몇 개 있었지.. 이대 앞 안 가고 엎친 데 덮친 격.

  • @user-cb8ks1yk8e

    @user-cb8ks1yk8e

    Жыл бұрын

    ​@CJ택배신중원 남자들이 페미여대 생들과는 연애를 포기함이 맞는 표현입니다.

  • @arminalex7140

    @arminalex7140

    Жыл бұрын

    인사이트가 상당하십니다.

  • @user-dz2jd1qw4m

    @user-dz2jd1qw4m

    Жыл бұрын

    도시락이 최고

  • @kangbitcoin

    @kangbitcoin

    Жыл бұрын

    남자가 연애를 안하고 돈을 안쓰니 이대 상권이 죽는거죠 더 구체적으로 얘기하면 남자들이 여대 출신 여자들은 선호하지않음

  • @joonraekim
    @joonraekim Жыл бұрын

    대학교 앞이면 당연히 음식점과 주점을 중심으로 대학생 위주로 장사를 해야지. ...여자대학교 앞에 무슨 중국인 상대로 장사를 해? reset이 필요함. 임대료부터 망했다 새로 지정되며 조정되야죠.

  • @user-zv3pq8mo5p

    @user-zv3pq8mo5p

    Жыл бұрын

    교화인 꽃과 관련한 풍수인가 이유로 중국 관광객 필수 코스엿음 90년대.

  • @user-up6wp9fb4c

    @user-up6wp9fb4c

    Жыл бұрын

    ​@@user-zv3pq8mo5p 풍수보다 발음이 돈들어온다는발음이랑비슷해서임

  • @user-jx3eu6uo1g
    @user-jx3eu6uo1g Жыл бұрын

    최근에 가봤는데 학기중 평일 낮시간인데도 유동인구가 없고 할렘가 느낌 너무 심하게 나더라,, 살면서 다신 갈 일 없을듯.

  • @jh-yo8bj
    @jh-yo8bj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현실이 자영업자가 너무 많고 점포도 엄청실히 많아서 치열한 경쟁속에 살아남기 어려워요...

  • @user-wh1gt2ei4g

    @user-wh1gt2ei4g

    Жыл бұрын

    자영업으로 먹고사는분들 진짜 존경스러워요 경쟁 너무 치열해요ㅜㅜ

  • @ninewritingjeong3669
    @ninewritingjeong3669 Жыл бұрын

    의식주 모든게 온라인화인데, 시대 흐름도 모르고 오프라인으로 계속해서 뛰어들면 자살행위입니다. 버틴다구요? 독극물 마시는겁니다. 건물 가격도 서서히 떨어질 것이고, 대부분의 상권은 앞으로 더 죽을겁니다.

  • @ninewritingjeong3669

    @ninewritingjeong3669

    Жыл бұрын

    옷가게는 온라인 샵들 매출은 사상최대로 계속 뛰고있고, 음식은 말할것도 없이 배달어플 할인공세에 돌아가면서 매일 먹습니다. 오프라인이 설 자리가 없어요. 그리고 지나치게 자영업자들이 많아서 임대료도 과하게 높고, 오프라인으로 뭘 하려고 생각좀 하지마세요 .

  • @ninewritingjeong3669

    @ninewritingjeong3669

    Жыл бұрын

    @@deandeanh 네, 가끔가곤 가죠. 그 비율이 문제인겁니다. 온라인 70% 오프라인 30%라면 어느쪽이 매출이 더 높을까요? 그리고 온라인이 더 계속 높아지는 추세이고요. 말같지도 않은 질문하시네요.

  • @ninewritingjeong3669

    @ninewritingjeong3669

    Жыл бұрын

    @@deandeanh 커피 배달 시켜먹곤하고(30%), 집에 사놓은 블렌딩 원액 타먹기도하고(40%), 오더로 포장 주문하기도하고(20%), 가끔 지인 만나 커피먹습니다(10%). 매출 뭐가 높나요?

  • @sweetwordone8950

    @sweetwordone8950

    Жыл бұрын

    정답입니다 오프라인상권은 오늘이 최고점입니다 2023년 대한민국 평균연령 47세입니다 매년더 늙어갈겁니다

  • @ssm-lc9un

    @ssm-lc9un

    Жыл бұрын

    @@sweetwordone8950 평균연령 47세... 참 암담하네요... 우리아이들 어깨에 노인들 몆명씩 짊어주게 생겼네요..

  • @remy4807
    @remy4807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정말 심각하지만 업종제한때문에 내가 학교다니던 십년전에도 학교앞에 술집하나 없었고 먹을데가 별로없어서 신촌이나 홍대가서 먹고 놀았다. 중국인들 너무 많고 대학가라기보단 명동같아서 학생들에게 정말 별로인 상권..이제는 대학가다운 대학가였으면 좋겠다. 관광지로서 개발할것이 아니라 학생들을 위한 공간이나 먹을거리가 더 많아야한다.

  • @pinkjuju515

    @pinkjuju515

    Жыл бұрын

    그러기 위해선 임대료가 더 낮아져야하죠

  • @minithings4731
    @minithings4731 Жыл бұрын

    예전에는 좁은 골목골목 돌아다니는 재미가 있었음. 1층에서 나오면 바로 하늘이 보이고 고층건물없는 길거리쇼핑이 매력이었는데 고층쇼핑몰 들어서고나서 골목쇼핑이 없어짐... 지금 그역할이 홍대임 골목쇼핑.

  • @jinhyukyu8386
    @jinhyukyu8386 Жыл бұрын

    이대 상권의 하락은 2천년대초반 높은 임대료를 견디지못한 메이저업자들이 모두 떠나면서 시작되었는데 오랜 부자인 건물주들은 그저 기다리고만있지...임대료 절반인하 하면 다시 살아난다에 한표

  • @scavengers19
    @scavengers19 Жыл бұрын

    쇼핑몰도 없고 갈 곳이 많지 않았던 8,90년대만 하더라도 점포가 늘어선 골목과 거리를 활보하며 여러 가게들을 구경하는 것이 여가를 보내는 한 방식이었지요. 주말만 되면 저곳에 사람들이 바글바글했었어요. 눈에 띄지 않는 구석진 가게들도 장사가 됐고요. 그런데 요즘은 사람들이 저런 거리를 걷는 것을 시간낭비로 생각할 뿐 아무런 의미, 낭만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춥고 쌀쌀한 겨울에는 아예 가지도 않습니다. 내 가게가 자리잡은 곳이 역세권이고 대학가이고 유동인구가 많더라도 어느날 갑자기 소규모 점포 중심의 영업방식이 통하지 않는 구역으로 바뀔 수 있다는 생각은 누구라도 예상하기 쉽지 않지요. 그런데 어떤 작은 변수라도 생기면 판도가 뒤집어지는 게 자영업의 특성입니다.

  • @user-iy5tq3nr6e

    @user-iy5tq3nr6e

    Жыл бұрын

    시간낭비 맞습니다

  • @MrLee208

    @MrLee208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문장 정말 공감가요 정말 별일 아닐 것 같은 작은 변수가 막대한 영향을 끼치다라구요

  • @user-jl2bh1lw6r

    @user-jl2bh1lw6r

    Жыл бұрын

    쿠팡만해도 문 앞에 바로 갗다주는 시대.. 그나마 먹으러라도 갈텐데 맛집이 없으니...

  • @feriya9

    @feriya9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안되면 장사접고 다른 일 해야

  • @Nomal_Man_

    @Nomal_Man_

    Жыл бұрын

    걷는걸 왜안좋아해요,,, 문래동 가로수길 이태원 다 걸어다니는거로 좋은곳인디

  • @user-rx2qb7xr9w
    @user-rx2qb7xr9w Жыл бұрын

    가면 갈수록 대학 상권은 죽음 예전을 생각하면 안됩니다 건물주도 마찬가지 예전처럼 월세 받다간 서로 답없습니다

  • @song-mail4633

    @song-mail4633

    Жыл бұрын

    월세 내리면 세금을 못내지...보유세, 종합부동산세부터 내려야지..세금 때문이라도 월세 올려야 사는 집주인들도 많은데...세금 먼저 없애고 월세 내리라고 여론만들어야지..근데 그게 될랑가 모르겠네..없는 사람들은 집주인들이 많이 내는게 정의라고 굳게 믿고 있을테니까.

