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층 높이서 맨몸으로”…아찔한 공사 현장 / KBS 2023.06.17.

지난달, 롯데건설이 시공하는 아파트 재건축 현장에서 한 노동자가 추락해 숨졌습니다. 7 미터 높이에서 떨어졌는데 안전고리도 걸지 않은 거로 보여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 조사가 진행 중입니다. 이렇게 공사장에서 추락해 숨진 노동자는 지난해에만 215명. 건설업 사고 사망자의 절반이 넘습니다. 건설 현장에서 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건지, KBS 취재진이 현장 출동했습니다. 윤아림 기자입니다.
[리포트]
인천의 한 공사 현장, 25m 높이 구조물 위에서 노동자가 작업 중입니다.
자세히 보니, 아무 안전 장치가 없는 '맨몸'입니다.
좁은 철근 위를 공중 곡예라도 하듯 걷고, 벽을 타고 반대편으로 아슬아슬하게 이동합니다.
역시 안전 장치 하나 없이 크레인 줄에 2명이 매달려 내려오기도 합니다.
[박○○/제보자 : "아찔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어요. 솔직히 그냥 절벽에서 일하는 거랑 똑같은 거잖아요."]
이 영상을 찍은 제보자는 아찔함에 놀라 노동부에 신고하고 시정을 요청했습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음성변조 : "저희가 지도를 했고 추후에 이제 현장에서도 저희 쪽으로 보고하기로..."]
이틀 뒤, KBS 취재진이 문제의 현장을 찾아가 봤습니다.
노동자는 여전히 안전 장치 하나 없이 사다리를 타고 내립니다.
산업안전보건법은 사업주가 근로자의 추락을 막기 위해 작업 발판이나 추락방호막, 안전대를 마련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 이동식 크레인 탑승을 금지했는데 어느 하나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겁니다.
[현장 관계자/음성변조 : "안전 고리는 무조건 걸고 하라고 아침에 조회하면서도 걸고 하십시오 라고 말씀드리죠. 안 지키는 것까지는 제가 어떻게 말씀을..."]
대기업 건설 현장은 사정이 다를까.
경기도 용인 둔전 힐스테이트 공사 현장에서 지난 3월 찍은 영상입니다.
고층 아파트 가장자리에 서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하는 노동자들.
의지하는 건 안전 고리, 단 하나입니다.
안쪽에 작업 발판을 설치하는 게 법적 의무이지만, 역시 없습니다.
[현장 관계자/음성변조 : "여기만 그런 게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가 다 그래요. 20년 동안 옥상에다가 작업환경 발판을 만들어 준 곳을 못 봤습니다."]
현대 힐스테이트 측은 아파트 한 동에만 안전 작업대를 설치하지 않은 거라면서, 안전조치가 미흡했던 건 인정하고 점검을 강화하겠다고 밝혀왔습니다.
KBS 뉴스 윤아림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채상우
▣ KBS 기사 원문보기 : 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건설현장 #노동자 #추락사고

