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1년 조선의 서울거리 구경하기ㅣ새비지랜도어가 글과 그림으로 남긴 여행기ㅣSeoul in 1891

영국의 화가이자 여행가 새비지랜도어(Arnold Henry Savage Landor 1865∼1924년)가 1891년 서울을 여행하고 남긴 여행기 중 일부를 소개합니다.
서울을 둘러싼 성곽과 서울의 도로사정을 간단히 알아보고,
서대문에서 동대문까지 걸으며 서울도심을 구경하는 구성입니다.
새비지랜도어는 여행지에서 그림을 그렸고 이 책에도 여러 점 실려있는데, 서울을 그린 것이 많지는 않아서, 참고가 될 만한 사진들과 함께 구성해 보았습니다.
#서울 #종로 #역사사진 #한양도성 #경희궁 #경복궁
새비지랜도어의 그림과 참고사진으로 함께 보는 1891년 조선사람들 • 1891년 조선사람들ㅣ영국화가 새비지 랜...
새비지랜도어의 여행기는 1895년 발간되었습니다.
Corea or Cho-se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
원문 보기 www.gutenberg.org/files/13128...
[ 이미지 출처 ]
오래된 사진들이라 대부분 퍼블릭 도메인이지만, 똑같은 사진이 공공기관에서 CCBY로 제공되기도 합니다. 확인되는 대로 적겠습니다.
* 책표지(Corea or Cho-se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 국립해양박물관
* 한양도성 백악산 구간 / 한양도성 인왕산 구간 / 경조오부도 / 조선성시도 / 복원된 이간수문 / 동여도(도성과 주변 산줄기) / 천하도(한양도) / 남쪽으로 옮긴 흥화문 / 경희궁 회상전 / 근정문과 영제교 / 철수되는 보신각종 / 동대문 정면 / 경성운동장 : 서울역사박물관(museum.seoul.go.kr)
* 1884년 사진들(혜화문 안쪽 / 종로의 가가들 / 서울시내 좁은 골목길 / 국왕 행차 구경하는 사람들 / 거리의 사람들) : 보스턴박물관(www.mfa.org)
* 도성도(숙정문 위치 표시, 구릉지 설명) / 흥화문 정면 / 동십자각 안쪽 / 경회루에서 바라본 경복궁 전각들 / 양의문 / 보신각 일대 / 일제강점기 보신각 / 원각사지 10층석탑 탑신부 조각 / 원각사지 10층석탑과 아이들 / 원각사지 10층석탑 상부 올리기 / 수선전도 / 광희문 원경 : 국립중앙박물관(www.museum.go.kr)
* 이간수문 답사장면 : 서울시
* 어전준천제명첩 / 해동팔도봉화산악지도 / 서궐도(채색) / 서궐도안 / 옛보신각종 : 문화재청(www.heritage.go.kr)
* 탕춘대성과 홍지문 / 홍제천변 백불 / 광화문 앞 해태상 / 해태상 앞의 아이들 / 파고다공원(탑골공원) : Cornell University Library
* 남산이 보이는 서울 전경 / 백악산 아래 광화문 전경 / 해태상 앞의 구종 / 원각사지 10층석탑과 초가집 : Smithsonian Institution
* 종각 1901년 / 향원정 1901년 : 체코 국립박물관(www.nm.cz)
* 탕춘대성과 홍지문 / 복원된 남산봉수대 / 고종의 출궁행렬 / 경복궁 영제교 / 경복궁 동십자각 / 광희문 : 국립민속박물관(www.nfm.go.kr)
* 훈련원 군대 해산 : 국사편찬위원회
* 보도각백불 현재 모습 : 서대문구청 블로그
* 현재의 도로점용 모습 : 경기신문
* 복원중인 향원정 취향교 : 연합뉴스
음성은 인공지능 음성/영상제작프로그램, 온에어스튜디오 OnAir Studio를 통해 제작되었습니다.

Пікірлер: 129

  •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2 жыл бұрын

    16:30 대원각사부도비라고 잘못 표현했는데, 대원각사비는 부도비가 아니라 원각사의 창건내력을 기록한 사적비입니다.