  • @vbhgf-vl7rq

    @vbhgf-vl7rq

    Жыл бұрын

    월세 하나도 못받고 임대 안되도 상가 재산세를 내야합니다. ㅎㅎ 소득이 없는데 세금은 내야하는 상가. 누가투자할까요? 임대료 0인채 20년동안 세금 내는게 한국 현실.

  • @ninguno3035

    @ninguno3035

    Жыл бұрын

    1:53 이것도 1찍 나팔수네. 사드를 왜 끌여들여? 그리고 사드가 사태야? 나레이션 련아 니는 군대도 안가고 공짜자유누리면서 국방세 한푼냈냐?

  • @ninguno3035

    @ninguno3035

    Жыл бұрын

    내용은 쥐뿔도 없고 사드를 사태라고 쳐쓰브리고 취업도 안하고 애도 안낳고 사드로 방구석에서 유트브찍어 돈벌이하는주제에, 상가의 신이라는 놈이 중립적 관점이야?

  • @gondor1018

    @gondor1018

    Жыл бұрын

    좌파들이 도입한 종부세가 오히려 서민들 목을 조르는 상황

  • @user-ei5xk5lj2b
    @user-ei5xk5lj2b4 ай бұрын

    저 스무살 때까지만해도 저기가 진짜 바글바글하고 미용실가고 공연보고 밤새 놀다가 근처 카페가고 디저트 먹고 밥먹고 그랬는데 어쩌다 저렇게 됐을까요? 근처에 대학교 학원가 고시원도 많았었는데..

  • @holmsglan
    @holmsglan Жыл бұрын

    임대료가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따라 자연스럽게 현실에 맞게 조정되어야 하는데 예전 높은 임대료에서 변화없이 버티니 수요가 떨어지고 외면 받은 케이스

  • @holmsglan

    @holmsglan

    Жыл бұрын

    @@minayou4518 아 들여다 보면 그런 면이 있네요 설명 감사합니다 ㅎ

  • @holmsglan

    @holmsglan

    Жыл бұрын

    @@minayou4518 그래서 전정권 극혐하는 사람들이 많은거군요

  • @water_hama

    @water_hama

    Жыл бұрын

    수요와 공급의 논리를 문재인이 못 지키게 만들었잖아요. 수요 줄어서 임대료 내리는건 맘대로 해도 수요 늘었을 때 올리지는 못하게 만들어놔서 그렇잖아요. 한 번 내리면 10년동안 발목 잡혀서 바로 옆 상가가 임대료 10배 받아도 절대 임대료 못 올리게끔 상가임대차보호법 처 만들어놨잖아요!!!!

  • @Sevnail345
    @Sevnail345 Жыл бұрын

    이대에 이쁜옷들 구경하러 많이 갔었는데 지금은 어플로 훨씬 좋은 품질 옷을 편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이 되어버렸으니. 예전처럼 종이가방에 잔뜩 들고다니면서 발아프게 돌아다니는 시대는 지났다.

  • @user-gh7qw1qp3h
    @user-gh7qw1qp3h Жыл бұрын

    저렇게 수요 많은 좋은 자리를 저정도로 망가지게 놔두는것도 대단하다 패션뷰티만 업종제한한거 도랏ㅋㅋㅋㅋㅋㅋ 지자체 대단하다

  • @scolpion1

    @scolpion1

    Жыл бұрын

    공무원들이 큰문제

  • @user-fd5yc6gx4x

    @user-fd5yc6gx4x

    Жыл бұрын

    어차피 건물주만 좋은일.시키는거라 망할것은 망해야함

  • @kangbitcoin

    @kangbitcoin

    Жыл бұрын

    ㄴㄴ 이대생들도 이대앞에서 안놀고 연대생들도 여대출신 여자들을 기피해서 이대앞에서 안놉니다 페미 -> 여대생이 선호되지않음 -> 연대생 홍대로 감 -> 이대생도 홍대로 감

  • @NukedAbe

    @NukedAbe

    Жыл бұрын

    @@user-fd5yc6gx4x 그러면 신촌 홍대 건물주만 좋은일인데?

  • @user-pv6bi5zs1z

    @user-pv6bi5zs1z

    Жыл бұрын

    저출산으로 20대초반인구 급감으로 번화가 지방 공실률폐업률 올라가는추세고 성비감안하면 젊은여성인구가 더욱없음 대형3사도 아이돌구인난이라 콘텐츠주는 계속 하락 기업들도 소비층감소로 고용투자 더욱안하고 중소중견기업 들도 도산. 20년후면 한국이 동남아한테 GDP 역전당한다고 골드만삭스가 그러던데

  • @user-mg4cp4pr8v
    @user-mg4cp4pr8v Жыл бұрын

    이대 ecc 생기면서 망하기 시작 졸업할때쯤 되니까 이대 앞 상권은 내가 봐도 망해 가는게 보였음 그때도 공실 쩔었는데 뭐 상권 망한지 10년 넘었습니다. 학교안에 편의시설 생긴뒤로 학생들은 학교 앞으로 잘 안나감 온라인 쇼핑몰 활성화 지방에서 올라오는 학생들 학번 내려갈때마다 줄어있음 사실 지방에서 올라오는 애들이 상권 먹여 살렸는데 죄다 집이 수도권이다 보니 걍 강의 끝나면 집으로 가버림 복합적인 이유로 망한거죠 그나마 중국인 관광객 개네땜에 숨 붙이고 살았지만 막상 개네땜에 이대 학생들은 더 학교 밖으로 안나감

  • @user-cj4ig2yy6d
    @user-cj4ig2yy6d4 ай бұрын

    2017년에 이대앞에서 살았는데..시대를 거스른 정책도 탓하려면 탓할수있겠지만 그냥 이대앞엔 괜찮은 식당도 거의 없고 의류상권 화장품가게 이런거 다 오래된가게가 많았어요. 화장품은 올리브영같은 유통사 매장 아닌 개별 브랜드매장자체가 잘 안되는 트렌드라 없어진거고, 보세의류집들도 보면 살만한 옷 파는곳 한군데도 없어요. 아니뭐 온라인보다 예쁜옷이나 특이한옷이 있어야 사지..오히려 디자인이나 퀄리티는 더 떨어지는 옛날옷,재고 많은데 가격은 세배씩 하니까 누가 사나요.. 옷보다가 재채기만 신명나게 하는데... 누구 탓할 게 아니라 보세옷가게 신발가게들은 걍 시대에 뒤쳐져서 망하는거에요 옛날에는 장사가 되었을지몰라도 한8년전 정도 하더라도 이미 온라인이 많이 활성화되었을땐데..

  • @user-zd3nx6ik5m
    @user-zd3nx6ik5m Жыл бұрын

    5평에 250~300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sweetwordone8950

    @sweetwordone8950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 @user-js5kx7ep8t

    @user-js5kx7ep8t

    Жыл бұрын

    ㅎㄷㄷ

  • @e.fooyoung7451

    @e.fooyoung7451

    Жыл бұрын

    *뙇* *God damn~*

  • @joyeetasanyal751

    @joyeetasanyal751

    Жыл бұрын

    정신 못차린 건물주들

  • @kky8168

    @kky8168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등신들 그돈내고 누가 츠 드러오노

  • @Mapo_Park
    @Mapo_Park Жыл бұрын

    지금, 이대 거리를 걸어보면 90년대 이대 상권을 상상할 수 있겠나? 지방에서 옷사러 원정다니는 곳이었는데.. 상권은 영원할 수는 없구나.

  • @user-qw7gc2rf6f

    @user-qw7gc2rf6f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나도 40년전 대학친구 만나러 서울오면 꼭 들렸다. 쇼핑하고 내려감

  • @user-vu7cf6er5u

    @user-vu7cf6er5u

    Жыл бұрын

    중학생 때 명동의류에 사람 바글바글 했었는데ㅋ

  • @user-vm4kr6zq2x

    @user-vm4kr6zq2x

    Жыл бұрын

    @@user-vu7cf6er5u ㅋㅋㅋ꺄 명동의류 추억돋네요

  • @user-qx4ey8fc5x

    @user-qx4ey8fc5x

    Жыл бұрын

    이대85학번 입니다. 학교앞에서 2평짜리 옷가게 ㅡ잉글랜드ㅡ 그 가게가 지금의 이랜드그룹입니다.