Пікірлер: 23

  • @jk-wg7hx
    @jk-wg7hx11 ай бұрын

    문제는 저런 사람이 오야로 있는 곳에 들어가면 안전장비 걸고 싶어도 못 검

  • @user-rv8fi8if5n
    @user-rv8fi8if5n3 ай бұрын

    현대 또사기치네

  • @user-th6zz5ee9i
    @user-th6zz5ee9i3 ай бұрын

    이야 중소건설사 다니는 나는 대기업보다 안전한거였네

  • @thom777
    @thom77711 ай бұрын

    대기업 현장은 규정대로 하라고 장비를 지급하는데, 줘도 안하는 인간들이라 그냥 짤라야됨

  • @user-go7kx9ox7j
    @user-go7kx9ox7j10 ай бұрын

    안전 요구하면 집에 가라 함

  • @user-of1fm7do2i
    @user-of1fm7do2i5 күн бұрын

    철골쟁이들 지들만에 이상한 문화가 있음.. 뭘 그리 대한한일 한다고

  • @user-oe5xu6qw1v
    @user-oe5xu6qw1v3 ай бұрын

    저런일이 없을려면 안전관리를 국가 공무원 해야 합니다. 업체에서 돈주고 고용하는 안전관리는 별로긍냥 교육만하고 돈만 벌어가는 거죠

  • @user-oe5xu6qw1v
    @user-oe5xu6qw1v3 ай бұрын

    이야 기건 너무하잖아 저런 현장은 작업중지 해야함

  • @kmj8954lee
    @kmj8954lee3 ай бұрын

    노가다오야지가 제일큰문제

  • @user-cn4fy5mt3e
    @user-cn4fy5mt3e11 ай бұрын

    그렇게 디져도 정신을 못 차리네. 저런 놈들은 어디 공사장에도 일 못하게 등롯 시켜야 한다.

  • @user-bj9dz4mu6c
    @user-bj9dz4mu6c9 ай бұрын

    그런 것은 자연사라 해야됨

  • @user-ws3bg6jo2o
    @user-ws3bg6jo2o6 ай бұрын

    하라해도 안합니다

  • @user-uq6ul3ye9f
    @user-uq6ul3ye9f4 ай бұрын

    근데.. 관리자 한테.. 말하면.. 집에가라구함 이전 나온 사람은 했다면서..

  • @user-yt6mz3gm6l
    @user-yt6mz3gm6l11 ай бұрын

    지금까지 중대재해 처벌법 적용되어 처벌받은 건설사는 없다 있으나 마나한 법 기업을 위해 존재하는 정부~ 개죽음은 국민몫!!

  • @tubetube38
    @tubetube3811 ай бұрын

    죽을려면 뭔 짓을 못하겠냐.

  • @user-kk4ns5kv7h
    @user-kk4ns5kv7h11 ай бұрын

    대단하네. 난 다리 후달리던데.

  • @user-tp8ek8kw7j
    @user-tp8ek8kw7j11 ай бұрын

    말로만 안전 안전 따지지 현장은 그런거 없어,,돈이 들어가는데 당신들이면 투자하겠어??말로만 떠들어,,(,

  • @MurdererJJ
    @MurdererJJ11 ай бұрын

    뭔들 FM으로 돌아 가것냐 이래야 개한민국이지

  • @son7lee19
    @son7lee1911 ай бұрын

    크레인타고 내려오면 10초 걸어내려오면 10분인데 더워죽겠는데 본인 편의를 위해하는겁니다 그냥 냅두세요 좀 건설사가 책임이있든 없든 저 선택은 노동자 본인을 위해 자신을 위해 편의를 이용하는겁니다 사고야 본인이 책임지는거죠

  • @user-uiefnkkink8822

    @user-uiefnkkink8822

    5 ай бұрын

    진짜 쥐뿔 1도 모르네 ㅋㅋㅋ 본인이 사고 나서 뒤지고 본인 혼자 끝나면 아무도 뭐라고 안하죠 근데 본인 그 10초 편하려다가 뒤진거 때문에 여럿 사람이 재판 받고 형사처벌에 벌금에 줄줄이 모가지 날아가니까 그런거 아닙니까? 뭐 하루 벌어 하루 먹고 사는 노가더 죽는다고 뭐 누가 신경이나 씁니까 죽든지 말든지지 근데 그 하루살이 인생이 죽게되면 피싸는건 다른 사람들이니까 그런거죠.

  • @user-yp2yo2fq7n
    @user-yp2yo2fq7n11 ай бұрын

    윤석열과 국민의힘 이래도 중대재해처벌법 완하 할수 있어

  • @ghkcjs1030
    @ghkcjs103011 ай бұрын

    노동자 아니고 근로자. 인부 아니고 근로자.

  • @user-tf5hv9iy4c
    @user-tf5hv9iy4c11 ай бұрын

    ㅋㅋ 담당돈주면 끝임 공무원 돈주면다됌

Келесі