  • @SUNFlower-xk1wh

    @SUNFlower-xk1wh

    2 жыл бұрын

    ㅠㅠㅠㅠㅠ쿠ㅜㅜㅠㅠㅠ퓨ㅠㅠㅠㅠㅜㅇ

  • @user-xp3zi7jq9o

    @user-xp3zi7jq9o

    2 жыл бұрын

  • @sciel391
    @sciel3912 жыл бұрын

    진짜 조선시대 딱 3시간만 구경 해보고 싶다

  • @user-fi4yx5sq5x

    @user-fi4yx5sq5x

    5 ай бұрын

    토나올걸,? 그걸일본이 다치워주고 도로도 닦아줬으니 ... 정만 부끄럽다 조선

  • @user-qp4rk7ky6q
    @user-qp4rk7ky6q2 жыл бұрын

    너무 감사히 시청했습니다..200백년후 우리들의 모습도 생각해 봅니다.^^

  • @bokwhanlee9212
    @bokwhanlee92122 жыл бұрын

    그림과 사진과 해설로 역사 공부 잘했습니다.

  • @christinasunokcook
    @christinasunokcook Жыл бұрын

    훌륭한 일을 하십니다. 저도 도서에 보관합니다. 고맙습니다.

  • @user-zz9xu8hm7o
    @user-zz9xu8hm7o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시네요 이런 자료를 저는 그냥 유튜브로 볼수있는 것만으로도 감사하네요

  • @user-tc5ki4np8s
    @user-tc5ki4np8s2 жыл бұрын

    유럽 당대의 많은 그림여행가들이 남긴 흔적을 또 보게 되어 기뻤습니다. 감사드리며, 또 뵙겠습니다. 건승을 기원합니다.

  • @spqwmnbvlp
    @spqwmnbvlp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옛 고향의 원래 모습을 보는 느낌으로 격동기의 서울 모습이 감동스럽네요.

  • @soonjaansoonja2931
    @soonjaansoonja29312 жыл бұрын

    넘 감동입니다 이렇게 변천되었다니 ^^😀

  • @peacekim777
    @peacekim7772 жыл бұрын

    귀한 역사적인 자료 감동적으로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theaverageguytraveller7253
    @theaverageguytraveller72532 жыл бұрын

    Love seeing what Korea used to be, not even really that long ago, just a few lives ago. I live in Gangnam now and really appreciate the history here

  • @peterlipman8211

    @peterlipman8211

    2 жыл бұрын

    When Korea was not divided..north and south

  • @juneric5926
    @juneric59262 жыл бұрын

    130년이 지난 조선인은 아직도 영국에 안가봤는데 저 영국인은 어떻게 130년전에 조선에 왓었을까...

  • @user-ed2gm1cg3y
    @user-ed2gm1cg3y6 ай бұрын

    넘좋아해요많이보내주세요

  • @user-yy4sk6wz2d
    @user-yy4sk6wz2d2 жыл бұрын

    역사적 자료를 잘 정리해서 만드셧네요. 구독 과 좋아요 누릅니다.

  • @lllIlIllI
    @lllIlIllI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풀시청하고갑니다.. 넘재밌어요.. 김시덕박사님 느낌..세비지랜도어는 백인우월주의 인종학자임에도 한국인을 긍정적으로 평가한것은 희안한 일 입니다.

  •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2 жыл бұрын

    책을 보면 조선에 대해 나름 열심히 듣고 기록한 것 같더군요.

  • @user-zm8wg8lj5w

    @user-zm8wg8lj5w

    2 жыл бұрын

    현재 영국 왕실은 희안하게도 영국 왕실 혈통과 한국인 유전자 연관성에 대해 연구 결과를 발표했는데 우선 경제력과 군사력 문화력이 뒷받침되어야 되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 @user-vj7xc8pl7f
    @user-vj7xc8pl7f2 жыл бұрын

    애써 만드신 자료 잘보았습니다. 저는 통신역사관련 관심이 많은데, 전신이나 전화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것이 전선으로 큰 나무를 연달아 새워야합니다. 올려주신 자료에도 있습니다. 특히 새비지 랜도어는 신정황후 묘에 전화를 가설하여 상례에 이용하였다는 기록도 남겼습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storyofwonwonsnewstv4272
    @storyofwonwonsnewstv42722 жыл бұрын

    대단한 자료입니다

  • @e.g.o9870
    @e.g.o9870 Жыл бұрын

    정말 감사히 잘봤습니다~^^

  • @user-ld6jl5js4o
    @user-ld6jl5js4o4 ай бұрын

    잘보았읍니다, 훌륭한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경기,연천군왕징면(구,영인면) 근처에 영상기록도 보여주세욤.