  • @user-dk2t1eo8typ9x

    @user-dk2t1eo8typ9x

    Жыл бұрын

    틀딱들 신났노 ㅋ

  • @user-vc5nd9rx4z
    @user-vc5nd9rx4z5 ай бұрын

    30년전 그곳은 젊은이들의 만남의 장소 였는데ᆢ 세월이 이렇게 모든걸 변화 시키네요 ㅠ

  • @W_HAT_THE_HELL

    @W_HAT_THE_HELL

    9 сағат бұрын

    세월이 아니라 돈에 눈 먼 건물주들의 욕심이

  • @ssamw1603
    @ssamw1603 Жыл бұрын

    진짜 ㅜㅜㅜ 넘 심하다 ㅜㅜ

  • @hellen2921
    @hellen2921 Жыл бұрын

    중국인 관광객 넘쳐나서 매장 물건 싹쓸이 하듯 사간다고 한국인 손님들 뒤로 물릴때 ., 이대 교문에서 돈들어온다고 사진찍고 그러던 그 즈음부터 사람들은 홍대나 합정 이런대로 다 옮기기 시작했어요. 중국인 매출에 상인분들은 체감을 못하셨겠지만..

  • @Lyagu

    @Lyagu

    Жыл бұрын

    일리있는 관점인게 약속 장소도 그 쯤부터 그 부근에서 본다면 이대~홍대 에서 슬슬 남쪽, 합정으로 다 옮겨지기 시작한 거 같아요

  • @music-ist
    @music-ist Жыл бұрын

    문화가 많이 달라지기도 했어요. 예전엔 신발 옷 사러도 이대 자주 갔는데 이젠 굳이 이대 갈 필요가 없어졌고 그렇다고 이대앞에서만 누릴 수 있는 맛집이나 문화가 있는 것도 아니고. 코로나 전에 아주 오랜만에 이대 앞을 지나가는데 보니 중국 간판이나 중국어로 된 메뉴입간판이 눈에 꽤 보이더군요. 여기도 이제 망했구나 했어요. 이제는 홍대-연남동이니 몇 정거장 더 가 놀기도 하고요

  • @bcyi3123
    @bcyi31235 ай бұрын

    이대상권몰락은 젠트리피케이션은 가장 약한 이유임. 1.이대앞은 고가격편집샾으로 갔어야 했으나 때늦은 apm이 들어옴 신촌기차역 쇼핑몰도 입점활성화 실패, 한편 신촌은 백화점 중심으로 버티기. 2. 비탈이 심하고 확장성 없는 좁은 범위에 웨딩거리 몰락으로 상권고립, 반면 신촌은 홍대와 유연한 대처가능. 홍대는 연남동, 합정 동서남북 무한확장으로 일대 수요흡수. 3. 중국객들로 좋을때는 이대가 이름때문에 특별히 중국인의 인기를 받았고 이를 적극 활용. 신촌기차역주변 대형버스주차로 대규모 단체 중국인들 유입, 국내객을 밀어내버림 그리고 한한령 직격타. 4. 가장 큰 문제는 이대생 자체가 이용않는 상권인데다 여러사건과 사회문제가 대두되면서 이화여대의 매력과 위상 급락. 결론. 명동, 신촌, 홍대가 근거리이고 좀더가면 동대문, 이태원인데 이대를 왜가?

  • @W_HAT_THE_HELL

    @W_HAT_THE_HELL

    9 сағат бұрын

    이 사람아 이대상권이 신촌이야 지금 신촌이 죽었다는 뉴스를 보고 신촌이 근거리라서 망했다니 뭔소리야

  • @user-vt8lb9sv9n
    @user-vt8lb9sv9n Жыл бұрын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상권들이 바뀌는거죠.과거에도 핫플레이스였다가 지금은 폭망한 상권들이 꽤 있거든요.

  • @blackhati
    @blackhati Жыл бұрын

    2000년대 초반... 갓 20대가 되고 찾아가본 이대는 너무 활력이 넘치고 번화하고 볼거리도 무수히 많았고 특히 온 세상 옷은 거기 다 있었죠...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고 볼거 많고 살게 많던 번화가였는데...

  • @user-ed4es5oy5e

    @user-ed4es5oy5e

    Жыл бұрын

    좋겠다 20대 초반을 재밌게 보내서 살면서 재밌어본 적이 없네요 30대인데

  • @huskyJang

    @huskyJang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그랬지요 청춘때 늘옷구매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모든걸 수입해서 먹고 외국인 노동자도 많이 들어오고 로봇도 도입 되는데 오직 성과 핏줄에 대해서만 옹졸 , 편협, 지독한 한국!!!!!!!! 한국의 핏줄 이기주의 문화!! 한국은 이 핏줄 문화 때문에 반드시 망합니다.!! 인구 전문가가 중국도 문화 혁명 때에 유교 문화 제거 하고 일본도 유교 문화가 많이 사라졌는데 한국만 유교 문화가 강해서 결혼->출산 밖에 생각을 못한데요. 한국은 세계최저 출산율 이죠. 매달 그 세계 최저를 스스로 갱신 하고 있구요.!! 한국은 동거 비율이 세계 최저 입니다. 일본인 사유리는 합법적으로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출산 했구요. 미국은 한해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 난데요. 중국은 싸이트 내걸고 대리모 사업을 하고 있구요.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입니다. 축구 선수 호날두는 총각 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졌죠.! 한국은 OECD중 공공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총각이든, 처녀든, 부부가 대리모 통해서든 , 부부가 남의 정자 받아서든 아기 갖고 싶어 하는 사람은 능력 되면 누구나 가지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직 한국만 모든게 막혀 있고 사람들의 인식 , 법과 제도가 옹졸 , 편협된 생각 가지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특히 핏줄에 대해서는 아주 심하죠!! 일본인 사유리가 아기와 같이 나온 방송에서 한국 아줌마들이 사유리에게 "애가 아빠가 없어서 어떻하냐~ 안됫다~ " 라고 하니까 사유리가 "그럼 아줌마 아들을 저에게 장가 보내세요" 라고 하니까 아줌마들이 아무 말도 못했다고 합니다.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의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3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78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 @dmskcdd6956

    @dmskcdd6956

    Жыл бұрын

    @@user-ed4es5oy5e 힘내요!!

  • @kimu7220

    @kimu7220

    Жыл бұрын

    머리하러 많이 갔죠 ㅋㅋ

  • @youarewhatyoueat6488
    @youarewhatyoueat6488 Жыл бұрын

    건물주들, 부동산 업자들 아직 정신 못차리는구나

  • @user-qm4ve8gb7v

    @user-qm4ve8gb7v

    Жыл бұрын

    돈많은 보수주의자들 안변하지

  • @sahrahnghahndah

    @sahrahnghahndah

    Жыл бұрын

    아직도 살만한가 봄 ㅋ

  • @estest82

    @estest82

    Жыл бұрын

    단결해서 굥 당선시켰으니 그 뒷일도 다 감수해야지요 안찍은이들만 고생이 억울하시겠지만..

  • @doiseo4137

    @doiseo4137

    Жыл бұрын

    그동안 임대료 수입 많이 올혔으니.. 여유가 있으시겠죠.

  • @user-yf9ut8xp9g

    @user-yf9ut8xp9g

    Жыл бұрын

    제가 이대상권 건물주인데요 임대료를 낮추고싶어도 못낮추는 이유가 받는임대료에따라 건물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 그래서 차라리 공실이더라도 임대료는 절대 못낮춥니다 뭘 알고나 떠드세요 좀~~

  • @danieloh9597
    @danieloh9597 Жыл бұрын

    7년전 사드사태가 이대상권과 무슨 관련이 있지요? 궁금합니다.

  • @user-fl8xr3mx6o
    @user-fl8xr3mx6o6 ай бұрын

    살려주면 뭐하나 세금으로 건물주 배불리겠다고? 냅둬라.