  • @kidultvideo1504
    @kidultvideo1504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 @user-qy3sx1ml4s
    @user-qy3sx1ml4s2 жыл бұрын

    역사..영상감사함니다

  • @user-lr3jf3ew1o
    @user-lr3jf3ew1o2 жыл бұрын

    저희 외할아버지1891년생이십니다 저는1951년생이고 저 외손주가2011년생 공교롭게 각각60살차이 신묘생입니다 저 외할아버지와 외손주는120살차이납니다.

  • @user-ix9rh1xv2z
    @user-ix9rh1xv2z2 жыл бұрын

    아주 재미있네요 감사합니다

  •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2 жыл бұрын

    재미나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qy3sx1ml4s
    @user-qy3sx1ml4s2 жыл бұрын

    잘보았읍니다

  • @333movie
    @333movie2 жыл бұрын

    그 옛날. 그 상황 그래로 볼 수 있네요.

  • @user-qy3sx1ml4s
    @user-qy3sx1ml4s2 жыл бұрын

    감사함니다

  • @RobotDiamond682
    @RobotDiamond6822 жыл бұрын

    Visiter les rues de Séoul en 1891 ㅣ Carnet de voyage laissé par Savage Landor en écriture et en peinture

  • @eyon44
    @eyon442 жыл бұрын

    집 근처가 나와서 아까 한번 가서 똑같은 위치에서 사진을 찍어봤는데 홍지문과 북한산은 그대론데 집이랑 건물들이 빼곡히 들어 찼네요. 옛날 사진처럼 집들이 없었으면 설악산 한 가운데 있는 것처럼 느낄 것 같아요.

  • @user-dr3cj3hk3z
    @user-dr3cj3hk3z2 жыл бұрын

    이 당시에 조선을 여행한 여행가들이 똑같이 지적하는 것이 도로가 없는 것과 오물이네요 위생관념이 없던건 사실인거 같습니다 얼마전 파리지하철의 화장실이 냄새나고 더럽다 우리 지하철이 최고다 란 글을 읽고 그렇게 잣대를 대는게 아니다 그당시 우린 거리에 오물이 넘쳐났다 라고 댓글 다니 엄청 공격 해 오더군요 파리지하철이 바로 이 영상이 찍힌 때에 지어졌으니까요 이 짧은 백년 만에 어떻게 우리가 번영을 이룬 과정을 이해 못하는 것이 씁쓸하더군요

  • @user-dc7sj4sj4p

    @user-dc7sj4sj4p

    2 жыл бұрын

    그게 국뽕러들의 함정이고, 한국역사학자들이 거짓말하면서 가르치기때문임 양반들 문화는 좋죠, 그런데 일반 백성의 삶은 처참했기에, 역사를 가르칠때도 양반 문화 한복+한옥 위주로 가르침 빨래터 문화만 보더라도,, tv나,영화에서는 우물가+큰 개천에서 빨래하지만 그당시 실상은 작은 꼬랑물에 수십명이 줄지어 앉자서 빨래를 하엿죠,, 오랄가보면 또다른 사람들, 또올라가면 또다른 사람들 무리,,, 지금 필리핀 빈민가 사람들이 하천 1개에서 목욕하고, 빨래하고, 고기잡고, 대소변버리고 하는것과 똑같이 햇는데,,,,그런말하면 친일매국노라고 다굴 봄 ㅋㅋㅋ

  • @user-dr3cj3hk3z

    @user-dr3cj3hk3z

    2 жыл бұрын

    @@user-dc7sj4sj4p 조선시대 일반 평민의 삶은 그 이전의 고려,통일신라 보다 더 못했다고 생각 합니다 고려때는 여성의 지위가 남자와 거의 같았고 이에반해 조선은 여자의 지위가 형편 없었는데 여성들은 당연히 고려나 신라시대를 좋아 해야하는데 조선사극에 목 매는거 보면 신기합니다^^

  • @user-nq5my1xy3b

    @user-nq5my1xy3b

    2 жыл бұрын

    사실 성리학의 조선에 대한 통렬한 반성없이 반일을 부르짖고, 국뽕에 취하는 것이야말로 망국의 지름길이죠. 일본 아니더라도 러시아가 부동항을 확보하려 했을테고, 그랬다면 한반도는 소련 치하 원조공산국이 됐을 수도 있었으니까요...

  • @user-dc7sj4sj4p

    @user-dc7sj4sj4p

    2 жыл бұрын

    ​@@user-dr3cj3hk3z / 그렇죠 여자들은 신라,고려시대에는 현재보다도 더 자유로움이 있었으니까요, ,,, 한국 사극은 왜곡이 많이 되었죠,, 특히 서민층 집과, 온돌은 왜곡이 심함,, 백제,신라 남부지방은 동남아 국가처럼, 나무기둥을 세워 땅에서 띄워, 집을 짓기도 했고, 고려시대까지 서민은 움집에서 모닥불 피우고 살았는데,,, 사극이나 영화보면 죄다 초가집이고, 죄;다 온돌임 ,, 온돌 문화가 대중에 본격적으로 정착 된것은 조선후기 17세기에 경신대기근때 굶어죽고, 얼어죽고해서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발달되어, 방 전체바닥에 온돌을 깔앗는데 이건뭐 삼국시대때부터 서민층이 죄다 조선시대 초가집에,. 조선후기의 온돌방에서 살음 ㅋㅋㅋ 특히 중국의 사촌간 결혼, 일본의 혼탕 같은것을 욕하기도 하는것도 웃기죠 부여,고구려는,,형사취수제 고려는 백성들도 근친혼, 남여혼탕 신라는 스님+불자들이 혼탕 위와같은 문화가 일반 백성들에게 엄연히 존재했는데도,,, 일본,중국을 욕함 ㅋㅋㅋ 국민들이 많이 배웟지만,, 왜곡된 정보를 학습해서,,, 역사를 왜곡하고, 과거를 부정하고,,,, 한국은 단군이래부터 좋은 문화만, 있었다고 정신승리하는 개돼지들이 너무많음,

  • @user-dr3cj3hk3z

    @user-dr3cj3hk3z

    2 жыл бұрын

    @@user-dc7sj4sj4p 사극 보고 역사 공부 하면 안되는데 사극과 신문 보고 역사 공부하는 사람이 70%를 넘는다는 것이 놀랍더군요 사극에서 흔히 보는 주막에서 술먹고 주모에게 엽전 주는것 모두 거짓이지요 돈이 통용된건 숙종때 부터지요 임란이후 주인없는 땅들에 저수지를 만들어 이앙법이 본격화 되고 백성들이 비로소 잉여 생산품이 나와 매번 쌀 지고 장보러 가던것이 돈을 가지고 다니게 되었지요 죽 대동법이 현실화 된것이고 그때돈이 바로 상평통보지요 요즘도 나이 많은 분들 장에 쌀 팔러 간다 라는 말이 바로 돈이 통용 되지 않을때 풍습이 남아 그렇지요 혹자는 세종이 화폐주조 했다고 주장 하는데 맞기는 맞아도 백성들에게는 화폐쓰기를 장려하면서 세금은 반드시 쌀로 내게 했지요 백성들은 매일 쌀밥 못 먹을때 지요

  • @inyeobseo9369
    @inyeobseo93692 жыл бұрын

    숙정문을 열면 음기가 강해져 여자들이 음란해진다고 닫았다는 미신이 있습니다. 가뭄이 들면 비를 내리기 위해 열었다네요. 서대문, 서소문은 지금 부지가 없어서 복원을 못하고 있는데 근처 공원이라도 지었으면 합니다. 혜화문을 그렇게 복원하였는데 서울시에서는 마음에 안드나 봅니다. 영국인은 경복궁 다리를 대리석이라 하는데 화강암입니다. 서소문 밖은 처형지가 있어 지금도 천주교 순교성지 기념관이 있습니다.

  • @user-bc1gx7zx7e
    @user-bc1gx7zx7e2 жыл бұрын

    너무 고맙습니다 ~~☕🦢👍⚘

  • @user-cb7tn2vm6t
    @user-cb7tn2vm6t Жыл бұрын

    경복궁이 과거의 모습을 찾아 그대로 복원된 모습을 보고싶습니다.

  • @user-hm6wh9si4n
    @user-hm6wh9si4n2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 @lllIlIllI
    @lllIlIllI2 жыл бұрын

    대한여 지도님.. 혹시 밤섬 예전 모습 등 근현대 자료 올려주실 수 있나요? 예전 이건희 별장도 있었다던데 넘 궁금해요.. 지적도도 있는지..