  • @normal77079
    @normal77079 Жыл бұрын

    원래 이대앞 상권은 서울에서 옷 좀 찾아야한다 싶으면 몰리던 곳임. 그런곳이 중국인들 돈 좀 먹겠다고 등한시했다가 순식간에 맛이갔음. 그 결과물이 명동과 똑같음. 젠트리피케이션도 심각했구. 언급되지 않는데 원래 신촌 이대 상권이 알아주던 곳이지만 임대료가 너무 심각해져서 상인들이 그 때만해도 임대료가 낮던 홍대로 몰렸음. 마침 인디음악이 뜨기도 했고 노는건 신촌 카페나 조용히 노는건 홍대였는데 이게 옮겨오니까 지금 홍대가 되버렸구. 그런데 홍대까지 난리나니까 연남동으로 왔다가 망원,공덕, 마포가 요동쳤음. 여기는 얼마나 갈지 모르겠지만 신촌과 똑같은 길을 갈지 아무도 모름.

  • @tonsk2k322

    @tonsk2k322

    Жыл бұрын

    게다가 이젠 SNS기반 커뮤니티로 놀고 있음. 그리고 오프로 만나는 장소는 유동성이 큼.

  • @hojungyun3386
    @hojungyun3386 Жыл бұрын

    패션으로 제한해 놨었군요. 여러 즐길거리가 있어야 지나가다 옷도사는거지 옷을사러 일부러 저기를 가는 경우는 이제 별로 없는데. 백화점도 의류매장에 카페 들여놓고 하는데 정책이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하네요. 이대병설고등학교를 나온 저로썬 이대앞은 하교길 떡볶이 먹고 옷구경하고 미용실가서 머리도 하고 그런곳이었는데 작년 다시 찾은 이대는 드문드분 있는 옷가게 빼고 황량하기 그지 없었습니다. 차끌고 이대가는 사람없으니 규제 다 풀어주어야할듯. 그리고 APM인가 동대문옷가게 같은 저 건물은 옛날에 상권 잘나갈때도 썰렁했어요. 저긴 다른 용도로 바꾸어야할듯.

  • @user-gv4gm1oj2c
    @user-gv4gm1oj2c4 ай бұрын

    건물주들이 위기감을 갖는 것이지, 자영업자들이야, 기다리면 되는 일 같습니다...

  • @cream1866
    @cream1866 Жыл бұрын

    가보면 요즘 사람들이 원하는 거리가 아님 분위기도 그렇고 시대는 변하는데 계속 하던걸 고수한 결과임 코로나가 큰 분기점이 되었던 것일뿐 변화는 2000년대 중반부터 계속되고있었음

  • @weondypark5623
    @weondypark5623 Жыл бұрын

    과거에는 홍대거리골목은 명함도 못내밀었는데 이대근처 광범위한 지역과 골목 진짜 경쟁력 있었는데...왜 이리되었을까??? 동시대를 살아온 내가 느끼기에는 이대...몇십년부터 바가지에 불친절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말도 못하겠더니만... 저절로 손님을 내쫒고 있었지..가게 권리금이 말도 못하고 불친절은 두말할 나위없고.. 토박이 가게주인 내쫒고 한 몫 잡으려는 장사치와 건물주가 손님을 내쫒은 결과인데 이제와서 뭔 해괴망칙한 반성없는 소리를 씨부려 쌓노?????????????

  • @ilikebeatles3136

    @ilikebeatles3136

    Жыл бұрын

    지금 일본 신오오쿠보에 똑같은 짓거리하고 있지요 불친절에 바가지에

  • @user-fi9ng6qk1x

    @user-fi9ng6qk1x

    Жыл бұрын

    바가지는 맞지만 높은 임대료 상승이 바가지를 부르게됐게죠 결국 건물가격하락 건물주들의 자업자득이죠

  • @ninguno3035

    @ninguno3035

    Жыл бұрын

    1:53 이것도 1찍 나팔수네. 사드를 왜 끌여들여? 그리고 사드가 사태야? 나레이션 련아 니는 군대도 안가고 공짜자유누리면서 국방세 한푼냈냐?

  • @ninguno3035

    @ninguno3035

    Жыл бұрын

    내용은 쥐뿔도 없고 사드를 사태라고 쳐쓰브리고 취업도 안하고 애도 안낳고 사드로 방구석에서 유트브찍어 돈벌이하는주제에, 상가의 신이라는 놈이 중립적 관점이야?

  • @user-ch6jy7hs1e

    @user-ch6jy7hs1e

    Жыл бұрын

    원래 이대는 패션(미용실, 스타벅스1호점)과 여성들이 좋아하는 맛집이 유명했는데 어쩌다…

  • @user-mo2om8yw9u
    @user-mo2om8yw9u Жыл бұрын

    임대료가 가장 크죠.. 암것도 안해도 나가는 고정비가 크면 버티기 어려워요. ㅠ

  • @user-yf9ut8xp9g

    @user-yf9ut8xp9g

    Жыл бұрын

    제가 이대상권 건물주인데요 임대료를 낮추고싶어도 못낮추는 이유가 받는임대료에따라 건물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 그래서 차라리 공실이더라도 임대료는 절대 못낮춥니다 뭘 알고나 떠드세요 좀~~

  • @josephs6803

    @josephs6803

    Жыл бұрын

    @@user-yf9ut8xp9g 어쨋든 이러나 저러나 돈 버는건 갓물주~~~ 상권이 이미 다 죽고 손님도 가게도 다 떠나도 돈 버는 건 갓물주~~~~

  • @user-qs4uc5jv8u

    @user-qs4uc5jv8u

    Жыл бұрын

    @@user-yf9ut8xp9g아는데요 ㅋㅋㅋ상식적으로 그 상권에 그 가격이 맞나요? ㅋㅋㅋㅋㅋ 어짜피 상권이 죽으면 가격건물도 같이 하락하겠죠 뭐…

  • @jangkyo

    @jangkyo

    Жыл бұрын

    @@user-yf9ut8xp9g 상권 망하는 중인데 아직도 정신 못차렸냐? ㅋㅋㅋ

  • @rich-rich

    @rich-rich

    Жыл бұрын

    @@Haamyungsun 인건비 이지랄 그거 못벌정도면 접어야지

  • @hhk9264
    @hhk92649 ай бұрын

    솔직히 한국도 자영업이 어느정도 걸러지긴 해야한다고 보는게 진짜 상권부터 메뉴선정 레시피 등 피나는 노력으로 준비하고 운영해야 하는게 자영업인데 솔직히 말해줄까? 한국인들 자영업 인식이 '회사 다니다 은퇴하면 가게 하나 차리지 뭐' '아 회사 못 해 먹겠네 집어 치우고 프렌차이즈 하나 차려서 배달이나 돌리고 먹고 살지 뭐' '(분석도 뭣도 없이 막연하게) 아 하루에 20만원 정도씩만 벌면 노후 걱정 없겠네' 이 야랄을 떨면서 자영업 시작하는게 현실이다. 한국 자영업은 뭐? 임대료? 임대료 이전에 임대료보다 더 벌 생각으로 분석하고 들어가야되는데 그냥 일단 차리고 보는거야. 그러니 1년 안에 3/4 이상이 접는거야 자영업을. 진짜 뭐 무슨 할매국밥 그러면서 since 19xx 이런 이상한 간판 달고 다니는 것도 보이는데 것도 보면 원조 본점 빼면 체인점 투성이고 자영업을 만만하게 보는게 한국인인듯. 먹는 것 뿐만이 아님.

  • @livingkim5311
    @livingkim5311 Жыл бұрын

    5평에 50만원까지 임대료 시세가 내려가도 비관적임. 학내에 편리한 위치에 모던한 신축상가가 학생 유동 고객들 다 흡수했는 데 학교 담장밖 가게 매장에 누가 오겠나.

  • @user-bu5gu3oj4u
    @user-bu5gu3oj4u Жыл бұрын

    신촌 이대 상권보다 홍대가 커지다니... 90년대 학번은 격세지감을 느낍니다. 간만에 갔더니 신촌 이대 지하철 사이 거대 오피스텔이 생겨 도로에 해가 안 들고 그늘지고 어둡더니만 지나가는 사람들도 없어 겨울이어서 그런가 했더니 다른 문제들이 있었네요. 이대에서 웨딩드레스 샾이 양쪽 거리로 쭉 늘어서 볼거리도 많았었는데 없어지고... 추억이 사라졌네.

  • @gloelov4908

    @gloelov4908

    Жыл бұрын

    진짜 2천년 전후로 가끔 쇼핑갔었는데 이대 사람들 꽤 바글바글 했었고 살짝 경사진 언덕배기 오르는 재미도 있었고 경제를 떠나 편하게 구매할 옥션쿠팡이 있으니 구지 기꺼이 나가 쇼핑을 안하나보네요. ..

  • @vbhgf-vl7rq

    @vbhgf-vl7rq

    Жыл бұрын

    ​@@namaSki221그러니까요 일본가보면 외국인 손님 많아도 절대로 외국인에게 입맞맞추지 않습니다. 언제부터 중국인에게 맞춘건지... 상가와 건물주의 마인드가 바뀌어야합니다.

  • @user-bu5gu3oj4u

    @user-bu5gu3oj4u

    Жыл бұрын

    신촌에서 이대가는 방향에 상권을 말한거고 90년대는 홍대상권 신촌에 비해 조그마했어요. 막 뜨기시작하긴 할때였죠. ㅎ

  • @awaaaaa22222

    @awaaaaa22222

    Жыл бұрын

    이대는 페미 떄문에 그런건데 뉴스도 선동 댓글도 선동 이대가 페미 떄문에 망한거지 임대료 주차장 떄문에 망했다 하냐 그럼 지방 대학은 왜 상권이 망한데가 있고 흥한데가 있냐 그것부터 풀고 와라

  • @warehouseinsideme

    @warehouseinsideme

    Жыл бұрын

    홍대는 철숲길이랑 한강, 합정역 등이 연계가 되서 더 커졌죠. 저도 마지막으로 이대앞 간게 십년은 된거 같은데 저리 썰렁하니 기분이 묘하네요

  • @__-cv1xn
    @__-cv1xn Жыл бұрын

    이대는 보세옷 쇼핑의 메카였는데 요샌 보세옷 거의 안 입고 SPA로 다 넘어갔으니까요 홍대는 여전히 잘 나가는데는 클럽거리, 쇼핑, 맛집, 포차, 이쁜 카페 등 젊은층의 관심을 여전히 끌 만한 뭔가가 많다는 방증이기도 하구요 홍대 정문에서 쭉 내려오면 제일은행 사거리엔 애플스토어 국내 6호점까지 입점한다는 것만 봐도 홍대는 아직 잘나간다는 뜻이죠. 이대상권도 홍대의 성공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아요

  • @jongsukchoi8597

    @jongsukchoi8597

    4 ай бұрын

    홍대에서도 살아보고 이대에서도 알바 해본 경험자에요. 건물주들이 이대는 장사를 위해서 온 외지인들이 많고 홍대는 그 지역 토박이들이 은근 많아서 분위기가 완전 다른것 같아요. 예전부터 홍대 합정은 정이 많았어요ᆢ

  • @nanalim1814
    @nanalim18145 ай бұрын

    상권이 망하는건 건물주의 욕심 때문이죠......월세가 많으면 망하는거죠....주차도 안돼고......다 망해도 건물주들은 정신못차릴거예요....이대 앞 건물들 1층 월게가 3천만원씩 했었죠

  • @user-fy1zv3mv6r
    @user-fy1zv3mv6r Жыл бұрын

    임대료 못낮추는 건물주님들 그냥 님들이 직접 장사하세요

  • @roypark2736
    @roypark2736 Жыл бұрын

    5평에 250만원 ㅋㅋㅋ 분식점 하나차릴려면 15평정도 들어가는데 750만원 라면을 얼마나 팔아야하냐...ㅋㅋ

  • @theki8309

    @theki8309

    Жыл бұрын

    군 대대병력 정도의 인원이 매일 3끼를 팔아주지 않는 한...휴~우!!

  • @user-gp1bx9vj1u

    @user-gp1bx9vj1u

    Жыл бұрын

    자발적 노예입죠ㅋㅋㅋ 장꿰들한테 그리잘하다가 내국인돌아서고나니 처세전환술

  • @user-ht4rj4kb5o

    @user-ht4rj4kb5o

    Жыл бұрын

    머리똥으루 가게. 임대료 계산을. 그렇게 띠옹

  • @user-bt8uq6tq1y

    @user-bt8uq6tq1y

    Жыл бұрын

    @@user-gp1bx9vj1u 명동꼴 나네

  • @user-ff5vf6jo4i

    @user-ff5vf6jo4i

    Жыл бұрын

    5평에 250만원요?헐

  • @user-vb2ir9iy4p
    @user-vb2ir9iy4p Жыл бұрын

    와... 옷가게도 많고 먹을데도 많고 포장마차도 엄청많았는데 완전 충격이다... 추억의 장소는 다 사라졌겠네... 아쉽다...

  • @dhrtms80
    @dhrtms809 ай бұрын

    한번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죽은 상권 되살리기는 쉽지 않다고 봄 가까운거리에 신촌,이대까지 커버할 수 있는 트렌드한 대체상권(홍대)이 살아 있는 한 지금 담장 건물주들이 임대료 반값 이하로 내놔도 옭다구나~ 하고 들어 올 젊은 오너들 별로 없다고 봄~~~

  • @Key195cm
    @Key195cm Жыл бұрын

    실효성이 없어졌으면 빠르게 상권을 다시풀어줘야지 에휴..

  • @user-ss2ew2rw8k
    @user-ss2ew2rw8k Жыл бұрын

    근데 이건 시대를 못읽은게 더 커요.. ㅠㅠ 2010년 초반에는 이대 괜찮았는데 2017년부터 이대쪽 안가기 시작함.. 옷가게뿐인데 인터넷쇼핑이 점점 활성화되기 시작한때라 이대를 갈 이유가 없어졌거든요. 코로나 이전에 이미 이대는 한물 갔었음

  • @user-rl6px9sy3f
    @user-rl6px9sy3f Жыл бұрын

    가장 큰 이유는 국민이 돈이없다. 대형마트가 적자나고있는 세상이다. 그러한 세상에서 상인을 발목잡고 있는건 '임대료' 다른건 다 공개되도 임대료 만큼은 공개가 안되더라.

  • @user-ws2fi3oy6h

    @user-ws2fi3oy6h

    Жыл бұрын

    코스트코 전세계 매출1위가 양재점인데요;;?

  • @edwardlee1435

    @edwardlee1435

    Жыл бұрын

    @@user-ws2fi3oy6h 롯데마트,홈플 매장 폐쇄 수두룩하다.

  • @composer004

    @composer004

    Жыл бұрын

    해외여행 충 .. 힐링지랄 놈팽이충.. 카푸어충들 .. 맞벌이도 안하면서 독박육아 타령하는 것들.. 없는기 돈만 잘쓰더라

  • @user-mj4gq9yc9l

    @user-mj4gq9yc9l

    Жыл бұрын

    그건 돈보다는 인터넷 쇼핑으로 판세가 뒤집히기 때문

  • @user-yf9ut8xp9g

    @user-yf9ut8xp9g

    Жыл бұрын

    제가 이대상권 건물주인데요 임대료를 낮추고싶어도 못낮추는 이유가 받는임대료에따라 건물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 그래서 차라리 공실이더라도 임대료는 절대 못낮춥니다 뭘 알고나 떠드세요 좀~~

  • @user-kdg3hsjab8n
    @user-kdg3hsjab8n6 ай бұрын

    글쎄 2호선라인은 신촌 홍대가 연달아있는데 굳이 이대를 갈 이유가 없잖아? 이대생이나 가지 난 예전에도 이대 상권이 살아있는게 이상했는데

  • @kjwons
    @kjwons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물가때문에 더힘들겁니다. 학생들 마져도, 학교내 매점을 찾고, 밖에서는 소비을 잘안하는 상황. 지금 시작했다가는 딱 망하기 좋은 상황. 좀더 지켜보기을 권장. 안그래도 직접 찾아거서 상권을 확인하러 갔던 유투브방송이 있던데. 학생들이 대부분 학교내에서 쇼핑하고, 대부분을 해소하더군요. 물가가 안잡히면 힘들겁니다.