  •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밤섬에 주민들이 꽤 많았다는 이야기는 들었습니다. 저도 관심이 가는 주제이긴 한데 자료를 찾을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 @springfall8832
    @springfall8832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ᆢ!

  • @user-zo9yi8db8g
    @user-zo9yi8db8g2 жыл бұрын

    늘 고맙고 감사해요 ~~~~~🌈. 이때 이모습들이 지금의 모습으로 변한것이 참 신기하고 대단합니다 타임머신 ?????^^^^^~~~~~🇰🇷. 우리들의 백의민족 영상을 통했어 확인할수있는것 함더 고맙워요 !!! 코등이시큰한날씨 건강 챙기시고 감기 조심하세요~~~~~~♣️😎.

  •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2 жыл бұрын

    늘 감사합니다😊

  • @user-zo9yi8db8g

    @user-zo9yi8db8g

    2 жыл бұрын

    @@koreangeographic3860 반사닙다 ^^^^^. 멋진주말 되세요 ~~~😎.

  • @user-ne5ht8nk6k
    @user-ne5ht8nk6k5 ай бұрын

    세상이너무빨리발전해도안좋네옛날이참그리울때가있네

  • @scottcello418
    @scottcello418 Жыл бұрын

    거리는 오물로 가득하고, 악취가 진동했으며, 사람들은 머리카락과 손발톱을 자르지않아 냄새가 났고, 남을 잘 속이고 심지어 그것을 자랑삼아 여겼다.

  • @user-qy3sx1ml4s
    @user-qy3sx1ml4s2 жыл бұрын

    역사가있는.동.영.상.감사함니다

  • @user-cb7tn2vm6t
    @user-cb7tn2vm6t Жыл бұрын

    엘리자베스 키스의 '올드코리아'라는 책도 좋았죠

  • @ehsldnlfqjrm
    @ehsldnlfqjrm2 жыл бұрын

    저때 일본이랑 미국은 이미 수십층건물 올리고 레스토랑에서 스테이크 썰고 있었음.ㅋㅋㅋ

  • @user-sm3fg7up3c

    @user-sm3fg7up3c

    2 жыл бұрын

    황룡사 9층 텁을 세울때에 미국이나 일본은 어땔을까요?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2 жыл бұрын

    @@user-sm3fg7up3c 황룡사 만들때, 일본엔 더 높은 목탑 만들었죠. 백제에서 건너간 유민들이. 그리고 미국은 그당시 없었으니, 유럽과 비교하자면, 로마 콜로세움 이 황룡사 보다 500년 전 입니다. 한반도에서 고인돌 만들때, 유럽에선 아테네 신전 만들었죠.

  • @user-sm3fg7up3c

    @user-sm3fg7up3c

    2 жыл бұрын

    @@davidjacobs8558 거론하신 일본의 목탑 이름은 무엇이죠? 그리고 미국이야기 하다가 갑자기 왠 로마? 고인돌 설립 마지막 시기가 신석기~청동기 시대인데, 아테네 신전이 그때 세웠다고요?

  • @oaktree2641

    @oaktree2641

    2 жыл бұрын

    그런식이면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할때 미국은 아메리카 원주민이 버팔로 쫓고있을땐데

  • @user-vs3hu6ie9f
    @user-vs3hu6ie9f2 жыл бұрын

    개화기때 우리나라에 영국인들도 많이 왔다갔다지요?

  • @ttuckyeol10
    @ttuckyeol106 ай бұрын

    사극 드라마 셋트로는 비교 안되는 넓이에 장소로군 ..

  • @user-tr5bo3pg5c
    @user-tr5bo3pg5c Жыл бұрын

    함부로볼수없는 귀한사진자룝니다 타임마신기분이에요

  • @largostory2442
    @largostory24422 жыл бұрын

    요즘 나오는 사극의 배우들의 복장을 당시의 사진 속의 너져분한 복장으로 실제 입히면 그 드라마 망하겠지요? 정말 당시의 조상님들은 비교대상이 없으니 뭐가 불편했는지도 모르고 당연시 했던 거 같습니다. 이나 벼룩이 득실되는 거주지 환경하며.. 외국인들은 얼마나 우리를 얍봤을까요.