  • @user-zc8qi7ph6c
    @user-zc8qi7ph6c Жыл бұрын

    결국 건물주도 임대료를 낮춰야 공실률도 낮추고 자영업자도 상생하는 길임.

  • @skipavoid8733
    @skipavoid8733 Жыл бұрын

    근데 솔직히 이대 신촌 상권은 이미 10년도 더 전부터 하락이었고, 새로운 상권이 뜨면서 그 쪽으로 쏠리는데 반해 매력적인 업장이 없어서 자연적으로 도태된거임 -강북 토박이-

  • @cwlee8106
    @cwlee8106 Жыл бұрын

    건물주들이 아직 정신 못차리는게 한국이 예전 GDP성장률을 유지한다고 해도 지금 임대료최근10여년간 상승률을 생각하면 따라가는게 불가능한데... 이제 우리나라도 년2%?3%의 저성장 국가가 된걸 모르는건지... 상업용부동산들도 무슨 무적의 자산인게 아닌데 말이지...젠트리피케이션발생하는 지역의 건물주들은 뭐 잠깐 비워놓는게 임대료낮추는것보다 이득이라고 아직까지 헛소리들 하던데 뭐 건물주들 망하는거 알바 아니긴 한데..이대상권이든 가로수상권이든 향후 3년정도 보면 알게 되겠지... 아...X되어버렸네?라고 대출낀 건물주들 파산하는것도 이거 꽤나 큰 사회적부작용이 발생할듯...

  • @user-cc8jj6lg2f
    @user-cc8jj6lg2f Жыл бұрын

    인구도 줄고...학생수도 줄고...다...인터넷...배달 등으로 하는데 상권은...거기도 문화공간으로 바뀐 후에야 뭔가 나올 듯 싶다...20년 뒤에나...

  • @user-zu1rf4hb6c

    @user-zu1rf4hb6c

    Жыл бұрын

    살수가없어요 코로나 버티신분도 대단하지만 지금까지 버티신분들 존경학니다

  • @tui3ksgk2yxh

    @tui3ksgk2yxh

    Жыл бұрын

    도심 상권이 텅텅 비네요

  • @CHKum

    @CHKum

    Жыл бұрын

    상가는 부동산의 선행지표

  • @user-fe5gs5dl5y

    @user-fe5gs5dl5y

    Жыл бұрын

    그냥 중국인들을 받아드리면 되지 ㅋㅋㅋ 아니면 이슬람 사원이나 만들어라

  • @user-qm1on2kn3t

    @user-qm1on2kn3t

    Жыл бұрын

    @@user-fe5gs5dl5y 당신은 이완용 욕하면 안되겠다

  • @harryjink.2198
    @harryjink.2198 Жыл бұрын

    공실 리스크에 임대료 낮추자니 건물가치 낮아질까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건물주. 어차피 그쪽 상권은 끝났으니 홀가분하게 내려 놓길..

  • @user-bt8uq6tq1y

    @user-bt8uq6tq1y

    Жыл бұрын

    그동안 돈 많이 벌었쟎유

  • @sweetwordone8950

    @sweetwordone8950

    Жыл бұрын

    이제그냥 추억이고 폐가지요 ㅎㅎㅎ

  • @user-pv6bi5zs1z

    @user-pv6bi5zs1z

    Жыл бұрын

    저출산으로 20대초반인구 급감으로 번화가 지방 공실률폐업률 올라가는추세고 성비감안하면 젊은여성인구가 더욱없음 대형3사도 아이돌구인난이라 콘텐츠주는 계속 하락 기업들도 소비층감소로 고용투자 더욱안하고 중소중견기업 들도 도산. 20년후면 한국이 동남아한테 GDP 역전당한다고 골드만삭스가 그러던데

  • @user-jb8cq6ob6h
    @user-jb8cq6ob6h Жыл бұрын

    옷가게는 이제 다 인터넷으로 사는세상이고 음식도 배달문화가 형성되서 이제는 인건비도 임대료도 엄청 올랐으니 임대업도 안되는 세상이되어네요

  • @user-os1bv2bz5h
    @user-os1bv2bz5h Жыл бұрын

    1989년 7살때 부터 32살 까지 이대에 25년 거주했는데 한국의 하라주쿠라 불리우며 북적이던 이대 상권은 apm이 들어오기 이전과 이후로 많이 달라짐 apm이 들어올 때 주변이 상가가 정리되며 고유했던 이대 상권 특유의 분위기가 바뀌면서 점점 그 색을 잃어갔슴... 이대가 사람이 너무 북적이니 apm이 들어올 때 큰 쇼핑센터가 들어오면 소비자들이 건물안으로 들어오니 거리가 조금 쾌적해질거란 기대도 했지만 오히려 이대 상권에는 독이 됨 ㄷ ㄷ ㄷ

  • @youngsukim3360

    @youngsukim3360

    Жыл бұрын

    + 중국인 단체여행버스........

  • @user-xw4qm5dc1k

    @user-xw4qm5dc1k

    Жыл бұрын

    하라주쿠를 모르는건가ㅋㅋ 어따비비노

  • @user-os1bv2bz5h

    @user-os1bv2bz5h

    Жыл бұрын

    @@user-xw4qm5dc1k 잼?!

  • @user-du6ro1td8o

    @user-du6ro1td8o

    Жыл бұрын

    정확한 말씀..

  • @user-zz6tm9at4b

    @user-zz6tm9at4b

    Жыл бұрын

    이대 30년 거주한 사람으로서 apm이 끼친 영향은 전혀 모르겠음ㅋㅋ apm 세워지고 상권 정리됐다 하는데 전혀 아닌데? 있던가게 2010년대 중반까지 아주 오래도록 쭈-욱 있었고 되려 apm을 오는 사람 아예 보지를 못했음. apm때문이 아니라 서울시에서 업종제한을 둔게 가장 크다. 옷,신발,잡화는 명동 홍대에 널렸고 전자상거래 발달하면서 인터넷에 비빌수가 없음. 그러면 다른 업종으로 상권을 살려야하는데 주차장을 만들라니.. 조그만 가게들 모여있는게 이대상권인데. 뭔가 어느순간부터 경쟁력이 없다고 느꼈음. 딱 여길가면 뭘 살수있다 이런게 없었음. 나도 안갔으니..

  • @oppalee5413
    @oppalee5413 Жыл бұрын

    그 옛날 북새통일때 옷이나 신발등 비싸게받고 손님 무시하고 그러더니 결국 시대 흐름도 못따라가고..비싸지는임대료에 훅간거지머

  • @user-xv7kx7sz9p
    @user-xv7kx7sz9p5 ай бұрын

    잘못생각하는게 자영업자가 망하는건 코로나 때문이 아님 애초에 자영업자 숫자가 많다보니 비싸게 임대업을 해도 비싸게 임대하는 자영업자들이 넘쳐났으니 결국 장사조금만안되도 망하는건 순식간입니다

  • @shsifjsbzuaj
    @shsifjsbzuaj Жыл бұрын

    상권이 요즘은 그냥 의류 유행하듯 돌고 있어서 요즘 어리고 젊은 친구들은 홍대 연남보다 성수-뚝섬-서울숲 이 라인이 더 핫하더군요

  • @user-gv9hd2fb2c
    @user-gv9hd2fb2c Жыл бұрын

    코로나 이후 온라인 중심으로 너무 빠르게 변해가고 있어요... 동네 슈퍼들도 급격히 사라지고 있는 중... 맛집도 배달 위주로.....

  • @__-cv1xn

    @__-cv1xn

    Жыл бұрын

    온라인 탓으로만 돌리기엔 이대상권은 경쟁력이 부족한 것도 사실이죠 온라인으로 바뀌었다면 홍대도 진작에 망했어야 했는데 연남동이 크게 흥했다고 해도 홍대역에서 홍대 정문까지의 거리들은(걷고 싶은 거리, 주차장 거리 등) 아직도 사람들이 미어 터집니다. 홍대 앞은 끊임없는 기발한 아이디어의 새로운 개인샵과 브랜드들이 들어서죠. 국내에선 한물간 일본 브랜드 미즈노까지 있을 정도니까요 근데 이대쪽은 보세옷과 미용실상권으로 장사가 잘되다 보니 현실에 안주하다 밥그릇 다 뺏긴 거라고 봅니다.

  • @user-dkz2we7nf3s

    @user-dkz2we7nf3s

    Жыл бұрын

    하지만 지금은 교육청에서 대학보고 대면수업하라고 합니다... 웬만한 경우 아니면 다 대면으로 수업해야 해요

  • @user-oj6xr5sk9x

    @user-oj6xr5sk9x

    Жыл бұрын

    담배나 소주는 동네슈퍼에서만 사요 ㅎ

  • @user-rn4qp4axcrw

    @user-rn4qp4axcrw

    Жыл бұрын

    @@__-cv1xn 주원인은 시대변화가 90프로임. 홍대가 지금 잘나가는것도 어차피 치킨게임이라서 다른곳이 망해가는거임. 결국 이대도 지들 트랜드 찾을 생각안하고 요즘 맛집이 대세니까 음식점 사업도 세금좀 싸게 해달라는건데 요즘 맛집도 극소수나 성공하지 맛집골목 이딴건 기대하면 안됌

  • @user-gv9hd2fb2c

    @user-gv9hd2fb2c

    Жыл бұрын

    일부 물품이나 상권같은 좁은 개념이 아닙니다.. 십수년 적자이던 쿠팡이 이제 흑자로 돌아섰어요.. 이게 뭘 말하는 걸까요?

  • @HINY48
    @HINY48 Жыл бұрын

    장사 좀 잘된다 싶으면 득달같이 올려버리고 임대료는 안낮추고 지금은 버틸만하니까 저러는거지 결국 스스로의 이기심에 망하게 될꺼 같습니다

  • @user-if9re1jt3k

    @user-if9re1jt3k

    Жыл бұрын

    과거 얘기 에요 지금 공실이 많은 이유는 코로나 여파도 있지만 임차인 보호법이 대다수에요 한번 임대료 내려서 받으면 그 임대료에서 매년 5% 인상인데 상식적으로 누가 임대료 내려서 임차인 받을까여? 역갑질인데 예전에 임대료 탄력적으로 낮춰서 임차인 받을수있었는데 지금은 5%인상 법으로 막아놔서 오히려 임대인 입장에서 한번 임차인 월세 내려서 받았다가는 매년 5%밖에 인상이 안되서 아예 내려서 받을수 없는 입장입장인거죠. 상식적으로 그래서 요즘 렌트프리가 나온겁니다. 임차인 보호법이 오히려 임차인을 방해하는거죠. 아니라고 생각하면 할말 없지만 물론 5% 인상 상한선을 둬서 임대인 갑질 못하게 하는건 좋은데 이런 단점도 존재하게 되는거죠. 상권이 망하면....결국 우리나라 잠식당하는거죠. 법이라는게 무섭습니다. 이런 여파가 있을줄을.

  • @Moonbearchop

    @Moonbearchop

    Жыл бұрын

    ​@@user-if9re1jt3k 그 임대차 보호법 유럽 국가들에선 이미 하고 있는거고 그 덕분에 임대시장이 한국처럼 심하게 요동치지 않고 안정적입니다 임대료 올리는걸 무슨 당연한 권리처럼 생각하는 임대인들 마인드가 바뀌지 않는 이상 심각한 공실이 안생기면 정신들 안차릴듯

  • @water_hama

    @water_hama

    Жыл бұрын

    380에서 250으로 내렸다잖아. 안 낮추긴 뭘 안 낮춰. 낮추고 있구만 그지야...건물주 욕하면 깨시민 그지되냐 그냥 그지지.

  • @werdna1969
    @werdna1969 Жыл бұрын

    추억의 거리인데 너무 슬프네요

  • @user-uj9bn4mv1z
    @user-uj9bn4mv1z Жыл бұрын

    이대 상권이 옮겨진지는 코로나 보다 훨씬 더더… 전 얘기 아닌가? 트렌드 못따라간지… 상권은 옮겨진다!! 그리고 시대가 바뀐 만큼 사람들은 같은 돈으로 더 좋은 상품을 선택 하는데 이대나 신촌은 그걸 못 따라간듯…

  • @GGK_1021
    @GGK_1021 Жыл бұрын

    시대는 빠르게 변하는데 아직도 80~90년대 영업방식으로 일관하고 있으니.. 예전엔 학생들도 이동이 제한되고 힘든 경우가 많아 학교근처에서 소비활동을 많이 했지만 현재는 자가용이 아니더라도 버스나 지하철이 편해진탓에 굳이 근처에서 소비를 할 필요가 없어졌지. 근데.. 왜? 굳이 상권을 부활시켜야 하지?? 그곳에 꼭 부활해야 하는 이유가 있나?

  • @jaehyung2737

    @jaehyung2737

    9 ай бұрын

    당장 바로 벌 수 있는 돈만 생각하고 멀리 보지 못하는 생각과 개개인의 이기심이 지금 한국에서, 일부 지역에만 상권과 인프라가 몰리게 하는겁니다.

  • @jaehyung2737

    @jaehyung2737

    9 ай бұрын

    아무리 교통이 발달해도 상권이 각 지역애 분포해 있지 않고, 일정 지역으로 몰리면 그곳에 인구가 쏠리고, 지방 소멸하고, 높아진 수요덕에 집값오르고, 사람들이 애 안낳고, 국가 경제에 마이너스 되고, 세수 줄어들고, 복지 악화되고, 또 그로인해 소비가 줄고, 애안낳고 나라 망하는거에요

  • @yjw-km5vh

    @yjw-km5vh

    9 ай бұрын

    @@jaehyung2737 어차피 같은 서울안이라 의미 없습니다

  • @pppp04033

    @pppp04033

    9 ай бұрын

    ​@@jaehyung2737인프라를 지발로 걷어차는 지역이 존재하는데요 뭐

  • @user-dfg44fh653dfh

    @user-dfg44fh653dfh

    8 ай бұрын

    @@jaehyung2737 임대료가 높은데 별 수 있나요 ㅋㅋ 못견디는 상인들은 다나가고 공실되는거지 임대인들도 자기상권 자기가 망하게 한거죠

  • @user-vx9sm2ft4s
    @user-vx9sm2ft4s Жыл бұрын

    5평기준 200만원...? 미쳤다진짜...

  • @water_hama

    @water_hama

    Жыл бұрын

    뭐가 미쳤죠? 님 건물 안 사봤죠? 임차도 안 해봤죠? 경기도 신도시 단지내 상가만 해도 저정도는 받아요. 뭐가 비쌉니까 저게?

  • @user-wd9ti7sz3u
    @user-wd9ti7sz3u Жыл бұрын

    상권이 경쟁력을 잃었으면 상권을 옮기면 되고, 임대료가 부담되면 다른 곳 알아보면 된다. 이러니저러니 핑계대도 결국 임대료 낮춰달라고 징징대는거잖아?

  • @JS-ef9ub
    @JS-ef9ub Жыл бұрын

    사드,코로나 한참 전부터 신촌,이대 상권은 쇠락이었지. 8,90년대 학번들과 00중반,10년대 학번들이 상권 인식하는게 완전 다름. 패권이 홍대로 넘어가고 이젠 동쪽의 성수동한테도 매력도,다양성에서 한참 밀림

  • @shingoeun
    @shingoeun Жыл бұрын

    옛날에 이대가면 손님한테 쪽주고 눈치주고 하는 상인들 많았는데. 지금은 상상도 못할 일이지만 그땐 많이 그랬음.

  • @user-ew7zb9nc6o
    @user-ew7zb9nc6o8 ай бұрын

    이대에서 쇼핑하고 홍대에서 놀던때가 있었는데 저렇게 상권이 죽었는지 몰랐네 진짜 십년넘게 안 가봤음.

  • @seoroseoro3282
    @seoroseoro3282 Жыл бұрын

    이대 뿐만 아니라 2000년 초중반에 인기 많은 상권 다 침체됐음. 몬가 쓸쓸함.