  • @user-dc7sj4sj4p

    @user-dc7sj4sj4p

    2 жыл бұрын

    사극에서 나오는 한복은 고증이 잘못된거에요, 현대식에 맞게 각색한 것임, 화려한 문양의 수가놓인것은 왕,왕비만 입었기에 일반 양반들조차 못 입던 옷 이죠, 집들도 역사 고증도 잘 못 된거에요, 특히 고구려,백제,신라,고려 시대의 주택은 완전 가짜임,, 주택은 한옥이나 좀 좋지, 난방이 안되서 엄청 춥구요,, 온돌 난방이된것은 소빙하기때인 경신대기근 1670년 이후부터 입니다 350년가량 된것이죠 초가집은 최악이에요 초가지붕에 각종벌레살지, 흙벽사이로 벌레들 들어오지, 방바닥은 일본의 다다미방처럼 가마니 깔아놓아서 각종 오염물질,진드기,벌레들 많지,통풍안되니까요 한지에 기름을 바르는 장판이 있기는 하는데, 그건 양반들이사는 기와집이나 그렇고,, 1900년대에나 일반 백성에게도 장판이 도입되엇지만, 돈 없으면 그냥 멍석 깔아야햇죠 양반들 외에는 기와집에서 사는게 법으로 금지되어서, 일반 백성들 초가집은 정말 최악이에요 그런데 국뽕러들은 한옥,초가집하면 세계최고라고 하죠 솔직히 건축물은 한국에서 내세울게 별로없슴,, 다른나라들은 석제가 없으면 벽돌을 만들어서 수천년 전부터 석제건축물이 발전했는데, 벽돌이 없던 한국은 다른나라 석제건축에 비하면,, 유치원 수준이죠

  • @user-gg9nl4op7o

    @user-gg9nl4op7o

    2 жыл бұрын

    유럽도 중세에 길에 똥이 흔해서 하이힐 신고 다녔고 현재에도 유럽 여행가면 숙소에서 베드버그 나옵니다.

  • @freeling8189

    @freeling8189

    Жыл бұрын

    @@user-gg9nl4op7o 유럽이 그랬던건 중세때고 이 영상은 1900년대를 코앞에 둔 여타 다른나라들은 모두 근대화를 마친 이후 서울의 모습입니다 무려 400년 차이

  • @user-dw9vj5dt9g
    @user-dw9vj5dt9g3 ай бұрын

    제고향 신촌도 논이래요 밭이래요

  • @a.j.151
    @a.j.1512 жыл бұрын

    지금 우리가 아프리카 미개국 가면 꼭 저런 기분이겠지

  • @phoebuslipton9565
    @phoebuslipton95652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그런데 보고나니 과거가 왜 그런지 서글퍼집니다.

  • @user-qy3sx1ml4s
    @user-qy3sx1ml4s2 жыл бұрын

    오전05시

  • @kor22-24
    @kor22-242 жыл бұрын

    ❤️

  •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2 жыл бұрын

    ❤❤

  • @jak4639
    @jak46392 жыл бұрын

    조선말 망국의 기운이 느껴지네요. 왕궁앞이 불법노점상 천지라니? 저 시절 사람이 지금의 경복궁 근처와 서울을 보면 놀라 자빠지겠네요

  • @user-ej4pw2xm2w
    @user-ej4pw2xm2w2 жыл бұрын

  • @user-lc3gw1ff8c
    @user-lc3gw1ff8c2 жыл бұрын

    저당시 기와집은 좀 사는집 아닌가요??남산 밑은 죄다 부자들만 살았나보네?ㄷㄷ

  • @user-jf9kh4fo7s
    @user-jf9kh4fo7s2 жыл бұрын

    저시대가 그래도좋왔는대 갓쓰고 짚신닌고 다시저시대로돌아가구싶다 에구구

  • @user-qy3sx1ml4s
    @user-qy3sx1ml4s2 жыл бұрын

    2022년3윌15

  • @user-jd9pl7wc9g
    @user-jd9pl7wc9g2 жыл бұрын

    저 영국 화가는 저당시에 한국으로 들어올때 뭘타고 왔을까? 비행기? 배? 그것도 궁금하고 신기해요

  • @user-mf9xg2ti1r

    @user-mf9xg2ti1r

    2 жыл бұрын

    당연히 배죠

  • @syr930225

    @syr930225

    Жыл бұрын

    저때 비행기랑 공항이 어딨어요 ㅋㅋㅋㅋㅋ 조선시대에 평양공항 있었을까요?? ㅋㅋㅋ 제가 알기로는 일본에서 배타고 부산으로 들어오는 방법으로 많이 왔었고, 숫자는 적지만 중국쪽에서 오는 방법도 있었다고 하네요

  • @user-qy3sx1ml4s
    @user-qy3sx1ml4s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 @user-ky7lw7ud5d
    @user-ky7lw7ud5d2 жыл бұрын

    100년 땅 ㅎㅎ

  • @littlecloud78
    @littlecloud782 жыл бұрын

    한양도성은 ..... 항상 몽진이지오

  • @han1231
    @han1231 Жыл бұрын

    가만히 듣다보니 북한은 아직도 저러고 있지요. 진정한 헬조선이 아직도 반도의 반을 차지하고 있네요 ….

  • @user-pb8xi9yo8e
    @user-pb8xi9yo8e2 жыл бұрын

    본인 나레이션인줄알았는데 .....ai였다니 ...

  • @Jeong-eun
    @Jeong-eun Жыл бұрын

    성벽보니 전쟁후네

  • @Jeong-eun
    @Jeong-eun Жыл бұрын

    저 돌들 낙산 채석장에서 만든거 같은데

  • @Hyuchan1002
    @Hyuchan10022 жыл бұрын

    인도에 물건 쌓아놓고 불법입간판 세우는 것은 조선민족의 전통이었네 ㅋ

  • @hyunjaelee007
    @hyunjaelee0072 жыл бұрын

    그때야 아무데나 똥싸고 그랬겠지ㄷㄷ

  • @TV-jr8bk
    @TV-jr8bk2 жыл бұрын

    시대는 흐르면서 상당한 변화를 가져오듯이, 아마 100년후에 후손들이 지금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보면서 굉장히 구식시대였구나 이렇게 생각할듯..

  • @user-pp7um8kw6l
    @user-pp7um8kw6l4 ай бұрын

    새비지랜도어는 영국 첩자???????? 여행화가가 아니네요!!!!!

  • @user-wf8zy6or7z
    @user-wf8zy6or7z2 жыл бұрын

    군인이 안보여 당시 조선군 복장.무기가 있었을 까. 훈련도 없어 무장력도 없머 군인정신은 아예 없어ㆍ나라가 망한건 당근 당시 과거시험 합격자 뮐했어 자고 있엇어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2 жыл бұрын

    일본하고 전쟁이라도 하자는 소리냐? 나쁜 평화가 정의로운 전쟁보다 낫다. 이완용.

  • @user-cy4mm3ub1h
    @user-cy4mm3ub1h Жыл бұрын

    현재의 우리나라 도시미관이 형편없는 이유가 조선시대때 부터 내려오는 DNA구나….

  • @arajoaina
    @arajoaina4 ай бұрын

    진짜 조선 왕조는 존재하지 말아야했다. 왜 삼국시대보다 문화가 퇴화 한것같다. 저당시 미국에는 이미 고층빌딩들이 지어지고 있었는데 수도 한가운데 아프리카 초가집보다 더 허름한 쓰러져가는 초가집들이 저리 많나? 그리고 왜 세계에서 거의 유일하게 같은 민족을 노비로 만든 쓰래기 같은 왕조

  • @nuujackswing
    @nuujackswing2 жыл бұрын

    1392년 조선이 건국되고 19세기 중엽 헌종때까지 약 4백여년간 조선은 별 다른 사회 변화가 없다가 그후 철종때부터 약 반세기 동안 갑자기 밀어닥친 서구문물과 일본의 침탈로 조선은 그 직전 수백년간 겪은 변화보다 몇배는 더한 극심한 변화와 문화 충격을 겪게 되는거임.. 이미 그보다도 반세기전 왕정 무너뜨리고 공화정 세운 프랑스 대혁명과 한세기전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 혁명이 조선엔 그때야 밀어닥친 격.. 짧은 시기 엄청난 변화가 몰아치다보니 자연 혼란과 갈등,반목 심해지고 구시대 질서와 신시대 질서가 충돌할수 밖에.. 임오군란과 동학혁명,갑신정변이 대표적 사건.. 구한말=혼란기로 인식된 이유..