  • @mitatchuyeoyasin
    @mitatchuyeoyasin Жыл бұрын

    상징과 같던 피자헛도 나가고 호황을 누리던 헤어샵들도 슬럼화된 골목에 계속 유지하는것도 힘든 상황. 중국 관광객 반짝 특수가 오히려 독이었던거죠. 아현 뉴타운 및 이대역 건너 재개발이 거의 완성단계인데 아파트 단지 상권만으로도 충분하니 이미 낙후된 상권이 메리트가 없어요. 신촌기차역 주변도 그렇고 지주들이 대대적으로 주차장확보해서 투자한다 생각하고 임대료를 파격적으로 낮추기 전까지는 다시 사람 이 찾는장소가 되긴 힘듬.

  • @syzysun1
    @syzysun1 Жыл бұрын

    이대 14년됴 고2때 엄마랑 옷이랑 화장품 쇼핑하고 맛난 밥 먹고 맛집도 많았는데.. 아직도 그 기억이 생생한데..아쉽네요ㅜ

  • @gracep4894
    @gracep48944 ай бұрын

    이대상권이었는데, 중국인한테 관광지가 되버렀었죠. 교내마저 관광지로 이용됐었고요? 가게주인들이나 직원마저 외국인관광객한테 집중하는게 넘나 대놓고라 사러갔다 기분나빠서 그냥 지나간지 벌써 8년이 넘었어요. 망할만해요. 건물주가 주변상가 걱정을 하겠나요ㅎㅎ

  • @maroo3351
    @maroo3351 Жыл бұрын

    자영업자와 건물주의 관계는 지주와 소작농의 관계가 아닙니다. 서로 상생을 해야 서로 살아남습니다. 월세부터 낮춰서 자영업자들이 살수있게 해줘야합니다.

  • @arankang

    @arankang

    5 ай бұрын

    문재인과 민주당의 법으호 상가건물주의 임대료 변동도 힘들게 해둠.

  • @user-ft2xk3rf1s

    @user-ft2xk3rf1s

    4 ай бұрын

    건물주는 땅파서 먹고 사냐ㅋㅋ

  • @innerpeace9856
    @innerpeace9856 Жыл бұрын

    와...이런 모습을 보게 될 줄 생각도 못했어요 특색있고 화려했던 이대거리를 걸었던게 그리 오래되지 않은 것 같은데

  • @user-ki8tw4gi2w
    @user-ki8tw4gi2w Жыл бұрын

    서울 8년살면서 이대상권은한번도 안가봤는데 진짜 심각하네... 압구정도 한번 망했던경험있고, 가로수길은 진행형.... 서울에서 홍대만 진짜 안망할거같음

  • @simontempler5094
    @simontempler5094 Жыл бұрын

    서대문구와 마포구의 규제 차이가 운명을 가른겁니다. 80년대 중반내지 말경 락카페의 발상지가 서대문구 신촌 일대 업소였는데, 불법이라고 단속한 서대문구, 현장계도로 양성화한 홍대의 차이죠. 7-80년대 가장 유명했던 재즈카페도 대학로로 떠난게 80년대일겁니다. 그러면서 신촌도 이대입구도 쇠락... 이화의 중국어 발음이 재물신이라 중국인 관광객들이 몰려든건 착시 효과일 뿐... 실제 활성도는 90년대를 정점으로 하락세였죠. 아현동 웨딩 거리도 쇠퇴하다 사라졌고...

  • @Hoyammath
    @Hoyammath Жыл бұрын

    2000년 대 중반 까지만 해도 말 그대로 사람들이 바글바글했었는데 정말 격세지감이네요.

  • @rover7327
    @rover7327 Жыл бұрын

    임대료의 역습이 올 줄 알았다.. 문제는 건물주들은 끔쩍 안한다는거.

  • @teddylee7816

    @teddylee7816

    Жыл бұрын

    서서히 손해보다가 나중에는 토해내겄죠

  • @leewilliam8111

    @leewilliam8111

    Жыл бұрын

    하지말던가 건물주도 끝임 다 오프라인화

  • @user-pv6bi5zs1z

    @user-pv6bi5zs1z

    Жыл бұрын

    저출산으로 20대초반인구 급감으로 번화가 지방 공실률폐업률 올라가는추세고 성비감안하면 젊은여성인구가 더욱없음 대형3사도 아이돌구인난이라 콘텐츠주는 계속 하락 기업들도 소비층감소로 고용투자 더욱안하고 중소중견기업 들도 도산. 20년후면 한국이 동남아한테 GDP 역전당한다고 골드만삭스가 그러던데

  • @indesert
    @indesert Жыл бұрын

    이제 홍대하고 비교도 안되는 상권인데 임대료는 오히려 더 비싼 경우도 많네 ㅋㅋㅋ

  • @user-hu7pi1k3d2q
    @user-hu7pi1k3d2q Жыл бұрын

    다양한 업종이 들어오게 제한이 풀린다고 과연 들어올까요? 텅빈거리에 임대료 그마이주고..

  • @Lebao_Aibao_Fubao_Rui_Hui
    @Lebao_Aibao_Fubao_Rui_Hui Жыл бұрын

    02학번... 그때 완전 수업 끝나고 거의 매일 놀러 다니던 이대신촌 죽순이였는데... 그땐 외국인들 하나 없이 한국인들로만으로도 북적북적 하던 곳이었는데 저렇게 돼버렸네. 내 20대 시절을 즐겁게 보내게 해주었던 곳이 마치 폐허처럼 돼버리니 많이 아쉽고 씁쓸하네요.

  • @lifestylek8983
    @lifestylek8983 Жыл бұрын

    공실이 많으면 임대료를 낮춰야지 악수라는걸 모르나

  • @sweetwordone8950

    @sweetwordone8950

    Жыл бұрын

    늙은이들이 절대 안낮춥니다 할머니할배건물주들 살아오신세월만큼 지독하지요

  • @kkk97295
    @kkk97295 Жыл бұрын

    분양가, 재산세가 너무 높으니 임대료를 낮추기도 어렵다.

  • @happyfreak2022
    @happyfreak2022 Жыл бұрын

    오프라인 비지니스는 계속 쇄락할수 밖에 없죠 대부분 온라인으로 가는데 앞으로는 더할테고

  • @timeplayer940
    @timeplayer940 Жыл бұрын

    서울로만 한정하면 대학가 상권이 죽는 건 학생수가 줄어서가 절대 아님. 서울 지역의 대부분 대학교는 충원율이 100%입니다. 임대료가 지나치게 비싼 상황에서 학생들과 관광객으로 어지쩌지 내던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하고 상인들이 떠나고 새로운 지역이 뜨면서 유동인구가 다 그 쪽으로 가버리기 때문에 새로 들어오려는 사람들도 없어서 죽는 겁니다. 저기 사는 학생들도 홍대로 놀러가는 판국인데

  • @Dorothy-ld4jr
    @Dorothy-ld4jr Жыл бұрын

    구청장이나 상인들은 좀 더 세대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해야할것 같네요

  • @howmany_grainsofrice

    @howmany_grainsofrice

    Жыл бұрын

    2013년 서울시장.. 끄덕끄덕

  • @puckyoun

    @puckyoun

    Жыл бұрын

    ​@@howmany_grainsofrice 그래서 지금 오세훈은 살리고있냐 ㅋㅋㅋㅋ

  • @howmany_grainsofrice

    @howmany_grainsofrice

    Жыл бұрын

    @@puckyoun 님 서울사람 아니죠?ㅋㅋㅋ

  • @thebrickmate
    @thebrickmate8 ай бұрын

    주차가 너무 불편하고 갈데가 없다 새로 생기는 상가들에 비해 편의시설 접근도가 너무 떨어진다 거기에 대학가인데.절대.저렴하지 않다 여친이 이대살거나 이대여자분이 아니라면 굳이 갈이유가 없다 ㅠㅠ

  • @puteri1977
    @puteri1977 Жыл бұрын

    쇼핑은 이제 온라인으로 전환되고 있으니 시대흐름에 따라 상권도 변화해야겠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