  • @user-op9yo1yk8i
    @user-op9yo1yk8i2 жыл бұрын

    역사 바로잡아야 합니다 역사왜곡 하는자들 자유민주주의 반역죄 엄벌해야 합니다

  • @user-qk5lk8jr1r
    @user-qk5lk8jr1r9 ай бұрын

    냄새의 도시 지금 사람이 가면 냄새 때문에 기겁할 것임 똥냄새 거름냄새 메주냄새 썩는냄새 퀴퀴한 냄새 ㅋㅋ.

  • @user-jy9ov7nb5b
    @user-jy9ov7nb5b2 жыл бұрын

    王쯪쯪쯧 쯔쯔 쯔.

  • @user-fc1bz6iz9m
    @user-fc1bz6iz9m2 жыл бұрын

    구한말 조선인들은 짚신을 신고 지게를 지고 다녔다. 집들은 초가집, 움집이었다. 일제말 조선인들은 고무신을 신고 자전거를 끌고 다닌다. 집들은 유리창을 낀 현대식 건물들이 도시를 채우고 있다. 인구 또한 천만에서 삼천만으로 급증했다. 대체 어디에 일제수탈이 있었는가? 수탈을 당하는데 행색이 좋아지고 인구가 급증하는가?

  • @user-df2we1mq3m

    @user-df2we1mq3m

    2 жыл бұрын

    정신나간 인간아 일제수탈 여부를 어떻게 그런 식으로 판단하냐.

  • @user-fc1bz6iz9m

    @user-fc1bz6iz9m

    2 жыл бұрын

    @@user-df2we1mq3m 지금껏 복합쇼핑몰 하나 없는 광주. 수십년간 좌파가 광주를 수탈한 것 아니냐? 다른 지역은 다 발전했는데 한곳만 정체되어 멈춰있다면 그곳이 바로 수탈당한 지역 아니냐. 현재의 수탈조차 판단하지 못하면서 무슨 백년전 수탈을 논한다는 것이냐. 일제시대 동안 조선지역은 발전과 번영을 했다. 동시대, 다른 지역들과 비교했을 경우 그런 것이다. 절대적으로도 상대적으로도 엄청난 발전을 이룩했다. 일제시대에 있었던 혁명, 개혁, 발전이 무엇인가? 세습신분제가 철폐되고 평등신분제가 정착되었다. 이에 조선인들은 어떤짓을 벌였는가? 백정들이 학교에 다니지 못하도록 훼방하고 괴롭혔다. 그래서 백정들이 형평운동을 전개했고 일본당국은 백정들의 요구사항을 들어주고 백정들을 괴롭힌 양반출신들을 제압했다. 노비, 천민들은 평등한 교육을 받게되고 학습능력에 맞는 출세를 하게된 혁명은 과거 조선시대에는 꿈꿀수 없었던 것이다. 현재 인구 오천만에 군인이 60만이다. 일제시대 인구 삼천만에 군인이 만명 정도에 불과했다. 일제시대에 죽은 사람이 많은가? 아니면 625때 김일성에 의해 죽은 사람이 많은가? 625때 실종되고 죽은 사람이 일제시대 비정상으로 죽은 사람의 열배도 넘을 것이다. 매우 평화롭고 안정되었던 시절이 일제시대였다.

  • @user-gg9nl4op7o

    @user-gg9nl4op7o

    2 жыл бұрын

    개소리는 일본 가서 해.

  • @user-rr2rf2ot4i

    @user-rr2rf2ot4i

    2 жыл бұрын

    저리살았는데 일본을 욕할가치가 있을까?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 북조선에선 빨갱이 치하에 수백만명이 굶어죽어서 오히려 인구가 줄었는데. 울 할아버지 말에 의하면, 2차대전때 일본이 인도네시아 인가? 버마 인가? 거기를 점령했는데, 그래서 고무를 대량 가져올수 있어서, 고무신을 학생들 한테 좍 돌렸다고 허던데. 천황폐하의 선물이라면서 식민지 조선에도 돌렸으니, 당연히 일본에도 돌렸겠지.

  • @user-jh2mm2fw6b
    @user-jh2mm2fw6b2 жыл бұрын

    김대중 은십오대에 공천을저에게주셨구요 노무현 의취임식날 감사장을받았지요 문재인은 제 가장 오래된친구입니다...

  • @user-qy3sx1ml4s
    @user-qy3sx1ml4s2 жыл бұрын

    2022년3윌15

  • @user-qy3sx1ml4s
    @user-qy3sx1ml4s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